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512B1 - 첩부재 및 그것에 사용하는 첩부재용 지지체 - Google Patents

첩부재 및 그것에 사용하는 첩부재용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512B1
KR102503512B1 KR1020177035362A KR20177035362A KR102503512B1 KR 102503512 B1 KR102503512 B1 KR 102503512B1 KR 1020177035362 A KR1020177035362 A KR 1020177035362A KR 20177035362 A KR20177035362 A KR 20177035362A KR 102503512 B1 KR102503512 B1 KR 102503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aterial
less
adhesive
support
tensil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8549A (ko
Inventor
도모노리 이카이
히로미치 후지사와
고스케 오타케
가즈히사 미야하라
Original Assignee
니치반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비 세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반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비 세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8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61F13/023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handling support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61F13/024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kin contacting layer, e.g. air-vapor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61F13/025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characterized by the adhesiv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19Wound bandages 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51Plasters use for surgical sutures, e.g. butterfly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74Plasters form or structure shaped as a body part
    • A61F2013/00578Plasters form or structure shaped as a body part conformable; soft or flexible, e.g. elastome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655Plasters adhesive
    • A61F2013/00659Plasters adhesive polymeric base
    • A61F2013/00663Plasters adhesive polymeric base acryl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피부의 늘어남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첩부 가능한 창상 피복용 또는 수술 후 창상 보호용의첩부재, 특히 창상의 치유용, 흉터의 치료용 또는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용 첩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첩부재로 하기에 적절한 첩부재용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첩부재에 있어서, 상기 첩부재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 인장 하중이 13N/25㎜ 이하이고, 10% 인장 하중이 18N/25㎜ 이상 95N/25㎜ 이하인, 창상 피복용 또는 수술 후 창상 보호용 첩부재이다.

Description

첩부재 및 그것에 사용하는 첩부재용 지지체
본 발명은, 첩부재(貼付材), 특히 창상 피복용 또는 수술 후 창상 보호용 첩부재, 나아가 창상의 치유용, 흉터의 치료용 또는 반흔·켈로이드 등의 형성 예방용 첩부재, 및 그것에 사용하는 첩부재용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외상이나 수술에 의해 피부에 생긴 창상은, 통상 2주일 정도로 치유되지만, 그 후에도 약 반년에 걸쳐 변화를 계속한다. 일반적으로 흉터는 약 1개월 후에는, 단단해져 붉은빛을 띠지만, 그 후 몇개월간에 걸쳐 서서히 부드러워지고, 주위의 피부와 같은 색으로 된다. 그러나, 어떠한 이유에 의해 정상적인 창상 치유의 과정이 장해를 받으면, 상처가 낫지 않고 만성화되거나, 이상하게 치유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하게 치유되는 경우의 하나가 반흔이나 켈로이드라고 불리는 것이다. 반흔이나 켈로이드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은 불분명하지만, 피부에 가해지는 역학적 긴장이나 염증의 강약과의 관련도 지적되고 있다.
