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758B1 -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열유도패널이 자동으로 승강되는 인덕션 취반기 - Google Patents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열유도패널이 자동으로 승강되는 인덕션 취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758B1
KR102510758B1 KR1020220138636A KR20220138636A KR102510758B1 KR 102510758 B1 KR102510758 B1 KR 102510758B1 KR 1020220138636 A KR1020220138636 A KR 1020220138636A KR 20220138636 A KR20220138636 A KR 20220138636A KR 102510758 B1 KR102510758 B1 KR 102510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rice cooker
panel
heat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경인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경인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경인케이
Priority to KR1020220138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인덕션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취반기의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도어링크의 이동을 도어링크에 의해 회전하는 승강링크를 이용하여 열유도패널의 상하 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열유도패널이 상승 또는 하강하고, 이에 따라 취사시에는 열유도패널이 상승하여 밥솥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취사가 완료되어 밥솥을 취사실로부터 꺼낼 때는 열유도패널이 하강이동하여 밥솥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밥솥을 효율적으로 발열시키고, 열유도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인덕션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열유도패널이 자동으로 승강되는 인덕션 취반기 {INDUCTION RICE COOKER WITH HEATING COIL PANEL BEING LIFTED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인덕션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밥솥의 거치 및 제거를 위해 도어를 개폐함에 따라 밥솥에 열을 유도시키는 열유도패널이 자동으로 승강되는 인덕션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업소용 취반기는 학교, 회사, 군부대 등의 구내 식당이나 음식점에서 대량으로 밥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업소용 취반기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취사실이 구비되어 있고, 각 취사실마다 밥솥을 가열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는 취반기의 취사실 내에 가스를 연소시켜 화력을 제공하는 가스버너를 설치하여 이용하였으나, 근래에는 전자유도 가열방식(Induction heating)이란 고효율 자력선 유도 기술을 응용한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를 설치한 취반기가 증가하고 있다.
인덕션 렌지의 각 취사실 바닥에는 밥솥을 발열시키기 위해 유도가열 히팅코일이 매설된 열유도패널이 구비된다. 열유도패널 내의 유도가열 히팅코일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면 자기장이 발생하고, 자기장 중심에 무수한 자기유도전류가 발생하여 금속이 갖는 전기저항에 의해서 조리용기 자체가 발열하여 조리할 수 있게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인덕션 렌지의 경우, 인덕션 열유도패널에 근접된 면에서만 자기유도전류가 발생하여 발열되기 때문에, 취사 중 밥솥과 열유도패널이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인덕션 렌지의 경우, 밥솥이 열유도패널에 최초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열유도패널 중앙에 안착되어 밥솥의 하면이 열유도패널 상에 접촉된 상태로 취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렇게 밥솥이 열유도패널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 밥솥의 바닥면과 열유도패널의 표면 사이에서 마찰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는 열유도패널의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해, 열유도패널 중앙에는 밥솥의 바닥표면 온도를 체크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러한 온도센서는 밥솥의 이송에 따라 적절하게 하강하지 않으면 밥솥이 온도센서와 충돌하여 밥솥의 이송이 불가하게 되거나, 온도센서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취반기의 열유도패널 및 온도센서를 밥솥의 이송에 따라 적절하게 승강시키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종래기술의 예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5-0012148호 “인덕션 가열조리장치”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5-0012148호는 밥솥이 열유도패널에 최초로 안착된 상태에서 열유도패널의 중앙부를 향해 슬라이딩 되다가 밥솥 바닥 테두리가 온도센서 둘레면에 걸리게 됨과 동시에, 아래쪽을 향해 가해진 하중에 의해 열유도패널을 비롯해 온도센서가 승강유도수단에 의해 아래로 하강함에 따라, 밥솥이 온도센서를 타고 올라가 안착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밥솥이 열유도패널을 누르는 힘에 의한 탄성을 이용하여 열유도패널 및 온도센서를 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지속적으로 밥솥의 바닥면과 열유도패널의 표면이 접한 채로 밥솥이 슬라이딩 되게 되고,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해서도 열유도패널 표면의 손상을 피할 수 없다.
