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861B1 -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 - Google Patents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861B1
KR102217861B1 KR1020200079111A KR20200079111A KR102217861B1 KR 102217861 B1 KR102217861 B1 KR 102217861B1 KR 1020200079111 A KR1020200079111 A KR 1020200079111A KR 20200079111 A KR20200079111 A KR 20200079111A KR 102217861 B1 KR102217861 B1 KR 102217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live wire
angle
bolt
v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9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02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for special purpo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 활선작업시 볼트를 조이거나 풀기 용이하도록 하는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주에 설치되는 전선의 신설, 교체 또는 보수 작업에 있어서, 각종 볼트를 조이거나 풀 때 사용되고, 특히 작업자가 작업위치보다 낮은 위치 즉, 전선의 하부에서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스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어 어느 위치에서든 볼트를 용이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Angle adjustable box wrench stick for non-contact live-line and operation for tool non-contact live-line using that}
본 발명은 간접 활선작업시 볼트를 조이거나 풀기 용이하도록 하는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주에 설치되는 전선의 신설, 교체 또는 보수 작업에 있어서, 각종 볼트를 조이거나 풀 때 사용되고, 특히 작업자가 작업위치보다 낮은 위치 즉, 전선의 하부에서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스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어 어느 위치에서든 볼트를 용이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전력 품질에 대한 요구 수준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의 신설 및 유지보수를 위한 공사시 작업 정전을 줄여 양질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작업 중에도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정전 배전 공법이 주로 채택되어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특고압 배전선로 무정전 배전공법은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 공사용개폐기, 무정전변압기차,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활용한 무정전 임시송전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직접활선공법의 위험성이 대두되면서 발주처인 한국전력공사에서 2017년부터 직접활선공법을 폐지하고 간접활선공법을 활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공구 및 공법개발이 전체 공정의 10% 정도로 미비한 상태에서 적용을 서두르고 있어 간접활선공법과 직접활선공법 병용으로 인한 혼란으로 활선전공의 안전사고 위험은 물론 노동강도 및 체력의 한계로 작업능률이 저하되어 현장 활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어려운 현실을 전력분야 신문 등 언론에 연일 보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종전의 직접활선공법은 활선전공이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직접 활선 상태의 특고압을 직접 만지면서 작업을 하는 반면에 간접활선공법은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약 1.5m ~ 2m 길이의 활선용 절연스틱을 사용하여 활선상태의 특고압 배전선선로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절연 스틱을 이용하여 작업을 시행하는 활선공법이다.
한편, 무정전 배전공법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 공사용개폐기, 무정전변압기차,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활용하는데, 이 공법은 반드시 직접활선 또는 간접활선으로 바이패스 케이블클램프를 특고압전력선에 설치하고, 점퍼선 분리 압축이 수반된다.
즉, 종래의 무정전 배전공법은 반드시 케이블클램프 설치공정이 수방되는데, 먼저 특고압전력선에 케이블임시걸이를 활선작업용스틱(절연스틱)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가지크리트에 임시로 거치된 바이패스케이블을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케이블임시걸이에 임시로 고정 시킨 다음 활선용 피박기를 사용하여 특고압전력선의 피복을 제거한 후, 또다시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케이블임시걸이에 임시로 고정되어 있는 케이블클램프를 피복이 제거된 특고압전력선에 걸어놓고 케이블 회전장치를 케이블클램프에 끼운 다음 간접활선용 회전기능 스틱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약 1.5m ~ 2m 길이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는데 전선분리용 컷터, 활선용압축기(약4.5kg) 및 케이블클램프 등의 무게(약 5~20kg)가 활선작업용스틱 끝에 실려 작업자의 체력으로 활선작업용스틱 지탱이 불가능하여 작업 중 케이블클램프 등을 낙하 하는 실수가 빈번하고 이로 인하여 활선전공의 노동강도가 최고조로 증가하고 체력의 한계로 근골격계 질환우려 뿐만 아니라 방호를 생략함으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 및 선로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종전 기술의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활선전공 및 신청기술 분야 관련업계에서 시행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은 다수의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많은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작업은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볼트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 상기 활선작업용스틱의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웜기어 또는 베벨기어 등을 통해 복스를 회전시켜 이루어지고 있으나, 버켓의 위치가 매번 다르게 위치되어 작업자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복스의 볼트홈에 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를 내입시키기 쉽지 않고 내입시킨다 하여도 볼트와 복스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간접활선 스틱작업으로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2150호(2020.02.2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무정전 배전공법시 복스 렌치를 이용하여 볼트를 조이거나 풀 때, 버켓의 위치에 따라 작업자의 위치가 달라져 복스의 볼트홈에 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를 내입시키기 어렵고, 복스와 볼트의 수평을 유지하기 