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262B1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262B1
KR102524262B1 KR1020217005206A KR20217005206A KR102524262B1 KR 102524262 B1 KR102524262 B1 KR 102524262B1 KR 1020217005206 A KR1020217005206 A KR 1020217005206A KR 20217005206 A KR20217005206 A KR 20217005206A KR 102524262 B1 KR102524262 B1 KR 102524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ircumferential
protrusion
piston rod
friction member
elastic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9821A (ko
Inventor
레이지 나카가와
미키오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9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16F9/362Combination of sealing and guide arrangements for 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16F9/362Combination of sealing and guide arrangements for piston rods
    • F16F9/363Combination of sealing and guide arrangements for piston rods the guide being mounted between the piston and the sealing, enabling lubrication of the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9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in dampers of the cylinder-and-pist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9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with a single cylinder and of single-tub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이 완충기는, 피스톤 로드(15)에 미끄럼 접촉하는 환형의 탄성 고무부(91)와 탄성 고무부(91)가 고착되는 환형의 베이스부(92)를 포함하는 마찰 부재(22)와, 마찰 부재(22)의 축방향 양측의 차압을 작게 하는 연통로를 구비한다. 베이스부(92)는, 환형 원판부(101)를 갖는다. 탄성 고무부(91)는, 최소 내경부(137)를 내주측에 가지며 환형 원판부(101)의 내주부에 접속되는 내주 접속부(130)를 갖는다. 탄성 고무부(91)의 최소 내경부(137)와 내주 접속부(130) 사이에는, 최소 내경부(137)로부터 내주 접속부(130)를 향하여 형성되는 내주 표면(140)의 돌출을 억제하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완충기
본 발명은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8년 11월 5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8-20812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서 원용한다.
완충기의 구성으로서, 작동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시일 부재와는 별도로,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에 대하여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는 마찰 부재를 갖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54686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 제5810220호 공보
완충기에서는, 마찰 부재를 이용하여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완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완충기는, 피스톤 로드에 미끄럼 접촉하는 환형의 탄성 고무부와 상기 탄성 고무부가 고착되는 환형의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마찰 부재와, 상기 마찰 부재의 축방향 양측의 차압을 작게 하는 연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환형 원판부를 갖는다. 상기 탄성 고무부는, 최소 내경부를 내주측에 가지며 상기 환형 원판부의 내주부에 접속되는 내주 접속부를 갖는다. 상기 탄성 고무부의 상기 최소 내경부와 상기 내주 접속부 사이에는, 상기 최소 내경부로부터 상기 내주 접속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내주 표면의 돌출을 억제하는 돌출 억제 구조부가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완충기에 따르면,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마찰 부재를 나타내는 편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마찰 부재의 수축 행정에서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편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마찰 부재의 신장 행정에서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편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마찰 부재 및 비교예의 리사주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마찰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편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마찰 부재를 나타내는 편측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마찰 부재를 나타내는 편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마찰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마찰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마찰 부재를 나타내는 편측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도 1~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11)는, 작동 유체로서 작동 액체가 이용되는 액압 완충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동 액체로서 오일액이 이용되는 유압 완충기이다. 완충기(11)는 주로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에 이용된다.
완충기(11)는, 내통(12)과, 내통(12)보다 대직경으로 내통(12)과의 사이에 리저버실(13)을 형성하도록 동축형으로 배치되는 외통(14)과, 내통(12)의 중심축선 상에 배치되며 축방향 일측이 내통(12)의 내부에 삽입되고 축방향 타측이 내통(12) 및 외통(14)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15)와, 이 피스톤 로드(15)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내통(1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장착되어 내통(12) 내를 2개의 실(16, 17)로 구획하는 피스톤(18)을 가지고 있다. 즉, 이 완충기(11)는, 그 실린더(19)가 내통(12)과 외통(14)을 갖는 복통식으로 되어 있다. 피스톤(18)은, 실린더(19)의 내통(12)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장착되어, 실린더(19)의 내통(12) 내를 2개의 실(16, 17)로 구획한다. 피스톤 로드(15)는, 피스톤(18)에 연결되며 실린더(19)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통식에 한정되지 않고 단통식의 액압 완충기에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감쇠력 조정 기구를 이용한 액압 완충기 등에도 이용 가능하다.
피스톤 로드(15)는, 일단부에 연결된 피스톤(18)과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피스톤 로드(15)의 타단부는, 실린더(19), 즉 내통(12) 및 외통(14)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있다. 실린더(19)는, 그 내통(12) 내에, 작동 액체로서의 오일액이 봉입된다. 내통(12)과 외통(14) 사이의 리저버실(13)에는, 작동 액체로서의 오일액 및 고압 가스가 봉입된다. 또한, 리저버실(13) 내에는, 고압 가스 대신에 대기압의 공기를 봉입하여도 좋다.
완충기(11)는, 실린더(19)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15)가 돌출하는 측의 단부 위치에 배치되는 로드 가이드(20)와, 실린더(19)의 피스톤 로드(15)가 돌출하는 측의 단부 위치로서 실린더(19)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내외 방향(도 1, 도 2의 상하 방향에서, 이하, 실린더 내외 방향이라고 함)의 로드 가이드(20)보다 외부측(도 1, 도 2의 상하 방향 상측)에 배치되는 시일 부재(21)와, 시일 부재(21)보다 실린더 내외 방향의 내부측(도 1, 도 2의 상하 방향 하측)으로서 시일 부재(21)와 로드 가이드(20) 사이에 마련되는 마찰 부재(22)와, 실린더(19)의 축방향의 로드 가이드(20), 시일 부재(21) 및 마찰 부재(22)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밸브(23)를 가지고 있다.
로드 가이드(20), 시일 부재(21) 및 마찰 부재(22)는, 모두 환형을 이루고 있다. 로드 가이드(20), 시일 부재(21) 및 마찰 부재(22)의 내측에, 피스톤 로드(1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다. 로드 가이드(20)는, 피스톤 로드(15)를, 그 직경 방향 이동을 규제하면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 피스톤 로드(15)의 이동을 안내한다. 시일 부재(21)는, 그 내주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15)의 외주부에 미끄럼 접촉하여, 내통(12) 내의 오일액과 외통(14) 내의 리저버실(13)의 고압 가스 및 오일액이 실린더(19)로부터 외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시일 부재(21)는, 실린더(19) 내의 오일액 및 가스의 완충기(11)로부터 외부에의 누설을 방지한다. 마찰 부재(22)는, 그 외주부에서 로드 가이드(20)에 감합하여 고정되고, 그 내주부에서 피스톤 로드(15)의 외주부에 미끄럼 접촉하여, 피스톤 로드(15)에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는 것이며, 시일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실린더(19)의 외통(14)은, 원통형의 몸통 부재(25)와, 이 몸통 부재(25)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15)의 돌출측과는 반대의 일단측을 폐색시키는 바닥 부재(26)를 갖는 대략 바닥을 갖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다. 몸통 부재(25)는, 피스톤 로드(15)의 돌출측의 개구부(27)의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부(28)를 가지고 있다. 외통(14)의 개구부(27)측에는 걸림부(28) 및 시일 부재(21)를 덮도록 커버(29)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29)를 부착하는 구성을 나타내어 설명하였지만, 커버(29)는 없어도 좋다.
실린더(19)의 내통(12)은, 원통형을 이루고 있다. 내통(12)은, 축방향의 일단측이, 외통(14)의 바닥 부재(26)의 내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밸브(23)의 베이스 보디(30)에 감합 상태로 지지되고, 축방향의 타단측이 외통(14)의 개구부(27)의 내측에 감합되는 로드 가이드(20)에 감합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23)의 베이스 보디(30)에는, 내통(12) 내의 실(17)과, 외통(14)과 내통(12) 사이의 리저버실(13)을 연통 가능한 오일 통로(31, 32)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보디(30)에는, 디스크 밸브(33)가 축방향의 바닥 부재(26)측에 배치되고, 디스크 밸브(34)가 축방향의 바닥 부재(26)와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디스크 밸브(33)는, 내측의 오일 통로(31)를 개폐 가능한 축소측 감쇠 밸브이다. 디스크 밸브(34)는, 외측의 오일 통로(32)를 개폐 가능한 체크 밸브이다. 이들 디스크 밸브(33, 34)는, 베이스 보디(30)에 삽입 관통되는 리벳(35)으로 베이스 보디(30)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크 밸브(33, 34)는, 베이스 보디(30)에 삽입 관통되는 리벳(35)으로 베이스 보디(30)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너트에 의해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디스크 밸브(33)는, 디스크 밸브(34)의 도시 생략된 통로 구멍 및 오일 통로(31)를 통해 실(17)로부터 리저버실(13)측에의 오일액의 흐름을 허용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한편으로, 반대 방향의 오일액의 흐름을 규제한다. 이와는 반대로, 디스크 밸브(34)는 오일 통로(32)를 통해 리저버실(13)로부터 실(17)측으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저항없이 허용하는 한편, 반대 방향의 오일액의 흐름을 규제한다. 즉, 디스크 밸브(33)는, 피스톤 로드(15)가 실린더(19)에의 진입량을 크게 하는 축소측으로 이동하여 피스톤(18)이 실(17)측으로 이동하여 실(17)의 압력이 상승하면 오일 통로(31)를 개방하고, 그때에 감쇠력을 발생하는 감쇠 밸브이다. 디스크 밸브(34)는, 피스톤 로드(15)가 실린더(19)로부터의 돌출량을 크게 하는 신장측으로 이동하여 피스톤(18)이 실(16)측으로 이동하여 실(17)의 압력이 하강하면 오일 통로(32)를 개방하고, 그때에 리저버실(13)로부터 실(17) 내에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오일액을 흐르게 하는 석션 밸브이다.
