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401B1 -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 - Google Patents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401B1
KR102516401B1 KR1020220129309A KR20220129309A KR102516401B1 KR 102516401 B1 KR102516401 B1 KR 102516401B1 KR 1020220129309 A KR1020220129309 A KR 1020220129309A KR 20220129309 A KR20220129309 A KR 20220129309A KR 102516401 B1 KR102516401 B1 KR 102516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wire
live wire
indirect liv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9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02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6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 상태의 배전선로에 LA(피뢰기) 설치, 철거 및 교체를 간접활선 작업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선작업용스틱의 구동장치 구동력에 의해 작동 가능한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함으로써,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된 원거리에서 LA의 안전한 설치, 철거 및 교체 작업시 안전한 간접 활선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복스의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든지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등 작업의 편리하고, 그 작업 시간 또한 단축 시키기 위한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LA installation, demolition and replacement using angle-adjustable box wrench stick for indirect live wire Indirect live wire method}
본 발명은 활선 상태의 배전선로에 LA(피뢰기) 활선 상태의 배전선로에 설치, 철거 및 교체를 간접활선 작업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안전한 작업 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각종 볼트 등을 조이거나 푸는 과정에서 다양한 각도의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작업 효율성의 향상과 안정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의 애자는 높은 전압의 배전선로를 절연하고 동시에 기계적으로 유지 또는 지지하기 위한 절연체이다.
또한, 애자는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絶緣耐力)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주름을 만들어 표면에 따른 거리를 크게 하였다. 이것은 표면이 습하였을 때, 특히 염분이나 먼지 등이 부착하였을 때 절연내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애자의 종류로는 전력선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LP애자, 전력선을 현수 상태에서 지지하는 현수애자, 변압기를 접속하는 COS(Cut Out Switch), LA(피뢰기:Lightning Arrester) 등이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애자 종류 중에 LA(피뢰기:Lightning Arrester)는 완철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설치, 철거 및 교체 작업시에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볼트 등을 통해 설치 및 분리 작업하게 되며, 작업자는 렌치 등을 이용하여 작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방법은 통상의 파지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복스렌치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활선에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인바, 안전상 매우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다양한 각도에서 작업이 불편하며, 이에 따른 작업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1997-0014937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142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활선작업용스틱의 구동장치 구동력에 의해 작동 가능한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함으로써,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된 원거리에서 LA의 안전한 설치, 철거 및 교체 작업시 안전한 간접 활선 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복스의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든지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등 작업의 편리하고, 그 작업 시간 또한 단축 시키기 위한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하부에 구동장치 동력을 갖는 절연연장스틱이 결합되어 구동력을 부여하는 전달축부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구동장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이 형성된 기어박스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며 선단에 복스 결합부가 볼조인트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어댑터와, 상기 복스 결합부에 착탈되는 복스와, 상기 기어박스 하부에 형성되며 완충 작용에 의해 복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복스 지지부재로 된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여 배전선로에 LA(피뢰기)를 교체하되,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신설LA 및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포함한 작업장비를 휴대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기설LA 교체를 위한 주상으로 이동하는 작업 준비공정;
활선 상태의 중성선과, 점퍼선과, 특고압선을 방호구로 방호하여 안전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방호공정;
기설LA와 특고압선을 연결하고 있는 기설LA 1차측 리드선을 절단하여 분리하는 리드선 분리공정;
기설LA 접지선을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또는 간접 활선용 절단기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접지선 분리공정;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여 기설LA의 볼트 또는 너트를 풀어 고정력을 해제하고,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기설LA를 파지하여 완철로부터 분리하는 LA 철거공정;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신설LA를 파지하고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여 완철에 신설LA의 볼트 또는 너트를 조여 설치하는 LA 설치공정;
기설LA에서 분리된 기설LA 접지선을 신설LA에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접지선 연결공정;
신설LA와 특고압선을 신설LA 1차측 리드선으로 연결하는 리드선 연결공정; 및
설치된 방호구를 철거하는 방호 철거공정을 수행하되,
상기 LA 철거공정 또는 LA 설치공정에서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여 기설LA 또는 신설LA의 볼트 또는 너트를 풀거나 조임시,
복스 결합부에 복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복스로 볼트 또는 너트를 결합 및 작업자의 작업 위치에 맞게 볼조인트로 작업 각도를 조절하고,
절연연장스틱의 구동장치를 구동시켜 기어박스를 구동 및 볼트 또는 너트를 풀거나 조여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은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여 안전거리가 확보된 위치에서 LA의 안전한 설치, 철거 및 교체 작업이 가능한 것인바, 항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복스의 다양한 조절로 어느 위치에서든지 볼트 등의 조임 및 풀림 작업이 가능한 것인바, 작업자로 하여금 위치를 변경하여 가면서 작업할 필요 없이 안전한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등 간편한 작업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작업 시간이 현격히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에서의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에서의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에서의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의 사용상태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간접 활선공법을 나타낸 간략도.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철거 간접 활선공법을 나타낸 간략도.
