KR102189357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357B1
KR102189357B1 KR1020180063705A KR20180063705A KR102189357B1 KR 102189357 B1 KR102189357 B1 KR 102189357B1 KR 1020180063705 A KR1020180063705 A KR 1020180063705A KR 20180063705 A KR20180063705 A KR 20180063705A KR 102189357 B1 KR102189357 B1 KR 102189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ar panel
opening
hydrophilic layer
cond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477A (ko
Inventor
이성훈
김동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35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10Removing frost by spraying with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을 구비한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후면 패널에서 상기 개구부와 대면하는 면에 구비된 친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와 함께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는 별도의 수납공간이 제공되며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만을 개방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형태의 냉장고들도 볼 수 있다.
또한, 고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의 전면 일부에 투시창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도어나 보조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들 역시 선보이고 있다.
다만, 도어 또는 보조 도어가 개방된 후 다시 폐쇄된 경우 외부와 투시창의 온도차에 의해 투시창에 결로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덥거나 습한 공간에서 더욱 심화되어 나타나게 된다.
투시창에 생성된 결로는 빛을 굴절시켜 투시되는 고내 또는 도어 바스켓에 저장된 식품의 형상을 왜곡시키거나 흐리게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투시창을 통해 고내 또는 도어 바스켓 내부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선행문헌으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8328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4-045377호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패널 어셈블리 내측에 발생되는 결로에 의해 도어 바스켓 또는 저장공간 내부에 거치된 식품의 형상이 흐리거나 굴절되어 투시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패널 어셈블리 내측에 발생되는 결로를 보다 빠르게 증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구조적 변형없이 결로의 접촉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을 구비한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후면 패널에서 상기 개구부와 대면하는 면에 구비된 친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로의 접촉각을 감소시켜 빛의 굴절에 의한 식품 형태의 왜곡을 방지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수층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선명하게 메인 도어 개구부를 투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수층 표면에 결로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전면 패널 전방에서 상기 개구부 내측이 투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수층은 표면에 맺히는 결로와의 접촉각이 20°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수층은 표면에 맺히는 결로와의 접촉각이 10°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수층의 표면은 상기 후면 패널의 표면 보다 친수력이 강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수층은 상기 후면 패널의 표면에 친수 처리를 위한 물질이 도포되거나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친수층이 후면 패널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수층은 상기 후면 패널에 부착된 친수 필름으로 이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간이하게 상술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수 층은 -5℃ 내지 10℃에서 친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온에서도 친수력을 유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밝히는 라이팅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의 개구부를 지나 상기 후면패널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이 형성하는 저장공간은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분되며,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전면패널과 후 패널을 구비한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메인 도어의 개구부를 지나 상기 후면패널에 공기를 송풍하는 결로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면패널에 맺힌 결로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로제거부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측벽의 전방에 마련된 측벽 토출구; 및 상기 이너 케이스의 측벽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측벽 토출구와 연결된 측벽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한 공기를 이용하여 결로를 보다 쉽게 증발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측벽 토출구는 상기 후면패널의 하단보다 높고 상기 후면패널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 외부에 구비되어 냉각 공기를 상기 저장공간 내부로 송풍하는 메인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 덕트는 타단이 상기 저장공간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메인팬의 회전에 의해 유동하는 냉각 공기를 상기 측벽 토출구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한 공기를 이용하여 결로를 보다 쉽게 증발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로제거부는 상기 측벽 토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측벽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로제거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저장공간으로 토출되어야 하는 냉기가 불필요하게 누설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회전 가능한 복수 개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측벽 토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결로제거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저장공간으로 토출되어야 하는 냉기가 불필요하게 누설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로제거부는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된 서브팬; 및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후면패널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서브팬에 의한 공기 유동을 상기 후면패널로 안내하는 서브팬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잡한 덕트 구조 없이 간이한 구성들만으로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브팬은 상기 저장공간의 후방에 구비되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 내부에 거치된 식품의 입출을 원할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브팬은 상기 서브팬 가이더와 상기 캐비닛 측벽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브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후면패널에 집중 분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로제거부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후면패널로 공기를 안내하는 천장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한 공기를 이용하여 결로를 보다 쉽게 증발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 외부에 구비되어 냉각 공기를 상기 저장공간 내부로 송풍하는 메인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한 공기를 이용하여 결로를 보다 쉽게 증발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로제거부는 상기 천장 덕트의 일단에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가이드 베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가 상기 후면패널에 집중 분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 배면에 구비되며, 전면이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개구된 수납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로제거부는 상기 수납케이스 상부에 구비된 도어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너 케이스의 구조적 변형없이 상기 후면패널에 송풍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팬은 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가 상기 도어팬으로 쉽게 흡입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팬을 상기 수납케이스 상부에 고정시키는 도어팬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팬이 상기 수납케이스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팬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팬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팬에 의한 공기 유동을 상기 후면패널로 유도하는 도어팬 쉬라우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가 상기 후면패널에 집중 분사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장착되는 바스켓;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을 구비한 패널 어셈블리; 상기 후면 패널에서 상기 개구부와 대면하는 면에 구비된 친수층; 및 상기 바스켓과 상기 후면 패널의 친수층 사이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도어 라이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바스켓 및 상기 친수층에 도달한다.