또한, 체크 밸브로서의 디스크 밸브(34)로 신장측의 감쇠력을 적극적으로 발생시켜도 좋다. 또한, 이들 디스크 밸브(33, 34)를 폐지하여 오리피스로 하여도 좋다.
피스톤 로드(15)는, 일정 직경의 원통면을 포함하는 외주면(37)을 갖는 주축부(38)와, 내통(12)에 삽입되는 측의 단부의, 주축부(38)보다 소직경의 내단축부(39)를 가지고 있다.
내단축부(39)에는 너트(40)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너트(40)에 의해 피스톤(18) 및 그 양측의 디스크 밸브(41, 42)가 내단축부(39)에 부착되어 있다.
실(16)은, 피스톤(18)과 로드 가이드(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실(16)은, 그 내측에 피스톤 로드(15)가 관통하는 로드측실이다. 실(17)은 피스톤(18)과 베이스 밸브(2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실(17)은, 실린더(19)에 있어서의 바닥 부재(26)측에 있는 보텀측실이다.
피스톤 로드(15)는, 실(17)의 내측은 관통하지 않는다.
피스톤 로드(15)에는, 주축부(38)의 피스톤(18)과 로드 가이드(20) 사이의 부분에, 어느 쪽이든 원환형의 스토퍼 부재(47) 및 완충체(48)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47)는, 내주측에 피스톤 로드(15)를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스토퍼 부재(47)는, 코오킹되어 주축부(38)에 고정되어 있다. 완충체(48)는, 내측에 피스톤 로드(15)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완충체(48)는, 스토퍼 부재(47)와 로드 가이드(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18)에는, 내통(12)의 바닥 부재(26)측의 실(17)과 바닥 부재(26)와는 반대측의 실(16)을 연통 가능한 오일 통로(44, 45)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8)에는, 디스크 밸브(41)가 바닥 부재(26)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며, 디스크 밸브(42)가 바닥 부재(26)측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41)는, 오일 통로(44)를 개폐 가능한 축소측 감쇠 밸브이다. 디스크 밸브(42)는, 오일 통로(45)를 개폐 가능한 신장측 감쇠 밸브이다.
디스크 밸브(41)는, 오일 통로(44)를 통하는 실(17)에서 실(16)측으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허용하는 한편으로, 반대 방향의 오일액의 흐름을 규제한다. 디스크 밸브(42)는, 오일 통로(45)를 통하는 실(16)측으로부터 실(17)에의 오일액의 흐름을 허용하는 한편으로 반대 방향의 오일액의 흐름을 규제한다. 디스크 밸브(41)와 피스톤(18) 사이에는, 디스크 밸브(41)가 폐쇄된 상태라도 실(17)과 실(16)을 오일 통로(44)를 통해 연통시키는 도시 생략된 고정 오리피스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42)와 피스톤(18) 사이에도, 디스크 밸브(42)가 폐쇄된 상태라도 실(17)과 실(16)을 오일 통로(45)를 통해 연통시키는 도시 생략된 고정 오리피스가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15)가 축소측으로 이동하여 피스톤(18)이 실(17)측으로 이동하여 실(17)의 압력이 상승하면, 피스톤(18)의 이동 속도(이하, 피스톤 속도라고 함)가 느린 영역에서는, 도시 생략된 고정 오리피스가 일정한 유로 면적으로 실(17)로부터 실(16)에 오일액을 흐르게 하여, 오리피스 특성의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피스톤 속도가 빠른 영역에서는, 디스크 밸브(41)가, 피스톤(18)으로부터 이격하여 오일 통로(44)를 개방하여 실(17)로부터 실(16)에, 피스톤(18)으로부터의 이격량에 따른 유로 면적으로 오일액을 흐르게 하여, 밸브 특성의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피스톤 로드(15)가 신장측으로 이동하여 피스톤(18)이 실(16)측으로 이동하여 실(16)의 압력이 상승하면, 피스톤 속도가 느린 영역에서는, 도시 생략된 고정 오리피스가 일정한 유로 면적으로 실(16)로부터 실(17)에 오일액을 흐르게 하여, 오리피스 특성의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피스톤 속도가 빠른 영역에서는, 디스크 밸브(42)가, 피스톤(18)으로부터 이격하여 오일 통로(45)를 개방하여 실(16)로부터 실(17)에, 피스톤(18)으로부터의 이격량에 따른 유로 면적으로 오일액을 흐르게 하여, 밸브 특성의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피스톤 로드(15)가 신장측으로 이동하여 실린더(19)로부터의 돌출량이 증대하면, 그만큼의 오일액이 리저버실(13)로부터 베이스 밸브(23)의 디스크 밸브(34)를 개방하면서 오일 통로(32)를 통해 실(17)에 흐른다. 반대로 피스톤 로드(15)가 축소측으로 이동하여 실린더(19)에의 삽입량이 증대하면, 그만큼의 오일액이 실(17)로부터 디스크 밸브(33)를 개방하면서 오일 통로(31)를 통해 리저버실(13)에 흐른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 가이드(20)는, 대략 단부 원통형을 이루는 금속제의 로드 가이드 본체(50)를 가지고 있다. 로드 가이드 본체(50)는, 축방향 일측에 대직경 외경부(51)가 형성되고, 축방향 타측에 대직경 외경부(51)보다 소직경의 소직경 외경부(52)가 형성되며, 이들 사이에 이들 중간의 외경의 중직경 외경부(53)가 형성된 외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로드 가이드 본체(50)는, 대직경 외경부(51)에 있어서 외통(14)의 몸통 부재(25)의 내주부에 감합하고, 소직경 외경부(52)에 있어서 내통(12)의 내주부에 감합한다.
로드 가이드 본체(50)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축방향의 대직경 외경부(51)측의 단부에 최대 직경 구멍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최대 직경 구멍부(54)보다 축방향의 소직경 외경부(52)측에 최대 직경 구멍부(54)보다 소직경의 대직경 구멍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 구멍부(55)의 축방향의 최대 직경 구멍부(54)와는 반대측에 대직경 구멍부(55)보다 약간 소직경의 중직경 구멍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중직경 구멍부(56)의 축방향의 대직경 구멍부(55)와는 반대측에 중직경 구멍부(56)보다 소직경의 소직경 구멍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중직경 구멍부(56)에는, 그 내주면 및 저면에 연속하여 연통홈(58)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홈(58)은 중직경 구멍부(56)의 내주면에 축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중직경 구멍부(56)의 저면에 직경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연통홈(58)은, 대직경 구멍부(55)의 내주면과 소직경 구멍부(57)의 내주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 본체(50)의 축방향의 대직경 외경부(51)측의 단부에는, 환형 볼록부(59)가, 축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최대 직경 구멍부(54)는, 이 환형 볼록부(59)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 본체(50)에는, 환형 볼록부(59)의 내경측에,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연통 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61)은, 일단측이 최대 직경 구멍부(54) 내에 개구하고 있고, 타단측이 중직경 외경부(53)의 소직경 외경부(52)측의 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연통 구멍(61)은, 외통(14)과 내통(12) 사이의 리저버실(13)에 연통하고 있다.
로드 가이드(20)는, 이 로드 가이드 본체(50)와, 로드 가이드 본체(50)의 내주부에 감합 고정되는 원통형의 칼라(62)로 구성되어 있다. 칼라(62)는, SPCC재나 SPCE재 등의 금속제의 원통체의 내주에 불소 수지 함침 청동이 피복되어 형성된다. 칼라(62)는, 로드 가이드 본체(50)의 소직경 구멍부(57) 내에 감합되어 있다. 칼라(62) 내에 피스톤 로드(15)가 주축부(38)의 외주면(37)에 있어서 미끄럼 접촉하도록 삽입 관통된다. 칼라(62)는, 소직경 구멍부(57)에 있어서의 중직경 구멍부(56)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감합 고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소직경 구멍부(57)에는 중직경 구멍부(56)측에 칼라(62)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시일 부재(21)는, 실린더(19)의 축방향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그 내주부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의 외주면(37)에 압접한다. 시일 부재(21)는, 로드 가이드(20)와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의 간극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오일액 등의 외측으로의 누출을 규제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완충기(11)의 로드 가이드(20)측을 피스톤 로드(15)를 제외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시일 부재(21)는, 피스톤 로드(15)가 삽입 관통되기 전의 자연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 관통된 경우의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의 외주면(37)을 가상선(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시일 부재(21)는, 니트릴 고무나 불소 고무 등 슬라이딩성이 좋은 탄성 고무 재료를 포함하는 시일부(65)와, 시일부(65) 내에 매설되어 시일 부재(21)의 형상을 유지하고, 고정을 위한 강도를 얻기 위한 금속제의 원환형의 환형 부재(66)를 포함하는 일체 성형품의 오일 시일 본체(67)와, 오일 시일 본체(67)의 시일부(65)의 실린더 내외 방향 외측의 외주부에 감합되는 환형의 스프링(68)과, 시일부(65)의 실린더 내외 방향 내측의 외주부에 감합되는 환형의 스프링(69)을 포함하고 있다.
시일부(65)의 직경 방향 내측 부분은, 환형 부재(66)의 내주측의 실린더 내외 방향 외측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환형 부재(6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환통형의 더스트 립(72)과, 환형 부재(66)의 내주측의 실린더 내외 방향 내측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환형 부재(6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환통형의 오일 립(73)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일부(65)의 직경 방향 외측 부분은, 그 외단 위치에서 환형 부재(66)의 외주면을 덮는 외주 시일(74)과, 외주 시일(74)로부터 실린더 내외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원환형의 시일 립(75)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일부(65)는, 직경 방향 중간 부분의 실린더 내외 방향 내측에, 실린더 내외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돌출 선단측일수록 직경 확대되도록 넓어지는 테이퍼형의 체크 립(76)을 가지고 있다.
