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762B1 -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 Google Patents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762B1
KR102555762B1 KR1020220109130A KR20220109130A KR102555762B1 KR 102555762 B1 KR102555762 B1 KR 102555762B1 KR 1020220109130 A KR1020220109130 A KR 1020220109130A KR 20220109130 A KR20220109130 A KR 20220109130A KR 102555762 B1 KR102555762 B1 KR 102555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der
bending
coupled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9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movably-arranged forming men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6Sto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선 가선공사시 데드앤드클램프에 전선을 고정하기 위하여 클램프에 체결되는 부분의 전선을 구부리기 위한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선을 전주에 설치하기 위한 전선 벤딩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주에 설치되는 전선의 신설, 교체 또는 보수 작업에 있어서, 다양한 굵기의 전선을 안정적으로 데드앤드클램프에 고정하여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전선을 구부릴 때 사용되고, 특히 전선의 규격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한 전선 조임부로 외피가 피박된 전선의 소선이 구부러질 때 발생되는 부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전선의 구부러진 부분이 데드앤드클램프에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접 활선으로 시공이 가능하게 하고 시공품질 확보와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Clamp-type wire bending machine for indirect live wire and wire bending indirect live wir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선 가선공사시 데드앤드클램프에 전선을 고정하기 위하여 클램프에 체결되는 부분의 전선을 구부리기 위한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선을 전주에 설치하기 위한 전선 벤딩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주에 설치되는 전선의 신설, 교체 또는 보수 작업에 있어서, 다양한 굵기의 전선을 안정적으로 데드앤드클램프에 고정하여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전선을 구부릴 때 사용되고, 특히 다양한 전선의 규격에 사용이 가능한 전선 조임부로 외피가 피박된 전선의 소선이 구부러질 때 발생되는 부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전선의 구부러진 부분이 데드앤드클램프에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접 활선으로 시공이 가능하게 하고 시공품질 확보와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의 대부분은 도시와 교외 등 거의 모든 지역에 걸쳐 포설되어 있는 배전선로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배전선로의 종류에는 땅속에 직접 전력선을 매설하는 지중선로와, 전주 및 절연 애자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소정 높이 위의 공중에 전력선을 지지 설치하는 가공선로 두 가지가 있다.
여기서, 지중선로는 전력케이블 보호를 위한 별도의 관로를 포설해야 하고 부가적인 보조장치들이 필요하여 시공이 복잡하고, 매설되는 전력케이블 자체적으로 절연이 가능하도록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고가의 비용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지만 미관상 또는 통행지장 측면에서의 이점 때문에 지중선로의 건설이 증가하는 추세다.
이러한 건설비용과 전력운용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현재는 가공선로가 배전선로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가공선로는 실제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을 수송하기 위한 전력선과, 낙뢰로 인해 전력선에 유기되는 뇌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가공지선 및 불평형 전류가 흐르는 중성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선의 지지방식에 따라 크게 직선형과 내장형의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내장형 방식은 상기 가공선로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위에 이격위치시키기 위한 전주의 양측에 상기 전력선의 양 끝단을 별도의 내장클램프를 통해 각각 고정 지지하여 설치한 후 이 완철 외주면에 상기 전선과 점퍼선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전선과 점퍼선을 지지하도록 가공선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점퍼선은 전주의 양측을 연결하여 설치되고, 고정부분의 외피를 피박한 후 데드앤드클램프에 고정하여 결합된 후 상기 데드앤드클램프에는 전력선을 절연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점퍼선을 구성하는 전선은 다수의 소선이 꼬여서 형성되는 구조의 특성상 외피를 피박한 후 구부러지는 부분(이하, '절곡부분'이라 한다.)이 부풀어 오르는 부풀림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간접 활선작업으로는 절곡부분이 데드앤드클램프에 내입되지 못해 설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공품질 저하의 문제가 있으며, 특히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위에서의 간접 활선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더욱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점퍼선의 구조 특성상 종전의 간접 활선용 공구는 작업자가 와이어 집게 기능을 하는 그립스틱 등의 와이어통(wire tong)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와이어통은 긴 원형 기둥의 끝에 전선을 집을 수 있는 집게가 구비되어 있어 작업자가 집게 부분을 작업 대상인 전선에 위치시킨 후 봉을 돌려 집게를 열거나 닫히게 하여 점퍼선 또는 전선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점퍼선 또는 전선을 밀어내는 역할이 전부이고 모양을 잡거나 고정하기 위한 벤딩작업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 대상인 점퍼선 또는 전선의 굵기에 구애받지 않고 간접 활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전선 홀더가 개발되고 있으나, 종전의 간접 활선기술로는 전선을 벤딩하여 데드앤드클램프에 고정하여 설치해야 하는 내장주 및 인류주에 대해서는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4874호(2019.09.18.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9726호(2020.03.10.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기술은 간접 활선작업으로는 전선의 외피가 피박된 부분을 벤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선 구조의 특성상 소선이 부풀어 오르는 부풀림 현상에 의해 데드앤드클램프에 설치가 불가능하고 시공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전선의 외피가 피박되어 구부러지는 부분 즉, 절곡부분 중 데드앤드클램프에 내입되어 고정되는 전선 부위의 피박된 외주연을 전선의 규격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한 조임부로 압착한 상태에서 구부러지도록 하여 부풀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시공품질을 확보함과 동시에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고, 전선을 파지한 후 구동스틱의 구동모터에 의해 벤딩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전선의 절곡부분의 소선을 부풀림 없이 구부림으로써, 간접 활선작업으로 쉽게 벤딩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간접 활선용 전선 벤딩기는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전선(10)을 파지 또는 파지 해제하는 홀더부(2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웜기어(310)를 