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321B1 - 분리형 도어링크를 갖는 취반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도어링크를 갖는 취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321B1
KR102188321B1 KR1020190131672A KR20190131672A KR102188321B1 KR 102188321 B1 KR102188321 B1 KR 102188321B1 KR 1020190131672 A KR1020190131672 A KR 1020190131672A KR 20190131672 A KR20190131672 A KR 20190131672A KR 102188321 B1 KR102188321 B1 KR 102188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oker
fixing part
rice cook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황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황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Priority to KR102019013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00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 E05D1/04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with guide members shaped as circular ar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분리형 도어링크를 갖는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연소실을 구비하는 취반기 본체,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연소실의 입구 측에 회전 결합되는 취반기 도어, 취반기 본체 및 취반기 도어를 연결하고 취반기 도어가 완전히 열리거나 완전히 닫힐 때 취반기 도어를 고정하는 분리형 도어링크를 포함하고, 분리형 도어링크는 취반기 도어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도어고정부, 및 취반기 도어가 열리거나 닫힐 때 취반기 도어가 취반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활꼴의 도어스틱부를 포함하고, 도어고정부는 중간부분이 절곡되어 볼록하게 튀어나온 제 1 볼록부(411)가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이고, 취반기 도어의 양측 외면 각각에 도어고정부의 제 1 볼록부(4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튀어나온 제 2 볼록부(302)가 형성되고, 도어고정부와 취반기 도어는 취반기 도어의 제 2 볼록부(302)가 도어고정부의 제 1 볼록부(411)의 일측에 포개지고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이중으로 결합됨으로써, 분리형 도어링크가 취반기 도어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분리형 도어링크의 도어고정부와 도어스틱부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분리형 도어링크를 갖는 취반기 {Rice cooker having separable door link}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형 도어링크를 갖는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업소용 취반기는 학교, 회사, 공장 등의 구내 식당이나 음식점에서 다량의 밥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업소용 취반기의 내부에는 여러 개의 연소실이 구비되어 있고, 각 연소실마다 가스버너가 설치되어 있다. 연소실의 입구에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밥솥은 각 연소실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송된다. 밥솥이 가스버너 위에 위치하면 도어가 닫히게 되고, 밥솥은 가스버너에 의해 가열된다. 일반적으로, 업소용 취반기는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되며, 밥솥이 가열되는 동안 연소실 내부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업소용 취반기의 연소실은 단열처리 된다.
도 1은 종래의 업소용 취반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업소용 취반기의 도어와 연소실 본체 사이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업소용 취반기(1)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내부에 밥솥이 위치되는 연소실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취반기 본체(2),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각 취반기 본체(2)의 입구 측에 회전 결합되어 연소실을 개방하거나 밀폐시키는 취반기 도어(3), 취반기 본체(2)와 취반기 도어(3) 사이에 결합되어 취반기 도어(3)의 개폐시 취반기 도어(3)를 고정시키는 활꼴의 도어링크(4), 및 업소용 취반기(1)의 일측에 구비되어 취반기 본체(2)의 각 연소실의 취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박스로 구성된다. 업소용 취반기(1)는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 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업소용 취반기에 포함된 종래의 일체형 도어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링크(4)는 취반기 도어(3)에 고정되는 도어고정부, 및 취반기 도어(3) 개방시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 본체(2)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활꼴의 도어스틱부로 구성된다. 종래의 일체형 도어링크(4)는 하나의 금속판을 절곡하거나 복수 개의 금속판을 용접하여 제조된다. 도 3에 도시된 도어링크(4)는 도어고정부와 도어스틱부가 하나의 금속판이 절곡되어 제조된다.