더스트 립(72)은, 전체로서 환형 부재(66)로부터 실린더 내외 방향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내경이 소직경이 되는 끝이 가는 통형을 이루고 있다. 더스트 립(72)의 외주부에는, 상기한 스프링(68)을 감합시키는 환형홈(78)이 직경 방향 내방으로 움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68)을 이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없어도 좋다.
오일 립(73)은, 전체로서 환형 부재(66)로부터 실린더 내외 방향 내측으로 멀어질수록 소직경이 되는 끝이 가는 통형을 이루고 있다. 오일 립(73)의 외주부에는, 상기한 스프링(69)이 감합되는 환형홈(79)이 직경 방향 내방으로 움패도록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21)는, 더스트 립(72)이 대기측, 즉 실린더 내외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고, 오일 립(73)이 실린더 내외 방향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외주 시일(74)에 있어서 외통(14)의 몸통 부재(25)의 내주부에 밀봉 접촉한다. 시일 부재(21)는, 이 상태로 환형 부재(66)의 위치가 로드 가이드(20)의 환형 볼록부(59)와 외통(14)의 코오킹된 걸림부(28)에 협지되어 걸린다. 이때에, 시일 부재(21)는, 시일 립(75)이, 로드 가이드(20)의 환형 볼록부(59)와 외통(14)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에 밀봉 접촉한다. 또한, 오일 립(73)이 로드 가이드(20)의 대직경 구멍부(55) 내에 직경 방향의 간극을 가지고 배치된다.
실린더(19)에 부착된 상태의 시일 부재(21)에는, 더스트 립(72) 및 오일 립(73)의 내측에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가 삽입 관통된다. 이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15)는 그 일단이 실린더(19)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한다. 더스트 립(72)은, 실린더(19)의 피스톤 로드(15)가 돌출하는 일단측에 마련된다. 오일 립(73)은, 더스트 립(72)의 실린더 내외 방향의 내측에 마련된다.
더스트 립(72)의 환형홈(78)에 감합되는 스프링(68)은, 더스트 립(72)의 피스톤 로드(15)에의 밀착 방향의 체결력을 일정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스프링(68)은, 설계 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한 체결력의 조정에도 이용된다. 오일 립(73)의 환형홈(79)에 감합되는 스프링(69)은, 오일 립(73)의 피스톤 로드(15)에의 밀착 방향의 체결력을 조정한다.
시일부(65)의 체크 립(76)은, 로드 가이드(20)의 최대 직경 구멍부(54)의 축직교 방향을 따르는 평탄한 저면에 소정의 체결 여유를 갖고 전체 둘레에 걸쳐 밀봉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실(16)로부터 로드 가이드(20)와 피스톤 로드(15)의 간극을 통해 누출된 오일액은, 시일 부재(21)의 체크 립(76)보다 이 간극측의, 주로 대직경 구멍부(55)에 의해 형성되는 실(85)에 저장된다. 체크 립(76)은, 이 실(85)과 로드 가이드(20)의 연통 구멍(61) 사이에 있다. 체크 립(76)은, 실(85)의 압력이, 리저버실(13)의 압력보다 소정량 높아졌을 때에 개방하여 실(85)에 저장된 오일액을 연통 구멍(61)을 통해 리저버실(13)에 흐르게 한다.
즉, 체크 립(76)은, 실(85)로부터 리저버실(13)에의 방향으로만 오일액의 유통을 허용하여 반대 방향의 오일액 및 가스의 유통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로서 기능한다.
상기 시일 부재(21)는, 더스트 립(72)이 그 체결 여유 및 스프링(68)에 의한 긴박력으로 피스톤 로드(15)에 밀착하여 기밀성을 유지한다. 외부 노출 시에 피스톤 로드(15)에 부착된 이물의 진입을 주로 이 더스트 립(72)이 규제한다. 오일 립(73)도 그 체결 여유 및 스프링(69)에 의한 긴박력으로 피스톤 로드(15)에 밀착하여 기밀성을 유지한다. 오일 립(73)은, 피스톤 로드(15)에 부착된 오일액을 피스톤 로드(15)의 외부로의 진출 시에 긁어내어 그 외부에의 누출을 규제하여 실(85)에 남긴다.
마찰 부재(22)는, 로드 가이드(20)의 중직경 구멍부(56) 내에 감합된다. 따라서, 마찰 부재(22)는, 시일 부재(21)보다 실린더 내외 방향의 내측, 즉 실린더(19)의 내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마찰 부재(22)의 내주부가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의 외주면(37)에 압접하여, 피스톤 로드(15)에의 마찰 저항을 발생시킨다. 또한, 도 2, 도 3에 있어서는, 피스톤 로드(15)를 제외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마찰 부재(22)도, 피스톤 로드(15)가 삽입 관통되기 전의 자연 상태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마찰 부재(22)의 자연 상태는, 피스톤 로드(15)에 감합되기 전의 상태이다. 그리고, 삽입 관통된 경우의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의 외주면(37)을 가상선(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찰 부재(22)는, 니트릴 고무나 불소 고무 등의 탄성 고무 재료를 포함하는 환형의 탄성 고무부(91)와, 탄성 고무부(91)가 고착되는 금속제의 환형의 베이스부(92)를 포함하는 일체 성형품이다. 마찰 부재(22)는, 베이스부(92)에 있어서 로드 가이드(20)의 중직경 구멍부(56) 내에 감합되고, 탄성 고무부(91)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의 외주면(37)에 미끄럼 접촉한다. 베이스부(92)는, 탄성 고무부(91)의 형상을 유지하여, 로드 가이드(20)에의 고정을 위한 강도를 부여한다.
마찰 부재(22)를 감합시킨 상태에서 로드 가이드(20)의 중직경 구멍부(56)와 마찰 부재(22) 사이에는, 중직경 구멍부(56)에 형성된 연통홈(58)으로 연통로(95)가 형성된다. 연통로(95)는, 로드 가이드(20)의 소직경 구멍부(57)와 대직경 구멍부(55)측을 연통시킨다. 즉, 연통로(95)는, 소직경 구멍부(57) 내의 칼라(62)보다 중직경 구멍부(56)측에 형성된 실(96)과, 대직경 구멍부(55)측의 실(85)을 상시 연통시켜, 이들의 차압을 작게 한다. 바꾸어 말하면, 연통로(95)는, 마찰 부재(22)의 축방향 양측을 연통시켜 마찰 부재(22)의 축방향 양측의 차압을 작게 한다.
소직경 구멍부(57) 내의 실(96)은, 칼라(62)와 피스톤 로드(15)의 미소 간극을 통해 실(16)에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실(96)은, 연통로(95)는 실(85)과 실(16)을 연통시켜, 이들의 차압을 작게 한다. 따라서, 마찰 부재(22)는, 적극적으로 시일로서의 역할을 달성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연통로(95) 대신에, 또는, 더하여, 마찰 부재(22)의 내주에 축방향 양측의 차압을 작게 하는 연통로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연통로(95)는 항상 연통하지 않아도, 예컨대, 실린더(19) 내로부터 외측으로의 체크 밸브를 마련하여도 좋다. 요컨대, 마찰 부재(22)가 완전한 시일로서 작용하는 것이 아니면 좋다.
주로 도 3을 참조하여 자연 상태의 마찰 부재(2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편측의 단면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찰 부재(22)는, 베이스부(92)가, 평탄한 구멍을 갖는 원판형의 환형 원판부(101)와, 환형 원판부(101)의 외주측으로부터 축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통형의 고정부(102)로 구성되는 바닥을 갖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다. 고정부(102)는, 환형 원판부(101)측을 기단으로 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환형 원판부(101)와 동축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02)는 환형 원판부(101)의 외주측으로부터 축방향 일측으로만 연장되어 있다. 이들 환형 원판부(101) 및 고정부(102)는 중심축을 일치시키고 있다. 환형 원판부(101)에 대하여 고정부(102)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부(92)는, 예컨대 평판형의 소재로 예컨대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환형 원판부(101)는, 축방향의 고정부(102)측의 원형 평탄면을 포함하는 내저면(103)과, 직경 방향의 고정부(102)와는 반대측의 원통면을 포함하는 내단면(104)과, 축방향의 고정부(102)와는 반대측의 원형 평탄면을 포함하는 외저면(105)을 가지고 있다. 내저면(103)의 내주 단부는, 내단면(104)의 축방향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외저면(105)의 내주 단부는, 내단면(104)의 축방향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고정부(102)는, 직경 방향의 환형 원판부(101)측의 원통면을 포함하는 내주면(106)과, 축방향의 환형 원판부(101)와는 반대측의 원형 평탄면을 포함하는 선단면(107)과, 직경 방향의 환형 원판부(101)와는 반대측의 원통면을 포함하는 외주면(108)을 가지고 있다. 내주면(106)의 축방향의 환형 원판부(101)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선단면(107)의 내경부에 연결되어 있다. 외주면(108)의 축방향의 환형 원판부(101)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선단면(107)의 외경부에 연결되어 있다. 고정부(102)는, 내저면(103)과 내주면(106)의 상호 근접측에 원환형의 내측 R 면취(109)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102)는, 외저면(105)과 외주면(108)의 상호 근접측에도 원환형의 외측 R 면취(110)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92)는, 내저면(103), 내단면(104), 외저면(105), 내주면(106), 선단면(107), 외주면(108), 내측 R 면취(109) 및 외측 R 면취(110)가 중심축선을 일치시키고 있다. 내저면(103)과 외저면(105)과 선단면(107)은, 이 중심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넓어지고 있다. 베이스부(92)는, 그 가장 소직경의 내측단이, 환형 원판부(101)의 내단면(104)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내단면(104)은, 베이스부(92)의 환형 원판부(101)에 있어서도 가장 소직경이 된다. 환형 원판부(101)의 내주부(111)는 내단면(104)을 포함하고 있고, 베이스부(92)의 내주부(111)가 된다.
