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766B1 -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766B1
KR102121766B1 KR1020180160600A KR20180160600A KR102121766B1 KR 102121766 B1 KR102121766 B1 KR 102121766B1 KR 1020180160600 A KR1020180160600 A KR 1020180160600A KR 20180160600 A KR20180160600 A KR 20180160600A KR 102121766 B1 KR102121766 B1 KR 102121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plate
edge
side plates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707A (ko
Inventor
권순용
Original Assignee
(주)케이피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피피 filed Critical (주)케이피피
Priority to KR102018016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7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2Cooking- or baking-vessels or supports thereof for using only o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D123/12Polyprop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종이 소재의 내면에 PP 수지를 코팅하여 제조한 일회용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에 사용되는 용기의 제조 시 종이 소재를 절곡 성형하여 용기 형태로 제조하고, 내면에는 PP 수지(polypropylene resin)를 코팅함과 더불어 특히 4곳의 모서리 부분을 중첩 절곡 및 접착하여 완전 밀폐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음식물 조리용기를 구현함으로써, 제조가 쉽고 경제적이며 우수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취급은 물론 사용하는데 편리하고, 인체에 전혀 무해하기 때문에 안심하고 음식물을 조리하여 취식할 수 있는 일회용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은 라면 등의 즉석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일회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에 무해한 종이 소재의 내면에 PP 수지를 코팅하여 제조한 일회용 조리용기와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도의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우리의 사회 환경과 생활양식, 특히 식생활양식이 크게 변하고 있다.
현대인들은 복잡한 생활속에서 간편성을 추구하게 되었고,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점차 외식이 생활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식산업의 번창과 즉석 편의식품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또한, 주 5일제 근무가 확대됨으로 인한 캠핑 등 레저생활 증가에 따라 즉석 편의식품 시장은 매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즉석 편의식품은 주로 밀봉된 음식물 조리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전자레인지로 조리하여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음식물 조리용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되어 있는 상부를 덮는 리드 필름으로 구성되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음식물을 넣은 후, 리드 필름으로 용기 본체의 상부를 실링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에 음식물이 들어 있는 음식물 조리용기를 넣은 다음, 소정의 시간 동안 전자레인지를 돌리면 음식물이 조리되기 때문에 조리의 간편함이 있으며,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물분자를 충돌시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한 조리 방식이므로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현재 대부분의 음식물 조리용기, 특히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음식물 조리용기는 플라스틱 소재나 알루미늄 소재 등으로 되어 있는 관계로 조리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용기에 담긴 음식물에 배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보통 플라스틱 소재의 음식물 조리용기는 70℃ 이상에서는 용기가 변형되면서 발암물질 판정 성분이 있으고, 제품 성형과정에 포함된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들이 환경호르몬을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열, 기름에 약해 가열하거나 기름 등에 노출될 때 유해물질들이 서서히 회부로 유출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용기에 적합하지 않은 종래의 플라스틱 소재나 알루미늄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인체에 무해한 종이 소재로 되어 있는 음식물 조리용기를 그 안출의 대상으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 10-1489800호 한국 공개특허 10-2012-0006863호 한국 공개특허 10-2007-0076774호 한국 공개특허 10-2016-0124487호 한국 공개특허 10-2018-008901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음식물 조리에 사용되는 용기의 제조 시 종이 소재를 절곡 성형하여 용기 형태로 제조하고, 내면에는 PP 수지(polypropylene resin)를 코팅함과 더불어 특히 4곳의 모서리 부분을 중첩 절곡 및 접착하여 완전 밀폐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음식물 조리용기를 구현함으로써, 제조가 쉽고 경제적이며 