구비하는 기어박스(300); 및 상기 기어박스(300)의 일측면에 하부가 결합되되, 상기 홀더부(20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웜기어(310)와 연결되며, 상기 웜기어(310)의 작동에 의해 전후방으로 회전되는 벤딩레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더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부홀더(220);와 상기 하부홀더(22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홀더(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전선 벤딩기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홀더(210)는 하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전선(10)이 파지될 때, 상기 전선(10)의 상부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부압착홈(214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홀더(220)는 상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전선(10)이 파지될 때, 상기 전선(10)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부압착홈(2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홀더부(200)는 상기 하부홀더(220)의 후방에 중단이 나사결합되고, 상단에 상부홀더(210)가 나사결합되는 회전축(230);과 상기 하부홀더(220)의 후방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230)의 하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전선 조임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축(230)은 중단과 상단에 형성된 나사산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축(230)은 하단 외주연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면 가장자리에 제1기어(232a)가 형성되는 상부클러치(2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선 조임부(240)는 상부면 가장자리에 상기 상부클러치(232)의 제1기어(232a)와 맞물리는 제2기어(242a)가 형성되는 하부클러치(242);와 상기 하부클러치(242)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고리(24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고리(244)가 풀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전선(10)의 파지가 해제될 때, 일정 회전수 이상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기어(232a)와 제2기어(242a)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축(230)은 하부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클러치(232)의 하부면 내측과 상부면이 접촉가능한 엔드캡(23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선 조임부(240)는 내측 상부면에 상부가 지지되고, 상기 상부클러치(232)의 상부면에 하부가 지지되어 상기 상부클러치(232)를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가압스프링(24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홀더부(200)는 상기 하부홀더(220)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홀더(210)를 관통하는 가이드바(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벤딩레버(400)는 전면에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면과 전면이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는 후방리턴부재(420);와 후면에 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면과 후면이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는 전방리턴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웜기어(310)는 웜(312)과 맞물리는 웜휠(314)의 톱니가 상기 벤딩레버(4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되기 위해 웜(312)과 맞물리는 위치부터 상기 벤딩레버(400)가 후방 또는 전방으로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되기 위해 웜(312)과 맞물리는 위치까지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외피(12)가 제거된 전선(10)의 소선(14)을 전선 벤딩기의 홀더부(200)에 위치시키는 제1전선 고정단계(S10);와 상기 제1전선 고정단계(S10) 이후 회전고리(244)를 회전시켜 상부홀더(21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전선(10)이 상기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제2전선 고정단계(S20);와 상기 제2전선 고정단계(S20) 이후 전선 벤딩기 기어박스(300)의 웜기어(310)를 작동시켜 벤딩레어(400)에 의해 전선(10)이 구부러지도록 상기 벤딩레버(400)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벤딩단계(S30); 및 상기 벤딩단계(S30) 이후 전선 벤딩기 기어박스(300)의 웜기어(310)를 작동시켜 상기 벤딩레버(4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회전고리(244)를 역회전시켜 상부홀더(21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전선(10)이 홀더부(200)로부터 고정해제되며, 고정이 해제된 상기 전선(10)을 벤딩기로부터 제거하는 전선해제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은 전선의 외피가 제거된 절곡부분을 구부릴 때, 데드앤드클램프에 내입되는 전방 또는 후방부분의 외주연을 전선의 규격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한 전선 조임부로 압착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전선을 파지할 수 있고, 상기 데드앤드클램프에 내입되는 전방 또는 후방부분의 소선이 부풀어 오르는 부풀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데드앤드클램프에 원활하게 내입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시공품질 확보와 동시에 전선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스틱을 연결하여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위의 간접 활선작업이 원활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스틱의 구동부를 통해 벤딩레버를 회전시켜 전선 부풀림 현상없이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전선을 규격에 관계없이 구부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전선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전선의 부풀림 현상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와 구동스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에 전선이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에 의해 전선이 벤딩되는 모습을 나타낸 우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홀더부를 나타낸 부분 투시 및 부분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상부클러치(a)와 하부클러치(b)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벤딩레버가 제거된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를 나타낸 투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벤딩레버가 후방으로 회전된 후 전방리턴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투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홀더부의 회전축과 상부홀더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투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벤딩레버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투시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벤딩레버가 후방으로 회전된 후 후방리턴부재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투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공정별 단계를 나타낸 작업 순서도.
