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116B1 -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작방법, 및 그 진공단열체로 단열하는 냉온장고 - Google Patents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작방법, 및 그 진공단열체로 단열하는 냉온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116B1
KR102529116B1 KR1020170097831A KR20170097831A KR102529116B1 KR 102529116 B1 KR102529116 B1 KR 102529116B1 KR 1020170097831 A KR1020170097831 A KR 1020170097831A KR 20170097831 A KR20170097831 A KR 20170097831A KR 102529116 B1 KR102529116 B1 KR 102529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vacuum
flange portion
spac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349A (ko
Inventor
남현식
강명주
김봉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097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116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8840503.9A priority patent/EP3662192A4/en
Priority to RU2021137153A priority patent/RU2021137153A/ru
Priority to PCT/KR2018/008694 priority patent/WO2019027232A1/en
Priority to AU2018309541A priority patent/AU2018309541B2/en
Priority to RU2020108663A priority patent/RU2763305C2/ru
Priority to US16/635,776 priority patent/US11725768B2/en
Priority to CN201880050571.2A priority patent/CN110998168B/zh
Publication of KR20190013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349A/ko
Priority to AU2022204319A priority patent/AU2022204319A1/en
Priority to KR1020230056247A priority patent/KR20230067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116B1/ko
Priority to US18/212,881 priority patent/US2023034107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6/00Devices using a combination of a cooling mode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with a cooling mode not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Abstract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과 온도가 다른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플레이트 부재를 연결하는 전도저항쉬트; 및 상기 전도저항쉬트가 체결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전도저항쉬트가 체결되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절곡되어 제공되는 진공단열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작방법, 및 그 진공단열체로 단열하는 냉온장고{Vacuum adiabatic body, fabrication method for the vacuum adibatic body, and refrigerating or warming apparatus insulated by the vacuum adiabatic body}
본 발명은 냉온장고, 진공단열체, 및 진공단열체의 제작방법에 대한 것이다.
냉장고는,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 등의 물품을, 영하를 포함하는 저온의 온도로 보관하는 장치이다. 이 작용으로서 사용자의 물품에 대한 취감을 증진하거나 물품의 보관기간을 길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냉장고로는, 상용 전원을 사용하는 건물 내부용 또는 휴대 전원을 사용하는 야외용이 있다. 이와 함께 근래에는 차량에 고정형으로 탑재한 후 사용하는 차량용 냉장고의 보급도 늘고 있다. 상기 차량용 냉장고는 차량의 보급증가 및 프리미엄급 차량의 증가로 인하여 그 수요가 더욱 늘어나고 있다.
상기 차량용 냉장고의 종래 형태를 소개한다.
먼저,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고내의 열을 고외의 강제로 배출하는 예가 있다. 그러나, 열전소자의 낮은 열효율로 인하여 냉각속도가 늦어 사용자의 만족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차량 실내 전체를 공조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공조시스템로부터 냉매 또는 냉기를 끌어와서 차량용 냉장고의 냉각원으로 사용하는 예가 있다.
본 예에서는 차량의 공조시스템으로부터 공기나 냉매를 끌어오기 위하여 공기나 냉매의 별도 유동경로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동경로의 이동 중에 저온 에너지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들 문제점으로 인하여 차량용 냉장고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도 차량 공조시스템과 인접하는 위치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예로 냉매를 이용하는 냉동사이클을 적용하는 예가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상기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트렁크에 대부분의 부품을 탑재하고 냉장고의 도어 만을 차량 내부로 개방하는 구성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에는 차량용 냉장고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한, 트렁크의 부피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트렁크의 내부에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양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또 다른 예의 대표적인 예로서 미국등록특허 4,545,211호가 있다. 상기 인용문헌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기계실의 큰 용적으로 인하여 차량용 냉장고의 내부 용적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뒷좌석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혼자 운전하는 경우에 운전을 정지하지 않고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폐도 전방으로 열리기 때문에 앞쪽에 물건을 두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고내의 냉각은 직접냉각방식, 즉 자연대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품의 냉각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계실이 외부로 직접 개방되어 있어 내부로 이물질이 혼입되어 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기계실의 배기와 흡기가 구분되지 않아서 흡기된 공기가 재혼입될 우려가 높아서 열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압축기의 사용에 따른 기계실의 소음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이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17-0021561호로 출원한 기술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더라도, 여전히 전도열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단열체에 진공 파손이 있을 때 제품 전체를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단열체의 테두리 부분에 단차가 발생하여 이를 없애기 위하여 추가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 4,545,211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17-0021561
본 발명은 진공단열체의 내외측 플레이트 부재 간의 전도 열전달량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체의 진공밀폐가 불완전하여 폐기되는 물품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체의 에지부에 발생하는 단차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진공단열체의 내외측 플레이트 부재 간의 전도 열전달량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내외측 플레이트 중에서 전도저항쉬트가 체결되는 플랜지 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절곡되어 제공된다.
진공단열체의 진공밀폐가 불완전하여 폐기되는 물품을 활용하기 위하여,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에서 밀봉부가 제공되는 체결면이 다른 연장방향을 가지고, 상기 두 체결면의 연장방향은 90도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진공단열체의 에지부에 발생하는 단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플랜지부에 두 개의 꺾임부를 가진다.
전도저항쉬트에 의한 단열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제 3 공간에 노출되는 적어도 두 개의 편평한 면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단열체의 단열효율, 특히 전도단열에 의한 단열성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밀봉의 재작업이 가능하여, 제품의 생산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단열체 에지부의 평면상으로 간소하게 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내부 공간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차량의 콘솔을 확대하는 사시도.
도 3은 차량용 냉장고의 대략적인 내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기계실과 캐비티의 연결관계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증발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차량용 냉장고의 기계실 외부의 공기유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7는 진공단열체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8은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9는 플레이트 부재의 단부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도 10은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의 상세 구성도.
도 11은 용접장치 및 전도저항쉬트가 용접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진공단열체의 제작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은 단열부하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14는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
도 15는 진공압과 가스전도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부재의 단부를 보이는 단면도.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부재의 단부를 보이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같은 구성요소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도면에도 같은 도면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각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운전자가 바라보는 정면이 아니라, 차량의 앞쪽에서 차량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 쪽이 우측이 되고 보조 운전자 쪽이 좌측이 된다.
도 1은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2)이 마련된다. 상기 좌석(2)은 좌우측으로 서로 이격되고 적어도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좌석(2)의 사이에는 콘솔(console)이 제공되고, 운전자가 운전에 필요한 물품을 두거나 차량의 조작에 필요한 부품이 놓인다. 상기 좌석(2)으로는 운전자 및 보조 운전자가 앉을 수 있는 앞좌석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퀴와 같은 이동장치와, 엔진과 같은 구동장치와, 핸들과 같은 조향장치와 같은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다양한 구성요소 들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의 차량용 냉장고는 상기 콘솔에 바람직하게 놓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뒷좌석 사이공간, 도어, 글로브박스, 및 센터페시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실시예의 차량용 냉장고는 전원만이 공급되고, 최소한의 공간이 확보되면 설치될 수 있는 것이 그 일요인이 된다. 그러나, 차량의 설계상 제약으로 인하여 공간이 제한되는 좌석 사이의 콘솔에도 설치될 수 있는 것이 실시예의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의 콘솔을 확대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솔(3)은 수지 등을 재질로 하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콘솔(3)의 하측에는 철제 프레임(98)이 더 제공되어 차량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센서 등과 같은 센서 부품(99)이 콘솔(3)과 상기 철제 프레임(98)의 사이 간격부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센서 부품(99)은 정확한 외부신호의 센싱 및 운전자의 위치에서의 신호 측정이 필요한 부품이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생명에 직결되는 에어백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콘솔(3)은 내부에 콘솔공간(4)을 가지고, 상기 콘솔공간(4)은 콘솔커버(300)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상기 콘솔커버(300)는 콘솔(3)에 고정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콘솔커버(300)를 통하여 콘솔 내부로 들어가기가 어렵다. 상기 콘솔공간(4)의 내부에는 차량용 냉장고(7)가 안착된다.
