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259B1 -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259B1
KR102522259B1 KR1020220088057A KR20220088057A KR102522259B1 KR 102522259 B1 KR102522259 B1 KR 102522259B1 KR 1020220088057 A KR1020220088057 A KR 1020220088057A KR 20220088057 A KR20220088057 A KR 20220088057A KR 102522259 B1 KR102522259 B1 KR 10252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wder
parts
fermented fe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권
서용호
Original Assignee
박석권
서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권, 서용호 filed Critical 박석권
Priority to KR1020220088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3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mola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5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23K50/42Dry f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23K50/45Semi-moist f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23K50/48Moist f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서, 발효 사료는 우육, 돈육, 계육, 어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어육류 페이스트; 마늘종구, 마늘껍질, 마늘대, 마늘잎, 양파껍질, 양파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산물의 열수추출액을 수분함량이 10 내지 20%로 건조한 부산물 추출분말; 쌀가루,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 당밀을 혼합한 혼합분말과 물의 혼합액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 볶은 작두콩 분말; 돼지감자 전분; 건조 바나나분말; 건조 석류분말; 건조 사과분말; 탈지미강; 소맥분;을 포함하고, 발효 사료의 물성은 부산물의 열수추출액, 볶은 작두콩 추출액, 및 음용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로 고체상 또는 액체상으로 조절한다.

Description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THE FERMENTED FEED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효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버려지던 식재료 부산물 중에서 생리활성 성분이 뛰어난 마늘부산물과 양파부산물을 재활용하고, 건강기능성이 강화된 발효물질을 이용한 반려동물용 사료 조성물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애견, 애묘 등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단순히 동물 전용 사료만을 생산, 보급했던 수준에서 벗어나 다양한 반려동물 개개의 특성이 반영된 사료 또는 병증에 맞게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 뿐만 아니라 맛과 영양을 모두 강화하고 제형이 다양하게 확장된 간식 등이 개발, 판매되어 반려동물 식품 분야 시장이 급속하게 확장되는 추세이다.
특히 기능성 위주의 다양한 사료 제품은 소재에 따라 효능을 확인하기 어려운 반면 지나치게 고가의 제품으로 책정되어 소비자에게 혼동을 주는 문제가 있다.
반려동물 역시 인간과 유사한 병증, 예를 들면 당뇨, 고혈압, 소화기 계통 질병 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인간이 평상시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 건강 기능식을 섭취하듯이 식단에서 건강 기능식 사료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질병을 미리 예방하도록 기능성 사료 조성물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한 기능성 사료 제품의 개발과 함께 가격 경쟁의 측면에서도 저렴하고 영양성분과 생리활성적 측면의 기능성이 높은 식재료를 선택해야 함과 동시에 식품 제조시 버려지는 부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사료와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람을 위한 식품 제조시 버려지는 부산물을 재활용하여 환경보호적 측면과 가격경쟁적 측면에서 가치가 높은 제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노화 또는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발효 조성물을 활용하고 기능성 소재를 이용하므로 복합적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는 건강기능성 사료를 제공함으로써 반려동물의 건강과 나아가 인간과 반려동물이 함께하는 안정적이고 행복한 삶을 유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사료는 우육, 돈육, 계육, 어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어육류 페이스트; 마늘종구, 마늘껍질, 마늘대, 마늘잎, 양파껍질, 양파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산물의 열수추출액을 수분함량이 10 내지 20%로 건조한 부산물 추출분말; 쌀가루,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 당밀을 혼합한 혼합분말과 물의 혼합액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 볶은 작두콩 분말; 돼지감자 전분; 건조 바나나분말; 건조 석류분말; 건조 사과분말; 탈지미강; 소맥분;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부산물의 열수추출액, 볶은 작두콩 추출액, 돼지감자 추출액, 및 음용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로 고체상 또는 액체상으로 물성을 조절하면서 발효 사료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육류 페이스트는 수분함량이 20 내지 70%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수추출액은 상기 마늘종구, 마늘껍질, 마늘대, 마늘잎, 양파껍질, 양파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산물을 100 내지 200℃의 물에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끓인 후 상온으로 냉각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쌀가루,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 당밀을 혼합한 혼합분말은, 쌀가루 90~100중량부, 옥분 90~100중량부, 미강 180~200중량부, 단백피 20~50중량부, 대두박 20~50중량부, 및 당밀 3~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혼합액은 상기 혼합분말 100중량부 대비 물이 30~4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류코노스톡(Lactobacillus