본 발명은 전선의 설치시 데드앤드클램프에 전선(10)을 고정하기 위하여 클램프에 체결되는 부분의 전선(10)을 구부리기 위한 전선 벤딩기(2) 및 이를 이용하여 전선을 전주에 설치하기 위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주에 설치되는 전선(10)의 신설, 교체 또는 보수 작업에 있어서, 다양한 굵기의 전선(10)을 구부려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전선(10)을 구부릴 때 외피(12)가 피박되어 절곡되는 부위(이하, '절곡부분'이라 한다.)의 외주연을 전선의 규격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한 전선 조임부로 압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소선(14)이 부풀어오르는 부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전선(10)의 절곡부분에 체결되는 데드앤드클램프(도면 미도시)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홀더부(200)를 통해 간접 활선 작업으로 전선(10)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한 후 구동스틱(1)의 구동모터(1a)를 통해 벤딩레버(400)를 회전시켜 쉽게 상기 전선(10)을 구부려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는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전선(10)을 파지 또는 파지 해제하는 홀더부(2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웜기어(310)를 구비하는 기어박스(300); 및 상기 기어박스(300)의 일측면에 하부가 결합되되, 상기 홀더부(20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웜기어(310)와 연결되며, 상기 웜기어(310)의 작동에 의해 전후방으로 회전되는 벤딩레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더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부홀더(220);와 상기 하부홀더(22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홀더(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홀더(210)는 하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전선(10)이 파지될 때, 상기 전선(10)의 상부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부압착홈(214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홀더(220)는 상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전선(10)이 파지될 때, 상기 전선(10)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부압착홈(2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홀더부(200)는 상기 하부홀더(220)의 후방에 중단이 나사결합되고, 상단에 상부홀더(210)가 나사결합되는 회전축(230);과 상기 하부홀더(220)의 후방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230)의 하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전선 조임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축(230)은 중단과 상단에 형성된 나사산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축(230)은 하단 외주연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면 가장자리에 제1기어(232a)가 형성되는 상부클러치(2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선 조임부(240)는 상부면 가장자리에 상기 상부클러치(232)의 제1기어(232a)와 맞물리는 제2기어(242a)가 형성되는 하부클러치(242);와 상기 하부클러치(242)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고리(24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고리(244)가 풀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전선(10)의 파지가 해제될 때, 일정 회전수 이상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기어(232a)와 제2기어(242a)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축(230)은 하부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클러치(232)의 하부면 내측과 상부면이 접촉가능한 엔드캡(23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선 조임부(240)는 내측 상부면에 상부가 지지되고, 상기 상부클러치(232)의 상부면에 하부가 지지되어 상기 상부클러치(232)를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가압스프링(24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홀더부(200)는 상기 하부홀더(220)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홀더(210)를 관통하는 가이드바(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벤딩레버(400)는 전면에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면과 전면이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는 후방리턴부재(420);와 후면에 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면과 후면이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는 전방리턴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웜기어(310)는 웜(312)과 맞물리는 웜휠(314)의 톱니가 상기 벤딩레버(4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되기 위해 웜(312)과 맞물리는 위치부터 상기 벤딩레버(400)가 후방 또는 전방으로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되기 위해 웜(312)과 맞물리는 위치까지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은 외피(12)가 제거된 전선(10)의 소선(14)을 전선 벤딩기의 홀더부(200)에 위치시키는 제1전선 고정단계(S10);와 상기 제1전선 고정단계(S10) 이후 회전고리(244)를 회전시켜 상부홀더(21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전선(10)이 상기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제2전선 고정단계(S20);와 상기 제2전선 고정단계(S20) 이후 전선 벤딩기 기어박스(300)의 웜기어(310)를 작동시켜 벤딩레어(400)에 의해 전선(10)이 구부러지도록 상기 벤딩레버(400)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벤딩단계(S30); 및 상기 벤딩단계(S30) 이후 전선 벤딩기 기어박스(300)의 웜기어(310)를 작동시켜 상기 벤딩레버(4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회전고리(244)를 역회전시켜 상부홀더(21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전선(10)이 홀더부(200)로부터 고정해제되며, 고정이 해제된 상기 전선(10)을 벤딩기로부터 제거하는 전선해제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선(10)은 다수의 소선(14)이 꼬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소선(14)의 외측에 외피(12)가 둘러 싸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활선 상태의 전선(10)을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주의 완철과 현수애자와 데드앤드클램프에 고정하여 설치할 때는 상기 전선(10)의 원활한 벤딩을 위해 외피(12)를 피박하여 제거한 뒤 벤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선(10)은 외피(12)가 피박된 절곡부분을 적어도 두명의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 구부려 데드엔드클램프에 설치하게 되는데, 구부릴 때 다수의 소선(14)이 연신율에 의해 늘어나며 절곡된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부풀어오르는 부풀림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시공품질이 저하되고 데드엔드클램프에 원활하게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데드엔드클램프에 내입되어 설치되는 전선(10)의 고정 부위 절곡부분 중 전방 또는 후방의 외주연을 전선의 규격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한 전선 조임부(240)로 압착한 후 구부림으로써, 시공품질 확보와 동시에 부풀림 현상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벤딩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베이스프레임(100)은
