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941B1 -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 Google Patents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941B1
KR102632941B1 KR1020230075226A KR20230075226A KR102632941B1 KR 102632941 B1 KR102632941 B1 KR 102632941B1 KR 1020230075226 A KR1020230075226 A KR 1020230075226A KR 20230075226 A KR20230075226 A KR 20230075226A KR 102632941 B1 KR102632941 B1 KR 102632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ncake
heating
temperature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천
Original Assignee
화신주방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주방산업(주) filed Critical 화신주방산업(주)
Priority to KR1020230075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침기에 있어서, 부침판의 온도측정을 함에 구역별로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하고 조리열의 미세한 조절하여 이를 통해 부침조리의 효율을 증대시키며, 부침판의 열변형을 방지하고 부침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은 지지몸체가 되는 부침프레임과 부침조리가 이루어지는 부침판, 부침판을 가열하는 각각에 탄성몰입되는 온도센서를 갖는 하나이상의 히팅모듈, 부침판을 열변형흡수간격을 형성하게 지지하며 회전동작으로 부침판을 이격동작시키는 판리프트, 제어부 및 조작부로 구성하고, 상기 판리프트를 이격축봉이 되는 리프팅봉과 회전에 따라 부침판을 이격 또는 들뜨게 하는 리프팅캠으로 구성하고, 상기 히팅모듈을 사각의 모듈케이스, 히팅열선, 부침판에 탄성돌출접촉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모듈손잡이로 구성하여, 다수의 히팅모듈이 부침판을 가열함에 구비된 히팅모듈 각각에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히팅모듈의 온도센서로 부침판의 구역별 실시간 온도정보를 정밀하고 인식하고 나아가 히팅열선의 출력을 조절하여 조리구역별 온도차이를 제어하여 부침조리의 효율이 크게 향상하는 효과를 갖으며, 고온의 조리에도 구역별 실시간 온도를 파악하고 조절하여 균형적인 조리온도로 안정적인 부침요리가 이루어지게 하며, 고온조리 중에 추가적인 조리물의 투입으로 인한 온도강하를 빠르게 보완회복하여 조리시간의 단축시키며 조리 성능의 향상하는 효과를 갖으며, 구역별 구별된 온도정보를 활용하여 구역별 온도차이를 줄여서 부침판의 온도차이로 인한 부침판의 열변형을 예방하며, 나아가 판리프트로 부핌판을 이격시키고 히팅모듈을 구역별 슬라이딩 분리하여 장치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Electric pancake cooker}
본 발명은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침기에 있어서, 부침판의 조리 구역을 구별되게 가동하며 나아가 구별된 부침 구역별 정밀한 조리열을 측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져 부침조리의 효율이 증대되며, 조리온도를 고온으로 높여도 부침 구역별 온도가 신속하게 균형적으로 조절되어 고온 부침요리를 안정적이며 신속하게 조리하며 추가적인 조리물의 투입에도 조리온도를 유지시켜 조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또한, 부침판의 급격한 열전도와 구역별 열온도차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휘거나 뒤틀리는 부침판열변형을 방지하는 부침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부침기는 가열된 판상의 부침판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장치이다.
이상과 같은 부침기는 부침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부침판과 상기 부침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부침판을 조리 가능하도록 가열할 수 있게 구비되는 가열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침기는 일반적으로 부침판 하부에 구비되는 가스버너로 구성된 가스가열수단으로 구성되며, 가스 가열수단에 의하여 부침판을 가열한 후 부침판의 상부에 기름을 두른 후 조리물을 부침판에 펼쳐 조리가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부침기는 가스버너를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져 가스버너로 부침판을 가열하는 종래의 부침기는 가스버너를 통한 온도제어가 어렵고 가스버너의 가스버너의 구역별 구분이 어려워 조리가 조리자의 감으로 진행되다보니 부침조리의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스버너 부침기는 조리과정에 인체에 유해하며 가스사고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스버너의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가스가열 부침기를 대신하여 같은 전기히팅수단을 이용한 부침기가 공개되어 있다.