도 16 내지 24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을 나타낸 간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에서의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에서의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요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은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이용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은 기어박스(100)와, 어댑터(200)와, 복스(300)와, 복스 지지부재(400)로 구성된다.
먼저, 기어박스(100)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구성함에 있어, 회전 동력을 부여하게 구성된다.
이때, 기어박스(100)에는 그 하부에는 전달축부(120)가 형성되어 통상의 길이 조절 가능한 절연연장스틱(110)이 결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절연연장스틱(110)에는 통상의 레버 등의 작동되는 구동장치(111)가 형성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절연연장스틱(110)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은 물론,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특허등록 제10-2021001호, 특허등록 제10-1963537호, 특허등록 제10-1963539호 플라이어 스틱이나, 특허등록 제10-2028010호 그립 올 클램프 스틱 등에 적용되는 동력 전달이 가능한 것으로, 내부에는 구동모터 또는 수동 회전 조절에 의해 회전 가능한 동력 전달수단(도면중 미도시함)이 구성된 것이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기어박스(100)에는 전방에 상기 절연연장스틱(110)의 구동장치(111)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축(13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구동축(130)은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전달축부(120)와 통상의 스크류기어, 베벨기어, 웜기어 등을 통해 동력 전달되게 연결되게 구성되어 절연연장스틱(110)의 구동장치(111)의 회전력이 전달되게 구성될 것이다.
그리고 구동축(130)에는 그 단부가 후술하는 어댑터(200)가 결합되어 회전시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각 돌기 형태로 구성되며, 어댑터(200)의 이탈 방지가 가능하도록 어댑터 고정 스프링핀(131)이 구성될 것이다.
상기 어댑터(200)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기어박스(100)의 회전 동력을 후술하는 복스(300)로 전달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어댑터(200)는 후방이 상기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30)에 통상의 사각 돌기 및 사각 홈 등을 통해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어댑터(200)에는 그 전방에 후술하는 복스(30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복스 결합부(21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복스 결합부(210)는 볼조인트(211)를 통해 형성되어 자유로운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복스 결합부(210)은 후술하는 복스(300)가 결합되어 회전시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각 돌기 형태로 구성되며, 복스(300)의 이탈 방지가 가능하도록 복스 고정 스프링핀(212)이 구성될 것이다.
상기 복스(300)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구성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회전력에 의해 볼트나 너트 등의 조임이나 풀림력을 부여하게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복스가 적용되며, 통상의 사각 돌기 및 사각 홈 등을 통해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에, 복스(300)는 상기 어댑터(200)의 복스 결합부(210)에 결합되게 되며, 볼조인트(211) 조절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의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복스 지지부재(400)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각도 조절되는 복스(300)를 지지하여 작업시 안정된 지지력을 부여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복스 지지부재(400)는 상기 기어박스(100)의 하부 전방에 결합 구성된다.
