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258B1 -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258B1
KR101794258B1 KR1020170024285A KR20170024285A KR101794258B1 KR 101794258 B1 KR101794258 B1 KR 101794258B1 KR 1020170024285 A KR1020170024285 A KR 1020170024285A KR 20170024285 A KR20170024285 A KR 20170024285A KR 101794258 B1 KR101794258 B1 KR 101794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eat sensor
combustion chamber
rear end
ric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17002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47J27/64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 G01K2207/02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도어에 의해 입구가 개폐되는 연소실 내에 위치한 밥솥의 이송을 위해 승강하는 열감지기를 이용하여 밥솥의 열을 감지하는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와 열감지기의 사이의 연소실의 하측 외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T"자형 전단은 도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T"자형 후단은 가이드레일의 전단 양측의 슬릿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가 열림에 따라 슬릿 내에서 전후 이동하게 되는 이동샤프트, 및 전단이 이동샤프트의 "T"자형 후단에 체결되고 후단이 열감지기의 일측에 체결됨으로써 열감지기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와이어를 포함함으로써 열감지기의 승강 작동의 신뢰도가 대폭 향상될 수 있고 고생 발생률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으면서 유지 보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 {apparatus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heat sensor of rice cooker}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감지기의 승강 작동의 신뢰도가 대폭 향상될 수 있고 고생 발생률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으면서 유지 보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열감지기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업소용 취반기는 학교, 회사, 역 등의 구내 식당이나 음식점에서 다량의 밥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업소용 취반기의 내부에는 여러 개의 연소실이 구비되어 있고, 각 연소실마다 가스버너가 설치되어 있다. 연소실의 입구에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밥솥은 각 연소실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송된다. 밥솥이 가스버너 위에 위치하면 도어가 닫히게 되고, 밥솥은 가스버너에 의해 가열된다. 취반이 완료되면 도어가 열리고, 밥솥은 각 연소실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송된다. 밥솥이 과도하게 가열될 경우에 밥이 탈 수 있기 때문에 각 연소실에는 밥솥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기가 설치된다.
열감지기가 밥솥의 열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밥솥의 하면에 접촉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열감지기의 걸림에 의해 밥솥이 이송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연소실의 입구에 장착된 도어가 열리게 되면 열감지기가 하강하여 밥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어 밥솥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고, 도어가 닫히게 되면 열감지기가 상승하여 밥솥의 하면에 접촉되어 밥솥의 열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취반기는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열감지기를 승강시키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9791호는 열감지기의 상단 접촉단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열감지기 승강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0998호는 열감지기의 작동에 대한 신뢰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감지기 승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9791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0998호 등과 같은 종래의 열감지기 승강장치에서는 연소실 내부에 와이어와 롤러 등과 같은 구동 부위가 배치되어 있어 연소실 내부의 각종 오물, 예를 들어 밥솥에서 끓어 넘친 오물이 구동 부위, 예를 들어 와이어와 롤러 사이에 끼어 고착됨으로써 작동 신뢰도가 낮고 고생 발생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9791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0998호 등과 같은 종래의 열감지기 승강 장치는 연소실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와이어의 체결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기가 어렵고, 열감지기 승강장치가 고장난 경우에 그 열감지기 승강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연소실의 도어, 측판 등을 분해한 후에 수리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수리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열감지기의 승강 작동의 신뢰도가 대폭 향상될 수 있고 고생 발생률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으면서 유지 보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이러한 열감지기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취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어에 의해 입구가 개폐되는 연소실 내에 위치한 밥솥의 이송을 위해 승강하는 열감지기를 이용하여 밥솥의 열을 감지하는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 장치는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와 상기 열감지기의 사이의 연소실의 하측 외면에 설치되며, 연소실의 입구 측을 향하는 전단의 양측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T"자형의 양단을 갖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T"자형 전단은 상기 도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T"자형 후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단 양측의 슬릿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열림에 따라 상기 슬릿 내에서 전진 이동하게 되고, 상기 도어가 닫힘에 따라 상기 슬릿 내에서 후진 이동하게 되는 이동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단 부재에 의해 꺾여 전단이 상기 이동샤프트의 "T"자형 후단에 체결되고 후단이 상기 열감지기의 일측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이동샤프트의 전후 이동과 상기 열감지기의 스프링의 복원력의 상호 연동에 따라 상기 열감지기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두 개의 직립 평판이 상기 연소실의 하측 외면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는 레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샤프트의 "T"자형 후단과 상기 와이어간의 체결 부위와 상기 와이어의 전후 이동 부위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두 개의 직립 평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실 외측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의 