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024B1 - 인덕션 다단 취반기 - Google Patents

인덕션 다단 취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024B1
KR102633024B1 KR1020230163070A KR20230163070A KR102633024B1 KR 102633024 B1 KR102633024 B1 KR 102633024B1 KR 1020230163070 A KR1020230163070 A KR 1020230163070A KR 20230163070 A KR20230163070 A KR 20230163070A KR 102633024 B1 KR102633024 B1 KR 102633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induction
rice cooker
room
indu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수
황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울시스템
Priority to KR1020230163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다단으로 형성된 복수의 취반실 내부에 안착된 취반용기를 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취반실과, 취반실의 하단에 형성되고 취반용기를 유도가열하기 위한 인덕션 모듈이 설치되는 인덕션 모듈실을 포함하는 취반기 본체부; 2 단계의 개폐동작을 가이드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통하여 취반기 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취반실을 개폐하는 취반실 도어; 취반실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취반기 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증기배출유로; 및 인덕션 모듈실 내부의 열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취반기 본체부의 후면의 증기배출유로 하단에 형성되는 열기순환부를 포함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덕션 다단 취반기{Induction Multi-Stage Rice Cooking Device}
본 개시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단 개폐가 가능한 취반실 도어 및 인덕션 열기의 순환유로를 구비한 인덕션이 적용된 다단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대형 식당이나, 군부대, 학교, 공장 등의 구내식당에서는 다수 인원을 위한 식사를 신속하게 준비하여야 하므로, 취반기를 이용하여 밥을 짓는 것이 일반적이다. 취반기는 많은 양의 밥을 지을 때 사용하는 조리기기로서, 이러한 취반기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취반실이 복층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취반실은 도어에 의해 밀폐되고, 취반실의 내부 하측에는 취반실 내부에 안착된 취반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취반용기를 유도가열하기 위한 인덕션 모듈이 적용된 인덕션 취반기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인덕션 취반기는 철성분이 함유된 취반용기가 취반실에 안착되면, 취반실 하단의 인덕션 모듈이 전기에 의해 자기장을 생성하여 취반용기의 저항에 의한 열을 발생시키는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가스렌지 등과 같은 전통적인 가열수단에 비하여 환경오염이 적고 연료비가 적게 소요되며, 높은 열효율로 인하여 빠른 조리가 가능하고, 조리시간 및 온도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덕션 취반기는 몇 가지 문제점도 존재한다. 취반과정은 취반용기에 정해진 양의 쌀과 물을 넣은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가열을 지속하여 끓인 뒤, 끓기가 완료되면 일정 시간동안 잔열의 이용하여 뜸을 들이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경우 인덕션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과 취반실 내의 가열된 취반용기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인덕션 모듈이 장시간 노출되면 고장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취반실 내부는 이러한 열기와 함께 고온의 증기로 가득차게 되는데, 취사 완료시 작업자가 취반실 도어를 열게 되면, 고온의 증기 및 열기에 작업자가 노출되어 화상을 입게 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된 새로운 인덕션 취반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덕션 다단 취반기는 취반기 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증기배출유로를 통하여 취반실 내부에 발생한 고온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며, 인덕션 모듈실 내부의 열기는 취반기 본체부의 후면의 증기배출유로 하단에 형성되는 열기순환부로 유도되어 순환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덕션 다단 취반기의 취반실 도어는 구분된 두 개의 가이드 구간을 갖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레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통하여 취반기 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취반실 도어의 개폐시 두 단계에 걸쳐 개폐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취반실이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취반실 내부에 안착된 취반용기를 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취반실과, 상기 취반실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취반용기를 유도가열하기 위한 인덕션 모듈이 설치되는 인덕션 모듈실을 포함하는 취반기 본체부; 2 단계의 개폐동작을 가이드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통하여 상기 취반기 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취반실을 개폐하는 취반실 도어; 상기 취반실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취반기 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증기배출유로; 및 상기 인덕션 모듈실 내부의 열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취반기 본체부의 후면의 증기배출유로 하단에 형성되는 열기순환부를 포함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덕션 다단 취반기의 취사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 및 열기를 효과적으로 순환 및 배출함으로써 인덕션 모듈의 파손 또는 고장을 방지하고 인덕션 다단 취반기의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취사 완료시 취반실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온의 증기에 의한 화상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다단 취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다단 취반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다단 취반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다단 취반기를 후측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다단 취반기에서의 증기 및 열기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힌지 어셈블리를 통하여 취반기 본체부에 설치된 취반실 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방되는 취반실 도어의 제1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방되는 취반실 도어의 제2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방되는 취반실 도어의 제3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다단 취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다단 취반기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다단 취반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다단 취반기(100)를 간략히 설명하면, 인덕션 다단 취반기(100)는 취반기 본체부(110)에 3 개의 취반실이 다단 형성된다. 각각의 취반실에는 쌀과 물이 담긴 취반용기(10)가 안착될 수 있으며, 인덕션 다단 취반기(100)를 동작시키면, 3 개의 취반실 각각에서 취반용기(10)가 가열되며 취사가 진행된다.