종래부터, 흉터의 치료나, 반흔이나 켈로이드의 형성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외상이나 수술 후의 피부에 미치는 외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3 참조).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는, 특정한 신장력을 가지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첩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창상을 내인적 응력 및/또는 외인적 응력으로부터 차폐하도록 구성되고, 흉터 및/또는 켈로이드의 형성을 개선할 수 있는 디바이스, 붕대, 키트 및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켈로이드 등의 환부에 인접하는 주변부 부위에 꼭 알맞게 접착되는 첩부재와, 환부를 덮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를 위쪽으로부터 지지하면서 상기 첩부재 상에 적어도 그 일부가 걸리도록 첩부하여, 상기 탄성체를 환부를 향하여 압압(押壓)하도록 하는 지지용 첩부재를 구비하는 피부 장해 치료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2-135582호 공보 일본공표특허 제2009-545382호 공보 일본공고특허 평07-079827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하이드로콜로이드 첩부재나 붕대, 피부 장해 치료용체 등에서는, 피부의 늘어남은 억제하지만 지지체가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낮고, 장시간 첩부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피부의 늘어남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하고, 장기간 첩부 가능한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용 첩부재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피부의 늘어남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하고, 장기간 첩부 가능한 창상 피복용 또는 수술 후 창상 보호용 첩부재, 특히 창상의 치유용, 흉터의 치료용 또는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용 첩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첩부재로 하기에 알맞은 첩부재용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발명은, 첩부재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 인장 하중이 13N/25㎜ 이하이고, 10% 인장 하중이 18N/25㎜ 이상 95N/25㎜ 이하인 창상 피복용 또는 수술 후 창상 보호용 첩부재이다. 본 발명의 첩부재는, 피부의 늘어남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피부에 대한 추종성도 우수하여, 장기간 첩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첩부재는, 종래의 첩부재가 충분히 구비하지 않았던 장기 부착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자들은, 첩부재의 1% 인장 하중이 13N/25㎜ 이하이고, 10% 인장 하중이 18N/25㎜ 이상 95N/25㎜ 이하이면, 그와 같은 첩부재는, 피부의 늘어남을, 피부를 늘어나게 하려고 하는 응력에 따라서 적절하게 또한 충분히 억제할 수 있고, 피부에 대한 추종성도 우수하여, 장기간 첩부 가능한 것을 발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첩부재는, 저신도 시의 하중은 낮고, 어느 정도 늘어났을 때의 하중은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첩부재는, 창상부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의 약한 응력에 대해서는 늘어나서 피부에 충분히 추종하고, 창상부에 영향을 부여하는 정도의 강한 응력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고정되어 창상의 치유, 흉터의 치료 또는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겉보기 밀도(g/㎤」란, 1세제곱미터당 그램수로 표시된 첩부재 단위부피당 중량(g)이며, 평량 (g/㎡)을 두께(㎛)로 나눈 값이다.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첩부재에 있어서, 상기 첩부재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 인장 하중이 13N/25㎜ 이하이고, 10% 인장 하중이 18N/25㎜ 이상 95N/25㎜ 이하인, 창상 피복용 또는 수술 후 창상 보호용 첩부재
[2] 상기 첩부재의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剛軟度)(㎜)가, 5㎜ 이상 40㎜ 이하인, [1]에 기재된 첩부재
[3] 상기 첩부재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5% 인장 하중이 5N/25㎜ 이상 50N/25㎜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첩부재
[4]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와 겉보기 밀도(g/㎤)의 곱이 2㎜·g/㎤ 이상 30㎜·g/㎤ 이하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첩부재
[5] 상기 지지체가 직포를 포함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첩부재
[6] 상기 첩부재의 투습도(g/㎡·day)가 1,000g/㎡·day 이상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첩부재
[7] 상기 첩부재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9N 및 18N 하중 시의 신장 회복율이 85% 이상인,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첩부재
[8] 창상의 치유용, 흉터의 치료용 또는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용인,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첩부재
[9] 외과 수술에 의한 창상부의 창상의 치유용, 흉터의 치료용 또는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용인, [8]에 기재된 첩부재
[10] 상기 외과 수술이 제왕절개, 흉골정중절개 또는 복강경 수술인, [9]에 기재된 첩부재
[1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첩부재에 있어서,
상기 첩부재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 인장 하중이 13N/25㎜ 이하이고, 5% 인장 하중이 5N/25㎜ 이상 50N/25㎜ 이하이며, 10% 인장 하중이 18N/25㎜ 이상 95N/25㎜ 이하이고, 상기 지지체가 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발포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외과 수술에 의한 창상부의 창상의 치유용, 흉터의 치료용 또는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용 첩부재
