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283B1 -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283B1
KR102521283B1 KR1020160096480A KR20160096480A KR102521283B1 KR 102521283 B1 KR102521283 B1 KR 102521283B1 KR 1020160096480 A KR1020160096480 A KR 1020160096480A KR 20160096480 A KR20160096480 A KR 20160096480A KR 102521283 B1 KR102521283 B1 KR 102521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panel
door
see
home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185A (ko
Inventor
김상오
민들레
윤준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2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185A/ko
Priority to KR1020230018132A priority patent/KR20230025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8Sensor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기능 및/또는 조명 기능을 갖는 LED 패널을 구비한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조명장치;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투시창을 갖고 복수 개의 LED가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LED 패널을 포함하는 투시 패널 어셈블리;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 투시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저장실을 투시 가능하도록 상기 조명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LED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가 구현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LE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home appliance and a lighting device having a LED pannel}
본 발명은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기능 및/또는 조명 기능을 갖는 LED 패널을 구비한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 패널은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LED 소자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패널을 의미하며, 컨트롤러에 의해서 각각의 LED 소자들의 발광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LED 소자들은 스캔라인과 데이터라인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LED 소자들의 on/off 그리고 밝기 등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LED 패널은 광고판이나 알림판 등에 많이 사용된다. 즉, 각각의 LED 소자를 제어하여 가독성이 있는 메세지를 전달하게 된다. 최근에는 LED 패널을 이용한 조명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LED 패널은 기본적으로 불투명한 PCB에 LED 소자들이 실장되어 있으므로, 투시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5-0088477 에서는 가전제품의 일례로 시스루 도어를 갖는 냉장고가 제시된 바 있다. 즉, 투명한 냉장고를 통해서 냉장고의 도어를 통해서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는 냉장고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의 시스루 영역은 평상시 블랙 디스플레이처럼 보이지만 저장실에서 조명이 켜지면 빛이 시스루 도어를 통과하게 되어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다.
상기 냉장고에서 도어의 시스루 영역은 저장실 내부의 많은 부분을 볼 수 있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시스루 영역은 선택적으로 투시가 가능하게 구비될 뿐 일반적으로 영상이나 문자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한편, 상기 시스루 영역을 가독성이 있는 메시지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결국은 시스루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특히, 일반적인 LED 패널을 시스루 영역에 적용하는 경우, LED 패널 자체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시스루가 불가능하게 된다.
물론, TV나 컴퓨터 모니터에서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터치 디스플레이로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하는 것은 제조 비용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발열에 의하여 냉장고의 단열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자체도 불투명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시스루 도어를 제공할 수 없다.
한편, 종래의 LED 패널을 갖는 조명장치는 기본적인 온/오프 제어만 가능할 뿐 다양한 형태의 패턴 조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시스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LED 패널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시스루 LED 패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제조가 용이한 LED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는 LED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LED 패널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이나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다양한 패턴, 문자, 도형 또는 에니메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이나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도시하는 패턴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는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이나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가시적으로 구현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노크 입력이 제대로 인식되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LED 패널을 통해서 이퀼라이저가 구현되거나 날씨 정보가 표시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조명장치;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투시창을 갖고 복수 개의 LED가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LED 패널을 포함하는 투시 패널 어셈블리;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 투시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저장실을 투시 가능하도록 상기 조명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LED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가 구현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LE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투시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서 투시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투시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LED 패널은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면패널과 LED 패널 사이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이 상하 사선 형태로 향하는 경우 투시 영역이 좁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전면 패널과 LED 패널 사이에는 투명 접착 시트가 개재되며, 상기 LED 패널 후면에는 투명 절연 잉크 도포막 또는 투명 커버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면 패널과 LED 패널 사이의 결합 구조에 의해 투시 특성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LED 패널의 회로 보호 구조에 의해 투시 특성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상기 투시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LED 패널 후방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 패널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 패널은 투명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 패널에는 복수 개의 행과 복수 개의 열을 갖는 매트릭스 형태로 상기 복수 개의 LED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LED는 상기 투시창의 모서리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의 크기를 크게할 수 있다.