취반실은 취반용기(10)가 드나들 수 있도록 취반기 본체부(110)의 전면부를 향하여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취반기 본체부(110)의 전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는 취반실 도어(120)가 취반실 각각에 대하여 설치된다.
취반기 본체부(110) 내부의 취반실 하단에는 취반용기(10)를 유도가열하기 위한 인덕션 모듈이 각각 설치되고, 이러한 인덕션 모듈은 취반기 본체부(110) 측면의 제어부 함체(160) 내부에 구비된 다양한 전기장치, 예를 들면, 파워 서플라이, 메인보드 등에 의하여 동작한다. 여기서, 제어부 함체(160)의 상부에는 제어패널(161)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제어패널(161)을 조작하여 인덕션 모듈의 유도가열 동작을 제어하거나, 제어패널(161)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100)의 동작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다단 취반기(100)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다단 취반기(100)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다단 취반기(100)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다단 취반기(100)를 후측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인덕션 다단 취반기(100)는 취반기 본체부(110) 내부에 3개의 취반실(111)이 상하로 형성되고, 각각의 취반실 하단에는 인덕션 모듈(114)이 설치되는 인덕션 모듈실(112)이 형성된다.
인덕션 모듈(114)의 상부에는 인덕션 상판(113)이 구비되고, 취반실(111)에 도입되는 취반용기(10)는 인덕션 상판(113)에 의하여 지지되며 취반실(111) 내부에 안착된다. 즉, 인덕션 상판(113)은 취반실(111)의 저면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취반실(111) 및 인덕션 모듈실(112)은 인덕션 상판(113)에 의하여 상하로 격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취반과정에서 취반실(111) 내부는 취반용기(10)에 담긴 물이 상변화한 고온의 증기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인덕션 모듈(114)은 일종의 전기장치이므로, 취반실(111) 내부의 증기 또는 그 증기가 응결된 물이 하단에 위치한 인덕션 모듈실(112) 내부로 들어오게 되면 인덕션 모듈(114)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인덕션 상판(113)은 취반실(111) 및 인덕션 모듈실(112) 사이의 격벽으로 기능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인덕션 상판(113)은 세라믹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인덕션 상판(113)의 소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비자성 소재가 이용될 수 있음은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 해당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취반실(111)의 좌우 내측면 상에는 취반용기(10)가 도입되는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가이드 프레임(116)이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프레임(116)에는 취반용기가 가이드 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복수 개의 수평 가이드롤러가 가이드 프레임의 상방으로 돌출되되 가이드 프레임(116)상에 수평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취반용기(10)가 취반실(111) 내부로 도입되는 과정에서 취반용기(10)의 상부 외주로부터 플랜지 형태로 돌출되는 손잡이부의 저면이 수평 가이드롤러에 접촉됨으로써, 취반용기(10)는 용이하게 취반실(111) 내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인덕션 모듈실(112)에는 유도가열코일을 구비하는 인덕션 모듈(114)이 각각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유도가열코일은 여러 가닥의 구리세선을 꼬아서 형성한 구리연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대략 원판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인덕션 모듈(114)의 유도가열코일에 교류전류를 인가하면 코일 주위에는 자기장이 형성된다. 교류전류는 전류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반전되므로, 이에 따라, 코일 주위의 자기장의 자속 방향도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하는 자속이 철과 같이 자성을 갖는 금속을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취반용기(10)를 통과하게 되면,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기전력이 유도된다. 이러한 전자유도현상에 의하여 취반용기(10) 내부에는 와전류(Eddy current)가 흐르게 되며, 와전류와 취반용기(10) 내부의 저항에 의하여 취반용기(10)가 가열되는 것이다. 조리기구에 대한 유도가열방법은 인덕션 렌지 등으로 상용화되어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인덕션 모듈(114)의 유도가열 동작은 제어부 함체(160) 상단의 제어패널(161)을 조작하여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함체(160) 내부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파워서플라이, 방열판 등을 포함하는 제어유닛(162)이 인덕션 모듈(114) 각각에 대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패널(161)에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제어유닛(162)이 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 및 교류전류 등을 인덕션 모듈(114) 에 전송하여 인덕션 모듈(114)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 함체(160)의 후면상에서 내부의 제어유닛(162)과 인접한 지점에는 제어부 함체(160) 내부의 냉각을 위한 DC 팬(163)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취반실 도어(120)는 2 단계의 개폐동작을 가이드하는 힌지 어셈블리(130)를 통하여 취반기 본체부(110)의 전면에 설치된다. 