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410B1 - 적층체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체 - Google Patents

적층체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410B1
KR102553410B1 KR1020177010546A KR20177010546A KR102553410B1 KR 102553410 B1 KR102553410 B1 KR 102553410B1 KR 1020177010546 A KR1020177010546 A KR 1020177010546A KR 20177010546 A KR20177010546 A KR 20177010546A KR 102553410 B1 KR102553410 B1 KR 102553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minate
polyolefin
film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876A (ko
Inventor
다이스케 가와토
신고 고우다
시게키 이와모토
Original Assignee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포장 재료의 최내면층에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내유성이 우수한 적층체를 제공한다. 적어도 (A) 층, (B) 층, (C) 층의 순서로 적층된 3 층으로 구성되고, (A) 층이 하기 요건 (a) 내지 (c) 를 만족시키는 폴리올레핀, (B) 층이 하기 요건 (d) 내지 (f) 를 만족시키는 접착제, (C) 층이 적어도 1 층 이상의 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를 제공한다. (a) 밀도가 900 ∼ 970 ㎏/㎥ (b) MFR 이 2 ∼ 30 g/10 분 (c) 막 두께가 5 ∼ 25 ㎛ (d) 막 두께가 0.01 ∼ 3.0 ㎛ (e) 유리 전이점이 -30 ∼ +10 ℃ (f) 20 ℃ 의 저장 탄성률 E' 가 1.0 × 106 ∼ 2.5 × 107 Pa

Description

적층체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체{LAMINATE AND PACKAGING BODY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압출 라미네이트 적성 (適性) 이 있고, 저비용으로 생산 가능한 적층체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식품이나 음료, 의약품 등의 포장 재료는, 일반적으로, 필름 강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과 같은 배리어성 필름의 일방의 면에, 앵커코트제를 개재하여 실란트층이 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등을 적층한 다층 필름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포장 재료는, 주로, 압출 라미네이트법, 용제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무용제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등에 의해 제조된다. 그 중에서도 압출 라미네이트법은 우수한 생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다양한 포장 재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용되고,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성이 우수한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이하, LDPE 라고 기재한다) 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넥 과자나 인스턴트 라면 등의 유성 식품 포장 분야에 있어서, LDPE 는 내유성이 낮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용되고 있지 않았다. 그 때문에, 현재, 유성 식품 포장 분야에 있어서는 내유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또, 최근, 식품 포장 분야에 있어서는, 개봉 용이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지만, LDPE 단체를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한 적층체에서는 우수한 개봉 용이성을 발현시킬 수는 없었다. 그 때문에, 유성 식품 포장 분야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은,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에 제공했을 때, 배리어성 필름과의 접착성이 나쁘기 때문에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에는 이용되지 않고, 배리어성 필름과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LDPE 를 사용한 샌드위치 라미네이트 가공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 때문에, 포장 재료를 박막화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압출 라미네이트 적성이 있고, 저비용으로 생산 가능한 적층체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1] ∼ [16] 에 있다.
[1] 적어도 (A) 층, (B) 층, (C) 층의 순서로 3 층으로 구성되고, (A) 층이 하기 요건 (a) 내지 (c) 를 만족시키는 폴리올레핀, (B) 층이 하기 요건 (d) 내지 (f) 를 만족시키는 접착제, (C) 층이 적어도 1 층 이상의 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a) JIS K6922-1 에 기초하여 측정된 밀도가 900 ∼ 970 ㎏/㎥
(b) JIS K6922-1 에 기초하여 측정된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이하, MFR 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가 2 ∼ 30 g/10 분
(c) 막 두께가 5 ∼ 25 ㎛
(d) 막 두께가 0.01 ∼ 3.0 ㎛
(e) JIS K7121 에 기초하여 측정된 유리 전이점이 -30 ∼ +10 ℃
(f) 20 ℃ 의 저장 탄성률 E' 가 1.0 × 106 ∼ 2.5 × 107 Pa
[2] 상기 (A) 층이, (C) 층 상에 (B) 층을 개재하여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적층체.
[3] 상기 (B) 층이, 주제인 폴리올 성분과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2 액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적층체.
[4]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에 기재된 적층체.
[5] 상기 폴리올 성분의 수산기 수 (OH) 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 수의 비 (NCO/OH) 가 0.5 ∼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또는 [4] 에 기재된 적층체.