우수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취급은 물론 사용하는데 편리하고, 인체에 전혀 무해하기 때문에 안심하고 음식물을 조리하여 취식할 수 있는 일회용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일회용 조리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일회용 조리용기는 바닥판과 4변의 측판과 덮개판을 가지는 종이 소재의 사각용기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각 측판 간의 모서리를 이루는 연접부위는 서로 이웃하는 각 측판에서 연장 형성된 삼각형의 모서리판이 측판의 외측에서 서로의 내면을 통해 접합됨과 더불어 이렇게 2겹으로 접합된 모서리판이 어느 한쪽의 측판의 외면으로 절곡되면서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측판의 상단부에는 측판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일체 성형되는 날개판이 각각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각 날개판의 상면에 덮개판이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 및 측판의 내면, 상기 덮개판의 내면, 모서리판의 내면, 날개판의 내면에는 PP 수지(polypropylene resin)가 코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은 종이 소재로 이루어진 원판과 덮개판을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원판의 중앙에 4각 형상을 이루는 제1절곡선, 상기 제1절곡선의 각 모서리 부위에서 방사상으로 이어지는 3씩의 제2절곡선을 형성하여, 바닥판, 측판 및 모서리판을 구획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절곡선을 이용하여 측판을 접어서 세우고, 상기 제2절곡선을 이용하여 모서리판을 2겹으로 접는 동시에 서로 맞닿는 모서리판의 내면을 접합하는 제3단계와, 서로 겹쳐있는 제2절곡선을 이용하여 2겹으로 접합되어 있는 모서리판을 옆으로 접어서 측판의 외면에 접합하는 제4단계와, 상기 측판의 상단부에 덮개판을 접합하여 용기 내부를 마감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제2단계는 원판의 4곳의 외곽에 각각의 제3절곡선을 형성하여 측판으로부터 날개판을 구획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는 제3절곡선을 이용하여 날개판을 수평으로 접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5단계에서는 수평으로 접혀져 있는 날개판에 덮개판을 접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판은 내면에 PP 수지(polypropylene resin)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며, 따라서 제3단계 내지 제5단계에서의 접합 시 열융착에 의해 녹아 있는 PP 수지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접합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일회용 조기용기 및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인체에 무해한 종이 소재로 제조함으로써, 가열 등 조리 시에도 음식물에 유해한 성분이 전혀 배어들지 않게 되고, 따라서 안심하고 음식물을 조리하여 취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용기 제작 시에 여러 조각을 이어붙히거나 하지 않고 하나의 원판 종이 소재를 온전히 접어서 제조함으로써, 스크랩 등 소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용기의 4곳 모서리 부분을 여러 겹으로 절곡 및 접착하는 방식으로 마감함으로써, 용기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완벽한 밀폐구조를 확보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사용 상의 편의성과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종이 소재의 내면에 코팅되어 있는 PP 수지를 활용하여 용기 절곡 후의 접착 시 열융착 방식으로 PP 소재를 녹여서 부착함으로써, 접착제 도포 공정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전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회용 조리용기는 사각형의 바닥판(10)과, 각 바닥판(10)의 4변에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판(11a∼11d)과, 상기 바닥판(10)과 측판(11a∼11d)의 내측에 조성되는 공간부(예컨대, 음식물이 담겨지는 공간부)를 마감함과 더불어 손잡이(21)를 포함하는 덮개판(12)을 가지는 종이 소재의 사각용기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각 측판(11a∼11d) 간의 4곳의 모서리를 이루는 각각의 연접부위는 서로 이웃하는 각 측판(11a∼11d), 즉 서로 맞닿아 모서리를 이루고 있는 2개의 측판(11a와 11b, 11b와 11c, 11c와 11d, 11d와 11a)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삼각형의 모서리판(13a,13b)에 의해 마감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판(예를 들면 11a와 11b)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모서리판(13a,13b)은 측판(예를 들면 11a와 11b)이 이루는 모서리의 외측으로 절곡에 의해 돌출된 상태에서 서로 맞닿는 내면이 접합되고, 이렇게 2겹으로 접합된 모서리판(13a,13b)은 어느 한쪽의 측판(예를 들면 11a 또는 11b)의 외면쪽으로 함께 절곡되면서 이때의 측판(예를 들면 11a 또는 11b)의 외면에 접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측판(11a∼11d) 간의 4곳의 모서리는 2겹의 모서리판(13a,13b)의 절곡 및 접합에 의해 마감될 수 있게 되고, 결국 각 측판(11a∼11d) 간의 4곳의 모서리는 완벽한 밀폐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되므로서, 용기 속의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2겹으로 겹쳐지게 되는 모서리판(13a,13b) 중에서 어느 한쪽 모서리판(13a)은 다른 한쪽의 모서리판(13b) 대비 상대적으로 짧은 높이를 갖게 되고, 그 결과 다른 한쪽의 모서리판(13b)에는 자연스럽게 윗쪽 일부 내면이 밖으로 들어나는 