상기 투시창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복수 개의 LED를 규칙적으로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LED 패널은, 상기 LED가 실장되며 상기 LED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스캔라인과 복수 개의 데이터라인이 형성된 LED PC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시창은, 상기 LED PCB에서 상기 LED가 실장된 부분과 상기 스캔라인 및 데이터라인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캔라인 및 데이터라인 부분은 직선 영역이므로 이 영역의 폭은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투시창의 크기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LED PCB에서 투시창이 차지하는 전체 면적을 더욱 키우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LED PCB는 플렉서블 PCB임이 바람직하다. 플렉서블 PCB인 경우 두께가 얇기 때문에 두께로 인한 투시 영역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투시창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PCB은 하드 PCB에 비해서 상기 전면패널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복수 개의 스캔라인과 데이터라인은 상기 PCB의 일측에서 정렬되어 스캔라인 정렬부와 데이터라인 정렬부를 형성하며, 상기 스캔라인 정렬부와 데이터라인 정렬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스캔라인 정렬부와 데이터라인 정렬부 인근의 투시창의 크기는, 상기 스캔라인 정렬부와 데이터라인 정렬부의 가변되는 폭에 따라,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투시창의 크기를 키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투시 패널 어셈블리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투시 패널 어셈블리를 노크하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노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크 센서에서 노크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조명장치 또는 LED의 구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크 센서를 통해 소정 간격을 두고 소정의 노크가 두 번 연속으로 입력됨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장치가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노크 센서에서 소정의 노크가 한번 입력됨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노크 입력이 수행됨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LED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되는 노크 입력의 패턴을 서로 다르게 하여, 조명장치와 LED가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외부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LED 발광 패턴에 따라 상기 LED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LED 발광 패턴을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외부 단말기를 통해 문자나 도형과 같은 패턴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패턴에 대응되도록 LED 발광 패턴을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LED 발광 패턴을 통해서 상기 복수 개의 LED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작동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복수 개의 LED 각각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작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LED 발광 패턴에 따라 상기 LED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재생되는 음원에 대응하는 이퀼라이저를 구현하도록 상기 LED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전면의 패널 어셈블리가 단순하게 선택적 투시를 위해 구비되는 것이 아니고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구현하도록 구비되어 매우 편리하게 된다.
한편, 투시창을 갖는 LED 패널을 포함함으로써 저비용으로 투시 및 디스플레이 특징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LED가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LED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외부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무선 통신 모듈;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LED 발광 패턴에 따라 상기 수신된 LED 발광 패턴을 구현하도록 상기 LE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LED 발광 패턴을 통해서 상기 복수 개의 LED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작동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복수 개의 LED 각각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개별적인 작동 정보는, 각각의 LED에 대한 온/오프 및 밝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별적인 작동 정보는, 각각의 LED에 대한 온/오프 및 밝기에 대한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시스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LED 패널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루 LED 패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제조가 용이한 LED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는 LED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LED 패널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이나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패턴, 문자, 도형 또는 에니메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이나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도시하는 패턴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는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이나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가시적으로 구현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노크 입력이 제대로 인식되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LED 패널을 통해서 이퀼라이저가 구현되거나 날씨 정보가 표시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간단한 구조, 간단한 제어 로직 그리고 저비용으로 투시 특징과 디스플레이 특징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일례인 냉장고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수평 단면을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LED 패널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패널 어셈블리 중 전면패널과 LED 패널의 연결 구조에 대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제어 구성을 중심으로 한 블럭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어 구성을 중심으로 한 블럭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일례인 냉장고에서 LED 패널을 이용한 컨텐츠의 일례들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후술하는 냉장고의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투시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에도 확장될 수 있다.
냉장고의 실시예에서, 냉장실이나 냉동실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가 시스루 도어일 수 있으며, 서브 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나 홈 바 도어가 시스루 도어일 수 있다. 이러한 홈 바 도어도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이므로 서브 도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냉장고는 캐비닛(10)의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이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실 또는 메인저장실(11)의 일부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타입의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으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라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로서 좌측 냉장실도어(20)와 우측 냉장실도어(25)가 상기 캐비닛(10)의 좌우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이와 달리 냉장실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20)는 불투명한 도어로서 그 하단부에 손잡이홈이 마련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선택적으로 투시 가능하게 되어 우측 냉장실도어(25)를 통해 냉장실 내부를 볼 수 있다. 즉, 상기 우측 냉장실 도어(25)를 시스루 도어(see-through door)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의 아래에 마련되는 냉동실 도어도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냉동실 도어(30)와 우측 냉동실 도어(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냉동실 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전후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랍식 도어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좌측 냉동실 도어(30)의 상면에는 손잡이홈(32)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우측 냉동실 도어(40)의 상면에도 손잡이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어 일부를 시스루 도어로 형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냉장실이나 냉동실 개폐와는 무관하게 그리고 메인 저장실이나 서브 저장실 개폐와는 무관하게 냉장고에 구비되는 도어라면 이러한 시스루 도어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상기 캐비닛(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도어(100)와 상기 메인도어(10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를 함께 열면 냉장실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브도어(200)에는 손잡이(21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서브도어(200)의 손잡이(210)를 잡아당겨 서브 도어(200)만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200)는 메인 도어가 개방될 때 함께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100)의 중앙부 내측에는 개구부(110)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도어(100)의 배면측에는 서브저장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00)를 열면 상기 메인도어(100)의 개구부(110)를 통해 상기 서브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도어(100)를 열지 않고도 서브도어(200)만 열어서 상기 서브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저장실은 복수의 바스켓이 상하로 장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바스켓(미도시)을 감싸는 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서브저장실과 메인저장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저장실은 상기 메인저장실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00)에는 투시 영역(201) 또는 시스루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투시 영역(201)은 빛이 투과되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투시 영역(201)을 통해서 빛이 투과되면, 상기 투시 영역(201)을 통해서 사용자는 냉장고의 내부를 볼 수 있다. 즉,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과 같은 메인 저장실일 수 있으며 서브 저장실일 수도 있다. 물론, 메인 저장실과 서브 저장실을 동시에 볼 수도 있다.