leuconostoc),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퓨트리피커스(Bacillus Putrificus),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로 이루어진 각 균주가 동량으로 포함된 복합미생물제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상기 미생물은 상기 혼합액 100중량부 대비 1~2중량부로 접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사료는 상기 어육류 페이스트 90~100중량부, 상기 부산물 추출분말 20~30중량부, 상기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 15~20중량부, 상기 볶은 작두콩 분말 8~10중량부, 상기 돼지감자 전분 4~6중량부, 상기 건조 바나나분말 6~8중량부, 상기 건조 석류분말 6~8중량부, 상기 건조 사과분말 4~6중량부, 상기 탈지미강 8~10중량부, 및 상기 소맥분 4~6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성이 액체상으로 조절된 발효 사료는 벌꿀로 점성을 조정할 수 있으나 이와 유사한 다양한 점성 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발효 사료는, 껍데기를 제거한 골뱅이, 전복, 다슬기, 우렁이, 및 소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건조분말을 상기 돼지감자 전분과 동량으로 더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발효 사료의 제조방법은 어육류 페이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부산물 추출분말을 생성하는 단계, 미생물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어육류 페이스트, 상기 부산물 추출분말, 상기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에 볶은 작두콩 분말, 돼지감자 전분, 건조 바나나분말, 건조 석류분말, 건조 사과분말, 탈지미강, 및 소맥분을 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배합단계에서 생성된 배합물에 상기 냉각된 부산물의 열수추출액, 볶은 작두콩 추출액, 돼지감자 추출액, 및 음용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을 추가하며 교반하여 고체상 또는 액체상의 발효 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어육류 페이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우육, 돈육, 계육, 어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어육류를 선택하여 0.3~20mm로 분쇄한 후 분쇄 어육 중량의 2~10배의 물을 넣고 1~3시간 동안 고온 가압한 뒤 10~20 메쉬로 분쇄하는 과정이다.
또한 부산물 추출분말을 생성하는 단계는 마늘종구, 마늘껍질, 마늘대, 마늘잎, 양파껍질, 양파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산물의 중량대비 2~5배의 물을 넣고 30분 내지 3시간 동안 100~200℃로 가열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열수추출액과 고형물을 분리한 뒤 각각 수분함량이 10 내지 20%로 건조하고 20~80 메쉬로 분쇄하는 과정이다.
또한 미생물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생성하는 단계는 쌀가루,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 당밀을 혼합한 혼합분말 100중량부 대비 30~45중량부의 물을 혼합하고, 그 혼합액 100중량부 대비 1~2중량부의 미생물을 접종하여 30~40℃의 발효배양기에서 36~48시간 동안 배양하고 실온에서 24~48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80 메쉬로 분쇄하는 과정이다.
이때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류코노스톡(Lactobacillus leuconostoc),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퓨트리피커스(Bacillus Putrificus),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로 이루어진 각 균주가 동량으로 포함된 복합미생물제이다.
상기 발효 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조된 발효 사료는 고체상 또는 액체상의 물성에 따라 레토르트 용기 또는 필름형 파우치에 분포장되고, 상기 분포장된 레토르트 용기 또는 필름형 파우치는 130~140℃에서 50~60분간 멸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발효 사료의 물성을 조절할 때 사용하는 상기 볶은 작두콩 추출액은, 작두콩을 150~200℃에서 5~20분간 1회 내지 3회로 골고루 볶는 단계, 상기 볶은 작두콩 5~20g을 끓는 물 1리터에 넣어 100~150℃에서 10~30분간 우려내는 단계, 및 상기 볶은 작두콩을 건져내고 상온에서 냉각하는 단계로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액체상의 발효 사료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액체상 발효 사료의 점도는 벌꿀을 추가하여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발효사료는 버려지는 식재료 부산물을 재활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사료의 단가를 낮출 수 있어 제품시장에서의 가격경쟁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는 동물의 평상시 건강기능 개선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유효성 있는 발효물질과 건강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당뇨병, 고혈압, 위장질환 등 반려동물의 노화 또는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사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사료의 주성분은 어육류 페이스트, 부산물 추출분말, 미생물 배양한 추출물의 건조분말, 볶은 작두콩 분말, 돼지감자 전분, 건조 바나나분말, 건조 석류분말, 건조 사과분말, 탈지미강, 및 소맥분으로 구성된다.
어육류 페이스트는 우육, 돈육, 계육, 어육 중 어느 하나의 재료 또는 이들을 복수 개로 혼합한 혼합육으로 제조되는 농축 액기스이다. 어육류 페이스트는 반고상 또는 액상의 물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수분함량은 20 내지 70%로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종류에 따라 고형 또는 액상형의 사료 또는 간식으로 응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어육류 페이스트의 수분함량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페이스트는 특히 지방질이 적은 앞뒤 다리살 등의 살코기 부위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계육은 닭고기 뿐만 아니라 오리고기, 메추리고기, 꿩고기, 거위고기 등의 가금류 고기를 모두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어육 페이스트는 연어, 참치, 삼치, 꽁치, 고등어 등 다양한 어종의 생선류의 육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비린내가 심한 등푸른 생선의 경우 사전에 비린내 제거 과정을 거친 후 어육 페이스트에 사용될 수 있다.