본 발명은 패널 어셈블리 내측에 발생되는 결로에 의해 도어 바스켓 또는 저장공간 내부에 거치된 식품의 형상이 흐리거나 굴절되어 투시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널 어셈블리 내측에 발생되는 결로를 보다 빠르게 증발시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구조적 변형없이 결로의 접촉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패널 어셈블리에 발생되는 결로에 의해 도어 바스켓 또는 저장공간 내부에 거치된 식품의 형상이 흐리거나 굴절되어 투시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패널 어셈블리 표면을 향해 공기를 직접 송풍하여 결로를 빠르게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패널 어셈블리 표면에 결로가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어 라이팅 유닛의 온오프 전후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냉장실 도어의 측단면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패널 어셈블리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후면 패널과 친수층의 측면도이다.
도9는 친수 필름과 패널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결로제거부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8은 결로제거부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개도이다.
도 9는 결로제거부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면도이다.
도 10은 결로제거부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결로제거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결로제거부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결로제거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결로제거부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는 결로제거부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팬 쉬라우드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03)와 내부에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5)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3)와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매 사이클(C)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매 사이클(C)이 구비된 공간은 일반적으로 기계실로 불려질 수 있다.
상기 냉매 사이클(C)은 압축기(CP), 응축기(CD), 증발기(E) 및 밸브(V)로 이루어져 상기 저장공간의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105) 후벽에는 상기 냉매 사이클(C)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저장공간 내부로 안내하는 냉기공급덕트(123, 도 10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CP)가 구동되면 냉매가 상기 냉매 사이클(C)을 순환하게 되고, 상기 저장공간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E)를 지나면서 냉각되어 메인팬(F)에 의해 상기 냉기공급덕트를 통해 다시 상기 저장공간 내부로 토출되게 된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서랍식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식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어 각각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2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도 1에서 볼 때)의 냉장실 도어(20)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개구부(403)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어퍼 힌지(401) 및 로어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3)이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스켓(43)은 최상측의 제1도어 바스켓만 포함하여도 무방하나, 수납공간 확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상기 제1도어 바스켓 하측에 위치한 제2도어 바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어 바스켓의 하측에 위치한 제3도어 바스켓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서 외부에서 상기 개구부(403)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중앙에는 유리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된 패널 어셈블리(54)가 구비된다. 따라서,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투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씨스루 도어(Seethrough door)라 불릴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에는 핸들(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23)은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서로 인접한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핸들(23)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조작 버튼(231)에 의해 동작되는 록킹유닛(2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유닛(232)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구속부재(404)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수납케이스(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41)는 상기 메인 도어(40) 배면의 수납 공간을 정의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도어 바스켓(43)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납케이스(41)는 전면이 개구되며, 상기 수납케이스(41)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시 상기 개구부(403)가 노출되며,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수납케이스(41) 내부의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 접근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납케이스(41)는 전면이 개구되며, 상기 수납케이스(41)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시 상기 개구부(403)가 노출되며,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수납케이스(41) 내부의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케이스(41)의 배면에는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케이스 도어(4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도어(42)를 개방하여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 도어(42)에는 고내의 냉기가 상기 수납케이스(41) 내측으로 유입될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 개구(432)와 도어 개구(4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케이스(41) 