노출면(도 4a 내지 도 4c의 도면부호 19)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2겹으로 접합된 모서리판(13a,13b)이 측판(예를 들면 11a 또는 11b)의 외면쪽으로 함께 절곡되면서 접합될 때, 상기 모서리판(13b)의 노출면(19)에 코팅되어 있는 PP 수지의 용융 접착력에 의해 접착될 수 있게 되고, 결국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2겹의 모서리판(13a,13b)이 접착처리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노출면(19)에 코팅되어 있는 PP 수지의 용융 접착력을 이용한 접합 시 노출면(19)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되는 모서리판(13a)의 외면에도 공지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때의 모서리판(13a)의 외면도 노출면(19)과 함께 접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판(11a∼11d)의 상단부에는 날개판(14)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이렇게 연장되는 날개판(14)은 대략 수직을 이루고 있는 측판(11a∼11d)에서 수평으로 절곡되며, 이때의 각 날개판(14)의 상면, 즉 4개의 측판(11a∼11d)이 가지고 있는 4개의 날개판(14)의 상면에 덮개판(12)이 접합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바닥판(10), 측판(11a∼11d), 덮개판(12), 모서리판(13a,13b), 날개판(14)을 이루는 종이 소재의 원판 내면 전체에는 일정 두께의 PP 수지층(20)이 형성되며, 이때의 PP 수지층(20)의 일부는 열융착을 통해 용융된 상태에서 판과 판 간에 또 덮개판(12)과의 접합 시에 접착제 역할을 대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모서리판(13a,13b)의 내면에 형성되는 PP 수지층(20)은 모서리판(13a,13b) 간의 접합 시에 접착제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고, 날개판(14)의 내면에 형성되는 PP 수지층(20)과 덮개판(12)의 내면에 형성되는 PP 수지층(20) 중에서 가장자리 부분의 PP 수지층(20), 즉 날개판(14)의 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PP 수지층(20)은 날개판(14)과 덮개판(12) 간의 접합 시에 접착제 역할을 대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종이 소재의 원판 내면에 PP 수지를 코팅하는 방법과 PP 수지층을 열융착시키는 방법 등은 공지의 코팅 방법 및 열융착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일회용 조리용기는 종이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가열 시에도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등 인체에 전혀 무해하여 안심하고 음식물을 조리 및 취식할 수 있는 동시에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용기 제조 시에 조각을 이어붙이거나 잘라서 버리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매우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특히 용기의 4곳 모서리 부분이 2겹의 모서리판(13a,13b)을 2중으로 접합시킨 형태로 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등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기능성 측면은 물론 사용이나 취급 측면에서도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단계로서, 종이 소재로 이루어진 원판(15)과 덮개판(12)을 준비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원판(15)은 대략 사각판 형태로서, 종이 소재 자체의 것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원판 내면 전체 면적에 걸쳐 공지의 코팅 방법으로 PP 수지를 코팅 처리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판(15)의 외곽 라인은 공지의 재단기(미도시)를 사용하여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후술하는 모서리판(13a,13b)의 외곽 라인 형상, 날개판(14)의 외곽 라인 형상을 갖도록 재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원판(15)에 형성되는 모서리판(13a,13b)의 경우, 서로 연접되어 있는 2개의 모서리판(13a,13b) 중에서 어느 한쪽 모서리판(13a)은 다른 한쪽의 모서리판(13b) 대비 상대적으로 짧은 높이(길이)를 갖도록 그 외곽 라인을 재단함으로써, 후술하는 제3단계에서 모서리판(13a,13b)을 2겹으로 접합할 때, 다른 한쪽의 모서리판(13b)은 자연스럽게 윗쪽 일부 내면이 밖으로 들어나는 노출면(19)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판(12)도 대략 사각판 형태로서, 종이 소재 자체의 것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원판 내면 전체 면적에 걸쳐 공지의 코팅 방법으로 PP 수지를 코팅 처리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덮개판(12)의 경우에는 한쪽 모서리 부분에 손잡이(21)를 돌출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 제2단계로서, 원판(15)에 공지의 절곡선(접힘선)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여러 절곡선을 성형하여 각각의 해당 역할을 하는 판으로 구획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절곡선(접힘선)은 칼선을 내거나, 레이저 커팅기로 얕게 가공하거나, 종이 접힐 부분에 압력을 주거나(오시) 하는 등과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원판(15)의 중앙 영역에 4각 형상을 이루는 제1절곡선(16a∼16d)을 형성하여 절곡선 내측 영역에 해당하는 바닥판(10)을 구획하고, 상기 제1절곡선(16a∼16d)의 각 모서리 부위에서 방사상으로 이어지는 3씩의 제2절곡선(17a∼17c)을 형성하여 바닥판(10)의 4변과 연접하는 4개의 측판(11a∼11d)과 서로 이웃하는 각 측판(11a∼11d)의 사이에 연접하는 2개씩의 모서리판(13a,13b), 즉 8개의 모서리판(13a,13b)을 구획한다.