일측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홀더부(200)가 설치되고, 타측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기어박스(300)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홀더부(200)에 의해 외피(12)가 피박되어 제거된 전선(10)(이하, '전선(10)'이라 통칭한다.)이 고정된 후 상기 기어박스(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벤딩레버(400)에 의해 상기 전선(10)이 구부러질 때, 상기 홀더부(200)와 기어박스(3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은 특히, 상기 벤딩레버(400)에 의해 전선(10)이 구부러질 때, 홀더부(200)가 지렛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홀더부(200)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전선(10)이 구부러질 때,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상기 홀더부(200)의 상부홀더(210)가 상기 전선(10)에 의해 후방이 상부방향으로 강하게 가압됨과 동시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상기 홀더부(200)의 하부홀더(220)가 상기 전선(10)에 의해 전방이 하부방향으로 강하게 가압되므로 상기 홀더부(200)와 상기 전선(10)과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의 볼트(도면 미표시)를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은 전면 상부가 수직하게 형성되고, 전면 하부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전선(10)을 홀더부(200)에 의해 고정 즉, 파지하기 전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벤딩레버(400)의 후방리턴부재(420)가 상기 벤딩레버(400)를 전방으로 원활하게 탄성지지되도록 하고, 전선(10)을 벤딩레어(400)에 의해 구부린 후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벤딩레버(400)의 전방리턴부재(430)가 전선(10)을 구부리기 위해 회전된 벤딩레버(400)를 전방으로 원활하게 탄성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홀더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전선(10)을 파지하여 고정 하거나 파지를 해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선(10)의 외피가 피박된 고정 부위 절곡부분의 전선 외주연을 압착하여 상기 전선(10)을 구부릴 때, 부풀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홀더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부홀더(220)와, 상기 하부홀더(22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홀더(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홀더부(200)는 상기 하부홀더(220)의 상부면에 전선(10)을 위치시킨 후 상기 상부홀더(210)을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전선(10)이 고정되도록 하거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홀더(210)는 하부면에 형성되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선(10)이 파지될 때, 상기 전선(10)의 상부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부압착홈(214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홀더(220)는 상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전선(10)이 파지될 때, 상기 전선(10)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부압착홈(2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홀더부(200)는 상기 전선(10)이 상기 하부홀더(220)의 상부 즉, 상기 하부압착홈(222)에 안착된 후 상기 상부홀더(210)에 의해 상부가 압착되어 상기 상부압착홈(214a)과 상기 하부압착홈(222)에 의해 외주연에 압착되고, 이는 상기 전선(10)의 절곡부분 중심(이하, '절곡 중심'이라고도 한다.) 후방의 외주연을 압착하는 것에 해당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전선(10)이 벤딩레버(400)에 의해 절곡될 때, 상기 전선(10)의 절곡 중심 후방의 부풀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하부압착홈(222)은 상기 하부홀더(220)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홀더(220)의 전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벤딩레버(400)에 의해 전선(10)이 구부러질 때, 상기 전선(10)의 절곡 중심 전방 외주연 하부가 자연스럽게 밀접되어 상기 전선(10)의 구부러짐 즉, 벤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선(10)은 상기 하부압착홈(222)이 상기 하부홀더(220)의 전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에 따라 구부러질 때 절곡 중심 전방의 외주연 하부가 상기 하부홀더(220)의 전방 상부에 형성될 수 있는 모서리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벤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홀더부(200)는 상기 상부홀더(21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하부홀더(220)의 후방에 중단이 나사결합되고, 상단에 상부홀더(210)가 나사결합되는 회전축(230)과, 상기 하부홀더(220)의 후방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230)의 하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전선 조임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작업자는 상기 전선 조임부(240)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23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부홀더(210)를 상하방향으로 즉, 승강시켜 전선(10)이 홀더부(200)에 의해 고정 또는 고정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축(230)은 중단과 상단에 형성된 나사산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전선 조임부(240)를 통해 상기 회전축(230)을 회전시킬 때,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축(230)의 중단이 상기 하부홀더(220)와 결합된 나사산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상부홀더(210)가 함께 상기 회전축(230)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축(230)의 중단이 상기 하부홀더(220)와 결합된 나사산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상부홀더(210)가 함께 상기 회전축(230)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전선(10)이 상기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에 의해 원활하게 고정 또는 고정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전선 조임부(240)를 이용한 회전축(23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회전축(230)은 하단 외주연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면 가장자리에 제1기어(232a)가 형성되는 상부클러치(2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선 조임부(240)는 상기 하부홀더(200)의 후방 하부에 결합되는 하우징(241)과, 상기 하우징(24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면 가장자리에 상기 상부클러치(232)의 제1기어(232a)와 맞물리는 제2기어(242a)가 형성되는 하부클러치(242) 및 상기 하부클러치(242)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24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회전고리(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고리(244)가 작업자에 의해 풀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전선(10)의 파지가 해제될 때, 즉, 상기 회전축(230)이 하부홀더(22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부홀더(210)가 회전축(23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전선(10)의 파지가 해제될 때,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기어(232a)와 제2기어(242a)의 맞물림이 해제 즉, 상기 상부클러치(232)와 하부클러치(242)가 이격되어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전선(10)을 구부린 후 상기 전선(10)의 파지를 해제할 때, 상기 제1기어(232a)와 제2기어(242a)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축(230)이 상기 하부홀더(2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과도한 풀림방향 회전력이 발생되어 상기 회전축(2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작업자는 상기 회전고리(244)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축(230)과 상부홀더(21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선(10)을 고정하거나, 상기 회전고리(244)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축(230)과 상부홀더(21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킴을써, 전선(10)의 고정을 해제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기어(232a)와 제2기어(242a)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클러치(232)와 하부클러치(242)를 이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회전축(230)은 하부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클러치(232)의 하부면 내측과 상부면이 접촉가능한 원통형상의 엔드캡(23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선 조임부(240)는 내측 상부면에 상부가 지지되고, 상기 상부클러치(232)의 상부면에 하부가 지지되어 상기 상부클러치(232)를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가압스프링(2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30)의 하부는 외주연이 원형이 아닌 육각 등의 다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클러치(232)의 내주연은 상기 회전축(230)의 하부 외주연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클러치(232)는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되는 