[12]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첩부재에 있어서,
상기 첩부재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 인장 하중이 13N/25㎜ 이하이고, 5% 인장 하중이 5N/25㎜ 이상 50N/25㎜ 이하이며, 10% 인장 하중이 18N/25㎜ 이상 95N/25㎜ 이하이고, 상기 첩부재의 강연도(㎜)가 8㎜ 이상 25㎜ 이하이며,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의 양단에 협지(sandwich)되는 측부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과 수술에 의한 창상부의 창상의 치유용, 흉터의 치료용 또는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용 첩부재
[13] 창상 피복용 또는 수술 후 창상 보호용 첩부재의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첩부재용 지지체로서, 지지체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 인장 하중이 13N/25㎜ 이하이고, 10% 인장 하중이 15N/25㎜ 이상 95N/25㎜ 이하인 첩부재용 지지체
[14] 상기 지지체가, 총섬도 40dtex 이상 85dtex 이하의 실을 사용한, 경밀도(經密度)가 80∼120가닥/인치(2.54cm)이고, 위밀도(緯密度)가 80∼120가닥/인치(2.54cm)인 직포인, [13]에 기재된 첩부재용 지지체
[15] 총섬도가 40dtex 이상 85dtex 이하이고, 신축 복원율(CR)이 15∼40%인 가연(假撚) 가공사를 사용한 직포인, [13]에 기재된 첩부재용 지지체
본 발명의 첩부재는, 피부의 늘어남을 적절하게 또한 충분히 억제할 수 있으므로, 외상이나 수술에 의한 상처를 가지는 피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피부에 대한 추종성, 부착성 등도 우수하여, 장기간 첩부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첩부재에 의하면, 외상, 수술 후의 창상부 등에 대한 창상의 치유, 흉터의 치료를 촉진시키고, 반흔이나 켈로이드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재는, 지지체가 구비하는 물리적인 특성에 의존하는 부분이 크기 때문에, 본 발명의 첩부재용 지지체는, 상기 첩부재를 얻기에 알맞은 강신도를 가지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첩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첩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첩부재>
본 발명의 첩부재(이하, 「상기 첩부재」라고도 함)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첩부재는, 필요에 따라 박리체 및/또는 담지체를 포함한다. 또한, 담지체와 지지체 사이, 지지체와 점착제층 사이, 및/또는 점착제층과 박리체 사이에, 그 외의 층을 한층 이상 개재시켜도 된다. 지지체, 점착제층, 박리체, 담지체, 그 외의 층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첩부재의 긴 변을 따르는 방향을 길이 방향, 짧은 변을 따르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한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상의 첩부재에 있어서는, 긴 변을 따르는 방향을 길이 방향, 짧은 변을 따르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고, 정사각형의 경우에는, 그 한 변의 방향을 길이 방향, 다른 한쪽을 폭 방향으로 한다. 첩부재가 원형·타원형인 경우도 동일한 정의로 한다. 롤 형상의 경우에는, 커팅한 경우에 긴 방향을 길이 방향, 짧은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한다.
상기 첩부재는, 그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 인장 하중이 13N/25㎜ 이하이고, 10% 인장 하중이 18N/25㎜ 이상 95N/25㎜ 이하다. 상기 첩부재는, 이와 같은 물리적 특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피부를 늘리려고 하는 응력에 따라서 적절하게 피부의 늘어남을 억제할 수 있고, 피부에 대한 추종성도 우수하여, 장기간 첩부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의 첩부재는, 약한 응력에 대해서는 늘어나 피부에 충분히 추종하고, 강한 응력에 대해서는 확실히 고정되어 창상의 치유, 흉터의 치료 또는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1% 인장 하중은 13N/25㎜ 이하이고, 11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N/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N/2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1% 인장 하중이 15N/25㎜을 넘으면, 약간의 피부의 늘어남도 억제하게 되고, 첩부재의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추종성이 불충분하면, 첩부 중의 위화감이 커진다. 바람직한 범위의 1% 인장 하중의 하한은 특별히 없지만, 통상은 0.01N/25㎜ 이상이다.
5% 인장 하중은, 5N/25㎜ 이상 50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N/25㎜ 이상 50N/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N/25㎜ 이상 45N/2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5% 인장 하중이 상기 수치 범위 내이면, 중간 정도의 외력 등에 의해 변형되기 어렵고, 피부의 신장 억제 효과가 충분해진다. 또한, 피부의 늘어남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첩부재를 첩부한 상태에서의 첩부재의 피부에 대한 추종성도 우수하여, 첩부 중에 위화감이나 피부 자극이 쉽게 생기기 않는다.