탄성 고무부(91)는, 베이스부(92)와 중심축을 일치시킨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탄성 고무부(91)는, 베이스부(92)의 고정부(102)의 직경 방향 내측 또한 환형 원판부(101)의 축방향의 고정부(102)측에 형성되는 주체부(121)와, 주체부(121)의 내주부의 축방향의 환형 원판부(101)측의 단부로부터 축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환형 원판부(101)의 내주측에 형성되는 내측 피복부(122)를 가지고 있다.
주체부(121)는, 외주면(126)이 전면적으로 베이스부(92)의 고정부(102)의 내주면(106)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방으로 이격하고 있다. 주체부(121)는, 외주면(126)의 축방향의 일측에 연결되는 기단측 고착면(128)에서 베이스부(92)의 환형 원판부(101)의 내저면(103)에 고착되어 있다. 외주면(126)은, 축방향의 기단측 고착면(128)측만큼 대직경이 되는 테이퍼형을 이루고 있고, 베이스부(92)에 고착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 고무부(91)는, 통형의 고정부(102)의 내주측에 대하여, 전체로서 축방향으로 중합되고, 전체로서 직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마련되어 있다.
내측 피복부(122)는, 기단측 고착면(128)의 외주면(126)과는 반대측에 연결되는 내주 고착면(129)에서 베이스부(92)의 환형 원판부(101)의 내단면(104)에 고착되어 있다. 탄성 고무부(91)는, 베이스부(92)에 접촉하는 부분이 전면적으로 베이스부(92)에 고착되어 있다. 내측 피복부(122)는, 내주 고착면(129)을 포함하는 내주 접속부(130)가, 환형 원판부(101)의 내주부(111)에 접속되어 있다.
탄성 고무부(91)는, 내측 피복부(122)의 주체부(121)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베이스부(92)에 고착되지 않고 노출하는 단면(134)을 가지고 있다. 단면(134)은 환형 원판부(101)의 외저면(105)과 동일 평면으로 되어 있다. 탄성 고무부(91)는, 주체부(121)의 기단측 고착면(128)과는 축방향 반대 방향에, 베이스부(92)에 고착되지 않고 노출되는 선단면(135)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탄성 고무부(91)는, 주체부(121) 및 내측 피복부(122)의 내주측에도 베이스부(92)에 고착되지 않고 노출되는 내주면(136)을 가지고 있다.
탄성 고무부(91)는, 그 내주부가, 탄성 고무부(91) 중에서 최소 직경이 되고 마찰 부재(22) 중에서도 최소 직경이 되는 최소 내경부(137)와, 최소 내경부(137)로부터 축방향의 선단면(135)측을 향하여 최소 내경부(137)로부터 멀어질수록 대직경이 되는 것 같이 직경 확대하여 넓어지는 테이퍼형의 내주 표면(138)을 갖는 선단측 테이퍼부(139)와, 최소 내경부(137)로부터 축방향의 선단면(135)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최소 내경부(137)로부터 멀어질수록 대직경이 되는 것 같이 직경 확대하여 넓어지는 테이퍼형의 내주 표면(140)을 갖는 테이퍼형의 기단측 테이퍼부(141)를 가지고 있다.
또한, 탄성 고무부(91)는, 그 내주부가, 내주 표면(140)의 최소 내경부(137)와는 반대측에 연결되는 원통면형의 내주 표면(142)을 갖는 결정 직경부(143)와, 내주 표면(142)의 내주 표면(140)과는 반대측에 있고 내주 표면(14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대직경이 되는 것 같이 직경 확대하는 테이퍼형의 내주 표면(144)을 갖는 테이퍼부(145)를 가지고 있다. 내주 표면(144)은 단면(134)에 연결되어 있다. 탄성 고무부(91)는, 최소 내경부(137)를 내주측에 가지며 환형 원판부(101)의 내주부(111)에 접속되는 내주 접속부(130)를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탄성 고무부(91)에는, 내주측에, 최소 내경부(137)와 최소 내경부(137)의 축방향 양측의 선단측 테이퍼부(139) 및 기단측 테이퍼부(141)와 결정 직경부(143)와 테이퍼부(145)가 마련되어 있다. 선단측 테이퍼부(139) 및 기단측 테이퍼부(141)의 경계 부분이 최소 내경부(137)로 되어 있다. 선단측 테이퍼부(139) 및 기단측 테이퍼부(141)는, 탄성 고무부(91)의 축방향에 있어서, 선단측 테이퍼부(139)가 베이스부(92)의 환형 원판부(101)로부터 먼 측에, 기단측 테이퍼부(141)가 환형 원판부(101)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바꾸어 말하면, 탄성 고무부(91)에는, 내주측에, 최소 내경부(137)와, 최소 내경부(137)로부터 실(16)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직경 확대하는 선단측 테이퍼부(139)와, 최소 내경부(137)로부터 실(16)을 향하여 직경 확대하는 기단측 테이퍼부(141)가 마련되어 있다.
최소 내경부(137), 선단측 테이퍼부(139), 기단측 테이퍼부(141), 결정 직경부(143) 및 테이퍼부(145)는, 모두 탄성 고무부(91)의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는 원환형이다. 탄성 고무부(91)는, 베이스부(92)와 중심축을 일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외주면(126), 선단면(135), 내주 표면(138), 최소 내경부(137), 내주 표면(140), 내주 표면(142) 및 내주 표면(144)이, 베이스부(92)와 중심축을 일치시키고 있다.
탄성 고무부(91)에는, 그 축방향의 최소 내경부(137)와 내주 접속부(130) 사이의 내주측에, 최소 내경부(137)로부터 내주 접속부(130)를 향하여 형성되는 내주 표면(140)의 돌출을 억제하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는, 내주 표면(140)의 축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움패는 오목부이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는, 선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주 표면(140)에 그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는, 내주 표면(140)과 중심축선을 일치시킨 무단의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 억제 구조부(150)는, 탄성 고무부(91)의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고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는, 내주 표면(140)으로부터 그 둘레 방향 위치에 따르지 않고 일정 깊이로 움패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축방향의 중간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내주 표면(140)은, 돌출 억제 구조부(150)보다 축방향의 최소 내경부(137)측의 부분 표면부(152)와, 돌출 억제 구조부(150)보다 축방향의 최소 내경부(137)와는 반대측, 즉 내주 접속부(130)측의 부분 표면부(153)으로 나뉘어져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는, 그 전체가, 축방향에 있어서 고정부(102)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 억제 구조부(150)는, 그 전체가, 축방향에 있어서 환형 원판부(101)에 대하여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는, 부분 표면부(152)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측의 단가장자리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넓어지는 평면형의 선단 측면부(155)와, 부분 표면부(153)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측의 단가장자리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 또한 축방향의 부분 표면부(152)측으로 넓어지는 테이퍼형의 기단 측면부(156)와, 기단 측면부(156)의 부분 표면부(153)와는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로부터 축방향의 부분 표면부(152)측으로 연장되는 원통면형의 통형면부(157)와, 선단 측면부(155)와 통형면부(157) 사이에 마련된 원환형의 R 면취(158)를 가지고 있다.
선단 측면부(155), 기단 측면부(156), 통형면부(157) 및 R 면취(158)는, 내주 표면(140)과 중심축선을 일치시키고 있다. 통형면부(157)는, 결정 직경부(143)의 내주 표면(142)과 동직경이고, 내주 표면(142)과 동일한 원통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는, 가장 대직경의 통형면부(157)가, 내주 접속부(130)의 내주 고착면(129)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마찰 부재(22)는, 피스톤 로드(15)에 감합하지 않는 자연 상태에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내주 표면(140)으로부터, 부분 표면부(152)의 내주 접속부(130)측의 단부(161)와 내주 접속부(130)를 연결하는 선분 상까지 연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내주 표면(140)으로부터, 부분 표면부(152)의 축방향의 내주 접속부(130)측의 단부(161)와 내주 고착면(129)의 축방향의 최소 내경부(137)측의 단부(162)를 연결하는 선분(X) 상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돌출 억제 구조부(150)는, 내주 표면(140)으로부터, 최소 내경부(137)와 내주 고착면(129)의 단부(162)를 연결하는 선분 상까지 연장되어 있고, 이 선분보다 직경 방향 내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 이것을 구성하는 선단 측면부(155), 기단 측면부(156), 통형면부(157) 및 R 면취(158)는, 모두 탄성 고무부(91)의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는, 바꾸어 말하면 무단의 원환형이고, 이들은, 베이스부(92)와 중심축을 일치시키고 있다.