내부의 온도는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힌지(401)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메인 도어(40)가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의 힌지축(511)은 일측이 개구된 단면을 가지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면 구조는 보다 확장된 상기 힌지축(511) 내부의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에 구비되는 전장부품(도어 라이팅 유닛)과 연결된 전선(L)들은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의 힌지축(511)을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 외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캐비닛(10) 메인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퍼 힌지(401)와 서브 어퍼 힌지(51)는 메인 힌지 커버(45)와 서브 힌지 커버(53)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와 서브 힌지 커버(53)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를 통해 외부로 안내되는 전선(L)이 상기 서브 힌지 커버(53)를 지나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내측을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내측에는 상기 서브 도어(50) 측의 전장 부품을 컨트롤하기 위한 별도의 피시비가 수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로어 힌지(40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에는 상기 서브 도어(50)를 지지하기 위한 서브 도어 힌지(52)가 장착된다.
도 5는 도어 라이팅 유닛의 온오프 전후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비추는 도어 라이팅 유닛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도어 바스켓(43)을 확인하려는 경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이 On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용자의 도어 바스켓(43) 확인 의지를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일례로 사용자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노크하는 행위를 감지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크 감지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확인 의지가 감지될 수 있다.
평소에는 도 5의 좌측 상태와 같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유지되다가, 냉장고가 사용자의 도어 바스켓(43) 확인 의지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이 On되면서 도 5의 우측 상태와 같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이 밝아지게 되면,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도어 바스켓(43) 내부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게 된다.
점등된 상기 라이팅 유닛은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초 동안 점등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충분히 고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유닛이 온 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거나 특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라이팅 유닛은 오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 라이팅 유닛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은 상부 라이팅 유닛(49)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라이팅 유닛(49)은 상기 메인 도어(40)와 상기 서브 도어(50) 사이의 상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 라이팅 유닛(49)은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 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장착되는 도어 바스켓(43)을 밝힐 수 있다.
상기 상부 라이팅 유닛(49)은 다수의 엘이디가 배치된 램프 피시비(492)와, 상기 램프 피시비(492)에 장착되는 램프 케이스(491) 및, 상기 램프 케이스(491)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개구로 노출되는 램프 커버(4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 피시비(492)에서 조사되는 빛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면(4913)을 통해 반사되어, 상기 램프 커버(493)를 거쳐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면(4913)과 마주보는 일면에는 상기 램프 피시비(492)가 장착되는 램프 피시비 장착부(4914)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 피시비 장착부(4914)의 일측에는 상기 램프 피시비(492)와 연결되는 전선(L)이 출입되는 전선 출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계속해서 참조하여,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 패널(541)과 상기 전면 패널(541)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와 대면하는 후면패널(5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541)과 후면패널(542) 사이에는 단열을 위해 중간 패널(544)이 추가적으로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541)과 상기 중간 패널(544)은 단열을 위해 상기 간봉(543)을 통해 전후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 패널(544)과 상기 후면 패널(422)도 마찬가지로 간봉(543)을 통해 전후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간 패널(544)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면 패널(541)과 상기 후면 패널(422)이 간봉(543)을 통해 서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면 패널(541), 상기 중간 패널(544) 및 상기 후면 패널(422)은 외부에서 투시가 가능한 유리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전면 패널(541)은 빛의 투과율 및 반사율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투시될 수 있는 하프미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냉장고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지면 상기 도어 바스켓(43)과 그 주변부가 밝아지게 되고, 빛이 상기 후면패널(542), 중간 패널(544) 및 전면 패널(541)을 차례로 투과하게 되면서 사용자는 보다 명확하게 상기 도어 바스켓(43) 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후 다시 폐쇄되면, 차가운 고내 공기와 접촉하고 있던 상기 후면패널(542)에 후면에 결로가 생성되어, 고내 또는 도어 바스켓(43)에 저장된 식품을 외부에서 명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상기 후면패널(542) 후면 상에 부착된 결로의 접촉각(결로의 표면과 고체면이 이루는 각)이 클수록 굴절률이 커지게 되며, 이 경우 식품의 형상이 보다 더 왜곡되거나 흐리게 투시된다.