상기 10% 인장 하중은, 18N/25㎜ 이상 95N/25㎜ 이하이고, 20N/25㎜ 이상 85/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N/25㎜ 이상 80N/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N/25㎜ 이상 80N/2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10% 인장 하중이 18N/25㎜ 미만이면, 첩부재는 강한 외력 등에 대한 억제 효과가 불충분해지고, 피부를 크게 신장시켜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10% 인장 하중이 95N/25㎜을 넘으면, 피부의 늘어남은 억제할 수 있지만, 첩부재를 접착한 상태에서는 첩부재의 피부에 대한 추종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첩부 중에 위화감을 가지고 통상의 동작이 행하기 어려워지거나, 부착성이 불량해지거나, 피부 자극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장 하중의 측정은, JIS K 7113에 준하여 인장 시험을 행하고, 1%, 5% 및 10% 인장 하중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상기 첩부재는,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9N 및 18N 하중 시의 신장 회복율이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첩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를 늘리려고 하는 응력에 따라서 적절하게 피부의 늘어남을 억제할 수 있는 데에다, 피부에 가해지는 응력이 소실된 후에는, 원래의 길이로 회복할 수 있는 신장 회복율이 85%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신장 회복율은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첩부재는, 피부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일단 늘어나도, 다 늘어난 상태로 되지 않고 원래의 길이에 가까운 길이에까지 회복시킬 수 있으므로, 창상부의 늘어남을 억제하는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첩부재에 있어서는,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가 5㎜ 이상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첩부재는, 상기 인장 하중에 있어서의 특성을 구비하는 데에다,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가 5㎜ 이상 40㎜ 이하라는 특성도 구비하는 것에 의해, 피부의 늘어남을 적절하게 억제하고, 외상이나 수술에 의한 상처를 가지는 피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피부에 대한 추종성도 우수하여, 장기간 첩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 첩부재에 있어서의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는 5㎜ 이상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 이상 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 2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첩부재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가 상기 수치 범위 내이면, 피부에 대한 추종성 및 피부의 신장 억제 효과가 충분해진다.
상기 첩부재에 있어서는,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와 겉보기 밀도(g/㎤)의 곱이 2㎜·g/㎤ 이상 3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자들은, 첩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강연도와 겉보기 밀도의 곱의 값도, 그 첩부재를 피부에 첩부했을 때의 피부의 신장 억제 효과 및 장기 부착성, 특히 장기 부착성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첩부재에 있어서, 상기 강연도와 겉보기 밀도의 곱은 2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 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 이상 2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 이상 1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강연도와 겉보기 밀도의 곱이 상기 수치 범위 내이면, 피부에 대한 추종성 및 장기 부착성이 우수하다. 여기에서,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는 JIS L 1096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첩부재에 있어서는, 투습도가 1,000(g/㎡·day)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첩부재는, 투습도가 1,000(g/㎡·day) 이상인 것에 의해, 피부에 접착했을 때의 화끈거림이 적고, 피부 자극이나 첩부 중의 가려움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간의 첩부가 가능해진다. 상기 첩부재의 투습도는, 2,000(g/㎡·day)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0(g/㎡·day)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00(g/㎡·day)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9,000(g/㎡·day)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투습도는 높을수록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투습도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통상 30,000(g/㎡·day) 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투습도의 측정은, JIS Z0208의 B 조건에 따라, 온도 40℃, 상대 습도 90%로 측정하였다. 즉, 첩부재의 편면 측을 온도 40℃, 상대 습도 90%로 조절하고, 타면 측에는 염화칼슘 등의 흡습제를 두어 첩부재를 통과한 수분을 흡수시키고, 흡습제의 중량 변화량을 24시간, 1㎡당으로 환산하여 산출하였다.
상기 첩부재는, 각 인장 하중, 하중 시의 신장 회복율,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와 겉보기 밀도의 곱, 투습도가 상기 규정의 범위 내인 것에 의해, 피부의 늘어남을 억제하고, 또한 장기 부착성이 우수하다. 즉, 외상이나 수술에 의해 상처를 입은 피부가, 외력이나 반흔 조직의 신장 등의 역학적 작용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창상의 치유용, 흉터의 치료용,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용으로서 유효하다. 또한, 상기 첩부재는 피부에 대한 추종성도 우수하다. 또한, 상기 첩부재는 투습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피부에 첩부했을 때에 화끈거림을 일으키기 어려워, 장시간 첩부가 가능해진다. 장기간 부착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한 것, 충분한 부착성이 있는 것, 첩부 시의 위화감, 피부 자극 및 가려움이 적은 것 등이 영향을 준다.