경우 함께 회전됨과 동시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클러치(232)의 제1기어(232a)는 풀림방향의 측면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클러치(242)의 제2기어(242a)는 풀림방향의 측면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어(232a)와 제2기어(242a)는 전선(10)을 고정할 때, 상기 회전고리(244)가 조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가압스프링(246)에 의해 상부클러치(232)가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이므로 상호 맞물려 회전축(230)이 조임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1기어(232a)와 제2기어(242a)는 전선(10)을 고정 해제할 때, 상기 회전고리(244)가 풀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가압스프링(246)에 의해 상부클러치(232)가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로 상호 맞물려 회전축(230)이 풀림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일정 회전수 이상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되면 상기 원통형상의 엔드캡(234)의 상부면과 상부클러치(232)의 하부면이 밀접되어 상기 회전축(230)의 말단과 함께 상기 상부클러치(232)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상부클러치(232)와 하부클러치(242)가 이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기어(232a)와 제2기어(242a)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기어(232a)와 제2기어(242a)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은 상기 상부클러치(232)가 엔드캡(234)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기어(232a)의 경사면과 제2기어(242a)의 경사면이 맞물리는 순간부터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는 상기 하부클러치(242)가 풀림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기어(242a)의 경사면이 상기 제1기어(232a)의 경사면과 맞물리면 상기 제2기어(242a)의 경사면과 상기 제1기어(232a)의 경사면에 의해 상부클러치(232)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었다가 상기 가압스프링(246)에 의해 다시 상부클러치(232)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작업이 반복되면서 실현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제1기어(232a)와 제2기어(242a)의 풀림방향 맞물림은 상기 제1기어(232a)의 풀림방향의 측면 상부는 수직한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242a)의 풀림방향 측면 하부는 수직한 면이 형성됨에 따라 엔드캡(234)에 의해 상부클러치(232)가 상부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되지 않으면 제1기어(232a)의 수직한 면과 제2기어(242a)의 수직한 면이 맞물리게 되고, 제1기어(232a)와 제2기어(242a)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축(230)은 원활하게 풀림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홀더부(200)는 상기 하부홀더(220)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홀더(210)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바(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바(250)는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될 때, 상부홀더(210)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상부홀더(210)가 상기 회전축(230)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상기 상부홀더(210)가 승강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때, 상기 홀더부(200) 즉, 하부홀더(220)와 상부홀더(210)는 각각 상부면 일측과 하부면 일측에 하부압착홈(222)과 상부압착홈(214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축(230)과 가이드바(25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상기 하부홀더(220)와 상부홀더(210)는 각각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작동몸체(도면 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홀더(220)의 작동몸체에는 상기 회전축(230)의 중단부가 나사결합되고, 가이드바(250)의 하부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홀더(210)의 작동몸체에는 상기 회전축(230)의 상단부가 관통되어 나사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바(250)의 상부가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홀더부(200)는 상기 하부홀더(22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면 중단부에 결합되는데, 이는 상기 하부홀더(22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전선(10)의 타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부홀더(210)는 고정되는 전선(10)의 일측의 이탈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펜스(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펜스(212)는 상기 상부홀더(210)의 하부면보다 하부가 돌출되어 상기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의 사이에 고정되는 전선(10)이 일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펜스(212)는 하부가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전선(10)이 원통형상이므로 상기 전선(10)과 최대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기어박스(3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웜기어(310)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벤딩레버(400)가 상기 웜기어(31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벤딩레버(400)가 상기 웜기어(31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전선(10)이 상기 홀더부(200)에 의해 파지된 후 상기 벤딩레버(400)에 의해 구부러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300)는 작업자가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구동스틱(1)과 연결하여 내부에 설치된 웜기어(310)를 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상기 웜기어(310)의 웜(312)의 하부가 돌출되는 연결부(도면 미표시)에 구동스틱 연결구(320)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 웜기어(310)의 웜휠(314)의 회전축(도면 미표시)이 돌출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벤딩레버(400)의 하부가 상기 웜휠(314)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작업자는 구동스틱(1)을 상기 기어박스(300)의 구동스틱 연결구(320)에 연결하여 쉽게 상기 웜기어(31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웜기어(310)의 웜휠(314)이 회전되고, 상기 웜휠(314)의 회전축에 연결된 상기 벤딩레버(4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선(10)의 벤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홀더부(200)로 전선(10)을 고정시키는 작업과 전선(10)을 벤딩시키는 작업을 전선의 부풀림 현상없이 안전하고 쉽게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300)는 구동스틱(1)과 연결되는 구조상 상기 벤딩레버(40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웜기어(310)를 사용하였지만, 스크류기어 또는 베벨기어 등 구동스틱(1)의 구동모터의 동력을 수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종래의 다른기어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기어박스(300)는 작업자가 구동스틱(1)을 이용하여 낮은 위치에서도 안정적으로 상기 벤딩레버(4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100)과 복수 개의 볼트로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홀더부(200)와 벤딩레버(400)를 이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선(10)의 파지 및 벤딩이 가능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벤딩레버(400)는
상기 기어박스(300)의 일측면에 하부가 결합되되, 상기 홀더부(20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웜기어(310)와 연결되어 상기 웜기어(310)의 작동에 의해 전후방으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동스틱(1)이 상기 기어박스(300)의 구동스틱 연결구(32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스틱(1)의 구동모터가 작업자에 의해 작동되면 상기 기어박스(300)의 웜기어(310)가 구동되어 상기 웜기어(310)의 웜휠(314)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웜휠(314)의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회전된다.
