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719A - 갱폼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갱폼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719A
KR20170094719A KR1020160015858A KR20160015858A KR20170094719A KR 20170094719 A KR20170094719 A KR 20170094719A KR 1020160015858 A KR1020160015858 A KR 1020160015858A KR 20160015858 A KR20160015858 A KR 20160015858A KR 20170094719 A KR20170094719 A KR 20170094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rod
state
support
ga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8702B1 (ko
Inventor
김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에스에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에스에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에스에프이
Priority to KR102016001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7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4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fully recover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갱폼용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갱폼용 고정장치는, 갱폼 측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측에 전,후진 동작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갱폼의 고정 지지를 위한 간격유지구의 단부 측에 체결 연결되기 위한 체결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체결로드, 그리고 상기 체결로드와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간격유지구 측에 체결 연결 또는 연결 해제가 가능한 상태로 상기 체결로드를 전동력(電動力)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동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갱폼용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GANGED STEEL FORM}
본 발명은 갱폼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복층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대부분 갱폼(ganged steel form)을 이용하여 각 층의 외부 벽체를 형성한다.
갱폼은 간격유지구에 의해 내부거푸집과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며, 한 군데 이상의 지점이 고정장치에 의해 간격유지구 측과 서로 체결 연결되는 상태로 고정된다.
특히, 갱폼의 셋팅 작업은 대부분 고소(高所)에서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고정장치와 간격유지구를 서로 체결 연결하고, 벽체 양생 후에는 다시 수작업으로 체결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작업 효율성은 물론이거니와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갱폼의 셋팅 작업에 사용되는 고정장치로는, "특허등록 제10-1023165호의 콘크리트 벽체용 거푸집 체결구."가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등록 제10-1023165호의 콘크리트 벽체용 거푸집 체결구는,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예: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각 체결 지점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수동 조작 방식의 구조이므로, 갱폼의 분리 작업이 복잡하고,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어 만족할 만한 작업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더욱이, 갱폼의 분리 작업은 대부분 고소에서 진행되므로, 작업자에 의한 수동 조작 방식의 구조로는 고소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갱폼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갱폼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갱폼 측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측에 전,후진 동작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갱폼의 고정 지지를 위한 간격유지구의 단부 측에 체결 연결되기 위한 체결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체결로드;
상기 체결로드와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간격유지구 측에 체결 연결, 또는 연결 해제가 가능한 상태로 상기 체결로드를 전동력(電動力)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동조작부;
를 포함하는 갱폼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동조작부에 의한 전동 조작방식으로 갱폼의 설치 또는 분리 작업과 부합하는 상태로 체결로드를 용이하게 체결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전동 조작방식은 예를 들어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 조작 방식과 비교할 때 체결로드의 체결 연결 상태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갱폼의 분리 작업시 만족할 만한 작업 효율성 및 고소(高所)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고정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고정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고정장치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일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고정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W) 시공시 간격유지구(S)를 사이에 두고 내부거푸집(R)과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갱폼(Q)을 간격유지구(S) 측에 연결 고정하거나, 연결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고정장치는, 지지대(2), 체결로드(4), 및 전동조작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대(2)는 갱폼(Q)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지지대(2)는 도 2에서와 같이 탄성클램프(A)를 구비하고, 이 탄성클램프(A)는 지지대(2) 측에 두 개가 간격을 띄우고 설치될 수 있다.
탄성클램프(A)는 갱폼(Q)의 판넬부(Q1)와, 프레임부(Q2) 중에서 프레임부(Q2) 둘레를 탄력적으로 감싸면서 착,탈을 위한 걸림 조작이 가능한 형태(예: 비틀림 스프링)를 가지며 지지대(2) 측에 일단이 각각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갱폼(Q)의 프레임부(Q2) 둘레를 탄력적으로 감싸는 상태로 탄성클램프(A)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갱폼(Q) 측에 지지대(2)를 착,탈 가능하게 셋팅할 수 있다.
