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995B1 -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 Google Patents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995B1
KR101720995B1 KR1020160167067A KR20160167067A KR101720995B1 KR 101720995 B1 KR101720995 B1 KR 101720995B1 KR 1020160167067 A KR1020160167067 A KR 1020160167067A KR 20160167067 A KR20160167067 A KR 20160167067A KR 101720995 B1 KR101720995 B1 KR 101720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exhaust gas
guide pipe
discharg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웅
Original Assignee
(주)한신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신기업 filed Critical (주)한신기업
Priority to KR1020160167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9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가스 취반기의 배기덕트와 연통되는 배기구의 배기창의 외측에 상기 배기창을 감싸는 이중구조로 형성된 배기가스안내관이 부착되어 상기 배기가스안내관에 의하여 배기가스가 상방으로 안내되어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면서도 상기 배기가스안내관에 의하여 가열된 배가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포획된 상태에서 상부로 배출되면서 이동되므로 배기가스가 상방으로만 배출되게 되어 배출방향이 정해지게 되고 상부로 배출되면서 고온상태의 배기가스가 다시 가스 취반기의 내부온도를 가열하게 되므로 취사시간이 단축되어 가스의 사용량이 절감되는 것이 가능한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로서, 한 개 이상의 취반실이 복층으로 형성되며 도어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취반실의 내부 하측에는 열원인 가스를 공급받아 발화되는 버너가 설치되고, 취반실의 내부 상측에는 취반실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덕트가 설치된 가스 취사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와 연통된 후방의 각 배기창을 양 측면에서 감싸면서 상부로 연장되고 상하부는 개방된 배기가스안내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 Gas rice-cooker with dual exhaust pipe }
본 발명은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스 취반기의 배기덕트와 연통되는 배기구의 배기창의 외측에 상기 배기창을 감싸는 이중구조로 형성된 배기가스안내관이 부착되어 상기 배기가스안내관에 의하여 배기가스가 상방으로 안내되어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면서도 상기 배기가스안내관에 의하여 가열된 배가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포획된 상태에서 상부로 배출되면서 이동되므로 배기가스가 상방으로만 배출되게 되어 배출방향이 정해지게 되고 상부로 배출되면서 고온상태의 배기가스가 다시 가스 취반기의 내부온도를 가열하게 되므로 취사시간이 단축되어 가스의 사용량이 절감되는 것이 가능한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가스 취반기는 가스를 열원으로 많은 양의 밥을 지을 때 사용하는 조리기기로서 이미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도 1과 도 2에는, 일반적인 가스 취반기의 일 예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가스 취반기의 본체(1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취반실(11)이 복층으로 형성되며 도어(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취반실(11)의 내부 하측에는 열원인 가스를 공급받아 발화되는 버너(30)가 설치된다.
또한, 취반실(11)의 양 내측벽에는 롤러(41)가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열된 가이드 레일(40)이 설치되며 그 가이드 레일(40)에는 약 50인분의 밥을 지을 수 있는 취반용기(50)가 놓여지며 뚜껑(60)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본체(10)의 전면 적당한 곳에는 취반기의 취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가 설치된다.
물론, 버너(30)의 내측에는 온도 감지수단의 기능을 하는 써미스터(80)가 설치되고, 본체(10)의 전면에는 연소용 공기가 흡입되어 취반실(11)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흡입그릴(90)이 배치되며 취반실(11)의 내부 상측에는 취반실(11)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덕트(100)가 설치된다.
따라서 취반용기(50)에 적당량의 쌀과 물을 넣은 상태에서 버너(30) 를 발화시킨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끓기가 완료되고, 밥의 끊기가 완료되면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함과 동시에 설정된 시간동안 뜸을 들이고, 설정된 시간동안 뜸들이가 진행된 후 자동으로 취반이 완료된다.