상기 콘솔(3)의 우측면에는 흡기구(5)가 마련되어 차량내부의 공기가 콘솔공간(4)의 안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기구(5)는 운전자 측을 바라볼 수 있다. 상기 콘솔(3)의 좌측면에는 배기구(6)가 마련되어 콘솔공간(4)의 내부에서 차량용 냉장고의 동작 중에 더워진 공기가 배기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6)는 보조운전자 측을 바라볼 수 있다. 상기 흡기구(5) 및 상기 배기구(6)에는 그릴이 제공되어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기가 어렵게 하여 안전하게 하고, 위로부터 낙하한 물건이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배기되는 바람의 방향을 하방으로 하여 사람에게 직접 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차량용 냉장고의 대략적인 내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냉장고(7)에는, 부품을 지지하는 냉장고 바닥 프레임(8), 상기 냉장고 바닥 프레임(8)의 좌측에 제공되는 기계실(200), 및 상기 냉장고 바닥 프레임(8)의 우측에 제공되는 캐비티(100)가 포함된다. 상기 기계실(200)은 기계실 커버(700)에 의해서 덮일 수 있고, 상기 캐비티(100)의 상측은 콘솔커버(300) 및 도어(800)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700)는, 냉각공기의 유로를 안내하는 것과 함께 기계실 내부로의 이물질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700)의 상측에는 제어기(900)가 놓여, 차량용 냉장고(7)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900)가 해당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차량용 냉장고(7)가 콘솔공간(4)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적정한 온도범위에서 문제없이 제어동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기(900)는, 상기 기계실 커버(700)와 콘솔커버(300) 사이 간격을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고, 기계실 커버(700)에 의해서 기계실(200)의 내부 공간과는 분리되기 때문에 기계실(200) 내부의 열이 제어기(900)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콘솔커버(300)는 콘솔공간(4) 상부의 개구된 부분을 차폐할 뿐만 아니라, 캐비티(100)의 상측 테두리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100)로의 물품 취출을 허용하는 개구를 사용자가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콘솔커버(300)에는 도어(8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800)는 상기 콘솔커버(300) 및 캐비티(100)의 뒷 부분을 힌지점으로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콘솔커버(300)와 도어(800)와 캐비티(100)의 개구는 사용자가 볼 때 수평으로 놓이고 콘솔의 뒷부분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도어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0)의 내부에는, 냉각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응축모듈(500)과 드라이어(630)와 압축기(201)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는 냉매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냉매관로(600)가 마련된다. 상기 냉매관로(600)의 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캐비티(100)의 안으로 연장되어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냉매관로(600)는 상기 캐비티의 물품 취출을 허용하는 상부 개구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100)의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100)는 상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다섯면은 진공단열체(101)에 의해서 막혀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100)는 개별적인 진공단열체 또는 서로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진공단열체에 의해서 단열될 수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101)에 의해서 상기 캐비티(100)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진공단열체(101)에 의해서 개구되는 어느 일면을 통하여 물품의 취출이 가능한 캐비티(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101)에는, 저온의 캐비티(100) 내부공간의 경계를 제공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고온의 외부공간의 경계를 제공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20)가 포함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전도를 막는 전도저항쉬트(6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101)는 얇은 단열 두께로 최대의 단열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큰 용적의 캐비티(100)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101)의 내부 공간에 대한 배기 및 진공상태의 유지를 위한 게터의 설치를 위한 배기 및 게터포크(40)가 일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기 및 게터포트(40)는 배기 및 게터(getter)를 함께 제공하여 차량용 냉장고(7)의 소형화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에는 증발모듈(400)이 설치되고, 상기 증발모듈(400)은 상기 냉매관로(600)를 통하여 캐비티(100)의 내부로 유입된 냉매의 증발열을 캐비티(100) 내부로 강제로 송풍할 수 있다.
증발모듈은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에서 뒷부분에 놓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전방을 바라보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캐비티 내부의 전방의 공간이 그만큼 더 커질 수 있다.
도 4는 기계실과 캐비티의 연결관계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캐비티(100)의 내부에는 증발모듈(400)이 수용된다. 다시 말하면, 진공단열체(101)를 외벽으로 가지는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 증발모듈(400)이 놓이는 것이다. 이로써, 기계실의 공간효율을 높이고 캐비티(100)의 내부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진공단열체는 얇은 두께임에도 큰 단열성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증발모듈(400)로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관로(600)는, 상기 캐비티(100)의 상면을 타고 넘어서 증발모듈(400)로 안내된다.
냉매관로(600)가 진공단열체(101)를 관통하는 등의 방법으로 용적을 작게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그러나, 차량은 진동이 많고, 진공단열체(101)는 내부가 상당히 높은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냉매관로(600)와 진공단열체(101)의 접촉부위의 기밀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공단열체(101)를 상기 냉매관로(600)가 관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차량의 진동에 의한 기밀누설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진공단열에서 기밀이 누설되면 단열효과는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상기 증발모듈(400)은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에서 도어의 힌지점, 즉 캐비티 내부의 뒷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냉매관로(600)가 증발모듈(400)까지 연장되기 위하여 필요한 경로가 최대한 짧은 것이 캐비티 내부용적 확보에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캐비티의 내부 용적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101)를 타고 넘는 냉매관로(600)는 도어의 힌지점을 통과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증발모듈이 도어의 힌지점을 벗어나면 냉매관로(600)의 연장 및 관로의 단열로 인하여 캐비티의 용량손실 및 저온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응축모듈(500)은 기계실 바닥 프레임(210)의 뒷쪽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응축모듈(50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압축기(201)를 냉각시킨 다음에 압축기(201)의 하방으로 유출된다.
상기 기계실 커버(700)는 캐비티의 좌측에 체결되어, 상기 기계실(200)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700)의 상측에는 냉각을 위한 공기유동이 발생하고, 냉각유로 상에는 제어기(900)가 제공되어 충분한 냉각작용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증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증발모듈(400)은 후방에 놓이고 부품이 수용되는 후방커버(430)과, 상기 후방커버(430)의 전방에 놓여 캐비티(100)를 바라보는 전방커버(450)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커버(450) 및 상기 후방커버(430)에 의해서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그 공간의 내부에 부품이 수용된다.
상기 전방커버(450)와 상기 후방커버(43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서, 하측에는 증발기(410)가 놓이고 상측에는 증발팬(420)이 놓인다. 상기 증발팬(420)은 좁은 공간에 장착될 수 있는 원심팬을 사용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좁은 설치 공간에서 넓은 면적의 팬 입구(422)로 공기를 흡입하고 고속으로 일정한 토출방향으로 송풍하는 팬출구(421)를 가지는 시로코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로코팬은 저소음으로 구동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낮은 소음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상기 팬입구(422)로는 증발기(410)를 거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팬출구(421)로 토출된 공기는 캐비티(100)로 토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증발팬(420)과 후방커버(430)의 내벽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430)에는 복수개의 격실이 제공되어 각 부품이 놓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격실(431)에는 증발기(410)와 증발팬(420)이 놓여 차가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한다. 제 2 격실(432)에는 램프(440)가 놓여서 캐비티(100) 내부를 밝게 하여 사용자가 캐비티(100) 내부를 살필 수 있도록 한다. 제 4 격실(434)은 온도센서(441)가 놓여서 캐비티(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차량용 냉장고의 제어에 참조한다.
상기 제 3 격실(433)은, 상기 제 4 격실(434)의 내부에 놓인 온도센서(441)가 캐비티(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캐비티의 유동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증발기(410)의 차가운 냉기가 직접 제 3 격실(433)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제 3 격실(433)은 경우에 따라서는 제거될 수는 있으나 제공되는 것이 전도열에 의한 캐비티 내부 온도의 오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4 격실(434) 및 상기 온도센서(441)는 증발기(410)에서 가장 먼 증발모듈(400)의 좌측상단, 즉 꼭지점에 놓이는데, 이는 증발기(410)의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증발기(410)의 냉기가 전도를 통하여 제 4 격실(434)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 4 격실(434) 및 온도센서(441)는 다른 격실(432)(433)에 의해서 제 1 격실(431)과는 차단된다.
상기 제 1 격실의 (431)의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 1 격실(431)의 상측에는 증발팬(420)이 놓이도록 일부분은 원형으로 제공되는 팬하우징(435)이 마련되고, 그 하측으로는 증발기(410)가 놓이는 증발기 놓임부(437)이 마련된다. 상기 팬하우징(435)의 좌측으로 관로통로(436)가 마련된다.
상기 관로통로(436)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진공단열체(101)를 타고 넘은 냉매관로(600)가 증발모듈(400)의 안으로 안내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증발모듈의 좌측 모서리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매관로(600)는 증발모듈(400)로 들고 나는 두 관로가 서로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두 관로가 단열재로 쌓여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관로통로(436)는 소정의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관로통로(436)는 증발모듈(400) 내부의 공간집약성을 높이기 위하여 증발모듈의 좌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커버(430)의 내부에는 증발기(410) 및 증발팬(420)이 마련되어 캐비티 내부의 공기 냉각 및 캐비티 내부의 공기순환을 이끌어 낸다.
상기 전방커버(450)는 상기 후방커버(430)과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형으로 제공된다. 상기 전방커버(450)의 하부에는 증발기(410) 하측으로의 공기유입을 안내하는 냉기유입구(451)와, 상기 팬출구(421)와 정렬되는 냉기 토출구(452)가 마련된다. 상기 냉기 토출구(452)는, 증발팬(420)에서 하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부드럽게 내면이 벤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격실(432)와 정렬되는 전방커버(450)는 개방되거나 윈도우가 마련되어 램브(440)의 광이 캐비티(100)의 내부로 조사되도록 한다.