슬릿은 상기 연소실의 입구 측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내려가는 경사진 장방형 개구이고,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이동샤프트의 "T"자형 전단이 원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면 상기 이동샤프트의 "T"자형 후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단 양측의 슬릿 내에서 상하 이동함과 동시에 전후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하단에는 "L"자형 횡단면의 브래킷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L"자형 횡단면을 절단하는 구조의 장방형 슬릿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샤프트의 "T"자형 전단의 종방향 몸체가 상기 브래킷의 슬릿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이동샤프트의 "T"자형 전단의 횡방향 양단이 상기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동샤프트의 "T"자형 전단은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원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단의 양측에는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열감지기 승강장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단의 양측 구멍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단 부재는 상기 고정샤프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상기 열감지기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취반기는 취반기의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연소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스버너; 상기 연소실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송되어 상기 가스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밥솥; 상기 밥솥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밥솥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기; 및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열감지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상기 열감지기 승강 장치를 포함한다.
이동샤프트의 "T"자형 전단은 연소실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T"자형 후단은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와 열감지기의 사이의 연소실의 하측 외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의 전단 양측의 슬릿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어의 전단은 이동샤프트의 "T"자형 후단에 체결되고 후단은 열감지기의 일측에 체결됨으로써 열감지기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의 전단의 연결 부분을 비롯하여 열감지기의 승강과 관련된 모든 부품들이 연소실의 외측 및 열감지기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소실의 내부의 오물이 열감지기 승강장치의 구동 부위에 고착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열감지기 승강장치의 작동 신뢰도가 대폭 향상될 수 있고 고생 발생률도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연소실 외측에서 열감지기 승강장치의 고장 원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열감지기 승강장치의 고장 부위를 매우 편리하게 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열감지기 승강장치의 유지 보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취반기의 닫힘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취반기의 열림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취반기의 닫힘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취반기의 열림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취반기의 내부 하측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취반기의 열감지기(60)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취반기 연소실(20)의 하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에 의해 입구가 개폐되는 연소실 내에 위치한 밥솥의 이송을 위해 승강하는 열감지기를 이용하여 밥솥의 열을 감지하는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감지기의 승강 작동의 신뢰도가 대폭 향상될 수 있고 고생 발생률도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으면서 유지 보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열감지기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열감지기 승강장치를 간략하게 "열감지기 승강장치"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취반기의 닫힘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취반기의 열림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취반기의 닫힘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취반기의 열림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는 본체(10), 연소실(20), 도어(30), 가스버너(30), 밥솥(50), 열감지기(60), 및 열감지기 승강장치(7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는 도어(30)에 의해 입구가 개폐되는 연소실(20) 내에 위치한 밥솥(50)의 이송을 위해 승강하는 열감지기(60)를 이용하여 밥솥(50)의 열을 감지한다.
연소실(20)의 내부는 밥솥(50)의 증기로 인해 습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취반기의 부품 대부분은 내부식성의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제작된다. 취반기의 각 부품의 소재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스테인리스 스틸인 것으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설명하거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상기된 주요 구성요소 외에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등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취반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감지기(60)의 승강 구조에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도 1에는 밥솥(50)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고, 도어(30)가 분리된 상태의 취반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10)는 취반기의 케이스로서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소실(20)이 구비되고, 본체(10)의 외면 일측에는 밥솥(50)의 가열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패널(미도시)이 구비된다. 본체(10) 내부에 복수 개의 연소실(20)이 구비되는 경우에 본체(10) 내부에는 복수 개의 연소실(20)을 구획하기 위한 수평방향의 격벽이 설치된다. 각 연소실(20)에는 가스버너(30), 밥솥(50), 및 열감지기(60)가 설치된다. 각 연소실(20)의 좌면과 우면은 여러 연소실들간의 연결을 위해 이중판 형태로 제작되고, 각 연소실(20)의 상면, 하면, 및 후면은 단일판 형태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이러한 벽체 구조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도 1의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좌측의 내판, 우측의 내판, 및 하판만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면은 생략되어 있다.