상기 투시 영역(201)을 통해 빛이 투과되도록 냉장고 내부에는 조명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는 저장실에 구비되거나 서브 저장실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가 켜지면 냉장고 내부에서 빛이 상기 투시 영역(201)을 통해서 외부로 발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냉장고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냉장고 내부가 조명장치의 작동으로 인해 밝아진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명장치의 작동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투시 영역(201)을 통해 냉장고 내부를 보고자 하는 경우에 조명장치가 작동을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냉장고의 도어(25)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센서 어셈블리(500)는 서브 도어(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 어셈블리(500)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노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투시 영역(201)을 노크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노크 입력을 함으로써 투시 영역(201)을 통해 냉장고 내부를 보고자 하는 의도를 냉장고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노크 센서에서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조명장치가 작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시 영역(201)을 통해서 냉장고의 내부를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투시 영역(201)를 갖는 도어(25) 구조 특히 서브도어(20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브도어(200)는 중앙부에 개구부(211)가 형성되는 도어 프레임(205)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프레임(205)은 서브도어(200)의 후방에서 상기 서브도어(200)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210)과 상기 내측 프레임(210)과 결합하여 서브 도어의 후면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도어라이너(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280)의 후면에는 가스켓(29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90)은 상기 서브도어(200)가 상기 메인도어(100)에 닫혔을 때 그 접촉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여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서브도어(200)는 투시 영역(201)을 형성하기 위하여 패널 어셈블리(2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브도어(2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패널 어셈블리(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시 영역(201)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동일할 수 있다. 즉, 투시 영역(201) 자체가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투시 영역(201)을 포함할 수도 있다.
투시 영역(201)은 프레임(205)에 의해서 서브도어(200)의 전면 전체보다는 작게 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영역은 실질적으로 서브도어(200)의 전면 전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도어(200)의 전면에 노출되는 전면패널(2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271)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면패널(271)은 컬러 코팅막을 갖거나 자체가 컬러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미세한 빛 상태에서는 불투명하지만 상대적으로 강한 빛이 발생되면 투명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는, 전면패널(271) 후방에 조명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면 전면패널 자체는 불투명함을 의미하고, 반대로 조명장치가 작동되면 시스루 도어로 전환되어 투명한 패널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그래서, 저장실 내부가 어두울 때에는 저장실 내부가 보이지 않고, 저장실 내부가 밝을 때에는 상기 전면패널(271)을 통해 저장실 내부가 투시되어 보이게 된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는 상기 전면패널(271)의 후방에 구비되는 단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널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는 두 개의 단열패널이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단열패널(273, 274) 및 상기 전면패널(271)과 단열패널(273) 사이에는 간봉(275)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단열패널(273)와 단열패널(274) 사이에도 간봉(27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봉을 통해서 패널들이 서로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간봉에 의한 형성되는 공간은 단열 밀폐 공간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 밀폐 공간에는 진공이 형성되거나 밀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밀폐 공간에 충진되는 공기는 불활성 기체일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270)는 상기 서브도어(20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개구부(211)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패널(271)은 상기 서브도어(200)의 상기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270)를 제외된 서브도어의 도어 프레임(205) 내부 공간에는 단열재가 충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프레임(210)과 상기 도어라이너(280)의 사이의 공간, 즉 서브도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공간(285)에는 단열재가 주입되어 상기 가스켓(290)과 상기 패널어셈블리(270) 사이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200)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단열재,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에 의해 단열이 수행되고, 서브도어(200)의 중앙 부분은 상기 단열패널(273, 274)에 의해서 단열이 수행되게 된다.