상기 제 4 격실(434)와 정렬되는 전방커버(450)에는 통기구(454)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기 토출구(452)에서 토출된 공기가 캐비티(100) 내부를 순환한 다음에 상기 통기구(454)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로써, 캐비티(100) 내부의 온도를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기 토출구(452)에서 토출된 많이 차가운 냉기에 의해서 캐비티(100) 내부의 온도가 잘못 측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그 냉기는 증발팬(420)으로부터 송풍되는 냉기가 바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캐비티 내부의 정체되는 온도가 영향을 미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4 격실(434)는 캐비티 후면이 가장 우측상단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차량용 냉장고의 기계실 외부의 공기유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흡기구(5)로 유입된 공기는 캐비티(100)의 전면벽을 이루는 진공단열체(101)와 콘솔공간(4)의 전면 사이 간격을 통하여 차량용 냉장고의 좌측부로 이동한다. 차량용 냉장고의 우측부는 발열원이 없으므로 흡기된 공기는 원래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차량용 냉장고의 좌측부로 이동한 공기는 후방으로 방향을 틀어서, 기계실(200) 바깥에서 기계실 커버(700)의 상면을 따라서 이동한다.
기계실 커버(700)는, 공기유동을 원활히 안내하기 위하여, 전면부(710)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을 높아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어기(900)가 놓이는 영역을 제공하고, 기계실 내부 부품이 자리잡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계실 커버(700)의 상면은 단차를 이루고 있다.
상세하게는, 전면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제 1 단차부(732)와 제 2 단차부(733)와 제 3 단차부(735)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단차부(733)에는 상기 제 3 단차부(735)와 같은 높이의 제어기 놓임부(734)가 마련된다. 이 구조로 제어기(900)는 제 3 단차부(735)와 제어기 놓임부(734)에 수평상태로 놓일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700)의 상면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공기는 제어기(9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어기를 냉각하면서 공기는 약간 정도 더워질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700)의 후방까지 이동한 공기는 하방으로 유동한다. 기계실 커버의 후면에는 개방되어 큰 커버 흡입구가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기계실 커버(700)의 후면과 콘솔공간(4)의 후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제공된다.
이후에 기계실 커버(700)의 내부를 냉각시킨 공기는 기계실의 바닥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모듈(400)은 캐비티(100)의 뒷쪽에 놓이고, 상기 증발모듈(400)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관로(600)는 캐비티(100)를 타고 넘는다. 뿐만 아니라, 도어(800)의 힌지 및 증발모듈(400)이 캐비티의 뒷쪽에 놓여서 캐비티의 뒤쪽부분은 단열에 취약하다.
이를 개선하는 구성으로서 힌지부 단열재가 제공된다. 상기 힌지부 단열재(470)는, 증발모듈(400)의 상측부분과, 증발모듈(400)과 캐비티(100) 후면벽의 사이, 캐비티의 안으로 도입되는 재생단열재(651)와 캐비티 내부공간의 접촉부에 대한 단열작용을 수행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 단열재(470)의 상방에는 콘솔커버(300가 더 마련되어 완벽한 단열을 이끌어 낸다.
이하에서는 상기 진공단열체(101)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진공단열체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진공공간부(50)는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과는 다른 압력, 바람직하게는 진공 상태의 제 3 공간으로 제공되어 단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 및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에 해당하는 온도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의 사이에서 열전달에 저항하는 구성을 열저항유닛이라고 할 수 있고, 이하의 다양한 구성이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좁은 의미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에 저항하는 구성을 열저항유닛이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3 공간은 진공 상태의 공간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각 공간의 압력차 만큼의 힘에 의해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수축하는 힘을 받기 때문에, 상기 진공공간부(50)는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진공공간부의 수축에 따른 복사전달량의 증가,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의 접촉에 따른 전도전달량의 증가에 따른 단열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변형을 줄이기 위하여 서포팅유닛(3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에는 바(31)가 포함된다. 상기 바(31)는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 간격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31)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지지 플레이트(35)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31)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격자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와 접하는 면적이 작아져서 열전달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고정되어,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사이에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31)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35)의 총단면적은 상기 바(31)의 총단면적보다 크게 제공하여, 상기 바(31)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를 통하여 확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의 재질로는, 높은 압축강도, 낮은 아웃게싱(outgassing) 및 물흡수율, 낮은 열전도율, 고온에서 높은 압축강도, 및 우수한 가공성을 얻기 위하여, PC, glass fiber PC, low outgassing PC, PPS, 및 LCP 중에서 선택되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를 통한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복사를 줄이는 복사저항쉬트(3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는 부식방지과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인레스 재질은 방사율이 0.16으로서 비교적 높기 때문에 많은 복사열 전달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수지를 재질로 하는 상기 서포팅유닛의 방사율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비하여 낮고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복사열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복사열 전달의 저감에 중점적으로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면적의 대부분을 가로질러서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의 재질로는, 방사율(emissivity)이 낮은 물품이 바람직하고, 실시예에서는 방사율 0.02의 알루미늄 박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32)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어느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는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가 삽입될 수도 있다. 차량용 냉장고(7)의 경우에는 진공단열체(101)의 두께를 얇게 하고 캐비티(100)의 내부 용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를 삽입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서포팅유닛(30)에 의해서 플레이트 부재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다공성물질(33)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33)은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재질인 스테인레스보다는 방사율이 높을 수 있지만, 진공공간부를 충전하고 있으므로 복사열전달의 저항효율이 높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사저항쉬트(32)가 없이도 진공단열체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진공공간부(50)를 유지하는 서포팅유닛(30)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를 대신하여 다공성물질(33)이 필름(34)에 싸인 상태로 제공되었다. 이때 다공성물질(33)은 진공공간부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압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름(34)은 예시적으로 PE재질로서 구멍이 뚫려있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서포팅유닛(30)이 없이 진공단열체를 제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다공성물질(33)은 상기 복사저항쉬트(32)의 기능과 상기 서포팅유닛(3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밀봉되어야 한다. 이때 두 플레이트 부재는 각각이 온도가 서로 다르므로 양자 간에 열전달이 발생할 수 있다. 종류가 다른 두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도저항쉬트(60)가 마련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제 3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양단이 밀봉되는 밀봉부(61)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제 3 공간의 벽을 따라서 흐르는 열전도량을 줄이기 위하여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얇은 박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61)는 용접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전도저항쉬트(60)와 플레이트 부재(10)(20)가 서로 융착되도록 할 수 있다. 서로 간의 융착 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와 플레이트 부재(10)(20)는 서로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스테인레스를 그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61)는 용접부로 제한되지 않고 코킹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곡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열전도의 거리는 각 플레이트 부재의 직선거리보다 길게 제공되어, 열전도량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따라서 온도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그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는 차폐부(62)가 제공되어 단열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차량용 냉장고(7)의 경우에,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고온이고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저온이다. 그리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고온에서 저온으로 열전도가 일어나고 열흐름을 따라서 쉬트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경우에는 개방된 곳을 통한 열전달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는 차폐부(62)가 제공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저온공간 또는 고온공간의 어느 쪽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노출되는 양만큼 전도저항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상기 차폐부(62)는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면에 접하는 다공성물질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 놓이는 별도의 가스켓으로 예시가능한 단열구조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전도저항쉬트(60)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되는 상기 콘솔커버(300)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전달경로를 설명한다.
진공단열체를 통과하는 열에는, 상기 진공단열체의 표면, 더 상세하게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따라서 전달되는 표면전도열(①)과,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에 제공되는 서포팅유닛(30)을 따라서 전도되는 서포터전도열(②)과, 진공공간부의 내부 가스를 통한 가스전도열(③)과, 진공공간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복사전달열(④)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전달열은 다양한 설계 수치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가 변형되지 않고 진공압에 견딜 수 있도록 서포팅유닛을 변경할 수도 있고, 진공압을 변경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의 간격길이를 달리할 수 있고, 전도저항유닛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가 제공하는 각 공간(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의 온도차를 어느 정도를 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의 경우에는 총열전달량이 종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공되는 단열구조물에 비하여 열전달량이 작아지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구성을 알아내었다. 여기서, 종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는 냉장고에서의 실질열전달계수는 19.6mW/mK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실시예의 진공단열체의 열전달량을 상대적으로 분석하면, 가스전도열(③)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작아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열전달의 4%이하로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도열(①) 및 상기 서포터전도열(②)의 합으로 정의되는 고체전도열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많다. 예를 들어 75%에 달할 수 있다. 상기 복사전달열(③)은 상기 고체전도열에 비해서는 작지만 가스전도열에 의한 열전달보다는 크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사전달열(③)은 전체 열전달량의 대략 20%를 차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달분포에 따르면, 실질열전달계수(eK: effective K)(W/mK)는 상기 전달열(①②③④)을 비교할 때 수학식 1의 순서를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17074434576-pat00001
여기서 상기 실질열전달계수(eK)는 대상 물품의 형상과 온도차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값으로서, 전체 열전달량과 열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온도를 측정하여 얻어낼 수 있는 값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 내에 정량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가열원을 두고서 발열량을 알고(W), 냉장고의 도어 본체와 도어의 테두리를 통하여 각각 전달되는 열을 도어의 온도분포를 측정하고(K), 열이 전달되는 경로를 환산값으로 확인함으로써(m), 실질열전달계수를 구할 수 있는 것이다.
