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150B1 -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150B1
KR102082150B1 KR1020190102242A KR20190102242A KR102082150B1 KR 102082150 B1 KR102082150 B1 KR 102082150B1 KR 1020190102242 A KR1020190102242 A KR 1020190102242A KR 20190102242 A KR20190102242 A KR 20190102242A KR 102082150 B1 KR102082150 B1 KR 102082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upled
rotating
rotating body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림 과부하가 방지되는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에 결합된 대상체 혹은 대상물(이하, '작동부재'라 한다.)를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킬 때, 풀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일정의 회전수 이상으로 즉, 기 설정된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되면 더 이상 상기 작동부재가 이동되지 않도록 공회전됨으로써, 풀림방향으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임방향으로 회전시 안정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되면 공회전되어 풀림방향으로 과도한 회전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역방향으로 조여지거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과도한 회전력에 의해 작동부재가 배전선에서 급작스럽게 이탈함에 따른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Release direction Overload prevention Clutch type fastening device}
본 발명은 풀림 과부하가 방지되는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에 결합된 대상체 혹은 대상물(이하, '작동부재'라 한다.)를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킬 때, 풀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일정의 회전수 이상으로 즉, 기 설정된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되면 더 이상 상기 작동부재가 이동되지 않도록 공회전됨으로써, 풀림방향으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정전 배전 공법에서 특고압 배전선선로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작업을 시행할 때, 상기 절연스틱의 상부에 구비되는 케이블클램프의 작동부재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특고압 배전선선로를 파지하여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도록 상기 작동부재의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풀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하부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특고압 배전선선로의 고정이 해제될 때, 상기 특고압 배전선선로의 파지압 즉, 가압력이 해제된 후에 풀림방향으로 과도한 회전력이 발생하여 상기 케이블클램프가 상기 특고압 배전선선로로부터 급작스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풀림방지장치란 암결합부재와 숫결합부재가 나사결합되어 조여진 후 외부 충격 또는 지지 등에 의해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어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8-0138030호에는 볼트의 나사산이 통과하기 위한 중공부를 구비하는 너트 본체와, 상기 너트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산에 걸림되어 너트 본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바아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걸림 바아를 가압하면 가압 바아가 나사산으로부터 분리되어 너트의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상기 걸림 바아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압 바아가 나사산에 접하여 너트의 이동이 금지되고 이에 의해 나사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 너트 및 이를 이용한 너트의 풀림 방지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8-0138030호는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여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함은 물론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있다.
또한, 다른 의미로의 풀림방지장치란 기설정된 토크 이상으로 토크가 발생되면 공회전되어 풀림방향으로 대상물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하고, 일예로, 조이는 방향 또는 풀림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선택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기설정된 토크 이상이 발생되면 공회전되어 상기 대상물을 회전시키지 않음으로써, 상기 대상물을 조이거나 풀 수 있는 렌치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풀림방향으로 과도한 회전력이 발생되는 경우 일예로, 전동드릴과 같은 자동회전장치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대상물이 피대상물로부터 풀린 후의 회전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회전력에 의해 대상물이 급작스럽게 이탈되어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력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배전선로의 신설 및 유지보수를 위한 공사시 작업 정전을 줄여 양질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작업 중에도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정전 배전 공법이 주로 채택되어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특고압 배전선로 무정전 배전공법은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 공사용개폐기, 무정전변압기차,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활용한 무정전 임시송전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직접활선공법의 위험성이 대두되면서 발주처인 한국전력공사에서 2017년부터 직접활선공법을 폐지하고 간접활선공법을 활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공구 및 공법개발이 전체 공정의 10% 정도로 미비한 상태에서 적용을 서두르고 있어 간접활선공법과 직접활선공법 병용으로 인한 혼란으로 활선전공의 안전사고 위험은 물론 노동강도 및 체력의 한계로 작업능률이 저하되어 현장 활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어려운 현실을 전력분야 신문 등 언론에 연일 보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종전의 직접활선공법은 활선전공이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직접 활선 상태의 특고압을 직접 만지면서 작업을 하는 것과 달리 간접활선공법은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약 1.5m ~ 2m 길이의 활선용 절연스틱을 사용하여 활선상태의 특고압 배전선선로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절연 스틱을 이용하여 작업을 시행하는 활선공법이다.
