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192A - 차량의 테일 게이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테일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192A
KR20230055192A KR1020210138615A KR20210138615A KR20230055192A KR 20230055192 A KR20230055192 A KR 20230055192A KR 1020210138615 A KR1020210138615 A KR 1020210138615A KR 20210138615 A KR20210138615 A KR 20210138615A KR 20230055192 A KR20230055192 A KR 20230055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ate body
gate
tailgate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제
박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210138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5192A/ko
Publication of KR20230055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fol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lding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9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gas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테일 게이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는 차량의 후방 측 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바디로 이루어진 바디유닛, 상기 바디유닛 중, 제1게이트 바디와 차체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체결되는 제1리프터, 및 상기 제1게이트 바디와, 상기 바디유닛 중, 제2게이트 바디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체결되는 제2리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테일 게이트{TAIL GAT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도 열릴 수 있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도어는 승객이 출입하기 위한 개폐기능과 함께 승객 및 차량 내부를 외부의 비 또는 바람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RV 차량이나 승합 차량과 같이 후방의 넓은 개방 면적이 요구되는 차량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가 설치된다.
상기 테일 게이트의 일단에는 개폐를 위한 핸들과 연결 설치된 테일 게이트 래치가 설치되어 테일 게이트의 개폐 작동을 도모한다.
일반적인 테일 게이트는 차량의 후방 측 전체를 덮는 내측패널과, 상기 내측 패널에 설치되는 래치 모듈과, 차체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로 구성된다.
상기 테일 게이트를 개폐시킬 때, 테일 게이트의 래치가 스트라이커와 연계 동작하면서 테일 게이트를 잠금 해제시킬 수 있게 구성되었다.
한편, 종래의 차량과 장애물 사이 공간이 좁은 경우 내측패널을 완전히 개방하지 못하여 승객이 승하차하거나, 짐을 적재하는 데에 불편함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개폐 공간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테일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개폐 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도 작동 가능한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후방 측 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바디로 이루어진 바디유닛, 상기 바디유닛 중, 제1게이트 바디와 차체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체결되는 제1리프터, 및 상기 제1게이트 바디와, 상기 바디유닛 중, 제2게이트 바디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체결되는 제2리프터를 포함하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게이트 바디는 차폭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차체와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는 제1리프터에 의해 상기 차체와의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리프터는 상기 차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게이트 바디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게이트 바디의 개폐 시,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제1게이트 바디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리프터는 제1모터에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1게이트 바디의 열림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게이트 바디와 차체 사이에는 차실 측 면에, 차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연결부재가 힌지 체결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차체에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제1게이트 바디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브라켓과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1힌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게이트 바디는 차폭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제1게이트 바디와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는 제2리프터에 의해 상기 제1게이트 바디와의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리프터는 상기 제1게이트 바디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게이트 바디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게이트 바디의 회전 시,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제2게이트 바디를 상기 제1게이트 바디로부터 일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리프터는 제2모터에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2게이트 바디의 회전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게이트 바디와 제2게이트 바디 사이에는 차실 측 면에, 차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부재가 힌지 체결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1게이트 바디에 장착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게이트 바디에 장착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힌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는 개폐 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도 작동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상기 차량의 테일 게이트는 차량의 후방 측을 구성하는 바디유닛을 두개의 구성으로 나누어 제1게이트 바디와 제2게이트 바디로 구성하고, 상기 제1게이트 바디와 제2게이트 바디를 접으면서 차실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의 장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적용되는 제1연결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적용되는 제2연결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테일 게이트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차체"는 게이트 바디가 차량과 체결되는 모든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루프, 차체 프레임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게이트 바디와 제2게이트 바디 또는 제1게이트 바디와 차체간의 체결관계를 대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인접한 게이트 바디 사이 또는 게이트 바디와 차체의 체결관계로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바디를 연결하여 차량의 루프 라인과 연결되는 테일부의 형상을 가변할 수 있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의 장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적용되는 제1연결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적용되는 제2연결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3)는 바디유닛(10), 제1리프터(20), 및 제2리프터(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유닛(10)은 제1게이트 바디(11)와 제2게이트 바디(13)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유닛(10)은 차량의 후방 측 형상을 형성한다.
이에, 상기 바디유닛(10)은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와 제2게이트 바디(13)로 구분되어 차량의 후방을 개방 및 폐쇄한다.
이때,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는 차고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 상기 제2게이트 바디(13)는 차고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는 차폭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차체(1)와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는 제1리프터(20)에 의해 상기 차체(1)와의 각도가 제어된다.
상기 제1리프터(20)는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와 차체(1)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리프터(20)는 상기 차체(1)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에 타단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리프터(20)는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의 개폐 시,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리프터(20)는 제1모터(21)에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1게이트 바디(11)의 열림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리프터(20)는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의 개방 시, 인장되고, 폐쇄 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은 제1게이트 바디(11)와 차체(1) 사이에는 차실 측 면에, 차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연결부재(30)가 힌지 체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결부재(30)는 상기 차체(1)에 장착되는 브라켓(31)과,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에 장착되는 고정부(33)와, 상기 브라켓(31)과 고정부(33)를 연결하는 제1힌지핀(35)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브라켓(31)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3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게이트 바디(13)는 차폭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와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는 제2리프터(40)에 의해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와의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리프터(40)는 제2게이트 바디(13)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리프터(40)는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게이트 바디(13)에 타단이 연결된다.
상기 제2리프터(40)는 상기 제2게이트 바디(13)의 회전 시,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제2게이트 바디(13)를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로부터 일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리프터(40)는 제2모터(41)에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2게이트 바디(13)의 회전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리프터(40)는 상기 제2게이트 바디(13)가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로부터 최대로 회전 시, 수축되고, 폐쇄 시, 복귀된다.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와 제2게이트 바디(13) 사이에는 차실 측 면에, 차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부재(50)가 힌지 체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연결부재(50)는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에 장착되는 제1플레이트(51)와, 상기 제2게이트 바디(13)에 장착되는 제2플레이트(53)와, 상기 제1플레이트(51) 및 제2플레이트(53)를 연결하는 제2힌지핀(55)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테일 게이트의 작동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3)는 개방 시, 차체(1)에 장착된 스트라이커(미도시)와,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응하여 제2게이트 바디(13)에 장착된 가이더(미도시)가 분리된다.
상기 제1리프터(20)가 인장되면서,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가 상기 차체(1)로부터 일정 각도 회전된다.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가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되면, 제2리프터(40)가 수축되면서 상기 제2게이트 바디(13)가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로부터 일정 각도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와 제2게이트 바디(13) 사이의 경계가 차량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2게이트 바디(13)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리프터가 더욱 수축되면서,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가 차체(1)로부터 완전히 열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3)는 개폐 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도 작동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상기 차량의 테일 게이트(3)는 차량의 후방 측을 구성하는 바디유닛(10)을 두개의 구성으로 나누어 제1게이트 바디(11)와 제2게이트 바디(13)로 구성하고, 상기 제1게이트 바디(11)와 제2게이트 바디(13)를 접으면서 차실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체
3: 테일 게이트
10: 바디유닛
11: 제1게이트 바디
13: 제2게이트 바디
20: 제1리프터
21: 제1모터
30: 제1연결부재
31: 브라켓
33: 고정부
35: 제1힌지핀
40: 제2리프터
41: 제2모터
50: 제2연결부재
51: 제1플레이트
53: 제2플레이트
55: 제2힌지핀