힌지 어셈블리(130)는 취반실 도어(120)가 상하로 회전 개폐되는 과정에서, 단번에 매끄럽게 회전하며 개폐되는 것이 아닌, 회전중에 발생하는 멈춤동작에 의하여 구분되는 2 개의 회전단계를 거쳐 개폐되도록 취반실 도어(120)의 회전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러한 힌지 어셈블리(13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6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취반기 본체부(110)의 후면에는 취반실(111) 내부에 발생한 고온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배출유로(14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증기배출유로(140)는 취반기 본체부(110) 취반실(111)의 후면 상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취반기 본체부(1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로형태의 증기배출 덕트부를 포함한다. 증기배출유로(140)의 증기배출 덕트부 내부공간은 개구부를 통하여 취반실(111)의 내부와 연통된다. 여기서, 증기배출 덕트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취반실(111)로부터 증기배출유로(140)로 이동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취반기 본체부(110) 후면의 증기배출유로(140) 하단에는 인덕션 모듈실(112) 내부의 열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열기순환부(15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열기순환부(150)는 취반기 본체부(110)의 후면 영역 중에서 상기 인덕션 모듈실(112)의 후면 하단에 대응되는 높이의 위치로부터 상기 증기배출유로(140)의 하단에 대응되는 높이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을 전반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열기순환부(150) 내부는 인덕션 모듈실(112)의 후면 상단에 가로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를 통하여 인덕션 모듈실(112) 내부와 연통되며, 취반기 본체부(110)의 후면에서 증기배출유로(140) 하단, 즉, 열기순환부(150)의 후면 상단에는 인덕션 모듈실(112)로부터 열기순환부(150)로 이동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열기 배출구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다단 취반기에서의 증기 및 열기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취반실(111) 내부에 취반용기(10)가 안착되고 취반실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취사가 진행되면, 인덕션 모듈실(112) 내부의 인덕션 모듈(114)이 취반용기(10)를 유도가열하게 된다. 유도가열된 고온의 취반용기(10)에서는 다량의 증기(20)가 발생하며, 인덕션 모듈(114)에서는 열기(30)가 발생한다. 또한, 인덕션 모듈실(112)에는 고온의 취반용기(10)로부터 전달된 열기(30)가 인덕션 모듈(114) 자체로부터 기인한 열기(30)와 함께 존재할 수 있다.
취반실(111) 내부의 증기(20)는 취반실(111) 상부를 따라 취반실(111)의 후면 상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를 거쳐 증기배출유로(140)의 증기배출 덕트부 내부로 이동하고, 증기배출 덕트부 내부에 도달한 증기(20)는 증기배출 덕트부의 상부 관통공(141a) 및 하부 관통공(141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인덕션 모듈실(112) 내부의 열기(30)는 인덕션 모듈실(112)의 후면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151)를 통하여 열기순환부(150) 내부로 이동한다. 열기순환부(150) 내부로 이동한 열기(30)는 열기순환부(150)의 상단부에 취반기 본체부(110)의 후방으로 형성된 열기 배출구(15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즉, 열기순환부(150) 내부는 인덕션 모듈실(112)로부터 이동한 열기(30)로 인하여 일정한 고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열기순환부(150)는 인덕션 모듈실(112) 상부에 위치한 취반실(111) 후면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영역은 인덕션 모듈실(112)에서 올라오는 열기(30)로 채워지게 되므로, 취반실(111)의 후면은 열기순환부(150) 내부의 열기(30)에 의하여 보온된다. 구체적으로, 취반실(111) 내부온도와 취반기 본체부(110) 외부온도간의 차이에 비하여, 취반실(111) 내부온도와 열기순환부(150) 내부온도간의 차이가 더 작으므로, 취반실(111) 후방에서의 열손실은 열기순환부(150)의 열기(30)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그밖에도, 열기순환부(150)를 따라 열기 배출구(152)를 향하여 이동하는 열기(30)로부터 일부의 열이 취반실(111)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열기순환부(150)를 통하여 순환하는 열기(30)는 취반실(111) 내부의 온도유지에 기여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인덕션 다단 취반기(100)의 열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증기배출유로(140)는 취반기 본체부(110)의 후면에 전반적으로 형성된 열기순환부(150)를 관통하는 형태로 별도의 경로를 형성하므로, 증기(20)와 열기(30)는 각각 서로 격리된 경로인 증기배출유로(140)와 열기순환부(150)를 통하여 개별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열기순환부(150)는 