취반기 도어(3)와 취반기 본체(2)를 연결하는 이러한 일체형 도어링크(4)는 취반기 도어(3)의 좌측과 우측에 결합되며,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릴 때 도어스틱부의 단부가 취반기 본체(2)에 고정되도록 하여 취반기 도어(3)가 바닥과 평행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 본체(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업소용 취반기(1)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취반기 도어(3)의 무게가 상당하다. 도어의 개폐에 따라 취반기 도어(3)의 하중에 상당하는 충격이 도어링크(4)에 가해지게 된다. 도어링크(4)는 이러한 충격으로 인하여 그 형태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00059호는 도어스틱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설치 및 취급이 용이한 스프링 고정편을 겸비한 도어스틱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70903호는 도어가 오픈되거나 닫히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음을 줄이는 가스·전자기기용 도어잠금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00059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70903호 등과 같은 종래의 업소용 취반기의 도어링크는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도어의 개폐 시에 도어의 하중으로 인하여 도어링크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체형 도어링크는 취반기 도어의 하중이 도어링크의 절곡 또는 용접 부위로 전달됨에 따라 절곡 또는 용접 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도어링크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업소용 취반기에서 도어와 연소실 본체를 연결하는 도어링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도어링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이러한 분리형 도어링크를 포함하는 업소용 취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연소실을 구비하는 취반기 본체;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의 입구 측에 회전 결합되는 취반기 도어; 및 상기 취반기 본체 및 상기 취반기 도어를 연결하고 상기 취반기 도어가 완전히 열리거나 완전히 닫힐 때 상기 취반기 도어를 고정하는 분리형 도어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형 도어링크는 상기 취반기 도어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도어고정부; 및 상기 취반기 도어가 열리거나 닫힐 때 상기 취반기 도어가 상기 취반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활꼴의 도어스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고정부와 상기 도어스틱부는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취반기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하중이 상기 도어고정부와 상기 도어스틱부를 결합시키는 상기 복수 개의 볼트로 전달된다.
상기 도어고정부는 중간부분이 절곡되어 돌출되는 직사각형 패널이고, 상기 도어고정부의 중간부분은 “[”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복수 개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스틱부의 양측 단부 중 상기 도어고정부(41)와 결합되는 일측 단부에는 복수 개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고정부의 중간부분의 복수 개의 볼트공과 상기 도어스틱부의 일측 단부의 복수 개의 볼트공은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볼트 각각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취반기 도어의 양측 외면 각각은 “[”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취반기 도어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어고정부의 절곡된 중간부분의 일측 모서리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상기 도어스틱부는 양측 단부 중 상기 도어고정부와 결합되는 일측 단부는 “L”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상기 도어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스틱부의 지지부는 상기 취반기 도어가 완전히 열렸을 때 상기 취반기 도어에 결합된 상기 도어고정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취반기 도어가 상기 취반기가 설치된 바닥면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취반기에서 취반기 본체와 취반기 도어를 연결하는 도어링크를 취반기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고정부와 취반기 도어와 취반기 본체를 연결하는 도어스틱부로 구분하여, 취반기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취반기 도어의 하중이 도어링크에 전달됨에 따라 발생하는 도어링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종래의 일체형 도어링크는 취반기 도어의 하중이 도어링크의 절곡 또는 용접 부위로 전달됨에 따라 절곡 또는 용접 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도어링크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는 도어고정부와 도어스틱부를 분리하고, 분리된 도어고정부와 도어스틱부를 복수 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의 도어고정부는 중간부분이 절곡되어 볼록하게 튀어나온 볼록부가 형성되고, 도어고정부의 볼록부가 취반기 도어의 양측 외면에 도어고정부의 볼록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볼록부에 고정되고, 각 볼록부에 형성된 볼트공에 의해 볼트결합되어 이중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어링크가 취반기 도어에 단단히 고정되어 취반기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도어링크의 움직임이 적어지고 취반기 도어의 하중이 도어고정부와 