어려워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으로, 활선작업용스틱에 결합하여 작업위치보다 낮은 위치 즉, 버켓에서 상기 활선작업용스틱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복스를 회전시킴으로써,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복스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어 일정하지 않은 버켓의 위치 즉, 작업자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보다 용이하게 볼트를 조이거나 풀수 있는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하부에 구동력을 전달받는 전달축부를 구비하고, 전방에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구동축에 후방이 결합되는 복스 및 상기 기어박스의 구동축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기 복스의 후방에 전방이 결합되되, 상기 복스가 상하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앵글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어박스는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복스의 후방 하부를 지지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받침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재는 전방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하부가 상부에 내입되어 결합되되,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내부에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에 있어서,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구동스틱의 상부에 기어박스의 전달축부를 결합시키는 제1준비단계와 상기 제1준비단계 이후 복스의 전방 볼트홈에 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를 내입시켜 상기 복스를 상기 볼트와 수평이 되도록 구동스틱을 이동시키는 제2준비단계와 상기 제2준비단계 이후 구동스틱의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복스를 회전시킴으로써,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조작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은 무정전 배전공법시 버켓에서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므로 안전하고 원활하게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이 용이한 효과와;
복스의 각도가 자유롭게 변경되어 일정하지 않은 버켓의 위치 즉, 작업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복스의 볼트홈에 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를 내입시키기 용이함은 물론 복스와 볼트의 수평을 쉽게 일치시킬 수 있어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스 렌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한 복스 렌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스 렌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스 렌치와 구동스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스 렌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스 렌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스 렌치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스 렌치의 작동을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본 발명은 간접 활선작업시 볼트(미도시)를 조이거나 풀기 용이하도록 하는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주에 설치되는 신설, 교체, 또는 보수 작업의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각종 볼트를 조이거나 풀 때 활선작업스틱(이하, '구동스틱(1)'이라 한다.)에 결합시켜 상기 구동스틱(1)에 구비된 구동모터(1a)를 이용하여 복스(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안전하고 쉽게 작업이 가능하고, 특히 복스의 각도가 자유롭게 변화되어 작업자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보다 용이하게 복스의 볼트홈에 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를 내입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복스와 볼트의 수평을 쉽게 일치시킬 수 있어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이 향상시킬 수 있는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하부에 구동력을 전달받는 전달축부(110)를 구비하고, 전방에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20)을 구비하는 기어박스(100);와 상기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20)에 후방이 결합되는 복스(200); 및 상기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20)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기 복스(200)의 후방에 전방이 결합되되, 상기 복스(200)가 상하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앵글조절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어박스(100)는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복스(200)의 후방 하부를 지지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받침대(132)를 구비하는 지지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재(130)는 전방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32)의 하부가 상부에 내입되어 결합되되,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내부에 탄성부재(134a)를 구비하는 완충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은 상기와 같은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에 있어서, 구동모터(1a)를 구비하는 구동스틱(1)의 상부에 기어박스(100)의 전달축부(110)를 결합시키는 제1준비단계(S10);와 상기 제1준비단계(S10) 이후 복스(200)의 전방 볼트홈(210)에 볼트의 헤드를 내입시켜 상기 복스(200)를 상기 볼트와 수평이 되도록 구동스틱(1)을 이동시키는 제2준비단계(S20);와 상기 제2준비단계(S20) 이후 구동스틱(1)의 구동모터(1a)를 구동시켜 복스(200)를 회전시킴으로써,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조작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기어박스(100)는
하부에 구동력을 전달받는 전달축부(110)를 구비하고, 전방에 상기 전달축부(11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20)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웜기어 또는 베벨기어 등의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전달축부(110)에 구동스틱(1)의 상부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스틱(1)에 구비된 구동모터(1a)에 의해 구동력을 공급받으면 상기 기어에 의해 구동축(120)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구동축(120)이 회전된다.
