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094A - 조립식 종이용기 - Google Patents

조립식 종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094A
KR20220157094A KR1020210064714A KR20210064714A KR20220157094A KR 20220157094 A KR20220157094 A KR 20220157094A KR 1020210064714 A KR1020210064714 A KR 1020210064714A KR 20210064714 A KR20210064714 A KR 20210064714A KR 20220157094 A KR20220157094 A KR 20220157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folded
paper container
main body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린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린택
Priority to KR102021006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7094A/ko
Publication of KR2022015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5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characterised by integral closure-flaps
    • B65D5/2057Inter-engaging self-lockin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65D5/3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 B65D5/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combined with a slot provided in an adjacent sid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2581/3439Means for affecting the heating or cooking properties
    • B65D2581/344Geometry or shape factors influencing the microwave heat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arton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용기 제조시 접는 공정만으로 완성할 수 있으며, 뜨거운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 운반시 수증기가 사용자의 손에 닿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국물의 유동에 의하여도 종이용기의 형체가 그대로 유지되는 견고함을 갖는 조립식 종이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종이용기의 밑면 및 측면의 절개면들을 상호 협착 또는 접착하여 형성되는 접합면이 없음으로 상기 접합면이 열 또는 힘에 의하여 이격되어 그 틈새로 국물이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가 만나는 모서리부는 세번의 접힘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져 종이용기가 접착에 의하여 않고서도 견고함을 유지할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종이용기{SELF-ASSEMBLY PAPER CONTAINER}
본 발명은 조립식 종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접힙선이 형성된 하나의 전개도를 절단과 접착공정없이 접는 공정만으로 국물이 있는 조리음식을 담아 전자레인지에 투입하여 즉석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립식 종이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즉석식품(HMR : Home Meal Replacement)이 편의점 등에서 소비자에게 인기가 높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즉석식품은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 에어프라이어 등의 가열장치에 투입되거나 온수를 부어 조리하여 간편하게 한끼 식사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즉석식품들의 저장과 운반이 용이하도록 제작된 종이용기들이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 대한민국 특허등록공고 제10-0354144호에서는 일회용종이컵과 같이 밑면을 밀봉하여 이용할 수 있는 종이용기를 설명하고 있다. 해당 고안의 경우 밑면을 밀봉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추가공정이 발생하고, 완제품상태로 운반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종래기술과 같은 종이용기는 밑면을 별도의 구성으로 하여 종이용기를 형성하고, 밑면 밀봉을 위해 밑면을 접착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할 수 있고, 수분 또는 유분이 그 틈새로 새어 나올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조립식 종이용기는 상기와 같은 밑면 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절단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절단면들을 상호 합착 또는 접착하는 경우에도 음식물의 액체(수분 또는 유분)가 종이용기에 스며들거나, 틈새 사이로 누수 또는 누유되는 불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레인지 안에서 뜨겁게 조리된 음식으로부터 발생한 뜨거운 수증기 또는 종이용기 내에 있는 국물의 유동에 의하여 종이용기가 찌그러져 사용자가 조리된 음식을 담고 있는 종이용기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공고 제10-035414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용기 제조시 접는 공정만으로 완성할 수 있으며, 뜨거운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 운반시 수증기가 사용자의 손에 닿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국물의 유동에 의하여도 종이용기의 형체가 그대로 유지되는 견고함을 갖는 조립식 종이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조립식 종이용기는 조리 음식을 담을 수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손잡이부가 덮개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절개구를 관통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제1a 접힘면과 제1b 접힘면이 