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727B1 - 종이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종이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727B1
KR102531727B1 KR1020210028896A KR20210028896A KR102531727B1 KR 102531727 B1 KR102531727 B1 KR 102531727B1 KR 1020210028896 A KR1020210028896 A KR 1020210028896A KR 20210028896 A KR20210028896 A KR 20210028896A KR 102531727 B1 KR102531727 B1 KR 102531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aper
junction
wal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021A (ko
Inventor
호현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나
Priority to KR1020210028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727B1/ko
Priority to PCT/KR2022/003090 priority patent/WO2022186655A1/ko
Publication of KR2022012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커버하는 종이 뚜껑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개구되는 일측을 커버하는 뚜껑본체부와, 상기 뚜껑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본체부를 둘러싸며,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뚜껑측부와, 상기 뚜껑측부의 일측 단부는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측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뚜껑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측부는, 상기 뚜껑본체부의 최외곽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뚜껑본체벽과, 상기 뚜껑본체벽 내측면과 접합되는 뚜껑내벽과, 상기 뚜껑본체벽 외측면과 접합되는 뚜껑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내벽, 상기 뚜껑외벽, 및 상기 뚜껑절곡부는 상측 원호부와 하측 원호부를 갖는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뚜껑절곡부에 형성된 제1 접합라인은 상기 뚜껑측부에 형성된 제2 접합라인에서 연장된 가상선 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종이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Cup lid and recepta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이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fast food), 테이크아웃(take out) 전문점, 커피 전문점 등에서는 커피, 음료수 등을 수용하는 컵을 제공하며, 이러한 컵은 종이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컵은 대개 일회용으로 편리하게 사용되며,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막거나, 보온 및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을 사용하여 커버하게 된다.
종래 뚜껑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뚜껑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 후 처리가 용이하지 않고, 환경 문제를 야기시키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일의 플라스틱 면을 가공하여 컵을 커버하였으므로 강도가 약하였으며, 컵과 뚜껑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돌출부와 홈부가 형성되어야 하는 등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뚜껑측부가 뚜껑본체부를 감싸는 종이 뚜껑이 수용부를 커버하며, 수용부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수용부 내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종이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커버하는 종이 뚜껑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개구되는 일측을 커버하는 뚜껑본체부와, 상기 뚜껑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본체부를 둘러싸며,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뚜껑측부와, 상기 뚜껑측부의 일측 단부는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측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뚜껑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측부는, 상기 뚜껑본체부의 최외곽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뚜껑본체벽과, 상기 뚜껑본체벽 내측면과 접합되는 뚜껑내벽과, 상기 뚜껑본체벽 외측면과 접합되는 뚜껑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내벽, 상기 뚜껑외벽, 및 상기 뚜껑절곡부는 상측 원호부와 하측 원호부를 갖는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뚜껑절곡부에 형성된 제1 접합라인은 상기 뚜껑측부에 형성된 제2 접합라인에서 연장된 가상선 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부는 상기 제2 접합라인에서 상기 뚜껑절곡부 상으로 연장된 가상선과 상기 제1 접합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뚜껑절곡부의 영역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측 원호부의 길이는 상기 하측 원호부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이 서로 어긋나도록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의 상기 일단이 상기 타단을 덮는 경우, 상기 타단의 상측 원호부가 상기 일단에 대해 노출되도록 접합하고, 상기 종이 띠의 상기 타단이 상기 일단을 덮는 경우, 상기 일단의 상측 원호부가 상기 타단에 대해 노출되도록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의 일단은 상기 하측 원호부에서 코너가 제거된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절개부를 포함하는 제1 접합부와, 상기 타단의 제2 접합부와,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 사이의 중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접합부가 상기 제1 접합부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절개부에 의해 폭이 좁아진 제1 접합소부, 상기 제2 접합부에 의해 덮히는 제1 접합부 중 상기 제1 접합소부를 제외한 제2 접합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소부 영역에서의 상기 뚜껑측부의 종단면은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 접합부, 상기 뚜껑본체벽, 상기 제1 접합소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소부 영역에서의 상기 뚜껑측부의 종단면은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 접합부, 상기 제2 접합소부, 상기 뚜껑본체벽, 상기 제2 접합소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 영역에서의 상기 뚜껑측부의 종단면은 내측으로부터 상기 중심부, 상기 뚜껑본체벽, 및 상기 중심부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높이는 상기 뚜껑본체벽의 높이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높이는 상기 제1 접합소부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폭은 상기 제2 접합소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는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가 접합되고, 상기 절개부의 높이만큼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뚜껑본체부와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가 상기 제1 접합부를 덮는 경우, 상기 제2 접합부의 상기 상측 원호부가 상기 제1 접합부의 상기 상측 원호부 아래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접합부가 상기 제1 접합부를 덮도록 접합되며, 상기 제1 접합부가 상기 제2 접합부를 덮는 경우, 상기 제1 접합부의 상기 상측 원호부가 상기 제2 접합부의 상기 상측 원호부 아래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접합부가 상기 제2 접합부를 덮도록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뚜껑내벽은 그 표면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뚜껑내벽이 형성하는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는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이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부와 상기 종이 띠는 단위면적 당 중량이 100g/m2 내지 400g/m2인 원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커버하는 종이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 뚜껑은, 상기 수용부의 개구되는 일측을 커버하는 뚜껑본체부와, 상기 뚜껑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본체부를 둘러싸며,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뚜껑측부와, 상기 뚜껑측부의 일측 단부는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측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뚜껑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측부는, 상기 뚜껑본체부의 최외곽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뚜껑본체벽과, 상기 뚜껑본체벽 내측면과 접합되는 뚜껑내벽과, 상기 뚜껑본체벽 외측면과 접합되는 뚜껑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내벽, 상기 뚜껑외벽, 및 상기 뚜껑절곡부는 상측 원호부와 하측 원호부를 갖는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뚜껑절곡부에 형성된 제1 접합라인은 상기 뚜껑측부에 형성된 제2 접합라인에서 연장된 가상선 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부는 상기 제2 접합라인에서 상기 뚜껑절곡부 상으로 연장된 가상선과 상기 제1 접합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뚜껑절곡부의 영역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이 서로 어긋나도록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의 상기 일단이 상기 타단을 덮는 경우, 상기 타단의 상측 원호부가 상기 일단에 대해 노출되도록 접합하고, 상기 종이 띠의 상기 타단이 상기 일단을 덮는 경우, 상기 일단의 상측 원호부가 상기 타단에 대해 노출되도록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는, 종이 뚜껑이 뚜껑본체부와 뚜껑측부를 구비하며, 구체적으로 뚜껑측부가 뚜껑본체부의 일측 단부를 둘러싸며 결합 시 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뚜껑본체부와 뚜껑측부의 결합 구조체가 적어도 2이상의 층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강성이 증가되며 종이 뚜껑과 수용부간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이 뚜껑과 수용부가 결합 시 수용부, 구체적으로 수용절곡부가 뚜껑측부와 뚜껑본체벽의 결합 구조체를 외측 방향으로 푸시하는 것에 대하여 상기 결합 구조체 또한 수용절곡부를 수용부의 중심 방향으로 푸시하며 종이 뚜껑과 수용부 간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이 뚜껑과 수용부 간 밀착력이 향상되고, 수용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종이 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3의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종이 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b는 종이 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c는 종이 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5a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형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형상의 측면도이다.