인덕션 모듈실(112)의 후면 및 증기배출유로(140) 하단의 취반실(111) 후면에 걸친 영역을 전반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열기순환부(150)가 형성되는 영역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열기순환부(150)는 인덕션 모듈실(112)의 후면 상단부로부터 증기배출유로(140) 하단의 취반실(111) 후면에 걸친 영역만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힌지 어셈블리는 취반실 도어 내측면의 좌측 하단부 및 우측 하단부 각각에 결합되며, 도 6은 좌측 하단부에 결합되는 좌측 힌지 어셈블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힌지 어셈블리는 일단이 취반실 도어 내측면의 좌측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좌측 힌지 브라켓(131a)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좌측 힌지 브라켓(131a)은 복수의 나사 체결구를 포함하는 직각으로 절곡된 일단이 취반실 도어 내측면의 좌측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이 취반실의 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좌측 힌지 브라켓(131a)은 취반실 도어 내측면의 반대 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좌측 힌지 브라켓(131a)은 취반실의 저면 방향으로 직선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좌측 힌지 브라켓(131a)의 타단에는 도어 내측면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좌측 걸림돌기(1311a)가 형성될 수 있다. 취반실 도어가 최대로 열린 경우, 좌측 걸림돌기(1311a)는 취반실 내부의 측면에 형성된 스토퍼에 걸림 지지된다. 즉, 취반실 도어의 최대 열림각도는 힌지 브라켓의 길이 및 걸림돌기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힌지 어셈블리는 상단이 좌측 힌지 브라켓(131a)의 중단부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좌측 가이드 롤러(1331a)가 결합되는 좌측 롤러 암(132a)을 포함한다. 여기서, 좌측 롤러 암(132a)의 상단부는 좌측 힌지 브라켓(131a)의 중단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1321a)을 통하여 결합되고, 좌측 롤러 암(132a) 하단부의 좌측 가이드 롤러(1331a)는 인덕션 모듈실 내부의 좌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좌측 레일 플레이트(133a)의 내부에 형성된 다구간 가이드레일에 수용된다. 여기서, 좌측 가이드 롤러(1331a)는 우측 가이드 롤러(미도시)와 상호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 샤프트(134)에 의하여 우측 가이드 롤러와 연결될 수 있다.
좌측 레일 플레이트(133a)의 내부에 형성된 다구간 가이드레일은 제1 가이드 구간(1331a) 및 제2 가이드 구간(1332a)을 포함한다. 다구간 가이드레일에 수용되는 좌측 가이드 롤러(1331a)는 제1 가이드 구간(1331a) 및 제2 가이드 구간(1332a)이 이루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좌측 가이드 롤러(1331a)는 제1 가이드 구간(1331a) 및 제2 가이드 구간(1332a)에 대응되는 다구간 가이드레일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활주하며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가이드 구간(1331a) 및 제2 가이드 구간(1332a)의 연결부는 좌측 가이드 롤러(1331a)의 이동조건이 변화하도록 형성된다. 좌측 가이드 롤러(1331a)가 제1 가이드 구간(1331a)을 지나 제2 가이드 구간(1332a)에 진입하는 순간, 또는 그 반대의 순간에, 좌측 가이드 롤러(1331a)를 지속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해져야 하는 힘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므로, 순간적으로 이동속도의 변화 또는 급제동이 유도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평행한 제1 가이드 구간(1331a) 및 제2 가이드 구간(1332a)은 미리 설정된 길이의 단차를 이루며 어긋난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이드 구간(1331a)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하던 좌측 가이드 롤러(1331a)는 제2 가이드 구간(1332a)에서도 선형이동을 이어가기 위해서 단차를 넘어 제2 가이드 구간(1332a)으로 수직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좌측 가이드 롤러(1331a)는 제1 가이드 구간(1331a)에서 제2 가이드 구간(1332a)으로 전이하기 위한 수직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순간적으로 선형이동 속도가 급격히 감소하게 되거나, 나아가, 단차를 넘어서기에 부족한 힘에 의하여 이동하던 경우라면, 단차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이동을 멈추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가이드 구간(1331a)에 의한 좌측 가이드 롤러(1331a)의 이동경로가 인덕션 모듈실의 저면과 이루는 제1 각도와, 제2 가이드 구간(1332a)에 의한 좌측 가이드 롤러(1331a)의 이동경로가 인덕션 모듈실의 저면과 이루는 제2 각도가 서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각도의 제1 가이드 구간(1331a)을 따라 선형이동하던 좌측 가이드 롤러(1331a)는 제2 가이드 구간(1332a)에서는 급격하게 이동방향이 달라지게 된다. 이 경우, 제1 가이드 구간(1331a)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하던 좌측 가이드 롤러(1331a)가 제2 가이드 구간(1332a)에서도 동일하게 선형이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제1 가이드 구간(1331a)에서 좌측 가이드 롤러(1331a)에 가해지던 힘과 다른 크기의 힘이 가해져야 한다.