어육류 페이스트는 시판되는 페이스트나 고기 큐브 등을 활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직접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육류 페이스트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어육류 중에서 소정의 재류를 선택하여 분쇄한 후, 분쇄육의 중량대비 1.5배 이상의 물을 추가하여 가열하여 육즙을 충분히 추출시킨 뒤 소정의 수분함량으로 졸여낸 뒤 상온으로 냉각시켜 사용한다.
어육류 페이스트는 본 발명의 발효 사료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성분으로서 반려동물의 섭식시 단백질과 아미노산을 풍부하게 제공하여 에너지원을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발효 사료의 또다른 주성분으로서 마늘종구, 마늘껍질, 마늘대, 마늘잎, 양파껍질, 양파뿌리 등의 부산물을 추출한 분말을 사용한다.
마늘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4대 채소 중 하나이며, 천연강장제로서 항산화작용과 면역력을 증진시키고 비린내를 없애고 음식의 맛을 좋게 하여 식욕을 증진시키는 유효한 식재료이다. 이러한 유효한 기능은 마늘종구, 마늘껍질, 마늘대, 마늘잎 등의 마늘 부산물에도 그대로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마늘을 수확하고 난 후 버려질 수 있는 마늘종구, 마늘대, 마늘껍질, 마늘잎과 같은 부산물을 반려동물 사료로 재활용함으로써 환경과 경제적 측면에서 바람직한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다.
마늘종구나 마늘대의 경우 매운 맛 또는 아린 맛 성분이 그대로 남아서 발효 사료 전체의 풍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마늘 부산물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매운 맛을 제거하거나 중화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척시 끓는 물에 3~10초간 삶거나 상온의 물에 5~6시간 동안 담그어 매운 맛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양파 역시 백합과에 속하는 채소로 약용성분이 많고 향신료로서 독특한 향과 매운맛으로 예부터 조리시에 널리 사 용되어 왔다. 또한 독특한 매운 맛을 내는 함황화합물과 함께 항균성, 항산화성, 혈압강하, 혈전용해능, 항통풍 성 및 중금속 제거능 등 다양한 생리기능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양파는 껍질을 벗겨내어 요리하기 때문에 양파 껍질 역시 부산물로서 엄청나게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지만 양파 껍질에도 다양한 효능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반려동물 사료에 이용하여 환경보호를 하는 한편 반려동물 사료에 양파의 유효한 기능성을 부여하고 경제적으로 사료 단가를 낮추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늘종구, 마늘대, 마늘껍질, 마늘잎, 양파껍질의 부산물은 필요에 따라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분쇄할 경우 분쇄기를 이용하여 80~15 메쉬로 분말형태로 만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후의 발효 사료 제조 과정에서 용이하게 혼합과 교반하기 위하여 마늘종구, 마늘대, 마늘껍질, 마늘잎, 양파껍질의 부산물 그대로 세척한 후 끓는 물에서 열수추출한 뒤 수분함량이 10~20%가 되도록 건조한 후 분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부산물에 대한 열수추출액은 상기 마늘종구, 마늘껍질, 마늘대, 마늘잎, 양파껍질, 양파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산물을 100 내지 200℃의 물에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끓인 후 상온으로 냉각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마늘종구, 마늘대, 마늘껍질, 마늘잎, 양파껍질의 부산물의 건조된 추출분말은 어육류 페이스트와 혼합하여 사료로 만들 때 어육류 페이스트의 잡내 또는 비린내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여 반려동물 사료의 풍미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사료의 또다른 주재료는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이다.
상기 건조 분말은 쌀가루,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와 같은 각종 곡류 성분의 혼합물에 당밀을 혼합한 것을 배지로 하여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한 발효물이다.
이때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곡류 성분은 쌀가루,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 등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추가하거나 생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당밀은 미생물의 주요 영양 공급원으로서 필수적인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미생물 배지로 사용되는 혼합물의 배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쌀가루 90~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옥분 90~100중량부, 미강 180~200중량부, 단백피 20~50중량부, 대두박 20~50중량부, 및 당밀 3~5중량부로 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혼합물은 미생물의 생리활성을 증진시키고 무기질 등 각종 영양성분의 보충을 위해 주정박, 해바라기씨박, 전분박, 맥주박, 카사바, 야자박, 영지박, 인삼박, 홍삼박, 코코아피, 도토리박, 소주박, 고량주박, 팜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쌀가루 90~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30중량부로 더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접종되는 종균 미생물로는 일례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류코노스톡(Lactobacillus leuconostoc),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퓨트리피커스(Bacillus Putrificus),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로 이루어진 복합미생물제일 수 있다. 각각의 미생물은 동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1종의 미생물만을 선택하여 접종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종균 미생물제제는 상기 발효 배지 혼합액 100중량부 대비 1~2중량부로 접종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중량비로 혼합된 배지 조성물에 물을 혼합하여 복합 미생물제를 접종하고 적정한 배양 온도, 바람직하게는 30~40℃에서 1일 내지 3일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일 내지 2일간 배양할 수 있다. 최적의 발효과정을 위해 수분함량은 40~60% 정도로 유지하도록 적정 배양 온도의 수분을 공급하여 조절한다.