전체 진공단열체의 상기 실질열전달계수(eK)는 k=QL/A△T로 주어지는 값으로서, Q는 열전달량(W)으로서 히터의 발열량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고, A는 진공단열체의 단면적(m2)이고, L은 진공단열체의 두께(m)이고, △T는 온도차로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도열은, 전도저항쉬트(60)(63)의 입출구의 온도차(△T), 전도저항쉬트의 단면적(A), 전도저항쉬트의 길이(L), 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율(k)(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율은 재질의 물성치로서 미리 알아낼 수 있다)를 통하여 전도열량을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서포터전도열은, 서포팅유닛(30)의 입출구의 온도차(△T), 서포팅유닛의 단면적(A), 서포팅유닛의 길이(L), 서포팅유닛의 열전도율(k)을 통하여 전도열량을 알아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팅유닛의 열전도율은 재질의 물성치로서 미리 알아낼 수 있다. 상기 가스전도열(③)과 상기 복사전달열(④)의 합은 상기 전체 진공단열체의 열전달량에서 상기 표면전도열과 상기 서포터전도열을 빼는 것에 의해서 알아낼 수 있다. 상기 가스 전도열과 상기 복사전달열의 비율은 진공공간부의 진공도를 현저히 낮추어 가스 전도열이 없도록 하였을 때의 복사전달열을 구하는 것으로서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다공성물질이 제공되는 경우에, 다공성물질전도열(⑤)은 상기 서포터전도열(②)과 복사열(④)을 합한 양으로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전도열은 다공성물질의 종류와 양 등의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지점에서,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평균온도와의 온도차이가 가장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공간이 상기 제 1 공간에 비하여 뜨거운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지점에서 온도가 최저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공간이 상기 제 1 공간에 비하여 차가운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지점에서 온도가 최고가 된다.
이는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표면전도열을 제외하는 다른 곳을 통한 열전달량은 충분히 제어되어야 하고, 표면전도열이 가장 큰 열전달량을 차지하는 경우에 비로소 전체적으로 진공단열체가 만족하는 전체 열전달량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온도변화량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온도변화량보다 크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를 제공하는 각 부품의 물리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진공단열체는 진공압에 의한 힘이 모든 부품에 가하여진다. 따라서, 일정한 수준의 강도(strength)(N/m2)를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b를 참조하면, 도 8a와 동일하고,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전도저항쉬트(60)가 체결되는 부분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특징적으로 달라지는 부분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의 끝단부는, 고온의 제 2 공간측으로, 즉, 캐비티의 바깥쪽으로 벤딩되어 플랜지부(6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65)의 상면에 용접부(61)가 형성되어 전도저항쉬트(60)와 플랜지부(65)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어느 일면 만을 바라보며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두 번의 작업이 필요치 않고 작업이 더 편리해 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1 플레이트 부재(10)가 캐비티(100)의 내면측에 사용될 때, 캐비티(100)의 내면 테두리, 즉 내면 에지부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의 내면 테두리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더 크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별도의 마감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차량용 냉장고(7)와 같이 진공공간부(50)의 간격이 좁아서 도 8a와 같은 안쪽과 바깥쪽의 용접이 어려운 경우에는 더욱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도 8a 및 도 8b와 동일하고, 플랜지부(65) 및 전도저항쉬트(60)의 구성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이 경우에, 상기 플랜지부(65)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 측은 두 번 벤딩되어 두 개의 절곡부를 가질 수 있고, 제 2 플레이트 부재(20) 측은 한 번 벤딩되어 한 개의 절곡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65)에 따르면, 한 쌍의 상기 플랜지부(65)가 인출되는 길이가 달라져서 전도저항쉬트(60)의 길이가 더 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열전도량이 더욱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캐비티(100)의 테두리에 별도의 덮게가 제공되는 간격을 제공하여 캐비티(100)의 내측면은 진공단열체의 내면과 동일한 수준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진공밀폐가 완벽하지 못할 때 재작업이 가능하여 제품의 사용수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단부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단부에 제공되는 내측 플렌지부(660)는 두 개의 절곡부를 가진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단부에 제공되는 외측 플렌지부(670)는 한 개의 절곡부를 가진다.
또한, 상기 내측 플렌지부(660)와 상기 외측 플랜지부(670)가 놓이는 위치가 서로 다르다. 다시 말하면, 플레이트 부재(10)(20)에 플랜지부(660)(670)가 놓이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렌지부(660)가 진공단열체의 입구방향으로 더 바깥쪽에 놓인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길이를 더 길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간격(△x)에 더해서, 플렌지부(660)(670)가 놓이는 위치의 차이에 따른 간격(△y)가 더해질 수 있다. 여기서 위치의 차이는, 각 플레이트 부재의 중심에서 볼 때 각 플렌지부(660)(670)의 위치가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또는, 각 플레이트의 연장방향에서 볼 때 플렌지부(660)(670)가 제공되는 위치는 서로 달라서, 어느 하나의 플렌지부(660)(670)는 더 플레이트의 연장방향으로 더 멀리 연장되는 위치에 놓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더 길이가 긴 전도저항쉬트(60)를 설치할 수 있고, 그만큼 전도저항쉬트에 의한 열전도가 줄어드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각 플랜지부(660)(670)에 대응하여 용접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면(601)과 제 2 면(602)를 가지고, 각 면(601)(602)의 경계부는 벤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면(601)과 상기 제 2 면(602)은 각각 진공공간부로 노출되는 면을 가진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상기 차폐부(62)가 놓인다. 상기 차폐부(62)의 바깥쪽에는 덮게(680)가 놓이고, 상기 덮게(680)는 상기 차폐부(62)와 함께 상기 플렌지부(660)(670)을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플렌지부(660)를 덮는 상기 덮게(680)의 내측 단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정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내면과, 상기 덮게(680)의 내면이 서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캐비티(100)의 내면 테두리부가 편평하게 제공될 수 있고,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내면 테두리를 커버하는 다른 부재가 요구되지 않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덮게(680)의 외측 단부는, 캐비티의 바깥쪽에 놓이기 때문에 캐비티의 내부 용적을 줄이는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기기에 탑재 시에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상기되는 작용을 도 10에 제시되는 플랜지부의 상세 구성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단부는 한번 바깥쪽으로 꺾여서 내측 제 1 연장부(661)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제 1 연장부(661)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제 1 꺾임각(α1)으로 꺽일 수 있다. 상기 내측 제 1 연장부(661)에 이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는 다시 한번 안쪽으로 꺾여서 내측 제 2 연장부(662)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제 2 연장부(662)는 상기 내측 제 1 연장부(661)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제 2 꺾임각(α1)으로 꺾일 수 있다.
상기 내측 제 1 연장부(661)의 외면은 덮게(680)의 내측 단부가 놓일 수 있는 제 1 놓임부(663)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제 2 연장부(662)의 외면은 덮게(680)의 내측 단부의 내면이 놓일 수 있는 제 2 놓임부(664)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제 2 연장부(662)의 내면은 전도저항쉬트(60)가 용접되는 내측 체결면(665)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꺾임각과 상기 제 2 꺾임각은 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꺾임각은 부재의 단면 전체에 대한 평균으로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제 1 꺾임각이 너무 크면, 플레이트 부재의 가공이 어렵고 플레이트 부재의 강도가 약해지고 내외측 플랜지부(660)(670)의 위치에 따른 간격(△y)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꺾임각이 너무 작으면, 덮게(680)가 놓일 수 있는 간격이 좁아서 단차가 생기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제 1 꺾임각의 크기는 90도로 제안할 수 있다. 물론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꺾임각이 너무 크면, 플레이트 부재의 가공이 어렵고 플레이트 부재의 강도가 약해지고 전도저항쉬트(60)의 용접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상기 제 2 꺾임각이 너무 작으면, 덮게(680)가 놓일 수 있는 간격으로서 제 2 놓임부(664)의 가이드 작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제 2 꺾임각의 크지는 90도를 제안할 수 있다. 물론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꺾임각, 상기 제 2 꺾임각, 및 내측 연장부(661)(662)의 속성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고, 서로가 특정의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꺾임각이 큰 경우에는, 제 2 꺾임각을 크게 하고 제 1 연장부(661)의 길이는 작게 하고, 제 2 연장부(662)의 길이는 길게 함으로써, 내측 체결면(665)에 전도저항쉬트(60)의 단부에 대한 용접이 무리없게 수행되도록 하고, 한 쌍의 내측 연장부(661)(662)의 사이 간격부에 덮게(680)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내측 체결면(665)는, 상기 제 1 꺾임각과 상기 제 2 꺾임각의 합성각, 더 정확하게는 제 1 꺾임각에서 제 2 꺾임각만큼 뺀 값에 해당하는 내측 체결면 꺾임각(α1-α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측 체결면 꺾임각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단부는 제 3 꺾임각(β)으로 한번 바깥쪽으로 꺾여 상기 외측 제 1 연장부(671)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제 1 연장부(671)의 내면은 외측 체결면(672)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외측 체결면 꺾임각은 제 3 꺾임각(β)과 마찬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진공단열체의 용접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 재작업이 가능한 것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진공단열체의 각 부재 접촉면에 대한 체결은 용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누설없는 진공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얇기 때문에 용접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플레이트 부재와 전도저항쉬트를 눌러서 지지한 상태에서 용접이 수행되어야 한다.