한편, 무정전 배전공법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 공사용개폐기, 무정전변압기차,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활용하는데, 이 공법은 반드시 직접활선 또는 간접활선으로 바이패스 케이블클램프를 특고압전력선에 설치하고, 점퍼선 분리 압축이 수반된다,
이때, 종전의 직접활선공법은 활선전공이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직접 활선 상태의 특고압을 직접 만지면서 작업을 하는 것과 달리 간접활선공법은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약 1.5m ~ 2m 길이의 활선용 절연스틱을 사용하여 활선상태의 특고압 배전선선로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절연 스틱을 이용하여 작업을 시행하는 활선공법이다.
즉, 종래의 무정전 배전공법은 반드시 케이블클램프 설치공정이 수반되는데, 먼저 특고압전력선에 케이블임시걸이를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가지지크리트에 임시로 거치된 바이패스케이블을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케이블임시걸이에 임시로 고정을 시킨 다음 활선용 피박기를 사용하여 특고압전력선의 피복을 제거한 후, 또다시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케이블임시걸이에 임시로 고정되어 있는 케이블클램프를 피복이 제거된 특고압전력선에 걸어놓고 케이블 회전장치를 케이블클램프에 끼운 다음 간접활선용 회전기능 스틱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약 1.5m ~ 2m 길이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는데 전선분리용 컷터, 활선용압축기(약4.5kg) 및 케이블클램프 등의 무게(약 5~20kg)가 활선작업용스틱 끝에 실려 작업자의 체력으로 활선작업용스틱 지탱이 불가능하여 작업 중 케이블클램프 등을 낙하 하는 실수가 빈번하고 이로 인하여 활선전공의 노동강도가 최고조로 증가하고 체력의 한계로 근골격계 질환우려 뿐만 아니라 방호를 생략함으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 및 선로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종전 기술의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활선전공 및 신청기술 분야 관련업계에서 시행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은 활선용작업용스틱에 의해 케이블클램프를 활선에 자동으로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데, 고정 해제되는 경우 고정이 해제된 이후에도 케이블클램프의 작동부재를 이동시키는 회전 어셈블리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케이블클램프에 과도한 풀림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클램프가 활선으로부터 이탈되어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8-0138030호(2018.12.2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전동모터 등의 자동회전장치를 이용하여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를 동작시킬 때, 풀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일정의 회전수 이상으로 즉, 기 설정된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될 때, 풀림방향으로 과도한 회전력이 발생하여 역방향으로 강하게 조여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작동부재가 결합되며, 회전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부회전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되어 상기 상부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하부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회전부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하부회전부와 상부회전부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회전부는 하부가 상기 하부회전부의 상부와 밀접되고,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하부회전부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회전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나사홀이 관통형성되며, 하부면에 복수 개의 제1기어가 돌출형성되는 상부회전체와 상기 나사홀에 하부가 나사결합되고, 상부에 작동부재가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회전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하부회전체와 상기 제1하부회전체의 상부에 하부가 지지되는 스프링 및 상기 제1하부회전체의 상부가 하부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의 하부 말단이 상부면 중앙에 밀접되며, 상부면에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복수 개의 제2기어가 돌출형성되는 제2하부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기어는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기어는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하부회전체는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내측 상부에 상기 상부회전체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 하부에 상기 제1하부회전체의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회전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회전체는 상부가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되, 하부면이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부면에 밀접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회전체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된 외주연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너트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스러스트베어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는 조임방향으로 회전시 안정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되면 공회전되어 풀림방향으로 과도한 회전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역방향으로 지나치게 조여지거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과도한 회전력에 의해 작동부재가 배전선로에서 이탈함에 따른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임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임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임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임장치를 나타낸 분해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임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풀림 과부하가 방지되는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조임방향으로 회전시 안정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풀림방향으로 회전시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될 경우 공회전되도록 하여 풀림방향으로 과도한 회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역방향으로 강하게 조여지거나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과도한 회전력에 의해 장치 전체가 원심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전선로에서 급작스럽게 이탈되는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정전 배전 공법에서 특고압 배전선로(미도시)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작업을 시행할 때, 상기 절연스틱의 상부에 구비되는 케이블클램프의 작동부재(10)를 상하로 이동시켜 피작동부재(20)의 수용홈(미표시)에 위치되는 특고압 배전선로를 파지하여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도록 상기 작동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풀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작동부재(10)를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특고압 배전선로의 고정이 해제될 때, 상기 특고압 배전선로에 가해지는 파지압 즉, 상기 작동부재(10)의 가압력이 해제된 후에 풀림방향으로 과도한 회전력이 발생하여 상기 케이블클램프가 상기 특고압 배전선로로부터 급작스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상부에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작동부재(10)가 결합되며, 회전되어 상기 작동부재(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부회전부(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에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되어 상기 상부회전부(200)를 회전시키는 