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395B1 -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395B1
KR102531395B1 KR1020210019875A KR20210019875A KR102531395B1 KR 102531395 B1 KR102531395 B1 KR 102531395B1 KR 1020210019875 A KR1020210019875 A KR 1020210019875A KR 20210019875 A KR20210019875 A KR 20210019875A KR 102531395 B1 KR102531395 B1 KR 102531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yarn
supply position
knitted fabric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4580A (ko
Inventor
아쓰히로 모리
사토시 다구치
마나부 유이
요시노리 시마사키
요시후미 노보리오
사토시 야마우치
도시즈미 다케토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10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hread guide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4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with one or more yarns appearing predominantly on one face, e.g. plated or paralleled ya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플레이팅 편성의 전환에 전용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전환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전환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캐리지(7)를 일방향으로만 이동시키고, 캐리지(7)에 구비되는 하나의 캠시스템(6)에 의하여 편성폭방향으로 배열되는 스티치열(40)을 편성하는 도중에 상기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상기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전환하는 전환동작을 적어도 1회 실시한다. 상기 전환동작을 할 때에, 주사 공급위치(P1)에 있는 급사구(1)를 첨사 공급위치(P2)를 향하여 이동시킴과 아울러, 첨사 공급위치(P2)에 있는 급사구(2)를 주사 공급위치(P1)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Description

편성포의 편성방법{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본 발명은, 플레이팅 편성(plating knitting)을 포함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복수의 편침(編針)을 가지는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編成布)를 편성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6은, 횡편기의 니들베드(30)를 그 상면(上面)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30)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 측의 선단부(先端部)에는 각 편침(3A∼3C)과 병렬하는 싱커(sinker)(5A∼5C)가 설치되어 있다. 싱커(5A∼5C)는, 편침(3A∼3B)의 훅(hook)(3F)에 급사(給絲)된 편사(編絲)(1Y(2Y))가 니들베드(30)로 인입될 때에, 편사(1Y(2Y)) 전체가 니들베드(30) 측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부재이다. 싱커(5A∼5C)에 의하여 편사(1Y(2Y))를 억제시킴으로써, 스티치(4)와 스티치(4)의 사이를 연결하는 싱커루프(4S)가 형성된다.
도6은, 2개의 서로 다른 편사를 병렬시켜 편성하는 플레이팅 편성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기도 하다.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편성포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주사(主絲)와, 편성포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첨사(添絲)가 하나의 편침(3A(3B))에 인입된다. 도6에서는, 제1캐리어(11)의 제1급사구(1)로부터 급사되는 제1편사(1Y)가 주사, 제2캐리어(12)의 제2급사구(2)로부터 급사되는 제2편사(2Y)가 첨사이다. 제1급사구(1)는, 캐리지에서 본 소정의 위치인 주사 공급위치에 배치된다. 제2급사구(2)는, 캐리지에서 본 소정의 위치인 첨사 공급위치에 배치된다. 제2급사구(2)는, 양 편사(1Y, 2Y)가 인입되는 편침(3B)에 대하여 제1급사구(1)보다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제2급사구(2)로부터 싱커(5C)로 연장되는 제2편사(2Y)와 수평선과의 각도가, 제1편사(1Y)에서의 각도보다 커진다. 즉 편침(3B)의 훅(3F) 내에 있어서 제1편사(1Y)보다 제2편사(2Y)의 쪽이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있어서의 이 제1편사(1Y)와 제2편사(2Y)의 상하관계에 기인하여, 편성포의 표면측에 제1편사(1Y)가 배치되고, 제2편사(2Y)는 편성포의 이면측에 배치된다.
특허문헌1∼특허문헌3에는, 편성포의 표면측에 제1편사가 배치되는 표준 플레이팅 편성에 더하여, 편성포의 표면측에 제2편사가 배치되는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의 기술에서는,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 있어서 편침에 의하여 제1편사와 제2편사를 인입할 때에 싱커를 요동시켜, 싱커 상에서 제1편사와 제2편사의 상하위치를 교체하고 있다. 특허문헌2, 3에서는,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 있어서 편침의 상하이동의 타이밍을 변화시켜, 제1편사와 제2편사의 상하위치를 교체하고 있다. 이들 동작은, 급사구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6-176159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8-17829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8-178293호 공보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전환장소에는, 전환의 타이밍 등에 의하여 첨사의 일부가 편성포의 표면측에 노출되는 『혼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이 혼색을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전환할 때에, 혼색이 발생하기 어려워 안정적으로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1>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편침을 동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캠시스템을 탑재하는 캐리지와, 상기 편침에 제1편사를 급사하는 제1급사구와, 상기 편침에 제2편사를 급사하는 제2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상기 캐리지로부터 보아, 주사가 공급되는 주사 공급위치와, 첨사가 공급되는 첨사 공급위치를 규정할 때에,
상기 제1급사구가 상기 주사 공급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급사구가 상기 첨사 공급위치에 배치되는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상기 제2급사구가 상기 주사 공급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급사구가 상기 첨사 공급위치에 배치되는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전환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를 일방향으로만 이동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시스템 중의 하나에 의하여 편성폭방향으로 배열되는 스티치열을 편성하는 도중에 상기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상기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전환하는 전환동작을 적어도 1회 실시하고,
상기 전환동작을 할 때에, 상기 제1급사구와 상기 제2급사구 중에서, 상기 주사 공급위치에 있는 급사구를 상기 첨사 공급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첨사 공급위치에 있는 급사구를 상기 주사 공급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상기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전환동작을 할 때에 제1급사구의 위치와 제2급사구의 위치가 교체된다. 전환동작 전에 주사였던 편사는 전환동작 후에는 첨사가 되고, 전환동작 전에 첨사였던 편사는 전환동작 후에는 주사가 된다. 즉 주사 공급위치에 배치되는 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는 주사, 첨사 공급위치에 배치되는 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는 첨사이다.