상기 단열재 주입 공간(285)에는 상기 서브도어(200)를 모두 조립한 후에 발포제가 주입되어 발포됨으로써 상기 내측프레임(210)과 상기 도어라이너(28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400)에서 패널어셈블리(2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도어(400)의 전면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프레임(210)의 전방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2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270)의 전면패널(271)은 그 가장자리가 상기 내측 프레임(210)에 의해 덮이지 않고, 상기 내측 프레임(210)의 전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서브도어의 전면은 모두 상기 전면 패널(271)에 의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서브도어(200)의 전면 테두리 부분과 중앙 부분은 상기 전면 패널(271)에 의해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전면패널(271)은 상기 복수의 단열패널(273, 274)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단열패널을 모두 덮고도 외각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단열패널(273, 274)은 서브도어의 개구부(211)의 내측면에 삽입되고, 상기 제2단열패널(474)의 배면은 상기 도어라이너(280)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서로 결합되는 상기 내측 프레임(210)과 도어라이너(280)의 좌측에는 핸들(2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210)과 핸들(240)의 결합을 위해, 상기 내측 프레임(210)의 좌측면에는 상기 핸들(240)의 좌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결합리브(242)와 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리브(2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걸림리브(212)는 상기 내측 프레임(210)의 좌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었다가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한 쌍의 결합리브(242)는 상기 핸들(240)의 우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었다가 각각 후방 및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210)과 도어라이너(280)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서브도어(200)의 테두리 부분에는 소정 공간(285)이 형성된다. 이러한 소정 공간(285)은 캡데코가 상기 내측 프레임(210)과 도어라이너(280)에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서브도어(200) 상하좌우 테두리 부분에는 이러한 소정 공간(285)이 형성된다. 상기 소정 공간에는 발포에 의해 단열재가 충진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도어(200)의 테두리 부분에는 단열재에 의한 단열 기능이 수행되며, 서브도어(200)의 중앙 부분에는 패널 어셈블리(270)에 의해 단열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널의 반경 방향 외측의 전면패널(271)은 상기 내측 프레임(210)과 밀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면패널(271)은 상기 내측 프레임(210)뿐만 아니라 캡데코와도 밀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내측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는 별도의 캡데코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캡데코를 내측 프레임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이라고도 할 수 있다.
먼저, 내측 프레임에 핸들(240)이 결합된 후 필요한 경우 캡데코가 내측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이후, 내측 프레임(210) 전방으로부터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프레임(210)과 패널 어셈블리 사이에는 투명 테이프나 투명 접착제 등을 통해서 가조립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내측 프레임(210)과 전면 패널(271)의 테두리 부분(즉, 단열패널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 후면에 투명 테이프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210)에 패널 어셈블리가 가조립된 후, 내측 프레임(210) 후방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210)과 상기 도어라이너(280)가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소정 공간(285)에 발포제를 충진함에 따라,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도어 프레임(205)에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패널 어셈블리(270)은 투시 영역을 형성하는 한편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시스루 영역을 갖는 관점에서 패널 어셈블리(270)는 투시 패널 어셈블리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관점에서 패널 어셈블리(270)는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셈블리(270)는 시스루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을 동시에 갖기 위해서 LED 패널(272)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어는 서브 도어가 아닌 메인 도어일 수도 있다. 즉, 저장실을 직접 개폐하는 도어에 패널 어셈블리(27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전제품은 설명된 냉장고뿐만 아니라 세탁기, 건조기, 오븐, 전자레인지 그리고 식기세척기 등 캐비닛 내부에 대상물이 수용되거나 저장되는 가전제품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LED 패널(27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LED 패널(272)은 복수 개의 LED(610)와 상기 LED(610)가 실장되는 LED PCB(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LED(610)들의 온/오프 그리고 밝기를 제어함으로써 LED 패널(272)을 통해서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LED(610) 각각은 RGB의 조합 등에 의해서 컬러를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순한 점등과 조도뿐만 아니라 컬러까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PCB(600)에는 투시창(64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시창(640)은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640)의 모서리 부분에는 LED(6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LED(610)들 사이에 투시창(6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640)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그리고 마름모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투시창(640)의 4 개의 모서리 부분에는 LED(6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투시창(640)의 형상에 의해서 상기 LED(610)는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에는 12*12 메트릭스 형태의 LED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메트릭스의 행과 열의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각각의 LED 간격이 커질수록 가독성이 감소될 수 있다. 