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429B1 -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429B1
KR101859429B1 KR1020140018008A KR20140018008A KR101859429B1 KR 101859429 B1 KR101859429 B1 KR 101859429B1 KR 1020140018008 A KR1020140018008 A KR 1020140018008A KR 20140018008 A KR20140018008 A KR 20140018008A KR 101859429 B1 KR101859429 B1 KR 101859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reference range
passenger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7007A (ko
Inventor
손홍락
김태림
김종민
이동원
정승환
강호준
권성진
이봉현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18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4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03Power-actuated 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of vehicle doors
    • E05C17/006Power-actuated 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of vehicle doors with means for detecting obstacles outside th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20Electronic control of 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or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부가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를 통해 감지한 차량의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하차 의사를 감지하는 단계, 탑승자의 하차 의사가 감지되면 물체 감지부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도어 체커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력이 기준세기 이상이면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DOOR OF VEHICL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하차하는 탑승자 또는 도어 근처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도어 개폐량을 제한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륜차는 바퀴가 앞뒤에 두 개 배치된 형태의 타는 장치를 의미하며, 자전거(Bicycle)와 오토바이(Motorcycle) 등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자전거는 사람이 타고 앉아 두 다리로 바퀴를 돌리는 힘으로 이동하는 장치로 안장에 올라 앉아 두 손으로 핸들을 잡고 두 발로 페달을 교대로 밟음으로써, 페달과 연결된 체인을 통해서 바퀴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오토바이는 원동기를 장착하여 그 동력으로 바퀴를 돌림으로써 이동하는 장치이다.
더불어 차량(Vehicle)은 넓은 의미에서는 차체에 장착한 원동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노상 등에서 주행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장치이지만, 일반적인 의미의 차량은 오토바이를 제외한 네 바퀴를 가진 장치만을 의미한다.
최근 들어, 잦은 교통 혼잡을 피하거나 건강 증진 등을 목적으로 차량 대신에 이륜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륜차 전용도로와 차량 전용도로는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특정 도로에서는 차량과 이륜차가 함께 주행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68152호(2013.06.26.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가 있다.
최근 들어 차량에 탑승해 있던 탑승자가 하차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와 충돌하거나, 탑승자의 하차를 위해 개방된 도어와 이륜차가 충돌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종래의 차량에는 운전자 중심으로 사이드 미러나 룸미러 등이 설치되어 있고, 전술한 이륜차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운전자는 하차할 때 사이드 미러 등을 통해 차량의 후방을 확인하고 안전이 확보되면 하차하는 등의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하차시마다 후방을 확인하고 하차하는 것은 운전자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었으며, 뒷좌석의 탑승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사이드 미러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선을 돌려서 차량의 후방을 직접 확인하지 않는 이상은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를 식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에서 하차하는 탑승자 또는 도어 근처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고, 탑승자의 도어 핸들 조작력에 따라 도어 개폐량 제한을 해지함으로써, 차량으로부터의 안전한 하차를 도울 수 있는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를 통해 감지한 차량의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하차 의사를 감지하는 단계; 탑승자의 하차 의사가 감지되면 물체 감지부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도어 체커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력이 기준세기 이상이면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 감지부를 통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도어로부터 상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한 이후에, 차선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까지의 거리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기준범위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제2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을 감지하기 전에, 차량의 정차 여부 또는 차량의 시동 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또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에 상기 차량의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한 이후에, 상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출력부를 통해서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도어 제어 장치는 도어 체커;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부; 상기 탑승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하차 의사가 감지되고 상기 물체 감지부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도어 체커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력이 기준세기 이상이면,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으로부터 차선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차선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까지의 거리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체 감지부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도어로부터 상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체 감지부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제2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하차 의사가 감지되고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탑승자에게 경고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또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에 상기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를 통해 상기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자가 차량에서 하차하고자 할 때 도어 근처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도어 개폐량을 제한함으로써, 하차 중에 발생하는 탑승자의 충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핸들에 대한 조작력에 기초하여 도어 개폐량의 제한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등에 탑승자는 신속하게 차량에서 하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제어 장치는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10), 물체 감지부(30), 제어부(50) 및 도어 체커(70)를 포함한다.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10)는 차량의 도어 핸들(미도시)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을 감지한다. 즉, 차량의 도어 핸들의 개방을 위해 탑승자로부터 힘이 가해지는지를 감지하기 위해서 핸들 조작 감지부(10)는 가압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탑승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방법은 전술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기술을 통해서 핸들 조작 감지부(10)는 탑승자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 조작 감지부(10)는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50)로 전달한다.
물체 감지부(30)는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물체 감지부(30)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도어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한다.
