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952Y1 - 가스 부침기 - Google Patents

가스 부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952Y1
KR200436952Y1 KR2020060029652U KR20060029652U KR200436952Y1 KR 200436952 Y1 KR200436952 Y1 KR 200436952Y1 KR 2020060029652 U KR2020060029652 U KR 2020060029652U KR 20060029652 U KR20060029652 U KR 20060029652U KR 200436952 Y1 KR200436952 Y1 KR 200436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eating plate
plate
burner member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희
Original Assignee
류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재희 filed Critical 류재희
Priority to KR2020060029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9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9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 내에 가열판과 봉형 버너부재가 구비된 가스 부침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가열판과 버너부재 사이에 판형의 열전달부재가 구비되어 가열판의 가열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며, 가열판이 이중 또는 삼중의 클래드판으로 이루어진 가스 부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리시 음식재료가 타거나 가열판에 눌어붙는 것이 방지되고, 가열판의 내식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여 사용연한을 늘이며, 단체급식소와 같은 곳에서는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되는 조리의 위생을 제고함으로써, 취식자(取食者)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 등의 효과가 뛰어나다.
클래드판, 가스, 부침기, 전병(煎餠)

Description

가스 부침기{A griddle make use of a gas}
도 1은 종래기술의 실시형태에 따른 대략적인 구성을 평면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부침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부침기의 단면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부침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본체 11 : 조리부
12 : 수납부 13 : 보조대
14 : 배관 20 : 가열판
21 : 배출수단 21a: 배출공
30 : 버너부재 31 : 화염공
40 : 점화수단 41 : 점화센서
42 : 노브손잡이 43 : 불꽃 트리거
44 : 중계챔버 50 : 수거함
60 : 열전달부재
본 고안은 본체 내에 가열판과 봉형 버너부재가 구비된 가스 부침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가열판과 버너부재 사이에 판형의 열전달부재가 구비되어 조리시 가열판을 간접적으로 가열시킴으로써, 음식재료가 타거나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며, 이중 또는 삼중 클래드판으로 이루어진 가열판에 의해 발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스 부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부침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판 하부에 가스를 이용한 가열수단이 구비된 것으로, 가스 인가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통해 조리판에 가해지는 화력을 조절하고, 별도의 점화수단에 의해 가열수단을 점화시킴에 따라 사용이 불편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82149 호(2005. 4. 8.,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와 같은 기술을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부침판과, 그 하부에 마련된 다수의 봉버너(1)로 이루어진 조리용 부침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봉버너(1)와 교차하도록 연접된 것으로, 다수의 화공(2a)이 천공된 점화봉(2)을 구비함으로써, 점화시 별도의 수단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종래기술은 점화밸브(2b)를 개방한 상태에서 점화스위치(2c)를 누르면, 스파크단자(2d)의 불꽃이 점화봉(2)의 화공(2a)으로 분출되는 가스를 발화시키고, 연이어 봉버너(1)의 통공(1a)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로 전이되면서 자동 점화를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작업자가 점화밸브(2b) 및 점화스위치(2c)를 작동시킨 뒤, 연이어 각 봉버너(1)의 해당 연소밸브(1b)를 일일이 열어주어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부침판의 온도조절을 위해서도 각 연소밸브(1b)의 개폐상태를 일일이 조절해 주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은 봉너버(1)의 화염이 부침판의 하부에 맞닿아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부침판의 온도변화가 급격하게 변화됨으로 조리시 음식물이 쉽게 타고, 부침판에 눌어붙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사용빈도가 떨어지는 경우, 부침판의 발청으로 인해 조리위생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부침판은 표면코팅을 통해 조리시 사용되는 물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형태에 불과한 것으로, 각종 조리도구 등에 의해 그 표면이 긁히면 코팅상태가 벗겨지게 되고, 이것은 결국 부식판의 표면부식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부침판의 부식현상은 부침판을 교체하거나 폐기하지 않는 이상 마땅한 대책 또한 없으므로 궁극적으로는 조리의 위생상태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버너부재의 화력이 열전달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조리시 음식재료가 타고 눌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 부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가열판의 부식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조리의 위생성을 높임은 물론, 기계적인 장치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는 가스 부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버너부재의 발화 여부에 따라 가스의 인가상태를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기계적인 성능을 제고하며, 사용상의 안전성을 도모하는 가스 부침기 를 제공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가스 부침기는 가열판과 버너부재 사이에 판 형태의 열전달부재가 구비된 점, 가열판이 이중 또는 삼중의 클래드판으로 이루어진 점, 그리고 버너부재의 발화 여부에 따라 가스의 인가상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압전식(壓電式) 점화센서가 구비된 점 등에 기술적인 구성의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스 부침기는 가열판(20)과 다수의 화염공(31)이 형성된 봉형 버너부재(30)가 선반 형태의 본체(10)에 마련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의 본체(10)는 가열판(20) 및 버너부재(30)가 포함된 조리부(11)와 그 하부에 음식재료 등을 놓을 수 있는 선반 형태의 수납부(12)로 대별된다.