연소실(20)의 우측면에는 가스버너(30)의 가스 주입관이 통과되는 구멍과 열감지기(60)의 전선이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연소실(20)의 개방된 전면인 입구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는 "L"자형 도어힌지(11)가 동일 높이로 부착된다. 연소실(20)의 입구 좌측의 도어힌지(11)의 돌출 부위의 구멍과 우측의 도어힌지(11)의 돌출 부위의 구멍에는 일자형 도어샤프트(12)의 양단이 삽입된다. 연소실(20)의 좌측 외면과 우측 외면 각각에는 도어(3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캠(13)이 부착되어 있다. 각 캠(13)은 도어(30)의 링크(32)와의 접촉에 의해 전후로 움직이는 롤러, 도어(30)의 링크(32)에 롤러를 밀착시키기 위한 스프링, 롤러와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등으로 구성된다.
도어(30)는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연소실(20)의 입구 측에 회전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연소실(20)의 입구를 개폐한다. 도어(30)의 좌측 하부의 구멍과 도어(30)의 우측 하부의 구멍에 연소실(20)의 도어샤프트(12)의 양단이 삽입됨으로써 도어(30)는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연소실(20)의 입구에 회전 결합되며 도어(30)는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연소실(20)의 입구 측에 회전 결합될 수 있다. 도어(30)의 전면에는 손잡이(31)가 부착되어 있고, 도어(30)의 후면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는 도어(30)가 닫힐 때에 연소실(20)의 캠(13)에 물려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활꼴의 링크(32)가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사용자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어(30)의 링크(32)의 돌출 부위가 연소실(20)의 캠(13)의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하강하게 된다. 결국, 도어(30)의 링크(32)의 돌출 부위가 연소실(20)의 캠(13)의 롤러에 물리게 되고 도어(30)가 완전히 닫혀 고정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사용자에 의해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어(30)의 링크(32)의 돌출 부위가 연소실(20)의 캠(13)의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승하게 된다. 결국, 도어(30)의 링크(32)의 돌출 부위와 연소실(20)의 캠(13)의 롤러간의 물림이 풀려 도어(30)가 열리게 된다.
가스버너(30)는 연소실(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밥솥(50)을 가열한다. 밥솥(40)은 사용자에 의해 도어(30)의 롤러레일(34)과 연소실(20)의 롤러레일(14)을 타고 연소실(2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송되어 가스버너(30) 위에 위치하게 되고 가스버너(30)에 의해 가열된다. 취반이 완료되면, 밥솥(40)은 사용자에 의해 연소실(2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송된다. 도어(30)의 후면과 연소실(2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밥솥(50)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롤러레일(14, 34)이 설치되어 있다.
밥솥(40)은 도어(30)의 롤러레일(34)과 연소실(20)의 롤러레일(14)을 타고 슬라이딩 이송된다. 열감지기(50)는 밥솥(50)의 하면에 밀착되어 밥솥(50)의 열을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를 취반기의 제어패널로 전송한다. 취반기의 제어패널은 밥솥(50)의 열에 따라 가스버너(30)로의 가스 공급을 제어한다. 열감지기 승강장치(60)는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열감지기(5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열감지기(50)가 밥솥(5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밥솥(5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취반기의 내부 하측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취반기의 열감지기(60)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취반기 연소실(20)의 하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8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열감지기(60)는 덮개(61), 접촉자(62), 연결관(63), 탄발스프링(64), 승강대(65), 압축스프링(65), 및 받침대(67), 및 고정핀(68)으로 구성되고,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70)는 가이드레일(71), 고정샤프트(72), 이동샤프트(73), 및 와이어(74)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설명하거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상기된 주요 구성요소 외에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등장할 수 있다.