하부회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회전부(300)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하부회전부(300)와 상부회전부(200)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회전부(200)는 하부가 상기 하부회전부(300)의 상부와 밀접되고,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하부회전부(30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회전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나사홀(212)이 관통형성되며, 하부면에 복수 개의 제1기어(214)가 돌출형성되는 상부회전체(210);와 상기 나사홀(212)에 하부가 나사결합되고, 상부에 작동부재(10)가 결합되는 회전축(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회전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에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하부회전체(310);와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의 상부에 하부가 지지되는 스프링(320); 및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의 상부가 하부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320)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220)의 하부 말단이 상부면 중앙에 밀접되며, 상부면에 상기 제1기어(214)와 맞물리는 복수 개의 제2기어(332)가 돌출형성되는 제2하부회전체(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기어(214)는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경사면(214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기어(332)는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면(214a)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332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는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리부재(3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 상부에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 하부에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의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하우징(110);과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하우징(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회전체(210)는 상부가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되, 하부면이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부면에 밀접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너트(2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회전체(210)는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부로 돌출된 외주연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너트(218)와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스러스트베어링(21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하우징(100)은
내측 상부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상부회전부(200)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되어 결합되고, 내측 하부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하부회전부(300)의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회전부(200)와 하부회전부(300)의 외측을 지지하여 상기 하부회전부(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회전부(200)가 안정적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내측 상부에 상기 상부회전부(200)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 하부에 상기 하부회전부(300)의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하우징(110)과,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회전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하우징(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하부하우징(110)은 내측 상부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상기 상부회전부(200)의 상부회전체(210)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 하부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상기 하부회전부(300)의 제1하부회전체(310)의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20)읜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하부하우징(110)은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하부 외측과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의 상부 외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부회전체(210)와 제1하부회전체(310)가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상부면에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와 상부회전체(210)가 순차적으로 내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면에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의 하부가 관통되어 돌출되도록 하는 관통홀(미표시)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조임장치(1)는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하부로 돌출된 제1하부회전체(310)의 하부를 전동모터 등의 자동회전장치에 결합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회전체(3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회전체(210)가 회전되어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작동부재(10)가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조임방향 회전 또는 풀림방향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하우징(120)은 상기 하부하우징(110)의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회전체(210)가 제1하부회전체(3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때,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120)은 외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두개의 결합홈(미표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의해 앞서 설명된 피작동부재(20)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상부회전부(200)와 하부회전부(300)의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1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상부회전부(200)는
상기 하우징(100) 즉, 하부하우징(110)의 내측 상부에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작동부재(10)가 결합되며,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하부회전부(30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작동부재(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회전부(300)의 회전 즉, 조임방향과 풀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부회전부(200)는 하부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하부회전부(300)의 상부와 밀접되고,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하부회전부(30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회전축(220)에 의해 실현되고, 상기 하부회전부(300)에 의해 풀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하부회전부(30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하부회전부(300)와 분리되어 상기 하부회전부(300)가 공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풀려서 역방향으로 조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회전부(200)는 상기 하우징(100) 즉, 하부하우징(110)의 내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나사홀(212)이 관통형성되며, 하부면에 복수 개의 제1기어(214)가 돌출형성되는 상부회전체(210)와 상기 나사홀(212)에 하부가 나사결합되고, 상부에 작동부재(10)가 결합되는 회전축(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상부회전부(200)는 