[6] 상기 (A) 층의 폴리올레핀의 JIS K6922-1 에 기초하여 측정된 MFR 이 10 ∼ 30 g/10 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7] 상기 (A) 층의 폴리올레핀의 JIS K6922-1 에 기초하여 측정된 밀도가 927 ∼ 942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8] 상기 (A) 층의 폴리올레핀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1) 및/또는 밀도가 940 ㎏/㎥ 미만인 에틸렌과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2) 10 ∼ 90 중량%, 및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3) 10 ∼ 90 중량% ((1), (2) 및 (3) 의 합계는 100 중량%) 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9] 상기 (A) 층의 폴리올레핀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1) 10 ∼ 70 중량%, 밀도가 940 ㎏/㎥ 미만인 에틸렌과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2) 5 ∼ 80 중량%, 및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3) 10 ∼ 85 중량% ((1), (2) 및 (3) 의 합계는 100 중량%) 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10] 상기 (C) 층의 기재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의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11] 상기 (C) 층의 기재가, 알루미늄, 알루미나, 실리카의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증착 박막을 갖는 적어도 1 종 이상의 증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12] 상기 (C) 층의 기재가 알루미늄 증착층을 갖는 2 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폴리아미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13] 상기 (A) 층의 폴리올레핀의 프레스 성형품 (150 ㎜ × 150 ㎜ × 1 ㎜) 을 60 ℃ 의 식용유에 24 시간 침지시켰을 때의 중량 변화율이, 1.2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14] [1] ∼ [13] 에 기재된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포장체.
[15] 상기 (A) 층끼리를 히트 실러로 125 ℃ ∼ 140 ℃ 에서 히트 시일함으로써 얻어진 필로팩의 개봉 강도가 5 ∼ 25 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 에 기재된 포장체.
[16] 유지 성분 함유 내용물의 포장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 또는 [15] 에 기재된 포장체.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A) 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등 탄소수 2 ∼ 12 의 α-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비닐에스테르나 아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산과의 공중합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폴리1-부텐, 폴리1-헥센, 폴리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고, 폴리올레핀은, 1 종 단독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B) 층과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에틸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고, 이것들의 조성물이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그 조성물의 바람직한 배합비는, 개봉 용이성이나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성의 관점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1) 및/또는 밀도가 940 ㎏/㎥ 미만인 에틸렌과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2) 가 10 ∼ 90 중량%,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3) 10 ∼ 90 중량% ((1), (2) 및 (3) 의 합계는 100 중량%) 를 함유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1) 및/또는 밀도가 940 ㎏/㎥ 미만인 에틸렌과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2) 가 20 ∼ 80 중량%,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3) 20 ∼ 80 중량% (3) ((1), (2) 및 (3) 의 합계는 10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1) 및/또는 밀도가 940 ㎏/㎥ 미만인 에틸렌과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2) 가 20 ∼ 50 중량%,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50 ∼ 80 중량% (3) ((1), (2) 및 (3) 의 합계는 100 중량%) 를 함유하는 것이다.
또한 그 조성물의 바람직한 배합비는, 개봉 용이성이나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성의 관점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1) 10 ∼ 70 중량%, 밀도가 940 ㎏/㎥ 미만인 에틸렌과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2) 5 ∼ 80 중량%, 및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3) 10 ∼ 85 중량% ((1), (2) 및 (3) 의 합계는 100 중량%) 를 함유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1) 15 ∼ 50 중량%, 밀도가 940 ㎏/㎥ 미만인 에틸렌과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2) 5 ∼ 65 중량%, 및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3) 20 ∼ 80 중량% ((1), (2) 및 (3) 의 합계는 10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1) 15 ∼ 40 중량%, 밀도가 940 ㎏/㎥ 미만인 에틸렌과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2) 5 ∼ 35 중량%, 및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3) (50 ∼ 80 중량% ((1), (2) 및 (3) 의 합계는 100 중량%) 을 함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밀도가 940 ㎏/㎥ 미만인 에틸렌과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치글러·나타 촉매나 필립스 촉매,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한 고·중·저압 이온 중합법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수지는, 시판품 중에서 편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소 주식회사로부터 닛포론하드, 닛포론-L, 닛포론-Z 의 상품명으로 각각 시판되고 있다. 또,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제조 방법은, 고압 라디칼 중합을 예시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수지는, 시판품 중에서 편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토소 주식회사로부터 페트로센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의 (A) 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은, JIS K6922-1 (1997 년) 에 의해 측정한 밀도가 900 ∼ 970 ㎏/㎥, 바람직하게는 910 ∼ 9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917 ∼ 942 ㎏/㎥, 가장 바람직하게는 927 ∼ 942 ㎏/㎥ 의 범위에 있다. 