체결로드(4)는 일단에 체결부(B)를 구비하고, 지지대(2) 측에서 로드 축선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체결로드(4)는 도 2에서와 같이 지지대(2)의 홀부(H) 측에 일단이 끼워져서 체결부(B) 측이 지지대(2) 측에서 세워진 상태로 위치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체결부(B)는 간격유지구(S) 단부 측의 결합부(S1, 수나사)와 나사 결합으로 체결 연결이 가능하도록 체결로드(4)의 단부 내측에 암나사 형태로 형성되고, 체결로드(4)의 선단 쪽을 향하여 둘레가 점차 작아지는 콘(CONE)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로드(4)는 로드 축선을 따라 전,후진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체결부(B)가 간격유지구(S)의 결합부(S1) 측과 서로 체결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될 수 있는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대(2)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체결로드(4)의 양쪽 단부 중에서 지지대(2) 측에 끼워진 단부 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육각너트 타입의 둘레를 갖는 로드조작부(C)가 형성될 수 있다.
로드조작부(C)는 작업 여건에 따라 별도의 도구(예: 렌치)를 이용하여 체결로드(4)를 회전 조작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전동조작부(6)는 구동모터(D)와, 이 구동모터(D)의 동력을 체결로드(4) 측에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음부(E)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구동모터(D)는 전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모터 축(D1)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으로 체결로드(4)를 체결 동작시킬 수 있는 상태로 지지대(2) 측에 배치된다.
구동모터(D)는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지지대(2) 측에 형성된 받침부(D2) 측에 고정되어 모터 축(D1)과 체결로드(4)가 서로 동축을 이루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구동모터(D)는 별도의 제어스위치(F)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 제어스위치(F)의 온, 오프 조작에 의해 모터 축(D1)의 회전 동작이 제어되도록 셋팅된다.
제어스위치(F)는 갱폼(Q) 측에 설치되거나,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무선 송,수신 방식에 의해 갱폼(Q) 이외의 지점에서 구동모터(D)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도 있다.
제어스위치(F)는 안전센서(F1)와 서로 연계하여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셋팅될 수 있으며, 안전센서(F1)는 도 2에서와 같이 갱폼(Q) 상부에 형성된 걸림부(Q3) 측의 걸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즉, 안전센서(F1)는 예를 들어, 리미트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갱폼(Q)의 걸림부(Q3)가 걸려질 때 접촉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걸림부(Q3)가 걸려진 상태에서만 제어스위치(F)에 의해 구동모터(D)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셋팅된다.
그러면, 전동조작부(6)는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갱폼(Q)의 걸림부(Q3)가 타워크레인(M)의 후크(M1) 측에 안전하게 걸려진 상태에서만 제어스위치(F)로 구동모터(D)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안전센서(F1)의 작용에 의하면, 갱폼(Q)의 분리 작업시 갱폼(Q)을 안정적으로 잡아주지 못한 상태에서 제어스위치(F)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D)가 작동되면서 체결로드(4)의 체결 연결 상태가 비(非) 정상으로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음부(E)는 홈부와 돌기부의 끼움 결합에 의해 체결로드(4)의 전,후진 이동 구간 내에서 안정적인 걸림 접촉력으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음부(E)는 도 5에서와 같이 구동모터(D)의 모터 축(D1)에 이음돌기(E1)가 형성되고, 이 이음돌기(E1)와 대응하는 상태로 체결로드(4)의 단부 내측에 이음홈(E2)이 형성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음돌기(E1)와 이음홈(E2)은 구동모터(D)의 모터 축(D1)과 체결로드(4)가 서로 동축을 이루는 상태로 끼워져서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축선 방향으로는 체결로드(4)의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고,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으로는 서로 걸림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돌기부 및 홈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이음부(E)는 체결로드(4)가 로드 축선을 따라 전,후진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모터 축(D1)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지지대(2) 측에는 체결로드(4)의 전,후진 이동 동작과 부합하는 상태로 탄성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탄성부재(G)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G)는 예를 들어, 체결로드(4)를 탄력적으로 밀어서 전진 이동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작업 여건에 따라 후진 이동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도 있다.