접힘선을 기준으로 접혀져 형성되는 제1 접힘부, 제1 접힘부가 형성된 후, 접힘선를 기준으로 제2b 접힘면이 측면부의 바깥쪽으로 접혀져 형성되는 제2 접힘부 및 제2 접힘부가 형성된 후, 접힘선를 기준으로 제3a 접힘면 및 제3b 접힘면을 접은 상태에서 접힘선를 기준으로 접혀져 형성되는 제3 접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제1a 접힘면과 제1b 접힘면이 접힘선을 기준으로 접혀져 형성되는 제1 접힘부 및 제1a 접힘면에 연장하여 형성되고, 제1 접힘부가 형성된 후, 제4 접힘면이 제2 측면부의 바깥쪽으로 접힘선을 따라 접혀짐과 동시에 제4 접힘면의 끝단 일부가 삽입구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제4 접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서리부의 양측에 힘을 가할 경우, 제2 측면부의 각 부분의 경계에 형성된 접힘선을 기준으로 제2 측면부의 측면부분은 용기 내부로 휘어지고, 중앙부분이 외부로 휘어져 삼각형 형상의 중앙부분의 끝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종이용기의 밑면 및 측면의 절개면들을 상호 협착 또는 접착하여 형성되는 접합면이 없음으로 상기 접합면이 열 또는 힘에 의하여 이격되어 그 틈새로 국물이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가 만나는 모서리부는 세번의 접힘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지거나, 두번의 접힘공정 및 접힘면의 일부가 측면부에 형성된 삽입구에 삽입됨으로써 종이용기가 접착에 의하여 않고서도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으로 잡더라도 덮개가 뜨거운 수증기가 손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안전하게 뜨거운 종이용기를 운반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종이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종이용기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종이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공정에 의하여 모서리부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종이용기의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공정에 의하여 모서리부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종이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식 종이용기(1000)는 조리 음식을 담을 수 있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200)를 포함한다.
조립식 종이용기(1000)는 내부에 국물 등이 있는 조리음식을 담은 상태에서 전자레인지에 투입되어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조립식 종이용기(100)는 도 2에서 보듯이 점선으로 표시된 접힘선을 따라 각 부분을 접어서 제조되는 조립공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종이용기의 밑면 및 측면의 절개면들을 상호 협착 또는 접착하여 형성되는 접합면이 없음으로 상기 접합면이 열 또는 힘에 의하여 이격되어 그 틈새로 국물이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조립식 종이용기(1000)는 본체(100)는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손잡이부(110)가 덮개(20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절개구(210)를 관통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가 없이 덮개만 있는 경우, 사용자는 뜨거운 용기 측면을 손으로 잡거나, 손잡이부만 있는 경우, 손잡이를 잡은 사용자의 손은 뜨거운 수증기에 의하여 노출되어 운반시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조립식 종이용기(1000)는 손잡이부(110)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더라도 덮개(100)가 뜨거운 수증기가 손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안전하게 뜨거운 종이용기를 운반할 수 있다.
이하 조립식 종이용기(1000)의 본체를 절개부분간의 접착 또는 협착없이 접힘 공정만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4c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종이용기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종이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0)는 저면부(120), 제1 측면부(130) 및 제2 측면부(140)간에 형성된 각각의 점선으로 이루어진 접힘선을 기준으로 접어서 조립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30)는 연장되어 손잡이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저면부(120), 제1 측면부(130) 및 제2 측면부(140)로 이루어지는 용기 내부에는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열을 발생할 수 있는 발열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발열패드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왁스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종이층, 상기 종이층상에 형성되어 알루미늄, 니켈합금 또는 제올라이트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발열층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O(Polyolefin), 나일론,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및 PPS(Polyphenylene Sulf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필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열패드는 용기 내부에 다양한 패턴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30)와 제2 측면부(140)가 만나는 모서리부(X)는 세번의 접힘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져 종이용기가 접착에 의하여 않고서도 견고함을 유지할 있도록 할 수 있다. 모서리부(X)는 첫번째 접힘공정이 이루어지는 제1a 접힘면(151), 제1b 접힘면(152), 두번째 접힘공정이 이루어지는 제2a 접힘면(161), 제2b 접힘면(162) 및 세번째 접힘공정이 이루어지는 제3a 접힘면(171), 제3b 접힘면(172)으로 이루어져 형성될 수 있다.