여기에서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전환하는 경우에, 전환 직전의 편침이 제1편사와 제2편사를 건 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한 전환 직후의 편침이 제1편사와 제2편사를 걸 때까지의 사이에 양 급사구의 위치의 교체를 완료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표준 플레이팅 편성에서 반전 플레이팅 편성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전환 직전의 편침은 표준 플레이팅 편성의 최후의 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침이고, 전환 직후의 편침은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최초의 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침이다.
<2>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전환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1급사구와 상기 제2급사구 중의 적어도 일방의 급사구를, 상기 적어도 일방의 급사구가 최종적으로 배치되는 최종위치를 통과시킨 후에, 반전시켜 상기 최종위치에 배치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상기 최종위치는,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전환한 후에 있어서, 캐리지의 특정위치로부터 캐리지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떨어진 급사구의 정상위치를 말한다.
<3> 상기 형태<2>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주사 공급위치로부터 상기 첨사 공급위치로 이동하는 급사구를, 상기 첨사 공급위치를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에 상기 첨사 공급위치에 배치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형태<3>에 있어서의 첨사 공급위치가, 상기 형태<2>에 있어서의 최종위치에 상당한다.
<4> 상기 형태<2> 또는 형태<3>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첨사 공급위치로부터 상기 주사 공급위치로 이동하는 급사구를, 상기 주사 공급위치를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에 상기 주사 공급위치에 배치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형태<4>에 있어서의 주사 공급위치가, 상기 형태<2>에 있어서의 최종위치에 상당한다.
<5>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전환동작에 있어서, 상기 주사 공급위치로부터 상기 첨사 공급위치로 이동하는 급사구와, 상기 첨사 공급위치로부터 상기 주사 공급위치로 이동하는 급사구가 교차하는 위치를, 상기 주사 공급위치와 상기 첨사 공급위치의 중간위치보다 상기 첨사 공급위치 쪽의 위치로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6>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전환동작의 시작에서 종료까지의 사이에, 상기 전환동작 종료 후의 최초의 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침의 동작을 일단 정지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
<7>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횡편기는, 상기 캐리지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캐리지와 독립하여 이동하는 자주식의 제1캐리어 및 제2캐리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캐리어는, 상기 제1급사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캐리어는, 상기 제2급사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와 상기 제2캐리어를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캐리지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급사구와 제2급사구를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제1급사구의 위치와 제2급사구의 위치를 교체함으로써, 훅 내에 있어서의 제1편사와 제2편사의 상하위치를 원활하게 교체하고 있다. 캐리지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급사구와 제2급사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캐리지를 일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동안에 하나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캠시스템을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하더라도, 편성포에 혼색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스티치열을 편성할 때에 캐리지를 반전시키지 않기 때문에, 편성포가 효율적으로 편성된다.
편침의 훅으로 고정되고, 각 급사구로 연장되는 제1편사와 제2편사는, 양 급사구의 위치를 교체시킬 때에 포개져 얽힌다. 상기 형태<2>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제1급사구와 제2급사구 중의 적어도 일방의 급사구를, 그 급사구가 최종적으로 배치되는 최종위치를 통과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편사와 제2편사가 얽히는 위치가 캐리지의 진행방향과는 반대측, 전환 전의 플레이팅 편성의 최후의 스티치가 배치되는 측에 가까워진다. 그 결과, 제1편사와 제2편사의 상하위치의 교체가 이루어지기 쉬워진다.
상기 형태<3>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주사 공급위치로부터 첨사 공급위치로 이동하는 급사구를, 첨사 공급위치를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그 급사구로부터 싱커로 연장되는 첨사와 수평선과의 각도가 커진다. 그 결과, 첨사와 주사가 이루는 각이 커져, 주사와 첨사가 얽히는 위치가 전환 전의 플레이팅 편성의 최후의 스티치가 배치되는 측에 가깝게 되기 쉬워진다.
상기 형태<4>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첨사 공급위치로부터 주사 공급위치로 이동하는 급사구를, 주사 공급위치를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그 급사구로부터 싱커로 연장되는 주사와 수평선과의 각도가 작아진다. 그 결과, 주사와 첨사가 이루는 각이 커져, 주사와 첨사가 얽히는 위치가 전환 전의 플레이팅 편성의 최후의 스티치가 배치되는 측에 가깝게 되기 쉬워진다.
상기 형태<5>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첨사 공급위치를 향하는 급사구와 주사 공급위치를 향하는 급사구가 교차하는 위치, 즉 양 급사구가 엇갈리는 위치를, 주사 공급위치와 첨사 공급위치의 중간위치보다 첨사 공급위치 쪽의 위치로 하고 있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양 급사구가 교차하는 위치에 있어서, 각 급사구로부터 연장되는 편사와 수평선과의 각도가 커진다. 그 결과, 제1편사와 제2편사의 상하위치가 교체되기 쉬워진다. 상기 형태<5>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특히 캐리지의 이동속도가 빠른 경우에 유효하다.