도 6c는 도 5a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d는 도 5a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e는 도 5a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f는 도 5a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g는 도 5a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h는 도 5b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i는 도 5b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을 따라 절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
도 8은 도 2의 BB'을 따라 절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CC'을 따라 절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D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E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F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분해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종이 띠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3의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200)은 수용부(도 16의 100)를 커버하는 것으로, 수용부(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갑작스럽게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이 뚜껑(200)은 뚜껑본체부(210) 및 뚜껑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본체부(210)는 수용부(도 16의 100)의 개구되는 일측을 커버하는 것으로 수용부(100)의 일측 단부와 접촉가능하다.
수용절곡부(110)와 접촉하는 뚜껑본체부(210)의 일면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액체 형태의 음료, 라면, 떡볶이, 과자 등의 고체 등 내용물을 섭취하는 방식을 고려하여 수용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하다.
용기(도 16의 100)의 수용절곡부(도 16의 110)와 접촉하는 뚜껑본체부(210)의 일면의 외측에는 상기 일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수용부(100) 측(도 16 기준 하측) 방향으로 뚜껑본체벽(211)이 돌출되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뚜껑본체부(210)는 뒤에 설명할 뚜껑측부(230)와 별물로서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본체부(210)와 뚜껑본체벽(231)은 원형의 원지이며, 뚜껑본체벽(231)은 원형의 뚜껑본체부(210)의 최외곽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영역에 해당한다. 뚜껑본체벽(231)은 뚜껑본체부(210)의 최외곽에서 아래로 절곡되어 뚜껑측부(230)를 이룰 수 있다.
즉, 뚜껑본체벽(211)은 뚜껑본체부(210)의 최외곽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부분이다. 뚜껑본체벽(211)은 종이 뚜껑(200)과 수용부(100)가 결합 시 수용부(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수용부(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본체벽(211)은 뒤에 설명할 뚜껑측부(230), 구체적으로 뚜껑내벽(233) 또는 뚜껑외벽(2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는 결합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뚜껑본체벽(211)은 수용절곡부(110)가 형성되는 수용부(100)의 외주면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뚜껑본체벽(211)과 뚜껑측부(230) 간 결합은 뚜껑본체벽(211)과 뚜껑측부(230) 사이에 배치되는 코팅층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코팅층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락틱 에시드(polylactic Acid),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LA(Poly Lactic Aci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팅층이 형성된 뚜껑본체벽(211)과 뚜껑측부(230)에 소정 온도의 열이 가해지거나, 소정의 진동수를 갖는 초음파가 가해지면, 코팅층이 녹으면서 접착력이 형성되고, 뚜껑본체부(210)와 뚜껑측부(230)가 접착 결합될 수 있다.
뚜껑본체부(2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부는 수용부(도 16의 100)의 상측 단부와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뚜껑본체부(210)에 형성되는 홀부는 배기홀부(213), 배출홀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홀부(213)는 수용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체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고, 배출홀부(215)는 배기홀부(213)와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수용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배출홀부(215)를 통하여 수용부(100)에 수용되는 액체인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고, 수용부(100)의 내부에 있는 뜨거운 기체는 배기홀부(21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기홀부(213)는 배출홀부(215)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수용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 크기 등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뚜껑측부(230)는 뚜껑본체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본체부(210)를 둘러싸며, 수용부(도 16의 10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측부(230)는 수용부(도 16의 10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뚜껑측부(230)는 수용부(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뚜껑본체부(210), 구체적으로 뚜껑본체벽(211)과 결합이 가능하고 적어도 2이상의 층을 형성하며, 적층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뚜껑측부(230)가 뚜껑본체부(210)와 적어도 2이상의 층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단일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강도가 향상되고, 종이 뚜껑(200)이 수용부(100)를 커버하며 수용부(100)와 결합 시 수용절곡부(110)가 수용부(10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뚜껑측부(230)와 뚜껑본체부(210)의 결합 구조체를 푸싱할 때 이를 견디며, 수용절곡부(110)와의 밀착력 및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뚜껑측부(230)는 뚜껑본체부(210)의 외측 단부의 내외면을 감싸며 수용부(100)의 외측 단부에 접촉가능하다. 즉, 뚜껑측부(230)는 뚜껑본체부(210)의 외측 단부인 뚜껑본체벽(211)의 내외면을 감싸며 수용부(10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수용절곡부(110)에 접촉 가능하다.
뚜껑측부(230)는 일 예로서 뚜껑본체벽(211), 뚜껑내벽(233), 및 뚜껑외벽(235)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본체벽(211)은 원형인 뚜껑본체부(210)의 최외곽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뚜껑본체벽(211)은 뚜껑본체부(210)의 배면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뚜껑내벽(233)은 절곡된 뚜껑본체벽(211)의 내측면과 접합되고, 뚜껑외벽(235)은 절곡된 뚜껑본체벽(211)의 외측면에 접합될 수 있다.