Claims (9)

  1. 차량의 후방 측 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바디로 이루어진 바디유닛;
    상기 바디유닛 중, 제1게이트 바디와 차체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체결되는 제1리프터; 및
    상기 제1게이트 바디와, 상기 바디유닛 중, 제2게이트 바디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체결되는 제2리프터;
    를 포함하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이트 바디는
    차폭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차체와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는 제1리프터에 의해 상기 차체와의 각도가 제어되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프터는
    상기 차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게이트 바디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게이트 바디의 개폐 시,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제1게이트 바디를 회전시키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프터는
    제1모터에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1게이트 바디의 열림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이트 바디와 차체 사이에는
    차실 측 면에, 차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연결부재가 힌지 체결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차체에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제1게이트 바디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브라켓과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1힌지핀을 포함하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게이트 바디는
    차폭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제1게이트 바디와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는 제2리프터에 의해 상기 제1게이트 바디와의 각도가 제어되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프터는
    상기 제1게이트 바디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게이트 바디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게이트 바디의 회전 시,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제2게이트 바디를 상기 제1게이트 바디로부터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프터는
    제2모터에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2게이트 바디의 회전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이트 바디와 제2게이트 바디 사이에는
    차실 측 면에, 차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부재가 힌지 체결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1게이트 바디에 장착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게이트 바디에 장착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힌지핀을 포함하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
KR1020210138615A 2021-10-18 2021-10-18 차량의 테일 게이트 KR20230055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615A KR20230055192A (ko) 2021-10-18 2021-10-18 차량의 테일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615A KR20230055192A (ko) 2021-10-18 2021-10-18 차량의 테일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192A true KR20230055192A (ko) 2023-04-25

Family

ID=8610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615A KR20230055192A (ko) 2021-10-18 2021-10-18 차량의 테일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51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1492B2 (en) Motor vehicle with a cargo space and cargo space door
US7980621B2 (en) Vehicle rear door articulating mechanism
JP2006240611A (ja) 車両用ドアシステム
US20030127874A1 (en) Decklid and luggage compartment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CN109610968B (zh) 汽车滑移门系统和汽车
US20230313590A1 (en) Hinge based counterbalance mechanism
JP2514650Y2 (ja) 後部ドアに副ドアを併設した車両
US9783028B1 (en) Powered dual closure system for vehicles
US8167357B2 (en) Dual action rear hatch
US4976488A (en) Motor-vehicle with sliding doors
KR20230055192A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US3406483A (en) Combination hinge-latch device
JP2005053315A (ja) 車両の後部開閉構造
US20220412137A1 (en) Door hinge device of vehicle
KR10252250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힌지 마운팅 유닛
JP4305105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US6089648A (en) Motor vehicle including a retractable closure panel
US20240066962A1 (en) Tilting type vehicle trunk door
JP3238473U (ja) 輸送機器用折れ戸
KR20200087667A (ko) 테일게이트와 루프 오픈 구조 및 그 장착 방법
KR10038044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JP3244639U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構造
US20230051909A1 (en) Door pinch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S5851613Y2 (ja) 車輌等の窓開閉装置
JP2584627Y2 (ja) はね上げ式ドアの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