밥솥이 취사실 내부에 배치되어 취사 중일 때에는 열유도패널이 상승이동 하여 열유도패널과 밥솥의 바닥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밥솥을 효율적으로 발열시키고, 취사가 완료되어 밥솥을 취사실로부터 꺼낼 때는 열유도패널이 하강이동하여 밥솥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밥솥의 슬라이딩 이송 시 밥솥의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열유도패널이 손상되지 않는 취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덕션 취반기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밥솥(50)을 안치시키는 공간인 취사실(110)이 형성된 본체(10);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 각각이 활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단이 상기 도어(20)의 후면의 양 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후단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두 개의 도어링크(30);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취사실(110) 내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밥솥(50)을 발열시키는 열유도패널(40); 및 각각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도어링크(30) 및 상기 열유도패널(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도어(20)가 닫힐시에는 상기 열유도패널(40)을 상승시켜 상기 밥솥(50)의 바닥면과 밀착시키고, 상기 도어(20)가 열릴시에는 상기 열유도패널(40)을 하강시켜 상기 밥솥(50)의 바닥면과 상기 열유도패널(40)을 이격시키는 두 개의 승강링크(60)로 구성된다.
상기 각 승강링크(60)는 전단이 상기 각 도어링크(30) 측에, 후단이 상기 열유도패널(40)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각 승강링크(60)는 후단이 상기 각 도어링크(30)의 상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됨으로써 상기 도어(20)의 폐쇄시에는 상기 열유도패널(40)이 상승이동하여 상기 밥솥(50)의 바닥면과 밀착되고, 상기 도어(20)의 개방시에는 상기 열유도패널(40)이 하강이동하여 상기 밥솥(50)의 바닥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링크(60)는 전단이 상기 도어링크(30)의 후단과 직접 접촉한 상태로, 후단이 상기 열유도패널(40)의 하면과 직접 접촉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각 승강링크(6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61); 상기 바디부(61)의 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도어링크(30)의 후단과 직접 접촉하는 도어링크지지부(62); 및 상기 바디부(61)의 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열유도패널(40)의 하면과 직접 접촉하는 패널지지부(6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링크지지부(62) 및 상기 패널지지부(63)는 상기 도어(2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취사실(110)의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도어(20)가 완전히 닫힐 시 상기 각 도어링크(30)와 상기 열유도패널(40)의 하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각 승강링크(60)의 바디부(61)의 내측에는 링크축홀(611)이 형성되고,
상기 각 승강링크(60)는 상기 링크축홀(611)과 상기 취사실(110)의 각 측면(120, 130)을 관통하는 링크축(613)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상기 열유도패널(40)의 양 측에서 상기 도어링크(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링크축(613)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링크축홀(611)은 상기 바디부(61) 내측에서 상기 도어링크지지부(62)보다 상기 패널지지부(63)에 더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각 도어링크(30)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한 상기 열유도패널(40)의 상하 방향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각 승강링크(60)의 바디부(61)의 내측에는 가이드축홀(6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취사실(110)의 각 측면(120, 130)에는 상하방향의 길이를 갖는 호 형상으로 통공된 가이드공(13)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61)의 가이드축홀(612)에 상기 취사실(110)의 각 측면(120, 130)에 형성된 가이드공(13)을 관통하는 가이드축(615)이 끼워지고, 상기 각 승강링크(60)는 상기 도어링크(30)에 의한 회전 시 상기 가이드축(615)이 상기 가이드공(13)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도어링크지지부(62)는 상기 바디부(61)와 평행하는 절곡된 면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도어링크(30)가 상기 도어링크지지부(6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유도패널(40)는 후단을 중심으로 전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취사실(110)의 상면과 상기 열유도패널(4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열유도패널(40)의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열유도패널(40)의 상하방향 회전의 회전축은 상기 취사실(1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도어링크의 이동을 도어링크에 의해 회전하는 승강링크를 이용하여 열유도패널의 상하 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열유도패널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취사시에는 열유도패널이 밥솥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밥솥이 효율적으로 발열되도록 하고, 취사가 완료되어 밥솥을 취사실로부터 꺼낼 때는 열유도패널이 하강이동하여 밥솥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밥솥의 슬라이딩 이송 시 밥솥의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열유도패널이 손상되지 않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덕션 취반기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취반기의 닫힘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취반기의 열림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열유도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취반기의 닫힘 상태의 상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인덕션 취반기의 닫힘 상태의 상단면도의 일부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승강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인덕션 취반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취반기의 개폐 상태에 따른 승강링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에 의해 입구가 개폐되는 취사실 내에 위치한 밥솥의 이송을 위해 승강하는 열유도패널을 이용하여 밥솥을 발열시키는 인덕션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유도패널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으로 승강함으로써 밥솥의 삽입 및 제거 시 열유도패널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아 유지 보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인덕션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인덕션 취반기를 간략하게 "취반기"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취반기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취반기의 닫힘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취반기의 열림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1)는 본체(10), 도어(20), 두 개의 도어링크(30), 열유도패널(40), 밥솥(50), 및 두 개의 승강링크(60)로 구성된다.