도어스틱부를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볼트로 전달되어 도어고정부와 도어스틱부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취반기 도어의 하중으로 인하여 볼트가 변형되거나 파손된 경우 볼트만을 교체하여 취반기 도어를 간단하게 수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형 도어링크의 도어스틱부의 일측 단부에 도어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도어스틱부의 지지부는 도어고정부의 하면에 배치되어 도어고정부와 도어스틱부를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볼트가 파손되더라도 취반기 도어에 고정된 도어고정부의 하면에서 도어고정부를 지지함으로써, 취반기 도어가 취반기가 설치된 바닥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분리형 도어링크에서 도어고정부와 도어스틱부 사이의 결합이 풀리더라도 취반기 도어가 회전하거나 취반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취반기 도어가 취반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무거운 취반기 도어의 추락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잔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업소용 취반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업소용 취반기의 도어와 연소실 본체 사이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업소용 취반기에 포함된 종래의 일체형 도어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분리형 도어링크의 도어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분리형 도어링크의 도어스틱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분리형 도어링크를 포함하는 업소용 취반기의 도어와 연소실 본체 사이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분리형 도어링크와 도 1에 도시된 취반기 도어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분리형 도어링크의 도어스틱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와 연소실 본체를 연결하고 도어를 고정시키는 도어링크를 포함하는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링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여 취반기의 유지 보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취반기 도어와 취반기 연소실 본체를 연결하고 도어 개방시 도어를 고정시키는 부재를 간략하게 “도어링크”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분리형 도어링크의 도어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분리형 도어링크의 도어스틱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5의 (a)는 도어고정부(41)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도어고정부(41)의 평면도이고, 도 5의 (c)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도어링크(4)는 취반기 도어(3)의 양측에 삽입되어 취반기 도어(3)와 취반기 본체(2)를 연결한다. 취반기 본체(2)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밥솥이 위치되는 연소실을 구비한다. 취반기 도어(3)는 사각패널 형태로 취반기 본체(2)의 연소실의 입구 측에 회전 결합되어, 연소실의 입구를 개폐한다.
분리형 도어링크(4)는 취반기 본체(2)와 취반기 도어(3)를 연결하고,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리거나 완전히 닫힐 때 취반기 도어(3)를 취반기 본체(2)에 고정한다. 분리형 도어링크(4)는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 본체(2)의 입구 측에 회전 결합되도록 한다. 취반기 도어(3)는 대략 90도로 회전하여 취반기 본체(2)의 입구를 개폐한다. 분리형 도어링크(4)는 취반기 도어(3)가 닫혀 있을 때 분리형 도어링크(4)의 도어스틱부(42)의 돌출부위가 취반기 본체(2) 좌측 외면과 우측 외면 각각에 삽입된 도어고정부(41)에 걸려 취반기 도어(3)가 닫힌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분리형 도어링크(4)는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려 있을 때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 본체(2)와 90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도어 힌지(5)의 돌출부위에 걸려 취반기 도어(3)를 지지한다. 취반기 도어(3)와 취반기 본체(2) 사이에서 취반기 도어(3)가 오픈되었을 때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 본체(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분리형 도어링크(4)는 취반기 도어(3)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도어고정부(41), 및 취반기 도어(3)가 열리거나 닫힐 때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 본체(2)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활꼴의 도어스틱부(42)로 구성된다.
도 4 내지 5를 참고하면, 도어고정부(41)는 중간부분이 절곡되어 볼록하게 튀어나온 제 1 볼록부(411)가 형성된 금속 소재의 직사각형 패널이다. 도어고정부(41)는 중간부분이 절곡되어 튀어나온 직사각형 형태의 금속판으로 제조된다. 도어고정부(41)는 취반기 도어(3)의 좌측 외면 및 우측 외면 각각에 고정된다. 도어고정부(41)의 절곡된 제 1 볼록부(411)는 “[” 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절곡된다. 도어고정부(41)의 제 1 볼록부(411)는 도어스틱부(42)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제 1 볼록부(411)의 평평한 부분에 도어스틱부(42)와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소형 볼트공이 형성된다. 도어고정부(41)의 제 1 볼록부(411)와 마찬가지로 도어스틱부(42)의 일측 단부에는 도어고정부(41)와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소형 볼트공이 형성된다. 