그러면, 체결로드(4)를 간격유지구(S) 측에 체결 연결하거나, 연결 상태를 해제할 때 이와 부합하는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체결로드(4)가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W)의 시공시 내부거푸집(R)과 서로 대응하는 상태로 갱폼(Q)을 안정적인 고정 상태로 잡아줄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내부거푸집(R)과 대응하는 상태로 갱폼(Q)이 배치될 때 체결로드(4)의 체결부(B)를 간격유지구(S)의 결합부(S1) 측과 나사 결합으로 체결 연결하여 간격유지구(S)에 의해 내부거푸집(R)과 일정 간격을 띄우고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갱폼(Q)이 고정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체결로드(4)의 체결 연결 작업은 전동조작부(6)에 의한 전동 방식으로 이루어지거나, 이외에도 예를 들어, 로드조작부(C)를 이용하여 체결로드(4)를 회전 조작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러면, 도 7에서와 같이 서로 간격을 띄우고 셋팅된 갱폼(Q)과 내부거푸집(R) 사이에 통상의 방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콘크리트 벽체(W)를 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W)의 양생 후, 갱폼(Q)의 분리 작업시 전동조작부(6)에 의한 전동 조작 방식으로 갱폼(Q)의 고정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즉, 체결로드(4)의 체결부(B)와 간격유지구(S)의 결합부(S1)가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스위치(F)를 조작하여 구동모터(D)에 의해 체결로드(4)를 나사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8에서와 같이 체결부(B)와 결합부(S1)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는 상태로 체결로드(4)가 후진 이동되면서 체결로드(4)와 간격유지구(S)의 체결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제어스위치(F)는 안전센서(F1)에 의해 갱폼(Q)의 걸림부(Q3)가 예를 들어, 타워크레인(M)의 후크(M1) 측에 안정적으로 걸쳐진 상태에서만 작동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전동 조작 방식은 콘크리트 벽체(W)의 외부면으로부터 갱폼(Q)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고정 상태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소(高所)에서 갱폼(Q)의 분리 작업을 진행할 때 추락과 같은 안전 사고의 발생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콘크리트 벽체(W)의 시공 후, 갱폼(Q)을 분리할 때 전동조작부(6)에 의한 전동 조작 방식으로 갱폼(Q)의 고정 상태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예: 렌치)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방식과 비교할 때 한층 향상된 작업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동조작부(6)에 의한 전동 조작 방식은 갱폼(Q)의 분리시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 공정을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고소 작업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체결로드(4)와 간격유지구(S)가 나사 결합으로 체결 연결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체결로드(4)의 체결부(B)가 간격유지구(S)의 결합부(S1) 측에 서로 동축을 이루는 상태로 끼워진 후 축선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 조작되면서 체결 연결 상태로 걸려지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는 홈부 및 돌기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 연결 또는 연결 해제 동작과 부합하도록 전동조작부(6)는 체결로드(4)를 축선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셋팅될 수 있다.
2: 지지대 4: 체결로드 6: 전동조작부
S: 간격유지구 R: 내부거푸집 W: 콘크리트 벽체
D: 구동모터 Q: 갱폼

Claims (7)

  1. 갱폼 측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측에 전,후진 동작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갱폼의 고정 지지를 위한 간격유지구의 단부 측에 체결 연결되기 위한 체결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체결로드;
    상기 체결로드와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간격유지구 측에 체결 연결, 또는 연결 해제가 가능한 상태로 상기 체결로드를 전동력(電動力)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동조작부;
    를 포함하는 갱폼용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탄성클램프를 구비하고, 이 탄성클램프는 상기 갱폼 일측을 탄력적으로 감싸는 상태로 상기 지지대를 상기 갱폼 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갱폼용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로드는,
    상기 지지대의 홀부 측에 끼워져서 상기 체결부가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며, 이 체결부는 상기 간격유지구 단부 측의 수나사 또는 걸림돌기와 체결 연결이 가능한 암나사 또는 걸림홈부 형태로 형성되는 갱폼용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조작부는,
    제어스위치의 온, 오프 조작에 의해 상기 체결로드의 작동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지지대 측에 배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체결로드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간격유지구 측에 체결 연결될 수 있도록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음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갱폼용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모터 축이 상기 체결로드와 서로 동축을 이루는 상태로 상기 지지대 측에 셋팅되는 갱폼용 고정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스위치는,
    상기 갱폼 상부의 걸림부 측이 걸려진 상태에서만 상기 구동모터의 온, 오프 조작이 가능하도록 안전센서와 연결되며, 이 안전센서는 상기 걸림부 측의 걸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갱폼용 고정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기 구동모터 축에 형성되는 이음돌기와, 이 이음돌기와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체결로드의 단부 측에 형성되는 이음홈을 구비하고,
    상기 이음돌기와 이음홈은,
    상기 구동모터 축과 상기 체결로드가 서로 동축을 이루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축선 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고,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으로는 서로 걸림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고정장치.