뚜껑절곡부(231)은 뚜껑측부(230)의 일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뚜껑측부(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뚜껑절곡부(231)는 뚜껑측부(230)가 수용부(100)와 이격되는 방향의 상측 단부에 둘레를 따라 뚜껑측부(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뚜껑절곡부(231)는 뚜껑측부(230)의 측면이 둘레를 따라 바깥 방향으로 말리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뚜껑측부(23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뚜껑절곡부(231)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뚜껑절곡부(231)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강성이 확보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수용부(100)를 사용하는 동안 종이 뚜껑(200), 구체적으로 뚜껑측부(230)의 외측 단부가 고정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뚜껑절곡부(231)가 뚜껑측부(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말리는 형상을 가지며 절곡됨으로 인하여, 뚜껑절곡부(231)의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뚜껑절곡부(231)가 말리는 형상으로 곡면을 이루며 내측 공간을 형성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수용부(100)와 이격되는 뚜껑측부(230)의 일측 단부가 꺾임 구조로 각지게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뚜껑절곡부(231)의 외측면에는 제1 접합라인(2311)이 형성되며, 뚜껑측부(230)의 외측면에는 제2 접합라인(2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합라인(2311)과 제2 접합라인(2312)은 뚜껑절곡부(231)와 뚜껑측부(230)를 형성하는 종이띠(20)의 접합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접합라인(2311)과 제2 접합라인(2312)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즉, 제1 접합라인(2311)을 포함하는 가상의 일직선 상에 제2 접합라인(2312)이 위치하지 않는다. 제1 접합라인(2311)과 제2 접합라인(2312)은 불연속적이다.
배출홀부(215)는 제1 접합라인(2311)과 제2 접합라인(2312)에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부(215)는 제2 접합라인(2312)에서 뚜껑절곡부(231) 상으로 연장된 가상선과 제1 접합라인(2311)에 의해 구획되는 뚜껑절곡부(231)의 영역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2 접합라인(2311, 2312)은 종이 띠(20)의 일단과 타단이 접합되고 절곡된 부분이며, 배출홀부(215)는 사용자가 수용부(100)의 액체를 섭취할 수 있는 관통공이므로, 배출홀부(215)을 제1, 2 접합라인(2311, 2312)에 인접하여 배치하면 배출홀부(215)을 통해 유출되는 액체가 제1, 2 접합라인(2311, 2312)으로 흡수되어 종이 뚜껑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출홀부(215)가 제1 접합라인(2311)과 제2 접합라인(2312)에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배출홀부(215)에서 유출되는 내용물로 인한 종이 뚜껑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라인(2311)과 제2 접합라인(2312)은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의 접합 후 절곡에 의해 형성되므로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라인(2311)과 제2 접합라인(2312) 사이에서의 뚜껑측부(230)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두꺼울 수 있으며, 종이 뚜껑(200)이 수용체(100)에 결합된 경우 제1 접합라인(2311) 및 제2 접합라인(2312) 각각의 경계에서 수용체(100)의 수용절곡부(110)와 뚜껑측부(230) 사이에서 이격이 발생할 수 있다. 배출홀부(215)가 제1 접합라인(2311)과 제2 접합라인(2312)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경우, 수용부(100) 내의 내용물, 특히 액체를 음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배출홀부(215) 쪽으로 용기를 기울이게 되면 제1 접합라인(2311) 및 제2 접합라인(2312) 각각의 경계에서 수용절곡부(110)와 뚜껑측부(230) 사이의 이격 틈을 통해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출홀부(215)가 제1 접합라인(2311)과 제2 접합라인(2312)에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수용체(100) 내의 내용물 음용시 상기와 같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뚜껑내벽(233), 뚜껑외벽(235), 및 뚜껑절곡부(231)는 종이 띠(20)의 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띠(20)는 뚜껑내벽(233), 뚜껑외벽(235), 및 뚜껑절곡부(231)의 전개도이다.
종이 띠(20)는 상측 원호부(24a), 하측 원호부(24b), 제1 접합부(21), 제2 접합부(22), 및 중심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원호부(24a)는 종이 띠(20)의 상단이고, 하측 원호부(24b)는 종이 띠(20)의 하단이며, 제1 접합부(21)는 종이 띠(20)의 일단이고, 제2 접합부(22)는 종이 띠(20)의 타단이며, 중심부(23)는 제1 접합부(21)와 제2 접합부(22) 사이에 위치한다.
상측 원호부(24a)의 길이는 하측 원호부(24b)보다 클 수 있다.
뚜껑내벽(233), 뚜껑외벽(235), 및 뚜껑절곡부(231)는 상측 원호부(24a)의 길이가 하측 원호부(24b)의 길이보다 큰 종이 띠(20)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하고 상단부와 하단부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상측 원호부(24a)과 하측 원호부(24b)의 길이 차이로 인하여 뚜껑측부(230)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게 된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제1 접합부(21)와 제2 접합부(22)는 서로 접합된다. 도 4a와 같이, 제2 접합부(22)가 제1 접합부(21)을 덮도록 접할 수 있으며, 도 4b와 같이 제1 접합부(21)가 제2 접합부(22)를 덮도록 접합 수 있다.