도어고정부(41)의 제 1 볼록부(41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소형 볼트공과 도어스틱부(4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소형 볼트공은 서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동심원을 이루는 각 소형 볼트공에 하나의 나사가 삽입되어 도어고정부(41)와 도어스틱부(42)를 단단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어고정부(41)의 돌출된 제 1 볼록부(411)에는 취반기 도어(3)와 도어고정부(41)를 결합하기 위한 대형 볼트공이 형성된다. 도어고정부(41)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대형 볼트공은 취반기 도어(3)의 좌측 외면과 우측 외면 각각의 “[” 형상의 제 2 볼록부(302)에 형성된 대형 볼트공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하나의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도어고정부(41)는 도어스틱부(42)가 결합되는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취반기 도어(3)가 열려있을 때 취반기 본체(2)의 연소실과 먼 부분을 외측부(412)라고 하고, 연소실과 가까운 부분을 내측부(413)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도어고정부(41)의 외측부(412) 및 내측부(413) 각각에는 취반기 도어(3)와 고정되기 위한 복수 개의 대형 볼트공 및 소형 볼트공이 형성된다. 도어고정부(41)는 취반기 도어(3)의 좌측 외면과 우측 외면 각각에 형성된 대형 볼트공 및 소형 볼트공 각각이 서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각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고정부(41)는 외측부(412), 중간부분, 내측부(413) 각각에 형성된 복수 개의 대형 볼트공 및 소형 볼트공을 통하여 취반기 도어(3)의 외면과 결합됨으로써, 분리형 도어링크(4)가 취반기 도어(3)와 단단하게 결합된다.
도어고정부(41)의 양측 단부 중 취반기 본체(2)의 연소실에 가깝게 배치되는 일측 단부는 “L” 형상의 단면으로 절곡된다. 도어고정부(41)의 “L”형상으로 절곡된 일측 단부에는 취반기 본체(2)의 좌측 외면 및 우측 외면 각각에 결합된 도어 힌지(5)와 결합되는 “U” 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된다. “U” 형상의 연결부의 중심에는 도어 힌지(5)와 도어고정부(41)를 연결하는 대형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 힌지(5)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대형 볼트공과 단일 볼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취반기 도어(3)는 도어고정부(41)와 도어 힌지(5)가 결합된 볼트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도어고정부(41)의 타측 단부에는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 본체(2)에 대해 탄력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하는 스프링이 고정되는 “U”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도어스틱부(42)는 활꼴 형태의 금속판으로 제조된다. 도어스틱부(42)는 취반기 도어(3)가 열리고 닫힐 때 취반기 도어(3)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또한, 도어스틱부(42)는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리거나 닫혔을 때 취반기 도어(3)를 지지하고 고정한다. 도어스틱부(42)의 일측 단부는 도어고정부(41)와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소형 볼트공이 형성되며, 타측 단부는 취반기 본체(2)에 고정된 도어힌지(5)의 돌출부위에 걸려 취반기 도어(3)를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421)가 형성된다.
도어고정부(41)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복수 개의 소형 볼트공과 도어스틱부(4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소형 볼트공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도어고정부(41)의 각 볼트공과 도어스틱부(42)의 각 볼트공은 하나의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도어고정부(41)와 도어스틱부(42)는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강력하게 결합된다. 도 5 및 6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도어고정부(41)와 도어스틱부(42) 각각에는 3개의 볼트공이 형성된다.
도어스틱부(42)의 타측 단부에는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렸을 때 취반기 도어(3)의 더 이상의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421)가 형성된다. 돌출부(421)는 활꼴 형태의 도어스틱부(42)의 타측 단부에 “[” 형상으로 일측 단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어스틱부(42)의 타측 단부의 돌출부(421)는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렸을 때 취반기 본체(2)의 좌측 외면 및 우측 외면 각각에 결합된 2개의 도어힌지(5)의 돌출부에 걸려 고정된다. 취반기 도어(3)는 취반기 도어(3)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결합된 2개의 분리형 도어링크(4)를 가지고 있다. 2개의 분리형 도어링크(4)는 각 도어스틱부(42)의 타측 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421)가 취반기 본체(2)의 도어힌지(5)의 돌출부위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 본체(2)로부터 일정각도(예를 들어, 90 도) 이상 회전하지 않고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어스틱부(42)의 타측 단부에서 도어힌지(5)에 걸리는 돌출부(421)의 반대면인 상면에는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닫혔을 때 취반기 도어(3)의 닫힘을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422)가 형성된다. 도어스틱부(42)의 타측 단부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422)는 취반기 본체(2)의 하부에 부착된 캠(6)에 물려 고정된다.