이러한 제2단계에서는 원판(15)의 4곳의 외곽, 즉 측판(11a∼11d)의 가장자리에 각각의 제3절곡선(18a∼18d)을 제1절곡선(16a∼16d)과 나란하게 형성하여 날개판(14)을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날개판(14)은 제3절곡선(18a∼18d)을 사이에 두고 측판(11a∼11d)과 연접되며, 이때의 제3절곡선(18a∼18d)의 양 끝은 측판(11a∼11d)과 모서리판(13a,13b) 간에 경계를 이루는 제2절곡선(17a,17c)의 바깥쪽 끝과 맞닿게 된다.
다음, 제3단계로서, 각각의 절곡선을 이용하여 측판(11a∼11d)과 모서리판(13a,13b)을 접어서 세우는 단계를 실시한다.
즉, 상기 바닥판(10)과의 경계를 이루는 제1절곡선(16a∼16d)을 이용하여 측판(11a∼11d)을 접어서 세우고, 이와 동시에 함께 세워지는 모서리판(13a,13b)을 제2절곡선(17a∼17c)을 이용하여 2겹으로 겹쳐지도록 접으면서 바깥쪽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판(13a,13b)은 가운데의 제2절곡선(17b)에 의해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서로의 내면을 맞댄 상태로 겹쳐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2겹으로 겹져져 있는 모서리판(13a,13b)을 모서리판 내면에 코팅되어 있는 PP 수지를 접착제로 활용한 열융착 방식으로 모서리판(13a,13b)의 내면을 접합한다.
이와 더불어, 제3단계에서는 제3절곡선(18a∼18d)을 이용하여 날개판(14)을 수평으로 접는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3단계까지 마치게 되면, 도 4c에서 볼 수 있듯이, 바닥판(10)과 위로 세워져 있는 측판(11a∼11d)에 의해 사각 용기 형태가 만들어지게 되고, 이때의 모서리판(13a,13b)은 측판(11a∼11d)의 각 모서리에서 바깥쪽으로 삐져나와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 제4단계로서, 2겹으로 겹쳐져서 접합되어 있는 모서리판(13a,13b)을 측판(11a∼11d)측으로 접음과 동시에 접합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즉, 모서리판(13a,13b)이 2겹으로 겹쳐져 접합됨에 따라 서로 겹쳐있는 제2절곡선(17a,17c)을 이용하여 모서리판(13a,13b)을 한쪽 옆으로 접어서 측판(11a∼11d)의 외면에 밀착시키고, 이때의 모서리판(13b)에 있는 노출면(19)에 코팅되어 있는 PP 수지의 용융 접착력을 이용하여 2겹의 모서리판(13a,13b)을 측판(11a∼11d)에 접합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노출면(19)에 코팅되어 있는 PP 수지의 용융 접착력을 이용하여 접합할 때, 노출면(19)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되는 모서리판(13a)의 외면에도 공지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때의 모서리판(13a)의 외면도 노출면(19)과 함께 접합시킬 수도 있다.