즉, 본 발명의 벤딩레버(400)는 상기 기어박스(300)의 웜기어(310)의 구동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되고, 평상시 즉, 전선(10)이 홀더부(20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수직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됨으로써, 전선(10)의 벤딩작업시 먼저 전선(10)이 홀더부(200)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있도록 하며, 홀더부(200)에 전선(10)이 파지 즉, 고정된 후 회전되어 상기 전선(10)을 구부려 벤딩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벤딩레버(400)는 전선(10)의 파손을 방지하며 원활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일측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으로 회전될 때, 전선(10)의 외주연 상부에 접촉되는 가이드롤러(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410)는 상기 벤딩레버(400)가 전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전선(10)의 절곡 중심 전방 외주연 상부에 접촉되어 상기 전선(10)을 구부리게되고, 상기 전선(10)이 구부러질 때 자연스럽게 회전되어 상기 전선(10)의 파손을 방지하며 원활하게 구부러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410)는 중앙 외주연에 형성되는 가압홈(4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가압홈(412)은 전선(10)의 절곡 중심 전방 외주연 상부가 안정적으로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벤딩레버(400)가 전방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전선(10)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부러지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벤딩레버(400)는 전면에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면 하부와 전면 즉, 말단면이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는 후방리턴부재(420)와, 후면에 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면 상부와 후면 즉, 말단면이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는 전방리턴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방리턴부재(420)와 전방리턴부재(430)는 각각 상기 벤딩레버(400)의 전면 하부와 상기 벤딩레버(400)의 후면 상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설치홈(도면 미표시)에 각각 후방과 전방이 내입되되,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벤딩레버(400)는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는 스프링(도면 미표시)과 상기 설치홈의 전방 측면 또는 후방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핀(도면 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방리턴부재(420)와 전방리턴부재(430)는 각각 전방과 후방에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장공형상으로 형성된 유동홀(도면 미표시)이 형성되며, 상기 유동홀에 상기 고정핀이 관통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지지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후방리턴부재(420)는 본 발명의 벤딩레버(400)가 전방으로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앞서 설명된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면 하부에 전면이 접촉되어 상기 벤딩레어(400)가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된 후 다시 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방리턴부재(430)는 본 발명의 벤딩레버(400)가 후방으로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앞서 설명된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면 상부에 후면이 접촉되어 상기 벤딩레어(400)가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된 후 다시 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벤딩레버(4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된 후 상기 후방리턴부재(420) 또는 전방리턴부재(430)에 의해 후방 또는 전방으로 회전되는 것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웜기어(310)의 웜(312)과 웜휠(314)이 맞물릴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벤딩레버(400)가 다시 웜기어(310)에 의해 후방 또는 전방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웜기어(310)의 웜휠(314)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벤딩레버(400)의 하부와 연결되어 웜(31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벤딩레버(40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외주연에 상기 웜(312)과 맞물리는 톱니(도면 미표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웜휠(314)의 톱니는 상기 벤딩레버(400)가 전방 도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되기 위해 웜(312)과 맞물리는 위치부터 상기 벤딩레버(400)가 후방 또는 전방으로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되기 위해 웜(312)과 맞물리는 위치까지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벤딩레버(400)가 적정 각도를 지나서 최대로 후방 또는 전방으로 계속하여 회전되면 상부홀더(210)의 전방과 접촉되어 상기 상부홀더(210) 또는 벤딩레버(400)가 파손될 수 있고, 상기 벤딩레버(400)가 전방으로 계속하여 회전되면 하부홀더(220)의 전방과 충돌하게되어 상기 하부홀더(220) 또는 벵딩레버(400)가 파손되거나 절곡된 전선(10)에 의해 웜(312)과 웜휠(314)이 강하게 맞물려 끼임 현상으로 반대방향 즉, 후방으로 다시 회전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상기 벤딩레버(4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되어 전선(10)을 절곡시킨 상태에서 더이상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웜(312)과 웜휠(314)이 전방과 후방으로 최대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의 웜휠(314)의 일부분 톱니를 제거하여 웜(312)과 웜휠(314)의 맞물림이 없어짐으로 끼임현상 없이 공회전하게 되어 상기 벤딩레버(4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된 후 상기 웜(312)과 웜휠(314)은 앞서 설명된 벤딩레버(400)에 설치된 후방리턴부재(420)와 전방리턴부재(430)에 의해 상기 벤딩레버(400)가 다시 후방 또는 전방으로 회전되어 맞물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벤딩레버(400)를 후방 또는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전의 상태로 원상복귀되도록 한다.
도면 11 내지 16을 참고하여 상기 웜(312)과 웜휠(314)의 맞물림 상태와 벤딩레버(400)가 후방리턴부재(420)와 전방리턴부재(43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상기 벤딩레버(400)는 도면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을 벤딩하기 전 즉, 준비단계에서 작업자에 의해 웜기어(310)가 작동되어 즉, 웜(312)이 회전되어 상기 웜휠(314)을 회전시킴으로써, 후방으로 회전되고, 이때, 상기 웜휠(314)은 톱니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까지 웜(312)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벤딩레버(400)의 전방리턴부재(430)의 후면이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면 상부와 접촉된다.
이후 상기 벤딩레버(4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탄성지지되고 있는 전방리턴부재(430)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전방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웜휠(314)의 톱니가 다시 웜(312)에 맞물려 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벤딩레버(400)는 도면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312)이 회전되어 상기 웜휠(314)을 회전시킴으로서, 전방으로 회전되어 전선(10)을 벤딩하고, 이때, 상기 웜휠(314)은 톱니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까지 웜(312)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벤딩레버(400)의 전면에 설치된 후방리턴부재(420)의 전면이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면 하부에 접촉된다.