이때 접종하는 복합미생물제에서 균수의 총수가 1x105 내지 1x1012 cfu/g 정도로 함유하도록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미생물제를 접종한 후 초기 8~10시간 동안 충분히 교반하여 미생물제제가 골고루 배양물에 혼합되도록 하며 나머지 12~48시간 동안 정치하여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발효과정이 완료된 후 얻어진 발효물은 다시 1일 내지 2일간 실온에서 건조하거나 100~150℃에서 열풍 건조하여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 사료의 부재료로는 볶은 작두콩 분말, 돼지감자 전분, 건조 바나나분말, 건조 석류분말, 건조 사과분말, 탈지미강, 및 소맥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볶은 작두콩 분말은 작두콩을 작두콩 열매와 그 잎과 자루를 모두 포함한 재료를 한꺼번에 적당한 크기로 썰어 150~200℃의 고온에서 볶거나(덖거나) 고온 가압기에서 건조한 것을 분말로 분쇄한 것을 말한다.
이때 분말 입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20~80 메쉬의 고운 분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작두콩은 비타민, 단백질,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강력한 항산화작용을 하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독소의 증식과 생성을 억제하는 해독작용이 있다. 또한 호흡기의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기능을 가지며,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켜 위나 장의 점막을 보호하는 효능이 있다. 그리고, 세포의 산화를 막아주는 비타민A와 함께 활성산소로부터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비타민C 등이 풍부하고 식이섬유가 풍부해 변비예방과 비만관리에 도움을 주는 유효한 식재료이다. 콩과 껍질 모두에 영양분이 풍부하여 함께 포함시켜 상기와 같이 분말형태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발효 사료에 포함시킨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성과 특유의 구수한 풍미로 인해 기호성이 높아져 반려동물의 취식을 유인하고 반려동물의 면역 강화와 건강 기능성 증진에 효과가 있다.
한편, 돼지감자 전분은 뚱딴지(Helianthus tuberosus)라고도 일컫는 구근류 일종인 돼지감자에서 전분을 추출한 것이다.
돼지감자 전분은 천연 인슐린이라고 불리는 이눌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이러한 이눌린 성분은 탄수화물의 일종인데 보통 전분이나 설탕과는 다르게 사람이나 동물의 소화효소에 소화되지 않고 장에 사는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어 소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탄수화물 일종이지만 포만감이 높고 흡수가 늦어 혈당을 천천히 올려 췌장이 쉴수 있도록 하므로 당뇨 예방에 효과적이고 비만 관리가 가능하다.
돼지감자 전분을 반려동물의 발효 사료에 포함할 경우 당뇨병과 같은 비만성 질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발효 사료의 점성을 보완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돼지감자 전분은 시판되는 돼지감자 전분 가루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직접 돼지감자로부터 전분을 얻을 수도 있다. 즉, 돼지감자를 믹서기에서 물과 함께 분쇄하고 1~10시간 동안 방치한 후 가라앉은 침전물과 상등액을 분리한다. 침전물을 고온에서 가압 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전분가루를 획득하고 이를 사용한다.
건조 바나나분말은 당이 많이 포함되고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반려동물의 소화를 돕는다. 건조된 바나나분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사료는 반려동물이 느끼는 맛의 풍부함을 충족시키는 한편 부족하기 쉬운 당을 보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만, 바나나에는 혈압을 상승시키는 셀로토닌 성분이 들어 있으므로 상기 쌀가루 중량 대비 약 8중량부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혈압상승의 부작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된 석류분말은 충분히 익은 석류를 고온 가압하여 건조한 상태에서 미세입자로 분쇄한 것이거나, 석류를 열수추출한 추출액을 가열하여 고농축한 액기스를 고온건조하여 분말상태로 파쇄한 것을 말한다. 시중에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석류는 석류나무의 열매로서 단단한 붉은 외피가 내부이 종자(석류알)을 감싸고 있는 것인데, 과육은 항산화효과와 노화방지, 피부 미용에 도움이 되는 천연 에스트로겐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외피는 설사나 이질에 효과가 있으며 구충제로도 사용되는 유용한 식재료이다. 특히 비타민C를 포함한 다양한 비타민군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풍미를 높이는 산미가 있어 본 발명의 발효 사료의 부재료로서 반려동물에게 유용한 건강기능을 제공하는 한편 풍미 증진을 통해 편식을 방지할 수 있다.
