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978B1 - 일회용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978B1
KR101287978B1 KR1020100067563A KR20100067563A KR101287978B1 KR 101287978 B1 KR101287978 B1 KR 101287978B1 KR 1020100067563 A KR1020100067563 A KR 1020100067563A KR 20100067563 A KR20100067563 A KR 20100067563A KR 101287978 B1 KR101287978 B1 KR 101287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vessel
holder
outer concentric
disposable
concentric cir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863A (ko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박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호 filed Critical 박진호
Priority to KR102010006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97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2Cooking- or baking-vessels or supports thereof for using only o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용기 캡이 구비된 일회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외주로부터 위쪽으로 연속 절곡되는 측면 연장부와, 상기 측면 연장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속 절곡되는 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의 표면에 용기 캡을 부착함으로써, 압착면 및 이와 대응하는 대응면 사이의 밀착 관계를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는 일회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조리용기{Disposable container}
본 발명은 일회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로잉 공정을 통해 제조된 금속제의 조리용기에 대해 용기 캡을 압착 성형 시 압착면과 대응면 간의 밀착 관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일회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우리의 먹거리도 각종 인스턴트 식품이 봇물을 이루고 이에 따라 여러가지 일회용 용기가 출현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일회용 용기 중에 조리용기는 컵라면 등과 같이 뜨거운 물을 부어서 음식을 조리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용기와, 즉석밥 등과 같이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용기로 구분된다.
그런데, 일회용 조리용기는 별도의 가열수단을 구비하여야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이 준비되더라도 조리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회용 조리용기의 재질을 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재질로 변경하고, 용기의 하단부에 발열부재 및 점화부재로 이루어진 가열키트를 장착하여 상기 점화부재 및 발열부재의 점화를 통해 상기 용기 내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금속 재질의 일회용 조리용기는 뚜껑을 이루는 용기 캡이 용기의 커링부 상단에 압착 성형되는바, 그 압착면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링부의 상면에 압착되므로 그 압착에 의한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압착 성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회용 조리용기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고온의 열이 가해질 경우 용기의 외표면에 그대로 전달된다.
하지만, 상기 조리용기의 외측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사용자가 뜨거움을 견디지 못하고 제대로 파지하지 못하여 뜨거운 음식물을 쏟거나 쏟은 음식물에 의해 화상을 입는 등의 사용상에 불편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조리용기의 외측을 감싸는 용기 홀더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용기 홀더는 조리용기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여 그 외측면을 감쌀 수 있게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기 홀더는 조리용기의 온도에 대한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써 조리용기를 파지하는 것이 좀더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용기 홀더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파지한 손이 상측 방향으로 미끄러지기가 쉬워 용기 홀더를 파지 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사용자는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용기 홀더를 더 세게 파지하거나, 손바닥 전체로 용기 홀더를 파지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용기 홀더와 접촉하는 손또는 손가락의 면적이나 가압력이 증가하여 용기 홀더를 장착함에도 불구하고 조리용기의 열이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용기 홀더는 종이판지를 원통형으로 말아 각기 대응하는 면끼리 접착제로 붙이거나 스테플러로 고정하게 되므로 제조 공수 및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링부에 인접하는 인접부위에 중앙을 향해 외경이 감소하는 수평부를 두어 상기 수평부의 수평면 상에 용기 캡을 안착시켜 압착 성형하며, 특히 그 압착면 및 이와 대응하는 대응면 간의 밀착 관계를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도록 면과 면 사이에 압착에 의한 돌출성형부를 형성한 일회용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회용 조리용기에 사용자가 손잡이 형태로 전개하여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별도의 홀더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용기 캡이 구비된 일회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외주로부터 위쪽으로 연속 절곡되는 측면 연장부와, 상기 측면 연장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속 