상기 형태<6>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전환동작을 할 때에 편침을 일단 정지시키고 있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제1편사와 제2편사의 상하위치를 교체하기 위한 시간을 벌 수 있기 때문에, 양 편사의 상하위치의 교체가 더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형태<7>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캐리어와 제2캐리어가 캐리지의 이동과 독립하여 이동하는 자주식이면, 전환동작을 할 때에 제1편사와 제2편사의 상하위치를 민첩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짧은 스팬(span)으로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캐리어와 제2캐리어가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면, 상기 형태<2>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실시하기 쉽다.
도1(A) 및 도1(B)는,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편성포의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실시형태1에 관한 다른 예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편성포의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실시형태2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5는, 실시형태3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6은, 플레이팅 편성을 할 때에 있어서의 니들베드 상의 편사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실시형태1>
이하에 도1에 의거하여, 제1편사(1Y)가 편성포의 표면측(表面側)에 배치되는 표준 플레이팅 편성(標準 plating knitting)과, 제2편사(2Y)가 편성포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반전 플레이팅 편성(反轉 plating knitting)을 적절하게 전환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설명한다. 도1에서는, 편성에 관여하는 앞쪽 니들베드(30)만을 나타내고, 앞쪽 니들베드에 대향(對向)하는 뒤쪽 니들베드는 생략하고 있다. 본 예의 편성방법에 사용하는 횡편기(橫編機)는, 2베드의 횡편기여도 좋고, 4베드의 횡편기여도 좋다. 횡편기에 구비되는 편침(編針)은, 훅(hook)을 개폐하는 래치를 구비하는 래치니들(latch needle)이어도 좋고, 훅을 개폐하는 슬라이더(slider)를 구비하는 복합바늘이어도 좋다.
횡편기는, 적어도 하나의 캠시스템(6)을 탑재하는 캐리지(carriage)(7)를 구비한다.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캐리지(7)는 니들베드(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캠시스템(6)이 니들베드(30)의 각 편침(3A∼3C)을 동작시킨다. 도1에 나타내는 캠시스템(6)과 캐리지(7)는 간소화되어 있고, 실제의 캠시스템(6)과 캐리지(7)는 형상도 크기도 다르다.
또한 본 예의 횡편기는, 제1편사(1Y)를 급사하는 제1캐리어(11)와, 제2편사(2Y)를 급사하는 제2캐리어(12)를 구비한다. 제1캐리어(11)와 제2캐리어(12) 각각은, 레일과 접촉하는 주행롤러를 구비하여, 레일을 따라 주행한다. 본 예에서는, 앞쪽 니들베드(30)와 뒤쪽 니들베드(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대향방향에 있어서 앞쪽 니들베드(30)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캐리어(11)가 바깥쪽, 제2캐리어(12)가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캐리어(11)와 제2캐리어(12)는 서로 다른 주행루트 상에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자주(自走)한다. 캐리어(11, 12)를 자주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캐리어(11, 12)가 고정되는 벨트와, 벨트를 움직이게 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캐리어(11, 12)의 위치가 변화한다.
본 예에서는 도1을 참조하여, 캐리지(7)를 일방향(一方向)으로만 이동시키고, 캐리지(7)에 구비되는 하나의 캠시스템(6)에 의하여 스티치열(40)을 편성하는 도중에 표준 플레이팅 편성에서 반전 플레이팅 편성으로 전환하는 전환동작을 설명한다. 캐리지(7)의 아래에 있는 흰색 화살표는 캐리지(7)의 진행방향이며, 스티치열(40)의 편성방향이다. 도1(A)에는, 제1편사(1Y)를 주사(主絲), 제2편사(2Y)를 첨사(添絲)로 하는 표준 플레이팅 편성에 의하여, 스티치열(40)을 구성하는 일부의 스티치(4)를 편성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표준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제1급사구(1)가 주사 공급위치(P1)에 배치되고, 제2급사구(2)가 첨사 공급위치(P2)에 배치된 상태에서 편성이 이루어진다.
주사 공급위치(P1)와 첨사 공급위치(P2)는, 캐리지(7)의 특정위치로부터 캐리지(7)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떨어진 정상위치(定常位置)이다. 캐리지(7)의 특정위치와 주사 공급위치(P1)의 거리(L1)는, 캐리지(7)의 특정위치와 첨사 공급위치(P2)의 거리(L2)보다 길다. 스티치열(40)을 편성할 때에 캐리지(7)는 이동하기 때문에, 횡편기의 외측에서 본 주사 공급위치(P1)와 첨사 공급위치(P2)도 캐리지(7)와 함께 이동한다. 여기에서 주사 공급위치(P1)와 첨사 공급위치(P2)는, 편사의 소재나 편성속도 등의 편성조건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변화한다.
제2급사구(2)는, 표준 플레이팅 편성의 최후의 스티치(4)가 결합되는 편침(3B)에 대하여, 니들베드(3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제1급사구(1)보다 가까운 위치에 있다. 그 때문에 제2급사구(2)로부터 싱커(5C)로 연장되는 제2편사(2Y)와 수평선과의 각도(β)가, 제1편사(1Y)로부터 싱커(5C)로 연장되는 제1편사(1Y)와 수평선과의 각도(α)보다 커진다. 싱커(5C)는, 편침(3B)에 대하여 캐리지(7)의 진행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위치에 있다. 즉 훅(3F) 내에 있어서 제1편사(1Y)보다 제2편사(2Y) 쪽이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있어서의 이 제1편사(1Y)와 제2편사(2Y)의 상하관계에 기인하여, 제1편사(1Y)가 주사로서 편성포의 표면측에 배치되고, 제2편사(2Y)가 첨사로서 편성포의 이면측(裏面側)에 배치된다. 제1편사(1Y)와 제2편사(2Y)는 편침(3B)의 훅(3F)에 걸려, 그 위치관계가 고정되어 있다.