마찰 부재(22)는, 최소 내경부(137)의 내경이,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의 외경, 즉 외주면(37)의 직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마찰 부재(22)는,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에 체결 여유를 갖고 감합된다. 마찰 부재(22)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의 기단 측면부(156)의 최소 내경, 즉 부분 표면부(153)의 최소 내경이, 주축부(38)의 외경, 즉 외주면(37)의 직경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의 마찰 부재(22)는, 그 돌출 억제 구조부(150)의 오목부의 안쪽이 되는 통형면부(157)측의 부분이, 피스톤 로드(15)로부터 항상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마찰 부재(22)는,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에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부분적으로 피스톤 로드(15)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의 마찰 부재(22)는, 그 돌출 억제 구조부(150)의 기단 측면부(156), 부분 표면부(153) 및 내주 표면(142, 144)이, 피스톤 로드(15)로부터 항상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의 마찰 부재(22)는, 탄성 고무부(91)가, 베이스부(92)의 고정부(102)로부터 항상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마찰 부재(2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92)의 고정부(102)가, 베이스부(92)의 환형 원판부(101)로부터 실린더 내외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자세로, 로드 가이드(20)의 대직경 구멍부(55)측으로부터, 고정의 대상 부위인 중직경 구멍부(56)에 감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마찰 부재(22)는, 베이스부(92)의 고정부(102)가 외주면(108)에 있어서 중직경 구멍부(56)의 내주면에 감합하고, 환형 원판부(101)가 외저면(105)에 있어서 중직경 구멍부(56)의 저면에 접촉한다. 탄성 고무부(91)의 내주측에 있어서는, 선단측 테이퍼부(139)가 최소 내경부(137)보다 실린더 내외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단측 테이퍼부(141)가 최소 내경부(137)보다 실린더 내외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92)는, 마찰 부재(22)를 대상 부위인 로드 가이드(20)의 중직경 구멍부(56)에 고정하기 위한 통형의 고정부(10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마찰 부재(22)에는, 탄성 고무부(91)의 내측에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가, 소정의 체결 여유를 갖고 삽입 관통된다. 따라서, 마찰 부재(22)는, 탄성 고무부(91)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에 밀착한다.
도 4에 감합한 피스톤 로드(15)가 축소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마찰 부재(22)의 탄성 고무부(91)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감합한 피스톤 로드(15)가 신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탄성 고무부(91)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찰 부재(22)는, 탄성 고무부(91)의 최소 내경부(137)와, 기단측 테이퍼부(141)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보다 최소 내경부(137)측의 부분 표면부(152)에서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에 밀착한다. 탄성 고무부(91)는,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의 이동에 의해, 내주 접속부(130)의 기단측 고착면(128)측의 단부(162)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변형한다.
피스톤 로드(15)가 실린더 내외 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 고무부(91)가 탄성 변형한 후에 피스톤 로드(15)에 미끄럼 접촉한다. 그때에, 마찰 부재(22)는, 마찰 특성의 조정을 행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15)가 완충기(11)의 전체 길이를 단축하는 축소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탄성 고무부(91)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의 선단 측면부(155)가 기단 측면부(156)에 근접하도록 변형한다. 이에 의해,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의 부분에 있는 고무부가 압축되게 되어 탄성 고무부의 강성이 오르지만, 탄성 고무부(91)에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되는 부분이 적어져 축방향의 강성이 저하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15)가 완충기(11)의 전체 길이를 늘리는 신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탄성 고무부(91)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의 선단 측면부(155)가 기단 측면부(156)로부터 떨어지도록 변형한다. 이에 의해,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의 부분에 있는 고무부가 돌출하여 그 강성이 오르지만, 탄성 고무부(91)에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하는 부분이 적어져 축방향의 강성이 저하한다.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는, 피스톤 로드(15)가 축소측으로 이동하면, 피스톤(18)측의 부분이 내통(12) 내의 오일액 중에 들어간다. 그 후, 피스톤 로드(15)가 신장측으로 이동하면, 오일액 중에 들어가 있던 부분이, 도 2에 나타내는 로드 가이드(20), 마찰 부재(22) 및 시일 부재(21)를 통하여 실린더(19)의 외부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때에, 주축부(38)에는, 외주면(37)에 오일액이 부착되어 있는데, 이 오일액은, 최종적으로 시일 부재(21)의 오일 립(73)으로 긁어내어져 실(85)에 남는다.
마찰 부재(22)는, 탄성 고무부(91)의 선단면(135) 및 외주면(126)이, 실(85)을 형성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의 선단 측면부(155), 기단 측면부(156), 통형면부(157) 및 R 면취(158)와, 기단측 테이퍼부(141)의 부분 표면부(153)와, 결정 직경부(143)의 내주 표면(142)과, 테이퍼부(145)의 내주 표면(144)이, 도 2에 나타내는 실(96)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마찰 부재(22)는, 선단면(135)측이 실(85)의 오일액에 접촉하고, 테이퍼부(145)측이 실(96)의 오일액에 접촉한다.
이상에 서술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15)가 축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피스톤 속도가 느린 영역에서는, 도시 생략된 고정 오리피스에 의한 오리피스 특성의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피스톤 속도가 빠른 영역에서는, 디스크 밸브(41)가 피스톤(18)으로부터 떨어져 밸브 특성의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피스톤 로드(15)가 신장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피스톤 속도가 느린 영역에서는, 도시 생략된 고정 오리피스에 의한 오리피스 특성의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피스톤 속도가 빠른 영역에서는, 디스크 밸브(42)가 피스톤(18)으로부터 떨어져 밸브 특성의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도시 생략된 고정 오리피스 및 디스크 밸브(41, 42)에 의한 유압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감쇠 영역에 대하여, 피스톤 속도가 더욱 느린 영역은, 기본적으로 도시 생략된 고정 오리피스 및 디스크 밸브(41, 42)에 의한 감쇠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 발생하고 있는 시일 부재(21) 및 마찰 부재(22)에 의한 피스톤 로드(15)에의 탄성력 및 마찰 저항과 피스톤(18)의 내통(12)에의 마찰 저항이 감쇠력의 주발생원이 된다. 이러한 마찰 영역에 있어서, 마찰 부재(22)의 설정에 의해 피스톤 로드(15)에의 작용력, 즉 축력을 적정화할 수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에는, 피스톤 로드에 미끄럼 접촉하는 마찰 부재를 마련하고, 이 마찰 부재의 축방향 양측을 연통하는 연통로를 마련한 액압 완충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특허문헌 2에는, 이러한 마찰 부재로서, 원환형의 탄성 고무부와, 구멍을 갖는 원판형의 바닥부 및 원통형의 통부를 포함하는 금속제의 베이스부를 갖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마찰 부재에 의한 축력(긴박력, 정마찰력)은 유지한 채로, 마찰 부재의 축방향의 강성(동마찰력)을 내리는 요망이 있다. 예컨대, 마찰 부재의 피스톤 로드에 대한 체결 여유를 작게 하거나, 탄성 고무부의 축방향 길이의 연장, 재질 변경 등에 의해, 저강성으로 하면, 동시에 축력도 내려가 버린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1)는, 마찰 부재(22)의 탄성 고무부(91)의 최소 내경부(137)와, 탄성 고무부(91)의 변형의 지점이 되는 내주 접속부(130) 사이에, 최소 내경부(137)로부터 내주 접속부(130)를 향하여 형성되는 내주 표면(140)의 돌출을 억제하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스톤 로드(15)가, 신장측 및 축소측 중 어느 측으로 이동할 때에 있어서도, 탄성 고무부(91)가 움직이기 쉬워져, 축방향의 강성을 내릴 수 있다. 한편으로, 돌출 억제 구조부(150)를 형성하여도, 탄성 고무부(91)의 피스톤 로드(15)에의 체결 여유를 증대하는 방향의 조정으로, 마찰 부재(22)가 피스톤 로드(15)에 부여하는 축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축력에 기인하는 조종 안정성은 유지한 채로, 강성을 저감하여 돌기 입력 시의 작동성을 개선할 수 있다. 반대로, 마찰 부재(22)의 축방향의 강성은 유지한 채로, 마찰 부재(22)가 피스톤 로드(15)에 부여하는 축력을 올리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도 6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마찰 부재 및 비교예의 리사주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6에 있어서, 종축은 축력(AF)을 나타내고, 횡축은 슬라이딩 변위(SD)를 나타낸다.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리사주 파형은,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실시형태의 마찰 부재(22)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도 6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리사주 파형은,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의 마찰 부재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마찰 부재(22)는, 도 6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비교예의 마찰 부재와 대략 동등한 축력(AF)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마찰 부재(22)는, 도 6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비교예의 마찰 부재보다 축방향의 강성이 내려가기 때문에, 슬라이딩 변위(SD)에 대한 축력(AF)의 변화율을, 도 6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비교예의 마찰 부재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 억제 구조부(150)는, 내주 표면(140)에 마련되는 오목부이기 때문에, 마찰 부재(22)가 피스톤 로드(15)에 부여하는 축력을 유지한 채로, 축방향의 강성을 내리거나, 마찰 부재(22)의 축방향의 강성은 유지한 채로, 마찰 부재(22)에 의한 축력을 올리거나 하는 것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한층 더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돌출 억제 구조부(150)는, 내주 표면(140)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환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마찰 부재(22)가 피스톤 로드(15)에 부여하는 축력을 유지한 채로, 축방향의 강성을 내리거나, 마찰 부재(22)의 축방향의 강성은 유지한 채로, 마찰 부재(22)에 의한 축력을 올리거나 하는 것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한층 더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마찰 부재(22)는,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에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피스톤 로드(15)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스톤 로드(15)에 부여하는 축력을 유지한 채로, 축방향의 강성을 내리거나, 마찰 부재(22)의 축방향의 강성은 유지한 채로, 마찰 부재(22)에 의한 축력을 올리거나 하는 것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한층 더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마찰 부재(22)는, 자연 상태에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내주 표면(140)의 부분 표면부(152)의 내주 접속부(130)측의 단부(161)와, 내주 접속부(130)를 연결하는 선분 상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15)에 부여하는 축력을 유지한 채로, 축방향의 강성을 내리거나, 마찰 부재(22)의 축방향의 강성은 유지한 채로, 마찰 부재(22)에 의한 축력을 올리거나 하는 것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한층 더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돌출 억제 구조부(150)의 통형면부(157)를 테이퍼부(145)까지 연장시켜 내주 표면(144)에 연결되도록 하고, 돌출 억제 구조부(150)를, 내주 표면(140)의 축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테이퍼부(145)측의 단부까지 직경 방향 외방으로 움파서 단차형으로 하여도 좋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목부인 돌출 억제 구조부(150)를, 내주 표면(140)에 그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하여 원환형으로 하였지만, 내주 표면(140)에 그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마련하여도 좋다. 즉, 원호형을 이루는 오목부인 돌출 억제 구조부(150)를, 내주 표면(140)에 그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동일원 상에 배열하여 마련하여도 좋다. 즉, 돌출 억제 구조부(150)는, 탄성 고무부(91)의 최소 내경부(137)와 내주 접속부(130)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면 좋고, 내주 표면(140)에,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는 오목부이면 좋다.