도 7은 도 4의 분리형 도어링크를 포함하는 업소용 취반기의 도어와 연소실 본체 사이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닫혔을 때 취반기 도어(3)와 취반기 본체(2) 사이에서 분리형 도어링크(4)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b)는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렸을 때 취반기 도어(3)와 취반기 본체(2) 사이에서 분리형 도어링크(4)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닫혀 있을 때 분리형 도어링크(4)의 도어스틱부(42)는 취반기 본체(2)의 하부에 결합된 캠(6)에 물려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취반기 도어(3)가 사용자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어스틱부(42)의 타측 단부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422)가 캠(6)의 롤러에 물리게 되고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닫혀 고정되게 된다.
취반기 도어(3)가 사용자에 의해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어스틱부(42)가 회전하면서 도어스틱부(42)가 캠(6)의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분리형 도어링크(4)의 도어스틱부(42)의 오목부와 취반기 본체(2)의 캠(6)의 롤러 간의 물림이 풀려 취반기 도어(3)가 열리게 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려 있을 때 분리형 도어링크(4)의 도어스틱부(42)는 취반기 본체(2)의 좌측 외면 및 우측 외면에 부착된 도어힌지(5)에 결려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리게 되면, 도어스틱부(42)의 타측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 부위가 취반기 본체(2)의 입구 측에 부착된 도어힌지(5)의 돌출 부위에 걸리게 되고 더 이상 취반기 도어(3)가 회전하지 않고 열린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취반기 도어(3)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무게가 상당하다. 취반기 도어(3)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취반기 도어(3)의 하중에 의한 충격이 취반기 도어(3)와 취반기 본체(2)를 연결하는 도어링크(4)에 전달된다. 취반기 도어(3)의 개폐가 반복됨에 따라 취반기 도어(3)의 하중에 의한 충격이 그대로 도어링크(4)에 전달되고, 이러한 충격이 누적될 경우 도어링크(4)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도어링크(4)가 파손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취반기 도어(3)를 열 때에 대부분 취반기 도어(3)가 거의 직립된 상태에서 취반기 도어(3)의 손잡이를 놓는 방식으로 취반기 도어(3)를 열기 때문에 취반기 도어(3)가 열릴 때에 도어링크(4)에 가해지는 충격은 매우 클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00059호의 업소용 취반기는 일체형 도어링크를 포함한다. 그러나, 일체형 도어링크는 도어의 개폐 시에 도어의 하중으로 그래도 도어링크로 전달되어 도어링크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일체형 도어링크에서 취반기 도어에 고정된 부분과 본체에 연결된 부분 사이의 절곡되거나 용접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취약하기 때문에 절곡되거나 용접된 부분이 더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4)는 취반기 도어(3)와 도어링크가 고정되는 도어고정부(41)와 취반기 도어(3)와 취반기 본체(2)를 연결하는 도어스틱부(42)가 분리되고,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도어고정부(41)와 도어스틱부(42)가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고정부(41)와 도어스틱부(42)는 다수 개의 볼트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어고정부(41)의 돌출된 제 1 볼록부(411) 및 도어스틱부(42)의 일측 단부에는 동일한 개수의 소형 볼트공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어고정부(41)의 돌출된 제 1 볼록부(411) 및 도어스틱부(42)의 일측 단부 각각에 형성된 복수 개의 소형 볼트공은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각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4)에서 취반기 도어(3)가 열리고 닫힐 때 전달되는 취반기 도어(3)의 하중이 도어고정부(41)와 도어스틱부(42)를 결합하는 다수 개의 볼트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는 취반기 도어(3)의 하중에 의해 도어링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볼트가 변형되거나 파손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4)는 분리형 도어링크(4)를 교체할 필요 없이 변형되거나 파손된 볼트만을 교체하여 간단하고 빠르게 취반기 도어(3)를 수리할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분리형 도어링크와 도 1에 도시된 취반기 도어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8은 분리형 도어링크(4)의 도어고정부(41)가 취반기 도어(3)의 좌측 외면 및 우측 외면에 고정된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분리형 도어링크(4)의 도어고정부(41)는 취반기 도어(3)의 좌측 외면 및 우측 외면에 배치된다. 