도1(A)의 상태에서 반전 플레이팅 편성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도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7)의 속도(예를 들면, 0.8m/s∼1.0m/s)를 늦추지 않고 제1급사구(1)의 위치와 제2급사구(2)의 위치를 교체시킨다. 더 구체적으로는, 주사 공급위치(P1)에 있는 제1급사구(1)를 첨사 공급위치(P2)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첨사 공급위치(P2)에 있는 제2급사구(2)를 주사 공급위치(P1)로 이동시킨다. 첨사 공급위치(P2)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1급사구(1)로부터 급사되는 제1편사(1Y)는 첨사가 되고, 주사 공급위치(P1)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2급사구(2)로부터 급사되는 제2편사(2Y)는 주사가 된다. 본 예에서는, 제1급사구(1)를 구비하는 제1캐리어(11)를, 캐리지(7)와 동일한 방향으로 캐리지(7)의 이동속도보다 느리게 이동시킨다. 또한 제2급사구(2)를 구비하는 제2캐리어(12)를, 캐리지(7)와 동일한 방향으로 캐리지(7)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게 이동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캐리지(7)의 특정위치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캐리어(11)는 캐리지(7)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캐리어(12)는 캐리지(7)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이동하는 캐리지(7)로부터 볼 때에, 만약 제1캐리어(11)와 제2캐리어(12)를 동시에 같은 속도가 되도록 이동시킨 경우에, 주사 공급위치(P1)와 첨사 공급위치(P2)의 중간위치(CP)에 있어서 제1급사구(1)와 제2급사구(2)가 엇갈린다. 즉 제1급사구(1)와 제2급사구(2)가 중간위치(CP)에서 교차한다. 본 예와는 달리 제1캐리어(11)를 정지시킴으로써, 캐리지(7)로부터 볼 때에 제1캐리어(11)를 캐리지(7)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그 외에, 캐리지(7)의 이동속도가 느린 경우에 제1캐리어(11)를 움직이는 모터를 역회전시켜, 제1캐리어(11)를 캐리지(7)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제1급사구(1)와 제2급사구(2)의 위치교체는, 하기의 조건Ⅰ, Ⅱ를 만족시키는 동안 끝낼 필요가 있다.
·조건Ⅰ … 표준 플레이팅 편성의 최후의 스티치가, 하강 중인 편침(3B)의 훅(3F)에 걸려 고정된 상태.
·조건Ⅱ … 제1편사(1Y)와 제2편사(2Y)가,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최초의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한 편침(3C)에 구비되는 훅(3F)에 걸려 고정되기 전의 상태.
도1(B)에서는, 제1편사(1Y)와 제2편사(2Y)가 편침(3C)의 훅(3F) 내에 배치되어 있지만, 편침(3C)의 훅(3F)에 걸려 있지는 않다.
도1(A)에 있어서, 앞쪽 니들베드(30)와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뒤쪽 니들베드의 배열방향에 있어서 앞쪽 니들베드(30)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급사구(1)가 제2급사구(2)보다 바깥쪽에 있는 경우에, 제1편사(1Y)와 제2편사(2Y)가 싱커(5C)에 접촉하는 장소에서, 제1편사(1Y)가 싱커(5C)와 제2편사(2Y)의 사이에 끼인 상태가 되기 쉽다. 그 때문에, 도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급사구(1)가 첨사 공급위치(P2)로 이동되더라도, 싱커(5C)의 선단측(先端側)의 근방에 있어서의 제1편사(1Y)와 제2편사(2Y)가 얽히는 위치가, 편침(3B)에 결합되는 표준 플레이팅 편성의 최후의 스티치(4)에 가까운 위치를 벗어나기 어렵다. 즉 앞쪽 니들베드(30)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주사 공급위치(P1)에 있는 급사구가 첨사 공급위치(P2)에 있는 급사구보다 바깥쪽에 있는 상태에서 전환동작을 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제1편사(1Y)와 제2편사(2Y)가 얽히는 위치가 표준 플레이팅 편성의 최후의 스티치(4)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보조동작A와 보조동작B를 실시하고 있다. 보조동작A 및 보조동작B의 상세에 있어서는 후술한다.
여기에서 본 예와는 달리, 앞쪽 니들베드(30)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급사구(1)가 제2급사구(2)보다 안쪽에 있는 경우에, 제1편사(1Y)는 싱커(5C)와 제2편사(2Y)의 사이에 끼이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제1급사구(1)가 첨사 공급위치(P2)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편사(1Y)와 제2편사(2Y)가 얽히는 위치가, 표준 플레이팅 편성의 최후의 스티치(4)에 가까운 위치를 벗어나기 쉽다. 즉 앞쪽 니들베드(30)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주사 공급위치(P1)에 있는 급사구가 첨사 공급위치(P2)에 있는 급사구보다 안쪽에 있는 상태에서 전환동작을 하는 것은 용이하다.