본체(10)는 취반기(1)의 케이스로서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취사실(110)이 구비되고, 본체(10)의 외면 일측에는 밥솥(50)의 발열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패널(미도시)이 구비된다. 본체(10) 내부에 복수 개의 취사실(110)이 구비되는 경우에 본체(10) 내부에는 복수 개의 취사실(110)을 구획하기 위한 수평방향의 격벽이 설치될 수 있다.
취사실(110)의 내부는 밥솥(50)의 증기로 인해 습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취반기(1)의 부품 대부분은 내부식성의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제작된다. 취반기(1)의 각 부품의 소재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스테인리스 스틸인 것으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설명하거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상기된 주요 구성요소 외에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등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취반기(1)의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링크(30) 및 승강링크(60)의 상호 동작 및 구조에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도 1에는 밥솥(50)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고, 도어(20)가 분리된 상태의 취반기(1)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각 취사실(110)에는 열유도패널(40) 및 밥솥(50)이 설치된다. 본체(10)의 좌면, 우면, 및 후면은 취사실(110) 내부의 단열을 위하여 내판과 외판의 이중판 형태로 제작된다. 따라서, 본체(10)의 좌측 내판(120)의 및 우측 내판(130)은 각각 취사실(110)의 좌면 및 우면을 형성한다. 도 1에는 도시의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본체(10)의 좌측 내판(120), 우측 내판(130), 하판(140) 및 후측 내판(150)만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면은 생략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취사실(110)의 좌면은 본체(10)의 좌측 내판(120)을, 각 취사실(110)의 우면은 본체(10)의 우측 내판(130)을, 각 취사실(110)의 후면은 본체(10)의 후판(150)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각 취사실(110)의 좌측 내면은 본체(10)의 좌측 내판(120)의 내면 중 각 취사실(110)과 접하는 면을 지칭하고, 각 취사실(110)의 좌측 외면은 본체(10)의 좌측 내판(120)의 외면 중 각 취사실(110)의 좌측 내면이 본체(10)의 좌측 내판(120)의 두께방향으로 투영되어 형성되는 좌측 내판(120)의 외면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며, 각 취사실(110)의 우측 내면 및 우측 외면 또한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취사실(110)의 좌측 외면 및 우측 외면 각각에는 도어(2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캠(11)이 부착되어 있다. 각 캠(11)은 도어링크(30)와의 접촉에 의해 전후로 움직이는 롤러(11a), 도어링크(30)에 롤러를 밀착시키기 위한 스프링(미도시), 롤러와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11b) 등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취사실(110)의 좌면(120) 및 우면(130) 각각에는 승강링크(60)가 안정적으로 회전 이동하기 위한 링크공(12) 및 가이드공(13)이 형성되며, 취사실(110)의 후면(150)에는 회전부재(41)의 회전을 위한 회전공(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취사실(110)의 좌측 내면 및 우측 내면의 상단에는 밥솥(50)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롤러레일(15)이 설치되어 있다. 각 롤러레일(15)에 밥솥(50)의 상단이 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밥솥(50)을 슬라이딩 하여 취사실에 내부로 밀어넣거나, 취사실로부터 빼낼 수 있다.
도어(20)는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취사실(110)의 입구 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취사실(110)의 입구를 개폐한다. 도어(20)의 전면에는 손잡이(21)가 부착되어 있다.