취반기 도어(3)의 좌측 외면 및 우측 외면에는 도어고정부(41)와 결합되기 위한 복수 개의 대형 볼트공 및 복수 개의 소형 볼트공이 형성된다. 취반기 도어(3)에 형성된 복수 개의 대형 볼트공 및 복수 개의 소형 볼트공은 도어고정부(41)에 형성된 복수 개의 대형 볼트공 및 복수 개의 소형 볼트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취반기 도어(3)의 각 볼트공과 대응되는 도어고정부(41)의 각 볼트공은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각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취반기 도어(3)의 좌측 외면 및 우측 외면 각각에는 도어고정부(41)의 제 1 볼록부(4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튀어나온 제 2 볼록부(302)가 형성된다. 취반기 도어(3)의 좌측 외면 및 우측 외면 각각에 형성된 제 2 볼록부(302)는 도어고정부(41)의 제 1 볼록부(411)의 일측에 포개져 고정된다. 또한, 취반기 도어(3)의 제 2 볼록부(302)는 취반기 도어(3)의 제 1 볼록부(411)에 형성된 볼트공과 대응되는 볼트공이 형성된다. 도어고정부(41)의 제 1 볼록부(411)에 형성된 볼트공과 취반기 도어(3)의 제 2 볼록부(302)에 형성된 볼트공은 서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하나의 볼트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도어고정부(41)와 취반기 도어(3)가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형 도어링크(4)의 도어고정부(41)는 도어고정부(41)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제 1 볼록부(411)와 취반기 도어(3)의 외면에 형성된 제 2 볼록부(302)가 서로 포개지고 도어고정부(41)의 외측면, 내측면 및 중간부분에 형성된 복수 개의 볼트공의 볼트결합에 의해 이중으로 결합됨으로써 단단하게 고정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취반기 도어(3)의 좌측 외면 및 우측 외면 각각에는 “[” 형상의 제 2 볼록부가 형성된다. 취반기 도어(3)의 측면 외면에 형성된 “[” 형상의 제 2 볼록부(302)는 분리형 도어링크(4)의 도어고정부(41)의 “[”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제 1 볼록부(411)와 결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기 도어(3)의 “[” 형상의 제 2 볼록부(302)는 도어고정부(41)의 “[” 형상의 제 1 볼록부(411)의 양측 모서리 중 일측 모서리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분리형 도어링크(4)의 도어고정부(41)가 취반기 도어(3)의 제 2 볼록부(302)에 고정됨으로써 분리형 도어링크(4)가 취반기 도어(3)의 개폐시 앞뒤로 흔들리지 않고 취반기 도어(3)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취반기 도어(3)와 도어고정부(41)는 복수 개의 소형 및 대형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취반기 도어(3)의 “[” 형상의 제 2 볼록부(302)가 도어고정부(41)의 “[” 형상의 제 1 볼록부(411)의 일측 모서리에 고정되어 이중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취반기 도어(3)와 도어고정부(41)는 이중으로 결합됨으로써 취반기 도어(3)와 분리형 도어링크(4)가 단단하게 결합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분리형 도어링크의 도어스틱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4)는 취반기 도어(3)에 고정되는 도어고정부(41), 및 취반기 도어(3)와 취반기 본체(2)를 연결하는 도어스틱부(4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4)의 도어고정부(41)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도어고정부(4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어고정부(41)에 대한 설명은 앞서 기재한 내용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4)의 도어스틱부(42)는 도어고정부(41)와 결합되는 일측 단부에 돌출된 지지부를 갖는다. 도어스틱부(42)의 일측 단부의 지지부는 “L” 형상의 횡단면을 갖으며, 도어고정부(41)의 하면에 고정된다. 도어스틱부(4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지지부는 도어고정부(41)의 하면에 고정되어, 도어스틱부(42)와 도어고정부(41)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볼트가 파손되어 도어스틱부(42)와 도어고정부(41) 간의 결합이 풀리더라도 도어스틱부(4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지지부가 도어고정부(41)를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 본체(2)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링크는 취반기 도어(3)가 열릴 때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 본체(2)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4)에서 도어고정부(41)와 도어스틱부(42)의 결합이 분리된 경우에는 취반기 도어(3)가 열릴 때 취반기 도어(3)가 90도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거나 취반기 도어(3)의 하중으로 인하여 취반기 본체(2)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취반기 도어(3) 및 취반기 