상기 첩부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취급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6㎛ 이상 6㎜ 이하이고, 50㎛ 이상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상 1㎜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이상 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첩부재의 형태는, 상기 지지체와 점착층을 포함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꼴 등의 사각형이나, 다각형, 타원형, 이들의 형상을 적절하게 조합시킨 시트형의 형태, 특정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한 테이프형, 롤형의 형태 등, 목적에 맞추어 자유로운 형태로 할 수 있다. 주위에 코너부를 가지는 첩부재에 있어서는, 주위의 코너부에 적절하게 R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첩부하는 부위에 맞추어 입체적으로 형성하거나, 홈이나 슬릿(slit) 등을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요철부를 두고,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의 양단에 협지되는 측부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하여 커브를 많게 할수록, 피부의 신축 시의 응력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벗겨지기 어렵고, 부착성이 향상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덤벨형(덤벨의 세로방향의 절단면과 같은 형상; 도 1 및 2 참조), 파형(첩부재의 에지가 파형으로 커팅되어 있음)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덤벨형의 상하 선단 부분에 원호형의 홈을 넣은 형상 등,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양단에 협지되는 측부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양쪽에 대하여 벗겨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들 상기 첩부재의 사이즈도, 목적에 맞추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지만,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 등을 위하여, 피부에 입은 상처에 첩부하는 경우에는, 그 상처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제왕절개 창상에 사용하기 위한 첩부재로서는, 상처의 길이(대부분의 경우에는 5cm∼15cm의 범위) 이상인 것으로서, 폭 3cm∼8cm, 길이 5cm∼25cm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첩부재를 반흔·켈로이드 예방 등, 피부에 입은 상처에 첩부하는 등, 의료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균 감염, 바이러스 감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멸균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멸균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첩부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γ선 멸균법, 전자선 멸균법, 고압 증기 멸균법, 에틸렌옥사이드 가스 멸균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첩부재는, 그 위로부터 창상 등의 환부에 대하여 필요로 하는 약제를 도포하여 투여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환부로 투약할 때마다 첩부재를 벗겨내어 교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환자의 QOL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하나의 첩부재를 장기간에 걸쳐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첩부재의 위로부터 도포하는 약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항균제, 소염진통제, 스테로이드제, 마취제, 항진균제, 비타민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약제는, 경피흡수에 의해 전신 또는 국소에 있어서 그 효과를 발휘하거나, 또는 첩부된 부위에 있어서, 국소적으로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첩부재는, 자외선의 창상부에 대한 조사(照射)를 차단하는 것이 창상의 치유, 흉터의 치료, 반흔·켈로이드 등의 예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첩부재의 파장 280∼400㎚ 범위 내에서의 자외선 투과율은,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제로서는 반흔, 켈로이드의 형성을 억제하는 약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약제에는 항알레르기제, 스테로이드제, TGF-β시그널 조해제 등이 포함된다. 반흔이나 켈로이드의 발생·진행이나 가려움, 통증 등의 증상에는 알레르기 반응이 관여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부신 피질 스테로이드에는 다채로운 작용이 있지만, 피부에 있어서는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 조직을 위축시키는 효과 등이 있다. TGF-β는, 생체의 항상성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갖지만, TGF-β 시그널의 이상(異常)에 의해 강피증이나 피부경화증, 여러가지 선유증 등의 다양한 질환을 야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의 질환에 공통되는 원인으로서는, 과도한 TGF-β 시그널에 의해, 과잉의 조직의 선유화가 유도되기 때문이라고 고려되고 있다.
이하에, 상기 첩부재를 구성하는 지지체, 점착제층, 박리체, 담지체, 그 외의층에 대하여 상술한다.
[지지체]
본 발명의 첩부재 지지체(이하, 「상기 지지체」라고도 함)로서는, 첩부재로 했을 때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 인장 하중이 13N/25㎜ 이하이고, 10% 인장 하중을 18N/25㎜ 이상 95N/25㎜ 이하로 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지체의 소재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나일론6,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등의 폴리올레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등의 올레핀계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폴리 염화물;
목재 등을 원료로 한 펄프류;
실리콘류;