조립식 종이용기(1000)는 세번의 접힘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모서리부(X)에 의하여 운반시 내부에 국물의 유동에 의하여도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견고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종이용기를 들고 입으로 국물을 마실기 위하여 손으로 모서리부(X)의 양측에 힘을 가할 경우, 제2 측면부의 각 부분의 경계에 형성된 접힘선(Y)을 기준으로 제1 측면부(140)의 측면부분(141,143)은 용기 내부로 휘어지고, 중앙부분(142)이 외부로 휘어져 삼각형 형상의 중앙부분(142)의 끝(Z)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중앙부분(142)의 끝(Z) 부분에 입을 대로 편리하게 국물을 마실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공정에 의하여 모서리부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를 참고하면, 제1a 접힘면(151)과 제1b 접힘면(152)이 접힘선(a)을 기준으로 접혀져 제1 접힘부(K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힘부(K1)은 제2 측면부의 일측면(141)에 접하게 된다. 제1 접힘부(K1)의 형성과 동시에 종이용기의 측면이 수직으로 세워져 용기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고하면, 제1 접힘부(K1)가 형성된 후, 접힘선(b)를 기준으로 제2b 접힘면(162)이 측면부의 바깥쪽으로 접혀져 제2 접힘부(K2)를 형성하여, 제2a 접힘면(161)은 제1 측면부(130)의 외면과 접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4c를 참고하면, 제2 접힘부(K2)가 형성된 후, 접힘선(c)를 기준으로 제3a 접힘면(171) 및 제3b 접힘면(172)을 접은 상태에서 종이용기 내부로 접힘선(d)를 기준으로 접혀져 제3 접힘부(K3)를 형성하여 제1 측면부(130)의 내면과 접하게 된다.
여기서 제2 접힘부(K2)가 종이용기의 바깥쪽으로 접혀져 제2 측면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제3 접힘부(K3)는 종이용기의 안쪽으로 접혀져 제1 측면부와 접촉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접혀짐으로 종이용기의 측면은 매우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종이용기의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보듯이 덮개(200)의 각 날개(241)의 일부분은 인접 날개의 연장면(242)과 접착되어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덮개(200)의 상면은 손잡이부가 관통할 수 있는 절개구(210)가 양측에 형성되고, 또 다른 양측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수증기 배출구(220) 및 중앙에는 용기형상의 상기 수증기 배출구보다는 더 큰 개구를 갖는 중앙 배출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공정에 의하여 모서리부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하면, 상술한 도 2 및 도 3에서의 본체 모서리부의 접힘공정 및 제2 측면부(140)에 제4 접힘면(18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44)가 형성된 것만이 상이하며 이를 제외한 손잡이부(110), 저면부(120), 제1 측면부(130) 및 제2 측면부(14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모서리부의 접힘공정은 세번의 접힘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도2 및 도3에서의 접힘공정과 달리, 두번의 접힘공정 및 제4 접힘면(180)의 일부가 삽입구(144)에 삽입되어 종이용기가 접착에 의하여 않고서도 견고함을 유지할 있도록 할 수 있다.
모서리부(X)는 첫번째 접힘공정이 이루어지는 제1a 접힘면(151), 제1b 접힘면(152), 두번째 접힘공정이 이루어지는 제4 접힘면(180) 및 제4 접힘면이 용기 바깥쪽으로 접혀짐과 동시에 일부가 삽입구(144)에 삽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6b를 참고하면, 첫번째 접힘공정은 제1a 접힘면(151)과 제1b 접힘면(152)이 접힘선(a)을 기준으로 접혀져 제1 접힘부(K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힘부(K1)은 제2 측면부의 일측면(141)에 접하게 된다. 제1 접힘부(K1)의 형성과 동시에 종이용기의 측면이 수직으로 세워져 용기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제4 접힘면(180)은 제1a 접힘면(151)에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4 접힘면(180)의 일부 영역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힘선(e1,e2,e3)이 형성될 수 있다. 접힘선(e1,e2,e3)은 제4 접힘면(180)이 용기 바깥쪽으로 접혀지는 경우, 제2 측면부를 감싸지면서 접힐 수 있도록 접힘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c 및 6d를 참고하면, 두번째 접힘공정은 제1 접힘부(K1)가 형성된 후, 제4 접힘면(180)이 제2 측면부의 바깥쪽으로 접힘선(e1,e2,e3)을 따라 접혀짐과 동시에 제4 접힘면(180)의 끝단 일부가 삽입구(144)에 삽입되어 제4 접힘부(K4)를 형성함으로써 제4 접힘면(180)은 제2 측면부의 외면과 접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본체 110:손잡이부