본체(2)가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4)의 도어스틱부(42)는 일측 단부에 도어고정부(41)를 지지하는 “L”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되고, 도어스틱부(42)의 지지부는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렸을 때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가 설치된 바닥면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취반기 도어(3)에 결합된 도어고정부(41)를 지지하여 취반기 도어(3)가 바닥면에 평행한 상태 이상으로 회전되거나 취반기 본체(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4)는 취반기 도어(3)와 분리형 도어링크(4) 간에서 볼트와 지지부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도어링크보다 안정적이고 단단하게 취반기 도어(3)와 취반기 본체(2)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4)의 도어스틱부(42)는 도어고정부(41)와 결합되는 일측 단부에 돌출된 지지부를 갖는다. 도어스틱부(42)의 일측 단부의 지지부는 “L” 형상의 횡단면을 갖으며, 도어고정부(41)의 하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스틱부(42)의 지지부는 도어고정부(41)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도어스틱부(4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지지부는 도어고정부(41)의 하면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도어스틱부(42)와 도어고정부(41)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볼트가 파손되어 도어스틱부(42)와 도어고정부(41) 간의 결합이 풀리더라도 도어스틱부(4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지지부가 도어고정부(41)를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 본체(2)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어스틱부(42)와 도어고정부(41) 간의 볼트 결합이 풀린 경우 취반기 도어(3)가 도어고정부(41)의 하면과 도어스틱부(42)의 지지부 간의 이격된 간격만큼 낙하되게 된다. 취반기(1)의 사용자는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렸을 때 취반기 도어(3)가 정상적일 때보다 더 많이 회전하거나 낙하된 것을 확인하여 도어스틱부(42)와 도어고정부(41)를 결합시키는 볼트가 변형되었거나 파손되었음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도어링크(4)는 사용자로 하여금 취반기 도어(3)의 상태를 통해 분리형 도어링크(4)의 변형 또는 파손 여부를 빠르게 알 수 있게 하고, 취반기(1)의 빠른 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취반기
2: 취반기 본체
3: 취반기 도어
4: 분리형 도어링크
41: 도어고정부 42: 도어스틱부
5: 도어힌지

Claims (4)

  1.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연소실을 구비하는 취반기 본체(2);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의 입구 측에 회전 결합되는 취반기 도어(3); 및
    상기 취반기 본체(2) 및 상기 취반기 도어(3)를 연결하고 상기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리거나 완전히 닫힐 때 상기 취반기 도어(3)를 고정하는 분리형 도어링크(4)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형 도어링크(4)는
    상기 취반기 도어(3)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도어고정부(41); 및
    상기 취반기 도어(3)가 열리거나 닫힐 때 상기 취반기 도어(3)가 상기 취반기 본체(2)에 고정되도록 하는 활꼴의 도어스틱부(42)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고정부(41)는 중간부분이 절곡되어 볼록하게 튀어나온 제 1 볼록부(411)가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이고,
    상기 취반기 도어(3)의 양측 외면 각각에 상기 도어고정부(41)의 제 1 볼록부(4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튀어나온 제 2 볼록부(302)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고정부(41)와 상기 취반기 도어(3)는 상기 취반기 도어(3)의 제 2 볼록부(302)가 상기 도어고정부(41)의 제 1 볼록부(411)의 일측에 포개지고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이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고정부(41)의 제 1 볼록부(411)는 “[” 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절곡되고 복수 개의 볼트공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스틱부(42)는 상기 도어스틱부(42)의 양측 단부 중 상기 도어고정부(41)와 결합되는 일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볼트공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고정부(41)의 제 1 볼록부(411)의 복수 개의 볼트공과 상기 도어스틱부(42)의 일측 단부의 복수 개의 볼트공은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복수 개의 볼트 각각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취반기 도어(3)의 양측 외면 각각에 형성된 제 2 볼록부(302)는 “[” 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절곡되고,