반면에 각각의 LED 간격이 줄어들수록 가독성이 증가될 수 있다. 왜냐하면 보다 촘촘한 패턴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LED 간격은 투시창(640)의 크기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따라서, LED 간격이 좁아질수록 투시창의 크기가 감소되어 시스루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독성과 시스루 면적 사이에서 상기 LED 간격이 적절히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냉장고의 사이즈를 고려하면, 상기 LED 간격은 0.5cm 내지 2cm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각각의 LED(610)는 스캔라인(620) 및 데이터라인(63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12*12 매트릭스 형태의 LED 패널에서는 12 개의 스캔라인(620)과 12 개의 데이터라인(6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캔라인(620)과 데이터라인(630)은 LED 부근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캔라인(620)과 데이터라인(630)은 PCB(600)에 인쇄된 회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스캔라인(620)과 데이터라인(630)은 격자 형태로 PCB(600)에 인쇄되며, 양자의 교차 부근에 LED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LED는 하나의 스캔라인 및 하나의 데이터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LED(610), 스캔라인(620)) 그리고 데이터라인(630) 사이의 위치 관계에 의해서 투시창(640)이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PCB 영역 중 상기 LED(610), 스캔라인(620) 그리고 데이터라인(630)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영역을 투시창(640)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PCB에서 절개하여 투시창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LED, 스캔라인, 데이터라인 그리고 투시창에 의해서 상기 LED 패널은 격자 형상의 창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PCB(600)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PCB(600)의 전면에 LED(610)가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CB의 전면에 스캔라인 또는 데이터라인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스캔라인(620)과 데이터라인(630)은 서로 접속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스캔라인(620)이 PCB 전면에 인쇄된 경우에는 데이터라인(630)은 PCB 후면에 인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도 3에서 스캔라인(620)은 실선 그리고 데이터라인(630)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PCB는 평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캔라인들 또는 데이터라인들은 서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기 어렵다. 따라서, 동일 평면에서 스캔라인들 또는 데이터라인들은 정렬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LED 패널(272)의 왼쪽 부분에 스캔라인들이 정렬된 스캔라인 정렬부(625)가 도시되어 있으며, LED 패널(272)의 아래 부분에 데이터라인들이 정렬된 데이터라인 정렬부(635)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캔라인 정렬부(625)는 스캔라인 커넥터(626)에 연결되며 데이터라인 정렬부(635)는 데이터라인 커넥터(636)에 연결된다. 상기 스캔라인 커넥터(626)와 데이터라인 커넥터(636)은 후술하는 LED 제어부(6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캔라인과 데이터라인을 통해서 LED 마다 개별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캔라인 정렬부(625)와 데이터라인 정렬부(635)는 길이 방향으로 폭이 증가하게 된다. 즉, 상기 커넥터(626, 636)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증가하게 된다. 왜냐하면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정렬되는 스캔라인 또는 데이터라인의 수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스캔라인 정렬부(625)와 데이터라인 정렬부(635) 인근의 투시창(640)의 크기는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즉, 스캔라인 정렬부(625)의 폭이 좁은 곳에서의 투시창(640)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스캔라인 정렬부(625)의 폭이 넓은 곳에서의 투시창(640)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데이터라인 정렬부(635)와 데이터라인 정렬부(635) 인근의 투시창(640)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투시창(640)의 크기 변화를 통하여 PCB 전체 면적에서 투시창에 의한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투시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캔라인 정렬부(625)와 데이터라인 정렬부(635) 사이에 위치하는 투시창은 다른 투시창에 비해서 상하 폭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투시 면적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LED 패널(627)은 얇은 수록 좋다. 특히, 상기 투시창을 형성하는 부분의 두께는 얇을수록 좋다. 왜냐하면 투시창을 형성하는 부분의 두께가 커질수록 투시 영역이 작아질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시선이 사선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투시창의 두께로 인해서 투시 영역이 작아질 수 있다. 결국, 상기 PCB의 두께가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PCB는 플렉서블 PCB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서블 PCB는 시트(sheet)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얇다. 따라서, PCB의 두께로 인한 투시 영역이 좁아지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패널(272)은 전면패널(271)의 후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면패널(271)에 의해서 LED 패널(272) 전면이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투명한 전면패널(271)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LED 패널 두께로 인하여 투시 영역이 좁아지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LED 패널(272)은 전술한 단열 패널(273)의 전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전면 패널(271)과 단열 패널(273) 사이의 거리로 인해서 투시 영역이 좁아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LED 패널(272)은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71)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전면패널(271)과 LED 패널(272) 사이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4에서 도시된 구성들의 크기와 두께는 설명의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다.