또한, 복스 지지부재(400)에는 그 전방에 실질적으로 복스(300)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지지부(410)가 구성된 것으로, 지지부(410)는 내부가 상부로 개방되는 반원 형태를 이루며, 내주면에는 복스(300)의 회전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간부가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410)는 스프링(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통해 탄설되어 상하 완충 작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복스(300)의 각도 조절에 따른 항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은 도 3을 참조하여 어댑터(200)의 복스 결합부(210)에 복스(300)를 결합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복스 결합부(210)의 볼조인트(211)의 회전 조절을 통해 그 복스(300)의 다양한 각도로의 조절이 가능한 것인바, 어떠한 위치에서도 볼트 또는 너트 등의 조임이나 풀림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은 상기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LA의 설치, 철거,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간접 활선공법을 살펴보면,
먼저, 작업 준비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신설LA(20a) 설치를 위한 전주(10)의 상부 즉, 주상으로 이동하여 준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통상의 배전선로의 각종 작업시 주상 작업에 사용되는 활선버켓(50)을 통해 주상으로 이동하면 된다.
이때, 활선버켓(50)에는 LA 설치에 필요한 각종 작업장비(도면중 미도시함)를 휴대하되, 신설하고자 하는 신설LA(20a) 및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포함한 각종 작업장비를 휴대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작업장비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방호구, 활선작업용스틱, 피박기, 렌치 등 배전선로 작업에 필요한 다양한 장비일 것이다.
이후, 방호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감전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면서 작업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활선 상태의 중성선(12)과, 점퍼선(13)과, 특고압선(14)에 대하여 방호포로 된 방호구(30)로 방호하여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LA 설치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신설LA(20a)를 완철(11)에 설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신설LA(20a)를 파지 및 브라켓(도면중 미도시함)을 이용하여 완철(11)에 삽입하면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이용하여 신설LA(20a)의 볼트 또는 너트를 조여 체결 고정하면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작업자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의 복스 결합부(210)에 복스(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복스(300)로 볼트 또는 너트를 결합 및 작업자의 작업 위치에 맞게 볼조인트(211)로 복스(300)의 작업 각도를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절연연장스틱(110)의 구동장치(111)를 구동시켜 기어박스(100)를 구동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30)이 회전되는 것인바, 그 회전력은 어댑터(200)를 통해 복스(300)로 전달되어 볼트 또는 너트의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작업자는 신설LA(20a)를 체결 고정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감수하고 활선에 접근하여 렌치 등을 이용하여 볼트 또는 너트를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이용하여 안전한 작업거리가 확보된 상태의 원거리에서 다양한 각도에서의 안전한 체결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접지선 연결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전주 접지선(15)과 연결하면 된다.
이를 위해, 신설LA(20a)로부터 인출되는 신설LA 접지선(25a)을 전주(10)에 설치되어 있는 전주 접지선(15)의 접지단자에 연결 설치하면 된다.
이후, 리드선 연결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설치된 신설LA(20a)를 선로의 특고압선(14)과 연결하면 된다.
이를 위해, 먼저, 신설LA 1차측 리드선(26a)을 연결하기 위한 특고압선(14)에 설치된 방호를 철거하면 된다.
그리고 방호가 철거된 특고압선(14)에 대하여 신설LA 1차측 리드선(26a)과 접속할 지점을 통상의 자동개폐피박기를 이용하여 피박한다.
그리고 압축기를 이용하여 신설LA 1차측 리드선(26a)을 특고압선(14)의 피박된 위치에 압축 접속시키고, 스리브커버로 마감 및 테이핑기를 이용하여 이중절연자기융착테이프로 테이핑 마감하면 된다.
이후, 방호 철거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9를 참조하여 점퍼선(13) 및 중성선(12)에 설치된 방호구를 철거하면 되는 것으로, 신설LA(20a)의 설치가 마무리 된다.