상기 상부회전체(210)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하부회전부(300)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나사홀(212)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축(2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회전축(220)의 상부에 결합된 작동부재(10)가 상기 회전축(2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상부회전체(21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110)의 내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하부회전부(300)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기어(214)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하부회전부(300)의 제2기어(332)가 맞물려 상기 하부회전부(3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기어(214)는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경사면(214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경사면(214a)은 하부 일측 즉, 조임방향에 형성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하부회전부(300)의 제2기어(332)의 하부 타측 즉, 풀림방향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332a)과 대응되어 풀림방향으로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하부회전부(300)가 상기 제1,2경사면(214a)(332a)에 의해 공회전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하부회전부(300)의 공회전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부회전체(210)의 풀림방향 회전에 의해 회전축(220)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하부회전부(30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면, 상부회전체(210)와 하부회전부(300)가 이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기어(214)와 제2기어(332)가 점차 분리되어 상기 제1경사면(214a)과 제2경사면(332a)이 맞물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하부회전부(300)가 풀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경사면(214a)과 제2경사면(332a)에 의해 상기 하부회전부(300)가 공회전되어 더이상 상부회전체(210)가 풀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음으로써, 과도한 풀림방향 회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회전축(220)은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나사홀(212)에 하부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상하로 이동되고, 이는 다시 말해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조임방향 회전에 따라 상부로 이동되며,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풀림방향 회전에 따라 하부로 이동됨으로써, 상부에 결합된 작동부재(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풀림방향 회전에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부회전부(300)를 하부방향으로 이격시켜 일정 회전수 이상 풀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하부회전부(300)가 공회전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220)은 상부에 작동부재(10)와 결합을 위한 결합홀(미표시) 또는 결합홈(미도시) 등이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며, 상부에 작동부재(10)가 아닌 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의 회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어떠한 장치가 결합되어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상부회전체(210)는 상부가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미표시)과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되, 하부면이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부면에 밀접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너트(2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너트(218)는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부로 돌출된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20)이 견고하게 하부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120)와 하부하우징(110) 사이에 위치된 상부회전체(21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결합너트(218)는 상기 상부회전체(2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회전력에 비해 상기 상부회전체(210)와의 풀림방향 토크가 크도록 결합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회전체(210)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시 상부 외주연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너트(218)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스러스트베어링(21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스러스트베어링(219)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하부회전부(300)에 의해 상기 상부회전체(210)와 결합너트(218)가 함께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회전체(210)는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부로 돌출된 외주연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너트(218)와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스러스트베어링(21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러스트베어링(219)은 상기 결합너트(218)가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상부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상부회전체(21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상부회전체(210)는 스러스트베어링(219)이 결합되지 않고 상기 결합너트(218)만 결합되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효과를 충분히 실현할 수 있으나,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이물질의 축적 및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결합너트(218)가 상부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원활한 회전을 하기 위해 상기 스러스트베어링(219)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하부회전부(300)는
상기 하우징(100) 즉, 하부하우징(110)의 내측 하부에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동모터 등의 자동회전장치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상부회전부(200) 즉, 상부회전체(21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자동회전장치에 의해 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회전부(200)를 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회전부(200)의 회전축(220)이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하부회전부(300)는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상부회전부(200)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앞서 설명된 상부회전부(200)의 회전축(220)이 하부회전부(30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이격됨으로써, 제1,2경사면(214a)(332a)에 의해 상기 하부회전부(300)가 공회전되고, 결과적으로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풀림방향의 과도한 회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하부회전부(30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스프링(320)에 의해 제2하부회전체(330)가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상기 제2하부회전체(330)의 상부면에 상기 회전축(220)의 하부면이 밀접됨으로써, 상기 회전축(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부회전부(200)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되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부회전부(300)는 