종래의 전기히팅수단을 이용한 부침조리기는 부침판 하부에 전기코일을 부착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전기코일이 부착된 종래의 부침기는 부침판에 있어 코일을 접촉부위와 비접촉부위의 온도차이가 심하여 조리열이 코일접촉부위만 집중되어 조리물이 타거나 눌어붙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전기히팅 부침기는 부침기의 부침판 일측에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있어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구역의 온도와 온도가 측정되는 측정구역의 온도차이가 발생하여 조리온도에 인식에 불일치로 인하여 조리가 설익거나 과조리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나 이러한 구역별 온도정보의 미흡은 부침판의 조리열을 고열로 할수록 실 조리영역의 온도정보에 불일치가 심해지며 이로인하여 고온으로 부침조리가 이루어질 경우 부침판 영역별 온도의 불균형으로 일구역은 과도한 조리(조리물이 타는)가 이루어지는데 반하여 다른 일구역은 부족한 조리(조리물이 설익는)가 이루어지는 불균형조리 상황이 발생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고온의 부침조리는 조리과정에서 조리물을 추가 투입하면 조리물의 차가운 온도로 투입된 위치의 부침판의 온도가 급속하게 내려가지만 종래의 부침기는 이러한 실시간 온도정보를 인지하지 못하여 부침판의 온도를 일정하고 유지시키지 못하며, 이로 인하여 조리온도의 회복에 조리시간 추가되어 조리과정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전기히터를 구비하여 동작하면 부침판의 구역별 온도의 정보를 알기가 어려워, 전기히터의 일부 구역만 가동하여 실시하게 되면은 동작된 전기히터의 구역과 비동작된 전기히터의 구역에 부침판 온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이러한 온도차가 심할 경우 구역간 큰온도차로 부침판의 열변형이 발생한다는 문제점 역시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전기히터 부침기는 부침판에 전기히터 코일이 직접적으로 닿게 구비되며, 부침기를 동작시키면 전기히터코일에 고열이 부침판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이러한 직접적인 열전달은 부침판이 차가울 경우 부침판의 급격한 가열로 부침판이 휘거나 틀어지는 등의 부침판 열변형이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실용신안 등록 제 20-0436952호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의자를 이용한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새로운 구조의 의자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부침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부침판의 조리물에 조리온도를 구역별로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측정하여 조리가자 부침조리의 조리열 조절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이를 활용하여 부침조리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조리온도를 고온으로 올려도 부침판의 온도가 균형적으로 올라 안정적이고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나아가 고온조리시에 추가조리물의 투입으로 인한 온도의 강하문제를 신속히 대응하며, 실시간 조리구역의 온도인식과 전기히터의 출력조절을 통하여 조리열을 세밀하게 조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부침기의 부침판의 열변형을 방지하며 부침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부침기에 있어서, 지지몸체가 되는 부침프레임과 부침조리가 이루어지는 부침판, 부침판을 가열하며 각각 탄성몰입되는 온도센서를 갖는 복수의 히팅모듈, 부침판을 지지하며 회전동작으로 부침판을 이격동작시키는 판리프트, 제어부 및 조작부로 구성하고, 상기 판리프트를 이격축봉이 되는 리프팅봉과 회전에 따라 부침판을 이격 또는 간격지게 하는 리프팅캠으로 구성하고, 상기 히팅모듈을 사각의 모듈케이스, 히팅열선, 상기 히팅열선이 매립되어 가열되는 히팅판, 부침판에 탄성돌출접촉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탄성몰입되는 온도센서, 모듈손잡이로 구성된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다수의 히팅모듈이 부침판을 가열함에 구비된 히팅모듈 각각에 탄성몰입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히팅모듈의 온도센서로 부침판의 구역별 실시간 온도정보를 정밀하고 인식하고 나아가 히팅열선의 출력을 조절하여 조리구역별 온도차이를 제어하여 부침조리의 