한편,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수행되는 일련의 공정은 A~C상 까지 3상에 대하여 수행시에는 특고압선(14)의 A상부터 C상까지 3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간접 활선공법에서는 LA를 설치함에 있어, 작업자의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의 원거리에서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되, 복스(300)의 다양한 각도 조절을 통해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된 다양한 위치에서 신설LA(20a)의 볼트 또는 너트의 체결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등 간접활선 작업으로 LA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철거 간접 활선공법을 살펴보면,
먼저, 작업 준비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철거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기설LA(20b) 철거를 위한 전주(10)의 상부 즉, 주상으로 이동하여 준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통상의 배전선로의 각종 작업시 주상 작업에 사용되는 활선버켓(50)을 통해 주상으로 이동하면 된다.
이때, 활선버켓(50)에는 기설LA(20b) 철거에 필요한 각종 작업장비(도면중 미도시함)를 휴대하되,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포함한 각종 작업장비를 휴대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작업장비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방호구, 활선작업용스틱, 피박기, 렌치 등 배전선로 작업에 필요한 다양한 장비일 것이다.
이후, 방호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철거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감전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면서 작업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활선 상태의 중성선(12)과, 점퍼선(13)과, 특고압선(14)에 대하여 방호포로 된 방호구(30)로 방호하여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리드선 분리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철거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특고압선(14)과 연결된 기설LA 1차측 리드선(26b)을 분리하면 된다.
이를 위해, 먼저, 특고압선(14)의 방호구(30)을 제거한다.
그리고 통상의 활전작업용스틱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기설LA 1차측 리드선(26b)을 절단하여 분리하면 된다.
이후, 접지선 분리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철거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전주 접지선(15)과 연결된 기설LA 접지선(25b)을 분리하면 된다.
이를 위해,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또는 통상의 간접 활선용 절단기를 이용하여 전주 접지선(15)과 연결된 기설LA 접지선(25b)을 절단하면 된다.
이후, LA 철거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철거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기설LA(20b)를 완철(11)로부터 철거하면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이용하여 기설LA(20b)의 볼트 또는 너트를 풀어 브라켓(도면중 미도시함) 고정력을 해제 하면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작업자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의 복스 결합부(210)에 복스(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작업 위치에 맞게 볼조인트(211)로 복스(300)의 작업 각도를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각도 조절된 복스(300)를 이용하여 기설LA(20b)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 또는 너트를 삽입하고 절연연장스틱(110)의 구동장치(111)를 구동시켜 기어박스(100)를 구동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30)이 회전되는 것인바, 그 회전력은 어댑터(200)를 통해 복스(300)로 전달되어 볼트 또는 너트를 풀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작업자는 기설LA(20b)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감수하고 활선에 접근하여 렌치 등을 이용하여 볼트 또는 너트를 풀어주는 것이 아니라,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이용하여 안전한 작업거리가 확보된 상태의 원거리에서 다양한 각도에서의 안전한 풀림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방호 철거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15를 참조하여 특고압선(14), 점퍼선(13), 중성선(12)에 설치된 방호구를 철거하면 되는 것으로, 기설LA(20b)의 철거가 마무리 된다.
한편,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철거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수행되는 일련의 공정은 A~C상 까지 3상에 대하여 수행시에는 특고압선(14)의 A상부터 C상까지 3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철거 간접 활선공법에서는 기설LA를 철거함에 있어, 작업자의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의 원거리에서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되, 복스(300)의 다양한 각도 조절을 통해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된 다양한 위치에서 기설LA(20b)의 볼트 또는 너트의 풀림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등 간접활선 작업으로 기설LA의 철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6 내지 24를 참조하여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을 살펴보면,
먼저, 작업 준비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LA 교체를 위한 전주(10)의 상부 즉, 주상으로 이동하여 준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통상의 배전선로의 각종 작업시 주상 작업에 사용되는 활선버켓(50)을 통해 주상으로 이동하면 된다.
이때, 활선버켓(50)에는 LA 교체에 필요한 각종 작업장비(도면중 미도시함)를 휴대하되, 교체하고자 하는 신설LA(20a) 및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포함한 각종 작업장비를 휴대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작업장비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방호구, 활선작업용스틱, 피박기, 렌치 등 배전선로 작업에 필요한 다양한 장비일 것이다.