상기 후면패널(542)에 결로가 부착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후면패널(542)의 후면에 발수층을 형성시켜 결로를 낙하시키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하지만, 발수층에서도 결로가 일정크기 이상으로 성장해야만 상기 후면패널(542)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이는 짧은 시간 동안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를 여닫는 일반적인 냉장고 사용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즉, 냉장고 사용환경은 결로가 후면패널(542) 표면에서 낙하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며, 오히려, 발수층으로 인해 후면패널(542)에 부착된 결로의 접촉각만 커지게 되는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패널(542)에는 친수층(547)이 구비될 수 있다.
발수층과 달리, 상기 친수층(547) 표면에서는 친수성에 의해 결로가 넓게 퍼지게 되어 접촉각이 작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보았을 때 식품의 형상이 보다 덜 굴절되는 효과가 있다.
즉, 결로와의 접촉각이 낮은 성질을 가진 친수층을 이용해 빛을 굴절률을 감소시킴으로써, 외부에서 상기 도어 바스켓(43) 또는 상기 저장공간 내부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앞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친수층(547)을 친수성을 가진 층으로 정의하나, 초친수성 역시 친수성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도 7 참조하여 상기 친수층(547)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친수층(547)은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와 대면하는 상기 후면패널(542)의 후방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구성들 중 상기 저장공간을 흐르는 냉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후면패널(542)의 표면이다.
따라서, 상기 저장공간과 가장 가까운 온도로 유지되는 상기 후면패널(542)의 후면에 결로가 다수 발생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친수층(547)은 상기 후면 패널에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친수층(547)은 상기 후면패널(542)의 후방면 모든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후면패널(542)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와 대면하는 부분만을 커버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후면패널(542)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보았을 때, 상기 후면패널(542) 및 개구부(403)가 사각형 형상이므로, 상기 친수층(547)은 그에 대응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후면패널(542)과 친수층(547)의 측단면으로, 상기 친수층(547) 표면에 결로가 맺힌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빛의 과도한 굴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친수층(547) 표면에서 결로의 접촉각(d)이 20°이하가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접촉각(d)이 10°이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로는 상기 친수층(547) 표면에 낮은 각도로 넓게 퍼져 접촉될 수 있어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단위 체적당 표면적이 가장 작은 형태가 “구”이므로, 결로가 넓게 퍼지면 퍼질수록 저장공간의 건조한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결로가 반구 또는 구에 가깝게 형성되는 일반 유리면 또는 발수층에 비해, 결로가 상기 친수층(547) 표면에서 쉽게 증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친수층(547)은 친수력이 상기 후면패널(542)의 표면 보다 강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후면패널(542)이 유리로 이루어진 경우 유리보다 친수력이 강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친수층(547)은 상기 냉장실(12)의 차가운 환경에서도 친수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상기 친수층(547)의 내한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은 일반적으로, 0℃ 내지 10℃ 범위 내로 유지되며, 뜨거운 음식 등으로 인해 과도하게 높아진 냉장실 온도를 일시적으로 급강하시키기 위해 영하의 공기가 상기 저장공간 내부로 토출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친수층(547)은 냉장실(12)의 가변 온도범위인 -5℃ 내지 10℃에서 친수성을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차가운 냉장실(12) 내부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친수력을 지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친수층(547)이 상기 후면패널(542)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후면패널(542)의 표면에는 친수 처리를 위한 물질이 도포되거나 증착될 수 있다.
