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324B1 -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324B1
KR102532324B1 KR1020200071681A KR20200071681A KR102532324B1 KR 102532324 B1 KR102532324 B1 KR 102532324B1 KR 1020200071681 A KR1020200071681 A KR 1020200071681A KR 20200071681 A KR20200071681 A KR 20200071681A KR 102532324 B1 KR102532324 B1 KR 102532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ower door
upper gate
vehicle entrance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550A (ko
Inventor
이상헌
황진호
차동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324B1/ko
Priority to US17/036,750 priority patent/US20210387515A1/en
Priority to DE102020213341.7A priority patent/DE102020213341A1/de
Priority to CN202011155992.7A priority patent/CN113802947A/zh
Publication of KR20210154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550A/ko
Priority to KR1020220090367A priority patent/KR20220108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슬라이딩동작 또는 회전동작에 의해 차량 출입구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게이트; 및 차량 출입구의 하부에 마련되어 수납시 차량 출입구의 하부를 폐쇄하며 전개시 차량 출입구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전개되어 차량의 플로어로부터 연장되는 출입가이드 패널을 제공하는 하부도어;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VEHICLE ENTRAN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출입구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고 이를 독립적으로 개폐제어함으로써 승객뿐만 아니라 차량 시트 내지 모빌리티 등이 자유롭게 차량에 출입하거나 차량에 탑재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동화와 자율주행화가 진행되면서 차량의 실내구조는 많이 변화되고 있다. 특히 차량의 시트가 차량 내부에서 회전되며 외부로 이탈되어 모빌리티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개념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라스트마일의 개념에 의해 다양한 개인용 모빌리티가 양산되고 공유되고 있는바, 이러한 개인용 모빌리티가 차량의 내외부로 출입하는 기술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차량의 내외로 출입하는 대상이 탑승자뿐만 아니라 초소형 모빌리티부터 차량의 시트까지 다양해질 수 있어 기존의 차량 도어의 변화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107596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출입구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고 이를 독립적으로 개폐제어함으로써 승객뿐만 아니라 차량 시트 내지 모빌리티 등이 자유롭게 차량에 출입하거나 차량에 탑재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은, 슬라이딩동작 또는 회전동작에 의해 차량 출입구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게이트; 및 차량 출입구의 하부에 마련되어 수납시 차량 출입구의 하부를 폐쇄하며 전개시 차량 출입구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전개되어 차량의 플로어로부터 연장되는 출입가이드 패널을 제공하는 하부도어;를 포함하고,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물체는 하부도어의 전개시 출입가이드 패널을 통해 안내되며 차량의 차량 내부 또는 외부로 출입될 수 있다.
상부게이트는 하부도어보다 면적이 더 클 수 있다.
상부게이트는 링크를 통해 차량 출입구의 테두리에 연결되고, 링크의 회전 및 슬라이딩을 통해 차량 출입구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하부도어는 하단부가 차량 출입구의 하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하부도어의 회전에 의해 차량 출입구의 하부가 개폐될 수 있다.