건조한 사과분말은 충분히 익은 사과를 고온 가압하여 건조한 상태에서 미세입자로 분쇄한 것이거나, 사과를 열수추출한 추출액을 가열하여 고농축한 액기스를 고온건조하여 분말상태로 파쇄한 것을 말한다. 시중에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사과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칼로리가 적고 몸에 좋은 다양한 영양성분이 있으며 당도가 높아 본 발명의 발효 사료에 풍미와 영양성분을 증가시킨다.
특히 수용성 식이섬유인 펙틴이 위액의 점도를 높이고 악성 콜레스테롤을 내보내어 급격한 혈압상승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반려동물의 비만과 고콜레스테롤을 방지하고 고혈압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탈지미강은 생미강에서 용매로 미강유를 추출한 다음 건조시킨 것으로서 분말형태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발효 사료에 혼합할 수 있다.
탈지미강에 함유된 이노시톨과 피틴산, 셀레늄 등의 영양성분은 면역세포를 활성화하여 지방간, 간경변, 고콜레스테롤혈증, 동맥경화증 등에 효능이 있고,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지질의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반려동물의 사료에 포함될 경우 생리활성을 증진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소맥분은 밀가루의 일종으로 발효 사료의 영양성분에서 단백질, 탄수화물, 셀레늄 등의 영양소를 제공하고 사료의 점도 조정의 기능을 하거나 보충제로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사료는 구체적으로 상기 어육류 페이스트 90~100중량부를 기준하여, 상기 부산물 추출분말 20~30중량부, 상기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 15~20중량부, 상기 볶은 작두콩 분말 8~10중량부, 상기 돼지감자 전분 4~6중량부, 상기 건조 바나나분말 6~8중량부, 상기 건조 석류분말 6~8중량부, 상기 건조 사과분말 4~6중량부, 상기 탈지미강 8~10중량부, 및 상기 소맥분 4~6중량부를 포함하여 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 분말의 입자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어육류 페이스트를 제외한 배합 성분들은 20~80메쉬의 미립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반려동물의 종류에 따라 100~120 메쉬의 더 미세한 미립자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발효 사료는 혼합되는 부재료로서, 껍데기를 제거한 골뱅이, 전복, 다슬기, 우렁이, 및 소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건조분말을 상기 돼지감자 전분과 동량으로 더 추가할 수 있다.
추가되는 재료는 해산물의 일종으로서 반려동물 사료에서 부족하기 쉬운 동물성 단백질과 미네랄 등의 각종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다.
특히 껍데기를 제거한 골뱅이, 전복, 다슬기, 우렁이, 및 소라 등은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히스친 점액을 함유하고 있으며 콘스트로이친이라는 성분으로 인해 반려동물의 면역성을 증가시키게 되며, 망막형성과 시력 회복에 필수적인 영양소인 타우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본 발명의 발효 사료에서 영양적으로 다양하게 보강할 뿐만 아니라 기능적, 질환예방적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사료는 반려동물의 종류, 건강상태, 연령에 따라 고체상, 반고체상, 또는 액체상으로 물성을 조정할 수 있으며, 반고체상이나 액체상인 경우에도 점도를 조정하여 다양한 유형의 사료를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혼합된 배합 사료를 교반하면서 상기 마늘이나 양파 관련 부산물의 열수추출액이나, 볶은 작두콩 추출액, 또는 돼지감자 추출액, 또는 음용수를 추가해가면서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부산물의 열수추출액은 부산물의 건조분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것이며, 볶은 작두콩 추출액은 작두콩 분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액기스이다. 또한 돼지감자 추출액은 돼지감자 전분을 제조할 때 생성되는 상등액일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돼지감자를 이용하여 추출액을 별도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돼지감자 20~30g을 깨끗이 씻고 얇게 썰어 실온에서 건조한 후, 건조된 돼지감자를 다시 씻어 물 2리터에 넣고 150~200℃에서 5~10분간 끓이다가 90~100℃에서 20~30분간 더 끓인 후, 고형분인 돼지감자를 걸러내고 액상의 추출물을 상온으로 냉각시켜 사용한다.
물성이 반도체상이나 액체상으로 조절된 발효 사료는 벌꿀로 점성을 조정할 수 있으나 이와 유사한 다양한 점성 조절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발효 사료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발효 사료의 각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어육류 페이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1)와, 부산물 추출분말을 생성하는 단계(S2)와, 미생물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생성하는 단계(S3)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어육류 페이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1)는 지방이 적은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특히 닭가슴살), 오리고기(특히 오리고기 가슴살), 연어, 참치 등 생선류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0.3~20mm로 절단 또는 분쇄한다. 그런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분쇄 어육류 중량의 2~10배의 물을 넣고 1~3시간 동안으로 고온 가압한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어육류의 영양성분이 끓는 물에 추출되고 육질과 액상의 추출액이 고온에서 한데 섞인 뒤 부드러운 점성과 반려동물의 취식 편이를 위해 어육류 페이스트를 10~20 메쉬 수준으로 갈아준다.