이때, 본 발명의 기어박스(100)는 상기 구동스틱(1)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이 상기 전달축부(110)를 통해 상기 구동축(120)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력의 방향을 전환시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복스(200)가 볼트와 수평을 쉽게 이룰수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볼트의 조임이나 풀림이 원활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은 상기 기어박스(100)의 전달축부(110)에 상부가 결합되는 구동스틱(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스틱(1)은 구동모터(1a)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모터(1a)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전달축부(11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달축부(110)와 연결된 구동축(120)이 회전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어박스(300)는 구동스틱(1)과 연결되는 구조상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복스(20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스크류기어, 베벨기어, 웜기어 등 구동스틱(1)의 구동모터(1a)의 구동력을 수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종래의 다른 기어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기어박스(100)는 작업자가 구동스틱(1)을 이용하여 낮은 위치에서도 안정적으로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앵글조절부재(300)를 통해 복스(200)의 각도가 조절되어 보다 원활하게 낮은 위치에서도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복스(200)는
상기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20)에 후방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어박스(10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전방에 볼트홈(210)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가 내입되고, 다양한 크기의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복스(200)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복스로서, 상기 구동축(120)과 직접결합시 상하좌우방향으로의 각도가 조절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20)에 후방이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도 구동스틱(1)을 이용하여도 구동력의 방향전환에 의해 원활하게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복스(20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앵글조절부재(300)에 후방이 상하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구동축(120)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는 다른 실시예를 통해 더욱더 원활하게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복스(200)는 다른 실시예 즉, 앵글조절부재(300)에 후방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볼트에 맞춰 적합한 종류의 복스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앵글조절부재(300)는
상기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20)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기 복스(200)의 후방에 전방이 결합되되, 상기 복스(200)가 상하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복스(200)가 상기 구동축(120)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작업자가 보다 원활하게 볼트홈(210)에 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를 내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스틱(1)을 특정한 자세로 파지하지 않아도 구동축(120)의 회전에 의해 복스(200)가 회전되어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앵글조절부재(300)는 상기 구동축(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앵글조절부재(300)의 전방에 결합되는 복스(200)의 후방에 돌출된 결합돌기(미표시)가 복스(2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상기 앵글조절부재(300) 또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앵글조절부재(300)는 상기 구동축(120)과의 결합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터치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상기 구동축(120)과 고정핀(미도시)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볼트를 조이거나 풀 때 발생되는 강한 회전력에 의해 상기 구동축(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앵글조절부재(300)와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2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고정핀에 의해 상호 고정되기 위해 각각 관통형성되는 고정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앵글조절부재(300)의 고정홀과 상기 구동축(120)의 고정홀이 대응되어 일치된 후 고정핀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앵글조절부재(300)는 전방에 결합되는 복스(200)의 후방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전방에 볼타입의 힌지를 구비하는 볼유니버셜조인트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복스(200)는 후방이 상하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앵글조절부재(300)의 어댑터(미표시)에 결합됨으로써, 각도가 자유롭게 변경된다.
이때, 본 발명의 앵글조절부재(300)와 복스(200)의 결합은 앞서 설명된 앵글조절부재(300)와 구동축(120)과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스(20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터치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상기 앵글조절부재(300)와 복스(200)가 고정핀(미도시)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볼트를 조이거나 풀 때 발생되는 강한 회전력에 의해 상기 복스(200)가 상기 앵글조절부재(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기어박스(100)는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복스(200)의 후방 하부를 지지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받침대(132)를 구비하는 지지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기 복스(200)가 앵글조절부재(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서 하부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원활하게 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를 상기 복스(200)의 볼트홈(210)에 내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스(200)의 후방 하부를 실제로 지지하는 것은 상기 지지부재(130)의 전방에 구비되는 받침대(132)이고, 상기 받침대(132)는 내측에 상기 복스(200)의 후방 외주연과 대응되는 내측면이 형성되어 상기 복스(2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볼트의 조임 및 풀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받침대(132)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복스(200)의 후방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Y"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내측면이 상기 복스(200)의 후방 하부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복스(200)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복스(200)가 