이후 상기 벤딩레버(4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있는 후방리턴부재(420)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지지되어 후방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웜휠(314)의 톱니가 다시 웜(312)에 맞물려 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전선(10)에 의해 웜휠(314)과 웜(312)이 강하게 맞물려 끼임현상으로 회전되지 않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웜(312)은 상부에 형성되되, 본 발명의 기어박스(300)의 상부로 돌출되는 수동회전부(31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수동회전부(312a)는 전선(10)을 절곡시킬 때, 상기 전선(10)의 두께가 매우 두꺼운 경우 상기 웜(312)과 웜횔(314)이 강하게 맞물려 회전되지 않는 즉, 비상조치로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렌치 등을 이용하여 강제로 웜(31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웜(312)과 웜휠(314)이 맞물리지 않아 벤딩레어(400)가 회전되지 않을 때,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다음으로, 앞서 설명된 전선 벤딩기를 이용한 전선 벤딩공법을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홀더부(200)에 전선(10)을 위치시키는 제1전선 고정단계(S10)와, 회전고리(244)를 회전시켜 상기 전선(10)을 홀더부(200)에 고정시키는 제2전선 고정단계(S20) 및 상기 벤딩레버(40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전선(10)을 구부리는 벤딩단계(S30)와 상기 벤딩레버(400)를 역방향 즉, 후방으로 회전시켜서 구부러진 전선(10)을 홀더부(200)에서 분리하는 전선해제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선 고정단계(S10)는 그 이전에 피박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전선(10)의 외피(12)를 제거하는 피박단계(S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박단계(S5)에서 절곡부분의 외피(12)가 제거된 전선(10)의 소선(14)을 전선 벤딩기의 홀더부(200)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전선 고정단계(S10)는 상기 홀더부(200)의 하부홀더(220)의 상부에 외피(12)가 제거된 전선(10)의 절곡부분을 안착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홀더(220)에 형성된 하부압착홈(222)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상기 제2전선 고정단계(S20)는 상기 제1전선 고정단계(S10) 이후 별도의 구동스틱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홀더부(200)의 회전고리(244)를 회전시킴으로써, 홀더부(200)의 회전축(230)과 상부홀더(210)를 하강시켜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의 사이에 전선(10)의 소선(14) 후방 즉, 절곡 중심 후방이 파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선(10)은 상기 상부홀더(2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부압착홈(214a)과 상기 하부홀더(220)의 상부면에 형성된 하부압착홈(222)에 의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파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홀더부(200)는 단면이 호의 형상인 상부압착홈(214a)과 하부압착홈(222)을 통해 직경의 크기가 다른 전선 또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파지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벤딩단계(S30)는 상기 제2전선 고정단계(S30) 이후 전선 벤딩기 기어박스(300)의 웜기어(310)를 구동스틱(1)을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벤딩레버(400)에 의해 전선(10)이 구부러지도록 상기 벤딩레버(400)를 전방으로 회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선(10)은 상기 홀더부(200)에 의해 절곡 중심 후방의 외주연이 압착되어 있으므로 절곡 중심 후방의 외주연이 부풀려지는 부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데드엔드클램프에 원활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딩단계(S30) 이후 전선 벤딩기 기어박스(300)의 웜기어(310)를 구동스틱(1)을 이용하여 역회전 작동시켜 벤딩레버(10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고리(244)를 역회전시켜 상부홀더(210)와 회전축(230)을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전선(10)이 홀더부(200)로부터 고정해제되며, 고정이 해제된 상기 전선(10)을 벤딩기로부터 제거하는 전선해제단계(S40)를 수행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선 벤딩공법은 상기 벤딩단계(S30) 및 전선해제단계(S40) 이후에 구부러진 전선(10)의 절곡 중심 후방을 데드앤드클램프(미도시)에 안착시켜 설치한 후 상기 데드앤드클램프를 통해 상기 전선(10)의 구부러진 부분 즉, 절곡부분이 상기 데드앤드클램프에 설치되는 클램프결합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 벤딩공법은 상기 클램프결합단계(S50) 이후에 상기 데드앤드클램프가 내부에 위치되어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데드앤드클램프의 외측에 커버(미도시)를 결합하는 커버취부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 벤딩공법은 상기 커버취부단계(S60) 이후에 외피(12)가 제거된 전선(10)의 절곡부분 중 상기 데드앤드클램프와 커버에 의해 보호되지 않은 부분과 상기 커버의 내부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테이핑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10)과 커버의 연결부위를 테이핑하는 마감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전선 벤딩공법 중 핵심은 본 발명의 홀더부(200)를 이용하여 전선(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벤딩레버(400)를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선(10)이 벤딩레버(400)의 가이드롤러(410)에 의해 안정적으로 구부러짐은 물론 상기 홀더부(200)에 의해 데드앤드클램프에 결합되는 절곡 중심 후방에 부풀림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 구동스틱 2 : 전선 벤딩기
10 : 전선 12 : 외피 14 : 소선
100 : 베이스프레임 200 : 홀더부 210 : 상부홀더
212 : 가이드펜스 214a : 상부압착홈 220 : 하부홀더
222 : 하부압착홈 230 : 회전축 232 : 상부클러치
232a : 제1기어 234 : 엔드캡 240 : 전선 조임부
241 : 하우징 242 : 하부클러치 242a : 제2기어
244 : 회전고리 246 : 가압스프링 250 : 가이드바
300 : 기어박스 310 : 웜기어 312 : 웜
312a : 수동회전부 314 : 웜휠
320 : 구동스틱 연결구 400 : 벤딩레버 410 : 가이드롤러
412 : 가압홈 420 : 후방리턴부재
430 : 전방리턴부재

Claims (9)

  1.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전선(10)을 파지 또는 파지 해제하는 홀더부(2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웜기어(310)를 구비하는 기어박스(300); 및
    상기 기어박스(300)의 일측면에 하부가 결합되되, 상기 홀더부(20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웜기어(310)와 연결되며, 상기 웜기어(310)의 작동에 의해 전후방으로 회전되는 벤딩레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더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부홀더(220);와
    상기 하부홀더(22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홀더(2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홀더(210)는
    하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전선(10)이 파지될 때, 상기 전선(10)의 상부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부압착홈(214a);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홀더(220)는
    상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전선(10)이 파지될 때, 상기 전선(10)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부압착홈(2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홀더부(200)는
    상기 하부홀더(220)의 후방에 중단이 나사결합되고, 상단에 상부홀더(210)가 나사결합되는 회전축(230);과
    상기 하부홀더(220)의 후방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230)의 하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전선 조임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30)은
    중단과 상단에 형성된 나사산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30)은
    하단 외주연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면 가장자리에 제1기어(232a)가 형성되는 상부클러치(2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선 조임부(240)는