≪보조동작A≫
보조동작A는, 도1(B)의 좌측의 U자형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급사구(1)가 첨사 공급위치(P2)를 넘는 위치(이하, 초과위치(P20))까지 이동하는 동작을 말한다. 초과위치(P20)는, 첨사 공급위치(P2)를 사이에 두고 주사 공급위치(P1)와는 반대측의 위치이다. 제1급사구(1)는, 초과위치(P20)로 이동한 후에 첨사 공급위치(P2)로 이동한다. 제1급사구(1)가 초과위치(P20)에 배치되면, 제1급사구(1)로부터 싱커(5C)로 연장되는 제1편사(1Y)(첨사)와 수평선과의 각도(α)가 커진다. 그 때문에, 제1편사(1Y)와 제2편사(2Y)(주사)가 이루는 각(γ)이 커져, 제1편사(1Y)와 제2편사(2Y)가 싱커(5C)에 접촉하는 장소의 근방에 있어서, 제1편사(1Y)와 제2편사(2Y)가 얽히는 위치가 편침(3B) 측으로 벗어나기 쉽다. 따라서 제1편사(1Y)와 제2편사(2Y)의 상하위치의 교체가, 표준 플레이팅 편성의 최후의 스티치에 가까운 위치에서 이루어지기 쉽다.
보조동작A에 있어서, 제1급사구(1)는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급사구(1)는 초과위치(P20)를 향할수록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서히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급사구(1)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각도(α)가 더 커져, 제1편사(1Y)와 제2편사(2Y)의 상하위치의 교체가, 표준 플레이팅 편성의 최후의 스티치에 가까운 위치에서 이루어지기 쉬워진다. 제1급사구(1)가 초과위치(P20)에서 첨사 공급위치(P2)로 이동할 때에, 제1급사구(1)는 첨사 공급위치(P2)를 향할수록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급사구(1)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캐리어(11)가 상하방향으로 요동(搖動) 가능한 구성을 사용하면 좋다. 예를 들면 캐리어의 상방에 캐리어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가이드캠을 설치한 일본국 특허 제4125319호 공보(공보1)의 구성, 또는 얀 가이드 레일(yarn guide rail)에 평행한 축선(軸線)의 주위를 회전구동 가능한 제어소자에 의하여 캐리어의 수직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일본국 특허출원공표 특표2012-524842호 공보(공보2)의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공보의 구성은, 캐리어의 높이를 2단계로 조정하는 구성이지만, 캐리어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공보1의 가이드캠에 있어서의 캠면(공보1의 부호39)을, 외측을 향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가이드캠의 경사면에 있어서의 캐리어가 멈추는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캐리어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공보2의 구성에 있어서, 제어소자의 회전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리어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1급사구(1)가 초과위치(P20)를 향할수록 상승하는 구성에서는, 상승하지 않는 구성에 비하여 첨사 공급위치(P2)로부터 초과위치(P20)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보조동작B≫
보조동작B는, 도1(B)의 우측의 U자형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급사구(2)가 주사 공급위치(P1)를 넘는 위치(이하, 초과위치(P10))까지 이동하는 동작을 말한다. 초과위치(P10)는, 주사 공급위치(P1)를 사이에 두고 첨사 공급위치(P2)와는 반대측의 위치이다. 제2급사구(2)는, 초과위치(P10)로 이동한 후에 주사 공급위치(P1)로 이동한다. 제2급사구(2)가 초과위치(P10)에 배치되면, 제2급사구(2)로부터 싱커(5C)로 연장되는 제2편사(2Y)(주사)와 수평선과의 각도(β)가 작아진다. 그 때문에, 제1편사(1Y)(첨사)와 제2편사(2Y)가 이루는 각(γ)이 커져, 제1편사(1Y)와 제2편사(2Y)가 싱커(5C)에 접촉하는 장소의 근방에 있어서, 제1편사(1Y)와 제2편사(2Y)가 얽히는 위치가 편침(3B) 측으로 벗어나기 쉽다. 따라서 제1편사(1Y)와 제2편사(2Y)의 상하위치의 교체가, 표준 플레이팅 편성의 최후의 스티치에 가까운 위치에서 이루어지기 쉽다.
도1(B)에서는, 보조동작A 및 보조동작B의 양방이 실시되고 있다. 본 예와는 달리, 보조동작A만이 실시되어도 좋고, 보조동작B만이 실시되어도 좋다. 보조동작A만이 실시되는 경우에, 보조동작B만이 실시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1편사(1Y)와 제2편사(2Y)가 이루는 각(γ)이 커지기 쉽다. 여기에서 초과위치(P10, P20)는, 편사의 소재나 편성속도 등의 편성조건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변화한다.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급사구(1)와 제2급사구(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제1급사구(1)의 위치와 제2급사구(2)의 위치를 교체함으로써, 제1편사(1Y)와 제2편사(2Y)의 상하위치를 교체하고 있다. 즉 본 예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특허문헌1∼3과는 다른 수단에 의하여 양 편사(1Y, 2Y)의 상하위치를 교체하고 있다.
제1급사구(1)와 제2급사구(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하나의 캠시스템(6)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캠시스템(6)에 의하여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하더라도, 스티치열(40)에 있어서의 원하는 위치에서 제1편사(1Y)와 제2편사(2Y)를 교체하기 쉬워, 편성포에 혼색(混色)이 발생하기 어렵다. 구체적인 예로서,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편성포의 사진을 도2에 나타낸다. 도2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좌측에 있는 진한 그레이(gray) 부분은, 제1편사(1Y)가 주사가 되는 표준 플레이팅 편성에 의하여 얻어진 부분이다. 중앙에서 우측에 있는 옅은 그레이 부분은, 제2편사(2Y)가 주사가 되는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 의하여 얻어진 부분이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포의 편성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의 위치에서 제1편사(1Y)와 제2편사(2Y)가 깔끔하게 교체되고 있다. 또한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 의하여 얻어진 부분에 있어서 혼색이 없어, 편성포의 외관이 좋다.