상기 S1의 어육류 페이스트 생성 단계에서 물이 지나치게 많아서 반고형의 페이스트가 아닌 액상으로 되지 않도록 분쇄 어육류 중량의 2~3배의 물을 넣고 고온 가압하면서 상황에 따라 끓는 물을 추가해가면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부산물 추출분말을 생성하는 단계(S2)는 마늘종구, 마늘껍질, 마늘대, 마늘잎, 양파껍질, 양파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산물을 세척하고, 이들의 중량대비 2~5배의 물을 넣고 30분 내지 3시간 동안 100~200℃로 가열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열수추출액과 고형물을 분리한다. 이때 생성되는 열수추출액은 발효 사료의 전체 재료를 배합할 때 교반수로 사용할 수 있고, 수분을 증발시켜 영양성분이 응집된 건조분말로 제조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고형물은 수분함량이 10 내지 20%가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상기 열수추출액 건조분말과 고형물을 20~80 메쉬로 분쇄한 분말을 모두 통칭하여 부산물 추출분말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미생물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생성하는 단계(S3)는 쌀가루,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 당밀을 혼합한 혼합분말 100중량부 대비 30~45중량부의 물을 혼합하고, 그 혼합액 100중량부 대비 1~2중량부의 미생물을 접종하여 30~40℃의 발효배양기에서 36~48시간 동안 배양하고 실온에서 24~48시간 동안 통풍 건조한 후 20~80 메쉬로 분쇄하는 과정이다.
이때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류코노스톡(Lactobacillus leuconostoc),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퓨트리피커스(Bacillus Putrificus),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로 이루어진 각 균주가 동량으로 포함된 복합미생물제이다.
미생물을 접종한 후 발효배양기 내 발효물을 저속으로 교반하여 균일한 발효를 진행시킬 수 있고, 발효물질이 골고루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미생물 배양물의 성분비는 쌀가루 90~100중량부, 옥분 90~100중량부, 미강 180~200중량부, 단백피 20~50중량부, 대두박 20~50중량부, 및 당밀 3~5중량부를 포함하고 전체 혼합분말 100중량부 대비 물이 30~45중량부로 배합한다.
복합미생물제는 다시 상기 혼합액 100중량부 대비 1~2중량부로 접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양물의 혼합비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원료 배합량(kg)
혼합배지 쌀가루 200
옥분 195
미강 380
단백피 75
대두박 80
당밀 10
주정박(막걸리박) 50
혼합배지 중량 990
440
혼합액 중량 1430
종균미생물 복합미생물제 20
총 중량 합계 145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사료의 부재료인 볶은 작두콩 분말, 돼지감자 전분, 건조 바나나분말, 건조 석류분말, 건조 사과분말, 탈지미강, 및 소맥분을 상기 S1, S2, S3에서 생성된 분말 주재료와 배합한다(S4).
배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어육류 페이스트 90~100중량부, 부산물 추출분말 20~30중량부,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 15~20중량부, 볶은 작두콩 분말 8~10중량부, 돼지감자 전분 4~6중량부, 건조 바나나분말 6~8중량부, 건조 석류분말 6~8중량부, 건조 사과분말 4~6중량부, 탈지미강 8~10중량부, 및 소맥분 4~6중량부으로 배합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종류, 건강상태, 질환 가능성, 질환 대비의 상황을 고려하여 효능이 강화된 재료들을 더 많이 포함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S5 단계에서는 냉각된 부산물의 열수추출액, 볶은 작두콩 추출액, 돼지감자 추출액, 및 음용수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S4 단계의 배합재료에 추가하며 교반한다. 이는 발효 사료의 물성을 고체상 또는 반고체상 또는 액체상으로 조절하는 과정이다.