친수 처리를 위한 물질로 금속산화물 입자 및 분산액을 포함하는 코팅액이 상기 후면패널(542)에 도포되거나 증착되고, 소정 온도 범위 내에서 도포된 코팅액이 열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면 프랙탈 요철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랙탈 요철 구조는 미세한 요철이 친수성을 발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후면패널(542)의 표면에는 상기 친수층(547)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산화타이타늄, 산화주석, 이산화규소, 산화은, 산화아연 및 이산화인듐이 등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수층(547)의 표면은 화학적으로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기계적으로 처리된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직접 도포 및 직접 증착 방법외에 상기 친수층(547)은 다른 방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친수층(547)은 접착 가능한 친수 필름(547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친수 필름은 일면이 친수면으로 구비되고 반대면이 접착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접착면이 상기 후면패널(542)에 부착되어 상기 친수층(547)을 이루게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후면패널(542)에 상기 친수 필름(5471)만을 간이하게 부착시켜 상술한 본 실시예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패널 어셈블리(54)의 추가적인 구조 변형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후면패널(542)의 결로를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를 지나 상기 후면패널(542) 또는 상기 친수층(547)을 향해 송풍하는 결로제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상기 결로제거부(70)에 관한 실시예 1을 설명하면, 상기 결로제거부(7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측벽에 구비된 측벽 토출구(72)와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측벽에 구비된 측벽 덕트(7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벽 토출구(72)는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측벽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후면패널(542)의 하단보다 높고 상단보다 낮은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측벽 덕트(71)를 통해 전달될 공기가 상기 후면패널(542) 또는 상기 친수층(547)을 향해 직접 송풍되도록 하여, 빠른 시간 내에 결로가 증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측벽 덕트(71)는 타단이 상기 이너 케이스(105)와 아우터 케이스(103) 사이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후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냉매 사이클(C)이 구비된 상기 기계실과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매 사이클(C)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메인팬(F)에 의해 상기 측벽 덕트(71)로 안내되고, 안내된 냉각 공기는 상기 측벽 토출구(72)를 통해 상기 후면패널(542)에 토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면패널(542) 또는 상기 친수층(547)에 맺힌 결로가 보다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냉매 사이클(C)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머무르는 공기에 비해 차갑고 건조하므로, 결로를 쉽게 증발시키며 동시에 상기 후면패널(542) 주변의 공기를 냉각시켜 추가적인 결로 생성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매 사이클(C)과 상기 메인팬(F)에 의해 생성된 냉각 공기가 계속해서 상기 측벽 덕트(71)로 공급될 경우, 상기 저장공간의 식품을 냉각시키는 상기 냉기공급덕트(123)로 유동하는 냉기의 유량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측벽 덕트(71)로 공급되는 냉각 공기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측벽 토출구(72)에는 상기 측벽 토출구(7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721)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721)는 상기 측벽 토출구(72)를 개폐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부(721)가 복수 개의 회전 가능한 블레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개폐부(721)는 상기 측벽 토출구(72)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721)는 평소에는 일면이 상기 측벽 덕트(71)가 형성하는 유로와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상기 측벽 토출구(72)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후면패널(542)에 맺힌 결로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측부 엣지가 상기 후면패널(542)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개폐부(721)는 평소에는 상기 측벽 토출구(72)를 통해 냉기가 새어나가는 문제를 방지하는 한편, 결로 제거가 필요한 경우 냉기를 상기 후면패널(542)로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도어(40)에 수납케이스(41)가 설치될 경우, 상기 수납케이스(41)에서 상기 측벽 토출구(72)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측벽 토출구(72)와 대응되는 형상의 수납 케이스 개구(4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되는 냉각 공기가 상기 수납케이스(41)에 방해받지 않고, 상기 후면패널(542)로 토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측벽 덕트(71)와 상기 도어 바스켓(43)이 구비된 높이에 따라, 필요한 경우 원활한 송풍을 위해 상기 측벽 토출구(72)와 마주보는 도어 바스켓(43) 측벽은 오목하게 절개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결로제거부(70)에 관한 실시예 2를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르면, 상기 결로제거부(70)는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된 서브팬(73) 및 상기 서브팬(73)에 의한 공기 유동을 상기 후면패널(542) 또는 상기 친수층(547)로 안내하는 서브팬 가이더(7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팬(73)은 박스팬일 수 있으며, 상기 서브팬 가이더(74)는 상기 저장공간 후방에서 상기 후면패널(542)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서브팬(73)에 의해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가 전방으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서브팬 가이더(74)는 발생된 공기 흐름이 상기 후면패널(542) 또는 상기 친수층(547)로 집중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본 실시예 2는 상기 후면패널(542) 또는 상기 친수층(547)을 향해 송풍한다는 점에서 위의 실시예 1과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공유하고 있으나, 위의 실시예 1과 달리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를 그대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실시예 2는 이너 케이스(105)의 구조를 과도하게 변형시키지 않고, 간단한 박스팬과 가이더만으로 결로를 제거하는데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서브팬(73)은 상기 저장공간의 후방에 구비되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팬 가이더(74) 역시 상기 서브팬(73)이 치우친 방향과 동일하게 치우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팬(73)과 서브팬 가이더(74)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거나 입출되는 식품과 간섭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서브팬(73)은 상기 서브팬 가이더(74)와 상기 이너 케이스(105) 측벽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내측벽 전방측에는 상기 후면패널을 향해 돌출된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결로제거부(70)에 관한 실시예 3를 설명한다.