    상기 취반기 도어(3)의 제 2 볼록부(302)는 상기 도어고정부(41)의 제 1 볼록부(411)의 일측 모서리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스틱부(42)는 양측 단부 중 상기 도어고정부(41)와 결합되는 일측 단부는 “L”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상기 도어고정부(41)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스틱부(42)의 지지부는 상기 취반기 도어(3)에 결합된 상기 도어고정부(41)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취반기 도어(3)가 상기 취반기가 설치된 바닥면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KR1020190131672A 2019-10-22 2019-10-22 분리형 도어링크를 갖는 취반기 KR102188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672A KR102188321B1 (ko) 2019-10-22 2019-10-22 분리형 도어링크를 갖는 취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672A KR102188321B1 (ko) 2019-10-22 2019-10-22 분리형 도어링크를 갖는 취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321B1 true KR102188321B1 (ko) 2020-12-08

Family

ID=7377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672A KR102188321B1 (ko) 2019-10-22 2019-10-22 분리형 도어링크를 갖는 취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758B1 (ko) * 2022-10-25 2023-03-16 주식회사 선경인케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열유도패널이 자동으로 승강되는 인덕션 취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59B1 (ko) * 2011-04-25 2013-08-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프링 고정편을 겸비한 도어스틱 및 이를 구비한 업무용 취반기
KR101794258B1 (ko) * 2017-02-23 2017-11-07 김종석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
KR101870903B1 (ko) * 2016-11-02 2018-06-26 리나스대성(주) 가스· 전자기기용 도어 잠금장치
KR20190078113A (ko) * 2017-12-26 2019-07-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취반기의 물 공급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59B1 (ko) * 2011-04-25 2013-08-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프링 고정편을 겸비한 도어스틱 및 이를 구비한 업무용 취반기
KR101870903B1 (ko) * 2016-11-02 2018-06-26 리나스대성(주) 가스· 전자기기용 도어 잠금장치
KR101794258B1 (ko) * 2017-02-23 2017-11-07 김종석 취반기의 열감지기 승강장치
KR20190078113A (ko) * 2017-12-26 2019-07-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취반기의 물 공급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758B1 (ko) * 2022-10-25 2023-03-16 주식회사 선경인케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열유도패널이 자동으로 승강되는 인덕션 취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321B1 (ko) 분리형 도어링크를 갖는 취반기
ES2330660T3 (es) Bisagra de recuperacion rapida para soportar un elemento de cierre.
US20090313901A1 (en) Door mount for a safe
US5377662A (en) Furnace door attachment
KR101518181B1 (ko) 이중차단형 도어 장치
US2198346A (en) Oven door and hinge structure therefor
EP2166185B1 (en) Articulated snap hinge
CN107964759B (zh) 衣物处理装置
EP2370739B1 (en) An oven having a mounting member
US11015377B2 (en) Hinge assembly
JP7263668B2 (ja) 家具の扉を動かす機構
JP5171382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708734B1 (ko) 후드 오픈에포트 저감을 위한 오픈에포트 어시스트 4절 후드힌지
EP3619474B1 (en) Cooking appliance with improved assemblage
US20060151483A1 (en) Oven
KR101359008B1 (ko) 버너용 바람막이
US553484A (en) Alfred e
US1931910A (en) Concealed hinge construction for range doors
KR200494485Y1 (ko) 문틀 및 문짝 경첩설치용 위치결정 경첩보강대
US1735653A (en) Oven-door construction
US1210480A (en) Oven-door support.
KR102027466B1 (ko) 사물함 도어용 힌지 및 이를 포함하는 사물함
US2039539A (en) Stove construction
US2938516A (en) Oven door hinge
US1381527A (en)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