각 도어링크(30)는 도어(20)의 후면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설치되고, 도어(20)가 닫히거나 열릴 때에 도어(20)와 함께 이동하면서 승강링크(60)를 밀어 승강링크(60)를 회전시키거나, 밀고 있던 승강링크(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승강링크(60)가 열유도패널(40)의 무게에 의해 승강링크(6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각 도어링크(30)는 활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도어링크(30)의 전단은 도어(2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31)를, 후단은 승강링크(60)와 접촉하여 승강링크(60)를 회전시키는 누름부(32)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 도어링크(30)의 결합부(31)는 도어(2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누름부(32) 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결합부(31)는 도어(20)에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각 도어링크(30)의 결합부(31)는 도어(20)에 고정결합되어 도어(20)와 함께 이동되고, 이에 따라 누름부(32)는 도어(20)의 이동에 따라 도어(20)가 닫히는 경우에는 하강이동, 도어(20)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승이동 한다.
각 도어링크(30)의 누름부(32)에는 후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321), 제1 돌출부(321)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완곡부(322) 및 전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323)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가 사용자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어링크(30)의 완곡부(322)가 취사실(110)의 캠(11)의 롤러(11a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하강하게 된다. 결국, 도어링크(30)의 완곡부(322)의 상단에 위치한 제1 돌출부(321)가 취사실(110)의 캠(11)의 롤러에 물리게 되고 도어(20)가 완전히 닫혀 고정되게 된다. 한편, 도어링크(30)의 제2 돌출부(323)는 하강하면서 승강링크(60)의 전단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링크(60)의 후단이 상승하면서 열유도패널(40)을 들어올린다. 결국, 열유도패널(40)은 밥솥(50)의 바닥면에 밀착하도록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가 사용자에 의해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어링크(30)의 제1 돌출부(321)에 상방으로 이동하는 힘이 가해짐에 따라 제1 돌출부(321)와 취사실(110)의 캠(11)의 롤러간의 물림이 풀리고, 완곡부(322)가 캠(11)의 롤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승함에 따라 도어(20)가 열리게 된다. 한편, 도어링크(30)의 제2 돌출부(323)는 상승하면서 도어(20)가 닫혀있는 동안 누르고 있던 승강링크(60)의 전단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링크(60)의 후단은 열유도패널(40)의 무게에 의해 하강한다. 결국, 열유도패널(40)은 하강하게 되고, 밥솥(50)의 밑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멀어진다.
각 캠(11)이 취사실(110)의 측면 외면에 설치되고, 각 도어링크(30)가 취사실(110)의 측면 외면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각 캠(11)과 각 도어링크(30)의 동작이 취사실(110) 내의 상황, 즉 열유도패널(40)의 이동이나, 밥솥(50)으로부터 취사 도중 흘러넘친 음식물 등에 의해 영향 받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각 도어링크(30)와 각 승강링크(60)의 결합 및 구체적인 동작은 아래에서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열유도패널(4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취사실(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밥솥(50)을 발열시킨다. 열유도패널(40)은 취사실(110) 내에 삽입된 밥솥(50)의 바닥면에서 자기유도전류가 발생하도록 하여 밥솥(50)의 바닥면이 자체발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유도패널(40)은 교류 전류를 인가받아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히팅코일(410) 및 히팅코일(410)의 상부에서 히팅코일(410)을 보호하는 강화유리(4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열유도패널(40)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덕션 취반기(1)는 열유도패널(40) 내의 히팅코일(410)에서 교류자기장이 생성되고, 밥솥(50) 바닥면의 저항 성분에 의해 교류자기장이 열로 변화되어 밥솥(50)이 발열되므로 취사 과정에서 열유도패널(40)과 밥솥(50)의 바닥면은 밀착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밥솥(50)과 열유도패널(40)이 밀착된 상태에서 밥솥(5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송되면 열유도패널(40)의 상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게 되므로, 밥솥(50)을 취사실(110) 내부로 삽입하고, 취사실(110) 내부로부터 제거할 시, 즉 도어(20)가 열려있을 시에는 열유도패널(40)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열유도패널(40)의 상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유도패널(40)의 중앙부에는 밥솥(50)의 열을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기(42)가 구비될 수 있다. 열감지기(42)는 밥솥(50)의 하면에 밀착되어 밥솥(50)의 열을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를 취반기(1)의 제어패널로 전송한다. 취반기(1)의 제어패널은 밥솥(50)의 온도에 따라 열유도패널(40) 내의 히팅코일(41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밥솥(50)이 발열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열유도패널(40)은 본체(10)에 취사실(11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열유도패널(40)은 취사실(11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본체(10)의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열유도패널(40)은 후단을 중심으로 전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열유도패널(40)이 취사실(110) 내부에서 후단을 중심으로 전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면 열유도패널(40)을 본체(10)에 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열유도패널(40)은 힌지를 이용하여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유도패널(40)은 상하방향 회전의 중심축이 취사실(110) 외부에 배치되도록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유도패널(40)과 본체(10)와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열유도패널(40)이 본체(10)에 결합하는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열유도패널(40)이 본체(10)에 결합한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유도패널(40)은 사각판이 수직하게 절곡되어 “ㄱ”의 횡단면을 갖는 두 개의 회전부재(41)를 이용하여 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각 회전부재(41)는 열유도패널(40)의 후면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부(411)와 회전축(413)이 결합되는 회전부(412)로 구성된다.