효율이 크게 향상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부침판에 조리온도를 고온으로 높여도 각 구역 부침판 하부 모듈케이스의 온도센서로 구역별 실시간 온도를 파악하고 이를 조절하여 부침 구역별 온도를 신속하게 균형적으로 조절하여 이를 통해 부침판 전역에 안정적인 부침요리가 이루어지게 하며, 고온조리 중에 추가적인 조리물의 투입에도 차가운 추가 조리물로 인한 온도강하를 부침판 구역 온도센서가 실시간으로 빠르게 인식하고 이를 보완하도록 제어부가 히팅열선을 급가동시켜서 조리온도를 빠르게 다시 회복유시켜서 온도변화 대응 시간의 감소로 조리의 조리시간의 증가를 방지하여 조리 성능의 향상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구역별 구별된 온도정보를 활용하여 구역별 온도차이를 줄여서 부침판의 온도차이로 인한 부침판의 열변형을 예방하며, 더욱이 판리프트로 부침판과 히팅모듈사이에 열변형흡수간극으로 부침판의 급격한 가열을 방지하여 부침판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히팅모듈을 구역별 슬라이딩 분리하여 장치의 관리가 용이하며 히팅모듈의 분리시에 판리프트로 부침판을 이격시켜서 히팅모듈의 온도센서의 접촉이 떨어지게 하여 히팅모듈의 분리가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열변형흡수간극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라 판리프팅부의 다른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라 히팅모듈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온도센서의 탄성동작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접촉패드를 구비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간극조절리프팅캠을 구비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받침봉의 동작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4은 본 발명에 따라 구역온도균형부의 관계를 보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부침기에 있어서, 부침판의 구역별 온도측정을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하고 조리열의 미세한 조절하여 이를 통해 부침조리의 효율을 증대시키며, 부침판의 열변형을 방지하고 부침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즉, 본 발명은 도시에 의하여 부침프레임(10)과 부침판(20), 히팅서랍부(30), 히팅모듈(40), 판리프트(50), 제어부(60) 및 조작부(70)로 구성된 부침기이다.
여기서, 상기 부침프레임(10)은 부침기를 지지하는 지지몸체가 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침판(20)는 상기 부침프레임(10) 상부에 놓여 부침조리가 이루어지게 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히팅서랍부(30)는 상기 부침판(20) 하부에 서랍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히팅모듈(40)는 하나이상으로 구비되며, 각 히팅모듈(40)에 탄성몰입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히팅서랍부(30)에 슬라이딩 수납되어 부침판(20)을 가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히팅모듈(40)은 몸체가 되는 사각의 모듈케이스(211)와 상기 모듈케이스(211) 상면에 히팅열을 발산하는 히팅열선(213), 상기 모듈케이스(211) 상면을 관통하여 부침판(20)에 접촉하도록 온도를 측정하게 탄성돌출되는 온도센서(214) 및 상기 모듈케이스(211) 전면에 히팅모듈(40)의 수납손잡이가 되는 모듈손잡이(215)로 구성한다.
상기 온도센서(214)는 히팅판의 관통홀에 돌출되어 부침판(20) 바닥면에 닿아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봉(214a), 상기 센서봉(214a)에 결속된 센서와셔(214b), 상기 센서봉(214a)이 부침판 바닥면에 눌리면 일부 삽입되는 센서몸체(214c), 상기 센서와셔와 센서몸체 사이에 센서봉의 동작에 탄성작동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214d)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모듈케이스(211) 상면에 상기 히팅열선(213)이 돌출되지 않게 수납되는 열선수납홈을 갖으며 히팅열선(213)에 의하여 가열되어 넓은 면으로 부침판(20)을 가열하는 히팅판(21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히팅판(212) 테두리에 히팅열선(213)과 히팅판(212)이 직접적으로 부침판(20)에 닿지 않고 열별형흡수간극(700)을 형성하여 가열하도록 히팅판(212)보다 상부로 돌출된 간극형성테두리(217)를 구비한다.