구동축(1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때,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받침대(132)는 상기 지지부재(130)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어 작업자가 볼트를 조이거나 풀기 전에 상기 복스(200)가 이루는 상하방향의 각도를 조절한 후 작업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받칩대(132)가 상기 지지부재(130)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일실시예의 구성은 종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인입출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완충부(134)를 이용한 다른 실시예를 통해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구조만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130)는 전방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32)의 하부가 상부에 내입되어 결합되되,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내부에 탄성부재(134a)를 구비하는 완충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134)는 상기 탄성부재(134a)를 통해 상기 받침대(132)를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상기 받침대(132)에 의해 복스(200)의 후방이 상부방향으로 가압되어 항상 상기 복스(200)의 전방이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됨으로써, 작업자는 버켓에서 즉, 볼트를 체결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위치의 하부에서 보다 원활하게 볼트의 헤드가 복스(200)의 볼트홈(210)에 내입시킬 수 있게 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작업자는 상기 복스(200)의 전방이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시야가 원활하게 확보되는 볼트 헤드의 하부부터 복스(200)의 볼트홈(210)에 내입시킬 수 있어, 보다 원활하게 볼트홈(210)에 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를 내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완충부(134)는 상기와 같이 받침대(132)가 탄성부재(134a)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에 상기 탄성부재(134a)가 내입되어 설치되는 하부탄성홈(미표시)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32)는 안정적으로 탄성부재(134a)에 의해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134a)의 상부가 내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상부탄성홈(미표시)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134a)는 상기 하부탄성홈의 하부면에 하부가 지지되고, 상기 상부탄성홈의 상부면에 상부가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상기 받침대(132)가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132)는 상기 탄성부재(134a)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될 때, 상기 완충부(134)로부터 이탈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복스(200)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는 길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리미트홀(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완충부(134)는 상기 리미트홀과 대응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핀결합홀과 상기 핀결합홀과 상기 리미트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핀(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132)는 상기 탄성부재(134a)에 의해 상기 복스(200)가 볼트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 회전될 때 상하로 유동됨으로써, 상기 복스(20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파손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받침대(132)는 상기 고정핀과 리미트홀 및 피결합홀에 의해 상기 완충부(134)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작업자가 볼트 헤드를 복스(200)의 볼트홈(210)에 내입시킬 때, 보다 용이하게 내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스(200)를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각도가 조절되도록 함과 동시에 볼트의 헤드가 볼트홈(210)에 내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항상 상기 복스(200)가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하며 다수의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복스(200)는 상기 받침대(132)와 완충부(13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각도가 폭넓게 조절되고, 상기 받침대(132)의 상부 내측면 즉, "Y"형태의 내측면에 의해 좌우방향으로의 각도가 제한되게 조절되는데, 좌우방향으로의 각도 또한 폭넓게 조절되도록 하여 보다 원활하게 볼트의 조임과 푸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지지부재(130)의 후방이 상기 기어박스(100)의 하부에 결합될 때,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거나, 상기 받침대(132)의 상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의 후방이 상기 기어박스(100)의 하부에 결합될 때,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구성은 일반적인 힌지결합에 의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각각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미도시)을 힌지의 내부에 설치하여 평상시 항상 지지부재(130)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여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132)의 상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구성은 상기 받침대(132)가 상기 완충부(134)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지지바(미표시)와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V"형태의 지지틀(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지지틀 또한 상기 지지바에 힌지결합될 때, 각각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미도시)을 힌지의 내부에 설치하여 평상시 항상 받침대(132)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여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받침대(132)의 내측면 즉, 지지틀의 내측면은 상기 복스(20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미표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홈부는 상기 복스(200)가 회전될 때, 마찰력을 저하시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복스(200)의 회전에 의해 내측면 양측이 마모될수록 더욱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호 형상이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수명을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은 앞서 설명된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하되, 먼저, 구동모터(1a)를 구비하는 구동스틱(1)의 상부에 기어박스(100)의 전달축부(110)를 결합시키는 제1준비단계(S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준비단계(S10)는 작업을 위한 즉, 볼트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 상기 볼트와 대응되는 복스(200)를 앵글조절부재(300)에 결합하는 작업이 함께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은 