도 11은 용접장치 및 전도저항쉬트가 용접되는 것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는 용접을 하기 위하여 심용접기를 사용한다. 심용접기(seam welding machine)에는, 전원(750), 상기 전원에 연결되는 한 쌍의 롤러전극(753)(754), 상기 롤러전극이 서로 접근하도록 가압하는 가압기(752)가 포함된다.
상기 심용접기는, 가압기(752)에 의해서 한 쌍의 롤러전극(753)(754)가 가압되는 중에, 상기 롤러전극(753)(754)에 전류를 흘린다. 이때 용접되는 두 부재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두 부재가 융착될 수 있다. 롤러전극(753)(754)는 천천히 회전하는 것으로서 용접부위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서 부재 간의 용접이 일어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심용접기는 한 쌍의 롤러전극(753)(754)의 사이에 플레이트 부재(10)(20)와 전도저항쉬트(60)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심용접기가 동작하면, 체결면(665)(672)와 전도저항쉬트(60)의 사이 접촉면에서 융착이 일어난다.
한편, 도 8a 및 도 8b의 경우에는 한 쌍의 플랜지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용접이 끝난 다음에 진공실험을 수행하여 누설이 있는 경우에는 재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용접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지되어야 어느 일면은 진공단열체의 안쪽 공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한 쌍의 롤러전극 중에서 어느 하나의 롤러전극은 지지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도 8c, 도 9, 및 도 10에 제시되는 플랜지 구조의 경우에는, 상기 내측 체결면 꺾임각과 상기 외측 체결면 꺾임각이 서로 다르다. 이에 따르면 내측체결면(665), 및 외측 체결면(672)의 길이와 면접에도 의존하기는 하지만, 용접작업 시에 롤러전극(753)(754)에 의해서 지지되어야 하는 양면이 모두 외부로 드러난다. 따라서, 진공단열체의 재작이 완료된 후에 있어서 진공누설이 있는 경우에는, 각 플렌지부(660)(670)에 대한 용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용접 작업 시에 진공단열체를 지지하기 위한 목적 및 용접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체결면 꺾임각과 상기 외측 체결면 꺾임각은 90도의 차이를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롤러전극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부(660)(670)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 캐비티(100)의 내부에 덮게(680)가 놓이는 간격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는 두 개의 내측 연장부(661)(662)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진공단열체의 제작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와 전도저항쉬트를 용접한다(S1). 이후에는 서포팅유닛(30)을 삽입하여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와 전도저항쉬트를 용접한다(S2). 상기되는 두 개소의 용접작업이 종료되면 진공단열체의 내부 공간에 대한 밀폐는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진공단열체가 제작되면 포트에 진공펌프를 연결하여 진공단열체의 내부의 공기를 배기한다(S3). 배기의 수행 후에 진공밀폐가 유지되는 지를 판단하여(S4), 진공이 잘 유지되면 출하하고(S6), 진공밀폐가 유지되지 않으면 재용접을 수행한 다음에(S5), 진공부여과정을 다시 진행한다(S3).
상기되는 과정에 따르면 용접 시에 작은 부분의 불완전 용접이 있더라도 재작업을 수행하여 진공단열체의 제품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단열체의 두께가 동일하더라도, 전도저항쉬트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설명한 바가 있다. 이 경우에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설명한다.
표 1 내지 표 3은 캐비티의 내부 크기가 400*600*400mm(96리터)이고, 외기는 25도씨, 고 내는 4도씨이고, 도어는 모두 폴리우레탄 폼으로 하는 경우에 단열부하는 나타내는 것이다. 표 1은 캐비티도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경우이고, 표 2는 전도저항쉬트의 길이를 0.008미터로 하는 경우이고, 도 3은 전도저항쉬트의 길이를 0.016미터로 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캐비넷(5면) 도어 가스켓
면적A[m2] 1.04 0.24
단열두께L[m] 0.03 0.03 둘레길이[m] 2
△T[℃] 21 21 △T[℃] 21
k,PU[W/m℃] 0.019 0.019 [W/m℃] 0.05
h[W/m2℃] 6 6
R_th[℃/W] 1.84 7.97
Q[W] 11.42 2.64 Q_gasket 2.10
Q_total[W] 16.16
캐비넷(5면) 도어 전도저항쉬트
면적A[m2] 1.04 0.24 둘레길이[m] 2
단열두께L[m] 0.03 0.03 박판두께[mm] 0.05
△T[℃] 21 21 박판길이[m] 0.008
k,PU[W/m℃] 0.019 0.019 면적A[m2] 0.0001
h[W/m2℃] 6 6 △T[℃] 21
R_th[℃/W] 5.13 7.97 K_SUS[W/m℃] 16
Q[W] 4.10 2.64 Q_박판 4.2
Q_total[W] 13.03
표 1에서의 가스켓 부분은 표 2에서도 마찬가지로 제공되는 것으로 한다.
캐비넷(5면) 도어 전도저항쉬트
면적A[m2] 1.04 0.24 둘레길이[m] 2
단열두께L[m] 0.03 0.03 박판두께[mm] 0.05
△T[℃] 21 21 박판길이[m] 0.016
k,PU[W/m℃] 0.019 0.019 면적A[m2] 0.0001
h[W/m2℃] 6 6 △T[℃] 21
R_th[℃/W] 5.13 7.97 K_SUS[W/m℃] 16
Q[W] 4.10 2.64 Q_박판 2.1
Q_total[W] 10.93
표 1에서의 가스켓 부분은 표 2에서도 마찬가지로 제공되는 것으로 한다.
도 13은 상기 표 1 내지 표 3의 결과물로서 제시되는 단열부하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와 같이 한 상의 꺾인 면을 가지는 전도저항쉬트를 적용하여 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 경로를 크게 하는 경우에는, 훨씬 더 저감되는 단열부하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일자형의 전도저항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16%의 단열부하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4는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를 진공상태로 조성하기 위하여, 가열하면서 진공공간부의 부품에 남아있는 잠재적인 기체를 기화시키면서 진공펌프로 진공공간부의 기체를 배기한다. 그러나, 일정 수준 이상의 진공압에 이르면 더 이상 진공압의 수준이 높아지지 않는 지점에 이르게 된다(△t1). 이후에는 진공펌프의 진공공간부의 연결을 끊고 열을 가하여 게터를 활성화시킨다(△t2). 게터가 활성화되면 일정 시간 동안은 진공공간부의 압력이 떨어지지만 정상화되어 일정 수준의 진공압을 유지한다. 게터 활성화 이후에 일정수준의 진공압을 유지할 때의 진공압은 대략 1.8×10- 6Torr이다.
실시예에서는 진공펌프를 동작시켜 기체를 배기하더라도 더이상 실질적으로 진공압이 낮아지지 않는 지점을 상기 진공단열체에서 사용하는 진공압의 하한으로 설정하여 진공공간부의 최저 내부 압력을 1.8×10- 6Torr로 설정한다.
도 15는 진공압과 가스전도도(gas conductivity)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 내부의 사이 갭의 크기에 따라서 진공압에 따른 가스전도열(gas conductivity)을 실질열전달계수(eK)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갭은 2.76mm, 6.5mm, 및 12.5mm의 세 가지 경우로 측정하였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복사저항쉬트(32)가 있는 경우는 상기 복사저항쉬트와 인접한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복사저항쉬트가 없는 경우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거리이다.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단열재를 제공하는 종래의 실질열전달계수 0.0196 W/mk과 대응되는 지점은 갭의 크기가 작아서 2.76mm인 경우에도 2.65×10- 1Torr인 것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진공압이 낮아지더라도 가스전도열에 의한 단열효과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은 대략 4.5×10- 3Torr인 지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4.5×10- 3Torr의 압력은 가스전도열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실질열전달계수가 0.1 W/mk일때에는 1.2×10- 2Torr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에 상기 서포팅유닛이 제공되지 않고 상기 다공성물질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갭의 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이다. 이 경우에는, 다공성물질로 인하여 비교적 진공압이 높은 경우에도, 즉 진공도가 낮은 경우에도 복사열전달은 작다. 따라서 그 진공압에 맞는 적절한 진공펌프를 사용한다. 해당하는 진공펌프에 적정한 진공압은 대략 2.0×10- 4Torr이다. 또한, 가스 전도열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의 진공압은 대략 4.7×10- 2Torr이다. 또한, 가스전도열의 저감효과가 종래의 실질열전달계수 0.0196 W/mk에 이르는 압력은 730Torr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에 상기 서포팅유닛과 상기 다공성물질이 함께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팅유닛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상기 다공성물질만을 사용하는 경우의 중간 정도의 진공압을 조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부재의 단부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도저항쉬트(60)의 형상이 바뀌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고, 다른 부분은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다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설명된 실시예의 내용이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도저항쉬트(60)는,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제 1 면(601) 및 제 2 면(602)의 사이의 접촉부분이 완만하게 구부러지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제공됨으로써, 진공압이 가하여질 때 전도저항쉬트에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저항쉬트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전도저항쉬트의 피로파손을 예방하여 진공단열체의 피로파손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부재의 단부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내측 제 1 연장부(661) 및 외측 제 1 연장부(671)의 연장각도가 대략 45도로 제공되고, 외측 제 1 연장부(671)에 이어서 45도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연장되는 외측 제 2 연장부(673)이 더 제공되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단열체의 두께보다 전도저항쉬트의 거리를 더 길게할 수 있다. 이로써 전도 열전달량을 더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시한다.