하부도어에는 감지센서가 마련되며, 감지센서는 하부도어와 지면 사이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고, 감지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하부도어의 개방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하부도어는 개방시 상단이 지면에 인접하거나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출입가이드 패널이 차량 플로어로부터 외측 하방으로 연장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게이트와 하부도어가 함께 개폐되거나 독립적으로 개폐되도록 상부게이트와 하부도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하부도어와 차체의 연결지점의 높이와 지면의 높이를 비교하여 차체의 지상고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외부의 물체를 인증하고, 출입이 허가된 외부의 물체인 경우 하부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외부의 물체의 종류 또는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부게이트의 개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외부의 물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인 경우 상부게이트는 폐쇄를 유지하고 하부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부는 외부의 물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상부게이트를 개방하되 외부의 물체의 크기에 따라 상부게이트의 개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차량 출입구는 차량의 전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출입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물체의 출입 요구를 감지하는 단계; 출입이 요구된 물체의 종류 또는 감지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부게이트 또는 하부도어의 개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부게이트 또는 하부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부게이트의 개방여부, 하부도어의 개방여부 및 상부게이트를 개방할 경우 개방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출입구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고 이를 독립적으로 개폐제어함으로써 승객뿐만 아니라 차량 시트 내지 모빌리티 등이 자유롭게 차량에 출입하거나 차량에 탑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하부도어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활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차량 지상고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하부도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활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차량 지상고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은, 슬라이딩동작 또는 회전동작에 의해 차량 출입구(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게이트(300); 및 차량 출입구(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수납시 차량 출입구(100)의 하부를 폐쇄하며 전개시 차량 출입구(100)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전개되어 차량의 플로어(F)로부터 연장되는 출입가이드 패널(510)을 제공하는 하부도어(500);를 포함하고,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물체는 하부도어(500)의 전개시 출입가이드 패널(510)을 통해 안내되며 차량의 차량 내부 또는 외부로 출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차량(10)의 내외로 초소형 모빌리티(M)부터 시트(S)까지 다양한 종류의 대상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출입구(1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차량에 다양한 대상의 출입이 가능하려면 다양한 크기의 대상에 따라 출입구(100)의 크기도 가변되어야 하고, 차량을 주차하여 주택(R)과 연결하는 기술의 구현을 위해서 차량의 전면부를 출입구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차량의 전면부가 출입구(100)로서 기능하게 되는바, 차량의 시트(S)는 후방의 트렁크를 통과할 필요가 없이 바로 전면의 출입구(100)를 통하여 차량 내외로 출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차량의 전면에 형성된 출입구(100)의 경우 기본적으로 차량의 플로어(F)부터 루프까지 모두 개방되는 높이를 갖도록 한다. 그리고 출입구(100)는 상부 출입구와 하부 출입구로 나뉘고, 상부 출입구는 상부게이트(300)로 개폐하며 하부 출입구는 하부도어(500)로 개폐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부게이트(300)는 슬라이딩동작 또는 회전동작에 의해 차량 출입구(10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도어(500)는 차량 출입구(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수납시 차량 출입구(100)의 하부를 폐쇄하며 전개시 차량 출입구(100)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전개되어 차량의 플로어(F)로부터 연장되는 출입가이드 패널(510)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물체는 하부도어(500)의 전개시 출입가이드 패널(510)을 통해 안내되며 차량의 차량 내부 또는 외부로 출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개념도로서, 상부게이트(300)는 하부도어(500)보다 면적이 더 클 수 있다. 즉, 높이나 크기가 큰 물체의 경우에는 상부게이트(300)와 하부도어(500)를 함께 개방하여 승하차가 가능하고, 초소형 모빌리티(M) 등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하부도어(500)만을 개방하여 간단하게 차량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출입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하게 차량의 출입구(100)가 모두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부게이트(300)는 링크(320)를 통해 차량 출입구(100)의 테두리에 연결되고, 링크(320)의 회전 및 슬라이딩을 통해 차량 출입구(10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부게이트(300)의 경우 상단에 힌지구조를 설치하여 회동식으로 개폐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차량의 상방으로 많은 공간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상부게이트(300)의 경우에는 슬라이딩식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개방시에는 차량의 루프 상부로 중첩되도록 하고, 폐쇄시에는 차량의 전방 윈드실드글래스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링크(320)의 경우에는 하단이 차체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부게이트(300)에 연결되어 상부게이트(300)를 지지하며, 개방시 상부게이트(300)를 우선 틸팅하고 그 상태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부게이트(300)의 개방을 구현한다.