각 회전부(412)는 취사실(110)의 후면에 형성된 각 회전공(14)을 통과하여, 본체(10)의 후측 외판(160)에 형성된 고정부재(414)와 회전축(413)을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열유도패널(40)을 본체(10)에 결합시키며, 이에 따라 열유도패널(40)은 회전축(413)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각 회전공(14)은 회전부재(41)보다 넓은 너비를 갖고, 충분히 상하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짐에 따라 도어(20)의 개폐에 따른 회전부재(4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열유도패널(40)의 회전축(413)이 취사실(110)의 외부에 배치됨으로써 취사실(110) 내부에서 회전부재(41)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취사실(110) 내부에 배치되는 열유도패널(40)의 크기를 최대화시킬 수 있어 밥솥을 효율적으로 발열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축이 취사실(110) 외부로 배치됨에 따라 밥솥(50)으로부터 음식물이 흘러넘치는 경우에도 회전축(413)으로 음식물이 들러붙지 않아 고장 발생을 낮출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도어(20)가 닫힌상태의 취반기(1)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취사실(110) 내부에 열유도패널(40)이 배치되고, 열유도패널(40)과 취사실(110)의 각 측면(120, 130) 사이에는 각 승강링크(60)가 설치된다. 취사실(110)의 각 측면(120, 130)의 외면에는 캠(11)이 설치되며, 각 도어링크(30)는 본체의 좌측 내판(120) 및 우측 내판(130)(즉, 취사실(110)의 좌면 및 우면)과 좌측 외판(170) 및 우측 외판(180)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하며 각 승강링크(60) 및 각 캠(11)과 상호 동작한다.
각 승강링크(60)는 각 도어링크(3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며 열유도패널(40)을 승강시킨다. 각 승강링크(60)는 열유도패널(40)의 양 측에 설치되고,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이동하는 도어링크(30)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열유도패널(40)을 지지한 채로 회전함으로써 열유도패널(4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열유도패널(40)은 밥솥(50)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밥솥(50)을 발열시키거나, 밥솥(50) 바닥면과 이격되어 밥솥(50)의 슬라이딩 이송 시 마찰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링크(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승강링크(60)의 사시도, 도 7b는 측면도, 도 7c는 정면도, 그리고 도 7d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링크(60), 도어링크(30) 및 캠의 도어(2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호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승강링크(60)는 바디부(61), 도어링크지지부(62) 및 패널지지부(63)로 구성된다.