밀도가 900 ㎏/㎥ 미만인 경우, 개봉 용이성이 열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밀도가 970 ㎏/㎥ 를 초과하는 경우, (C) 층과의 접착성이 열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이와 같은 폴리올레핀은, JIS K6922-1 (1997 년) 에 의해 측정한 MFR 이 2 ∼ 30 g/10 분, 바람직하게는 5 ∼ 30 g/10 분,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10 ∼ 30 g/10 분이다. MFR 이 2 g/10 분 미만인 경우에는 개봉 용이성이 열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30 g/10 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성이 열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본 발명의 (A) 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은,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활제, 중화제, 블로킹 방지제, 계면 활성제, 슬립제 등, 통상적으로 폴리올레핀에 사용되는 첨가제나 그 밖의 폴리올레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A) 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의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지의 혼합 장치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축 압출기, 2 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 가압 니더, 회전 롤 등의 용융 혼련 장치, 헨셸 믹서, V 블랜더, 리본 블랜더, 텀블러 등을 들 수 있다. 용융 혼련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용융 온도는 폴리올레핀의 융점 ∼ 350 ℃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A) 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을 150 ㎜ × 150 ㎜ × 1 ㎜ 의 사이즈로 프레스 성형한 성형품 (약 20 g) 을 60 ℃ 의 식용유 (샐러드유) 에 24 시간 침지 후의 중량 변화율이 1.2 % 이하이면, 피포장물에 함유되는 식용유에 의한 디라미네이션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B) 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JIS K7121 로 측정한 유리 전이 온도가 -30 ∼ +10 ℃, 바람직하게는 -25 ∼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5 ℃,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 0 ℃ 이다. 유리 전이 온도가 -30 ℃ 미만이면 파대 (破袋) 강도가 낮아져서 바람직하지 않고, +1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개봉 외관이 열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본 발명의 (B) 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20 ℃, 주파수 10 Hz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E' 가 1.0 × 106 ∼ 2.5 × 107 Pa, 바람직하게는 4.0 × 106 ∼ 2.0 × 107,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106 ∼ 2.0 × 107,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 106 ∼ 1.5 × 107 의 범위에 있다. 저장 탄성률이 1.0 × 106 Pa 미만이면, 파대 강도가 낮아져서 바람직하지 않고, 2.5 × 107 Pa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개봉 외관이 열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접착제를 구성하는 화합물은, 유리 전이 온도 및 저장 탄성률이 상기의 범위에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폴리우레탄 접착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접착제, 폴리우레아 접착제, 에폭시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 폴리아미드 접착제, 폴리부타디엔계 접착제 등을 예시할 수 있는데, 접착성이나 탄성률의 제어가 용이한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우레탄 접착제로는, 주제인 폴리올 성분과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2 액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분자 내에 적어도 2 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 성분과 분자 내에 적어도 2 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구성된다. 폴리올 성분으로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아크릴 폴리올, 폴리올레핀 폴리올 등을 들 수 있고, 이와 같은 폴리올 성분을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상관없다. 그 중에서도, 유리 전이 온도와 저장 탄성률의 제어가 용이한 폴리우레탄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나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우레탄 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디올 성분, 디에스테르 성분의 30 중량% 이상의 지방족계는, 유리 전이점과 저장 탄성률이 낮고, 개봉 외관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는, 방향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예로는, 1,3- 또는 1,4-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혹은 그 혼합물, 1,3- 또는 1,4-비스(1-이소시아나토-1-메틸에틸)벤젠 혹은 그 혼합물, ω,ω'-디이소시아나토-1,4-디에틸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예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옥시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예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체, 다이머체, 트리머체, 다이머·트리머체, 우레톤이민 변성체 등의 폴리메릭체나, 2 관능 이상의 폴리올 등과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혹은 그 폴리메릭체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어덕트체 등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변성체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 중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변성체 및/또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변성체, 또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변성체는, 유리 전이점과 저장 탄성률이 낮고, 개봉 외관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적절히 시판품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토소 (주) 로부터, 닛포란, 콜로네이트 등의 상품명으로 각각 시판되고 있다.
유리 전이 온도 및 저장 탄성률의 조정은, 폴리올 성분이나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선택 및 폴리올 성분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배합비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구성하는 폴리올 성분의 수산기 수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 수의 비율 (NCO/OH) 이 0.5 ∼ 2.5 의 범위에 있으면, 개봉 용이성, 특히 개봉 외관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0.7 ∼ 2.0 의 범위에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8 ∼ 1.6 이다.
폴리우레탄 접착제 (B) 의 두께는, 0.01 ∼ 3 ㎛ 의 범위가 접착성, 개봉 용이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고, 0.1 ∼ 1 ㎛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0.7 ㎛ 이다.