모듈케이스(211) 내부에 내부단열재를 구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모듈(40)의 히팅열선(213)은 유도가열로 부침판(20)을 가열하는 유도가열인덕션 코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케이스(211) 하면에 히팅모듈(40)이 히팅서랍부(30)에 슬라이딩 되게 슬라이딩날개(21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복수의 히팅모듈(40)을 구비시에 부침판(20)의 히팅모듈(40) 부침판의 구역별 온도차로 인한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자동으로 근접 히팅모듈(40)의 출력을 조절하여 구역별 온도차이를 줄이는 구역온도균형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리프트(50)는 조리사용시에는 상기 부침프레임(10) 상부에 상기 부침판(20)을 들뜨게 지지하며 장치분리시에는 부침판(20)을 이격동작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침프레임(10) 일측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60)와 조작하는 조작부(70)를 구비한다.
상기 판리프트(50)는 이격축봉이 되는 리프팅봉(110)과 상기 리프팅봉(110) 중간에 회전에 따라 부침판(20)을 이격시키는 하나이상으로 형성된 리프팅캠(1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봉(110)의 회전동작은 리프팅봉(110)에 리프팅공구(421) 결합하여 동작하거나 리프팅봉(110) 전방에 별도의 리프팅조작구(422)를 결속하여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리프팅캠(120)은 일모서리를 부침판(20) 하부에 열변형흡수간극(700)을 형성하도록 부침판(20)이 히팅모듈(40)에 직접적으로 닿지않고 열변형흡수간극(700)을 형성하여 가열하도록 부침판(20)을 들어올려지지하는 간극바닥면(121)으로 구비하고, 다른 일모서리를 히팅모듈(40)을 분리시에 부침판(20)을 이격시키도록 간극바닥면(121)보다 높게 형성된 리프팅면(122)으로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캠(120)의 간극바닥면(121)과 리프팅면(122)사이 연결 모서리를 회전에 용이하게 곡률지게 구비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캠(120)에 테프론코팅을 구비하거나, 부침판(20) 하부에 리프팅캠(120)에 마모되지 않게 형성한 별도의 리프팅마모판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리프팅캠(120)은 부침판(20)이 들뜨는 간격을 조절하도록 일모서리를 높이가 다른 다수의 간극바닥면(121)으로 구비한 간극조절리프팅캠(120a)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침프레임(10)은 전방에 히팅모듈(40)의 수납작업이 이루어지며 제어장치가 설치되는 제어공간(300), 상지 제어공간(300) 전방에 제어공간(300)을 막는 도어가 되는 전방도어(310)와 프레임 지지다리 측에 상기 전방도어(310)를 열었을 때에 전방도어(310)를 거치지지하도록 슬라이딩 돌출되는 도어받침봉(3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받침봉(320)은 손잡이가 되는 받침손잡이(321), 슬라이딩되는 봉형의 돌출봉(322), 상기 돌출봉(322)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봉수납박스(323)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공간(300) 일측에 히팅열의 열기가 전방으로 오지 않으며 열기를 후방으로 배출하도록 열변형흡수간극(700) 전방으로 송풍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3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침판(20)은 일측에는 폐기름 및 오물을 모와서 배출하는 폐기름배출구(600)를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폐기름배출구(600)는 히팅모듈(40)이 간극간 균일하게 근접배치하여 히팅모듈에 의한 조리열을 균등하게 형성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최외측 히팅모듈 아웃방향 즉 상기 부침판 일측 구석에 관통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침판(20)은 상기 하부면에 상기 온도센서(214)가 직접적으로 닿아 부침판(20)과 온도센서(21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온도센서(214)에 접촉되는 패드형으로 형성된 접촉패드(4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패드(410)는 부침판(20)의 온도에 민감하게 변환되며 내마모성을 갖도록 열전도성을 갖는 탄소섬유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서랍부(30)는 상부로 복사열을 반사하는 반사코팅면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부침프레임 20: 부침판