이때 사용되는 볶은 작두콩 추출액은, 작두콩을 150~200℃에서 5~20분간 1회 내지 3회로 골고루 볶는 단계, 상기 볶은 작두콩 5~20g을 끓는 물 1리터에 넣어 100~150℃에서 10~30분간 우려내는 단계, 및 상기 볶은 작두콩을 건져내고 상온에서 냉각하는 단계로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발효 사료는 반려동물의 건강상태와 연령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효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교반수를 조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발효 사료를 액체상으로 제조할 경우 포장의 편이성이나 반려동물의 취식 편이성을 고려하여 점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점도조정제는 벌꿀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원하는 물성으로 교반된 발효 사료는 S6 단계에서 분포장되는데, 고체상, 반고체상 또는 액체상의 물성에 따라 레토르트 용기 또는 필름형 파우치에 분포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7 단계에서 상기 분포장된 레토르트 용기 또는 필름형 파우치는 130~140℃에서 50~60분간 멸균하는 살균 단계를 거쳐 출하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 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우육, 돈육, 계육, 어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어육류 페이스트;
    마늘종구, 마늘껍질, 마늘대, 마늘잎, 양파껍질, 양파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산물의 열수추출액을 수분함량이 10 내지 20%로 건조한 부산물 추출분말;
    쌀가루,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 당밀을 혼합한 혼합분말과 물의 혼합액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
    볶은 작두콩 분말;
    돼지감자 전분;
    건조 바나나분말;
    건조 석류분말;
    건조 사과분말;
    탈지미강;
    소맥분;을 포함하고,
    상기 부산물의 열수추출액, 볶은 작두콩 추출액, 돼지감자 추출액, 음용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로 고체상 또는 액체상으로 물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육류 페이스트는 수분함량이 2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사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액은 상기 마늘종구, 마늘껍질, 마늘대, 마늘잎, 양파껍질, 양파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산물을 100 내지 200℃의 물에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끓인 후 상온으로 냉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사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가루,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 당밀을 혼합한 혼합분말은, 쌀가루 90~100중량부, 옥분 90~100중량부, 미강 180~200중량부, 단백피 20~50중량부, 대두박 20~50중량부, 및 당밀 3~5중량부가 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사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은 상기 혼합분말 100중량부 대비 물이 30~4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사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류코노스톡(Lactobacillus leuconostoc),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퓨트리피커스(Bacillus Putrificus),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로 이루어진 각 균주가 동량으로 포함된 복합미생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사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상기 혼합액 100중량부 대비 1~2중량부로 접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사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사료는, 상기 어육류 페이스트 90~100중량부, 상기 부산물 추출분말 20~30중량부, 상기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 15~20중량부, 상기 볶은 작두콩 분말 8~10중량부, 상기 돼지감자 전분 4~6중량부, 상기 건조 바나나분말 6~8중량부, 상기 건조 석류분말 6~8중량부, 상기 건조 사과분말 4~6중량부, 상기 탈지미강 8~10중량부, 및 상기 소맥분 4~6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사료.
  9. 제1항에 있어서,
    물성이 액체상으로 조절된 발효 사료는 벌꿀로 점성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사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사료는, 껍데기를 제거한 골뱅이, 전복, 다슬기, 우렁이, 및 소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건조분말을 상기 돼지감자 전분과 동량으로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사료.
  11. 우육, 돈육, 계육, 어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어육류를 선택하여 0.3~20mm로 분쇄한 후 분쇄 어육 중량의 2~10배의 물을 넣고 1~3시간 동안 고온 가압한 뒤 10~20 메쉬로 분쇄하여 어육류 페이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마늘종구, 마늘껍질, 마늘대, 마늘잎, 양파껍질, 양파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산물의 중량대비 2~5배의 물을 넣고 30분 내지 3시간 동안 100~200℃로 가열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열수추출액과 고형물을 분리한 뒤 각각 수분함량이 10 내지 20%로 건조하고 20~80 메쉬로 분쇄하여 부산물 추출분말을 생성하는 단계,
    쌀가루,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 당밀을 혼합한 혼합분말 100중량부 대비 30~45중량부의 물을 혼합하고, 그 혼합액 100중량부 대비 1~2중량부의 미생물을 접종하여 30~40℃의 발효배양기에서 36~48시간 동안 배양하고 실온에서 24~48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80 메쉬로 분쇄하여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어육류 페이스트, 상기 부산물 추출분말, 상기 배양 추출물의 건조분말에 볶은 작두콩 분말, 돼지감자 전분, 건조 바나나분말, 건조 석류분말, 건조 사과분말, 탈지미강, 및 소맥분을 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배합단계에서 생성된 배합물에 상기 냉각된 부산물의 열수추출액, 볶은 작두콩 추출액, 돼지감자 추출액, 및 음용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을 추가하며 교반하여 고체상 또는 액체상의 발효 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사료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발효 사료는 고체상 또는 액체상의 물성에 따라 레토르트 용기 또는 필름형 파우치에 분포장되고, 상기 분포장된 레토르트 용기 또는 필름형 파우치는 130~140℃에서 50~60분간 멸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효 사료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볶은 작두콩 추출액은,
    작두콩을 150~200℃에서 5~20분간 1회 내지 3회로 골고루 볶는 단계,
    상기 볶은 작두콩 5~20g을 끓는 물 1리터에 넣어 100~150℃에서 10~30분간 우려내는 단계, 및
    상기 볶은 작두콩을 건져내고 상온에서 냉각하는 단계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사료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쌀가루, 옥분, 미강, 단백피, 대두박, 당밀을 혼합한 혼합분말은, 쌀가루 90~100중량부, 옥분 90~100중량부, 미강 180~200중량부, 단백피 20~50중량부, 대두박 20~50중량부, 및 당밀 3~5중량부가 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사료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상의 발효 사료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액체상 발효 사료의 점도는 벌꿀을 추가하여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사료의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류코노스톡(Lactobacillus leuconostoc),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퓨트리피커스(Bacillus Putrificus),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로 이루어진 각 균주가 동량으로 포함된 복합미생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사료의 제조방법.