이 때, 제1기준범위는 탑승자가 차량으로부터 하차할 때 물체로부터 위해가 가해질 수 있을 정도의 물체와의 거리를 의미하며, 도어의 개방 각도나 사용자의 선택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물체 감지부(30)는 차량의 후방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후방 감지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구성을 추가할 필요없이 기존의 장치를 통해서 차량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10)와 물체 감지부(30)를 통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에서 하차하는 탑승자에게 위해가 될 수 있는 물체가 있는지 판단하고, 위해가 될 수 있는 물체가 감지되면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10)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하차 의사를 감지한다. 즉, 차량 내부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방향으로 도어 핸들이 조작되었다는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탑승자에게 하차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탑승자의 하차 의사가 감지되면, 제어부(50)는 물체 감지부(30)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고, 제1기준범위 이내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도어 체커(70)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으로부터 탑승자가 하차하려고 할 때, 전방 또는 후방 도어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에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도어를 100% 개방하지 않고 개폐량을 제한함으로써, 차량으로 접근하는 물체로 인해 하차하는 탑승자에게 위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한다.
이 때, 제어부(50)는 제1기준범위 이내에서 감지되는 물체와 차량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다르게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물체 감지부(30)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제2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고, 제2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즉,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에 제어부(50)는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다가, 해당 물체가 차량으로부터 제2기준범위 이내에서 감지되는 경우에는 도어의 개방 자체를 제한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기준범위는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것만으로도 물체로부터 위해가 가해질 수 있을 정도의 물체와의 거리를 의미하며, 사용자의 설정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10)를 통해 감지한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력이 기준세기 이상이면,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지 않는다.
즉, 교통 사고 등으로 차량에 위해가 가해진 경우에는, 탑승자의 신속한 탈출을 위해서 차량 주변에 물체가 감지되는지와 무관하게 도어가 100% 개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탑승자의 조작력이 기준세기 이상이면,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해서 기준세기는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의 도어 핸들에 대한 조작력으로 설정되며, 탑승자의 선택 등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어 체커(70)는 차량의 바디와 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의 바디와 도어 내측에 각각 연결되어 도어의 개폐시에 도어 내측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도어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도어 체커(70)를 통해서 도어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유압 조절 방식에 따라서 도어의 개폐량을 조절하거나 전자석 등을 통해서 도어 체커(70)를 당기는 힘을 변경하여 도어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기타 공지 또는 공지되지 않은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는 탑승자의 하차 의사가 감지되고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탑승자에게 경고를 출력하는 출력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탑승자의 하차에 위해가 될 수 있는 물체가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에 감지되면 제어부(50)는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기 때문에, 탑승자는 자신이 의도한 대로 도어가 개방되지 않아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출력부(80)는 도어 주변에 물체가 감지되면 이를 탑승자에게 경고하여 알릴 수 있으며, 시각적인 경고를 위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또는 청각적인 경고를 위한 알람(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는 차량으로부터 차선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차선 감지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탑승자가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려고 할 때, 제어부(50)는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만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추가로 차선까지의 거리를 반영할 수 있다.
즉, 현재는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에 물체가 감지되지 않지만, 탑승자가 하차하는 순간 과속하면서 탑승자 근처로 접근하는 차량 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차선까지의 거리를 반영하여 도어 개폐량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선까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제어부(50)는 도어가 개방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작도록 제한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한 하차를 돕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의 구현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50)는 차량의 정차 여부를 판단하고(S10),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에는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10)를 통해서 차량의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을 감지한다(S20).
즉, 탑승자가 도어 핸들을 조작하여 차량으로부터 하차하기 위해서는 차량이 우선 정차된 상태여야 한다. 다만, 차량이 정차하기 전에 탑승자가 도어 핸들을 조작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 차량의 주행 중에는 도어 핸들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과의 중첩 방지와 보다 정확하게 탑승자의 하차 의사를 감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을 감지하기 전에 차량의 정차 여부를 우선해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시동이 온 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 이하로 떨어지고, 해당 속도가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에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기준속도란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속도로서 차량이 멈춘 상태에서도 속도가 정확한 제로(0)값으로 측정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기 위한 임계값으로 설정되고, 설정 시간이란 다시 주행 상태로 변경되지 않을 것이라 신뢰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된다.
다만, 전술한 판단 방법은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제어부(50)는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이 정차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50)는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하차 의사가 감지되면(S30), 물체 감지부(30)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한다(S40).
그리고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제어부(50)는 추가적으로 차선 감지부(90)를 통해서 차량으로부터 차선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S50).
이어서 제어부(50)는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10)를 통해 감지한 탑승자의 조작력이 기준세기 이상인지 판단하고(S60), 탑승자의 조작력이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에 한해서 도어 체커(70)를 제한함으로써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한다(S70).
즉, 탑승자가 하차하려는 상황에서 현재는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에 물체가 감지되지 않지만, 탑승자가 하차하는 순간 과속하면서 탑승자 근처로 접근하는 차량 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차선까지의 거리를 추가로 반영하여 도어 개폐량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선까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제어부(50)는 도어가 개방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작도록 제한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한 하차를 돕는다.