물론, 상기한 모든 일련의 동작은 제어부에 내장된 마이컴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하게 되나, 취반기의 취반실(11)에는 내부의 고온 다습한 열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덕트(100)가 관통 형성되는데, 밥을 짓지 않을 때에는 상기한 배기덕트(100)를 통하여 벌레나 곤충 등이 유입될 우려가 있었으며, 그와 같은 우려는 현실로 작용되어 실제로 취반이 완료되었을 때 완성된 밥 속에서 벌레가 나오는 등의 문제점이 종종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 제20-0377004호의 '가스 취반기의 배기덕트'라는 명칭으로, 가스 취반기 본체(10)에는 도어(20)에 의해 밀폐되는 취반실(11)이 형성되며, 상기 취반실(11)을 형성하는 후벽에는 취반시 발생하는 고온 다습한 열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덕트(100)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덕트(100)의 내, 외측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는 다수의 홀(210)이 형성된 배기창(200)이 부착된 가스 취반기가 제안되어, 벌레의 침입에 대한 문제점은 훌륭하게 해결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가스 취반기의 경우에는, 상기 배기덕트(100)를 통하여 배기창(200)으로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그대로 배출되므로 폐열의 회수를 할 수가 없는 상태가 되므로 연료의 낭비가 있게 되는 문제점과, 상기 배기덕트(100)로 배출되는 장소에서 천정이 낮은 경우는 주방의 내부 온도의 상승으로 작업자가 질식의 우려가 있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되는 가스가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같은 불연소된 배기가스중에서 일산화탄소가 다량이 배출됨으로 인하여 주방의 환경이 불량하게 되어 작업자들이 어지럼증을 호소하게 되는 등의 주방환경을 악화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 20-037700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 취반기의 배기덕트와 연통되는 배기구의 배기창의 외측에 상기 배기창을 감싸는 이중관으로 형성된 배기가스안내관이 부착되어 상기 배기가스안내관에 의하여 배기가스가 안내되어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면서도 상기 배기가스안내관에 의하여 가열된 배가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포획된 상태에서 상부로 배출되면서 이동되므로 배기가스가 상방으로만 배출되게 되어 배출방향이 정해지게 되고 배기가스가 상부로 배출되면서 고온상태의 배기가스가 다시 가스 취반기의 내부온도를 가열하게 되므로 취사시간이 단축되어 가스의 사용량이 절감되는 것이 가능한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한 개 이상의 취반실이 복층으로 형성되며 도어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취반실의 내부 하측에는 열원인 가스를 공급받아 발화되는 버너가 설치되고, 취반실의 내부 상측에는 취반실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덕트가 설치된 가스 취사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와 연통된 후방의 각 배기창을 양 측면에서 감싸면서 상부로 연장되고 상하부는 개방된 배기가스안내관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상기 배기가스안내관의 외측에 설치되며 양측면이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되며 각 배기창에 인접하게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외측안전판이 추가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는, 한 개 이상의 취반실이 복층으로 형성되며 도어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취반실의 내부 하측에는 열원인 가스를 공급받아 발화되는 버너가 설치되고, 취반실의 내부 상측에는 취반실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덕트가 설치된 가스 취사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와 연통된 후방의 각 배기창을 양 측면에서 감싸면서 상부로 연장되고 상하부는 개방된 배기가스안내관이 구비되어, 가스 취반기의 배기덕트와 연통되는 배기구의 배기창의 외측에 상기 배기창을 감싸는 이중관으로 형성된 배기가스안내관이 부착되어 상기 배기가스안내관에 의하여 배기가스가 안내되어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면서도 상기 배기가스안내관에 의하여 가열된 배가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포획된 상태에서 상부로 배출되면서 이동되므로 배기가스가 상방으로만 배출되게 되어 배출방향이 정해지게 되고 상부로 배출되면서 고온상태의 배기가스가 다시 가스 취반기의 내부온도를 가열하게 되므로 취사시간이 단축되어 가스의 사용량이 절감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 취반기의 구성이 도시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가스 취반기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가스 취반기의 배면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의 배면 사시도
도 6a,6b는 도 5에 도시된 I-I 선 및 II-II선을 따라 취한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의 배기와 냉각공기의 유동방향이 도시된 이중배기관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 이상의 취반실(11)이 복층으로 형성되며 도어(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취반실(11)의 내부 하측에는 열원인 가스를 공급받아 발화되는 버너(30)가 설치되고, 취반실(11)의 내부 상측에는 취반실(11)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덕트(10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덕트(100)와 연통된 후방의 각 배기창(200)을 양 측면에서 감싸면서 상부로 연장되고 상하부는 개방된 배기가스안내관(3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기창(200)은 배기덕터(100)로 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통과되는 배기공(201)과, 상기 배기공(20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배기가스를 상방으로 유도하는 절곡부(202)로 구성된다.