상기 결로제거부(7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상면에 구비된 천장 덕트(7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천장 덕트(75)는 타단이 상기 이너 케이스(105)와 아우터 케이스(103) 사이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이너 케이스(105)의 후벽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냉매 사이클(C)이 구비된 상기 기계실과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냉매 사이클(C)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메인팬(F)에 의해 상기 천장 덕트(75)로 안내되고, 안내된 냉각 공기는 상기 후면패널(542)을 향해 토출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 공기가 상기 후면패널(542) 또는 상기 친수층(547)의 상단에서 후면패널(542)의 표면을 타고 하강하여 하단까지 도달하게 되므로, 상기 후면패널(542)의 후면 전체에 냉각공기가 효율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천장 덕트(75)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베인(75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751)은 상기 천장 덕트(75)의 전방측 일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베인(751)의 전단은 상기 후면패널(542)의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751)은 냉각 공기를 상기 후면패널(542)의 상단부로 자연스럽게 안내하여 냉각 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그에 따라 냉각공기가 상기 후면패널의 하단까지 도달하는 효과가 보장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천장 덕트(75)에는 상기 천장 덕트(75)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여 상기 결로제거부(70)에 관한 실시예 4를 설명한다.
상기 결로제거부(70)는 상기 수납케이스(41)의 상부에 구비된 도어팬(76)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팬(76)은 상기 수납케이스(41) 내측에 위치한 제1도어 바스켓(431)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41)의 전면은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를 향해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어팬(76)에 의해 흡입된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는 상기 후면패널(542) 또는 상기 친수층(547)로 곧바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팬(76)은 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너 케이스(105) 상면과 상기 도어팬(76) 사이 공간을 확보하여 공기가 쉽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후면패널(542)로 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팬(76)은 그 자체로 상기 수납케이스(41)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나, 메인 도어(40)의 개폐에도 안정적으로 상기 수납케이스(41)에 장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결로제거부(70)는 상면에 상기 도어팬(76)이 장착되는 도어팬 장착부(7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케이스(41) 상측에는 상부에 상기 도어팬 장착부(77)가 장착되는 도어팬 장착리브(4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팬 장착부(77)는 중앙부가 개구되되 상기 수납케이스(41)의 상측 테두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팬 장착리브(412)는 상기 수납케이스(41) 내측면에서 소정길이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도어팬 장착부(77)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와 상기 수납케이스(41)는 사용자의 접근이 잦은 부분이므로, 안전을 위해 상기 도어팬(76)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팬(76) 상측에는 상기 도어팬(76)을 커버하는 도어팬 커버(79)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팬 커버(79)는 도어팬(76) 상부를 덮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흡입구가 형성된 커버그릴(793)과, 상기 커버그릴(793)을 고정하는 커버바디(79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바디(791)는 상기 도어팬 장착부(77)의 상면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팬(76)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팬(76)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는 있으나, 지나치게 많이 기울어질 경우 하측에 구비된 도어 바스켓(43)의 상측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 활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로제거부(70)는 상기 도어팬 장착부(77)하측에 고정되는 도어팬 쉬라우드(7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팬 쉬라우드(78)는 하면 중 일부분이 상기 도어팬(76) 하부와 마주하게 구비되며, 전방에는 상기 후면패널(542)을 향해 개구된 전방 토출구(78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팬(76)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전방 토출구(781)를 통해 상기 후면패널(542) 또는 상기 친수층(547)에 집중 분사되게 된다.