상기되는 실시예는 차량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중심으로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은 온장고, 냉온장고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차량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물품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조성하는 어떠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기로는 차량용 냉장고에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온장고의 경우에는 냉매의 방향을 냉장고의 역방향으로 구성하면 되고, 냉온장고의 경우에는 냉장고로 동작되는지 온장고로 동작되는지에 따라서 냉매의 방향을 역전시킬 수 있는 사방변을 냉매의 유로상에 설치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냉장고와 온장고의 변화와 무관하게, 지칭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모듈은 제 1 열교환모듈이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증발모듈은 제 2 열교환모듈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의 의미는 열교환모듈의 구분을 뜻하는 것으로서 서로 바뀌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내측 제 1 연장부는 꺽임각이 없이 내측 플레이트 부재의 연장방향으로 그대로 연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내측 플랜지부 및 외측 플랜지부의 꺾임각이 서로 달라서 용접의 불량시에 재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는 그대로 얻을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부재의 끝단에서 플랜지부의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전도저항쉬트의 길이를 길게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전원만을 공급받고, 독립된 장치로서 차량용 냉장고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660: 내측 플랜지부
670: 외측 플랜지부

Claims (28)

  1. 제 1 온도를 가지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온도와 다른 제 2 온도를 가지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온도와 상기 제 2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진공 상태의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절곡되어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는 열저항유닛을 더 포함하는 진공단열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저항유닛은, 상기 밀봉부에 의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되는 전도저항쉬트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체결되는 진공단열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바깥쪽에 덮게가 더 포함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덮게의 단부가 단차없이 매끈하게 플레이트 부재의 외면과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두 개의 꺾임부가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꺾임부가 제공되는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제 1 온도를 가지는 제 1 공간의 벽을 이루는 진공단열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게와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사이에는 차폐부가 더 마련되는 진공단열체.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저항쉬트가 상기 진공 상태의 공간에 노출되는 부분은 적어도 두 개의 편평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평한 면은 연장방향이 서로 다른 진공단열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공단열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에서 밀봉부가 제공되는 체결면,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중에서 밀봉부가 제공되는 체결면은, 다른 연장방향을 가지는 진공단열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체결면의 연장방향은 90도의 차이를 가지는 진공단열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는, 각 플레이트의 연장방향에서 볼 때, 서로 다른 위치에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중에서, 상기 제 1 온도를 가지는 제 1 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플랜지부는, 각 플레이트의 연장방향에 볼 때, 더 연장된 위치에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중에서, 상기 제 2 온도를 가지는 제 2 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플랜지부는, 상기 제 2 공간을 향하여 절곡되는 진공단열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플랜지부는, 연장각이 다른 두 개의 연장부를 가지는 진공단열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공단열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는 상기 제 2 온도를 가지는 제 2 공간을 향하여 절곡되는 진공단열체.
  18.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전도저항쉬트를 제 1 용접을 하고, 서포팅유닛을 삽입한 상태에서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전도저항쉬트를 제 2 용접을 하여 진공단열체를 제공하는 것;
    배기하여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진공으로 하는 것;
    상기 진공단열체 내부의 진공 상태의 공간의 진공이 유지되는 가를 판단하는 것;
    상기 진공 상태의 공간이 진공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용접 및 상기 제 2 용접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재용접을 수행하는 것; 및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다시 진공하는 것이 포함되는 진공단열체의 제작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롤러전극이 제공되는 심용접기로 수행하는 진공단열체의 제작방법.
  20. 물품을 수용할 수 있고 적어도 일 면은 진공단열체로 제공되는 캐비티;
    캐비티의 옆에 놓이는 기계실;
    상기 캐비티 및 상기 기계실이 안착되는 냉장고 바닥 프레임;
    상기 기계실에 놓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기계실에 놓여 냉매를 열교환하는 제 1 열교환모듈; 및
    상기 캐비티에 어느 일면에 대응하여 수용되고 냉매를 열교환하는 제 2 열교환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진공단열체는,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과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진공단열체의 내부공간을 진공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밀봉부에 의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에 체결되는 전도저항쉬트; 및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전도저항쉬트가 체결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전도저항쉬트가 체결되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절곡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공단열체로 단열하는 냉온장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에는, 연장방향이 다른 두 개의 연장부가 이어서 제공되는 진공단열체로 단열하는 냉온장고.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진공단열체로 단열하는 냉온장고.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에 비하여, 각 플레이트 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더 연장되는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전도저항쉬트가 밀봉 체결되는 각 플랜지부의 체결면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공단열체로 단열하는 냉온장고.
  24. 제 1 온도를 가지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온도와 다른 제 2 온도를 가지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와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진공 상태의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절곡되어 제공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는 열저항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저항유닛은, 상기 밀봉부에 의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되는 전도저항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저항쉬트가 상기 진공 상태의 공간에 노출되는 부분은 적어도 두 개의 편평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평한 면은 연장방향이 서로 다른 진공단열체.
  25. 제 1 온도를 가지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온도와 다른 제 2 온도를 가지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와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진공 상태의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절곡되어 제공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에서 밀봉부가 제공되는 체결면,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중에서 밀봉부가 제공되는 체결면은, 다른 연장방향을 가지는 진공단열체.
  26. 제 1 온도를 가지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온도와 다른 제 2 온도를 가지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온도와 상기 제 2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진공 상태의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절곡되어 제공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는, 각 플레이트의 연장방향에서 볼 때, 서로 다른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중에서, 상기 제 2 온도를 가지는 제 2 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플랜지부는, 상기 제 2 공간을 향하여 절곡되고,
    상기 제 2 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플랜지부는, 연장각이 다른 두 개의 연장부를 가지는 진공단열체.
  27. 물품을 수용할 수 있고 적어도 일 면은 진공단열체로 제공되는 캐비티;
    캐비티의 옆에 놓이는 기계실;
    상기 캐비티 및 상기 기계실이 안착되는 냉장고 바닥 프레임;
    상기 기계실에 놓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기계실에 놓여 냉매를 열교환하는 제 1 열교환모듈; 및
    상기 캐비티에 어느 일면에 대응하여 수용되고 냉매를 열교환하는 제 2 열교환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진공단열체는,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과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진공단열체의 내부공간을 진공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밀봉부에 의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에 체결되는 전도저항쉬트; 및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전도저항쉬트가 체결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전도저항쉬트가 체결되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절곡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진공단열체로 단열하는 냉온장고.
  28. 물품을 수용할 수 있고 적어도 일 면은 진공단열체로 제공되는 캐비티;
    캐비티의 옆에 놓이는 기계실;
    상기 캐비티 및 상기 기계실이 안착되는 냉장고 바닥 프레임;
    상기 기계실에 놓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기계실에 놓여 냉매를 열교환하는 제 1 열교환모듈; 및
    상기 캐비티에 어느 일면에 대응하여 수용되고 냉매를 열교환하는 제 2 열교환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진공단열체는,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과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진공단열체의 내부공간을 진공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밀봉부에 의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에 체결되는 전도저항쉬트; 및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전도저항쉬트가 체결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전도저항쉬트가 체결되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절곡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고, .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플랜지부에 비하여, 각 플레이트 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더 연장되는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전도저항쉬트가 밀봉 체결되는 각 플랜지부의 체결면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공단열체로 단열하는 냉온장고.