한편, 하부도어(500)는 하단부가 차량 출입구의 하단부에 힌지 연결(520)되고, 하부도어(500)의 회전에 의해 차량 출입구(100)의 하부가 개폐될 수 있다. 하부도어(500)의 경우는 크기가 작아 차량의 전방으로 많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하부도어(500)의 회전으로 인한 전개시에는 하부도어(500)가 경사면을 구셩하여 차량의 플로어(F)와 지면(G)의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하나의 연결된 면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하부도어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하부도어(500)는 하단부가 차량 출입구의 하단부에 힌지 연결(520)된다. 이를 통해 회전에 따라 하부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도어(500)에는 감지센서(560)가 마련되며, 감지센서(560)는 하부도어(500)와 지면 사이의 이격거리를 초음파 등으로 측정하고, 감지센서(560)의 측정 결과에 따라 하부도어(500)의 개방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즉, 하부도어(500)의 개방과정에서 거리를 측정하는 감지센서(560)가 마련되어 하부도어(500)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통해 하부도어(50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하부도어(500)의 손상을 방지하고, 하부도어(500)가 충분히 지면에 근접할 정도록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하부도어(500)는 개방시 상단이 지면에 인접하거나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출입가이드 패널(510)이 차량 플로어(F)로부터 외측 하방으로 연장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하부도어(500)의 차량 실내측 면은 출입가이드 패널(510)을 구성함으로써 모빌리티(M)나 시트(S) 내지 탑승자가 경사면을 형성하는 출입가이드 패널(510)을 통해 손쉽게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하부도어(500)에는 차체와 대응되는 지점에 로킹구조(540)가 마련되어 하부도어(500)의 폐쇄시 차체에 로킹되어 출입구(100)의 폐쇄가 완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활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경우 상부게이트(300)와 하부도어(500)가 함께 개폐되거나 독립적으로 개폐되도록 상부게이트(300)와 하부도어(5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차량의 상부게이트(300) 내지 하부도어(500) 내지 다른 부분에 설치된 센서들을 통하여 차량의 출입구(100)로 접근하는 물체의 종류를 식별한다. 이는 카메라 등의 촬영을 통하여 인식할 수도 있고 여러 종류의 통신을 통하여 사물을 인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30)가 물체의 종류를 식별한 경우에는 그 크기에 따라 상부게이트(300)와 하부도어(500)가 함께 개폐되거나 독립적으로 개폐되도록 상부게이트(300)와 하부도어(500)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4와 같이 차량의 시트(S)가 출입하는 경우에는 상부게이트(300)와 하부도어(500)를 함께 개폐하도록 하고, 도 5와 같이 모빌리티(M)가 출입하는 경우에는 하부도어(500)만을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의 경우는 차량이 주택(R)과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는 먼저 상부게이트(300)를 개방하고 주택(R)의 입구(D)와 차량을 연결한 후 하부도어(500)를 개방하여 주택 거실과 차량 플로어를 연결한다. 그리고 차량의 내부 시트(S)가 차량 외부 즉, 주택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5의 경우는 초소형 모빌리티(M)의 출입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 차량의 하부도어(500)만을 개방하도록 하고, 차량의 출입구 내측 하부에는 모빌리티(M)를 마운팅할 수 있는 거치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센서의 직접적인 탐지 외에도 통신을 통한 명령을 수신하여 이러한 상부게이트(300)와 하부도어(500)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0)는 외부의 물체를 인증하고, 출입이 허가된 외부의 물체인 경우 하부도어(50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외부의 물체의 종류 또는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부게이트(300)의 개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외부의 물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인 경우 상부게이트(300)는 폐쇄를 유지하고 하부도어(500)를 개방할 수 있으며, 제어부(30)는 외부의 물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상부게이트(300)를 개방하되 외부의 물체의 크기에 따라 상부게이트(300)의 개방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의 차량 지상고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어부(30)는 하부도어(500)와 차체의 연결지점의 높이와 지면의 높이를 비교하여 차체의 지상고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하부도어(500)의 개방시 감지센서(560) 또는 기타의 센서들을 통하여 차량의 플로어(F)와 하부도어(500)의 끝단이 닿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의 지면 높이를 상호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결과 지면(G)이 차량의 플로어(F)보다 낮을 경우에는 차량의 지상고를 변경하지 않고, 지면이 더 높을 경우에는 차량의 지상고를 높임으로써 하부도어의 개방시 하부도어(500)가 하향하는 경사면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량의 지상고는 에어서스펜션 등의 구성을 통하여 조절이 가능하고, 지상고의 조절을 통해 하부도어(500)가 하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물체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하부도어(500)의 개방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부도어(500)가 끝단에서 지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하부도어(500)의 훼손을 방지하고 감지센서(560) 등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구 시스템 제어방법의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차량 출입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고, 출입 요구를 감지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그리고 필요시에는 차량의 지상고를 조절한다(S200). 그리고 출입이 요구된 물체의 종류 또는 감지된 정보의 종류를 파악하고(S300), 그에 따라 상부게이트 또는 하부도어의 개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0). 만약 초소형 모빌리티라면 하부도어만을 개방하고(S42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부게이트도 함께 개방한다(S440). 개방이 완료된 경우에는 출입의 완료를 감지하고(S500,S600), 출입구를 폐쇄하도록 한다(S700).