다음, 제5단계로서, 바닥판(10)과 측판(11a∼11d)의 내측에 조성되어 있는 공간부 내에 소정의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덮개판(12)으로 밀봉 처리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즉, 상기 측판(11a∼11d)의 상단부에 덮개판(12)을 접합하여 용기 내부를 마감하되, 측판(11a∼11d)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접혀져 있는 날개판(14) 위에 덮개판(12)을 덮은 후, 날개판(14)과 덮개판(12)의 내면에 코팅되어 있는 PP 수지의 용융 접착력을 이용하여 날개판(14)과 덮개판(12)을 접합한다.
이렇게 제1단계 내지 제5단계를 모두 완료하면, 도 4e에서 볼 수 있듯이, 종이 소재로 이루어진 사각 형상의 일회용 조리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회용 조리용기는 사각형의 바닥판(10)과, 각 바닥판(10)의 4변에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판(11a∼11d)과, 상기 바닥판(10)과 측판(11a∼11d)의 내측에 조성되는 공간부(예컨대, 음식물이 담겨지는 공간부)를 마감함과 더불어 손잡이(21)를 포함하는 덮개판(12)을 가지는 종이 소재의 사각용기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각 측판(11a∼11d) 간의 4곳의 모서리를 이루는 각각의 연접부위는 서로 이웃하는 각 측판(11a∼11d), 즉 서로 맞닿아 모서리를 이루고 있는 2개의 측판(11a와 11b, 11b와 11c, 11c와 11d, 11d와 11a)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삼각형의 모서리판(13a,13b)에 의해 마감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판(예를 들면 11a와 11b)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모서리판(13a,13b)은 측판(예를 들면 11a와 11b)이 이루는 모서리의 외측으로 절곡에 의해 돌출된 상태에서 서로 맞닿는 내면이 접합되고, 이렇게 2겹으로 접합된 모서리판(13a,13b)은 어느 한쪽의 측판(예를 들면 11a 또는 11b)의 외면쪽으로 함께 절곡되면서 이때의 측판(예를 들면 11a 또는 11b)의 외면에 접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측판(11a∼11d) 간의 4곳의 모서리는 2겹의 모서리판(13a,13b)의 절곡 및 접합에 의해 마감될 수 있게 되고, 결국 각 측판(11a∼11d) 간의 4곳의 모서리는 완벽한 밀폐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되므로서, 용기 속의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2겹으로 겹쳐지게 되는 모서리판(13a,13b) 중에서 어느 한쪽 모서리판(13a)은 다른 한쪽의 모서리판(13b) 대비 상대적으로 짧은 높이를 갖게 되고, 그 결과 다른 한쪽의 모서리판(13b)에는 자연스럽게 윗쪽 일부 내면이 밖으로 들어나는 노출면(도 4a 내지 도 4c의 도면부호 19)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2겹으로 접합된 모서리판(13a,13b)이 측판(예를 들면 11a 또는 11b)의 외면쪽으로 함께 절곡되면서 접합될 때, 상기 모서리판(13b)의 노출면(19)에 코팅되어 있는 PP 수지의 용융 접착력에 의해 접착될 수 있게 되고, 결국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2겹의 모서리판(13a,13b)이 접착처리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노출면(19)에 코팅되어 있는 PP 수지의 용융 접착력을 이용한 접합 시 노출면(19)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되는 모서리판(13a)의 외면에도 공지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때의 모서리판(13a)의 외면도 노출면(19)과 함께 접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판(11a∼11d)의 상단부에는 날개판(14)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이렇게 연장되는 날개판(14)은 대략 수직을 이루고 있는 측판(11a∼11d)에서 수평으로 절곡되며, 이때의 각 날개판(14)의 상면, 즉 4개의 측판(11a∼11d)이 가지고 있는 4개의 날개판(14)의 상면에 덮개판(12)이 접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의 경우, 덮개판(12)으로 용기를 밀봉할 때 용기 4곳의 모서리 부위에 대한 기밀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4개의 날개판(14) 중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2개의 날개판(14)의 양쪽 단부에는 날개판(14)의 폭과 같은 폭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연장되는 날개판 밀봉부(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 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날개판(14)의 날개판 밀봉부(22)는 이웃하는 날개판(14)의 단부 상면 또는 저면에 겹쳐지면서 접합되고, 이 상태에서 덮개판(12)이 날개판(14)에 접합되므로서, 날개판(14)이 용기 전체 둘레에 걸쳐 끊어짐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가 