바디부(6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디부(61)의 내측에는 링크축홀(611)이 형성된다. 링크축홀(611)에는 취사실(110)의 측면(120, 130)을 관통하는 링크축(613)이 끼워짐으로써, 승강링크(60)는 링크축(613)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한다. 링크축홀(611)은 도어링크지지부(62)보다 패널지지부(63)에 가깝게 형성됨으로써 받침점이 작용점에 보다 가깝게 배치되고,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도어링크(30)로부터의 적은 힘에 의해 열유도패널(40)을 보다 쉽게 들어올려진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부(61)의 내측에는 가이드축홀(612)이 형성된다. 바디부(61)의 가이드축홀(612)은 취사실(110)의 측면(120, 130)에 형성된 가이드공(13)과 겹치도록 배치되고, 가이드공(13)을 관통하는 가이드축(615)이 끼워짐으로써 바디부(61)는 취사실(110)의 측면(120, 130)과 결합한다. 가이드공(13)은 바디부(61)가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회전할 때의 가이드축홀(612)의 이동경로를 따라 형성된다. 즉, 가이드공(13)은 취사실(110)의 측면(120, 130)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링크(60)는 바디부(61)의 가이드축홀(612)에 끼워진 가이드축(615)이 취사실(110)의 측면(120, 130)에 형성된 가이드공(13)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링크(60)가 불필요하게 흔들리거나 위치를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어링크지지부(62)는 도어링크(30)와 가까운 바디부(61)의 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취사실(110)의 각 측면(120, 130)에 형성된 링크공(12)을 통해 취사실(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패널지지부(63)는 바디부(61)의 타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열유도패널(40)의 하단에 배치된다. 도어링크지지부(62) 및 패널지지부(63)는 도어(20)가 닫힌 상태일 때 취사실(110)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도어(20)의 폐쇄 상태에서 각각 도어링크(30) 및 열유도패널(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어링크지지부(62)는 도어(20)의 개폐에 따른 도어링크(30)의 이동 시 도어링크(30)와 접촉함으로써 도어링크(30)로부터 힘을 전달받는다. 도어(20)가 닫히는 동작 시, 도어링크(30)는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어링크지지부(62)와 접하게 되고, 도어링크지지부(62)가 도어링크(30)와 접한 상태로 도어링크(30)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하방 이동함에 따라 바디부(61)가 링크축(613)을 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패널지지부(63)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방으로 이동하는 패널지지부(63)는 열유도패널(40)의 바닥면과 접하게 되고, 패널지지부(63)는 도어(20)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방 이동을 지속하므로 열유도패널(40)의 바닥면과 접한 상태로 열유도패널(40)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에 반해, 도어(20)가 열리는 동작 시, 도어링크(30)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어링크지지부(62)가 도어링크(30)와 접한 상태로 상방이동 하는 한편, 패널지지부(63)는 열유도패널(40)의 무게에 의해 하방이동 하게 되어 열유도패널(40)은 하강하게 되고 밥솥(5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도어(20)가 열리는 동작 시, 도어링크지지부(62)가 도어링크(30)와 접한 상태로 도어링크(30)의 이동에 따라 상방이동 함에 따라, 도어(20)의 개방 시 열유도패널(40)이 자중에 의해 빠르게 낙하하지 않고 패널지지부(6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하강함에 따라 하강 시 패널지지부(63)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링크지지부(62)는 바디부(61)와 수평한 면을 갖도록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링크지지부(62)가 바디부(61)와 수평한 면을 갖는 것은 도어링크(30)의 수평방향 흔들림에 의해 도어링크(30)가 도어링크지지부(6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승강링크(60)의 안정적인 동작에 유리하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르는 취반기(1)의 개폐 상태에 따른 승강링크(60), 도어링크(30) 및 캠(11)의 상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유도패널(40)의 승강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1)의 도어(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승강링크(60)의 패널지지부(63)는 열유도패널(40)의 무게에 의해 하방을 향해 기울어지고, 이에 대한 반대 급부로 도어링크지지부(62)는 상방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취사실(110) 각 측 외면에 설치된 캠(11)은 도어링크(3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어링크(30)의 누름부(32)는 승강링크(6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열유도패널(40)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어(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열유도패널(40)은 밥솥(50)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1)의 도어가 닫히고 있는 과정 중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취반기(1)의 폐쇄를 위해 도어(20)가 취반기(1) 쪽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도어링크(30)의 누름부(32)의 완곡부(322)가 취사실(110)의 캠(11)의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어링크(30)의 누름부(32)의 제2 돌출부(323)는 하방으로 이동 도중 취사실(110)의 각 측면(120, 130)의 링크공(12)을 통해 취사실(110)로부터 돌출된 승강링크(60)의 도어링크지지부(62)와 맞닿게 된다.