덮개(61)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위치하는 승강대(65), 압축스프링(66), 및 받침대(67)간의 조립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접촉자(62)는 서미스터(thermistor)가 내장되어 있어 밥솥(50)의 하면에 접촉하여 밥솥(50)의 열을 감지한다. 연결관(63)은 원통관으로서 그 내부에는 접촉자(62)와 취반기의 제어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미도시)이 위치하게 된다. 연결관(63)의 상단은 접촉자(62)의 하면에 접합되고 하단은 와이어(74)의 후단에 체결된다. 접촉자(62)와 연결관(63)은 탄발스프링(64)의 내부, 승강대(65)의 중심공, 압축스프링(66)의 내부, 받침대(67)의 상판 중심공을 통과하는 구조로 탄발스프링(64), 승강대(65), 압축스프링(66), 및 받침대(67)와 조립된다.
승강대(65)는 중심공을 갖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위치하는 접촉자(62)를 떠받친다. 탄발스프링(64)은 접촉자(62)와 승강대(65) 사이에 삽입되어 접촉자(62)가 밥솥(5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접촉자(62)를 탄발 가압한다. 압축스프링(66)은 승강대(65)와 받침대(67) 사이에 삽입되어 접촉자(62)에 위한 승강대(65)의 눌림이 사라진 경우에 승강대(65)가 원래의 위치로 상승하도록 승강대(65)에 복원력을 부여한다. 받침대(67)는 압축스프링(66)이 끼워질 수 있는 중심공을 갖는 원형 테이블 형태로 연소실(20)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압축스프링(66)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부품들과 조립된 승강대(65) 위에 덮개(61)가 씌워진 후에 덮개(61)에 고정핀(68)을 꽂음으로써 열감지기(60)의 조립이 완료된다.
가이드레일(71)은 두 개의 직립 평판이 연소실(20)의 하측 외면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는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30)와 열감지기(60)의 사이의 연소실(20)의 하측 외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71)은 직사각형 평판의 길이방향 양측을 직각으로 꺾어 올리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71)은 고정샤프트(72)를 고정시키고 이동샤프트(73)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위해, 가이드레일(71)의 양단 중 연소실(20)의 입구 측을 향하는 전단 양측에는 연소실(20)의 입구 측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내려가는 경사진 장방형 개구인 슬릿(711)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 양측에는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샤프트(72)는 양단 둘레의 홈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가이드레일(71)의 후단 양측의 원형 구멍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레일(71)의 후단 양측의 원형 구멍에 고정샤프트(72)의 양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샤프트(72)의 양단 둘레의 홈에 "E"자형 링을 끼움으로써 고정샤프트(72)의 양단은 가이드레일(71)의 후단 양측의 원형 구멍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고정샤프트(72)는 이동샤프트(73)에 체결되어 수평으로 뻗어 있는 와이어(74)를 직각으로 꺾어 상방으로 뻗도록 함으로써 와이어(74)의 전후 이동을 상하 이동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샤프트(73)는 "T"자형의 양단을 갖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T"자형 전단은 도어(3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T"자형 후단은 가이드레일(71)의 전단 양측의 슬릿(7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은 도어(30)가 열림에 따라 가이드레일(71)의 전단 양측의 경사진 슬릿(711) 내에서 상승하면서 전진 이동하게 되고, 도어(30)가 닫힘에 따라 가이드레일(71)의 전단 양측의 경사진 슬릿(711) 내에서 하강하면서 후진 이동하게 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9791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0998호 등과 같은 종래의 열감지기 승강장치에서는 연소실 내부에 와이어와 롤러 등과 같은 구동 부위가 배치되어 있어 연소실 내부의 각종 오물, 예를 들어 밥솥에서 끓어 넘친 오물이 구동 부위, 예를 들어 와이어와 롤러 사이에 끼어 고착됨으로써 작동 신뢰도가 낮고 고생 발생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전단이 