구체적으로, 좌측 롤러 암(132a)에 의하여 좌측 가이드 롤러(1331a)에 전달되는 힘의 방향은 일정하므로, 이동방향이 달라진 좌측 가이드 롤러(1331a)의 선형이동 상태를 동일하게 지속하기 위해서는 좌측 롤러 암(132a)에 의하여 전달되는 힘의 크기가 달라져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정의 힘에 의하여 제1 가이드 구간(1331a)에서 이동하던 좌측 가이드 롤러(1331a)는 제2 가이드 구간(1332a)에 진입하는 순간, 급격하게 이동속도가 감소하게 되거나 나아가 일시적인 걸림상태가 유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취반실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 예를 들면, 취반실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취반실 도어를 회전시키면, 좌측 힌지브라켓(131a) 중단부의 상대적인 위치는 취반기 본체 전면방향으로 수평이동함과 동시에 하방으로 수직이동하게 된다.
이에, 좌측 힌지브라켓(131a)의 중단부에 회전축(1321a)을 통하여 결합된 좌측 롤러 암(132a) 상단의 상대적인 위치도 좌측 힌지브라켓(131a) 중단부와 동일한 위치로 이동되나, 좌측 롤러 암(132a) 자체는 회전축(1321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므로, 좌측 롤러 암(132a) 하단의 좌측 가이드 롤러(1331a)의 상대적인 위치는 좌측 레일 플레이트(133a)의 내부에 형성된 다구간 가이드레일을 따라 대략적으로 취반기 본체 전면방향으로 수평이동된다. 여기서, 좌측 롤러 암(132a) 자체는 취반기 본체 전면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회전축(1321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좌측 가이드 롤러(1331a)는 제2 가이드 구간(1332a)을 따라 제1 가이드 구간(1331a)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가이드 구간(1331a)은 제2 가이드 구간(1332a)에 대하여 상방으로 일정한 단차를 이루며 연결되어 있으므로, 좌측 가이드 롤러(1331a)는 제1 가이드 구간(1331a)에 진입하는 시점에 단차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이동속도는 급격히 감소하거나 멈추게 된다. 결과적으로, 취반실 도어는 두 개의 가이드 구간에 의하여 구분되는 2 단계의 동작을 거쳐서 완전개방된다.
사용자가 일정 각도만큼 취반실 도어를 개방하게 되어 좌측 가이드 롤러(1331a)가 제1 가이드 구간(1331a)에 진입하면, 취반실 도어에서는 순간적인 걸림 현상이 발생하거나, 개방속도의 감소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취반실 도어의 개방시, 취반실 내부로부터 취반실 도어의 열린 틈을 통하여 순간적으로 방출되는 고온의 증기는 일정 수준의 양으로 제한되며, 사용자는 취반실 도어를 더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힌지 어셈블리를 통하여 취반기 본체부에 설치된 취반실 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취반실 도어(120) 내측면의 좌측 하단부 및 우측 하단부에는 각각 좌측 힌지 브라켓(131a) 및 우측 힌지브라켓(131b)이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취반실 도어(120) 내측면에는 취반용기를 하부로부터 지지하며 취반실 내부로 가이드하는 지지롤러(127)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좌측 힌지 브라켓(131a) 및 우측 힌지브라켓(131b)의 단부에는 각각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취반실 도어(120)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좌측 힌지 브라켓(131a) 및 우측 힌지브라켓(131b)은 걸림돌기에 의하여 취반실 내부 좌우측면에 형성된 스토퍼(117a, 117b)에 각각 걸림지지된다.