폴리우레탄 등,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독으로는 투습성이 낮은 소재에 대해서는, 탄산칼슘 등을 포함시켜 다공질로 하거나, 천공 등을 하여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체의 소재로서는, 이들 중,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폴리에틸렌, 펄프가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복합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펄프의 복합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소재로 이루어지는 직포를 포함해도 되고, 부직포, 편포, 필름, 발포체 등을 포함해도 된다. 이들 중, 상기 첩부재가 충분한 투습성을 구비한다는 관점, 및 첩부 시에 약제를 첩부재의 위로부터 도포할 수 있다는 관점, 첩부 시의 미소한 동작에는 추종하여 첩부재가 늘어나지만(1%의 인장 하중은 작음), 반흔·켈로이드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작은 억제하는(10%의 인장 하중은 큼) 관점에서, 상기 지지체는 직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ET 필름에서는, 1%의 인장 하중이 커서, 첩부 시의 미소한 동작에 추종하지 않고 첩부 시에 위화감을 느끼거나, 벗겨지기 쉬워지는 경우가 많다. 부직포에서는, 첩부 시의 미소한 동작에 추종하지만, 반흔·켈로이드의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동작은 억제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10%의 인장 하중이 작음).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소재로 이루어지는 직포, 부직포, 편포, 필름, 발포체 등이, 더 가공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등으로 코팅되고 있어도 되고, 폴리우레탄 필름 등으로 라미네이트되어 있어도 된다. 코팅 또는 라미네이트하는 등, 지지체와 점착제층 사이에, 유연성이 있는 층을 형성함으로써, 피부의 미세한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물리 자극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첩부재가 외력 등에 의해 늘어난 경우에도, 다 늘어나 버리지 않고, 원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거나, 첩부 시의 물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로서는, 폴리우레탄 코팅을 행한 PET 직포, 아크릴 코팅을 행한 PET 직포,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라미네이트 한 PET 직포,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라미네이트 한 PET 직포, PET와 펄프의 복합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LDPE 필름, 아크릴 코팅을 행한 나일론 직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첩부재가 가지는 특성은, 상기 지지체가 구비하는 물리적인 특성에 의존하는 부분이 크다. 특히, 피부의 늘어남을 억제하는 효과를 적절하게 또한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체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 인장 하중이 13N/25㎜ 이하이고, 10% 인장 하중이 15N/25㎜ 이상 95N/25㎜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조성(組成)이나 특성이 상이한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강도한 상이한 지지체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이와 같은 물리적인 강도를 갖추고 있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첩부재의 물리적 강도도 적절하게 되고, 외력이나 반흔 조직의 늘어남 등에 의해 변형되기 어렵고, 피부의 늘어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인장 강도는, 지지체의 종류에만 한정되지는 않지만, 직포를 사용하면, 1% 인장 하중이 15N/25㎜ 이하이고, 10% 인장 하중이 15N/25㎜ 이상 95N/25㎜ 이하로 조정하기 쉽다.
상기 지지체는, 특히 총섬도가 40dtex 이상 85dtex 이하인 실을 사용하고, 경밀도가 80∼120가닥/인치(2.54cm), 위밀도가 80∼120가닥/인치(2.54cm)의 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총섬도가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직포로 했을 때 얇아지고, 취급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총섬도가 상기 상한보다 크면, 직포의 두께가 지나쳐 버려, 첩부재로 했을 때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불량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직밀도(織密度)가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제제 누출이나 탄력감이 없어져 버리는 경향이 있고, 직밀도가 상기 상한보다 크면 접착감이 불량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에 사용하는 실은, 신축 복원율(CR)이 25∼60%인 가연 가공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 복원율이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1% 인장 하중이 커져 버리는 경향이 있고, 신축 복원율이 상기 상한보다 크면, 10% 인장 하중이 작아져 버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가연 가공사의 강도는 3∼6cN/dtex, 신장도는 15∼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로서는,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를 사용한 평직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법에 의해 제직하고, 목적에 따라 열 세트 등의 후처리를 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의 1% 인장 하중은 13N/25㎜ 이하이고, 11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N/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N/2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1% 인장 하중이 13N/25㎜을 넘으면, 약간의 피부의 늘어남도 억제하게 되고, 얻어지는 첩부재의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추종성이 불충분하면, 첩부 중의 위화감이 커진다. 바람직한 범위의 1% 인장 하중의 하한은 특별히 없지만, 통상은 0.01N/25㎜ 이상이다.