도어링크(30)는 도어링크지지부(62)를 아래로 밀어내어 도어링크지지부(62)를 취사실(110)의 각 측면(120, 130)에 형성된 링크공(12)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바디부(61)가 링크축(613)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바디부(61)의 회전에 의해 패널지지부(63)가 상방이동 함으로써 열유도패널(40)을 지지한 상태로 열유도패널(40)을 상승시킨다. 이 과정에서, 바디부(61)는 바디부(61)에 형성된 가이드축홀(612)과 취사실(110) 각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공(13)을 관통하는 가이드축(615)이 가이드공(13)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열유도패널(40)은 승강링크(60)의 패널지지부(6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방이동 함에 따라 밥솥(50)의 바닥면과 도어(20)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일 때 보다 가까워진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1)의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취반기(1)의 도어(20)가 완전히 닫힘에 따라, 도어링크(30)의 제1 돌출부(321)가 캠(11)의 롤러에 물리게 되어 도어(20)가 닫힌 상태로 고정된다. 도어링크(30)의 누름부(32)의 제2 돌출부(323)는 승강링크(60)의 도어링크지지부(62)를 아래로 누르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승강링크(60)의 패널지지부(63)는 열유도패널(40)을 지지한 채로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도어링크지지부(62)와 승강링크(60)는 모두 취사실(11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도어링크(30)와 열유도패널(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열유도패널(40)은 취사실(110)의 바닥면과 평행한 상태로 들어올려지고, 밥솥(50)의 바닥면과 열유도패널(40)의 표면은 밀접하게 접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취반기(1)는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도어링크(30)의 이동을 도어링크(30)에 의해 회전하는 승강링크(60)를 이용하여 열유도패널(40)의 상하 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도어(20)의 개폐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열유도패널(40)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열유도패널(40)이 밥솥(5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밥솥(50)이 효율적으로 발열되도록 하고, 취사가 완료되어 밥솥(50)을 취사실(110)로부터 꺼낼 때는 열유도패널(40)이 하강이동하여 밥솥(50)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밥솥(50)의 슬라이딩 이송 시 밥솥(50)의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열유도패널(40)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링크(30)의 상하 방향 이동이 도어링크(30)의 상하방향 이동이 열유도패널(40)의 상하방향 이동으로 전환되는 과정이, 단순한 판형 구조를 가지는 승강링크(60)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고장 발생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장치의 유지 보수가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취반기
10: 본체
20: 도어
30: 도어링크
40: 열유도패널
50: 밥솥
60: 승강링크
61: 바디부
62: 도어링크지지부
63: 패널지지부
110: 취사실

Claims (10)

  1.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밥솥(50)을 안치시키는 공간인 취사실(110)이 형성된 본체(10);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
    각각이 활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단이 상기 도어(20)의 후면의 양 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후단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두 개의 도어링크(30);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취사실(110) 내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밥솥(50)을 발열시키는 열유도패널(40); 및
    각각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도어링크(30) 및 상기 열유도패널(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도어(20)가 닫힐시에는 상기 열유도패널(40)을 상승시켜 상기 밥솥(50)의 바닥면과 밀착시키고, 상기 도어(20)가 열릴시에는 상기 열유도패널(40)을 하강시켜 상기 밥솥(50)의 바닥면과 상기 열유도패널(40)을 이격시키는 두 개의 승강링크(60)를 포함하고,
    상기 각 승강링크(6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61);
    상기 바디부(61)의 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도어링크(30)의 후단과 직접 접촉하는 도어링크지지부(62); 및
    상기 바디부(61)의 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열유도패널(40)의 하면과 직접 접촉하는 패널지지부(63)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링크지지부(62) 및 상기 패널지지부(63)는 상기 도어(2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취사실(110)의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도어(20)가 완전히 닫힐 시 상기 각 도어링크(30)와 상기 열유도패널(40)의 하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취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승강링크(60)의 패널지지부(63)는 상기 각 도어링크(30)의 상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됨으로써 상기 도어(20)의 폐쇄시에는 상기 열유도패널(40)이 상승이동하여 상기 밥솥(50)의 바닥면과 밀착되고, 상기 도어(20)의 개방시에는 상기 열유도패널(40)이 하강이동하여 상기 밥솥(50)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취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링크(60)는 상기 도어링크지지부(62)가 상기 도어링크(30)의 후단과 직접 접촉한 상태로, 상기 패널지지부(63)가 상기 열유도패널(40)의 하면과 직접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취반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승강링크(60)의 바디부(61)의 내측에는 링크축홀(611)이 형성되고,