일반적으로 취반실 도어(120)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소재로 제작되어 상당한 중량을 갖는다. 이러한 취반실 도어(120)가 상하로 회전 개폐되는 과정에서 취반실 도어(120)의 중량에 따른 충격은 힌지 어셈블리에 전달 및 누적될 수 있으며 힌지 어셈블리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취반실 도어(120)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힌지 어셈블리에는 가장 큰 중량이 걸리게 된다. 이때, 취반실 도어(120)가 걸림돌기에 의하여 스토퍼(117a, 117b)에 걸림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힌지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좌측 힌지 브라켓(131a)의 중단부에는 좌측 롤러 암(132a)의 상단이 축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우측 힌지 브라켓(131b)의 중단부에는 우측 롤러 암(132b)의 상단이 축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좌측 롤러 암(132a) 하단에 구비된 좌측 가이드 롤러는 인덕션 모듈실의 내부 좌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좌측 레일 플레이트(133a)의 다구간 가이드 레일에 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우측 롤러 암(132b) 하단에 구비된 우측 가이드 롤러는 인덕션 모듈실의 내부 우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우측 레일 플레이트(133b)의 다구간 가이드 레일에 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여기서, 좌측 레일 플레이트(133a)와 우측 레일 플레이트(133b)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좌측 가이드 롤러 및 우측 가이드 롤러는 수평 샤프트(134)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샤프트(134)의 좌우 양단에 결합되는 좌측 가이드 롤러 및 우측 가이드 롤러는 서로 수평 연동되어 이동하게 되고, 취반실 도어(120)의 개폐과정에서 좌우측의 힌지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취반실 도어(120)의 하중은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다.
수평 샤프트(134)에는 항상 인덕션 모듈실의 내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덕션 모듈실의 저면(116)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에 연결된 좌측 스프링(135a) 및 우측 스프링(135b)은 수평 샤프트(134)의 좌우측 단부로부터 중단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수평 샤프트(134)에 항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력은 좌측 가이드 롤러 및 우측 가이드 롤러가 항시 인덕션 모듈실의 내부방향으로 복귀하도록 작용하며, 나아가 힌지 어셈블리를 통하여 취반실 도어(120)에 전달되어, 취반실 도어(120)가 완전히 닫힘상태일 때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취반실 도어(120)가 최대로 개방된 경우에는 취반실 도어(120) 자체의 하중과 스토퍼(117a, 117b) 및 걸림돌기의 지지력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가 유지돨 수 있으며, 취반실 도어(120)가 완전히 닫힌 이후에는 좌측 스프링(135a) 및 우측 스프링(135b)의 탄성력에 기인한 복원력에 의하여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a 내지 8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방되는 취반실 도어의 일련의 동작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8c에서는 생략되어 있으나, 취반실 도어(120) 하단에 대응하는 높이로 인덕션 모듈실의 저면(116)과 평행한 인덕션 상판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인덕션 상판은 취반실의 저면을 구성하고 취반실과 인덕션 모듈실을 상하로 구획한다. 또한, 도 8a 내지 8c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의 측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상에는 우측 힌지 어셈블리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취반실 도어(120)의 개방시 좌측 힌지 어셈블리는 우측 힌지 어셈블리와 동일하게 동작함은 상술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것이다.
먼저 도 8a을 참조하면, 취반실 도어(120)가 개방되기 시작하는 시점의 제1 동작상태, 즉, 개방되기 전 닫혀있는 상태의 취반실 도어(12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동작상태에서 취반실 도어(120)는 인덕션 모듈실의 저면(116)과 수직을 이루며, 취반실은 취반실 도어(120)에 의하여 밀폐된다.
취반실 도어(120)의 하단부분에 결합된 우측 힌지브라켓(131b)은 취반실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우측 힌지브라켓(131b)의 위치는 취반실 도어(120)의 전체 개폐 과정에서 가능한 위치 중에서 가장 취반실 후면에 가까운 위치에 해당한다. 우측 가이드 롤러(1331b)는 우측 롤러 암(132b)을 통하여 우측 힌지브라켓(131b)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우측 가이드 롤러(1331b)는 우측 레일 플레이트(133b)의 다구간 가이드레일을 따라 취반실 후면 방향으로 최대로 후퇴된다.