접착제의 희석에 사용되는 용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클로라이드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메틸술폭사이드, 디메틸술포아미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는, 공지된 라미네이터에 부대되어 있는 코터에 의해 (C) 층의 기재에 도포할 수 있다. 특히, 플레인 롤이 우레탄 접착제의 두께가 작은 경우의 도포 정밀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C) 층을 구성하는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카보네이트,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의 고분자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필름, 셀로판을 들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의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필름 중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필름은, 추가로 알루미늄 증착, 알루미나 증착, 이산화규소 증착, 아크릴 처리된 것이어도 되고, 알루미늄, 알루미나, 실리카 등의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증착 박막을 갖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것들 중에서는 알루미늄 증착층, 알루미나 증착층, 이산화규소 증착층, 아크릴 처리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층을 갖는 2 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폴리아미드 필름인 (C) 층이, 폴리올레핀 필름 (A) 과의 접착성이나 차광성, 배리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C) 층은, (B) 층과의 접착성을 높인 것으로 하기 위해서, (C) 층의 (B) 층과 접하는 면에 대해 코로나 처리, 프레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공지된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적어도 (A) 층, (B) 층, (C) 층의 순서로 3 층으로 구성된다. 또 그 밖의 성분, 예를 들어 (D)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A) 층/(B) 층/(C) 층/(D) 층, (D) 층/(A) 층/(B) 층/(C) 층 등이 예시된다. (D) 층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계 수지,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공지된 라미네이트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봉 용이성 포장 재료를 얻는 수법으로서, 프레스 성형법이나 압출 성형법에 의해 성형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A) 로 이루어지는 (A) 층 및 접착제 (B) 로 이루어지는 (B) 층 및 (C) 층의 성형체를 열 압착하는 라미네이트법이 바람직하다. 라미네이트 방법으로는 압출 라미네이트, 샌드위치 라미네이트, 드라이 라미네이트, 논솔벤트 드라이 라미네이트, 웨트 라미네이트, 서멀 라미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비용이나 박막 성형성의 관점에서 압출 라미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에 제공할 때, 양호한 접착성을 얻기 위해, 다이로부터 압출되어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용융 필름의 적어도 접착제 (B) 와 접하는 면은, 공기 혹은 오존 가스에 의해 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에 의한 산화 반응을 진행시키는 경우, 다이로부터 압출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필름 (A) 의 온도는 29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오존 가스에 의한 산화 반응을 진행시키는 경우에는, 다이로부터 압출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필름 (A) 의 온도는 2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오존 가스의 처리량으로는, 다이로부터 압출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1 ㎡ 당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A) 층의 막 두께는, 5 ∼ 25 ㎛, 바람직하게는 10 ∼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 22 ㎛ 이다.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A) 층의 막 두께가 5 ㎛ 미만인 경우에는 (C) 층과의 기재 접착성과 내유성이 열등하고, 25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제성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포장체로 한 경우에 시일부를 개봉했을 때의 박리 외관이 악화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개봉 용이성이 우수하고, (C) 층과의 기재 접착성이 높은 점에서, 다방면에 걸친 개봉 용이성 포장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고, (A) 층끼리를 융착하여 포장체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적층체의 (A) 층끼리를 히트 실러로 125 ℃ ∼ 140 ℃ 에서 히트 시일함으로써 얻어진 필로팩의 개봉 강도는, 5 ∼ 25 N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20 N 이다. 포장체의 개봉 강도가 5 N 이상인 경우에는 포장 재료로서 내용물의 보호가 충분하고, 개봉 강도가 25 N 이하인 경우에는 개봉 강도가 지나치게 강하지 않아 개봉 용이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내유성이 우수한 점에서 스넥 과자나 인스턴트 라면 등의 유지 성분 함유 내용물의 포장체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MFR)
JIS K6922-1 (1997 년) 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2) 밀도
JIS K6922-1 (1997년) 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3) 유리 전이점
유리 전이점은, 세이코 전자사 제조 DSC200 을 사용하여, 질소 기류 하에서 실시하였다. 즉, 2 액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경화물 10 ㎎ 을 사용하여, 승온 속도 10 ℃/분으로 -100 ℃ 에서 100 ℃ 까지 DSC 측정을 실시하고, 유리 전이점을 구하였다.
(4) 저장 탄성률
저장 탄성률은, 주식회사 유비엠 제조 Rheogel E4000 을 사용하여, 인장 모드로 측정하였다. 주파수를 10 Hz 로 하고, -100 ∼ 200 ℃ 의 범위에서 측정하여, 저장 탄성률을 구하였다.