될 수 있고, 따라서 용기 4곳의 모서리 부위를 완벽하게 밀봉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바닥판(10), 측판(11a∼11d), 덮개판(12), 모서리판(13a,13b), 날개판(14)을 이루는 종이 소재의 원판 내면 전체에는 일정 두께의 PP 수지층(20)이 형성되며, 이때의 PP 수지층(20)의 일부는 열융착을 통해 용융된 상태에서 판과 판 간에 또 덮개판(12)과의 접합 시에 접착제 역할을 대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모서리판(13a,13b)의 내면에 형성되는 PP 수지층(20)은 모서리판(13a,13b) 간의 접합 시에 접착제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고, 날개판(14)의 내면에 형성되는 PP 수지층(20)과 덮개판(12)의 내면에 형성되는 PP 수지층(20) 중에서 가장자리 부분의 PP 수지층(20), 즉 날개판(14)의 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PP 수지층(20)은 날개판(14)과 덮개판(12) 간의 접합 시에 접착제 역할을 대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종이 소재의 원판 내면에 PP 수지를 코팅하는 방법과 PP 수지층을 열융착시키는 방법 등은 공지의 코팅 방법 및 열융착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조리에 사용되는 용기의 제조 시 종이 소재를 절곡 성형하여 용기 형태로 제조함과 더불어 용기 4곳의 모서리 부분을 중첩 절곡 및 접착하여 완전 밀폐시킨 새로운 음식물 조리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용기 제조가 쉽고 매우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우수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취급과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전혀 무해하기 때문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10 : 바닥판
11a∼11d : 측판
12 : 덮개판
13a,13b : 모서리판
14 : 날개판
15 : 원판
16a∼16d : 제1절곡선
17a∼17c : 제2절곡선
18a∼18d : 제3절곡선
19 : 노출면
20 : PP 수지층
21 : 손잡이
22 : 날개판 밀봉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종이 소재로 이루어진 원판(15)과 덮개판(12)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원판(15)의 중앙에 4각 형상을 이루는 제1절곡선(16a∼16d), 상기 제1절곡선(16a∼16d)의 각 모서리 부위에서 방사상으로 이어지는 3개씩의 제2절곡선(17a∼17c)을 형성하여, 바닥판(10), 측판(11a∼11d) 및 모서리판(13a,13b)을 구획하는 제2단계;
    상기 제1절곡선(16a∼16d)을 이용하여 측판(11a∼11d)을 접어서 세우고, 상기 제2절곡선(17a∼17c)을 이용하여 모서리판(13a,13b)을 2겹으로 접는 동시에 서로 맞닿는 모서리판(13a,13b)의 내면을 접합하는 제3단계;
    서로 겹쳐있는 제2절곡선(17a,17c)을 이용하여 2겹으로 접합되어 있는 모서리판(13a,13b)을 옆으로 접어서 측판(11a∼11d)의 외면에 접합하는 제4단계;
    상기 측판(11a∼11d)의 상단부에 덮개판(12)을 접합하여 용기 내부를 마감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15)에 형성되는 모서리판(13a,13b)의 경우, 서로 연접되어 있는 2개의 모서리판(13a,13b) 중에서 어느 한쪽 모서리판(13a)은 다른 한쪽의 모서리판(13b) 대비 상대적으로 짧은 높이를 갖도록 그 외곽 라인을 재단함으로써, 후술하는 제3단계에서 모서리판(13a,13b)을 2겹으로 접합할 때, 다른 한쪽의 모서리판(13b)은 자연스럽게 윗쪽 일부 내면이 밖으로 들어나는 노출면(19)을 가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제4단계로서에서 모서리판(13a,13b)이 2겹으로 겹쳐져 접합됨에 따라 서로 겹쳐있는 제2절곡선(17a,17c)을 이용하여 모서리판(13a,13b)을 한쪽 옆으로 접어서 측판(11a∼11d)의 외면에 밀착시키고, 이때의 모서리판(13b)에 있는 노출면(19)에 코팅되어 있는 PP 수지의 용융 접착력을 이용하여 2겹의 모서리판(13a,13b)을 측판(11a∼11d)에 접합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원판(15)은 내면에 PP 수지(polypropylene resin)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며, 따라서 제3단계 내지 제5단계에서의 접합 시 열융착에 의해 녹아 있는 PP 수지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접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원판(15)의 4곳의 외곽에 각각의 제3절곡선(18a∼18d)을 형성하여 측판(11a∼11d)으로부터 날개판(14)을 구획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는 제3절곡선(18a∼18d)을 이용하여 날개판(14)을 수평으로 접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5단계에서는 수평으로 접혀져 있는 날개판(14)에 덮개판(12)을 접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80160600A 2018-12-13 2018-12-13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121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00A KR102121766B1 (ko) 2018-12-13 2018-12-13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00A KR102121766B1 (ko) 2018-12-13 2018-12-13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707A KR20200072707A (ko) 2020-06-23