    상부면 가장자리에 상기 상부클러치(232)의 제1기어(232a)와 맞물리는 제2기어(242a)가 형성되는 하부클러치(242);와
    상기 하부클러치(242)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고리(24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고리(244)가 풀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전선(10)의 파지가 해제될 때, 일정 회전수 이상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기어(232a)와 제2기어(242a)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30)은
    하부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클러치(232)의 하부면 내측과 상부면이 접촉가능한 엔드캡(23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선 조임부(240)는
    내측 상부면에 상부가 지지되고, 상기 상부클러치(232)의 상부면에 하부가 지지되어 상기 상부클러치(232)를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가압스프링(24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200)는
    상기 하부홀더(220)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홀더(210)를 관통하는 가이드바(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8.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전선(10)을 파지 또는 파지 해제하는 홀더부(2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웜기어(310)를 구비하는 기어박스(300); 및
    상기 기어박스(300)의 일측면에 하부가 결합되되, 상기 홀더부(20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웜기어(310)와 연결되며, 상기 웜기어(310)의 작동에 의해 전후방으로 회전되는 벤딩레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더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부홀더(220);와
    상기 하부홀더(22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홀더(2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벤딩레버(400)는
    전면에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면과 전면이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는 후방리턴부재(420);와
    후면에 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면과 후면이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는 전방리턴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웜기어(310)는
    웜(312)과 맞물리는 웜휠(314)의 톱니가 상기 벤딩레버(4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되기 위해 웜(312)과 맞물리는 위치부터 상기 벤딩레버(400)가 후방 또는 전방으로 회전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회전되기 위해 웜(312)과 맞물리는 위치까지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9. 제1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에 있어서,
    외피(12)가 제거된 전선(10)의 소선(14)을 전선 벤딩기의 홀더부(200)에 위치시키는 제1전선 고정단계(S10);와
    상기 제1전선 고정단계(S10) 이후 회전고리(244)를 회전시켜 상부홀더(21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전선(10)이 상기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제2전선 고정단계(S20);와
    상기 제2전선 고정단계(S20) 이후 전선 벤딩기 기어박스(300)의 웜기어(310)를 작동시켜 벤딩레어(400)에 의해 전선(10)이 구부러지도록 상기 벤딩레버(400)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벤딩단계(S30); 및
    상기 벤딩단계(S30) 이후 전선 벤딩기 기어박스(300)의 웜기어(310)를 작동시켜 상기 벤딩레버(4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회전고리(244)를 역회전시켜 상부홀더(21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전선(10)이 홀더부(200)로부터 고정해제되며, 고정이 해제된 상기 전선(10)을 벤딩기로부터 제거하는 전선해제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KR1020220109130A 2022-08-30 2022-08-30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KR10255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130A KR102555762B1 (ko) 2022-08-30 2022-08-30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130A KR102555762B1 (ko) 2022-08-30 2022-08-30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762B1 true KR102555762B1 (ko) 2023-07-14

Family

ID=8715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130A KR102555762B1 (ko) 2022-08-30 2022-08-30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75428A (zh) * 2023-11-02 2023-12-05 国网山东省电力公司高青县供电公司 一种电力专用电缆预绞丝辅助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874B1 (ko) 2018-09-06 2019-09-24 대원전기 주식회사 와이어 밴딩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점퍼선 밴딩 공법
KR102082150B1 (ko) * 2019-08-21 2020-02-27 대원전기 주식회사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KR102089726B1 (ko) 2019-08-16 2020-04-24 대원전기 주식회사 와이어 홀더 스트레이트닝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점퍼선 정리 공법
KR102274378B1 (ko) * 2020-05-22 2021-07-07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874B1 (ko) 2018-09-06 2019-09-24 대원전기 주식회사 와이어 밴딩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점퍼선 밴딩 공법
KR102089726B1 (ko) 2019-08-16 2020-04-24 대원전기 주식회사 와이어 홀더 스트레이트닝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점퍼선 정리 공법
KR102082150B1 (ko) * 2019-08-21 2020-02-27 대원전기 주식회사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KR102274378B1 (ko) * 2020-05-22 2021-07-07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75428A (zh) * 2023-11-02 2023-12-05 国网山东省电力公司高青县供电公司 一种电力专用电缆预绞丝辅助工具
CN117175428B (zh) * 2023-11-02 2024-01-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高青县供电公司 一种电力专用电缆预绞丝辅助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378B1 (ko) 간접 활선용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KR101873712B1 (ko)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KR102555762B1 (ko)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US20040149970A1 (en) Electric wire removing roller for lp insulator and power distribution method of construction
JP5980844B2 (ja) 電線仮接続装置及び電線仮接続方法
AU2002303016A1 (en) Electric wire removing roller for LP insulator and power distribution method of construction
JP5208803B2 (ja) 電線接続器具
CN206619886U (zh) 紧线组合装置
CN110890715B (zh) 一种用于输电线路地电位法带电安装的旁路引流工具及其处理缺陷作业方法
KR20130002518U (ko) 절연전선 활선 자동피박기
CN106972413A (zh) 一种紧线组合装置
JP7013992B2 (ja) 架線の撤去方法及び架線撤去用具
JP7194913B2 (ja) 電線仮支持具
JP2008148401A (ja) 遠隔操作棒の先端連結工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遠隔操作取付工法
CN111029811A (zh) 一种万向夹板式接地线操作棒
KR102186578B1 (ko)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CN206619887U (zh) 通用型紧固线夹
KR102647559B1 (ko) 라인포스트 애자 교체 방법 및 장치
KR102290560B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CN209896281U (zh) 一种便携式接地线
CN214280732U (zh) 一种电力设备安装用架线施工装置
JP5655340B2 (ja) 電力ケーブル接地用治具および接地方法
CN112864966B (zh) 电缆头护层接地引线带电修复方法
KR102530725B1 (ko) 간접 활선용 전선 인장기를 이용한 간접 활선 유지 보수 방법
KR102516401B1 (ko)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