절곡되는 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의 표면에 용기 캡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캡의 압착면과 이와 대응하는 수평부의 대응면에는 압착에 의한 돌기를 갖는 돌출성형부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성형부는 상기 용기 캡의 압착면과 이와 대응하는 수평부의 대응면이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복수의 정원 형상, 육각 형상 또는 불규칙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직선 형상, 'ㄴ'자 형상 또는 메쉬(mesh)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성형부는 상기 용기 캡의 압착면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돌기 및, 이와 대응하는 바닥면에 제1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대응면의 상면에 상기 제1홈에 결합되는 제2돌기 및, 이와 대응하는 바닥면에 제2홈이 형성된 결합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링부의 하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홀더가 별도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는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면서 부분적으로 절개 가능한 한 쌍의 내,외측 동심원과, 상기 중앙을 가로지르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며, 상기 내,외측 동심원 사이에서 서로 대칭되는 동시에, 양쪽으로 각각 대응하게 나뉘면서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접지선과, 상기 제1접지선의 외측 단부와 만나는 외측 동심원의 원호의 일측이 외측 동심원과 함께 절개되도록 형성된 부분절개선 및, 상기 제1접지선의 외측 단부와 만나는 외측 동심원의 원호의 타측이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2접지선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내측 동심원 및 외측 동심원 사이의 제1접지선끼리 접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분할면과, 상기 분할면 내측에 위치하여 조리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및, 상기 제2접지선을 접어 상기 분할면과 지지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커링부의 하단에 중공부가 수용된 상태로 걸림 고정되어 평행하게 외향으로 연장되는 홀더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 동심원의 직경은 조리용기의 개구의 직경과 일치하며, 상기 내측 동심원의 직경은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부의 직경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는, 중앙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절개되는 외측 동심원에 대해 그 외측으로 커링부의 하단에 중공부가 수용된 상태로 걸림 고정되어 평행하게 외향으로 연장되는 홀더본체부; 및, 상기 외측 동심원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홀더본체부로부터 별도 분리되어 조리용기의 바닥부 밑에 위치 가능한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본체 중앙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양측으로 폭이 증대되는 광폭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에는 외측 동심원에 대해 제2접지선이 외측 방향으로 벗어나 형성되어 상기 외측 동심원과 제2접지선과의 사이에 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에 따르면, 커링부의 인접부위에 수평부를 형성하여 용기 캡을 용기에 용이하게 압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평부의 수평면 상에 용기 캡을 안착시켜 압착 성형 시, 압착면 및 이와 대응하는 대응면 사이에 압착에 의한 돌출성형부를 형성하여 면과 면 사이의 밀착 관계를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리용기에 손잡이 형상을 갖는 별도의 홀더를 결합하므로 용기의 외측에 가해지는 열에 의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는 하나의 종이판지를 접어 제작하므로 별도의 접착수단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 공수 및 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의 수평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에 대한 용기 캡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및 용기 캡의 압착면에 형성되는 돌출성형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에 별도 설치되는 홀더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에 별도 설치되는 홀더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a의 홀더를 접지선을 따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에 홀더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에 홀더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의 수평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에 대한 용기 캡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및 용기 캡의 압착면에 형성되는 돌출성형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장착된 가열 키트에 의해 가열 가능한 용기로서, 불에 타지 않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제 조리용기(1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금속제 조리용기(10)는 원형의 플레이트 상태에서 상부 개구와 동일한 직경으로 1차 드로잉(drawing)하여 조리용기(10)의 1차 성형물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1차 성형물의 밑면을 드로잉하여 상기 상부 개구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바닥부(14) 직경이 형성되도록 2차 성형물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2차 성형물의 상태에서 길이를 소정 길이로 늘리는 3차 드로잉을 수행함으로써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조리용기(10)로 성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조리용기(10)는 개구부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별도의 드로잉 공정을 통해 제조된 수평부(11)가 포함된다. 