    상기 각 승강링크(60)는 상기 링크축홀(611)과 상기 취사실(110)의 각 측면(120, 130)을 관통하는 링크축(613)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상기 열유도패널(40)의 양 측에서 상기 도어링크(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링크축(613)을 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취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축홀(611)은 상기 바디부(61) 내측에서 상기 도어링크지지부(62)보다 상기 패널지지부(63)에 더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각 도어링크(30)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한 상기 열유도패널(40)의 상하 방향 이동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취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승강링크(60)의 바디부(61)의 내측에는 가이드축홀(6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취사실(110)의 각 측면(120, 130)에는 상하방향의 길이를 갖는 호 형상으로 통공된 가이드공(13)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61)의 가이드축홀(612)에 상기 취사실(110)의 각 측면(120, 130)에 형성된 가이드공(13)을 관통하는 가이드축(615)이 끼워지고, 상기 각 승강링크(60)는 상기 도어링크(30)에 의한 회전 시 상기 가이드축(615)이 상기 가이드공(13)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취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링크지지부(62)는 상기 바디부(61)와 평행하는 절곡된 면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도어링크(30)가 상기 도어링크지지부(6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취반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유도패널(40)은 후단을 중심으로 전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취사실(110)의 상면과 상기 열유도패널(4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열유도패널(40)의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취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유도패널(40)의 상하방향 회전의 회전축은 상기 취사실(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취반기.
KR1020220138636A 2022-10-25 2022-10-25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열유도패널이 자동으로 승강되는 인덕션 취반기 KR102510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636A KR102510758B1 (ko) 2022-10-25 2022-10-25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열유도패널이 자동으로 승강되는 인덕션 취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636A KR102510758B1 (ko) 2022-10-25 2022-10-25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열유도패널이 자동으로 승강되는 인덕션 취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758B1 true KR102510758B1 (ko) 2023-03-16

Family

ID=8598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636A KR102510758B1 (ko) 2022-10-25 2022-10-25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열유도패널이 자동으로 승강되는 인덕션 취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7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889A (ko) * 2015-03-13 2016-09-21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KR101794258B1 (ko) * 2017-02-23 2017-11-07 김종석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
KR102049502B1 (ko) * 2019-07-30 2019-11-27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열효율이 우수한 취반기
KR102188321B1 (ko) * 2019-10-22 2020-12-08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분리형 도어링크를 갖는 취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889A (ko) * 2015-03-13 2016-09-21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KR101794258B1 (ko) * 2017-02-23 2017-11-07 김종석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
KR102049502B1 (ko) * 2019-07-30 2019-11-27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열효율이 우수한 취반기
KR102188321B1 (ko) * 2019-10-22 2020-12-08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분리형 도어링크를 갖는 취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32895A1 (en) Cooking appliance
US11832752B2 (en) Hea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9990044699A (ko) 커버를 구비한 토스터
US7994457B2 (en) Drawer-type cooking device
KR20150006129A (ko) 오븐 레인지
KR102510758B1 (ko)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열유도패널이 자동으로 승강되는 인덕션 취반기
KR101969049B1 (ko) 가이드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안착되는 취반기
EP1818620B1 (en) Oven having a pull out door with integral heating element and cooking grids
EP4151133A1 (en) Portable direct-fired roaster
US20220071446A1 (en) Door-lifting type barbecue stove for grilling and smoking
JP2008304107A (ja) コンロ装置
JP3595423B2 (ja) 炊飯調理器
CN104720618B (zh) 电烤箱
JP2015169362A (ja) 加熱調理器
KR101157616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장치
KR102646742B1 (ko) 다단 인덕션 취사기
CN113329633A (zh) 烹饪器具
JP3203354B2 (ja) 両面加熱調理器
KR102632941B1 (ko)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JP4008399B2 (ja) グリル装置
JP4203468B2 (ja) コンロ
KR102633024B1 (ko) 인덕션 다단 취반기
JP3001799B2 (ja) 加熱庫の扉開閉装置
JP2005337651A (ja) 加熱調理器
JP6563740B2 (ja) ガス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