상기 지지체의 5% 인장 하중은 5N/25㎜ 이상 50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N/25㎜ 이상 50N/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N/25㎜ 이상 45N/2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5% 인장 하중이 상기 수치 범위 내이면, 중간 정도의 외력 등에 의해 변형되기 어렵고, 얻어지는 첩부재의 피부의 신장 억제 효과가 충분하게 된다. 또한, 피부의 늘어남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피부에 대한 추종성도 우수하여, 첩부 중에 위화감이나, 피부 자극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상기 지지체에 10% 인장 하중은 15N/25㎜ 이상 95N/25㎜ 이하이고, 20N/25㎜ 이상 80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N/25㎜ 이상 80N/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N/25㎜ 이상 80N/2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10% 인장 하중이 15N/25㎜ 미만이면, 얻어지는 첩부재는 강한 외력 등에 대한 억제 효과가 불충분해지고, 피부를 크게 신장시켜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10% 인장 하중이 95N/25㎜을 넘으면, 피부의 늘어남은 억제할 수 있지만, 첩부재를 첩부한 상태에서는 첩부재의 피부에 대한 추종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첩부 중에 위화감을 가져 통상의 동작이 행하기 어려워지거나, 피부 자극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 지지체의 파단강도는, 18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N/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N/2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에는, 필요에 따라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상기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노화 예방제, 충전제, 안료, 착색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1종으로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이들 첨가제의 함유량은,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범위를 선정하면 되지만, 지지체층 중에 있어서, 통상 0.001∼3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1∼2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0 질량%의 범위로 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지지체는 지지체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거나, 자외선 흡수제를 지지체층에 코팅하는 등, 자외선의 창상부에 대한 조사를 차단하는 것이 창상의 치유, 흉터의 치료, 반흔·켈로이드 등의 예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파장 280∼400㎚ 범위 내에서의 자외선 투과율은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의 두께로서는, 본 발명의 첩부재가 피부의 신장 억제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고, 또한 취급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5㎛ 이상 5㎜ 이하이고, 20㎛ 이상 3㎜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상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상 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60㎛ 이상 0.1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상기 수치 범위 내이면, 첩부재에 있어서의 피부 신장 억제 효과를 얻기 쉽고, 사용 시에 마찰 등에 의해 파괴될 우려가 없다. 또한, 취급성도 우수하여, 피부에 첩부했을 때에 위화감도 생기기 어렵고, 특히 피부의 곡면 부위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피부로부터 벗겨지기 어려워진다.
상기 지지체는, 첩부 중에 지지체의 위로부터 약제를 함유한 연고, 크림제, 겔제 등을 바르기 위해, 미소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로이드제를 함유한 연고를, 지지체의 위로부터 바르는 것에 의해, 첩부재를 박리하지 않고, 창상부의 염증, 가려움을 억제할 수 있다. 미소 구멍의 크기는 연고, 크림제, 겔제가 창상부에 침투하는 크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1∼30㎟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첩부재의 점착제층(이하, 「상기 점착제층」이라고도 함)은,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본 발명의 첩부재를 피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점착제층은, 적어도 1종의 점착제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연화제, 점착 부여제, pH 조정제, 약효 성분, 충전제, 산화 방지제(항산화제, 방부제), 착색료, 향료 등의 임의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이하에, 상기 점착제층이 포함하는 점착제, 상기 임의 성분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 점착제층이 포함하는 점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우레탄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계 점착제로서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사용하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NCO/OH 몰비는, 반응에 있어서의 겔화가 억제되고, 점착력이 상승하도록, 0.7/1.00∼1.00/1.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점착제의 제조는, 예를 들면 용융 상태에서 반응시키는 벌크 중합(고형 반응)법, 용액 중합법 등의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용액 중합법에서 사용하는 용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계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테르계 용제, 셀로솔브, 카르비톨 등의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트산글리콜에테르계 용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제,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등, 이들의 혼합 용제를 더 들 수 있다.
우레탄계 점착제를 제조할 때는, 필요에 따라 촉매 및 첨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촉매로서는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등의 질소 함유 화합물,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옥틸산주석, 스테아르산주석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 등의 일반적인 우레탄화 촉매를 들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치환 벤조 트리아졸류 등의 자외선 흡수제, 페놀 유도체 등의 산화 방지제, 및 가수분해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계 점착제의 응집력을 높이고, 풀 잔여물 등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상기 우레탄계 점착제의 제조에 쇄연장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우레탄계 점착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병용하고, 점착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의 병용에 의한 응집력의 상승은, 풀 잔여물 등의 문제점의 개선에 유효하다. 경화제로서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상기 반응에 사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과 2관능 이상의 폴리올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의 폴리올 어덕트가 바람직하고, 또한, 폴리메릭 폴리이소시아네토,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카르보디이미드 변성체도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닛폰 폴리우레탄 고교(Nippon Polyurethane Industry) 제조의 코로네이트 L, 코로네이트 HL, 코로네이트 3041, 코로네이트 2030, 코로네이트 2031, 코로네이트 HX, 밀리오네이트 MTL, 밀리오네이트 MR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계 점착제는 안전성이 높고, 의료용 고분자 재료로서 실용되고 있다. 투습도가 높고 피부에 대하여 밀착성이 양호하고, 유연하며 친밀도가 양호하여, 저자극성 점착제로 된다. 따라서, 인체에 첩부하는 용도로 적합하고, 의료용 첩부재용 점착제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성, 안전성, 재료로서의 안정성, 경제성 등 전부를 충족한다.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 이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다른 모노머로서 (메타)아크릴산, 아세트산비닐, 비닐피롤리돈, 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등의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의 1종 이상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모노머는, 통상 2∼50 질량%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톨루엔, 헥산,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제 중에서, 과산화벤조일 등의 과산화물 등을 개시제로서 사용하고, 모노머를 질소 분위기 하에서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아크릴계 점착제는, 용제형 아크릴계 점착제라고 불리고 있다. 또한, 모노머를 수중에서 유화제에 의해 유화 분산한 후, 중합하여 얻어지는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를 가교하기 위해서는, 중합 후, 아크릴계 점착제를 다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다가 에폭시 수지계 가교제, 다가 금속계 가교제 등의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Tetrad-X[미쓰비시 가스 가가쿠샤(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제조], 나세무[닛폰 가가쿠 산교샤(NIHON KAGAKU SANGYO CO., LTD.) 제조], 코로네이트 HL, 코로네이트 L, 코로네이트 EH(닛폰 폴리우레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통상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할 때, 그 중에 첨가한다.