또한, 교통 사고 등으로 차량에 위해가 가해진 경우에는 탑승자의 신속한 탈출을 위해서, 차량 주변에 물체가 감지되는지와 무관하게 도어가 100% 개방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어부(50)는 전술한 단계(S60)에서 탑승자의 조작력이 기준세기 이상인지를 추가로 판단한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전술한 단계(S40)에서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출력부(80)를 통해서 경고를 출력함으로써 탑승자에게 도어 주변의 물체의 존재를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즉, 시동이 온 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 이하로 떨어지고, 해당 속도가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에 탑승자의 하차 의사를 감지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에 의해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는 경우에도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10)를 통해 탑승자의 하차 의사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시동이 오프되면 실제로 운전자가 도어 핸들에 대한 조작을 할 때까지는,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10) 또는 물체 감지부(30) 등을 오프시키지 않고 대기 상태로 유지함이 타당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가 차량에서 하차하고자 할 때 도어 근처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도어 개폐량을 제한함으로써, 하차 중에 발생하는 탑승자의 충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어 핸들에 대한 조작력에 기초하여 도어 개폐량의 제한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등에 탑승자는 신속하게 차량에서 하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
30: 물체 감지부
50: 제어부
70: 도어 체커
80: 출력부
90: 차선 감지부

Claims (12)

  1. 제어부가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를 통해 감지한 차량의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하차 의사를 감지하는 단계;
    탑승자의 하차 의사가 감지되면 물체 감지부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도어 체커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력이 기준세기 이상이면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지 않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한 이후에, 차선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까지의 거리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 감지부를 통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도어로부터 상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기준범위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제2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을 감지하기 전에, 차량의 정차 여부 또는 차량의 시동 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또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에 상기 차량의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한 이후에, 상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출력부를 통해서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7. 도어 체커;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부;
    상기 탑승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하차 의사가 감지되고 상기 물체 감지부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도어 체커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력이 기준세기 이상이면, 차량의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지 않고,
    차량으로부터 차선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차선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까지의 거리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도어 개폐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제어 장치.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감지부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도어로부터 상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제어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감지부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제2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제어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탑승자의 하차 의사가 감지되고 차량으로부터 제1기준범위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면, 탑승자에게 경고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제어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또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에 상기 도어 핸들 조작 감지부를 통해 상기 도어 핸들에 대한 탑승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제어 장치.
KR1020140018008A 2014-02-17 2014-02-17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859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008A KR101859429B1 (ko) 2014-02-17 2014-02-17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008A KR101859429B1 (ko) 2014-02-17 2014-02-17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07A KR20150097007A (ko) 2015-08-26
KR101859429B1 true KR101859429B1 (ko) 2018-05-21

Family

ID=5405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008A KR101859429B1 (ko) 2014-02-17 2014-02-17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4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474A (ko) 2019-09-24 2021-04-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방법
KR20220014079A (ko) 2020-07-28 2022-02-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454B1 (ko) * 2017-06-27 2019-01-30 대한민국 차량 하차 안전장치
KR102420218B1 (ko) * 2017-10-21 2022-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9841A (ko) * 2018-12-07 2020-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안전 하차 보조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7033B1 (ko) * 2019-11-22 2020-02-13 주식회사 경신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KR102532324B1 (ko) * 2020-06-12 202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1365A (ja) * 2006-05-30 2007-12-13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車用ドアの開動作規制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1365A (ja) * 2006-05-30 2007-12-13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車用ドアの開動作規制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474A (ko) 2019-09-24 2021-04-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방법
KR20220014079A (ko) 2020-07-28 2022-02-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07A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429B1 (ko) 차량의 도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1518376B2 (en) Saddle-ride vehicle with autonomous braking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201540B1 (ko) 전동킥보드의 안전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471909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US9205816B2 (en) Vehic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US957365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maintenance situation in a two-wheeled vehicle
JP5803832B2 (ja) 緊急退避支援装置
WO2016027412A1 (ja) 車載制御装置
KR101478068B1 (ko)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63394A (ko) 차량에 탑승한 유아의 안전을 위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2170A (ko) 차량의 후방 충돌 방지 장치
JP6216290B2 (ja) 車両制御装置
JP2009041209A (ja) 車輌ドアシステム
JP2017019419A (ja) 車輛用ドア開閉制御装置およびドア開閉制御システム、ドア開閉予告システム
EP2772392A1 (en) Signal cancelling device for rocking vehicle
JP4918922B2 (ja) 乗員保護装置
JP2002225560A (ja) 車両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4009935B2 (ja) 自動車の下り坂でのコーナーリング時危険を警報する方法
JP2014026332A (ja) 緊急退避支援装置
KR102322300B1 (ko)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
WO2019035640A1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JP6166691B2 (ja) 車両制動装置
KR20190000493U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CN209257993U (zh) 外后视镜关闭提醒装置及车辆
KR20120045596A (ko) 사각지대차량 추돌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