이와 대비되는 것으로서, 도1에 나타내는 보조동작A, B를 하지 않은 편성포의 사진을 도3에 나타낸다. 도3을 보는 방법은 도2와 같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포의 편성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의 위치에서 대체로 제1편사(1Y)와 제2편사(2Y)가 교체되고 있다. 그러나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 의하여 얻어진 부분의 일부에 혼색이 발생하고 있다. 혼색의 발생은, 제1편사(1Y)를 급사하는 제1급사구(1)가 앞쪽 니들베드(30)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2급사구(2)보다 바깥쪽에 있는 것과 관계가 있다.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서 표준 플레이팅 편성으로 전환할 때에는, 주사인 제2편사(2Y)를 급사하는 제2급사구(2)가 앞쪽 니들베드(30)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급사구(1)보다 안쪽에 있기 때문에, 혼색은 발생하기 어렵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2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급사구(1)와 제2급사구(2)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한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전환을 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4에서는, 니들베드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
도4(A)에는, 제1급사구(1)가 주사 공급위치(P1)에, 제2급사구(2)가 첨사 공급위치(P2)에 배치되는 표준 플레이팅 편성이 나타나 있다. 제1급사구(1)와 제2급사구(2)가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는 구성에서는, 캐리지(7)의 특정위치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높이(H1)만큼 떨어진 위치가 주사 공급위치(P1), 높이(H2)만큼 떨어진 위치가 첨사 공급위치(P2)이다. 높이(H2)는, 높이(H1)보다 높다. 제2급사구(2)는 제1급사구(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2급사구(2)로부터 급사되는 제2편사(2Y)의 각도(β)는, 제1급사구(1)로부터 급사되는 제1편사(1Y)의 각도(α)보다 크다. 따라서 제1편사(1Y)가 주사, 제2편사(2Y)가 첨사가 된다.
도4(A)의 상태에서 반전 플레이팅 편성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급사구(1)를 첨사 공급위치(P2)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제2급사구(2)를 주사 공급위치(P1)로 이동시킨다. 제1급사구(1)는, 첨사 공급위치(P2)보다 높은 초과위치(P20)로 이동시키는 보조동작A를 한 후에, 첨사 공급위치(P2)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급사구(2)는, 주사 공급위치(P1)보다 낮은 초과위치(P10)로 이동시키는 보조동작B를 한 후에, 주사 공급위치(P1)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급사구(1)(제2급사구(2))를 상하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제1캐리어(11)(제2캐리어(12))에 요동기구를 탑재시키면 좋다. 요동기구는, 제1캐리어(11)(제2캐리어(12))를 높이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기구이다.
<실시형태3>
실시형태3에서는, 제1급사구(1)와 제2급사구(2)를 갖는 회전식 캐리어(13)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한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전환을 도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5(A)에는, 제1급사구(1)가 주사 공급위치(P1)에, 제2급사구(2)가 첨사 공급위치(P2)에 배치되는 표준 플레이팅 편성이 나타나 있다. 도5(A)의 상태에서 반전 플레이팅 편성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도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식 캐리어(13)를 180° 회전시킨다. 그 결과, 제1급사구(1)가 첨사 공급위치(P2)로 이동되고, 제2급사구(2)가 주사 공급위치(P1)로 이동된다.
회전식 캐리어(13)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회전식 캐리어(13)가 부착되는 캐리어에 회전기구를 탑재시키면 좋다. 회전기구는, 캐리어에 대하여 회전식 캐리어(13)를 회전시키는 기구이다.
회전식 캐리어(13)가 자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회전식 캐리어(13)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순간적으로 회전식 캐리어(13)를 캐리지(7)의 진행방향과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급사구(1)가 초과위치(P20)로 이동되어, 제1편사(1Y)의 각도(α)가 커짐으로써, 제1편사(1Y)와 제2편사(2Y)가 분리되기 쉬워진다.
<실시형태4>
실시형태4에서는, 실시형태1∼3과는 다른 수단에 의하여 제1편사(1Y)와 제2편사(2Y)의 상하위치를 교체하기 쉽게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설명한다. 물론 본 예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실시형태1∼3과 조합시켜 실시할 수 있다. 본 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1(A)를 참조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캐리지(7)의 이동속도가 고속(예를 들면, 1.0m/s 이상)이 되는 경우에, 앞쪽 니들베드(30)로부터 보았을 때의 제1급사구(1)와 제2급사구(2)의 전후관계에 기인하는 양 편사(1Y, 2Y)의 상하위치의 교체에 대한 어려움의 정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1(A)에서는, 앞쪽 니들베드(30)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주사 공급위치(P1)에 있는 제1급사구(1)가 첨사 공급위치(P2)에 있는 제2급사구(2)보다 안쪽에 있는 상태에서 전환동작을 하는 경우에, 제1편사(1Y)와 제2편사(2Y)의 상하위치가 교체되기 어렵다고 하는 현상이 생겼다. 그 대책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급사구(1)와 제2급사구(2)가 교차하는 위치를, 중간위치(CP)보다 첨사 공급위치(P2) 쪽의 위치로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1급사구(1)와 제2급사구(2)를 교차할 때에 있어서의 제1편사(1Y)의 각도(α)와 제2편사(2Y)의 각도(β)가, 중간위치(CP)에 있어서 양 급사구(1, 2)가 교차하는 경우보다 커진다. 그 결과, 캐리지(7)의 이동속도가 고속이더라도 제1편사(1Y)와 제2편사(2Y)의 상하위치가 교체되기 쉬워진다.