이후, 방호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감전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면서 작업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활선 상태의 중성선(12)과, 점퍼선(13)과, 특고압선(14)에 대하여 방호포로 된 방호구(30)로 방호하여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리드선 분리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기설LA(20b)와 특고압선(14)을 연결하고 있는 기설LA 1차측 리드선(26b)을 분리하면 된다.
이를 위해, 먼저, 특고압선(14)의 방호구(30)을 제거한다.
그리고 통상의 활전작업용스틱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기설LA 1차측 리드선(26b)을 절단하여 분리하면 된다.
이후, 접지선 분리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기설LA(20b)와 전주 접지선(15)을 연결하고 있는 기설LA 접지선(25b)을 분리하면 된다.
이를 위해,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또는 통상의 간접 활선용 절단기를 이용하여 전주 접지선(15)과 연결된 기설LA 접지선(25b)을 기설LA(20b)로 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기설LA(20b)로 부터 분리된 기설LA 접지선(25b)은 통상의 접지선 클램프(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통해 완철(11)에 고정 설치되어 있을 것이다.
이후, LA 철거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기설LA(20b)를 완철(11)로부터 철거하면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이용하여 기설LA(20b)의 볼트 또는 너트를 풀어 브라켓(도면중 미도시함) 고정력을 해제 하면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작업자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의 복스 결합부(210)에 복스(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작업 위치에 맞게 볼조인트(211)로 복스(300)의 작업 각도를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각도 조절된 복스(300)를 이용하여 기설LA(20b)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 또는 너트를 삽입하고 절연연장스틱(110)의 구동장치(111)를 구동시켜 기어박스(100)를 구동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30)이 회전되는 것인바, 그 회전력은 어댑터(200)를 통해 복스(300)로 전달되어 볼트 또는 너트를 풀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작업자는 기설LA(20b)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감수하고 활선에 접근하여 렌치 등을 이용하여 볼트 또는 너트를 풀어주는 것이 아니라,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이용하여 안전한 작업거리가 확보된 상태의 원거리에서 다양한 각도에서의 안전한 풀림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LA 설치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기설LA(20b)가 철거된 위치에 신설LA(20a)를 완철(11)에 설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신설LA(20a)를 파지 및 브라켓(도면중 미도시함)을 이용하여 완철(11)에 삽입하면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이용하여 신설LA(20a)의 볼트 또는 너트를 조여 체결 고정하면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작업자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의 복스 결합부(210)에 복스(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복스(300)로 볼트 또는 너트를 결합 및 작업자의 작업 위치에 맞게 볼조인트(211)로 복스(300)의 작업 각도를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절연연장스틱(110)의 구동장치(111)를 구동시켜 기어박스(100)를 구동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30)이 회전되는 것인바, 그 회전력은 어댑터(200)를 통해 복스(300)로 전달되어 볼트 또는 너트의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작업자는 신설LA(20a)를 체결 고정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감수하고 활선에 접근하여 렌치 등을 이용하여 볼트 또는 너트를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1)을 이용하여 안전한 작업거리가 확보된 상태의 원거리에서 다양한 각도에서의 안전한 체결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접지선 연결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신설LA(20a)를 전주 접지선(15)과 연결하면 된다.
이를 위해, 기설LA(20b)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기설LA 접지선(25b)를 새로 설치된 신설LA(20a)에 연결 설치하면 된다.
이후, 리드선 연결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설치된 신설LA(20a)를 선로의 특고압선(14)과 연결하면 된다.
이를 위해, 먼저, 신설LA 1차측 리드선(26a)을 연결하기 위한 특고압선(14)에 설치된 방호를 철거하면 된다.
그리고 방호가 철거된 상태에서 기설LA(20b)의 신설LA 1차측 리드선(26a)이 절단된 잔여 물을 제거하되, 스리브커버를 제거하여 기설LA(20b)의 신설LA 1차측 리드선(26a)이 연결된 위치를 노출시키면 된다.