그리고 개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부게이트의 개방여부, 하부도어의 개방여부 및 상부게이트를 개방할 경우 개방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는 외부물체가 차량의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을 예시로 설명하였지만, 차량 내부물체가 외부로 진출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출입구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고 이를 독립적으로 개폐제어함으로써 승객뿐만 아니라 차량 시트 내지 모빌리티 등이 자유롭게 차량에 출입하거나 차량에 탑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출입구 300 : 상부게이트
500 : 하부도어

Claims (15)

  1. 차량 출입구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게이트;
    차량 출입구의 하부에 마련되어 차량 출입구의 하부를 폐쇄하거나 차량 출입구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전개되는 하부도어; 및
    상부게이트와 하부도어가 함께 개폐되거나 독립적으로 개폐되도록 상부게이트와 하부도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물체는 하부도어의 전개시 하부도어를 통해 차량 내부 또는 외부로 출입되며, 상부게이트와 하부도어는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며;
    제어부는 외부의 물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상부게이트를 개방하되 외부의 물체의 크기에 따라 상부게이트의 개방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게이트는 하부도어보다 면적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게이트는 링크를 통해 차량 출입구의 테두리에 연결되고, 링크의 회전 및 슬라이딩을 통해 차량 출입구의 상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도어는 하단부가 차량 출입구의 하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하부도어의 회전에 의해 차량 출입구의 하부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도어에는 감지센서가 마련되며, 감지센서는 하부도어와 지면 사이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고, 감지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하부도어의 개방 정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도어는 차량의 플로어로부터 연장되는 출입가이드 패널을 제공하고, 하부도어는 개방시 상단이 지면에 인접하거나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출입가이드 패널이 차량 플로어로부터 외측 하방으로 연장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구 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하부도어와 차체의 연결지점의 높이와 지면의 높이를 비교하여 차체의 지상고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외부의 물체를 인증하고, 출입이 허가된 외부의 물체인 경우 하부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어부는 외부의 물체의 종류 또는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부게이트의 개방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구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제어부는 외부의 물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인 경우 상부게이트는 폐쇄를 유지하고 하부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구 시스템.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 출입구는 차량의 전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구 시스템.
  14. 청구항 1의 차량 출입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물체의 출입 요구를 감지하는 단계;
    출입이 요구된 물체의 종류 또는 감지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부게이트 또는 하부도어의 개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부게이트 또는 하부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외부의 물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상부게이트를 개방하되 외부의 물체의 크기에 따라 상부게이트의 개방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구 제어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개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부게이트의 개방여부, 하부도어의 개방여부 및 상부게이트를 개방할 경우 개방의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구 제어방법.