(5) 개봉 강도/박리 외관
실시예로부터 얻어진 (A) 층/(B) 층/(C) 층의 3 층의 순서로 구성된 적층체를 테스터 산업 (주) 제조 핫텍 테스터를 사용하여, 시일 온도 140 ℃, 시일 압력 0.2 ㎫, 시일 시간 1 초로 상하 가열에 의해 히트 시일하고 100 ㎠ 의 필로팩을 제조한 후, 인장 시험기 (ORIENTEC 제조 텐실론 RTE-1210) 를 사용하여, 300 ㎜/분의 인장 속도로, 필로팩의 개봉을 실시하고, 개봉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 박리 외관은, 적층체에 파열이 없는지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A) 층의 필름이 층상으로 박리된 경우도 외관 불량 (×) 으로 하였다.
(6) 내유성
펠릿 약 20 g 을 칸도 공업 (주) 제조 50 t 자동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프레스 성형하였다. 성형품의 사이즈는 150 ㎜ × 150 ㎜ × 1 ㎜ 로 하였다. 얻어진 성형품을 60 ℃ 의 샐러드유 (상품명 : 닛신 사라다 오일) 중에 24 시간 침지시키고, 침지 전후에서의 중량 변화율을 조사하였다.
(7) 성형성
압출 라미네이트시에 있어서, 막 절단이나 큰 폭 변동 등의 성형 불량이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인 라미네이트 필름이 얻어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8) 파대 강도
실시예로부터 얻어진 (A) 층, (B) 층, (C) 층의 3 층의 순서로 구성된 적층체를 테스터 산업 (주) 제조 핫텍 테스터를 사용하여, 시일 온도 140 ℃, 시일 압력 0.2 ㎫, 시일 시간 1 초로 상하 가열에 의해 히트 시일하여 100 ㎠ 의 필로팩을 제조한 후, 필로팩에 주사 바늘을 사용하여 에어를 주입하고 (0.75 ℓ/min.), 파대시의 최대 압력을 계측하였다. 또한, 측정 방법은 JIS Z 0238 에 준거하였다.
(9) 개봉 외관 (%)
실시예로부터 얻어진 (A) 층, (B) 층, (C) 층의 3 층의 순서로 구성된 적층체를 테스터 산업 (주) 제조 핫텍 테스터를 사용하여, 시일 온도 140 ℃, 시일 압력 0.2 ㎫, 시일 시간 1 초로 상하 가열에 의해 히트 시일하고 100 ㎠ 의 필로팩을 제조한 후, 필로팩의 시일부를 손으로 개봉했을 때, 시일부가 박리된 면적/시일부 전체의 면적 × 100 = 개봉 외관 (%) 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층의 폴리올레핀 (A-1) 의 제조예
(A) 층의 폴리올레핀 (A-1) 로서,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20 g/10 분, 밀도 964 ㎏/㎥ 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론하드 1000) 과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3 g/10 분, 밀도 924 ㎏/㎥ 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페트로센 205) 을 중량비 80/20 의 비율로 드라이 블렌드하고, 50 ㎜φ 의 스크루와 스트랜드 다이를 갖는 단축 압출기 ((주) 푸라코 제조) 를 사용하여 설정 온도 180 ℃, 토출량 25 ㎏/시간으로 스트랜드상으로 압출하고, 스트랜드 커터 ((주) 세이와 철공소 제조) 를 사용하여 펠릿으로 하였다. 이 폴리올레핀 (A-1) 의 MFR, 밀도 및 내유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A) 층의 폴리올레핀 (A-2) 의 제조예
(A) 층의 폴리올레핀 (A-2) 로서,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20 g/10 분, 밀도 964 ㎏/㎥ 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론하드 1000) 과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3 g/10 분, 밀도 924 ㎏/㎥ 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페트로센 205) 을 중량비 22/78 의 비율로 드라이 블렌드한 것 이외에는 (A-1) 의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 폴리올레핀 (A-2) 의 MFR, 밀도, 내유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A) 층의 폴리올레핀 (A-3) 의 제조예
(A) 층의 폴리올레핀 (A-3) 으로서,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20 g/10 분, 밀도 964 ㎏/㎥ 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론하드 1000) 과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24 g/10 분, 밀도 918 ㎏/㎥ 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페트로센 202) 과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3 g/10 분, 밀도 924 ㎏/㎥ 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페트로센 205) 을 중량비 25/55/20 의 비율로 드라이 블렌드한 것 이외에는 (A-1) 의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 폴리올레핀 (A-3) 의 MFR, 밀도, 내유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A) 층의 폴리올레핀 (A-4) 의 제조예
(A) 층의 폴리올레핀 (A-4) 로서,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20 g/10 분, 밀도 964 ㎏/㎥ 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론하드 1000) 과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50 g/10 분, 밀도 930 ㎏/㎥ 의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론-L M80) 와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3 g/10 분, 밀도 924 ㎏/㎥ 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페트로센 205) 을 중량비 10/80/10 의 비율로 드라이 블렌드한 것 이외에는 (A-1) 의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 폴리올레핀 (A-4) 의 MFR, 밀도, 내유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A) 층의 폴리올레핀 (A-5) 의 제조예
(A) 층의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A-5) 로서,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20 g/10 분, 밀도 964 ㎏/㎥ 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론하드 1000) 과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2 g/10 분, 밀도 936 ㎏/㎥ 의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론 Z ZF260) 와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24 g/10 분, 밀도 918 ㎏/㎥ 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페트로센 202) 과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3 g/10 분, 밀도 924 ㎏/㎥ 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페트로센 205) 을 중량비 25/10/45/20 의 비율로 드라이 블렌드한 것 이외에는 (A-1) 의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A-5) 의 MFR, 밀도, 내유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A) 층의 폴리올레핀 (A-6) 의 제조예
(A) 층의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A-6) 로서,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20 g/10 분, 밀도 964 ㎏/㎥ 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론하드 1000) 과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2 g/10 분, 밀도 936 ㎏/㎥ 의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론 Z ZF260) 와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70 g/10 분, 밀도 916 ㎏/㎥ 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페트로센 249) 과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3 g/10 분, 밀도 924 ㎏/㎥ 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페트로센 205) 을 중량비 30/10/40/20 의 비율로 드라이 블렌드한 것 이외에는 (A-1) 의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A-6) 의 MFR, 밀도, 내유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37965934-pct00001