도어(3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T"자형 후단이 연소실(20)의 하측 외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71)의 슬릿(7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연소실(20) 내부에는 이동샤프트(73)의 몸체만 노출되어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74)의 전단의 연결 부분을 비롯하여 열감지기(60)의 승강과 관련된 모든 부품들이 연소실(20)의 외측 및 열감지기(60)의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연소실(20)의 내부의 오물이 열감지기 승강장치(70)의 구동 부위에 고착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열감지기 승강장치(70)의 작동 신뢰도가 대폭 향상될 수 있고 고생 발생률도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취반기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도어의 무게는 상당하다. 일반적으로, 도어와 열감지기의 승강 수단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다. 도어의 개폐에 따라 도어의 하중에 상당하는 충격이 와이어에 가해지게 되는데, 이 때에 도어의 하중에 상당하는 충격이 열감지기의 승강 수단에 그대로 전달되어 열감지기가 승강 과정에서 파손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도어를 열 때에 대부분 도어가 거의 직립된 상태에서 도어의 손잡이를 놓는 방식으로 도어를 열기 때문에 도어가 열릴 때에 열감지부에 가해지는 충격은 매우 클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9791호의 열감지기 승강장치는 와이어 사이에 인장스프링이 삽입되어 있어 이러한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인장스프링의 체결 부위는 고리 형태로 되어 있어 도어의 하중에 상당하는 충격이 지속적으로 오랜 기간 가해질 경우에 벌어질 가능성 높아 와이어와 인장스프링간의 체결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경년 변화에 따른 인장스프링의 길이 변화로 인해 열감지기의 작동 신뢰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0998호의 열감지기 승강장치는 열감지기 내부에 스프링을 추가한 구조이나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와이어를 통해 도어의 하중에 상당하는 충격이 열감지기의 승강 수단에 그대로 전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의 하단에는 "L"자형 횡단면의 브래킷(33)이 부착되어 있고, 브래킷(33)에는 "L"자형 횡단면을 절단하는 구조의 장방형 슬릿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전단의 종방향 몸체가 브래킷(33)의 슬릿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전단의 횡방향 양단이 도어(30) 하단의 브래킷(3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됨으로써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전단은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원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게 된다.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전단이 원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면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은 가이드레일(71)의 전단 양측의 경사진 슬릿(711) 내에서 사선 이동, 즉 상하 이동함과 동시에 전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30)의 하중을 그대로 받게 되는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전단의 원 궤적 이동은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의 전후 이동의 성분과 상하 이동의 성분으로 분할된다.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의 상하 이동의 성분은 와이어(74)의 전후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호 이동방향의 마찰력 등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와이어(74)의 전후 이동은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의 전후 이동의 성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 와이어(74)에 전달되는 도어(30)의 개폐 충격량이 감소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동샤프트(73)의 전후 이동은 슬릿 내로 제한되기 때문에 도어(30)의 개폐 충격으로 인한 열감지기(60)의 파손이 대폭 감소될 수 있다.