종이 띠(20)의 일단(제1 접합부(21))과 타단(제2 접합부(22))은 서로 어긋나도록 접합할 수 있다. 즉, 제1 접합부(21)와 제2 접합부(22)를 접합하는 경우, 덮히는 접합부의 상측 코너가 노출되도록 접합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띠(20)의 타단인 제2 접합부(22)가 종이 띠(20)의 일단인 제1 접합부(21)를 덮는 경우, 제2 접합부(22)의 상측 원호부(24a)가 제1 접합부(21)의 상측 원호부(24a) 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접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2 접합부(21, 22)의 접합 후 제2 접합부(22)의 상측 원호부(24a)보다 제1 접합부(21)의 상측 원호부(24a)가 높게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1 접합부(21)의 상측 코너가 노출된다. 접합된 종이 띠(20)에서 접합부 상부에서는 제1 접합부(21)가 제2 접합부(22) 위에 있으며, 접합부 하부에서는 제2 접합부(22)가 제1 접합부(2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띠(20)의 일단인 제1 접합부(21)가 종이 띠(20)의 타단인 제2 접합부(22)를 덮는 경우, 제1 접합부(21)의 상측 원호부(24a)가 제2 접합부(22)의 상측 원호부(24a) 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접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2 접합부(21, 22)의 접합 후 제1 접합부(21)의 상측 원호부(24a)보다 제2 접합부(22)의 상측 원호부(24a)가 높게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2 접합부(22)의 상측 코너가 노출된다. 접합된 종이 띠(20)에서 접합부 상부에서는 제2 접합부(22)가 제1 접합부(21) 위에 있으며, 접합부 하부에서는 제1 접합부(21)가 제2 접합부(2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합부(21)와 제2 접합부(22)를 어긋나게 접합함으로써 뚜껑절곡부(231)의 완성도를 높이고, 뚜껑내벽(233)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접합부(21)와 제2 접합부(22)의 접합 이후, 접합된 종이 띠(2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뚜껑본체벽(211)이 절곡된 뚜께본체부(210)가 배치되고, 상측 원호부(24a)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뚜껑절곡부(231)를 형성하고, 하측 원호부(24b)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뚜껑내벽(233)을 형성된다. 접합된 종이 띠(20)의 상측 원호부(24a)의 외측 방향 절곡의 경우, 접합부에서 제1 접합부(21)가 제2 접합부(22) 위에서 절곡되므로 제1 접합부(21)의 절곡 반경이 제2 접합부(22)의 절곡 반경에 비해 더 크게 되는바, 상측 원호부(24a)에서 제1 접합부(21)가 제2 접합부(22) 위에 배치되도록 접합함으로써 절곡후 제1 접합부(21)가 제2 접합부(22)를 완전히 덮는 뚜껑절곡부(231)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접합된 종이 띠(20)의 하측 원호부(24b)의 내측 방향 절곡의 경우, 접합부에서 제2 접합부(22)가 제1 접합부(21) 아래에서 절곡되므로 제2 접합부(22)의 절곡 반경이 제1 접합부(21)의 절곡 반경에 비해 더 크게 되는바, 절곡후 제2 접합부(22)가 제1 접합부(21)를 완전히 덮는 뚜껑내벽(233)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절곡으로 인한 뚜껑내벽(233)의 틈을 제거하여 용기(1)와의 밀폐성을 높여 수용체의 누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a는 종이 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5b는 종이 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c는 종이 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면, 종이 띠(20)의 일단에는 절개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개부(25)는 종이 띠(20)의 일단인 제1 접합부(21)의 하부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25)는 제1 접합부(21)의 하측 원호부(24b)를 포함하는 모서리가 절개된 형태일 수 있다. 절개부(25)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25)일 수 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25')일 수 있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25”)일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절개부(25, 25', 25”)의 예시일 뿐이며, 하측 원호부(24b)의 모서리가 제거되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절개부(25)의 높이(25a)만큼 종이 띠(20)는 절곡될 수 있다. 즉, 종이 띠(20)는 그 일단과 타단이 접합된 후, 상측 원호부(24a)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뚜껑절곡부(231)가 형성되고, 하측 원호부(24b)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뚜껑내벽(233)을 형성된다. 하측 원호부(24b)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될 때, 절개부(25)의 높이(25a)를 따라 절곡될 수 있다. 절개부(25)의 높이(25a)는 뚜껑내벽(233)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종이 띠(20)가 접합되어 절곡되는 부분에 절개부(25)가 형성됨으로써 뚜껑측부(230)가 두꺼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종이 띠(20)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하고 절곡하여 뚜껑측부(230)를 형성하는 경우, 제1 접합부(21)와 제2 접합부(22)가 접합되는 접합부는 중심부(23)에 비해 두께가 두배가 되어 절곡 공정의 작업성이 악화된다. 절곡 작업성 향상을 위해 접합부의 면적을 작게 하면 접합 면적의 감소로 견고함이 훼손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종이 띠(20)의 일 모서리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고 절개부를 포함하도록 종이 띠(20)를 접합하면, 접합면을 충분히 확보하여 종이 뚜껑(200)의 견고함을 담보할 수 있으며, 절개부에서는 두께가 감소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개부(25) 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뚜껑내벽(233)을 형성하므로, 접합부에서도 뚜껑내벽(233)의 두께가 중심부(23)와 동일하므로 수용부(100)와 결합시 수용부(100)의 수용절곡부(110)와의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종이 띠(20)에 절개부(25)가 없다면 제1 접합부(21)과 제2 접합부(22)의 접합부는 중심부(23)에 비해 두께가 두배되고, 하측 원호부(24b)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뚜껑내벽(233)을 형성하면 절곡된 접합부는 절곡된 중심부(23)에 비해 두꺼워지므로 종이 뚜껑과 수용부(100)의 결합시 수용절곡부(110)와 틈이 생겨 수용체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이 띠(20)의 절개부(25)로 인해 용기와의 밀폐성을 향상시켜 수용체가 누수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제1 접합부(21)는 제1 접합소부(21a)와 제2 접합소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소부(21a)는 절개부(25)에 의해 폭이 좁아진 부분이며, 제2 접합소부(21b)는 제2 접합부(22)에 의해 덮히는 제1 접합부(21) 중 제1 접합소부(21a)를 제외한 부분일 수 있다. 제1 접합소부(21a)의 높이는 절개부(25)의 높이(25a)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접합소부(21b)의 폭은 절개부(25)의 폭(25b)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도 6a 내지 6c는 뚜껑측부(230)를 형성하기 위해 종이 띠(20)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형상을 도시한다. 도 6a는 도 5a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형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형상의 측면도이다. 도 6c는 도 5a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제2 접합부(22)로 제1 접합부(21)를 덮을 수 있다. 즉, 제2 접합부(22)는 제1 접합부(21)의 절개부(25)를 덮도록 제1 접합소부(21a)와 제2 접합소부(21b)를 덮는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21)로 제2 접합부(22)를 덮을 수 있다.