실시예 1
폴리올레핀 (A) 로서,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8 g/10 분, 밀도 919 ㎏/㎥ 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페트로센 203) 을, 90 ㎜φ 스크루를 갖는 압출 라미네이터 ((주) 무사시노 기계 제조) 에 공급하고, 기재의 인취 속도를 100 m/분으로 하여, 개구 폭을 600 ㎜ 로 한 T 다이로부터 320 ℃ 의 온도에서 압출하고, (C) 층으로서 제 1 급지부로부터 내보낸 2 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도요 방적 (주) 제조 상품명 도요보 에스테르 필름 E-5100, 두께 25 ㎛, 이하, PET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의 코로나 처리면에, 접착제층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용제를 건조시킨 후에 폴리올레핀 필름 (A) 이 15 ㎛ 의 두께가 되도록 압출 라미네이트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얻었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개봉 강도, 박리 외관, 성형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접착제 :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란 3228)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토소 (주)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HL) 를 중량비 100/5 로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를 7 % 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실시예 2
폴리올레핀 (A) 로서 폴리올레핀 (A-1) 을 사용하고, (A) 층의 두께를 2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폴리올레핀 (A) 로서 폴리올레핀 (A-2) 를 사용하여, (A) 층의 두께를 2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접착제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접착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접착제 :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란 3228)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토소 (주)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HL) 를 중량비 100/5 로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를 12 % 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실시예 5
폴리올레핀 (A) 로서 폴리올레핀 (A-3) 을 사용하고, (A) 층의 두께를 2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A) 층의 두께를 1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접착제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접착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접착제 :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란 3228)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토소 (주)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HL) 를 중량비 100/3 으로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를 7 % 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실시예 8
접착제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접착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접착제 :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란 3228)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토소 (주)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HL) 를 중량비 100/10 으로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를 7 % 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실시예 9
(C) 층으로서 제 1 급지부로부터 내보낸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 ((주) 레이코 제조, 상품명 다이아래스터 ST, 두께 12 ㎛, 이하, VM-PET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C) 층으로서 제 1 급지부로부터 내보낸 나일론 필름 (도요 방적 (주) 제조 상품명 도요보 하덴 필름 N-1100, 두께 25 ㎛, 이하, Ny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폴리올레핀 (A-5) 를 사용하여, (A) 층의 두께를 2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폴리올레핀 (A-6) 을 사용하고, (A) 층의 두께를 2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접착제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A) 층의 두께를 1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접착제 :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란 3228)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토소 (주)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L) 를 중량비 100/5 로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를 7 % 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실시예 14
접착제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A) 층의 두께를 1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접착제 :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란 3228)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토소 (주)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L) 를 중량비 100/8 로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를 7 % 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실시예 15
폴리올레핀 (A-3) 을 사용하고, (A) 층의 두께를 20 ㎛, 접착제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접착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접착제 :
폴리부타디엔 접착제 (다이니치 정화 (주) 제조, 상품명 세이카다인 4300A) 를, 메탄올과 물을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를 1 % 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실시예 16
폴리올레핀 (A) 로서,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8 g/10 분, 밀도 919 ㎏/㎥ 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페트로센 203) 을 사용하고, (A) 층의 두께를 1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 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37965934-pct00002
비교예 1
폴리올레핀 (A) 로서 폴리올레핀 (A-4) 를 사용하여, (A) 층의 두께를 2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자 시도했지만, 안정적인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폴리올레핀 (A) 로서 폴리올레핀 (A-3) 을 사용하고, (A) 층의 두께를 30 ㎛ 의 두께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자 시도했지만, 시일부를 박리했을 때의 외관이 나빴다.