30: 히팅서랍부 40: 히팅모듈
50: 판리프트 60: 제어부
70: 조작부
110: 리프팅봉
120: 리프팅캠 120a: 간극조절리프팅캠
121: 간극바닥면 122: 리프팅면
211: 모듈케이스 212: 히팅판
213: 히팅열선 214: 온도센서
214a: 센서봉 214b: 센서와셔
214c: 센서몸체 214d: 탄성스프링
215: 모듈손잡이 216: 슬라이딩날개
217: 간극형성테두리
300: 제어공간 310: 전방도어
320: 도어받침봉
321: 받침손잡이 322: 돌출봉
323: 봉수납박스 330: 송풍팬
410: 접촉패드
421: 리프팅공구 422: 리프팅조작구
500: 구역온도균형부 600: 폐기름배출구
700: 열변형흡수간극

Claims (5)

  1. 부침기에 있어서,
    부침기를 지지하는 지지몸체가 되는 부침프레임(10),
    상기 부침프레임(10) 상부에 놓여 부침조리가 이루어지는 부침판(20),
    상기 부침판(20) 하부에 히팅서랍부(30),
    상기 히팅서랍부(30)에 슬라이딩 수납되어 부침판(20)을 가열하며 구역별로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히팅모듈(40),
    상기 부침프레임(10) 상부에 상기 부침판(20)을 부침판(20)을 이격동작시키는 판리프트(50)를 구비하고,
    상기 부침프레임(10) 일측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60) 및 조작하는 조작부(70)로 구성하고,

    상기 히팅모듈(40)은
    몸체가 되는 사각의 모듈케이스(211),
    상기 모듈케이스(211) 상면에 히팅열을 발산하는 히팅열선(213),
    상기 모듈케이스(211) 상면을 관통하여 부침판(20)에 접촉하도록 온도를 측정하게 히팅판의 관통홀에 돌출되어 부침판 바닥면에 닿아 온도를 측정하며 탄성스프링(214d)에 의하여 탄성돌출동작하는 온도센서(214),
    상기 모듈케이스(211) 전면에 히팅모듈(40)의 수납손잡이가 되는 모듈손잡이(215)로 구성하고

    상기 판리프트(50)는
    이격축봉이 되는 리프팅봉(110),
    상기 리프팅봉(110) 중간에 회전에 따라 부침판(20)을 이격시키는 하나이상으로 형성된 리프팅캠(12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캠(120)은
    일모서리를 부침판(20) 하부에 부침판(20)이 히팅모듈(40)에 사이에 열변형흡수간극(700)을 형성하도록 부침판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간극바닥면(121),
    다른 일모서리에 히팅모듈(40)을 분리시에 부침판(20)을 이격시키도록 간극바닥면(121)보다 높게 형성된 리프팅면(122)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침프레임(10)은
    전방에 히팅모듈(40)의 수납작업이 이루어지며 제어장치가 설치되는 제어공간(300),
    상지 제어공간(300) 전방에 제어공간(300)을 막는 도어가 되는 전방도어(310),
    프레임 지지다리 측에 상기 전방도어(310)를 열었을 때에 전방도어(310)를 거치지지하도록 슬라이딩 돌출되는 도어받침봉(320)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받침봉(320)은 손잡이가 되는 받침손잡이(321), 슬라이딩되는 봉형의 돌출봉(322), 상기 돌출봉(322)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봉수납박스(323)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공간(300) 일측에 히팅열의 열기가 전방으로 오지 않으며 열기를 후방으로 배출하도록 열변형흡수간극(700) 전방으로 송풍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3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복수의 히팅모듈(40)을 구비시에 부침판(20)의 히팅모듈(40) 구역별 온도차이가 높을 경우 부침판(20)의 구역별 온도차로 인한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자동으로 근접 히팅모듈(40)의 출력을 조절하여 구역별 온도차이를 줄이는 구역온도균형부(5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케이스(211)는
    상면에 상기 히팅열선(213)이 돌출되지 않게 수납되는 열선수납홈을 갖으며 히팅열선(213)에 의하여 가열되어 넓은 면으로 부침판(20)을 가열하는 히팅판(212),
    또한, 상기 히팅판(212) 테두리에 히팅열선(213)과 히팅판(212)이 직접적으로 부침판(20)에 닿지 않고 열별형흡수간극(600)을 형성하여 가열하도록 히팅판(212)보다 상부로 돌출된 간극형성테두리(217)를 구비하고,

    상기 부침판(20)은