제2 접합부(22)가 제1 접합부(21)를 덮는 경우, 제2 접합부(22)의 상측 원호부(24a)가 제1 접합부(21)의 상측 원호부(24a) 아래 위치하도록 제2 접합부(22)가 제1 접합부(21)를 덮도록 접합될 수 있다. 즉, 제1 접합부(21)의 상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2 접합부(22)와 제1 접합부(21)가 어긋나게 접합된다. 접합된 종이 띠(20)에서 접합부 상부에서는 제1 접합부(21)가 제2 접합부(22) 위에 있으며, 접합부 하부에서는 제2 접합부(22)가 제1 접합부(2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합부(21)와 제2 접합부(22)를 어긋나게 접합함으로써 뚜껑절곡부(231)의 완성도를 높이고, 뚜껑내벽(233)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접합부(21)와 제2 접합부(22)의 접합 이후, 접합된 종이 띠(2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뚜껑본체벽(211)이 절곡된 뚜께본체부(210)가 배치되고, 상측 원호부(24a)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뚜껑절곡부(231)를 형성하고, 하측 원호부(24b)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뚜껑내벽(233)을 형성된다. 접합된 종이 띠(20)의 상측 원호부(24a)의 외측 방향 절곡의 경우, 접합부에서 제1 접합부(21)가 제2 접합부(22) 위에서 절곡되므로 제1 접합부(21)의 절곡 반경이 제2 접합부(22)의 절곡 반경에 비해 더 크게 되는바, 상측 원호부(24a)에서 제1 접합부(21)가 제2 접합부(22) 위에 배치되도록 접합함으로써 절곡후 제1 접합부(21)가 제2 접합부(22)를 완전히 덮는 뚜껑절곡부(231)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접합된 종이 띠(20)의 하측 원호부(24b)의 내측 방향 절곡의 경우, 접합부에서 제2 접합부(22)가 제1 접합부(21) 아래에서 절곡되므로 제2 접합부(22)의 절곡 반경이 제1 접합부(21)의 절곡 반경에 비해 더 크게 되는바, 절곡후 제2 접합부(22)가 제1 접합부(21)를 완전히 덮는 뚜껑내벽(233)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절곡으로 인한 뚜껑내벽(233)의 틈을 제거하여 수용부(100)와의 밀폐성을 높여 수용체의 누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종이 띠(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21)와 제2 접합부(22)가 접합되고, 절개부(25)의 높이(25a) 만큼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뚜껑본체벽(211)과 접합될 수 있다.
절개부(25)의 높이(t)는 뚜껑본체벽(211)의 높이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절개부(25)의 높이는 뚜껑내벽(233)의 높이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라, 종이 띠(20)의 하측 원호부(24b)에서 절곡되는 뚜껑내벽(233)은 뚜껑본체벽(211)을 덮을 수 있다.
도 6d는 도 5a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e는 도 5a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즉, 도 6d 및 도 6e는 절개부(25) 형상이 단차인 도 5a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d는 제1 접합부(21)가 제2 접합부(22)를 덮도록 접합된 부분을 도시하며, 도 6e는 제2 접합부(22)가 제1 접합부(22)를 덮도록 접합된 부분을 도시한다. 도 6d 및 도 6e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접합소부(21a)까지만 접합되고 제2 접합소부(21b)는 접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21)의 제1 접합소부(21a)가 제2 접합부(22)를 덮을 수 있으며, 제2 접합소부(21b)는 제2 접합부(22)를 덮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합부(22)가 제1 접합부(21)의 제1 접합소부(21a)를 덮을 수 있으며, 제2 접합소부(21b)는 제2 접합부(22)에 의해 덮지 않을 수 있다.
도 6f는 도 5a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g는 도 5a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f는 제1 접합부(21)가 제2 접합부(22)를 덮도록 접합된 부분을 도시하며, 도 6e는 제2 접합부(22)가 제1 접합부(22)를 덮도록 접합된 부분을 도시한다. 도 6d 및 도 6e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접합소부(21a)의 일부만 접합되고 제1 접합소부(21a)의 다른 부분과 제2 접합소부(21b)는 접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21)의 제1 접합소부(21a)의 일부가 제2 접합부(22)를 덮을 수 있으며, 제1 접합소부(21a)의 나머지 부분과 제2 접합소부(21b)는 제2 접합부(22)를 덮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합부(22)가 제1 접합부(21)의 제1 접합소부(21a) 일부를 덮을 수 있으며, 제1 접합소부(21a) 나머지 부분과 제2 접합소부(21b)는 제2 접합부(22)에 의해 덮지 않을 수 있다.
도 6h는 도 5b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i는 도 5b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즉, 도 6h 및 도 6i는 절개부(25) 형상이 테이퍼인 도 5b에 도시된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한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합부(22)는 제1 접합소부(21'a) 및 제2 접합소부(21'b)를 덮을 수 있으며,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소부(21'a) 및 제2 접합소부(21'b)가 제2 접합부(22)를 덮도록 접합할 수 있다.
도 6e 내지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소부(21'a) 만 또는 제1 접합소부(21'a) 일부만 덮거나 덮힐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AA'을 따라 절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중심부(23)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뚜껑측부(230)가 뚜껑본체부(210)의 단부, 구체적으로 뚜껑본체부(210)를 감싸며 결합됨으로 인하여, 종이 뚜껑(20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뚜껑내벽(233), 뚜껑본체벽(211), 뚜껑외벽(235) 순서로 적층되며 3개의 층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수용부(100), 구체적으로 수용절곡부(110)와 접촉하는 종이 뚜껑(200)의 뚜껑본체부(210), 뚜껑측부(230)의 결합 구조체가 3개의 층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수용절곡부(110)와의 밀착력이 향상되어 수용부(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BB'을 따라 절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BB'은 제1 접합소부(21a)가 포함되는 가상의 절취선이다. 제1 접합소부(21a) 영역에서는 절개부(25)가 위치하므로, 뚜껑측부(230)의 종단면은 내측으로부터 제2 접합부(22), 뚜껑본체벽(211), 제1 접합소부(21a), 및 제2 접합부(22)로 적층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CC'을 따라 절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CC'은 제2 접합소부(21b)가 포함되는 가상의 절취선이다. 제2 접합소부(21b) 영역에서의 뚜껑측부(230)의 종단면은 내측으로부터 제2 접합부(22), 제2 접합소부(21b), 뚜껑본체벽(211), 제2 접합소부(21b), 및 제2 접합부(22)로 적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D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뚜껑내벽(233)의 내측면에는 뚜껑내벽(233)의 원주를 따라 단턱(26)이 형성될 수 있다.