비교예 3
폴리올레핀 (A) 로서 폴리올레핀 (A-3) 을 사용하여, 접착제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접착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했지만, 개봉 강도가 높았다.
접착제 :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란 3228)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토소 (주)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L) 를 중량비 100/10 으로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를 7 % 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비교예 4
폴리올레핀 (A) 로서,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8 g/10 분, 밀도 919 ㎏/㎥ 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 상품명 페트로센 20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했지만, 개봉 강도가 높았다.
비교예 5
접착제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접착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했지만, 개봉 강도가 높았다.
접착제 :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란 3228)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토소 (주)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HL) 를 중량비 100/20 으로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를 7 % 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비교예 6
접착제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접착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물성을 평가했지만, 개봉 강도가 높고, 박리 외관도 열등하였다.
접착제 :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토소 (주) 제조, 상품명 닛포란 3228)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토소 (주)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HL) 를 중량비 100/2 로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를 7 % 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Figure 112017037965934-pct00003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 특정한 실시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본질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또한, 2014년 10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4-219398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Claims (16)

  1. 적어도 (A) 층, (B) 층, (C) 층의 순서로 3 층으로 구성되고, (A) 층이 하기 요건 (a) 내지 (c) 를 만족시키는 폴리올레핀, (B) 층이 하기 요건 (d) 내지 (f) 를 만족시키는 접착제, (C) 층이 적어도 1 층 이상의 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로서, 상기 접착제는 주제인 폴리올 성분과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2 액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 또는 폴리부타디엔계 접착제인, 적층체.
    (a) JIS K6922-1 에 기초하여 측정된 밀도가 900 ∼ 970 ㎏/㎥
    (b) JIS K6922-1 에 기초하여 측정된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MFR) 가 2 ∼ 30 g/10 분
    (c) 막 두께가 5 ∼ 25 ㎛
    (d) 막 두께가 0.01 ∼ 3.0 ㎛
    (e) JIS K7121 에 기초하여 측정된 유리 전이점이 -30 ∼ +10 ℃
    (f) 20 ℃ 의 저장 탄성률 E' 가 1.0 × 106 ∼ 2.5 × 107 Pa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층이, (C) 층 상에 (B) 층을 개재하여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층이, 주제인 폴리올 성분과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2 액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성분의 수산기 수 (OH) 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 수의 비 (NCO/OH) 가 0.5 ∼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층의 폴리올레핀의 JIS K6922-1 에 기초하여 측정된 MFR 이 10 ∼ 30 g/10 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층의 폴리올레핀의 JIS K6922-1 에 기초하여 측정된 밀도가 927 ∼ 942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층의 폴리올레핀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1) 및/또는 밀도가 940 ㎏/㎥ 미만인 에틸렌과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2) 10 ∼ 90 중량%, 및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3) 10 ∼ 90 중량% ((1), (2) 및 (3) 의 합계는 100 중량%) 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층의 폴리올레핀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1) 10 ∼ 70 중량%, 밀도가 940 ㎏/㎥ 미만인 에틸렌과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2) 5 ∼ 80 중량%, 및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3) 10 ∼ 85 중량% ((1), (2) 및 (3) 의 합계는 100 중량%) 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층의 기재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의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층의 기재가, 알루미늄, 알루미나, 실리카의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증착 박막을 갖는 적어도 1 종 이상의 증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층의 기재가 알루미늄 증착층을 갖는 2 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폴리아미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층의 폴리올레핀의 프레스 성형품 (150 ㎜ × 150 ㎜ × 1 ㎜) 을 60 ℃ 의 식용유에 24 시간 침지시켰을 때의 중량 변화율이, 1.2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포장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A) 층끼리를 히트 실러로 125 ℃ ∼ 140 ℃ 에서 히트 시일함으로써 얻어진 필로팩의 개봉 강도가 5 ∼ 25 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유지 성분 함유 내용물의 포장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KR1020177010546A 2014-10-28 2015-10-23 적층체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체 KR102553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9398 2014-10-28
JPJP-P-2014-219398 2014-10-28