가열판(20)은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지는 소정의 판 형태로, 조리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전방 일단에 절곡된 홈 형태의 배출수단(21)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 배출수단(21) 내에는 소정 형태로 천공된 배출공(21a)이 구비되어 조리 후, 남는 잔 반의 제거가 쉽도록 한다. 나아가, 배출공(21a)은 조리자가 버너부재(30)의 발화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태 즉, 가열판(20)의 하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3에서처럼 조리부(11) 내에는 가스가 공급되는 배관(14) 및 버너부재(30)와 연계되며, 가스를 인가하는 노브손잡이(42)와 상기 버너부재(30)에 화염을 일으키는 불꽃 트리거(43)가 포함된 점화수단(40)이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10) 조리부(11) 저면에는 가열판(20)의 배출공(21a)과 연계되는 서랍식 수거함(50)이 구비된다. 이때, 배출공(21a)과 수거함(50) 사이에는 소정의 연결관을 형성하여 제거되는 음식물이 잔반에 의해 다른 곳이 더럽혀지지 않도록 하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특히, 가열판(20)과 버너부재(30) 사이에는 소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진 열전달부재(6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열전달부재(60)는 도 4에서처럼 한쪽은 버너부재(30)에 일체 되고, 다른 쪽은 가열판(20)의 하부와 연접되게 'V'자 형태로 구비하되, 버너부재(30)와 함께 가열판(20) 하부에 복수로 구비된다. 이때, 버너부재(30)의 화염공(31)은 열전달부재(60)에 의해 구획된 둔각부위에 마련된 형태가 좋다. 즉, 버너부재(30)의 화염이 열전달부재(60)로는 직접 가해지고, 가열판(20)으로는 열전달부재(60)를 통해 열이 전도되는 형태가 좋다. 그러므로 열전달부재(60)는 열에 대한 변형률은 낮으면서 전도율이 높은 소재 즉, 구리나 알루미늄합금과 같은 소재가 좋다.
가열판(20)은 조리위생 및 효율성을 고려하여 표면경도나 광택 및 내식성(耐蝕性)이 뛰어나면서 동시에 열 전도성이 좋은 소재를 채택한다.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와 알루미늄을 열간 압연시킨 클래드판과 같은 형태가 좋다. 이때, 클래드판은 표면경도나 광택 및 내식성(耐蝕性)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을 열처리하여 표면의 산화피막을 균열시키고, 그 균열 틈새로 열 전도성이 좋은 알루미늄판을 접합시키기 위해 열간 압연시킨 것으로, 스테인리스와 알루미늄이 이중 또는 삼중으로 이루어진 형태가 좋다. 바람직하게는 가열판(20)의 조리면을 이루는 상판은 스테인리스 특성이 강하고, 열전달부재(60)로 향한 하판은 알루미늄 특성이 강하게 반영된 이중 클래드판 형태가 좋다.
점화수단(40)은 노브손잡이(42)와 중계챔버(44) 및 이와 연계된 불꽃 트리거(43)를 포함하는 것으로, 버너부재(30)의 발화 여부에 따라 가스의 인가상태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압전식(壓電式) 점화센서(41)가 구비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각 버너부재(30)의 화염공(31) 근처에 소정의 점화센서(41)와 불꽃 트리거(43)를 구비하되, 점화센서(41)는 가스를 공급하는 배관(14)과 버너부재(30)가 연결된 중계챔버(44)로 연계되게 한다. 즉, 버너부재(30)의 발화상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점화센서(41)에 의해 가스가 버너부재(30)로 인가되지 않게 중계챔버(44)를 차단토록 구성한다. 본 고안의 점화센서(41)는 불필요한 가스의 낭비나 작동 간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의 본체(10)는 조리부(11) 양 사이드 즉, 좌·우측에는 조리시 사용하는 각종 양념이나 조리도구를 배치할 수 있는 보조대(13)가 마련된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작동관계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조리에 필요한 각종 음식재료 등을 본체(10)의 수납부(12)에 배치한 상태에서 조리부(12)의 가열판(20)을 통해 부침이나 볶음 등 다양한 형태의 조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조리부(11)의 보조대(13)는 조리자가 필요에 따라 조리시 사용하는 각종 도구 등을 놓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조리의 편의성이 도모된다.
조리자가 점화수단(40)의 노브손잡이(41)를 작동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배관(14)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연계된 버너부재(30)로 인가되고, 인가된 가스는 버너부재(30)의 화염공(31)을 통해 분출된다. 이때, 점화수단(40)의 불꽃 트리거(43)가 작동되면서 버너부재(30)의 화염공(31)으로 분출되는 가스를 발화시킨다.
이와 같은 버너부재(30)의 발화상태는 점화수단(40)의 점화센서(41)에 의해 점검되면서, 버너부재(30)의 발화상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점화센서(41)의 압전식(壓電式) 작동에 의해 배관(14)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버너부재(30)로 인가되지 않도록 중계챔버(44)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조리자는 노브손잡이(41)를 원위치시킨 뒤, 다시 버너부재(30)의 정상적인 발화를 위한 작동을 시도해야 한다.
정상적으로 발화된 버너부재(30)는 화염공(31)을 통해 분출되는 불꽃이 열전달부재(60)의 일면과 맞닿아 이를 직접적으로 달구고, 열전달부재(60)는 가열판(20)의 저면으로 열을 전도하게 된다. 이때, 스테인리스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클래드판의 특징이 발휘된다. 즉, 알루미늄의 열 전도성이 발휘되면서 전면적으로 전이되는 가열판(20)의 열 분포상태가 고르게 진행되므로 조리하는 음식물이 쉽게 타는 일이 없고, 가열판(20)의 상판을 이루는 스테인리스의 특성이 발휘되면서 조리도구 등에 의해 가열판(20)의 표면이 긁히지 않음은 물론, 물 등에 대한 내식성이 제고되므로 사용수명 또한 연장하게 된다.
일련의 조리과정이 끝난 뒤 가열판(20)에 남는 기름이나 음식물의 잔반은, 조리자가 소정의 조리도구로 쓸어 홈 형태의 배출수단(21)으로 모은 뒤, 배출수단(21)의 배출공(21a)으로 밀어낸다. 배출공(21a)을 통과한 잔반 등은 이와 연계된 조리부(11) 하단의 수거함(50) 속에 담기고, 조리자는 서랍식 수거함(50)을 적당한 시기에 비워 계속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특정 실시형태에 한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기재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부침기에 의하면, 버너부재의 화력이 열전달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조리시 음식재료가 타거나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는 등 조리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그리고 이중 또는 삼중 클래드판으로 이루어진 가열판을 채택함으로써, 내식성 및 내구성 개선하고, 사용연한을 늘임은 물론, 단체급식소 같이 경우,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되는 조리위생을 제고함으로써, 취식자(取食者)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 효과도 발휘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버너부재의 발화 여부에 따라 가스의 인가상태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점화수단을 채택함으로써, 기계적인 성능을 제고하며, 사용 상의 안전성을 도모하는 효과 또한 뛰어나다.