단턱(26)을 따라 형성되는 내경은 수용절곡부(110)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단턱(26)에서 뚜껑본체부(210)까지의 거리는 수용부(100)의 수용절곡부(110)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이 뚜껑(200)이 수용부(100)에 결합되는 경우, 단턱(26)을 따라 형성되는 내경은 수용절곡부(110)의 외경보다 작지만 종이 재질의 탄력성으로 수용절곡부(110)는 단턱(26)을 넘을 수 있으며, 단턱(26)에서 뚜껑본체부(210)까지의 거리는 수용부(100)의 수용절곡부(110)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수용절곡부(110)는 단턱(26)과 뚜껑본체부(21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단턱(26)이 수용절곡부(110) 아래 위치하여 받쳐주므로 종이 뚜껑(200)이 용기(200)에서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E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뚜껑내벽(233)의 내측 표면에는 복수의 돌출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27)는 일 예로서 빗살무늬일 수 있다. 즉, 돌출부(27)는 뚜껑본체부(210)에서 뚜껑내벽(233)의 하단부 방향으로 사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뚜껑내벽(233)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빗살무늬 형태의 돌출부(27)는 뚜껑내벽(233)과 뚜껑외벽(235)을 뚜껑본체벽(211)에 접합하는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뚜껑본체벽(211)은 뚜껑본체부(210)의 최외곽에서 절곡되는바 뚜껑본체부(211)에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뚜껑내벽(233)에도 빗살무늬의 돌출부(27), 즉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주름이 형성된 뚜껑본체부(211)와 뚜껑내벽(233)의 접합의 완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F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은 뚜껑내벽(233)의 내측면에 단턱(26)과 돌출부(27)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종이 뚜껑의 밀폐성을 높이고, 외부로부터의 투습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200)은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종이 뚜껑(200)이 종이 재질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사용 후 처리하기에 용이하고,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환경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종이 뚜껑(200) 제조에 사용되는 종이는 단위면적 당 중량이 100g/m2 내지 400g/m2인 원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위면적 당 중량이 100g/m2보다 작다면 투습에 취약하고 강도가 약해지며, 단위면적 당 중량이 400g/m2보다 크면 절곡이 어려워 뚜껑 제작에 적합하지 않다.
종이 띠(20)의 적어도 한 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이 내부를 향하도록 하여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이 접합될 수 있다. 코팅층이 종이 뚜껑(200)의 내부를 향하도록 한다.
뚜껑본체부(210)을 이루는 원지는 양면에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락틱 에시드(polylactic Acid),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LA(Poly Lactic Aci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20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종이 뚜껑(200)의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뚜껑본체부(210), 구체적으로 뚜껑본체벽(211)과 뚜껑측부(230)의 결합 구조체의 내경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하게 되고, 홀부가 형성되는 뚜껑본체부(210)의 일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200)이 수용부(100)를 커버하면, 수용절곡부(110)가 뚜껑본체벽(211)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수용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푸싱함으로 인하여 뚜껑본체벽(211)과 뚜껑측부(230)의 결합 구조체에 대한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곡면을 가지는 수용절곡부(110)가 2이상의 지점에서 종이 뚜껑(200)의 내면, 구체적으로 뚜껑본체벽(211)과 뚜껑측부(230)의 결합 구조체에 가압 접촉됨으로 인하여 수용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종이 뚜껑(200)의 내벽을 타고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수용부(100)를 마주보는 종이 뚜껑(200)의 하측 단부의 내경(D1)은 수용절곡부(110)가 형성되는 수용부(100)의 상측 단부의 외경(D2)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측부(230), 구체적으로 뚜껑내벽(233)의 상측 단부 사이의 내경(도 7의 D3)은 수용부(100)의 상측 단부의 외경(D2)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종이 뚜껑(200)으로 수용부(100)를 커버할 때 종이 뚜껑(200)의 단부, 즉 뚜껑측부(230)가 뚜껑본체벽(211)의 내외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결합 구조체가 수용절곡부(110)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결합 구조체가 수용절곡부(110)를 밀며 소정간격 벌어지며 수용부(100)에 끼워지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200)이 수용부(100)에 끼워지게 되면, 수용절곡부(110)는 종이 뚜껑(200)을 외측 방향으로 밀게 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종이 뚜껑(200), 구체적으로 뚜껑측부(230)와 뚜껑본체부(210)의 뚜껑본체벽(211)의 결합 구조체는 수용절곡부(110)를 수용부(100)의 중심 방향으로 밀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종이 뚜껑(200)과 수용부(100), 구체적으로 수용절곡부(110) 사이의 접촉력, 밀착력이 향상되며, 수용부(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종이 뚜껑(200)의 내측면을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분해 정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는, 수용부(100), 종이 뚜껑(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00)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일측(도 16 기준 상측)이 개구될 수 있다.
수용부(100)는 상술한 종이 뚜껑(200)과 결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종이 뚜껑(200)이 수용부(100)를 커버하며, 수용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커피, 음료 등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부(10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용물이 수용되는 영역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원통 형상으로 수용부(100)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내용물이 수용되는 영역의 단면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수용부(100)는 종이 뚜껑(200)을 마주보는 일측(도 16 기준 상측) 단부에는 둘레를 따라 수용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용절곡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절곡부(110)는 수용부(100)의 외측면이 둘레를 따라 바깥 방향으로 말리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부(10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수용절곡부(110)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절곡부(110)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강성이 확보되어 내용물을 수용하는 동안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를 사용하는 동안 수용부(100)의 외측 단부가 고정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수용절곡부(110)가 수용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말리는 형상을 가지며 절곡됨으로 인하여, 수용절곡부(110)의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이 뚜껑(200), 뚜껑측부(230)의 하측 단부(도 17 기준)가 수용부(100)에 형성되는 수용절곡부(110)의 곡면을 따라 하측 방향(도 17 기준)으로 이동되며, 수용부(100)에 결합가능한 효과가 있다.