상기 하우징(100) 즉, 하부하우징(110)의 내측 하부에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하부회전체(310)와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의 상부에 하부가 지지되는 스프링(320) 및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의 상부가 하부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320)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220)의 하부 말단이 상부면 중앙에 밀접되며, 상부면에 상기 제1기어(214)와 맞물리는 복수 개의 제2기어(332)가 돌출형성되는 제2하부회전체(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는 상기 상부회전체(210)보다 먼저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내측에 인입되어 설치되고, 상부면에 상기 스프링(320)의 하부가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안착홈(미표시)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320)이 안정적으로 상기 제2하부회전체(330)를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는 제2하부회전체(330)의 하부에 내입되어 상기 제2하부회전체(33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연이 다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는 상기 제2하부회전체(3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는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100) 즉, 하부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리부재(3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작업자는 상기 고리부재(312)를 전동모터 등과 같은 자동회전장치에 연결하여 상기 고리부재(31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는 하부에 상기 고리부재(312)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홈(미표시)이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재(312)는 상부가 나사결합 된 후 고정핀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풀림방향 회전시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로부터 풀려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고리부재(312)는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의 나사홈에 상부가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312a)와 상기 결합나사(312a)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고리(31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합나사(312a)와 고리(312b) 또한 나사결합 된 후 고정핀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풀림방향 회전시 풀려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결합나사(312a)는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미표시)과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 즉, 수직한 바향으로 상부와 하부에 관통형성되는 핀결합홀(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가 하부하우징(110)이 내측 하부에 내입되어 설치된 후 상부가 나사결합되고, 하부에 고리(312b)가 나사결합된 다음 상기 핀결홈홀에 결합핀(미도시)이 결합됨으로써, 제1하부회전체(310)와 고리(312b)가 고정결합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와 고리(312b)는 상기 핀결합홀과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되는 핀대응결합홀(미표시)이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스프링(320)은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하부가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부에 제2하부회전체(330)의 내측 하부면에 밀접되어 상기 제2하부회전체(330)를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하부회전체(330)와 상부회전체(210)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부회전부(300)가 공회전될 때 상기 제2하부회전체(33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며 공회전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제2하부회전체(330)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하기 위해 하부면에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결합홈(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고, 상기 회전결합홈에 스프링(320)이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320)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즉, 상기 제2하부회전체(330)는 하부에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가 내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작업자가 고리(312b)에 자동회전장치를 연결시켜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를 회전시키면 함께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부에 맞물려 있는 상부회전체(210)가 함께 회전되어 회전축(220)이 상하로 이동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하부회전체(330)는 상부면에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제1기어(214)와 맞물리는 복수 개의 제2기어(332)가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회전체(210)를 회전시키고, 상부면이 회전축(220)의 하부면과 밀접되어 상기 회전축(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스프링(320)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함께 상하 이동되며, 풀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회전축(220)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하부방향으로 이격된다.
아울러, 상기 제2기어(332)는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제1기어(214)에 형성된 제1경사면(214a)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332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경사면(332a)은 하부 타측 즉, 풀림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214)의 하부 일측 즉, 조임방향에 형성되는 제1경사면(214a)과 대응되는 구성으로, 풀림방향으로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경사면(214a)과 맞물려 제2하부회전체(33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공회전된 후 다시 스프링(320)에 의해 제1경사면(214a)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풀림방향으로 일정 회전수 이상 회전되면 상기 하부회전체(330)가 공회전되어 풀림방향으로 과도한 회전력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조임장치(1)는 하부회전부(300)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부회전부(200)가 함께 회전되어 회전축(220)을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스프링(320)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제2하부회전체(330)가 상부회전체(210)와 제1,2기어(214)(332)에 의해 맞물려 안정적으로 회전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조임장치(1)는 하부회전부(300)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부회전부(200)가 함께 회전되어 회전축(220)을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220)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됨으로써, 상부회전체(210)와 하부방향으로 이격된 제2하부회전체(330)가 제1,2경사면(214a)(332a)에 의해 맞물리게 되어 상기 제2하부회전체(330)가 풀림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경사면(332a)이 상기 제1경사면(214a)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2하부회전체(33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하부회전체(330)가 스프링(320)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있으므로 다시 제1,2경사면(214a)(332a)이 맞물리게 되며, 제2하부회전체(330) 즉, 하부회전부(300)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풀림방향으로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공회전됨으로써, 풀림방향으로 과도한 회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 조임장치 10 : 작동부재