KR1020160015858A 2016-02-11 2016-02-11 갱폼용 고정장치 KR101778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858A KR101778702B1 (ko) 2016-02-11 2016-02-11 갱폼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858A KR101778702B1 (ko) 2016-02-11 2016-02-11 갱폼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719A true KR20170094719A (ko) 2017-08-21
KR101778702B1 KR101778702B1 (ko) 2017-09-14

Family

ID=5975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858A KR101778702B1 (ko) 2016-02-11 2016-02-11 갱폼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7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9875A (zh) * 2017-11-27 2018-06-19 冯瑞芳 一种紧固装置及该紧固装置的控制方法
CN111236627A (zh) * 2020-01-16 2020-06-05 浙江省一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高墙体混凝土一次性浇筑成型模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007Y1 (ko) 2020-09-22 2022-02-14 김춘재 갱폼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265Y1 (ko) * 2000-09-01 2001-02-15 문용식 딥콘조립기
KR101424111B1 (ko) * 2013-02-08 2014-08-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닥 테이블 폼 인양 장치
KR101497688B1 (ko) * 2014-02-02 2015-03-12 이옥순 거푸집의 간격 유지구 및 앵커볼트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9875A (zh) * 2017-11-27 2018-06-19 冯瑞芳 一种紧固装置及该紧固装置的控制方法
CN108179875B (zh) * 2017-11-27 2020-11-06 广西盛隆钢铁材料研究院 一种紧固装置及该紧固装置的控制方法
CN111236627A (zh) * 2020-01-16 2020-06-05 浙江省一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高墙体混凝土一次性浇筑成型模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702B1 (ko)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702B1 (ko) 갱폼용 고정장치
CN206429802U (zh) 管道管口快速无损封堵器
CN204366894U (zh) 锁紧圆螺母预紧装置
CN211421856U (zh) 一种建筑模板的连接锁紧装置
KR101888151B1 (ko) 타워 크레인의 월 브레싱 장치
KR20170011274A (ko) 비계베이스
JP2018167392A (ja) トルク反力ツール及び使用方法
KR101655786B1 (ko)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해제용 서포트
KR101446131B1 (ko) 부재 연결을 위한 토크쉐어 커플러용 수작업 체결장치
JP6120119B1 (ja) 壁つなぎ具
MX2013009530A (es) Aparato para apretar elementos sujetadores roscados.
JP6674742B2 (ja) 支持用具
KR20120002748U (ko) 파이프 머신용 파이프 홈 성형기
KR101741478B1 (ko) 발판 고정 장치
KR20090006046A (ko) 가설물고정용 볼트
KR101446008B1 (ko) 조적부위 전기박스 고정장치
KR20180114808A (ko) 소방용 플렉시블조인트의 체결식 연결구 체결장치
CN110783063B (zh) 变压器安装结构及柱上变压器安装支架
CN209988960U (zh) 双馈电机定子热套工装
CN105370028A (zh) 一种用于脚手架安装的连接扣
KR20180104407A (ko) 건축용 고정너트
JP6019164B2 (ja) 足場構築用伸縮管
JP2018012929A (ja) 足場用幅木装置
KR20180103232A (ko) 갱폼용 핸드레일 거치고정 장치
JP2020188850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を配管継手に締付け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