PCT/JP2015/079971 WO2016068041A1 (ja) 2014-10-28 2015-10-23 積層体およびこれよりなる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876A KR20170074876A (ko) 2017-06-30
KR102553410B1 true KR102553410B1 (ko) 2023-07-07

Family

ID=5585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546A KR102553410B1 (ko) 2014-10-28 2015-10-23 적층체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53642B2 (ko)
JP (1) JP6645100B2 (ko)
KR (1) KR102553410B1 (ko)
CN (1) CN107073912B (ko)
TW (1) TWI671206B (ko)
WO (1) WO2016068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1444B2 (ja) * 2015-03-18 2019-06-19 東ソー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材料
JP2017154316A (ja) * 2016-02-29 2017-09-07 東ソー株式会社 蓋材
JP6834705B2 (ja) * 2017-03-31 2021-02-24 東ソー株式会社 積層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積層体から成る包装材料
JP2018171726A (ja) * 2017-03-31 2018-11-08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蒸着フィルム積層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3440A (ja) * 2008-04-23 2009-11-12 Tosoh Corp ラミネート用樹脂組成物ならびに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2010036413A (ja) * 2008-08-04 2010-02-18 Tosoh Corp 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2011509316A (ja) * 2007-12-20 2011-03-24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繊維含有成形品を接着するための2成分系ポリウレタン接着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3348B2 (ja) * 1988-09-01 1997-08-20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JPH03235292A (ja) * 1990-02-09 1991-10-21 Toshiba Corp 差動増幅回路
CA2200060A1 (en) * 1994-09-16 1996-03-21 Jesse C. Ercillo Multi-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ruction
EP2332720A3 (en) * 2003-03-12 2011-10-12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usable closures for packag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278193B2 (ja) * 2009-06-25 2013-09-04 東ソー株式会社 ラミネート用樹脂組成物及び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5439987B2 (ja) * 2009-07-07 2014-03-12 東ソー株式会社 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5519996B2 (ja) * 2009-10-20 2014-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
JP5719558B2 (ja) 2010-10-08 2015-05-20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包装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体包装袋
JP5743491B2 (ja) * 2010-10-29 2015-07-01 ユニチカ株式会社 押出ラミネーション用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042727A1 (ja) * 2011-09-22 2013-03-28 東ソー株式会社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易剥離性フィルム
JP2013107925A (ja) * 2011-11-17 2013-06-06 Dic Corp アルコールバリア用多層フィルム
JP2013212657A (ja) * 2012-04-03 2013-10-1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トリアセチルセルロース積層体、こ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JP6464661B2 (ja) * 2013-12-04 2019-02-06 東ソー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材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9316A (ja) * 2007-12-20 2011-03-24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繊維含有成形品を接着するための2成分系ポリウレタン接着剤
JP2009263440A (ja) * 2008-04-23 2009-11-12 Tosoh Corp ラミネート用樹脂組成物ならびに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2010036413A (ja) * 2008-08-04 2010-02-18 Tosoh Corp ラミネート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71206B (zh) 2019-09-11
WO2016068041A1 (ja) 2016-05-06
TW201630715A (zh) 2016-09-01
JP6645100B2 (ja) 2020-02-12
US10953642B2 (en) 2021-03-23
US20170326854A1 (en) 2017-11-16
CN107073912A (zh) 2017-08-18
JP2016083930A (ja) 2016-05-19
CN107073912B (zh) 2019-07-05
KR20170074876A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7578B1 (en) Cover material for packaging container for retortion
EP2246402B1 (en) Resin composition, laminate using the same, and molded body using the laminate
KR102553410B1 (ko) 적층체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체
US10625493B2 (en) Sealant film and laminate film
JP6464661B2 (ja) 易開封性包装材料
KR102161562B1 (ko) 방담성 다층 필름, 이것을 사용하는 적층체, 및 포장재
JP6451208B2 (ja) 易開封性包装材料
JP2020111745A (ja)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KR102494474B1 (ko) 접착성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 뚜껑재, 용기용 부재 세트 및 용기
CN112920743B (zh) 粘接性树脂组合物、使用所述组合物的片材、盖材、密封容器用构件组及容器
JP6531444B2 (ja) 易開封性包装材料
JP5365087B2 (ja) 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2019005934A (ja) 蓋材
JP6528487B2 (ja) 易開封性包装材料
JP6834705B2 (ja) 積層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積層体から成る包装材料
JP5277951B2 (ja) ラミネート用樹脂組成物および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6528486B2 (ja) 易開封性包装材料
JP6582866B2 (ja) 積層体及びこれよりなる包装体
JP5251417B2 (ja) 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7277148B2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2009263440A (ja) ラミネート用樹脂組成物ならびに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H08156153A (ja) 積層体
JP2023077155A (ja) 積層体
JP4696563B2 (ja) 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7154316A (ja) 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