전면패널(271)은 도어의 전면의 형성하기 때문에 강화 유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략 전면패널의 두께는 3mm 내외일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271)의 후면에는 LED 패널(272)이 구비되는데, 양자 사이에는 투명 접착 시트(272a)가 개재될 수 있다. 즉, 상기 LED 패널(272)을 전면패널(271)의 후면에 밀착시키기 위해서 투명 접착 시트(27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접착 시트(272a)를 통해서 빛의 투과가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LED 패널(272)이 상기 전면패널(271)에 밀착된 후, 상기 LED 패널(272)의 후면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LED 패널(272) 후면에는 회로 보호를 위해서 투명 절연 잉크 도포막 또는 투명 커버층(272b)이 형성된다. 이러한 도포막 또는 커버층(272b)에 의해서 LED 패널(272) 후면이 실링될 수 있다. 아울러, 투명 재질이므로 빛의 투과가 간섭되지 않게 된다.
사용자는 전면패널(271)의 전방에서 전술한 PCB의 창살 부분을 제외한 투시창(640)들을 통해서 전면패널(271) 후방을 볼 수 있다. 즉,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LED 패널(272)을 통해서 투시 영역을 확보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가전제품의 제어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가전제품 일례인 냉장고(1)는 제어 구성으로 센서 모듈(500), 조명장치(720), LED PCB(600) 그리고 통신 모듈(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500)을 노크 센서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 구성들은 하나의 메인 제어부(710)을 통해서 제어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어부를 통해서 제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들 사이에는 제어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다. 즉, 제어를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주체가 하나인지 복수 개인지 차이라 할 수 있다.
노크 센서 모듈(500)은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노크 센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크 센서(510)는 음파를 수신하는 마이크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전면패널(271)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음파로 수신하는 센서라 할 수 있다.
상기 노크 센서(510)를 통하여 노크 입력을 수신하면, 노크 센서 제어부(520)에서 정상적인 노크 입력임을 판단하게 된다. 일례로, 소정 크기 이상의 노크 입력이 소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 2회 입력되면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소정 크기 이상의 노크 입력이 소정 시간 간격 범위 내에서 연속 2회 입력되면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노크 센서 제어부(520)를 통해서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710)는 조명장치(7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일례로, 조명장치(720)가 켜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조명장치(720)가 켜지면 저장실 내부가 밝아진다. 즉, 패널 어셈블리(270) 후방이 밝아지기 때문에 패널 어셈블리(270) 전방에서 패널 어셈블리(270) 후방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조명장치(720)가 켜지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270)는 투시 패널 어셈블리로 전환된다고 할 수 있다.
LED 패널(272)는 LED PCB(600)와 상기 LED PCB(600)에 실장되는 복수 개의 LED(610)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LED(6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LED 제어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제어부(650)는 메인 제어부(7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제어부(71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LED(6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모듈(730)은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일례로 와이파이 통신 모듈이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즉, 가전제품 특히 냉장고(1)가 외부와 무선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 모듈(7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730)은 상기 메인 제어부(7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730)을 통해서 특정 정보가 상기 메인 제어부(710)로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폰(800)과 같은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정보가 상기 메인 제어부(710)로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메인 제어부(710)에서 특정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73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특정 정보가 스마트폰(800)과 같은 외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스마트폰(800)을 통해서 원격으로 상기 LED(61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마트폰(800)에서 LED(610) 구동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상기 냉장고(1)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마트폰(800)이 직접 냉장고(1)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서버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냉장고(1)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LED(610) 구동 정보는 각각의 LED()의 온/오프 정보 그리고 밝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610) 구동 정보는 각각의 LED(610)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온/오프 시점 그리고 특정 밝기로 발광하는 시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LED(610)의 컬러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특정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문자나 도형 패턴일 수 있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영역은 LED 패널 영역 즉 가전제품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그러므로 터치 디스플레이에 입력된 특정 패턴에 대한 정보가 스마트폰에서 가전제품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710)는 수신된 특정 패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각각의 LED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일례로,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터치 디스플레이 영역에 하트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710)는 하트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LED 제어부(7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LED 제어부(710)는 전송된 하트 패턴에 대한 정보를 통해서 LED 패널(272)이 하트 패턴을 구현하도록 각각의 LED 들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트 패턴에 대응되는 LED 들만 밝게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그 외의 LED들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독성 및 유희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광되었던 LED들은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오프되었던 LED들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시간 