상기 배기가스안내관(300)은,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면은 가스 취반기(A)의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된 고정부(301)가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는 개방된 상하부 개구공(302,303)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기가스안내관(300)의 내부의 공기는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배기창(200)의 배기구(201)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배기가스안내관(300)의 폭(w)만큼만 이동된 상태로 상방으로만 배출되게 안내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배기창(200)을 통하여 화살표방향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250℃의 온도를 갖게 되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높으므로 상방으로 이송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배기가스안내관(300)의 내부온도는 거의 200 ℃ 의 이상으로 가열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가스 취반기(A)의 배면의 온도가 200 ℃ 이상의 온도를 갖게 되므로, 취사시에 사용되는 가스의 소모량이 절감되게 되는 것이며, 이를 계량적으로 환산하면, 취사시에 20분이 소요되는 것이 약 2분정도가 단축되어 18분이 걸리는 것으로 되었으므로, 사용되는 연료가 약 10%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취사시간도 단축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A)는, 도 5및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가스안내관(300)의 외측에 설치되며 양측면이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되며 각 배기창(200)에 인접하게 다수의 통기공(401)이 형성된 외측안전판(400)이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안전판(400)은, 도 5 및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면은 가스 취반기(A)의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된 고정부(402)가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는 개방된 상하부 개구공(403,4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안전판(400)은 고온상태의 상기 배기가스안내관(300)과는 일정한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하방에서 상방으로 공기가 진행되므로 원활하게 냉각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외측안전판(400)의 온도가 화상을 입지 않을 정도로 약 30 ℃ 이하의 온도를 가지므로 누구나 접촉하여도 화상을 입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 배기창(200)에 인접하게 형성된 통기공(401)을 통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찬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상방으로 진행되므로, 상기 외측안전판(400)의 온도는 더욱 저온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통기공(40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가 다수의 장방형 홀이 종방향으로 배치된 형태로도 가능하고, 다른 형태인 판체에 원형의 도트형태의 홀을 형성하거나 마름모꼴을 갖는 빗살형태의 통기공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A)는, 배기창(200)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가스안내관(300)의 폭(w)만큼만 이동된 상태로 상방으로만 배출되게 안내시키므로, 각 배기창(200)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고온의 온도를 갖게 되므로 상기 배기가스안내관(300)의 내부온도도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가스 취반기(A)의 배면의 온도가 고온의 온도를 갖게 되므로, 취사시에 사용되는 가스의 소모량이 절감되게 되는 것이며, 배기가스가 상방으로만 배출되어 별도의 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가스의 불완전연소로 인한 일산화탄소의 배출이 없게 되어 주방의 환경이 깨끗하게 되며,외측안전판(400)이 고온상태의 상기 배기가스안내관(300)을 일정한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하방에서 상방으로 공기가 진행되므로 저온을 유지하여 누구나 접촉하여도 화상을 입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는 일반적인 가스 취반기의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A : 이중 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10 : 본체 11 : 취반실
20 : 도어 30 : 버너
40 : 가이드레일 50 : 취반용기
60 : 뚜껑 70 : 제어부
80 : 써미스터 100 : 배기덕트
200 : 배기창 201 : 배기공
202 : 절곡부 300 : 배기가스안내관
301 : 고정부 302 : 상부 개구공
303 : 하부 개구공 400 : 외측안전판
401 : 통기공 402 : 고정부
403 : 상부 개구공 404 : 하부 개구공

Claims (2)

  1. 한 개 이상의 취반실(11)이 복층으로 형성되며 도어(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취반실(11)의 내부 하측에는 열원인 가스를 공급받아 발화되는 버너(30)가 설치되고, 취반실(11)의 내부 상측에는 취반실(11)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덕트(100)가 설치된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A)에 있어서,
    상기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A)는, 상기 배기덕트(100)와 연통된 후방의 각 배기창(200)을 양 측면에서 감싸면서 상부로 연장되고 상하부는 개방된 배기가스안내관(300)이 구비되고,
    상기 배기가스안내관(300)의 외측에 설치되며 양측면이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되며 각 배기창(200)에 인접하게 다수의 통기공(401)이 형성된 외측안전판(400)이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안전판(400)은, 그 양측면은 가스 취반기(A)의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된 고정부(402)가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는 개방된 상하부 개구공(403,40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2. 삭제