Claims (3)

  1. 가열판(20)과 다수의 화염공(31)이 형성된 봉형 버너부재(30)가 선반 형태의 본체(10)에 구비된 가스 부침기에 있어서,
    상기 버너부재(30)와 연계되며, 가스를 인가하는 노브손잡이(42) 및 상기 버너부재(30)를 발화시키는 불꽃 트리거(43)를 포함하는 점화수단(40)과;
    상기 본체(10)의 조리부(11)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가열판(20)의 배출공(21a)과 연계되는 서랍식 수거함(50);
    상기 가열판(20) 및 버너부재(30) 사이에 판형 열전달부재(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부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20)은 스테인리스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이중 클래드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부침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40)은 상기 버너부재(30)의 발화 여부에 따라 가스의 인가상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압전식(壓電式) 점화센서(4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가스 부침기.
KR2020060029652U 2006-11-15 2006-11-15 가스 부침기 KR200436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652U KR200436952Y1 (ko) 2006-11-15 2006-11-15 가스 부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652U KR200436952Y1 (ko) 2006-11-15 2006-11-15 가스 부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952Y1 true KR200436952Y1 (ko) 2007-10-22

Family

ID=4163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652U KR200436952Y1 (ko) 2006-11-15 2006-11-15 가스 부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9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941B1 (ko) 2023-06-13 2024-02-02 화신주방산업(주)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941B1 (ko) 2023-06-13 2024-02-02 화신주방산업(주) 열변형방지형 부침판이 적용된 부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02822B2 (en) Grill
US20060042475A1 (en) Removable Radiant Heat Baffle for Barbeque Grills
KR200436952Y1 (ko) 가스 부침기
JP2015164493A (ja) 加熱調理器
KR101573139B1 (ko) 업소용 부침개 조리장치
KR200414172Y1 (ko) 구이판
CN212081322U (zh) 一种带温度模糊显示功能的防干烧灶具
JP2015213554A (ja) 加熱調理器
KR200353170Y1 (ko) 토치착탈형 가스숯불겸용 바베큐구이기
CN201028631Y (zh) 节能灶具
JP2008005875A (ja) 加熱調理器および電磁誘導調理器
US20060048769A1 (en) Roaster oven able to roast meat on both sides simultaneously
JP7397749B2 (ja) 加熱調理器
KR200443515Y1 (ko) 양면조리를 할 수 있는 가스기기의 그릴용 생선 구이판
CN201360907Y (zh) 具平均锅温的热对流节能锅具结构
CN217714908U (zh) 一种燃气铁板烧
KR20170032550A (ko) 가스 부침기
KR200428067Y1 (ko) 자동점화식 가스 조리장치
TWI374242B (ko)
CN212930096U (zh) 一种灶具
KR200348810Y1 (ko) 부침 조리기
KR200331681Y1 (ko) 휴대용 세라믹 가스그릴의 열 유도 판 및 열 차단장치
JPS6116895B2 (ko)
KR200225835Y1 (ko) 고기 구이판
KR200374823Y1 (ko) 가스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