또한,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의 마찰 부재(22)는, 그 돌출 억제 구조부(150)의 오목부의 안쪽이 되는 통형면부(157)측의 부분이, 피스톤 로드(15)로부터 항상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지만, 그 돌출 억제 구조부(150)의 전체가, 피스톤 로드(15)로부터 항상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마찰 부재(22)는,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에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스톤 로드(15)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를 주로 도 8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의 마찰 부재(22) 대신에, 도 8에 편측의 단면을 나타내는 마찰 부재(22A)가 마련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도, 피스톤 로드(15)가 삽입 관통되기 전의 자연 상태의 마찰 부재(22A)를 나타내고 있고, 삽입 관통된 경우의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의 외주면(37)을 가상선(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마찰 부재(22A)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베이스부(92)와, 제1 실시형태의 탄성 고무부(91)와는 일부 다른 탄성 고무부(91A)를 포함하고 있다. 탄성 고무부(91A)는, 제1 실시형태의 주체부(121)와는 일부 다른 주체부(121A)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내측 피복부(122)를 가지고 있다.
주체부(121A)는, 그 축방향의 최소 내경부(137)와 내주 접속부(130) 사이의 내주측에, 내주 표면(140)의 돌출을 억제하기 위해, 제1 실시형태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 대신에, 돌출 억제 구조부(150A)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A)는, 내주 표면(140)의 축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에 절입된 절입이고, 마찰 부재(22A)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여 넓어지는 평면형의 절입이다. 또한, 절입은 평면형에 한정되지 않고, 우상향, 우하향으로 절입을 형성하여도 좋다. 우하향의 절입 쪽이, 고무가 개방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보다 효과가 높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A)는, 내주 표면(140)에 그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A)는, 내주 표면(140)과 중심축선을 일치시킨 무단의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 억제 구조부(150A)는, 탄성 고무부(91A)의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고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A)는, 내주 표면(140)으로부터 그 둘레 방향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 깊이 절입되어 있고, 베이스부(92)와 중심축을 일치시키고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A)가 축방향의 중간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내주 표면(140)은, 돌출 억제 구조부(150A)보다 최소 내경부(137)측의 부분 표면부(152)와, 돌출 억제 구조부(150A)보다 최소 내경부(137)와는 반대측, 즉 내주 접속부(130)측의 부분 표면부(153)로 나뉘어져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A)는, 그 전체가, 축방향에 있어서 고정부(102)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 억제 구조부(150A)는, 그 전체가, 축방향에 있어서 환형 원판부(101)에 대하여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A)는, 그 가장 대직경의 최대 직경부(157A)가, 결정 직경부(143)의 내주 표면(142)과 동직경이고, 내주 표면(142)과 동일한 원통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A)는, 최대 직경부(157A)가, 내주 접속부(130)의 내주 고착면(129)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마찰 부재(22A)는, 피스톤 로드(15)에 감합하지 않는 자연 상태에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A)가, 내주 표면(140)으로부터, 최소 내경부(137)와 내주 접속부(130)의 단부(162)를 연결하는 선분 상까지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의 마찰 부재(22A)는, 그 돌출 억제 구조부(150A)의 절입의 안쪽이 되는 최대 직경부(157A)측의 부분이, 피스톤 로드(15)로부터 항상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마찰 부재(22A)는,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에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A)가, 부분적으로 피스톤 로드(15)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마찰 부재(22A)는, 베이스부(92)의 고정부(102)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로드 가이드(20)의 중직경 구멍부(56)에 감합된다. 마찰 부재(22A)에는, 탄성 고무부(91A)의 내측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가 소정의 체결 여유를 갖고 삽입 관통된다.
마찰 부재(22A)는, 탄성 고무부(91)의 최소 내경부(137)와, 기단측 테이퍼부(141)의 최소 내경부(137)와 돌출 억제 구조부(150A) 사이의 부분 표면부(152)와, 기단측 테이퍼부(141)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A)보다 최소 내경부(137)와는 반대측의 부분 표면부(153)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A)측의 일부에서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에 밀착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15)가 축소측 및 신장측 중 어느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도, 탄성 고무부(91A)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A)에 의해 축방향의 강성이 저하하고, 그 결과,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절입인 돌출 억제 구조부(150A)를, 내주 표면(140)에 그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마련하여도 좋다. 즉, 돌출 억제 구조부(150A)도, 탄성 고무부(91A)의 최소 내경부(137)와 내주 접속부(130)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면 좋고, 내주 표면(140)에,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는 절입이면 좋다.
또한,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의 마찰 부재(22A)는, 그 돌출 억제 구조부(150A)의 절입의 안쪽이 되는 최대 직경부(157A)측의 부분이, 피스톤 로드(15)로부터 항상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지만, 그 돌출 억제 구조부(150A)의 전체가, 피스톤 로드(15)로부터 항상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마찰 부재(22A)는,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에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A)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스톤 로드(15)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형태를 주로 도 9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의 마찰 부재(22) 대신에, 도 9에 편측의 단면을 나타내는 마찰 부재(22B)가 마련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도, 피스톤 로드(15)가 삽입 관통되기 전의 자연 상태의 마찰 부재(22B)를 나타내고 있고, 삽입 관통된 경우의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의 외주면(37)을 가상선(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3 실시형태의 마찰 부재(22B)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베이스부(92)와, 제1 실시형태의 탄성 고무부(91)와는 일부 다른 탄성 고무부(91B)를 포함하고 있다. 탄성 고무부(91B)는, 제1 실시형태의 주체부(121)와는 일부 다른 주체부(121B)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내측 피복부(122)를 가지고 있다.
주체부(121B)는, 그 축방향의 최소 내경부(137)와 내주 접속부(130) 사이의 내주측에, 내주 표면(140)의 돌출을 억제하기 위해, 제1 실시형태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 대신에, 복수, 구체적으로는 2개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는, 따로따로 마련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는, 모두 내주 표면(140)의 축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움패는 오목부이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는, 마찰 부재(22B)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이 동직경의 반원형을 이루고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는, 마찰 부재(22B)의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돌출 억제 구조부(150Ba)가, 돌출 억제 구조부(150Bb)보다 선단면(135)측에 배치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는, 모두, 선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주 표면(140)에 그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는, 내주 표면(140)과 중심축선을 일치시킨 무단의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는, 탄성 고무부(91)의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고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는, 모두 내주 표면(140)으로부터 그 둘레 방향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 깊이로 움패어 있고, 내주 표면(140)으로부터 동등한 깊이로 움패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는, 베이스부(92)와 중심축을 일치시키고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가 축방향의 중간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내주 표면(140)은, 돌출 억제 구조부(150Ba)보다 최소 내경부(137)측의 부분 표면부(152)와, 돌출 억제 구조부(150Bb)보다 최소 내경부(137)와는 반대측, 즉 내주 접속부(130)측의 부분 표면부(153)와,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 사이의 부분 표면부(201)로 나뉘어져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는, 모두, 전체가 축방향에 있어서 고정부(102)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는, 모두, 전체가 축방향에 있어서 환형 원판부(101)에 대하여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마찰 부재(22B)는, 피스톤 로드(15)에 감합하지 않는 자연 상태에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Ba)가, 부분 표면부(152)의 내주 접속부(130)측의 단부(161)와 내주 접속부(130)를 연결하는 선분 상까지 연장되어 있고, 돌출 억제 구조부(150Bb)가, 부분 표면부(201)와 내주 접속부(130)를 연결하는 선분 상까지 연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Ba)가, 부분 표면부(152)의 내주 접속부(130)측의 단부(161)와, 내주 고착면(129)의 기단측 고착면(128)측의 단부(162)를 연결하는 선분 상까지 연장되어 있고, 돌출 억제 구조부(150Bb)가, 부분 표면부(201)와, 내주 고착면(129)의 단부(162)를 연결하는 선분 상까지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의 마찰 부재(22B)는, 그 적어도 돌출 억제 구조부(150Bb)의 오목부의 안쪽의 단부가, 피스톤 로드(15)로부터 항상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마찰 부재(22B)는,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에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Bb)가, 부분적으로 피스톤 로드(15)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마찰 부재(22B)는, 베이스부(92)의 고정부(102)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로드 가이드(20)의 중직경 구멍부(56)에 감합된다. 마찰 부재(22B)에는, 탄성 고무부(91B)의 내측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가 소정의 체결 여유를 갖고 삽입 관통된다.