120: 저면부 130: 제1 측면부
140: 제2 측면부
144: 삽입구 모서리부: X
200: 뚜껑 210:절개구
1000: 조립식 종이용기

Claims (4)

  1. 조리 음식을 담을 수 있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200)를 포함하고,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손잡이부(110)가 덮개(20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절개구(210)를 관통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a 접힘면(151)과 제1b 접힘면(152)이 접힘선(a)을 기준으로 접혀져 형성되는 제1 접힘부(K1),
    제1 접힘부(K1)가 형성된 후, 접힘선(b)를 기준으로 제2b 접힘면(162)이 측면부의 바깥쪽으로 접혀져 형성되는 제2 접힘부(K2) 및
    제2 접힘부(K2)가 형성된 후, 접힘선(c)를 기준으로 제3a 접힘면(171) 및 제3b 접힘면(172)을 접은 상태에서 접힘선(d)를 기준으로 접혀져 형성되는 제3 접힘부(K3)를 포함하는 조립식 종이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a 접힘면(151)과 제1b 접힘면(152)이 접힘선(a)을 기준으로 접혀져 형성되는 제1 접힘부(K1) 및
    제1a 접힘면(151)에 연장하여 형성되고, 제1 접힘부(K1)가 형성된 후, 제4 접힘면(180)이 제2 측면부의 바깥쪽으로 접힘선(e1,e2,e3)을 따라 접혀짐과 동시에 제4 접힘면(180)의 끝단 일부가 삽입구(144)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제4 접힘부(K4)를 포함하는 조립식 종이용기.
  4. 제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모서리부(X)의 양측에 힘을 가할 경우, 제2 측면부의 각 부분의 경계에 형성된 접힘선(Y)을 기준으로 제2 측면부(140)의 측면부분(141,143)은 용기 내부로 휘어지고, 중앙부분(142)이 외부로 휘어져 삼각형 형상의 중앙부분(142)의 끝(Z)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용기.

KR1020210064714A 2021-05-20 2021-05-20 조립식 종이용기 KR20220157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14A KR20220157094A (ko) 2021-05-20 2021-05-20 조립식 종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14A KR20220157094A (ko) 2021-05-20 2021-05-20 조립식 종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094A true KR20220157094A (ko) 2022-11-29

Family

ID=8423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714A KR20220157094A (ko) 2021-05-20 2021-05-20 조립식 종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709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144B1 (ko) 2000-05-19 2002-09-28 철 양 덮개가 달린 종이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144B1 (ko) 2000-05-19 2002-09-28 철 양 덮개가 달린 종이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884B2 (en) Container having a foldable support and lid
US7281649B2 (en) Bottom seal for container
US4930639A (en) Ovenable food container with removable lid
US5351879A (en) Paper food container having a bottom section formed with a flange
US7766181B2 (en) Heat resistant lid for microwave container
US5588552A (en) Disposable rolled rim cup and lid closure
JPH05504864A (ja) 包装容器に関する改良
JPS6376A (ja) カ−トン・パウチ組立体
US20190077536A1 (en) Spill resistant disposable cup
KR100847041B1 (ko) 용기
JPH10129742A (ja) 蓋付き容器
JP4955513B2 (ja) 紙製容器
KR20220157094A (ko) 조립식 종이용기
US20200223589A1 (en) Multi-Compartment Snack Storage and Dispensing Appliance
KR102225367B1 (ko) 일회용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JP4135336B2 (ja) 電子レンジ用紙容器
JP4429046B2 (ja) 椀添附式弁当ケース
KR200454232Y1 (ko) 도시락 상자
CA2849236C (en) Container having a foldable support and lid
KR102121766B1 (ko)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JP7198542B1 (ja) 弁当容器
JP7370105B1 (ja) 食品収納容器
US20230075480A1 (en) Multi-Compartment Snack Storage and Dispensing Appliance
JP7259271B2 (ja) 紙容器
KR200480332Y1 (ko) 날개가 결속된 조립식 종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