    상기 부침판(20) 하부면에 상기 온도센서(214)가 직접적으로 닿아 부침판(20)과 온도센서(21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온도센서(214)에 접촉되는 패드형으로 형성된 접촉패드(4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KR1020230075226A 2023-06-13 2023-06-13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KR102632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226A KR102632941B1 (ko) 2023-06-13 2023-06-13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226A KR102632941B1 (ko) 2023-06-13 2023-06-13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941B1 true KR102632941B1 (ko) 2024-02-02

Family

ID=8990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226A KR102632941B1 (ko) 2023-06-13 2023-06-13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94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430Y1 (ko) * 2001-08-17 2001-12-24 엘지전자주식회사 토스터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US6518549B1 (en) * 1998-05-11 2003-02-11 Christopher R. Taylor Modular radiant heater units for use in grills having edge heat weighting
KR200436952Y1 (ko) 2006-11-15 2007-10-22 류재희 가스 부침기
KR20100124932A (ko) * 2009-05-20 2010-11-30 주식회사 주원정공 전기히터를 부분교체 가능한 전기식 철판조리장치
US20170223772A1 (en) * 2016-02-01 2017-08-03 Evo, Inc. Cooking system with multiple heating elements
KR102286110B1 (ko) * 2020-09-21 2021-08-05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열 조리사 차단수단을 갖는 전기 히팅형 부침조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8549B1 (en) * 1998-05-11 2003-02-11 Christopher R. Taylor Modular radiant heater units for use in grills having edge heat weighting
KR200256430Y1 (ko) * 2001-08-17 2001-12-24 엘지전자주식회사 토스터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KR200436952Y1 (ko) 2006-11-15 2007-10-22 류재희 가스 부침기
KR20100124932A (ko) * 2009-05-20 2010-11-30 주식회사 주원정공 전기히터를 부분교체 가능한 전기식 철판조리장치
US20170223772A1 (en) * 2016-02-01 2017-08-03 Evo, Inc. Cooking system with multiple heating elements
KR102286110B1 (ko) * 2020-09-21 2021-08-05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열 조리사 차단수단을 갖는 전기 히팅형 부침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27073B (zh) 一种多士炉
JP5878989B2 (ja) 熱源体が昇下降される調理容器
EP2329751B1 (en) Cooking appliance
US8656828B2 (en) Electric oven for cooking food
US6341554B2 (en) Toaster having transparent heating walls
CN202843367U (zh) 热源上置式电烤炉
WO2012131333A2 (en) Oven for baking bread products
KR102632941B1 (ko)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KR102212008B1 (ko) 전기 히팅형 부침조리기
CN204636060U (zh) 电烤箱
US1817118A (en) Appliance for grilling, toasting, and the like
CN201929776U (zh) 一种加热均匀的煎烤机
CN109140533A (zh) 一种离火自动保护燃气灶
CN205849313U (zh) 一种多士炉
CN102283588B (zh) 一种电烤炉
CN207837380U (zh) 一种蒸汽调节装置及蒸汽能锅
CN104720618B (zh) 电烤箱
KR102223927B1 (ko) 전기 히팅형 부침조리기
US7987772B2 (en) Passive heater
CN209527683U (zh) 一种烙片机
CN103239152A (zh) 一种新型多士炉
CN208876229U (zh) 一种烤箱
KR200239794Y1 (ko) 다목적 구이기
CN201814426U (zh) 多士炉
CN105942883A (zh) 一种避免食物烤焦的煎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