마찰 부재(22B)는, 적어도 탄성 고무부(91B)의 최소 내경부(137)와, 기단측 테이퍼부(141)의 부분 표면부(152)에서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에 밀착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15)가 축소측 및 신장측 중 어느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도, 탄성 고무부(91B)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에 의해 축방향의 강성이 저하한다. 그 결과,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오목부인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의 각각을, 내주 표면(140)에 그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마련하여도 좋다. 즉,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도, 탄성 고무부(91B)의 최소 내경부(137)와 내주 접속부(130)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면 좋고, 내주 표면(140)에,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는 오목부이면 좋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의 한쪽을 내주 표면(140)에 그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마련하여 원환형으로 하고, 다른쪽을 내주 표면(140)에 그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의 마찰 부재(22B)는, 그 적어도 돌출 억제 구조부(150Bb)의 오목부의 안쪽이 되는 단부가, 피스톤 로드(15)로부터 항상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지만, 적어도 돌출 억제 구조부(150Bb)의 전체가, 피스톤 로드(15)로부터 항상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마찰 부재(22B)는,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에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Bb)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스톤 로드(15)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절입인 돌출 억제 구조부(150A)를, 제3 실시형태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와 동일하게, 마찰 부재(22A)의 축방향에 복수 배열하여 마련하여도 좋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형태를 주로 도 10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의 마찰 부재(22) 대신에, 도 10에 단면을 나타내는 마찰 부재(22C)가 마련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도, 피스톤 로드(15)가 삽입 관통되기 전의 자연 상태의 마찰 부재(22C)를 나타내고 있고, 삽입 관통된 경우의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의 외주면(37)을 가상선(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4 실시형태의 마찰 부재(22C)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베이스부(92)와, 제1 실시형태의 탄성 고무부(91)와는 일부 다른 탄성 고무부(91C)를 포함하고 있다. 탄성 고무부(91C)는, 제1 실시형태의 주체부(121)와는 일부 다른 주체부(121C)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내측 피복부(122)를 가지고 있다.
주체부(121C)는, 그 축방향의 최소 내경부(137)와 내주 접속부(130) 사이의 내주측에, 내주 표면(140)의 돌출을 억제하기 위해, 제1 실시형태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 대신에, 돌출 억제 구조부(150C)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C)는, 내주 표면(140)의 축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움패는 선형의 오목부로서, 1개의 나선형이며, 복수 권취, 구체적으로는 2 권취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C)는, 마찰 부재(22C)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이 반원형을 이루고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C)는, 내주 표면(140)으로부터 그 둘레 방향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 깊이로 움패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C)는, 베이스부(92)와 중심축을 일치시킨 나선형을 이루고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C)가 축방향의 중간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내주 표면(140)은, 돌출 억제 구조부(150C)보다 최소 내경부(137)측의 부분 표면부(152)와, 돌출 억제 구조부(150C)보다 최소 내경부(137)와는 반대측, 즉 내주 접속부(130)측의 부분 표면부(153)와, 돌출 억제 구조부(150C) 사이의 부분 표면부(211)를 포함하고 있다. 부분 표면부(152)에 부분 표면부(211)가 연결되어 있다. 부분 표면부(211)에 부분 표면부(153)가 연결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C)는, 그 일부가, 축방향에 있어서 고정부(102)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의 일부가, 축방향에 있어서 환형 원판부(101)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의 마찰 부재(22C)는, 그 돌출 억제 구조부(150C)의 일부의 안쪽의 단부가, 피스톤 로드(15)로부터 항상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마찰 부재(22C)는,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에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C)가, 부분적으로 피스톤 로드(15)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마찰 부재(22C)는, 베이스부(92)의 고정부(102)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로드 가이드(20)의 중직경 구멍부(56)에 감합된다. 마찰 부재(22C)에는, 탄성 고무부(91C)의 내측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가 소정의 체결 여유를 갖고 삽입 관통된다.
마찰 부재(22C)는, 적어도 탄성 고무부(91C)의 최소 내경부(137)와, 기단측 테이퍼부(141)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C)보다 최소 내경부(137)측의 부분 표면부(152)에서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에 밀착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15)가 축소측 및 신장측 중 어느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도, 탄성 고무부(91C)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C)에 의해 축방향의 강성이 저하한다. 그 결과,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오목부인 돌출 억제 구조부(150C)를, 내주 표면(140)에 그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동일 나선 상에 배치되도록 복수 마련하여도 좋다. 즉, 돌출 억제 구조부(150C)도, 탄성 고무부(91C)의 최소 내경부(137)와 내주 접속부(130)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면 좋고, 내주 표면(140)에,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는 오목부이면 좋다.
또한,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의 마찰 부재(22C)는, 그 돌출 억제 구조부(150C)의 일부의 오목부의 안쪽이 되는 단부가, 피스톤 로드(15)로부터 항상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지만, 돌출 억제 구조부(150C)의 전체가, 피스톤 로드(15)로부터 항상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마찰 부재(22C)는, 피스톤 로드(15)와 감합한 상태에서, 돌출 억제 구조부(150C)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스톤 로드(15)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제5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형태를 주로 도 11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의 마찰 부재(22) 대신에, 도 11에 단면을 나타내는 마찰 부재(22D)가 마련된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도, 피스톤 로드(15)가 삽입 관통되기 전의 자연 상태의 마찰 부재(22D)를 나타내고 있고, 삽입 관통된 경우의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의 외주면(37)을 가상선(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5 실시형태의 마찰 부재(22D)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베이스부(92)와, 제1 실시형태의 탄성 고무부(91)와는 일부 다른 탄성 고무부(91D)를 포함하고 있다. 탄성 고무부(91D)는, 제1 실시형태의 주체부(121)와는 일부 다른 주체부(121D)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내측 피복부(122)를 가지고 있다.
주체부(121D)는, 그 축방향의 최소 내경부(137)와 내주 접속부(130) 사이의 내주측에, 내주 표면(140)의 돌출을 억제하기 위해, 제1 실시형태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 대신에, 돌출 억제 구조부(150D)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D)는, 내주 표면(140)의 축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움패는 다수의 점형의 오목부로서, 내주 표면(140)의 축방향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D)는, 동형상이고, 내주 표면(140)으로부터 동일한 깊이에서 반구면형으로 움패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D)는, 탄성 고무부(91D)의 중심축선에 직교하는 면과 내주 표면(140)의 교차 위치에, 탄성 고무부(91D)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일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 억제 구조부(150D)의 열이, 탄성 고무부(91D)의 축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열, 구체적으로는 3열 마련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D)의 열은, 인접하는 열끼리가 돌출 억제 구조부(150D)를 내주 표면(140)의 둘레 방향으로 반피치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최소 내경부(137)측의 2열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D)는, 축방향에 있어서 고정부(102)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최소 내경부(137)와는 반대측의 1열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D)는, 축방향에 있어서 고정부(102) 및 환형 원판부(101)의 양방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마찰 부재(22D)는, 베이스부(92)의 고정부(102)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로드 가이드(20)의 중직경 구멍부(56)에 감합된다. 마찰 부재(22D)에는, 탄성 고무부(91D)의 내측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가 소정의 체결 여유를 갖고 삽입 관통된다.
마찰 부재(22D)는, 탄성 고무부(91D)의 최소 내경부(137)와 기단측 테이퍼부(141)의 최소 내경부(137)측의 부분에서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에 밀착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15)가 축소측 및 신장측 중 어느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도, 탄성 고무부(91D)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D)에 의해 축방향의 강성이 저하한다. 그 결과,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형태를 주로 도 12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의 마찰 부재(22) 대신에, 도 12에 편측의 단면을 나타내는 마찰 부재(22E)가 마련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도, 피스톤 로드(15)가 삽입 관통되기 전의 자연 상태의 마찰 부재(22E)를 나타내고 있고, 삽입 관통된 경우의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의 외주면(37)을 가상선(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6 실시형태의 마찰 부재(22E)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베이스부(92)와, 제1 실시형태의 탄성 고무부(91)와는 일부 다른 탄성 고무부(91E)를 포함하고 있다. 탄성 고무부(91E)는, 제1 실시형태의 주체부(121)와는 일부 다른 주체부(121E)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내측 피복부(122)를 가지고 있다.
주체부(121E)는, 그 축방향의 최소 내경부(137)와 내주 접속부(130) 사이의 외주측에, 내주 표면(140)의 돌출을 억제하기 위해, 제1 실시형태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 대신에, 돌출 억제 구조부(150E)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E)는, 주체부(121E)의 외주면(126)의 축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내방으로 움패는 오목부이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E)는, 선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외주면(126)에 그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E)는, 외주면(126)과 중심축선을 일치시킨 무단의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 억제 구조부(150E)는, 탄성 고무부(91E)의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고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E)는, 마찰 부재(22E)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이 동직경의 반원형을 이루고 있고, 외주면(126)으로부터 그 둘레 방향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 깊이 움패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E)는, 그 전체가, 축방향에 있어서 고정부(102)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 억제 구조부(150E)는, 그 전체가, 축방향에 있어서 환형 원판부(101)에 대하여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돌출 억제 구조부(150E)는, 그 전체가, 직경 방향에 있어서 환형 원판부(101)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마찰 부재(22E)는, 베이스부(92)의 고정부(102)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로드 가이드(20)의 중직경 구멍부(56)에 감합된다. 마찰 부재(22E)에는, 탄성 고무부(91E)의 내측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가 소정의 체결 여유를 갖고 삽입 관통된다.
마찰 부재(22E)는, 탄성 고무부(91)의 최소 내경부(137)와, 기단측 테이퍼부(141)의 내주 표면(140)의 최소 내경부(137)측의 부분에서 피스톤 로드(15)의 주축부(38)에 밀착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15)가 축소측 및 신장측 중 어느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도, 탄성 고무부(91E)는, 돌출 억제 구조부(150E)에 의해 축방향의 강성이 저하한다. 그 결과,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오목부인 돌출 억제 구조부(150E)를, 외주면(126)에 그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마련하여도 좋다. 즉, 돌출 억제 구조부(150E)도, 탄성 고무부(91E)의 최소 내경부(137)와 내주 접속부(130)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면 좋고, 외주면(126)에,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는 오목부이면 좋다.