정보까지 감안하여 LED 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패턴의 구현뿐만 아니라 에니메이션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에는 투시 및 디스플레이가 동시에 구현되는 냉장고에서 구현될 수 있는 컨텐츠의 일례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LED 패널(272)이 가시적으로 반응하도록 구현된 컨텐츠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도어(200)의 투시 영역(201)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노크하는 경우, 파동이 방사 방향으로 전파되는 패턴을 구현하도록 LED 패널(272)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LED 패널(272) 구동으로 인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노크 입력이 정상적으로 감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노크 입력은 기본적으로 가변적 투시를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투시를 위한 노크 입력과 일반적인 노크 입력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속되는 두 번의 노크 입력을 가변적 투시를 위한 노크 입력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벗어난 노크 입력은 LED 패널(272)의 구동을 위한 입력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한 번만 노크하는 경우 LED 패널(272)은 노크에 대응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후, 상기 LED 패널(272)의 LED들은 모두 오프될 수 있다. 다시 사용자가 한 번만 노크하는 경우 LED 패널(272)은 다시 작동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연속되는 두 번의 노크 사이의 간격은 정상적인 노크 입력에서의 시간 간격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에서는 LED 패널(272)이 이퀼라이저를 구현하는 컨텐츠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자체적으로 음원을 재생하는 재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되는 음원에 대응되는 이퀼라이저 정보를 통해서 LED 패널(272)이 이퀼라이저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전제품은 통신 모듈(730)을 통해서 외부 음원 재생장치로부터 이퀼라이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이퀼라이저 정보를 통해서 LED 패널(272)이 이퀼라이저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최근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은 점차 거실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냉장고에서 이퀼라이저를 구현하는 경우 청각적인 만족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만족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c)에서는 LED 패널(272)이 날씨 정보를 구현하는 컨텐츠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전제품(1)은 통신 모듈(730)을 통해서 외부에서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날씨 정보에 대응되어 복수 개의 패턴이 기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맑은 날씨에는 태양을 형상화한 패턴, 흐린 날씨에는 구름을 형상화한 패턴, 비오는 날씨에는 비를 형상화한 패턴 그리고 바람이 거센 날씨에는 바람을 형상화한 패턴 등이 기설정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710)는 수신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 정보를 LED 제어부(650)로 전달할 수 있고, LED 제어부는 수신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LED(6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은 평상시에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아침에 기상한 후 상기 LED 패턴을 통해서 날씨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날씨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수고를 하지 않고도 매우 쉽게 날씨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가전제품의 LED 패널은 조명장치로 확장될 수 있다. 일례로 LED 패널이 구비되는 도어(200) 자체가 조명장치일 수 있다. 도어(200)의 프레임은 조명장치의 케이스에 대응되고, 패널 어셈블리(270)는 케이스에 구비되어 조명이 외부로 전달되는 매개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장치도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900)는 통신 모듈(910), 조명장치 제어부(920) 그리고 LED(9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93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 개가 LED PCB에 실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LED(930)의 형태, 개수, 배치 형태 그리고 제어 로직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조명장치에도 전면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장치의 전면패널은 반투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LED PCB는 전면 패널의 후방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LED PCB에는 투시창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조명장치의 특성상 투시 영역이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투시창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900)는 통신 모듈(910)을 통해서 스마트폰(800)과 같은 외부 단말기와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800)을 통해서 조명장치(9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 개의 LED(610)가 메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LED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장치의 온/오프뿐만 아니라 패턴 조명, 밝기 조절 조명, 에니메이션 조명 그리고 메시지 조명 다양한 형태로 조명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1 : 가전제품(냉장고) 10 : 캐비닛
100 : 메인 도어 200 : 서브도어
270 : 패널 어셈블리 271 : 전면패널
272 : LED 패널 600 : LED PCB
610 : LED 620 : 스캔라인
630 : 데이터라인 640 : 투시창

Claims (20)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조명장치;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투시창을 갖고 복수 개의 LED가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LED 패널을 포함하는 투시 패널 어셈블리;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 투시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저장실을 투시 가능하도록 상기 조명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LED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가 구현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LE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시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LED 패널이 구비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전면 패널 및 상기 LED가 실장되고 상기 LED들 사이에 상기 투시창이 형성되는 LED PCB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을 투시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조명장치의 작동과 상기 LED 패널을 통한 디스플레이의 구현은 서로 구분되는 노크 입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과 LED 패널 사이에는 투명 접착 시트가 개재되며,