와이어(74)는 고정샤프트(72)에 걸쳐서 직각으로 꺾여 그 전단이 가이드레일(71)의 전단 양측의 슬릿(711) 내에서 전후 이동하는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에 체결되고 그 후단이 열감지기(60)의 일측에 체결된다. 와이어(74)는 이와 같이 체결됨으로써 이동샤프트(73)의 전후 이동과 열감지기(60) 내부의 스프링의 복원력간의 상호 연동에 따라 열감지기(60)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에 와이어(74)를 얽어맨 후에 알루미늄 슬리브를 이용하여 와이어(74)의 말단을 와이어(74)의 다른 부분에 압착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74)의 전단은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에 체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관(63)의 후단의 구멍에 와이어(74)를 관통시킨 후에 알루미늄 슬리브를 이용하여 와이어(74)의 말단을 와이어(74)의 다른 부분에 압착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74)의 후단은 연결관(63)의 후단에 체결될 수 있다. 와이어(74)는 여러 가닥의 원형 철선을 꼬아 제작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의해 그 체결 부위가 쉽게 풀리는 경향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와이어(74)는 그 말단과 인접 부분이 맞대어진 후에 알루미늄 슬리브의 눌림 가공에 의해 압착 결합되기 때문에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9791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0998호 등과 같은 종래의 열감지기 승강장치의 와이어 체결 방식에 비해 매우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71), 고정샤프트(72), 이동샤프트(73), 및 와이어(74) 등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70)를 구성하는 부품 대부분은 연소실(20) 외측에 노출되어 있다. 연소실(20) 외측에서 열감지기 승강장치()의 고장 원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과 와이어(74)간의 체결 부위와 와이어(74)의 전후 이동 부위는 가이드레일(71)의 두 개의 직립 평판 사이에 배치되어 연소실(20) 외측에 노출된다. 즉,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과 와이어(74)간의 체결의 풀림 여부를 연소실(20) 외측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74)의 전후 이동 부위가 연소실(20) 외측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74)의 전후 이동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열감지기 승강장치가 고장난 경우, 와이어(74)의 전후 이동 상태로부터 열감지기 승강장치의 고장 원인을 용이하게 알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74)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열감지기(60)가 하강하지 않는다면 열감지기(60) 내부의 승강 구조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와이어(74)가 팽팽하게 당겨지지 않는다면, 와이어(74)의 체결 부위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레일(71), 고정샤프트(72), 이동샤프트(73), 및 와이어(74) 등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70)를 구성하는 부품 대부분은 연소실(20) 외측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열감지기 승강장치(70)가 고장난 경우에 연소실(20) 외측에서 매우 편리하게 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과 와이어(74)간의 체결이 풀린 경우에 연소실(20) 외측에서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과 와이어(74)를 다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71)이 어떤 충격에 의해 휘어진 경우에 연소실(20) 외측에서 휘어진 가이드레일(71)을 평평하게 펴는 가공을 할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9791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0998호 등과 같은 종래의 열감지기 승강 장치는 연소실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와이어의 체결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종래의 열감지기 승강장치가 고장난 경우에 그 열감지기 승강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연소실의 도어, 측판 등을 분해한 후에 수리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수리가 매우 불편하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는 연소실(20) 외측에서 열감지기 승강장치(70)의 고장 원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열감지기 승강장치(70)의 고장 부위를 매우 편리하게 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열감지기 승강장치의 유지 보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도어힌지 12 ... 도어샤프트
13 ... 캠 14 ... 롤러레일
20 ... 연소실
30 ... 도어
31 ... 손잡이 32 ... 도어링크
33 ... 브래킷 34 ... 롤러레일
40 ... 가스버너
50 ... 밥솥
60 ... 열감지기
61 ... 덮개 62 ... 접촉자
63 ... 연결관 64 ... 탄발스프링
65 ... 승강대 66 ... 압축스프링
67 ... 받침대 68 ... 고정핀
70 ... 열감지기 승강장치
71 ... 가이드레일 72 ... 고정샤프트
73 .... 이동샤프트 74 ... 와이어

Claims (6)

  1. 도어(30)에 의해 입구가 개폐되는 연소실(20) 내에 위치한 밥솥(50)의 이송을 위해 승강하는 열감지기(60)를 이용하여 밥솥(50)의 열을 감지하는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에 있어서,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30)와 상기 열감지기(60)의 사이의 연소실(20)의 하측 외면에 설치되며, 연소실(20)의 입구 측을 향하는 전단의 양측에는 슬릿(711)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71);
    "T"자형의 양단을 갖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T"자형 전단은 상기 도어(3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T"자형 후단은 상기 가이드레일(71)의 전단 양측의 슬릿(7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30)가 열림에 따라 상기 슬릿(711) 내에서 전진 이동하게 되고, 상기 도어(30)가 닫힘에 따라 상기 슬릿(711) 내에서 후진 이동하게 되는 이동샤프트(73); 및
    상기 가이드레일(71)의 후단 부재에 의해 꺾여 전단이 상기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에 체결되고 후단이 상기 열감지기(60)의 일측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이동샤프트(73)의 전후 이동과 상기 열감지기(60)의 스프링(66)의 복원력의 상호 연동에 따라 상기 열감지기(60)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와이어(74)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71)은 두 개의 직립 평판이 상기 연소실(20)의 하측 외면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는 레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과 상기 와이어(74)간의 체결 부위와 상기 와이어(74)의 전후 이동 부위는 상기 가이드레일(71)의 두 개의 직립 평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실(20) 외측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감지기 승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71)의 슬릿은 상기 연소실(20)의 입구 측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내려가는 경사진 장방형 개구이고,
    상기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전단이 원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면 상기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후단은 상기 가이드레일(71)의 전단 양측의 슬릿(711) 내에서 상하 이동함과 동시에 전후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열감지기 승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30)의 하단에는 "L"자형 횡단면의 브래킷(33)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33)에는 상기 "L"자형 횡단면을 절단하는 구조의 장방형 슬릿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전단의 종방향 몸체가 상기 브래킷(33)의 슬릿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전단의 횡방향 양단이 상기 브래킷(3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동샤프트(73)의 "T"자형 전단은 상기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원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감지기 승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71)의 후단의 양측에는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71)의 후단의 양측 구멍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샤프트(7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71)의 후단 부재는 상기 고정샤프트(7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감지기 승강장치.