이러한 수평부(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잉 공정을 통해 성형된 조리용기(1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경계면과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갈수록 중앙을 향해 외경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11)의 외측 둘레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속 절곡되는 측면 연장부(12)가 포함되며, 상기 측면 연장부(1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속 절곡되는 커링(curling)부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리용기(10)는 내부에 가열대상 음식물을 저장하고 난 다음에 상기 수평부의 표면 상에 용기 캡(20)을 적층한 상태에서 프레스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압착 성형을 함으로써, 일회용 포장식품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는 기존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커링부(13)의 상면에 용기 캡(20)의 덮개면을 압착 성형 시에 커링부(13)의 상면이 둥글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기 캡(20)의 압착면(21)과 커링부(13) 상면의 압착 면적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상기 용기 캡(20)의 압착면(21)이 수평부(11)의 수평면 상에 평행하게 적층되어 일치된 상태로 압착 성형 공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우수한 압착 성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압착 성형 공정 시 더욱 우수한 압착 성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로 적층되어 일치되는 용기 캡(20)의 압착면(21) 및 이와 대응하는 수평부(11)의 대응면에는 압착에 의한 돌출성형부(2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성형부(22)는 도 4a 내지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캡(20)의 압착면(21) 및 이와 대응하는 수평부(11)의 대응면이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지는바, 정원 형상, 육각 형상 또는 불규칙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직선 형상, 'ㄴ'자 형상 또는 메쉬(mesh)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삭제
삭제
한편, 첨부한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에 별도 설치되는 홀더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에 별도 설치되는 홀더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5a의 홀더를 접지선을 따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에 홀더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에 홀더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10)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고온의 열이 가해질 경우 용기의 전체면이 쉽게 가열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조리용기(10)에 손잡이가 구비된 홀더(30)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홀더(30)는 열전도성이 낮은 플라스틱이나 종이, 특히 골판지 등과 같은 두꺼운 종이로 제작하되, 조리용기(10)를 수용하여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지니는 동시에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재질이면 채택이 가능하다.
도 5a에 도시한 전개사시도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30)의 외곽 테두리부는 타원 형상으로서, 홀더(30)가 결합되는 조리용기(10)의 커링부(13)의 직경을 고려하여 상기 커링부(13)의 직경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게 된다.
상기 홀더(30)는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면서 부분적으로 절개 가능한 한 쌍의 내,외측 동심원(301,302)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을 가로지르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며, 상기 내,외측 동심원(301,302) 사이에서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제1접지선(303)이 양쪽으로 각각 대응하게 나뉘면서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외측 동심원(301,302)은 상기 제1접지선(303)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한 내,외측 동심원만(301,302)이 절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측 동심원(301)의 경계와 외측 동심원(302)의 경계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접지선(303)의 외측 단부와 만나는 외측 동심원(302)의 원호는 일측이 절개된 외측 동심원(302)과 함께 절개될 수 있도록 부분절개선(305)으로 형성되며, 반면에 타측은 접힘이 가능하게 제2접지선(304)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측 동심원(302)이 외측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또는 상하로 대칭이며, 상기 조리용기(10)의 커링부(13)의 하단에 중공부(306)가 수용되어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평행하게 외향으로 일정 간격 연장되는 링 형상의 홀더본체부(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 동심원(301) 및 외측 동심원(302) 사이에는 양쪽으로 분할되어 접힘 가능한 분할면(33)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면(33) 내측에는 조리용기(22)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3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할면(33) 및 지지면(34)는 상기 홀더본체부(31)로부터 분할 접철되어 손잡이로 사용 가능한 손잡이부(32)를 이루게 된다.