양 급사구(1, 2)가 교차하는 위치를 첨사 공급위치(P2) 쪽의 위치로 하는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주사 공급위치(P1)에 있는 급사구를, 첨사 공급위치(P2)에 있는 급사구보다 빠른 타이밍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도1(A)에서는, 제1급사구(1)를 제2급사구(2)보다 빠른 타이밍으로 이동시킨다. 그 외에, 이동하는 캐리지(7)로부터 보았을 때에, 주사 공급위치(P1)로부터 첨사 공급위치(P2)로 이동하는 급사구의 이동속도를, 첨사 공급위치(P2)로부터 주사 공급위치(P1)로 이동하는 급사구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게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도1(A)에서는, 제1급사구(1)의 이동속도를 제2급사구(2)보다 빠르게 한다.
<실시형태5>
실시형태5에서는, 실시형태1∼4와는 다른 수단에 의하여 제1편사(1Y)와 제2편사(2Y)의 상하위치를 교체하기 쉽게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설명한다. 물론 본 예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실시형태1∼4와 조합시켜 실시할 수 있다. 본 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1(A)를 참조한다.
전환동작에 있어서 제1편사(1Y)와 제2편사(2Y)의 상하위치의 교체가 더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교체의 시간을 버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수단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환동작의 시작에서부터 종료까지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전환동작 종료 후의 최초의 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침(3C)의 동작을 일단 정지시킨다. 즉 도1(A)의 편침(3C)이 지면(紙面)의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는 시간이 설정된다. 편침(3C)의 동작을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양 편사(1Y, 2Y)의 상하위치의 교체의 확실성이 높아진다.
편침(3C)의 동작을 일단 정지시키는 구성으로서, 캠시스템(6)에 구비되는 일부의 캠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편침(3C)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시키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캠에 있어서, 니트편성을 할 때에 편침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버트(butt)에 작용하는 경사면의 도중에 캐리지(7)의 진행방향과 평행인 평탄부를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을 구비하는 캠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공고 특공평2-10262호 공보의 도1에 나타내는 가이드캠(공보의 부호37), 라이징캠(공보의 부호12) 및 니팅캠(공보의 부호13, 14) 등을 들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캐리지(7)를 정지시키지 않고 편침(3C)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참고예>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과 관련된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이하의 구성을 들 수 있다.
편침을 동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캠시스템을 탑재하는 캐리지와, 상기 편침에 제1편사를 급사하는 제1급사구와, 상기 편침에 제2편사를 급사하는 제2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상기 캐리지로부터 보아, 주사가 공급되는 주사 공급위치와, 첨사가 공급되는 첨사 공급위치를 규정할 때에,
상기 제1급사구가 상기 주사 공급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급사구가 상기 첨사 공급위치에 배치되는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상기 제2급사구가 상기 주사 공급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급사구가 상기 첨사 공급위치에 배치되는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전환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시스템 중의 하나에 의하여 편성폭방향으로 배열되는 스티치열을 편성하는 도중에 상기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상기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전환하는 전환동작을 적어도 1회 실시하고,
상기 전환동작을 할 때에, 상기 제1급사구와 상기 제2급사구 중에서, 상기 주사 공급위치에 있는 급사구를 상기 첨사 공급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첨사 공급위치에 있는 급사구를 상기 주사 공급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참고예에 관한 구성에서는, 편성폭방향으로 배열되는 스티치열을 편성할 때에 캐리지의 이동방향을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1바늘마다 전환하는 경우에, 제1급사구와 제2급사구의 위치의 교체가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캐리지를 진행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이동시켜, 제1편사와 제2편사의 교체시간을 벌면 좋다. 이 경우에도, 보조동작A 및 보조동작B 중의 적어도 일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제1급사구 1Y : 제1편사
2 : 제2급사구 2Y : 제2편사
3A, 3B, 3C : 편침 3F : 훅 30 : 니들베드
4 : 스티치 4S : 싱커루프 40 : 스티치열
5A, 5B, 5C : 싱커
6 : 캠시스템
7 : 캐리지
11 : 제1캐리어 12 : 제2캐리어 13 : 회전식 캐리어
P1 : 주사 공급위치 P2 : 첨사 공급위치
P10, P20 : 초과위치
CP : 중간위치

Claims (7)

  1. 편침(編針)을 동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캠시스템을 탑재하는 캐리지(carriage)와, 상기 편침에 제1편사를 급사(給絲)하는 제1급사구와, 상기 편침에 제2편사를 급사하는 제2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상기 캐리지로부터 보아, 주사(主絲)가 공급되는 주사 공급위치와, 첨사(添絲)가 공급되는 첨사 공급위치를 규정할 때에,
    상기 제1급사구가 상기 주사 공급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급사구가 상기 첨사 공급위치에 배치되는 표준 플레이팅 편성(標準 plating knitting)과,
    상기 제2급사구가 상기 주사 공급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급사구가 상기 첨사 공급위치에 배치되는 반전 플레이팅 편성(反轉 plating knitting)을
    전환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를 일방향(一方向)으로만 이동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시스템 중의 하나에 의하여 편성폭방향으로 배열되는 스티치열(stitch列)을 편성하는 도중에 상기 표준 플레이팅 편성과 상기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전환하는 전환동작을 적어도 1회 실시하고,