KR1020200071681A 2020-06-12 2020-06-12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32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681A KR102532324B1 (ko) 2020-06-12 2020-06-12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7/036,750 US20210387515A1 (en) 2020-06-12 2020-09-29 Vehicle entran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E102020213341.7A DE102020213341A1 (de) 2020-06-12 2020-10-22 Fahrzeugzugangs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sselben
CN202011155992.7A CN113802947A (zh) 2020-06-12 2020-10-26 车辆入口系统及用于控制该车辆入口系统的方法
KR1020220090367A KR20220108753A (ko) 2020-06-12 2022-07-21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681A KR102532324B1 (ko) 2020-06-12 2020-06-12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367A Division KR20220108753A (ko) 2020-06-12 2022-07-21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550A KR20210154550A (ko) 2021-12-21
KR102532324B1 true KR102532324B1 (ko) 2023-05-16

Family

ID=787188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681A KR102532324B1 (ko) 2020-06-12 2020-06-12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220090367A KR20220108753A (ko) 2020-06-12 2022-07-21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367A KR20220108753A (ko) 2020-06-12 2022-07-21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87515A1 (ko)
KR (2) KR102532324B1 (ko)
CN (1) CN113802947A (ko)
DE (1) DE102020213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4068A (zh) * 2022-03-24 2022-06-1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车门、车门的控制方法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41017A1 (de) 1988-12-06 1990-06-07 Bildhaeuser Hans Peter Bus mit frontaler einstiegstuer
JP2009235820A (ja) 2008-03-27 2009-10-15 Aisin Seiki Co Ltd 車両の開閉制御システム
US20190083334A1 (en) * 2017-07-21 2019-03-21 New Flyer Industries Canada Ulc Integrated systems for passenger bus
KR102107596B1 (ko) 2019-11-28 2020-05-08 덕양산업 주식회사 패널 일체형 테일게이트 잠금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3129B2 (ja) * 2011-02-07 2014-12-17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扉体制御装置
KR101859429B1 (ko) * 2014-02-17 2018-05-21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29573A (ko) * 2016-09-13 2018-03-2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승용차 트렁크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41017A1 (de) 1988-12-06 1990-06-07 Bildhaeuser Hans Peter Bus mit frontaler einstiegstuer
JP2009235820A (ja) 2008-03-27 2009-10-15 Aisin Seiki Co Ltd 車両の開閉制御システム
US20190083334A1 (en) * 2017-07-21 2019-03-21 New Flyer Industries Canada Ulc Integrated systems for passenger bus
KR102107596B1 (ko) 2019-11-28 2020-05-08 덕양산업 주식회사 패널 일체형 테일게이트 잠금 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 Renault EZ-GO Autonomous Car Concept 유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753A (ko) 2022-08-03
DE102020213341A1 (de) 2021-12-16
US20210387515A1 (en) 2021-12-16
CN113802947A (zh) 2021-12-17
KR20210154550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8935B2 (en) Automatic defogging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32324B1 (ko)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131546B2 (ja) ドア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80363357A1 (en) Automatic Closure System With Active Distance Control
JP2004501834A (ja) 空気ダクト吹出し部および同吹出し部を組み込んだ車両
CN104340019B (zh) 缓解汽车中空气压力变化的抽气机
JP2006316497A (ja) ドア開閉制御装置
US11597262B2 (en) Connection system for house and vehicle
KR101763586B1 (ko) 도어 개폐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077123A1 (en) Vehicle having powered door control
US10907396B2 (en) System for opening a tailgate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 kinematics
US11938950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30241949A1 (en) Rear door assembly
JP4908994B2 (ja) インナガレージ付き建物
KR101786201B1 (ko) 차량의 도어 개방 각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보조스텝 및 그 제어방법
JP2004306780A (ja) 車両の換気装置
JP2010121380A (ja) 車両用窓開閉装置
MXPA01006120A (es) Ventilacion del conductor para camion de entrega.
US11457141B2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vehicle
US20220356745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indow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H0534273Y2 (ko)
WO2021181462A1 (ja) 車両、ロック解除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2023149059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230055192A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KR20240054460A (ko) 차량과 건물의 도킹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