    상기 LED 패널 후면에는 투명 절연 잉크 도포막 또는 투명 커버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LED 패널 후방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 패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패널에는 복수 개의 행과 복수 개의 열을 갖는 매트릭스 형태로 상기 복수 개의 LED가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상기 투시창의 모서리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LED PCB에는 상기 LED가 실장되며 상기 LED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스캔라인과 복수 개의 데이터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상기 LED PCB에서 상기 LED가 실장된 부분과 상기 스캔라인 및 데이터라인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LED PCB는 플렉서블 PCB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캔라인과 데이터라인은 상기 PCB의 일측에서 정렬되어 스캔라인 정렬부와 데이터라인 정렬부를 형성하며,
    상기 스캔라인 정렬부와 데이터라인 정렬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가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라인 정렬부와 데이터라인 정렬부 인근의 투시창의 크기는, 상기 스캔라인 정렬부와 데이터라인 정렬부의 가변되는 폭에 따라, 가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패널 어셈블리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투시 패널 어셈블리를 노크하는 상기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노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크 센서에서 상기 서로 구분되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조명장치 또는 LED의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 센서를 통해 소정 간격을 두고 소정의 노크가 두 번 연속으로 입력됨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장치가 켜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노크 센서에서 소정의 노크가 한번 입력됨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노크 입력이 수행됨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LED의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5.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LED 발광 패턴에 따라 상기 LED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LED 발광 패턴을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LED 발광 패턴을 통해서 상기 복수 개의 LED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작동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복수 개의 LED 각각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작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7.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LED 발광 패턴에 따라 상기 LED의 작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8. 제 1 항, 제3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생되는 음원에 대응하는 이퀼라이저를 구현하도록 상기 LED의 작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9. 삭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적인 작동 정보는, 각각의 LED에 대한 온/오프 및 밝기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LED에 대한 온/오프 및 밝기에 대한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KR1020160096480A 2016-07-28 2016-07-28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 KR102521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480A KR102521283B1 (ko) 2016-07-28 2016-07-28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
KR1020230018132A KR20230025830A (ko) 2016-07-28 2023-02-10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480A KR102521283B1 (ko) 2016-07-28 2016-07-28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132A Division KR20230025830A (ko) 2016-07-28 2023-02-10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185A KR20180013185A (ko) 2018-02-07
KR102521283B1 true KR102521283B1 (ko) 2023-04-19

Family

ID=612044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480A KR102521283B1 (ko) 2016-07-28 2016-07-28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
KR1020230018132A KR20230025830A (ko) 2016-07-28 2023-02-10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132A KR20230025830A (ko) 2016-07-28 2023-02-10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1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593B1 (ko) * 2018-12-03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EP4080120A4 (en) * 2019-12-19 2024-01-31 Lg Electronics Inc HOUSEHOLD APPLIANCE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EP4080119A4 (en) * 2019-12-19 2024-01-31 Lg Electronics Inc HOUSEHOLD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31881B1 (ko) * 2019-12-19 202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40325B1 (ko) 2021-12-21 2024-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KR102581260B1 (ko) * 2023-05-18 2023-09-22 주식회사 디뮤지엄 Lcd패널을 이용한 광 분포 제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18B1 (ko) 2009-09-30 2014-08-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137B1 (ko) * 2004-08-11 2006-07-28 주식회사 한국싸인 엘이디 모듈의 결합 구조
KR101437014B1 (ko) * 2007-07-20 2014-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633103B1 (ko) * 2009-08-07 2016-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843337B1 (ko) * 2010-10-28 201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9733401B2 (en) * 2013-03-14 2017-08-15 Leyard Optoelectronic Co., Ltd. LED display system
KR20160045545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18B1 (ko) 2009-09-30 2014-08-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830A (ko) 2023-02-23
KR20180013185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1283B1 (ko)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
KR102650071B1 (ko) 냉장고
US20240035734A1 (en) Refrigerator
US11209209B2 (en) Refrigerator
KR102525036B1 (ko) 냉장고
KR102499468B1 (ko) 냉장고
KR102273092B1 (ko) 냉장고
US11614268B2 (en) Refrigerator
JP6230299B2 (ja) 冷蔵庫
KR20170006542A (ko) 냉장고
US11047614B2 (en) Display device for refrigerator door
US20230229193A1 (en) Display case door with touch screen
KR20010037549A (ko) 내부 투시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JP2016142424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