수용부(100), 구체적으로 수용절곡부(110)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종이 뚜껑(200)이 수용부(100)를 커버하게 되면, 수용절곡부(110)의 내측 공간이 작아지게 된다.
이후에 수용절곡부(110)는 내측 공간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종이 뚜껑(200), 구체적으로 뚜껑측부(230) 및 뚜껑본체부(210)의 뚜껑본체벽(211)의 결합 구조체를 외측 방향으로 푸싱(pushing)한다.
수용부(100)의 일측(도 17 기준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수용절곡부(110)가 뚜껑측부(230) 및 뚜껑본체부(210)의 뚜껑본체벽(211)의 결합 구조체를 외측 방향으로 푸싱하면서, 뚜껑측부(230), 구체적으로 뚜껑내벽(233), 뚜껑외벽(235) 및 뚜껑본체부(210)의 뚜껑본체벽(211)과의 결합 구조체에 더욱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수용부(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절곡부(110)가 말리는 형상으로 곡면을 이루며 내측 공간을 형성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종이 뚜껑(200)을 마주보는 수용부(100)의 일측(도 16 기준 상측) 단부가 꺾임 구조로 각지게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수용부(100)는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00)가 종이 재질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사용 후 처리하기에 용이하고,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환경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는 수용부(100), 종이 뚜껑(2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0)에는 음료 등 액체나 과자와 같은 고체의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종이 뚜껑(200)을 수용부(100)에 끼움으로써 종이 뚜껑(200)과 수용부(1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200)은 뚜껑본체부(210), 뚜껑측부(230)를 포함하고, 뚜껑측부(230)는 뚜껑본체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둘레를 따라 뚜껑본체부(210)를 둘러싸며,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부(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측부(230)는 수용부(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종이 뚜껑(200)의 하측 단부의 내경(D1)이 수용부(100)의 상측 단부의 외경(D2)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수용부(10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수용절곡부(110)가 종이 뚜껑(200)의 하측 단부인 뚜껑측부(230)와 뚜껑본체벽(211)의 결합 구조체를 외측 방향으로 푸시하며 종이 뚜껑(200)이 수용부(100)를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절곡부(110)가 수용부(100)와 마주보는 뚜껑본체부(210)의 일면에 접촉 시 수용절곡부(110)와 접촉 하는 종이 뚜껑(200)의 내경,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뚜껑내벽(233)의 상측 단부의 내경(D3)이 수용절곡부(110)의 외경(D2)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종이 뚜껑(200)과 수용부(100)의 체결 시 접촉력, 수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200)은 뚜껑측부(230)가 뚜껑본체부(210)를 둘러싸며, 적어도 2이상의 층을 형성하며 적층 방식으로 결합됨으로 인하여 단일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수용절곡부(110)의 푸싱에 저항하며 수용부(100)와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200)이 종이 재질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뚜껑본체부(210)와 뚜껑측부(230)가 적층 방식으로 형성되는 결합 구조체의 강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종이 뚜껑(200)이 종이 재질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사용 후 처리하기에 용이하고,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환경 문제를 일으킬 염려가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200), 구체적으로 수용부(100)와 마주보는 뚜껑본체부(210), 뚜껑측부(230)의 결합 구조체의 내경(D1)이 수용부(100)의 상측 단부의 외경(D2)보다 작게 형성되고, 종이 뚜껑(20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됨으로 인하여 종이 뚜껑(200)과 수용부(100) 간 접촉력, 밀착력 만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종이 뚜껑(200)과 수용부(100) 간 접촉력, 밀착력이 향상되며 수용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종이 뚜껑(200)과 수용부(100) 간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턱, 상기 턱이 안착되는 홈부가 요구되지 않아, 구조를 단순화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뚜껑(200)은 뚜껑측부(230)를 형성하는 종이 띠(20)에 절개부(25)를 포함하여 절곡 공정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뚜껑내벽(233)의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용기 100: 수용부
110: 수용절곡부 200: 종이 뚜껑
210: 뚜껑본체부 211: 뚜껑본체벽
213: 배기홀부 215: 배출홀부
230: 뚜껑측부 231: 뚜껑절곡부
233: 뚜껑내벽 235: 뚜껑외벽

Claims (25)

  1.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커버하는 종이 뚜껑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개구되는 일측을 커버하는 뚜껑본체부;
    상기 뚜껑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본체부를 둘러싸며,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뚜껑측부; 및
    상기 뚜껑측부의 일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측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뚜껑절곡부; 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측부는,
    상기 뚜껑본체부의 최외곽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뚜껑본체벽;
    상기 뚜껑본체벽 내측면과 접합되는 뚜껑내벽; 및
    상기 뚜껑본체벽 외측면과 접합되는 뚜껑외벽; 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내벽, 상기 뚜껑외벽, 및 상기 뚜껑절곡부는 상측 원호부와 하측 원호부를 갖는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뚜껑절곡부에 형성된 제1 접합라인은 상기 뚜껑측부에 형성된 제2 접합라인에서 연장된 가상선 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상기 종이 띠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이 서로 어긋나도록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부는 상기 제2 접합라인에서 상기 뚜껑절곡부 상으로 연장된 가상선과 상기 제1 접합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뚜껑절곡부의 영역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원호부의 길이는 상기 하측 원호부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의 상기 일단이 상기 타단을 덮는 경우, 상기 타단의 상측 원호부가 상기 일단에 대해 노출되도록 접합하고,
    상기 종이 띠의 상기 타단이 상기 일단을 덮는 경우, 상기 일단의 상측 원호부가 상기 타단에 대해 노출되도록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의 일단은 상기 하측 원호부에서 코너가 제거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절개부를 포함하는 제1 접합부;
    상기 타단의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 사이의 중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접합부가 상기 제1 접합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절개부에 의해 폭이 좁아진 제1 접합소부;
    상기 제2 접합부에 의해 덮히는 제1 접합부 중 상기 제1 접합소부를 제외한 제2 접합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소부 영역에서의 상기 뚜껑측부의 종단면은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 접합부, 상기 뚜껑본체벽, 상기 제1 접합소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소부 영역에서의 상기 뚜껑측부의 종단면은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 접합부, 상기 제2 접합소부, 상기 뚜껑본체벽, 상기 제2 접합소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 영역에서의 상기 뚜껑측부의 종단면은 내측으로부터 상기 중심부, 상기 뚜껑본체벽, 및 상기 중심부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높이는 상기 뚜껑본체벽의 높이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높이는 상기 제1 접합소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폭은 상기 제2 접합소부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는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가 접합되고, 상기 절개부의 높이만큼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뚜껑본체벽과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가 상기 제1 접합부를 덮는 경우, 상기 제2 접합부의 상기 상측 원호가 상기 제1 접합부의 상기 상측 원호부 아래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접합부가 상기 제1 접합부를 덮도록 접합되며,
    상기 제1 접합부가 상기 제2 접합부를 덮는 경우, 상기 제1 접합부의 상기 상측 원호부가 상기 제2 접합부의 상기 상측 원호 아래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접합부가 상기 제2 접합부를 덮도록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내벽은 그 표면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내벽이 형성하는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는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의 코팅층이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부와 상기 종이 띠는 단위면적 당 중량이 100g/m2 내지 400g/m2인 원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뚜껑.