  6. 제 1 항의 열감지기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취반기에 있어서,
    취반기의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연소실(20);
    상기 연소실(20)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30);
    상기 연소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스버너(30);
    상기 연소실(2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가스버너(30)에 의해 가열되는 밥솥(50);
    상기 밥솥(50)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밥솥(50)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기(60); 및
    상기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열감지기(6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 1 항의 열감지기 승강장치(70)를 포함하는 취반기.
KR1020170024285A 2017-02-23 2017-02-23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 KR101794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285A KR101794258B1 (ko) 2017-02-23 2017-02-23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285A KR101794258B1 (ko) 2017-02-23 2017-02-23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258B1 true KR101794258B1 (ko) 2017-11-07

Family

ID=6038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285A KR101794258B1 (ko) 2017-02-23 2017-02-23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2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321B1 (ko) * 2019-10-22 2020-12-08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분리형 도어링크를 갖는 취반기
KR102510758B1 (ko) * 2022-10-25 2023-03-16 주식회사 선경인케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열유도패널이 자동으로 승강되는 인덕션 취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98B1 (ko) * 2010-12-03 2013-02-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다단식 업소용 밥솥의 열감지부 승하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98B1 (ko) * 2010-12-03 2013-02-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다단식 업소용 밥솥의 열감지부 승하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321B1 (ko) * 2019-10-22 2020-12-08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분리형 도어링크를 갖는 취반기
KR102510758B1 (ko) * 2022-10-25 2023-03-16 주식회사 선경인케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열유도패널이 자동으로 승강되는 인덕션 취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258B1 (ko)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
KR101157801B1 (ko) 도어 힌지
KR102070777B1 (ko) 오븐 레인지
US20050023843A1 (en) Household-appliance door and household appliance
US3018509A (en) Dual axis oven door structure
KR101159791B1 (ko) 영업용 가스밥솥의 열감지부 2단 작동장치
EP2244016A1 (en) Door guide for a fireplace, and fireplace provided with such a door guide
JP2015070861A (ja) 揚げ物調理装置
JP4237674B2 (ja) 加熱調理器
KR101023115B1 (ko) 가열로 도어장치
KR100402577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
JP2006176980A (ja) 気密容器の扉装置
EP3543613A1 (en) Cooking appliance
US20240044506A1 (en) Cooking appliance
EP4317803A1 (en)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n openable panel unit
EP4317806A1 (en) Cooking appliance
US20240044503A1 (en) Cooking appliance
EP4317805A1 (en)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n openable panel unit
JPS5841876Y2 (ja) 業務用煮炊装置
US20240044192A1 (en) Cooking appliance
CN117882493A (zh) 烹饪设备
US20240044504A1 (en) Cooking appliance
US20240044514A1 (en) Cooking appliance
CN217524765U (zh) 一种烤炉
US20240044499A1 (en) Cook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