KR1020170097831A 2017-08-01 2017-08-01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작방법, 및 그 진공단열체로 단열하는 냉온장고 KR102529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31A KR102529116B1 (ko) 2017-08-01 2017-08-01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작방법, 및 그 진공단열체로 단열하는 냉온장고
RU2021137153A RU2021137153A (ru) 2017-08-01 2018-07-31 Вакуумный адиабатический элемент, холодильное или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ккумного адиабатического элемента
PCT/KR2018/008694 WO2019027232A1 (en) 2017-08-01 2018-07-31 VACUUM ADIABATIC BODY, REFRIGERATION OR HEAT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VACUUM ADIABATIC BODY
AU2018309541A AU2018309541B2 (en) 2017-08-01 2018-07-31 Vacuum adiabatic body, refrigerating or warming apparatus, fabrication method for the vacuum adiabatic body
EP18840503.9A EP3662192A4 (en) 2017-08-01 2018-07-31 ADIABATIC VACUUM BODY, COOLING OR HEA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ADIABATIC VACUUM BODY
RU2020108663A RU2763305C2 (ru) 2017-08-01 2018-07-31 Вакуумный адиабатически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куумного адиабатического элемента
US16/635,776 US11725768B2 (en) 2017-08-01 2018-07-31 Vacuum adiabatic body, refrigerating or wa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acuum adiabatic body
CN201880050571.2A CN110998168B (zh) 2017-08-01 2018-07-31 真空绝热体、制冷或加热设备、真空绝热体的制造方法
AU2022204319A AU2022204319A1 (en) 2017-08-01 2022-06-20 Vacuum adiabatic body, refrigerating or warming apparatus, fabrication method for the vacuum adiabatic body
KR1020230056247A KR20230067579A (ko) 2017-08-01 2023-04-28 진공단열체
US18/212,881 US20230341077A1 (en) 2017-08-01 2023-06-22 Vacuum adiabatic body, refrigerating or wa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acuum adiabatic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31A KR102529116B1 (ko) 2017-08-01 2017-08-01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작방법, 및 그 진공단열체로 단열하는 냉온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247A Division KR20230067579A (ko) 2017-08-01 2023-04-28 진공단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349A KR20190013349A (ko) 2019-02-11
KR102529116B1 true KR102529116B1 (ko) 2023-05-08

Family

ID=652329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831A KR102529116B1 (ko) 2017-08-01 2017-08-01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작방법, 및 그 진공단열체로 단열하는 냉온장고
KR1020230056247A KR20230067579A (ko) 2017-08-01 2023-04-28 진공단열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247A KR20230067579A (ko) 2017-08-01 2023-04-28 진공단열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725768B2 (ko)
EP (1) EP3662192A4 (ko)
KR (2) KR102529116B1 (ko)
CN (1) CN110998168B (ko)
AU (2) AU2018309541B2 (ko)
RU (2) RU2763305C2 (ko)
WO (1) WO2019027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717A (ko) * 2019-07-09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모듈, 및 냉장고
KR20210006698A (ko) * 2019-07-09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WO2022092968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7439A (ja) * 2011-06-24 2013-01-10 Matsuda Gijutsu Kenkyusho:Kk 真空断熱パネル
WO2017023094A1 (en) * 2015-08-03 2017-02-09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0711A (en) * 1921-03-17 1922-06-27 William K Knutson Refrigerator
US1814114A (en) 1925-11-21 1931-07-14 Insulation Corp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US2000882A (en) * 1928-09-07 1935-05-07 Stator Refrigeration Inc Insulating housing
US1845353A (en) 1928-12-14 1932-02-16 Virgil K Snell Heat-insulating construction
US2065608A (en) 1932-11-25 1936-12-29 Termisk Isolation Ab Heat insulating cabinet
US2464526A (en) * 1945-10-24 1949-03-15 Int Harvester Co Refrigerator construction
US2989156A (en) * 1956-11-23 1961-06-20 Whirlpool Co Heat insulating panels
US3161265A (en) * 1959-01-27 1964-12-15 Union Carbide Corp Vacuum panel insulation
GB890372A (en) * 1959-01-27 1962-02-28 Union Carbide Corp Vacuum panel insulation
US3156975A (en) * 1959-02-16 1964-11-17 Evacuated Insulation Res Ltd Method of making heat insulating panels
US3338451A (en) * 1964-02-20 1967-08-29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ZA728342B (en) * 1972-11-24 1974-07-31 Roran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sulating materials
JPS5517072Y2 (ko) 1976-07-23 1980-04-21
DE3328120C1 (de) 1983-08-04 1984-10-18 Ernst 7500 Karlsruhe Gaus Kuehlbox fuer Kraftfahrzeuge oder aehnliche mobile Einrichtungen,insbesondere fuer Personenkraftwagen
JPS60179344A (ja) 1984-02-27 1985-09-13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冷蔵庫
JPS60173879U (ja) 1984-04-25 1985-11-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冷温蔵庫
US4732432A (en) * 1986-12-29 1988-03-22 Whirlpool Corporation Breaker strip for a refrigerator cabinet
US4826040A (en) * 1987-07-31 1989-05-02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Refrigeration cabinet construction
JPH01142379A (ja) 1987-11-30 1989-06-05 Nippon Denso Co Ltd 雰囲気管理装置
US4837388A (en) * 1987-12-23 1989-06-06 Nudvuck Enterprises Evacuated insula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H01179882A (ja) 1988-01-07 1989-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冷蔵庫の制御装置
US5157893A (en) 1988-04-15 1992-10-27 Midwest Research Institute Compact vacuum insulation
CN2066123U (zh) 1989-09-19 1990-11-21 万长荣 真空绝热节能冰箱
US5011729A (en) 1989-11-15 1991-04-30 Mcallister Ian R Vacuum insulated panels with concave surfaces on the surface layers
EP0439046B1 (en) 1990-01-22 1993-09-22 Atd Corporation Pad including heat sink and thermal insulation areas and laminate having shapability
US5500305A (en) 1990-09-24 1996-03-19 Aladdin Industries, Inc. Vacuum insulated panel and method of making a vacuum insulated panel
JPH059298A (ja) 1991-07-05 1993-01-19 Daicel Chem Ind Ltd ポリカプロラクトンをグラフト化したポリオレフイン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214877A (en) 1992-06-23 1993-06-01 Ardco, Inc. Refrigerator door assembly with venting system
RU2073285C1 (ru) 1993-08-26 1997-02-10 Виктор Сергеевич Суганеев Конструкция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его корпуса
JPH0791591A (ja) 1993-09-21 1995-04-04 Kubota Corp 断熱壁の充填材
US5720536A (en) * 1995-03-27 1998-02-24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with improved breaker strip assembly
US6634417B1 (en) * 1997-04-07 2003-10-21 J. Bruce Kolowich Thermal receptacle with phase change material
DE19745825A1 (de) 1997-10-16 1999-04-22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ung
DE19745827A1 (de) 1997-10-16 1999-05-06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ung
CN1143112C (zh) 1997-10-16 2004-03-24 Bsh博施及西门子家用器具有限公司 隔热壁
US5860594A (en) 1997-12-19 1999-01-19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onal modes of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US6088966A (en) 1997-12-24 2000-07-18 Emco Enterprises, Inc. Hinge-emulating gap concealing strip for a door
US6637093B2 (en) 1998-03-03 2003-10-28 Anthony, Inc. Method of assembling a display case door
DE19907182A1 (de) * 1999-02-19 2000-08-2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
AU6488100A (en) 1999-07-13 2001-01-30 Arcelik A.S. Automatic quick freezing
KR100343719B1 (ko) 2000-01-14 2002-07-20 엘지전자주식회사 진공 단열재 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도어
JP4620211B2 (ja) 2000-03-31 2011-01-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断熱化粧材及び断熱化粧部材
JP2002071088A (ja) 2000-08-28 2002-03-08 Matsuda Gijutsu Kenkyusho:Kk 断熱パネル
JP3750530B2 (ja) 2001-01-25 2006-03-0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および断熱パネル
FR2821519B1 (fr) 2001-02-28 2003-05-02 Saint Gobain Element vitre isolant, notamment pour enceinte refrigeree
KR100363646B1 (en) 2001-03-13 2002-12-05 Daewoo Electronics Corp Method for controlling compressor of inverter refrigerator
JP2003042388A (ja) 2001-07-27 2003-02-13 Matsuda Gijutsu Kenkyusho:Kk 断熱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テナ
TW593919B (en) * 2002-05-31 2004-06-21 Matsushita Refrigeration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refrigerator using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KR100461868B1 (ko) * 2002-06-29 2004-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100505871B1 (ko) 2002-11-15 2005-08-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냉온장고의 제어 방법
JP2004211376A (ja) 2002-12-27 2004-07-29 Haruo Uehara 真空断熱パネル
US6769265B1 (en) 2003-03-12 2004-08-03 Maytag Corporation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US20040226956A1 (en) 2003-05-14 2004-11-18 Jeff Brooks Cryogenic freezer
US20050053755A1 (en) 2003-09-09 2005-03-10 Kendro Laboratory Products, Lp Vacuum insulation panel and method
JP2005106090A (ja) 2003-09-29 2005-04-21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1564513A1 (en) 2004-02-12 2005-08-17 Whirlpool Corporation A refrigerator with a variable speed compress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cooling capacity thereof
CN2691933Y (zh) 2004-03-06 2005-04-13 江苏阪神电器股份有限公司 车载移动式冰柜
CN2720362Y (zh) 2004-08-12 2005-08-24 白尚富 冰箱用内设支柱式真空隔温板
JP2006082604A (ja) 2004-09-14 2006-03-30 Denso Corp 車両用冷蔵庫
KR20070037274A (ko) 2005-09-30 2007-04-04 정홍준 진공판넬
DE102005057150A1 (de) * 2005-11-30 2007-06-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ühl- bzw. Gefrierschrank mit Verstärkungsrahmen