  22.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커버하는 종이 뚜껑; 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 뚜껑은,
    상기 수용부의 개구되는 일측을 커버하는 뚜껑본체부;
    상기 뚜껑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본체부를 둘러싸며,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뚜껑측부; 및
    상기 뚜껑측부의 일측 단부는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측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뚜껑절곡부; 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측부는,
    상기 뚜껑본체부의 최외곽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뚜껑본체벽;
    상기 뚜껑본체벽 내측면과 접합되는 뚜껑내벽; 및
    상기 뚜껑본체벽 외측면과 접합되는 뚜껑외벽; 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내벽, 상기 뚜껑외벽, 및 상기 뚜껑절곡부는 상측 원호부와 하측 원호부를 갖는 종이 띠의 일단과 타단을 접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뚜껑절곡부에 형성된 제1 접합라인은 상기 뚜껑측부에 형성된 제2 접합라인에서 연장된 가상선 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상기 종이 띠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이 서로 어긋나도록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부는 상기 제2 접합라인에서 상기 뚜껑절곡부 상으로 연장된 가상선과 상기 제1 접합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뚜껑절곡부의 영역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4. 삭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띠의 상기 일단이 상기 타단을 덮는 경우, 상기 타단의 상측 원호부가 상기 일단에 대해 노출되도록 접합하고,
    상기 종이 띠의 상기 타단이 상기 일단을 덮는 경우, 상기 일단의 상측 원호부가 상기 타단에 대해 노출되도록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210028896A 2021-03-04 2021-03-04 종이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102531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896A KR102531727B1 (ko) 2021-03-04 2021-03-04 종이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PCT/KR2022/003090 WO2022186655A1 (ko) 2021-03-04 2022-03-04 종이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896A KR102531727B1 (ko) 2021-03-04 2021-03-04 종이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021A KR20220125021A (ko) 2022-09-14
KR102531727B1 true KR102531727B1 (ko) 2023-05-12

Family

ID=8315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896A KR102531727B1 (ko) 2021-03-04 2021-03-04 종이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1727B1 (ko)
WO (1) WO202218665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2419A (ja) * 2003-10-30 2005-05-26 Toppan Printing Co Ltd バリア性紙カップ
JP2012012039A (ja) 2010-06-29 2012-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紙容器
WO2020100316A1 (ja) * 2018-11-16 2020-05-22 山田菊夫 紙製の蓋及び紙製の蓋の製造方法
WO2020166715A1 (ja) 2019-02-15 2020-08-20 山田菊夫 紙製の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8530A (ja) * 2005-03-08 2006-09-21 Pic:Kk 紙製容器用の紙製蓋
US20070181591A1 (en) * 2005-07-01 2007-08-09 Seanet Group, Inc. Internally fitted cellulose draft matching lid
CA2695042A1 (en) * 2009-04-07 2010-10-07 Ambareen Syed Container lid, container-lid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2419A (ja) * 2003-10-30 2005-05-26 Toppan Printing Co Ltd バリア性紙カップ
JP2012012039A (ja) 2010-06-29 2012-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紙容器
WO2020100316A1 (ja) * 2018-11-16 2020-05-22 山田菊夫 紙製の蓋及び紙製の蓋の製造方法
WO2020166715A1 (ja) 2019-02-15 2020-08-20 山田菊夫 紙製の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6655A1 (ko) 2022-09-09
KR20220125021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9190C (en) Insulated cup
US5524817A (en) Dual walled container
EP1036739B1 (en) Liquid container made of thin laminate of synthetic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21518316A (ja) 厚紙トレー
KR100847041B1 (ko) 용기
KR102531727B1 (ko) 종이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JP2000255546A (ja) トレー容器用ブランク
JP4912560B2 (ja) 折り重ね底付厚紙容器
JP4995485B2 (ja) マイクロ波処理用包装体
JP2018517628A (ja) シール面に親油性/疎油性のパターンを備えた容器
JP2003128082A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7075025B2 (ja) 包装袋
KR200491467Y1 (ko)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접어진 용기
KR20120131004A (ko) 이중구조를 갖는 일회용 컵
CN114126975B (zh) 包装袋
KR102598122B1 (ko) 시밍 용기
JPS607323Y2 (ja) 開口の容易な紙容器
JP6764895B2 (ja) 包装体
JP4334958B2 (ja) 電子レンジ対応紙容器
JP2018002188A (ja) 包装容器
JP4846639B2 (ja) 折畳みカップ状容器
JP7197877B2 (ja) 包装袋
JPH1035725A (ja) 包装用容器及び容器カバー
KR20220157094A (ko) 조립식 종이용기
CN116547217A (zh) 微波炉用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