인덕션 모듈실의 저면(116)에 연결된 우측 스프링(135b)은 우측 가이드 롤러(1331b)에 연결된 수평 샤프트를 통하여 우측 가이드 롤러(1331b)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이러한 탄성력에 의하여, 우측 가이드 롤러(1331b)는 항상 현재의 최대 후퇴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복원력은 힌지 어셈블리를 통하여 취반실 도어(120)에 전달되어, 취반실 도어(120)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다음으로 도 8b를 참조하면, 취반실 도어(120)가 개방중인 일 시점의 제2 동작상태, 구체적으로, 2 단으로 구분되는 전체 개방동작 중에서 첫번째 개방동작을 거쳐 두번째 개방동작이 개시되는 시점에서의 취반실 도어(120)가 도시되어 있다. 제2 동작상태에서 취반실 도어(120)는 하단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개방되며 취반실 도어(120)의 하단부분에 결합된 우측 힌지브라켓(131b)은 취반실 도어(120)를 따라 취반실의 전방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우측 힌지브라켓(131b)에 연결된 우측 롤러 암(132b)도 취반실의 전방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그 하단의 우측 가이드 롤러(1331b)는 우측 레일 플레이트(133b)의 다구간 가이드레일을 따라 취반실 전방으로 전진한다. 여기서, 다구간 가이드레일은 상방으로 돌출된 단차를 이루며 어긋나게 연결된 두 가이드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다구간 가이드레일은 취반실 후면 방향의 첫번째 가이드 구간과 취반실 도어(120)쪽 방향의 두번째 가이드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두 가이드 구간의 연결지점에서는 두번째 가이드 구간이 첫번째 가이드 구간으로부터 상방으로 어긋난 형태로 단차를 이루며 연결된다.
우측 가이드 롤러(1331b)는 첫번째 가이드 구간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전진한 후, 단차 부분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서, 우측 가이드 롤러(1331b)가 두번째 가이드 구간에 진입하여 계속 전진하기 위해서는 더 큰 외력에 의하여 단차를 극복하여야 하므로, 우측 가이드 롤러(1331b)는 단차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이동을 멈추게 된다. 즉, 취반실 도어(120) 관점에서는 첫번째 개방동작이 종료되고 두번째 개방동작이 개시됨에 앞서서 순간적으로 현재의 회전이 저지된다.
마지막으로 도 8c를 참조하면, 취반실 도어(120)가 최대로 개방된 제3 동작상태, 구체적으로, 도 8b에 도시된 제2 동작상태에서 더 큰 외력이 취반실 도어(120)에 가해짐으로써 두번째 개방동작이 진행되어, 최종적으로 개방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의 취반실 도어(120)가 도시되어 있다.
제 3 동작상태에서, 취반실 도어(120)는 인덕션 모듈실의 저면(116)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취반실 도어(120)의 하단부분에 결합된 우측 힌지브라켓(131b) 하단의 걸림돌기는 취반실 내부 우측면에 형성된 스토퍼(117b)에 걸림 지지되고, 취반실 도어(12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취반기의 전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상태의 취반실 도어(120)의 무게중심은 취반기로부터 가장 먼 거리의 위치에 존재하므로, 힌지 어셈블리에 걸리는 취반실 도어(120)의 하중은 최대가 된다. 그러나, 취반실 도어(120)는 스토퍼(117b)에 걸림지지되는 걸림돌기에 의한 지지력, 우측 스프링(135b)에 의하여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현재의 완전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가장 양호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취반용기 20: 증기
30: 열기 100: 인덕션 다단 취반기
110: 취반기 본체부 111: 취반실
112: 인덕션 모듈실 113: 인덕션 상판
114: 인덕션 모듈 116: 가이드 프레임
120: 취반실 도어 130: 힌지 어셈블리
140: 증기배출유로 150: 열기순환부
160: 제어부 함체 161: 제어패널
162: 인덕터 제어부 163: DC 팬

Claims (12)

  1. 복수의 취반실이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취반실 내부에 안착된 취반용기를 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취반실과, 상기 취반실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취반용기를 유도가열하기 위한 인덕션 모듈이 설치되는 인덕션 모듈실을 포함하는 취반기 본체부;
    2 단계의 개폐동작을 가이드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통하여 상기 취반기 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취반실을 개폐하는 취반실 도어;
    상기 취반실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취반기 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증기배출유로; 및
    상기 인덕션 모듈실 내부의 열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취반기 본체부의 후면의 증기배출유로 하단에 형성되는 열기순환부
    를 포함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상기 취반실의 저면을 구성하는 인덕션 상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상판에 의하여 상기 취반실 및 상기 인덕션 모듈실이 상하로 격리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반실은,
    양쪽 내측면상에 상기 취반용기가 도입되는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취반용기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가이드 롤러
    를 포함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유로는,
    상기 취반실의 후면 상단에 가로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취반실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취반기 본체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취반기 본체부의 후면 상에 형성되는 증기배출 덕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증기배출 덕트부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순환부는,
    상기 취반기 본체부의 후면 중에서 상기 인덕션 모듈실의 후면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인덕션 모듈실의 후면 상단에 가로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를 통하여 상기 인덕션 모듈실 내부와 연통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취반실 도어 내측면의 좌측 하단부 및 우측 하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며, 상기 취반실 도어 내측면의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그 타단이 상기 취반실의 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는 힌지 브라켓;