KR1020160167067A 2016-12-08 2016-12-08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Active KR101720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067A KR101720995B1 (ko) 2016-12-08 2016-12-08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067A KR101720995B1 (ko) 2016-12-08 2016-12-08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995B1 true KR101720995B1 (ko) 2017-04-06

Family

ID=5858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067A Active KR101720995B1 (ko) 2016-12-08 2016-12-08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9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732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단열구조를 갖는 취반기 도어 및 이를 갖는 취반기
KR102633024B1 (ko) * 2023-11-22 2024-02-05 주식회사 하울시스템 인덕션 다단 취반기
KR20240132984A (ko) 2023-02-27 2024-09-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수직형 다단식 취반기 및 그 배기 유닛
KR20240132985A (ko) 2023-02-27 2024-09-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수직형 다단식 취반기 및 그 배기 유닛
KR20240143511A (ko) 2023-03-24 2024-10-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수직형 다단식 취반기
KR20240143510A (ko) 2023-03-24 2024-10-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수직형 다단식 취반기 및 제어부 조립 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273A (ko) * 2001-11-19 2003-05-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가스오븐레인지의 배기장치
KR200377004Y1 (ko) 2004-12-14 2005-03-11 이세웅 가스 취반기의 배기덕트
KR20110044357A (ko) * 2009-10-23 2011-04-29 주식회사 파세코 상업용 취반기
KR20120119763A (ko) * 2011-04-22 2012-10-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업무용 취반기의 전면부 폐열유출 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273A (ko) * 2001-11-19 2003-05-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가스오븐레인지의 배기장치
KR200377004Y1 (ko) 2004-12-14 2005-03-11 이세웅 가스 취반기의 배기덕트
KR20110044357A (ko) * 2009-10-23 2011-04-29 주식회사 파세코 상업용 취반기
KR20120119763A (ko) * 2011-04-22 2012-10-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업무용 취반기의 전면부 폐열유출 방지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732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단열구조를 갖는 취반기 도어 및 이를 갖는 취반기
KR102289739B1 (ko) 2019-10-22 2021-08-13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단열구조를 갖는 취반기 도어 및 이를 갖는 취반기
KR20240132984A (ko) 2023-02-27 2024-09-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수직형 다단식 취반기 및 그 배기 유닛
KR20240132985A (ko) 2023-02-27 2024-09-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수직형 다단식 취반기 및 그 배기 유닛
KR20240143511A (ko) 2023-03-24 2024-10-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수직형 다단식 취반기
KR20240143510A (ko) 2023-03-24 2024-10-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수직형 다단식 취반기 및 제어부 조립 유닛
KR102633024B1 (ko) * 2023-11-22 2024-02-05 주식회사 하울시스템 인덕션 다단 취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995B1 (ko)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KR102124833B1 (ko) 오븐
US10371390B2 (en) Cooking appliance
US20200054032A1 (en) Multi-chamber smoke tray for an indoor smoker
US202002143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the flow of smoke in an indoor smoker
US20180020681A1 (en) Oven appliance with air curtain
US11428418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high-heat cooking surface
US10433558B2 (en) Oven appliance with an air flow restriction door
KR102210370B1 (ko) 오븐
US10571131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convection assembly
US10302309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broiler assembly
KR101686304B1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RU2052175C1 (ru) Бытовая газовая плита
US20130220302A1 (en) Porous insert for a heating element of an oven appliance
JP2009085490A (ja) ガスコンロ
JP5502934B2 (ja) オーブン装置
US2595480A (en) Ventilated range
KR101149873B1 (ko) 상업용 취반기
US20210262674A1 (en) Oven appliance for high-heat cooking operations
US11204176B2 (en) Gas cooker and method of operation of such gas cooker
JP4029099B2 (ja) 加熱調理器
JPH0439550A (ja) 加熱調理装置
US20190145627A1 (en) Cooking appliances having a ventilation system
JP2006296237A (ja) 電熱式ピザ用オーブン
KR100700771B1 (ko) 슬라이딩 타입의 백가드가 구비된 오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