DE102005059145A1 (de) 2005-12-10 2007-06-28 Rehau Ag + Co Gefrierschranktürbaugruppe sowie Gefrierschrank mit einer derartigen Gefrierschranktürbaugruppe
US8234835B2 (en) * 2007-03-16 2012-08-07 Quest Product Development Corporation Integrated multilayer insulation
US7954301B2 (en) 2007-03-16 2011-06-07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 Integrated multilayer insulation
KR100845153B1 (ko) 2007-04-04 2008-07-09 주식회사 대창 차량용 냉장고
DE102008041014A1 (de) 2008-08-05 2010-02-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ühlgerät mit Temperierfunktion
US9238398B2 (en) 2008-09-25 2016-01-19 B/E Aerospace, Inc. Refrige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on with a vehicle's liquid cooling system
CN102239358B (zh) 2008-12-26 2013-10-30 三菱电机株式会社 真空隔热材料及使用了真空隔热材料的隔热箱及冰箱及制冷/空调装置及热水装置及设备
KR101015814B1 (ko) 2009-04-01 2011-02-22 한국과학기술원 진공 단열체
WO2010119591A1 (ja) * 2009-04-17 2010-10-21 シャープ株式会社 冷凍冷蔵庫及び冷却庫
US8382219B2 (en) 2009-05-11 2013-02-26 Sub-Zero, Inc. Installation system and door positioning device for appliances
KR101544453B1 (ko) 2009-08-07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단열재의 코어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WO2011048824A1 (ja) 2009-10-19 2011-04-28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及び断熱箱及び冷蔵庫及び冷凍・空調装置及び給湯装置及び機器及び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US7891203B1 (en) 2009-12-14 2011-02-22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oling items using vehicle HVAC system
KR101369810B1 (ko) 2010-04-09 2014-03-05 이초강 로봇을 위한 경험적 상황인식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E102011050472A1 (de) 2010-05-18 2011-11-24 Viktor Schatz Abstandhalteranordnung mit Stützelementen
JP2012021615A (ja) * 2010-07-16 2012-02-02 Matsuda Gijutsu Kenkyusho:Kk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輸送用コンテナ
KR101068459B1 (ko) 2010-07-29 2011-09-28 주식회사엑스엘 진공단열패널
JP5618756B2 (ja) 2010-10-18 2014-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27516B1 (ko) * 2010-10-28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898487B1 (ko) 2010-10-28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CN102121781B (zh) 2011-02-21 2013-01-30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填充气囊组件、电冰箱和制冷设备
DE102011006260A1 (de) * 2011-03-28 2012-10-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JP2012207682A (ja) 2011-03-29 2012-10-25 Matsuda Gijutsu Kenkyusho:Kk 真空断熱パネル
DE102011075388A1 (de) 2011-05-06 2012-11-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insbesondere Haushaltskältegerät
JP5316677B2 (ja) 2011-05-09 2013-10-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KR20130015183A (ko) * 2011-08-02 201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기능성 진공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US9528749B2 (en) 2011-11-02 2016-12-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861831B1 (ko) * 2011-11-02 2018-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861832B1 (ko) * 2011-11-04 2018-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363423B1 (ko) 2012-01-17 2014-02-17 주식회사 경동원 팽창 퍼라이트·실리카 성형 구조체를 갖는 저밀도 무기질 파우더 진공단열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성형기
JP6083939B2 (ja) * 2012-03-12 2017-02-22 株式会社松田技術研究所 真空断熱パネルおよび断熱箱体
CN104204646B (zh) 2012-03-23 2016-10-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真空隔热件和使用其的隔热壳体
KR101565420B1 (ko) 2012-12-13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183719B1 (ko) * 2013-04-08 2020-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6376B1 (ko) 2013-04-24 2014-10-31 한국과학기술원 조립식 왕복 지지체를 가지는 진공 단열체의 구조
KR102163292B1 (ko) 2013-07-26 202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6071796B2 (ja) 2013-08-06 2017-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の扉及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KR101609438B1 (ko) 2014-02-11 2016-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27662B1 (ko) 2014-03-20 2016-06-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밸러스트 시스템
JP6511626B2 (ja) * 2014-04-18 2019-05-15 株式会社安川電機 シーム溶接システム、シーム溶接方法および被溶接物の生産方法
DE102014211095A1 (de) 2014-06-11 2015-12-17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CN204141054U (zh) 2014-09-30 2015-02-04 烟台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保温支撑装置
CN104296490B (zh) 2014-10-09 2017-01-1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的控制方法、系统及冰箱
KR102366410B1 (ko) * 2014-10-16 2022-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진공 단열재
KR102222572B1 (ko) * 2014-10-16 2021-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273285B1 (ko) 2014-12-26 202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진공 단열재
US20160258671A1 (en) * 2015-03-02 2016-09-08 Whirlpool Corporation Gas barrier for vacuum insulation
CN104913571B (zh) 2015-06-25 2017-09-19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变频冰箱及变频冰箱的控制方法
KR102442973B1 (ko) 2015-08-03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05802B1 (ko) 2015-08-03 2022-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9852B1 (ko) * 2015-08-03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5551B1 (ko)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98210B1 (ko) 2015-08-03 2023-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9853B1 (ko) 2015-08-03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조방법, 다공성물질패키지, 및 냉장고
KR102502160B1 (ko) 2015-08-03 2023-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56642B1 (ko) 2015-08-03 202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97139B1 (ko) 2015-08-03 202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KR102525550B1 (ko)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66469B1 (ko) 2015-08-03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7245B1 (ko) 2015-08-03 202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16188A (ko)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66470B1 (ko) 2015-08-04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21561A (ko) 2015-08-18 2017-0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772581B1 (ko) 2015-12-15 2017-08-31 주식회사 경동원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교차적층 된 진공단열패널의 연결 구조
KR101738787B1 (ko) * 2015-12-15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저장고, 차량용 저장고, 및 차량
CN205350719U (zh) 2015-12-31 2016-06-29 深圳市纳能科技有限公司 保温隔热套及隔热箱
WO2017192121A1 (en) * 2016-05-03 2017-11-09 Whirlpool Corporation Hinge support assembly for a vacuum insulated appliance cabinet
KR102151363B1 (ko) * 2016-06-13 2020-09-02 닛테츠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진공 단열 패널
CN106016957B (zh) 2016-06-29 2019-02-0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控制方法及装置
CN205784134U (zh) 2016-07-15 2016-12-07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超节能薄壁冰箱
KR20170000187U (ko) 2016-07-21 2017-01-12 주식회사 경동원 이음맞춤 구조를 갖는 진공단열재
US10913232B2 (en) 2016-08-30 2021-02-09 Quest Thermal Group LLC Cellular load-responsive multilayer insulation
CN106500428B (zh) 2016-12-21 2019-02-15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8253709A (zh) 2016-12-29 2018-07-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CN106766594A (zh) 2016-12-30 2017-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门体及具有该冰箱门体的冰箱
KR102459784B1 (ko) 2017-08-01 2022-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9177B1 (ko) 2017-08-01 2022-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CN109419194A (zh) 2017-08-16 2019-03-05 张跃 一种家具材料
CN208281706U (zh) 2018-04-16 2018-12-25 江苏首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水箱真空保温板
CN208472996U (zh) 2018-05-31 2019-02-05 金乡蒜通天下仓储有限公司 一种冷库保温层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7439A (ja) * 2011-06-24 2013-01-10 Matsuda Gijutsu Kenkyusho:Kk 真空断熱パネル
WO2017023094A1 (en) * 2015-08-03 2017-02-09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09541B2 (en) 2022-03-24
CN110998168B (zh) 2023-02-28
WO2019027232A1 (en) 2019-02-07
CN110998168A (zh) 2020-04-10
RU2021137153A (ru) 2022-03-17
AU2022204319A1 (en) 2022-07-14
US11725768B2 (en) 2023-08-15
RU2020108663A3 (ko) 2021-09-02
KR20230067579A (ko) 2023-05-16
AU2018309541A1 (en) 2020-03-19
KR20190013349A (ko) 2019-02-11
RU2763305C2 (ru) 2021-12-28
RU2020108663A (ru) 2021-09-02
EP3662192A4 (en) 2021-04-28
US20230341077A1 (en) 2023-10-26
US20210025538A1 (en) 2021-01-28
EP3662192A1 (en)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67579A (ko) 진공단열체
KR102525551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655773B1 (ko) 진공단열체, 냉온장고, 및 차량
KR102529852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68915B1 (ko) 차량,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용 냉장고의 제어방법
US20230133129A1 (en) Refrigerator for vehicle and vehicle
US11872921B2 (en) Refrigerator, refrigerating or warming apparatus, and vacuum adiabatic body
KR102658455B1 (ko) 냉온장고, 및 진공단열체
KR102658801B1 (ko)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KR20240056692A (ko) 냉온장고, 및 진공단열체
KR20240049254A (ko) 진공단열체, 냉온장고, 및 차량
KR102658454B1 (ko) 냉온장고, 및 차량
KR20240054942A (ko)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KR102658453B1 (ko)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US20240019196A1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efrigerator
KR102658800B1 (ko)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KR20240056691A (ko) 냉온장고, 및 차량
KR20220059330A (ko) 진공단열체의 제조방법
KR20180090057A (ko)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