그리고 압축기를 이용하여 신설LA 1차측 리드선(26a)을 특고압선(14)의 노출되어 피박된 위치에 압축 접속시키고, 스리브커버로 마감 및 테이핑기를 이용하여 이중절연자기융착테이프로 테이핑 마감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신설LA 1차측 리드선(26a)을 연결시에는 상기와 같이 기설LA(20b)의 기설LA 1차측 리드선(26b)이 분리된 위치에 연결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고압선(14)에 대하여 새로운 위치를 선정하여 자동개폐피박기를 이용하여 피박 및 그 피박된 위치에 연결 가능한 것으로, 이는 작업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후, 방호 철거공정을 수행하되,
이는, 도 24를 참조하여 점퍼선(13) 및 중성선(12)에 설치된 방호구를 철거하면 되는 것으로, 기설LA(20b)를 철거 및 신설LA(20a)를 설치하는 교체작업이 마무리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수행되는 일련의 공정은 A~C상 까지 3상에 대하여 수행시에는 특고압선(14)의 A상부터 C상까지 3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에서는 LA를 교체함에 있어, 작업자의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의 원거리에서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되, 복스(300)의 다양한 각도 조절을 통해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된 다양한 위치에서 기설LA(20b) 또는 신설LA(20a)의 볼트 또는 너트의 체결 또는 풀림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등 간접활선 작업으로 LA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10 : 전주 11 : 완철
12 : 중성선 13 : 점퍼선
14 : 특고압선 15 : 전주 접지선
20a : 신설LA 20b : 기설LA
25a : 신설LA 접지선 25b : 기설LA 접지선
26a : 신설LA 1차측 리드선 26b : 기설LA 1차측 리드선
30 : 방호구 50 : 활선버켓
100 : 기어박스 110 : 절연연장스틱
111 : 구동장치 120 : 전달축부
130 : 구동축 131 : 어댑터 고정 스프링핀
200 : 어댑터 210 : 복스 결합부
211 : 볼조인트 212 : 복스 고정 스프링핀
300 : 복스
400 : 복스 지지부재 410 : 지지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하부에 구동장치(111) 동력을 갖는 절연연장스틱(110)이 결합되어 구동력을 부여하는 전달축부(120)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구동장치(111)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130)이 형성된 기어박스(100)와, 상기 구동축(130)에 결합되며 선단에 복스 결합부(210)가 볼조인트(211)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어댑터(200)와, 상기 복스 결합부(210)에 착탈되는 복스(300)와, 상기 기어박스(100) 하부에 형성되며 완충 작용에 의해 복스(300)를 지지하는 지지부(410)를 갖는 복스 지지부재(400)로 된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여 배전선로에 LA(피뢰기)를 교체하되,
    신설LA 및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포함한 작업장비를 휴대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기설LA 교체를 위한 주상으로 이동하는 작업 준비공정;
    활선 상태의 중성선과, 점퍼선과, 특고압선을 방호구로 방호하여 안전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방호공정;
    기설LA와 특고압선을 연결하고 있는 기설LA 1차측 리드선을 절단하여 분리하는 리드선 분리공정;
    기설LA 접지선을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또는 간접 활선용 절단기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접지선 분리공정;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여 기설LA의 볼트 또는 너트를 풀어 고정력을 해제하고,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기설LA를 파지하여 완철로부터 분리하는 LA 철거공정;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신설LA를 파지하고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여 완철에 신설LA의 볼트 또는 너트를 조여 설치하는 LA 설치공정;
    기설LA에서 분리된 접지선을 신설LA에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접지선 연결공정;
    신설LA와 특고압선을 신설LA 1차측 리드선으로 연결하는 리드선 연결공정; 및
    설치된 방호구를 철거하는 방호 철거공정을 수행하되,
    상기 LA 철거공정 또는 LA 설치공정에서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여 기설LA 또는 신설LA의 볼트 또는 너트를 풀거나 조임시,
    복스 결합부(210)에 복스(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복스(300)로 볼트 또는 너트를 결합 및 작업자의 작업 위치에 맞게 볼조인트(211)로 작업 각도를 조절하고,
    절연연장스틱(110)의 구동장치(111)를 구동시켜 기어박스(100)를 구동 및 볼트 또는 너트를 풀거나 조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분리공정부터 리드선 연결공정까지 각각의 공정에서는,
    특고압선의 A상부터 C상까지 3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