KR102121766B1 true KR102121766B1 (ko) 2020-06-30

Family

ID=7112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600A KR102121766B1 (ko) 2018-12-13 2018-12-13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884B1 (ko) * 2022-12-31 2023-08-28 (주)케이피피 일회용 조리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112B2 (ja) 1991-04-26 2001-05-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高靱性且つ高耐摩耗性Al金属間化合物複合体
JP2018188158A (ja) * 2017-04-28 2018-11-29 凸版印刷株式会社 紙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6855B2 (ja) * 2000-03-17 2010-08-18 株式会社秀英 紙製食品包装用容器
KR20070076774A (ko) 2006-01-20 2007-07-25 이원명 식품 수납형 일회용 가열 조리용기
KR101287978B1 (ko) 2010-07-13 2013-07-18 박진호 일회용 조리용기
KR20140028474A (ko) * 2012-08-29 2014-03-10 두선산업 주식회사 종이 냄비
KR101489800B1 (ko)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캔 인덕션 렌인지용 일회용 조리용기
KR20160124487A (ko) 2015-04-20 2016-10-28 김재일 일회용 조리 용기
WO2018143485A1 (ko) 2017-01-31 2018-08-09 느루 주식회사 일회용 조리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112B2 (ja) 1991-04-26 2001-05-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高靱性且つ高耐摩耗性Al金属間化合物複合体
JP2018188158A (ja) * 2017-04-28 2018-11-29 凸版印刷株式会社 紙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884B1 (ko) * 2022-12-31 2023-08-28 (주)케이피피 일회용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707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18044B (zh) 微波烹饪包装
US6651874B1 (en) Packing tray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use
FI64100B (fi) Skaolformad foerpackning med kantflaens
CN1354725A (zh) 加热食品的微波容器及其制造方法
US10974888B2 (en) Lidded container and container used therefor
JP6060561B2 (ja) カップ型紙容器
EP2259973A1 (en) A container and blank
KR102121766B1 (ko)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MX2012011968A (es) Recipiente y metodo para producir un recipiente.
KR102225367B1 (ko) 일회용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JP3618229B2 (ja) 断熱性二重紙容器
KR101616852B1 (ko) 알루미늄 내피의 종이컵 라면용기
US20060213962A1 (en) Tray for foodstuffs
US20220281632A1 (en) A container for foodstuff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container
JP6607773B2 (ja) 容器入り食品および食品の製造方法
RU2004120272A (ru) Упаковочный листовой материал и изготовленнная из него упаковка
JP7363021B2 (ja) フランジ付き紙容器
JP2017222371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袋
JP3984472B2 (ja) 密封蓋対応紙カップ
JP6025323B2 (ja) 複合紙製容器
JP4135336B2 (ja) 電子レンジ用紙容器
JPH03295B2 (ko)
EP1440890B1 (en) Tray, in particular for containing foodstuffs and method for the realisation thereof
JP7324431B1 (ja) 蓋材付き紙製容器、ブランク材及び紙製容器
EP4053029A1 (en) Recyclable tray with airtight sealing,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s associa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