KR1020220088057A 2022-07-18 2022-07-18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2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057A KR102522259B1 (ko) 2022-07-18 2022-07-18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057A KR102522259B1 (ko) 2022-07-18 2022-07-18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259B1 true KR102522259B1 (ko) 2023-04-17

Family

ID=8612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057A KR102522259B1 (ko) 2022-07-18 2022-07-18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25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017A (ko) * 2003-04-16 2004-10-22 박관식 가축용 배합사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8083117A2 (en) * 2006-12-28 2008-07-10 Solae, Llc Ground meat and meat analog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nutritional properties
JP2008539799A (ja) * 2005-05-20 2008-11-20 ザ・アイムス・カンパニー 湿潤ペットフード製品および調製方法
KR101449892B1 (ko) * 2014-01-22 2014-10-13 강달호 양파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조성물
KR102106623B1 (ko) * 2019-11-25 2020-05-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령동물용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16735A (ko) * 2019-04-02 2020-10-13 김택 한방약재를 이용한 고양이 간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9422A (ko) * 2019-06-04 2020-12-1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염 조성물
KR20210082914A (ko) * 2019-12-26 2021-07-06 에이치유원 주식회사 발효 고구마를 이용한 비만 개선용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05149B1 (ko) * 2021-03-23 2021-09-27 주식회사 이엘티플러스 농업회사 법인 가축용 보조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12584A (ko) *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풍국 발효균합제를 적용한 혼합사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017A (ko) * 2003-04-16 2004-10-22 박관식 가축용 배합사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539799A (ja) * 2005-05-20 2008-11-20 ザ・アイムス・カンパニー 湿潤ペットフード製品および調製方法
WO2008083117A2 (en) * 2006-12-28 2008-07-10 Solae, Llc Ground meat and meat analog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nutritional properties
KR101449892B1 (ko) * 2014-01-22 2014-10-13 강달호 양파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조성물
KR20200116735A (ko) * 2019-04-02 2020-10-13 김택 한방약재를 이용한 고양이 간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9422A (ko) * 2019-06-04 2020-12-1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염 조성물
KR102106623B1 (ko) * 2019-11-25 2020-05-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령동물용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82914A (ko) * 2019-12-26 2021-07-06 에이치유원 주식회사 발효 고구마를 이용한 비만 개선용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20012584A (ko) *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풍국 발효균합제를 적용한 혼합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305149B1 (ko) * 2021-03-23 2021-09-27 주식회사 이엘티플러스 농업회사 법인 가축용 보조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9616B (zh) 一种蔬鲜类复合调味料及其制备方法
KR102180642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한 어묵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1333B1 (ko) 한끼 식사용 밀웜 쉐이크와 그 제조방법
CN1181759C (zh) 含有青钱柳提取物的降血糖、降血压、降血脂保健食品
CN104351500A (zh) 一种改善鸡蛋风味的蛋鸡饲料及其制作方法
KR101953097B1 (ko) 홍삼을 먹은 굼벵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 방법
CN102334669A (zh) 一种鲜香昆虫酱
CN104322945A (zh) 一种土鸡饲料及其制作方法
CN104544103A (zh) 一种秋葵片及制备工艺
KR20220065448A (ko) 배스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KR102284533B1 (ko) 치즈 고로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즈 고로케
CN104351499A (zh) 一种改善鸡肉风味的肉鸡饲料及其制作方法
CN106805097A (zh) 营养米饭/米粥/米粉/河粉/米糕/米饼及其制作方法
KR102522259B1 (ko)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48505A (ko) 동물성 단백질의 발효기술을 이용한 쌀라면 제조방법
CN105124267A (zh) 一种易消化肉牛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93462A (ko) 장어뼈가 포함된 개암 죽의 제조방법
JP2006320277A (ja) ナットウキナーゼ含有栄養補助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387407A (zh) 一种提高消化能综合利用海带黑猪饲料添加剂
KR20050045666A (ko) 비만억제 조성물
CN109527275A (zh) 小龙虾促生长配合饲料
CN102499375A (zh) 一种保健食品的制备方法
KR101571402B1 (ko) 12곡 영양곡물분을 이용한 쌀호떡 및 그 제조방법
KR102464983B1 (ko) 다이어트용 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429269B1 (ko) 청국장 찌개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청국장 찌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