상기 홀더본체부(31)는 조리용기(10)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중공부(306)가 마련된 링 형상을 이루며, 중앙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양측으로 폭이 증대되는 광폭부(311)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본체부(31)의 광폭부(311)는 상기 손잡이부(32) 이외에도 사용자가 조리용기(10)를 파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파지 가능한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본체부(31)의 좌우 또는 상하 양측에 구비된 광폭부(311)를 조리용기(10)에 걸림 고정시킨 상태에서, 집게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를 지지하거나 파지하는 형태로 상기 손잡이부(32)의 기능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개 상태로 이루어진 조립 전의 홀더(30)는 제1 및 제2접지선(303,304)을 접을 경우에 조리용기(10)에 결합 가능한 조립 상태가 된다. 즉, 서로 대응하는 양측에 위치한 제1접지선(303)끼리 접어 분할면(33)을 서로 마주보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제2접지선(304)을 아래방향으로 접어 분할면(33)과 지지면(34)을 홀더본체부(31)로부터 분리하여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측 동심원(302)의 직경은 상기 조리용기(10)의 개구의 직경과 일치하도록 하여 홀더(30)가 조리용기(10)의 커링부(13) 하단부에 걸려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측 동심원(301)의 직경은 상기 조리용기(10)의 바닥부(14)의 직경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동심원(302) 상에 형성된 제2접지선(304)은 상기 홀더본체부(31)와 경계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접지선(304)은 상기 외측 동심원(302) 상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첨부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동심원(302)에 대해 제2접지선(304)이 외측 방향으로 벗어나 형성되어 외측 동심원(302)과 제2접지선(304)과의 사이에 갭(34, gap)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측 동심원(302)과 제2접지선(304) 사이에 갭(35)이 형성될 경우에 상기 갭(35)을 통하여 중공부(306)에 수용되어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조리용기(10)를 홀더(3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중공부(306)에 조리용기(10)가 일치하여 꼭맞게 걸림 고정될 경우에 홀더(30)로부터 조리용기(10)가 분리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바, 상기 갭(35)은 조리용기(10)와 외측 동심원(302)의 제2접지선(304) 사이에 여유 공간을 부여함으로써 홀더(30)로부터 조리용기(1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심원 중, 중심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내측 동심원(301)의 절개선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32)의 내측에 위치하여 실제로 손가락을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며, 상대적으로 중심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위치한 외측 동심원(302)의 절개선은 손잡이부(32)의 외측에 위치하여 엄지 손가락을 통해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 된다.
이때, 서로 대응하도록 마주보는 상기 제1접지선(303) 간의 폭은 상기 내측 동심원(30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분할면(33)을 당겨 마주보도록 하였을 경우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간격을 이룰 수 있는 폭이라면 무방하다.
한편, 도 5b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용기(10)의 다른 실시예에서 홀더본체부(31)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의 손잡이부(32)는 대신에 홀더본체부(31)에서 분리되어 조리용기(10)의 받침부(36)로 실시 가능하다. 즉, 상기 내측 동심원(301)과 제1 및 제2접지선(303,304)의 구성을 생략한 상태에서, 제2접지선(304)은 절개선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외측 동심원(302)을 경계로 내측의 받침부(36)가 절개 가능하게 되어 상기 홀더본체부(31)로부터 별도로 분리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본체부(31)는 전술한 일실시예의 홀더본체부(31)와 마찬가지로 조리용기(10)의 커링부(13) 하단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받침부(36)는 단순히 조리용기(10)의 바닥부(14)의 밑에 위치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조리용기 11 : 수평부
12 : 측면 연장부 13 : 커링부
14 : 바닥부 20 : 용기 캡
21 : 압착면 22 : 돌출성형부
30 : 홀더 301 : 내측 동심원
302 : 외측 동심원 303 : 제1접지선
304 : 제2접지선 305 : 부분절개선
306 : 중공부 31 : 홀더본체부
311 : 광폭부 32 : 손잡이부
33 : 분할면 34 : 지지면
35 : 갭 36 : 받침부

Claims (10)

  1.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용기 캡이 구비된 일회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외주로부터 위쪽으로 연속 절곡되는 측면 연장부와,
    상기 측면 연장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속 절곡되는 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의 표면에 용기 캡이 부착되되,
    상기 용기 캡의 압착면과 이와 대응하는 수평부의 대응면에는 압착에 의한 돌기를 갖는 돌출성형부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성형부는 상기 용기 캡의 압착면과 이와 대응하는 수평부의 대응면이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복수의 정원 형상, 육각 형상 또는 불규칙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직선 형상, 'ㄴ'자 형상 또는 메쉬(mesh)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링부의 하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홀더가 별도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면서 부분적으로 절개 가능한 한 쌍의 내,외측 동심원과, 상기 중앙을 가로지르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며, 상기 내,외측 동심원 사이에서 서로 대칭되는 동시에, 양쪽으로 각각 대응하게 나뉘면서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접지선과, 상기 제1접지선의 외측 단부와 만나는 외측 동심원의 원호의 일측이 외측 동심원과 함께 절개되도록 형성된 부분절개선 및, 상기 제1접지선의 외측 단부와 만나는 외측 동심원의 원호의 타측이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2접지선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내측 동심원 및 외측 동심원 사이의 제1접지선끼리 접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분할면과, 상기 분할면 내측에 위치하여 조리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및,
    상기 제2접지선을 접어 상기 분할면과 지지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커링부의 하단에 중공부가 수용된 상태로 걸림 고정되어 평행하게 외향으로 연장되는 홀더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동심원의 직경은 조리용기의 개구의 직경과 일치하며, 상기 내측 동심원의 직경은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부의 직경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용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중앙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절개되는 외측 동심원에 대해 그 외측으로 커링부의 하단에 중공부가 수용된 상태로 걸림 고정되어 평행하게 외향으로 연장되는 홀더본체부; 및,
    상기 외측 동심원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홀더본체부로부터 별도 분리되어 조리용기의 바닥부 밑에 위치 가능한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용기.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 중앙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양측으로 폭이 증대되는 광폭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용기.