    상기 전환동작을 할 때에, 상기 제1급사구와 상기 제2급사구 중에서, 상기 주사 공급위치에 있는 급사구를 상기 첨사 공급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첨사 공급위치에 있는 급사구를 상기 주사 공급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1급사구와 상기 제2급사구 중의 적어도 일방(一方)의 급사구를, 상기 적어도 일방의 급사구가 최종적으로 배치되는 최종위치를 통과시킨 후에, 반전시켜 상기 최종위치에 배치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공급위치로부터 상기 첨사 공급위치로 이동하는 급사구를, 상기 첨사 공급위치를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에 상기 첨사 공급위치에 배치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첨사 공급위치로부터 상기 주사 공급위치로 이동하는 급사구를, 상기 주사 공급위치를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에 상기 주사 공급위치에 배치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동작에 있어서, 상기 주사 공급위치로부터 상기 첨사 공급위치로 이동하는 급사구와, 상기 첨사 공급위치로부터 상기 주사 공급위치로 이동하는 급사구가 교차하는 위치를, 상기 주사 공급위치와 상기 첨사 공급위치의 중간위치보다 상기 첨사 공급위치 쪽의 위치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동작의 시작에서 종료까지의 사이에, 상기 전환동작 종료 후의 최초의 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침의 동작을 일단 정지시키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횡편기는, 상기 캐리지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캐리지와 독립하여 이동하는 자주식(自走式)의 제1캐리어 및 제2캐리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캐리어는, 상기 제1급사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캐리어는, 상기 제2급사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와 상기 제2캐리어를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210019875A 2020-02-17 2021-02-15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531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24627 2020-02-17
JPJP-P-2020-024627 2020-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580A KR20210104580A (ko) 2021-08-25
KR102531395B1 true KR102531395B1 (ko) 2023-05-10

Family

ID=7706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875A KR102531395B1 (ko) 2020-02-17 2021-02-15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425006B2 (ko)
KR (1) KR102531395B1 (ko)
CN (1) CN113265752B (ko)
DE (1) DE10202120130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9936A (ja) 2017-12-28 2019-07-22 ニッティド株式会社 肉厚部を備えた横編地の編成方法、及び肉厚部を備えた横編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8389B (en) * 1984-12-17 1988-10-05 Morris Philip Method and apparatus for knitting intarsia design fabric on circular knitting machines
JPH0931807A (ja) * 1995-07-17 1997-02-04 Tsudakoma Corp 添え糸編地の編成方法
TW561210B (en) * 2000-02-29 2003-11-11 Shima Seiki Mfg Yarn carrier of weft knitting machine
US7096694B2 (en) 2003-03-07 2006-08-29 Shima Seiki Mfg., Ltd. 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CN101668886B (zh) * 2007-05-02 2011-12-07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添纱编织筒状针织物及其编织方法和设计装置
CN101910485B (zh) * 2007-12-28 2011-06-15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EP2243871B1 (de) 2009-04-23 2012-05-23 H. Stoll GmbH & Co. KG Flachstrickmaschine mit mindestens einem längs einer Fadenführerschiene beweglichen Fadenführer
JP2012153990A (ja) * 2011-01-24 2012-08-16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
JP5955197B2 (ja) * 2012-10-31 2016-07-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2015010291A (ja) * 2013-06-27 2015-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給糸装置
JP6257322B2 (ja) * 2013-12-27 2018-01-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給糸装置
JP6042475B2 (ja) 2015-03-20 2016-12-14 佰龍機械廠股▲ふん▼有限公司 横編機が技術面片面で糸交換プレーティングを編織する方法
KR101698078B1 (ko) * 2015-04-13 2017-01-19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평판 편물기용 테크니컬 면의 일면에 교대 플레이팅을 편물하는 방법
JP6562890B2 (ja) * 2016-10-31 2019-08-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プレーティング編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横編機
JP6854688B2 (ja) 2017-04-07 2021-04-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カムシステムおよび横編機
JP6807451B2 (ja) * 2017-04-07 2021-01-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でのプレーティング編成方法
JP2018178292A (ja) 2017-04-07 2018-11-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9936A (ja) 2017-12-28 2019-07-22 ニッティド株式会社 肉厚部を備えた横編地の編成方法、及び肉厚部を備えた横編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580A (ko) 2021-08-25
JP7425006B2 (ja) 2024-01-30
CN113265752A (zh) 2021-08-17
CN113265752B (zh) 2022-11-08
DE102021201301A1 (de) 2021-08-19
JP2021127555A (ja)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919B1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
CN108018645B (zh) 添纱编织方法及其使用的横机
CN101796234B (zh) 横机及其给纱方法
EP3960920B1 (en) Knitting mechanism for knitting jacquard knitted fabric on circular knitting machine, knitt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sinker for use in the same
CN104420069B (zh) 带有可横向于针床运动的导纱器的平针针织机
JP4406893B2 (ja) 高低プラッシュ・ニットウェアおよびかかるプラッシュ・ニットウェアを製造する方法と装置
KR102531395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291231B1 (ko)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KR102434594B1 (ko)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편성방법
US5758518A (en) Method of forming transit yarn fastening portion
US5048313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thread guide having support cam for yarn
CN100494534C (zh) 制造针织物的方法和针织机
US5239843A (en)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plush goods
KR20210011534A (ko)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JPH07324259A (ja) インターシャ編地の編成方法及びそれを実施するためのカムロック
CN213896271U (zh) 一种直线机用拨线和挑线机构
KR102697548B1 (ko) 환편기 구조
CN101748556B (zh) 不具有握持沉降片的针织机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KR20080003232A (ko) 편사의 대피방법 및 횡편기
JPH0931802A (ja) 多色シングル編地の編成方法
KR20230154246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CN202247270U (zh) 一种三针锁式线迹平缝机牙架的调节装置
JP2022138703A (ja)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
JPH07268748A (ja) シンカー退避機構を有する横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