    상단이 상기 힌지 브라켓의 중단부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단에는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는 롤러 암; 및
    상기 인덕션 모듈실 내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롤러 암의 상기 가이드 롤러가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는 다구간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레일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은,
    상기 취반실 도어가 최대로 열린 경우 상기 취반실 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스토퍼에 걸림 지지되도록 돌출된 걸림돌기가 상기 타단에 구비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구간 가이드레일은,
    수용된 가이드 롤러의 이동경로와 상기 인덕션 모듈실의 저면과 이루는 각도가 동일한 각도를 갖는 두 가이드 구간이 미리 설정된 길이의 단차를 이루며 어긋나도록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구간 가이드레일은,
    수용된 가이드 롤러의 이동경로와 상기 인덕션 모듈실의 저면과 이루는 각도가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두 가이드 구간이 상호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인덕션 모듈실 내부의 좌측면에 결합된 레일 플레이트에 수용된 좌측 가이드롤러와 상기 인덕션 모듈실 내부의 우측면에 결합된 레일 플레이트에 수용된 우측 가이드롤러가 수평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좌측 가이드롤러 및 상기 우측 가이드롤러가 각각 양단에 결합되는 수평 샤프트
    를 더 포함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샤프트는,
    상기 인덕션 모듈실의 내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인덕션 모듈실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반실 도어는,
    상기 취반실 도어가 최대로 열린 경우 상기 취반용기를 하부로부터 지지하며 상기 취반실 내부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취반실 도어의 내측면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인덕션 다단 취반기.
KR1020230163070A 2023-11-22 2023-11-22 인덕션 다단 취반기 KR10263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3070A KR102633024B1 (ko) 2023-11-22 2023-11-22 인덕션 다단 취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3070A KR102633024B1 (ko) 2023-11-22 2023-11-22 인덕션 다단 취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024B1 true KR102633024B1 (ko) 2024-02-05

Family

ID=8990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3070A KR102633024B1 (ko) 2023-11-22 2023-11-22 인덕션 다단 취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0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357A (ko) * 2009-10-23 2011-04-29 주식회사 파세코 상업용 취반기
KR101720995B1 (ko) * 2016-12-08 2017-04-06 (주)한신기업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KR101750525B1 (ko) * 2016-11-01 2017-06-26 주식회사 알엔에스 기능성 취반기
KR102432267B1 (ko) * 2022-06-08 2022-08-12 (주) 인스템 기능성 인덕션 다단 취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357A (ko) * 2009-10-23 2011-04-29 주식회사 파세코 상업용 취반기
KR101750525B1 (ko) * 2016-11-01 2017-06-26 주식회사 알엔에스 기능성 취반기
KR101720995B1 (ko) * 2016-12-08 2017-04-06 (주)한신기업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KR102432267B1 (ko) * 2022-06-08 2022-08-12 (주) 인스템 기능성 인덕션 다단 취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1138B2 (en) Vertical lift door assembly for an appliance
KR101235163B1 (ko) 전자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회전형 국솥
AU20172684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oven with a movable cook surface
WO2018060331A1 (en) Autonomous apparatus for cooking food, and corresponding method
US11454401B2 (en) Cooking appliance
EP3680555A1 (en) Cooking appliance
JP2014219188A (ja) 調理装置
KR20100119128A (ko)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US20120125312A1 (en) Cooking appliance and an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RU23950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EP1818620B1 (en) Oven having a pull out door with integral heating element and cooking grids
KR102633024B1 (ko) 인덕션 다단 취반기
EP3940299A1 (en) Cooking appliance
CN1281963A (zh) 热风对流式微波炉
EP2184545B1 (en) Cooking oven
KR101695410B1 (ko)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JP4751793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8367979B2 (en) Cooking platform and related method
US7814896B2 (en) Range design for surface temperature control
CN108095545A (zh) 煮面装置
KR102665619B1 (ko) 전기가열방식을 이용한 다기능 조리솥
US8439027B2 (en) Door control mechanism
CN217852160U (zh) 一种展示柜制热装置
CN203263113U (zh) 食物烘烤装置
KR101423755B1 (ko) 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