또한, 제6 실시형태의 오목부인 돌출 억제 구조부(150E)를, 제3 실시형태의 돌출 억제 구조부(150Ba, 150Bb)와 동일하게, 마찰 부재(22E)의 축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마련하여도 좋다.
제1~제6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92)가 환형 원판부(101)와 통형의 고정부(102)를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고정부(102)는 없어도 좋고, 베이스부(92)가 환형 원판부(101)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제6 실시형태에서는, 마찰 부재(22, 22A, 22B, 22C, 22D, 22E)를, 로드 가이드(20)와 시일 부재(21) 사이에 마련하도록 하여 로드 가이드(20)에 고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피스톤 로드(15)에 미끄럼 접촉하여 마찰력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일 부재(21)보다 실린더(19)의 내부측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예컨대, 마찰 부재(22, 22A, 22B, 22C, 22D, 22E)를, 로드 가이드(20)가 아니라 실린더(19)에 직접 고정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1~제6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고무부(91, 91A, 91B, 91C, 91D, 91E)는, 각각 전체가, 베이스부(92)의 고정부(102)의 내주면(106)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이격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환형 원판부(101)측의 일부가 베이스부(92)의 고정부(102)의 내주면(106)에 고착하고 있어도 좋다. 즉, 탄성 고무부(91, 91A, 91B, 91C, 91D, 91E)는, 각각, 고정부(102)의 적어도 환형 원판부(101)와는 반대의 선단측에 있어서, 고정부(102)의 내주면(10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중합되고, 직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복통식의 유압 완충기를 액압 완충기로서 나타내었지만, 단통식 유압 완충기, 유압 액티브 서스펜션 등의 액압 완충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 서술한 실시형태의 제1 양태는, 작동 액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2 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에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작동 액체의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의 누설을 방지하는 시일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보다 상기 실린더의 내부측에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에 미끄럼 접촉하는 환형의 탄성 고무부와 상기 탄성 고무부가 고착되는 환형의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마찰 부재와, 상기 마찰 부재의 축방향 양측의 차압을 작게 하는 연통로를 구비하는 완충기이다. 상기 베이스부는, 환형 원판부를 갖는다. 상기 탄성 고무부는, 최소 내경부를 내주측에 가지며 상기 환형 원판부의 내주부에 접속되는 내주 접속부를 갖는다. 상기 탄성 고무부의 상기 최소 내경부와 상기 내주 접속부 사이에는, 상기 최소 내경부로부터 상기 내주 접속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내주 표면의 돌출을 억제하는 돌출 억제 구조부가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 억제 구조부는, 상기 내주 표면에,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는 절입이다. 이에 의해, 양호한 작동 특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3 양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 억제 구조부는, 상기 내주 표면에,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는 오목부이다. 이에 의해, 한층 더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4 양태는,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 억제 구조부는, 상기 내주 표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층 더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5 양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피스톤 로드와 감합한 상태로, 상기 돌출 억제 구조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피스톤 로드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층 더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6 양태는,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는, 자연 상태에서, 상기 돌출 억제 구조부가, 상기 내주 표면의 상기 돌출 억제 구조부보다 상기 내주 접속부와는 반대측의 부분의 상기 내주 접속부측의 단부와 상기 내주 접속부를 연결하는 선분 상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층 더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7 양태는,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마찰 부재를 대상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통형의 고정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마찰 부재를 대상 부위에 양호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8 양태는, 제7 양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환형 원판부측을 기단으로 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 고무부는,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선단측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주측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층 더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완충기에 따르면, 양호한 작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11 : 완충기 15 : 피스톤 로드
16, 17 : 실 18 : 피스톤
19 : 실린더 21 : 시일 부재
22, 22A, 22B, 22C, 22D, 22E : 마찰 부재
91, 91A, 91B, 91C, 91D, 91E : 탄성 고무부
92 : 베이스부 95 : 연통로
101 : 환형 원판부 102 : 고정부
130 : 내주 접속부 137 : 최소 내경부
140 : 내주 표면
150, 150A, 150Ba, 150Bb, 150C, 150D, 150E : 돌출 억제 구조부
161, 162 : 단부 X : 선분

Claims (8)

  1. 작동 액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2 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에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작동 액체의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의 누설을 방지하는 시일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보다 상기 실린더의 내부측에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에 미끄럼 접촉하는 환형의 탄성 고무부와 상기 탄성 고무부가 고착되는 환형의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마찰 부재와,
    상기 마찰 부재의 축방향 양측의 차압을 작게 하는 연통로
    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환형 원판부를 갖고,
    상기 탄성 고무부는, 상기 환형 원판부의 직경 방향 내주부에 접속되는 내주 접속부와, 상기 환형 원판부의 두께 방향의 단부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배치되고, 직경 방향 내주측에 마련되는 최소 내경부와, 상기 최소 내경부로부터 상기 환형 원판부의 방향을 향하여 내경이 넓어지는 내주 표면과, 상기 내주 표면의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내주 표면의 돌출을 억제하는 돌출 억제 구조부를 갖는 것인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억제 구조부는, 상기 내주 표면에,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는 절입인 것인 완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억제 구조부는, 상기 내주 표면에,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는 오목부인 것인 완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억제 구조부는, 상기 내주 표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피스톤 로드와 감합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억제 구조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피스톤 로드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는, 자연 상태에서, 상기 돌출 억제 구조부가, 상기 내주 표면의 상기 돌출 억제 구조부보다 상기 내주 접속부와는 반대측의 부분의 상기 내주 접속부측의 단부와 상기 내주 접속부를 연결하는 선분 상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마찰 부재를 대상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통형의 고정부를 갖는 것인 완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환형 원판부측을 기단으로 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 고무부는,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선단측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주측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KR1020217005206A 2018-11-05 2019-10-31 완충기 KR102524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08120 2018-11-05
JP2018208120 2018-11-05
PCT/JP2019/042722 WO2020095806A1 (ja) 2018-11-05 2019-10-31 緩衝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821A KR20210029821A (ko) 2021-03-16
KR102524262B1 true KR102524262B1 (ko) 2023-04-20

Family

ID=7061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206A KR102524262B1 (ko) 2018-11-05 2019-10-31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88265B2 (ko)
JP (1) JP7118169B2 (ko)
KR (1) KR102524262B1 (ko)
CN (1) CN112955675B (ko)
DE (1) DE112019005524T5 (ko)
WO (1) WO2020095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07447A1 (it) * 2018-07-23 2020-01-23 Complesso anulare di tenuta di guida per ammortizzatore monotubo
KR102510739B1 (ko) * 2018-08-29 2023-03-15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완충기
US11927241B2 (en) * 2019-03-26 2024-03-12 Hitachi Astemo, Ltd. Shock absorber
JP7412561B2 (ja) * 2020-06-29 2024-01-12 日立Astemo株式会社 緩衝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1416A (ja) * 2003-02-21 2004-09-09 Nok Corp 往復動軸用摩擦力付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24018A (en) * 1964-12-18 1968-08-14 Sandall Prec Company Ltd Fuel efficiency meter
JPS5810220B2 (ja) 1978-05-11 1983-02-2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波型発泡シ−トの製造方法
JPS6059839U (ja) * 1983-09-30 1985-04-25 株式会社アツギユニシア 液圧緩衝器
JPH0291269U (ko) * 1988-12-28 1990-07-19
JP4546860B2 (ja) 2000-03-16 2010-09-2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液圧緩衝器
JP3702416B2 (ja) 2000-03-16 2005-10-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圧緩衝器
JP2003130119A (ja) 2001-10-19 2003-05-08 Showa Corp 油圧緩衝器のフリクション付与構造
JP2005090569A (ja) * 2003-09-16 2005-04-07 Nok Corp 往復動軸用密封装置
JP2007092926A (ja) * 2005-09-29 2007-04-12 Hitachi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
DE102006009491A1 (de) * 2006-02-27 2007-09-06 Busak + Shamban Deutschland Gmbh Dichtungssystem mit Druckentlastungselementen und Verwendung eines Dichtungssystems zur Einstellung einer Zwischenraumdruckkaskade
CN101603575A (zh) * 2009-03-05 2009-12-16 浙江中兴减震器制造有限公司 减振器
JP5810220B2 (ja) 2012-07-27 2015-11-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液圧緩衝器
KR102510739B1 (ko) * 2018-08-29 2023-03-15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완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1416A (ja) * 2003-02-21 2004-09-09 Nok Corp 往復動軸用摩擦力付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55675A (zh) 2021-06-11
CN112955675B (zh) 2022-12-30
WO2020095806A1 (ja) 2020-05-14
JP7118169B2 (ja) 2022-08-15
DE112019005524T5 (de) 2021-07-22
KR20210029821A (ko) 2021-03-16
US11988265B2 (en) 2024-05-21
US20210348668A1 (en) 2021-11-11
JPWO2020095806A1 (ja)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262B1 (ko) 완충기
EP2878852B1 (en) Hydraulic buffer
US10995813B2 (en) Shock absorber
JP6114499B2 (ja) シール部材および緩衝器
KR102510739B1 (ko) 완충기
US11608138B2 (en) Sealing device in particular for shock-absorber stems
CN114517819B (zh) 单管阻尼器组件和用于其的液压回弹止动组件
KR102298611B1 (ko) 완충기
KR102527035B1 (ko) 완충기
US10359115B2 (en) Cylinder device and seal member
KR20200130455A (ko) 완충기
KR20100119569A (ko) 댐퍼
KR101718205B1 (ko) 실린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7058573B2 (ja) 緩衝器
JP2024048444A (ja) 油圧緩衝器
CN114941677A (zh) 用于减振器的阻尼阀装置
JP2020067110A (ja) 緩衝器
JP5879206B2 (ja) シリンダ装置
JP2021050794A (ja) 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