KR1020220129309A 2022-10-11 2022-10-11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 KR102516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309A KR102516401B1 (ko) 2022-10-11 2022-10-11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309A KR102516401B1 (ko) 2022-10-11 2022-10-11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401B1 true KR102516401B1 (ko) 2023-04-04

Family

ID=8592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309A KR102516401B1 (ko) 2022-10-11 2022-10-11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40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3108A (ja) * 1987-10-13 1989-04-20 Shikoku Electric Power Co Inc 活線作業マニピュレータ用工具駆動制御装置
KR970014937A (ko) 1995-09-18 1997-04-28 강희섭 양방향 회전 전달용 복스 렌치
KR0114201Y1 (ko) 1995-02-08 1999-05-01 강정희 복스스패너 겸용 복스렌치
JP2017070152A (ja) * 2015-10-01 2017-04-06 中国電力株式会社 避雷器保持用絶縁操作棒
KR102217861B1 (ko) * 2020-06-29 2021-02-19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
KR102249164B1 (ko) * 2021-02-08 2021-05-10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절연 애자클립 및 이를 이용한 lp애자, 현수애자, cos,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
KR102301396B1 (ko) * 2021-02-18 2021-09-14 주식회사 세종이앤지 간접활선용 컷아웃스위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3108A (ja) * 1987-10-13 1989-04-20 Shikoku Electric Power Co Inc 活線作業マニピュレータ用工具駆動制御装置
KR0114201Y1 (ko) 1995-02-08 1999-05-01 강정희 복스스패너 겸용 복스렌치
KR970014937A (ko) 1995-09-18 1997-04-28 강희섭 양방향 회전 전달용 복스 렌치
JP2017070152A (ja) * 2015-10-01 2017-04-06 中国電力株式会社 避雷器保持用絶縁操作棒
KR102217861B1 (ko) * 2020-06-29 2021-02-19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
KR102249164B1 (ko) * 2021-02-08 2021-05-10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절연 애자클립 및 이를 이용한 lp애자, 현수애자, cos,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
KR102301396B1 (ko) * 2021-02-18 2021-09-14 주식회사 세종이앤지 간접활선용 컷아웃스위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755B1 (ko) 자동 착탈식 고정 후크를 구비한 임시걸이와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갖는 간접 활선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JP4209920B2 (ja) 電柱内の電線移線機構を利用した無停電配電工法
KR101873712B1 (ko)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KR102115777B1 (ko)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AU2002304197A1 (en)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KR20230013795A (ko) 가변형 가지지크리트 구조체
CN206516767U (zh) 一种多用途接地钳
KR102045932B1 (ko)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법
KR102211211B1 (ko)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KR102516401B1 (ko)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
KR20230011794A (ko) 컷아웃 스위치 홀더 작업용 무선투입장치
KR102650799B1 (ko)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KR102112471B1 (ko) 활선 작업 방법
JP4270671B2 (ja) 電線保持工具
KR102647559B1 (ko) 라인포스트 애자 교체 방법 및 장치
KR102555762B1 (ko)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KR102082150B1 (ko)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KR102290560B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CN114744442A (zh) 一种0.4kV低压不停电作业电缆快速接入装置
KR102644279B1 (ko) 간접 활선 안전작업이 가능한 바이패스 케이블 헤드용 탑다운 체결방식 전선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탄성 접속 방법
JP2017163794A (ja) 電線端部の処理方法および引留め端末の防護具。
JP6467975B2 (ja) 高圧仮送電ケーブル
JP4503919B2 (ja) 被覆架線の切分け工事における接地方法
KR102582039B1 (ko)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JP2018098067A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