20 : 피작동부재 30 : 배전선
100 : 하우징 110 : 하부하우징
120 : 상부하우징 200 : 상부회전부
210 : 상부회전체 212 : 나사홀
214 : 제1기어 214a : 제경사면
218 : 결합너트 219 : 스러스트베어링
220 : 회전체 300 : 하부회전부
310 : 제1하부회전체 312 : 고리부재
312a : 결합나사 312b : 고리
320 : 스프링 330 : 제2하부회전체
332 : 제2기어 332a : 제경사면

Claims (9)

  1.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상부에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작동부재(10)가 결합되며, 회전되어 상기 작동부재(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부회전부(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에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되어 상기 상부회전부(200)를 회전시키는 하부회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회전부(300)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하부회전부(300)와 상부회전부(200)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부회전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나사홀(212)이 관통형성되며, 하부면에 복수 개의 제1기어(214)가 돌출형성되는 상부회전체(210);와
    상기 나사홀(212)에 하부가 나사결합되고, 상부에 작동부재(10)가 결합되는 회전축(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전부(200)는
    하부가 상기 하부회전부(300)의 상부와 밀접되고,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하부회전부(30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회전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에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하부회전체(310);와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의 상부에 하부가 지지되는 스프링(320); 및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의 상부가 하부에 내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320)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220)의 하부 말단이 상부면 중앙에 밀접되며, 상부면에 상기 제1기어(214)와 맞물리는 복수 개의 제2기어(332)가 돌출형성되는 제2하부회전체(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214)는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경사면(214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기어(332)는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면(214a)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332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는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리부재(3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 상부에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 하부에 상기 제1하부회전체(310)의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하우징(110);과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회전체(2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하우징(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전체(210)는
    상부가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되, 하부면이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부면에 밀접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너트(2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전체(210)는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부로 돌출된 외주연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너트(218)와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스러스트베어링(21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KR1020190102242A 2019-08-21 2019-08-21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KR102082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242A KR102082150B1 (ko) 2019-08-21 2019-08-21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242A KR102082150B1 (ko) 2019-08-21 2019-08-21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150B1 true KR102082150B1 (ko) 2020-02-27

Family

ID=6964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242A KR102082150B1 (ko) 2019-08-21 2019-08-21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1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861B1 (ko) 2020-06-29 2021-02-19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
KR102555762B1 (ko) * 2022-08-30 2023-07-14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949A (ko) * 2008-01-25 2009-07-29 (주)우강산업전기 볼트형 커넥터
KR101873712B1 (ko) * 2018-03-16 2018-07-03 대원전기 주식회사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KR20180138030A (ko) 2017-06-20 2018-12-2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풀림 방지 너트 및 이를 이용한 너트의 풀림 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949A (ko) * 2008-01-25 2009-07-29 (주)우강산업전기 볼트형 커넥터
KR20180138030A (ko) 2017-06-20 2018-12-2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풀림 방지 너트 및 이를 이용한 너트의 풀림 방지 방법
KR101873712B1 (ko) * 2018-03-16 2018-07-03 대원전기 주식회사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861B1 (ko) 2020-06-29 2021-02-19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
KR102555762B1 (ko) * 2022-08-30 2023-07-14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150B1 (ko)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US6774303B1 (en) Clamp for a vibration damp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20070252122A1 (en) Electric wire changing device for wire replacing works on electric poles and power distributing method without cutting off power supply
CN107039919A (zh) 一种架线装置
JP2011067007A (ja) 架線切分け工具及びその取付方法
KR101292644B1 (ko) 활선작업용 렌치
KR102217861B1 (ko)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
US11168730B2 (en) Apparatus for tightening threaded fasteners
CN212887362U (zh) 一种检修用调整扳手
CN110424553B (zh) 一种钢结构连接件
JP7395418B2 (ja) 接地金具
JP5872519B2 (ja) 間接活線作業用ラチェット工具
KR102022190B1 (ko) 고정핀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KR102555762B1 (ko) 간접 활선용 클램프식 전선 벤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벤딩 간접 활선공법
CN111276901A (zh) 一种修补配电线路避雷线工具
KR20190000956U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KR20170094719A (ko) 갱폼용 고정장치
KR20130077533A (ko) 접속재 고정장치
KR20210017654A (ko) 특고압 가공전선용 볼트형 스리브 및 이의 볼트 체결장치
US2316204A (en) Hot stick
KR102290560B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KR200302392Y1 (ko) 초고압 변전소 및 송전선로용 접지용구
CA3106632A1 (en) Electrical conduit connector
KR20130058443A (ko) 케이블 연결장치
US4153322A (en) Keyhole grounding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