  10.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외측 동심원에 대해 제2접지선이 외측 방향으로 벗어나 형성되어 상기 외측 동심원과 제2접지선과의 사이에 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용기.
KR1020100067563A 2010-07-13 2010-07-13 일회용 조리용기 KR101287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563A KR101287978B1 (ko) 2010-07-13 2010-07-13 일회용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563A KR101287978B1 (ko) 2010-07-13 2010-07-13 일회용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63A KR20120006863A (ko) 2012-01-19
KR101287978B1 true KR101287978B1 (ko) 2013-07-18

Family

ID=4561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563A KR101287978B1 (ko) 2010-07-13 2010-07-13 일회용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9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766B1 (ko) 2018-12-13 2020-06-30 (주)케이피피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225367B1 (ko) 2019-10-17 2021-03-09 (주)케이피피 일회용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586A (ja) * 2000-11-16 2002-05-28 Rengo Co Ltd 紙製断熱カップホルダー
KR200423628Y1 (ko) 2006-05-16 2006-08-10 박준호 즉석조리가 가능한 일회용 포장용기
KR20090009750U (ko) * 2008-03-24 2009-09-29 이동혁 종이재질의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586A (ja) * 2000-11-16 2002-05-28 Rengo Co Ltd 紙製断熱カップホルダー
KR200423628Y1 (ko) 2006-05-16 2006-08-10 박준호 즉석조리가 가능한 일회용 포장용기
KR20090009750U (ko) * 2008-03-24 2009-09-29 이동혁 종이재질의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63A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4711B2 (en) Collapsible heatable liquid containers
EP2193731B1 (en) Food container for use in microwave cooking
US6325234B1 (en) Microwave dish cover
US20060213905A1 (en) Disposable microwave food shield
KR101287978B1 (ko) 일회용 조리용기
CN110167398A (zh) 一次性可折叠进食用具
JP4294579B2 (ja) 断熱容器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JP3477110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の食品用容器
JP2016093262A (ja) アルミニウム箔成形容器
JPH0648474U (ja) 紙製耐熱カップ容器
JP3172214U (ja) 多機能プレート
KR20110003713U (ko) 컵 홀더
JP4169728B2 (ja) カップ状容器
JP3113943U (ja) カップ形容器用ホルダー
KR101308006B1 (ko)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KR200383876Y1 (ko) 뚜껑 겸용 후라이팬
US20130175197A1 (en) Outer package for securely supporting cup-shaped product once product is removed from the outer package
GB2525246A (en) Cup holders
JP2008189329A (ja) ツインタイプの包装容器
JP3212176U (ja) 簡易カップ兼紙皿
CN211155138U (zh) 烹饪器具
KR200477897Y1 (ko) 눌어붙지 않는 조립식 종이냄비
CN211282174U (zh) 一种便于开盖的加热盒及炒菜机
KR200206723Y1 (ko) 일회용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