상기 제1준비단계(S10) 이후 복스(200)의 전방 볼트홈(210)에 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를 내입시켜 상기 복스(200)를 상기 볼트와 수평이 되도록 구동스틱(1)을 이동시키는 제2준비단계(S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준비단계(S20)에서는 작업자가 상기 구동스틱(1)을 파지하여 상기 복스(200)의 볼트홈(210)에 조이거나 풀고자 하는 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를 내입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가 상기 복스(200)의 볼트홈(210)에 내입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복스(200)와 볼트가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은 상기 제2준비단계(S20) 이후 구동스틱(1)의 구동모터(1a)를 작업자가 구동시켜 복스(200)를 회전시킴으로서,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조작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조작단게(S30)는 작업자가 구동스틱(1)의 구동모터(1a)를 구동시킴에 따라 볼트가 조여지거나 풀어지게되고, 이때 앵글조절부재(300)에 의해 복스(200)와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20)이 이루는 각도가 자유롭게 변화되므로 작업자는 완벽하게 고정된 자세가 아니어도 보다 원활하게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은 간접활선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활선작업용스틱 즉, 구동스틱(1)을 이용하되, 앵글조절부재(300)에 의해 복스(200)의 각도가 자유롭게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130)의 완충부(134) 즉, 탄성부재(134a)에 의해 상기 복스(200)가 평상시 항상 전방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져 보다 용이하게 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를 복스(200)의 볼트홈(210)에 내입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 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 구동스틱
1a : 구동모터
100 : 기어박스
110 : 전달축부
120 : 구동축
130 : 지지부재
132 : 받침대
134 : 완충부
134a : 탄성부재
200 : 복스
210 : 볼트홈
300 : 앵글조절부재

Claims (5)

  1. 하부에 구동력을 전달받는 전달축부(110)를 구비하고, 전방에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20)을 구비하는 기어박스(100);와
    상기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20)에 후방이 결합되는 복스(200); 및
    상기 기어박스(100)의 구동축(120)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기 복스(200)의 후방에 전방이 결합되되, 상기 복스(200)가 상하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앵글조절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어박스(100)는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복스(200)의 후방 하부를 지지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받침대(132)를 구비하는 지지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30)는
    전방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32)의 하부가 상부에 내입되어 결합되되,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내부에 탄성부재(134a)를 구비하는 완충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5. 제1항의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에 있어서,
    구동모터(1a)를 구비하는 구동스틱(1)의 상부에 기어박스(100)의 전달축부(110)를 결합시키는 제1준비단계(S10);와
    상기 제1준비단계(S10) 이후 복스(200)의 전방 볼트홈(210)에 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를 내입시켜 상기 복스(200)를 상기 볼트와 수평이 되도록 구동스틱(1)을 이동시키는 제2준비단계(S20);와
    상기 제2준비단계(S20) 이후 구동스틱(1)의 구동모터(1a)를 구동시켜 복스(200)를 회전시킴으로써,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조작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
KR1020200079111A 2020-06-29 2020-06-29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 KR102217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111A KR102217861B1 (ko) 2020-06-29 2020-06-29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111A KR102217861B1 (ko) 2020-06-29 2020-06-29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861B1 true KR102217861B1 (ko) 2021-02-19

Family

ID=7468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111A KR102217861B1 (ko) 2020-06-29 2020-06-29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8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9472A (zh) * 2021-11-22 2022-02-18 国网青海省电力公司黄化供电公司 一种绝缘子带电紧固装置
KR102516401B1 (ko) * 2022-10-11 2023-04-04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644B1 (ko) * 2013-02-22 2013-08-02 유한회사 대전기업 활선작업용 렌치
JP2017028964A (ja) * 2015-07-28 2017-02-02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作業用締付具
KR102082150B1 (ko) 2019-08-21 2020-02-27 대원전기 주식회사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644B1 (ko) * 2013-02-22 2013-08-02 유한회사 대전기업 활선작업용 렌치
JP2017028964A (ja) * 2015-07-28 2017-02-02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作業用締付具
KR102082150B1 (ko) 2019-08-21 2020-02-27 대원전기 주식회사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9472A (zh) * 2021-11-22 2022-02-18 国网青海省电力公司黄化供电公司 一种绝缘子带电紧固装置
KR102516401B1 (ko) * 2022-10-11 2023-04-04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861B1 (ko) 간접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구 조작법
WO2021179580A1 (zh) 一种35kv耐张绝缘子串更换装置及其作业方法
CN101154797B (zh) 用于电线杆瓷瓶更换的辅助工具
KR102089726B1 (ko) 와이어 홀더 스트레이트닝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점퍼선 정리 공법
CN112975814A (zh) 一种输电线路远距离背向螺栓电动松紧装置
CN113725771A (zh) 电力施工便于携带的检修用具
CN215185664U (zh) 一种水泥厂建设用电气线安装固定装置
KR102082150B1 (ko) 풀림방향 과부하 방지 클러치형 조임장치
CN211183219U (zh) 一种电力电缆排线支撑固定装置
CN106253141B (zh) 一种多功能电缆安装工作台
CN209313322U (zh) 一种制作电缆中间接头的辅助工具
CN203516378U (zh) 基站天线快拆螺栓
CN215580808U (zh) 一种水轮发电机转子磁极引线拆卸工具
CN214825034U (zh) 可调节的电缆盘夹具
CN212887362U (zh) 一种检修用调整扳手
CN219041231U (zh) 带电换线结构
CN219801718U (zh) 一种用于电力安装的连接紧线装置
KR101889030B1 (ko) 강재 절단 장치
CN106975904B (zh) 一种披头与套筒转换头自动装配设备
CN204725460U (zh) 一种用于电批的辅助支撑装置
CN216447807U (zh) 一种带有绝缘杆的具有多角度旋转的摄像装置
CN215633064U (zh) 一种锚杆锚索施工角度控制装置
KR102516401B1 (ko) 간접 활선용 앵글 조절식 복스 렌치 스틱을 이용한 la 설치, 철거 및 교체 간접 활선공법
JPH0727109Y2 (ja) 既設配管の縦切断装置
CN212810091U (zh) 一种高压拉闸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