상기 도어팬 쉬라우드(78)는 공기의 토출 속도를 높여 결로가 보다 빠르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냉각 공기가 상기 후면패널(542)의 상단에서 후면패널(542)의 표면을 타고 하강하여 하단까지 안정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도어팬 쉬라우드(78)의 후방에는 상기 수납케이스(41) 내측면을 향해 개구된 후방 토출구(783)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수납케이스(41) 내측면에 생성된 결로도 동시에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과 다른 새로운 효과를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캐비닛 10 냉장실 도어 20
메인 도어 40 서브 도어 50
친수층 547

Claims (10)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장착되는 바스켓;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을 구비한 패널 어셈블리;
    상기 후면 패널에서 상기 개구부와 대면하는 면에 구비된 친수층;
    상기 바스켓과 상기 후면 패널의 친수층 사이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도어 라이팅 유닛;
    상기 메인 도어의 개구부를 지나 상기 후면패널에 공기를 송풍하는 결로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바스켓 및 상기 친수층에 도달하고,
    상기 결로제거부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된 천장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천장 덕트에는 상기 후면패널의 상측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층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층 표면에 결로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전면 패널 전방에서 상기 개구부 내측이 투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층은
    표면에 맺히는 결로와의 접촉각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층의 표면은 상기 후면 패널의 표면 보다 친수력이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층은
    상기 후면 패널의 표면에 친수 처리를 위한 물질이 도포되거나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층은
    상기 후면 패널에 부착된 친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 층은
    -5℃ 내지 10℃에서 친수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63705A 2018-06-01 2018-06-01 냉장고 KR102189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05A KR102189357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05A KR102189357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477A KR20190137477A (ko) 2019-12-11
KR102189357B1 true KR102189357B1 (ko) 2020-12-11

Family

ID=69003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705A KR102189357B1 (ko) 2018-06-01 2018-06-0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3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3872A (ja) * 2008-03-25 2009-10-15 Fujifilm Corp 親水性部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5377A (ja) * 1990-06-12 1992-02-14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用扉体
JP6498866B2 (ja) * 2013-03-12 2019-04-1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カメラ装置
KR20160045545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62564B1 (ko) * 2016-01-05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3872A (ja) * 2008-03-25 2009-10-15 Fujifilm Corp 親水性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477A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0537B1 (ko) 냉장고
US8671711B2 (en) Refrigerator and icemaker assembly with provisions for guiding cool air flow to an ice tray
CN108278825B (zh) 冰箱
WO2019129240A1 (zh) 冰箱
WO2019129242A1 (zh) 冰箱
KR102189357B1 (ko) 냉장고
KR100651307B1 (ko) 냉장고
KR100835353B1 (ko) 냉장고
CN110375488A (zh) 具有改进风道结构的冰箱
KR102052648B1 (ko) 냉장고
CN110375479A (zh) 具有导流板的冰箱
KR102328159B1 (ko) 냉장고
KR100614316B1 (ko) 냉장고
KR102167542B1 (ko) 냉장고
KR101519136B1 (ko) 냉장고
KR20060103571A (ko) 냉장고
US11859890B2 (en) Refrigerator
CN112413965B (zh) 风冷卧式冷柜
KR101085654B1 (ko) 냉장고
JP2642732B2 (ja) 低温ショーケース
KR102096932B1 (ko) 냉장고
KR100518415B1 (ko) 냉장고의 야채박스
KR100556310B1 (ko) 냉장고의 야채박스 설치구조
CN114183975A (zh) 冰箱
KR100903144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