아크릴계 점착제를 가교하여 응집성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피부 표면에 대한 적절한 점착력을 유지하면서, 피부로부터의 박리 시에도 풀 잔여물이 없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가교제는, 아크릴계 점착제(아크릴계 중합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01∼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5∼2 질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즉, 가교제의 사용량은 상기의 범위 내에서, 점착 특성, 응집성, 약효 성분의 블리드(bleed)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된다. 아크릴계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연화제와 같은 액상 성분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무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천연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폴리이소프렌,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의 고무상 탄성체에,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석유계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를 첨가한 들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액상 폴리부텐, 액상 폴리이소부틸렌, 광유 등의 연화제; 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충전제;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의 산화 방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점착성의 관점에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주된 기제로 한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와 실리콘 레진의 혼합물 또는 부분 축합물을 들 수 있다. 실리콘 고무로서는, 양 말단에 실라놀기와 같은 규소 관능기를 가지는 고분자량의 직쇄형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을 들 수 있고, 실리콘 레진으로서는, 1관능성 실록산 단위와 4관능성 실록산 단위를 포함하고, 분자 중에 실라놀기 또는 메톡시기와 같은 규소 관능기를 가지는 분기상 또는 망상 구조를 가지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와 같은 실리콘 고무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장쇄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실리콘 레진으로서는 MQ 레진[M단위((CH3)3SiO1/2)와 Q단위(SiO2)로 이루어지는 3차원 구조의 실리콘 레진]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제를 구성하는 실리콘 고무/실리콘 레진의 구성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30:70∼60:40, 더욱 바람직하게는 35:65∼45:55이다(질량비).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한 실리콘 고무/실리콘 레진의 구성비로서는, 40/60(w/w)(BIO-PSA4501, 다우코닝사), 45/55(w/w)(BIO-PSA4601, 다우코닝사)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제는, 분자 중에 존재하는 규소 관능기에 의해, 감압 접착성을 가지는 점착제다. 규소 원자에 결합한 유기기로서는 메틸, 에틸, 비닐, 페닐 등 각종 1가의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고, 치환기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점착성을 조절할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제는, 그 주성분인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분자간 거리가 크므로, 통풍성 및 투습성이 풍부하다.
상기 점착제층이 포함하는 점착제로서는, 각각의 점착제를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들 점착제의 형태로서는, 점착제만으로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오르가노겔의 형태로 한 것, 친수성 고분자 화합물을 가한, 하이드로콜로이드 형태로 한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제로서 사용해도 된다. 점착제층은, 단일의 점착제로서 형성해도 되고, 복수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형성해도 된다. 복수의 점착제층을 적층한 것인 경우는,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점착제를 적층시키거나, 크기가 상이한 점착제를 적층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체보다 작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제를 반창고 패드의 부분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점착제 중, 투습도, 저자극성, 안전성, 적절한 점착성 등의 면에서,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발포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고, 발포한 아크릴계 점착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은 임의 성분으로서 연화제, 점착 부여제, pH 조정제, 약효 성분, 충전제, 산화 방지제(항산화제, 방부제), 착색료, 향료를 함유해도 된다.
연화제는 점착제의 탄성을 저하시켜 유연성을 부여하고, 또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첨가하면 된다. 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통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나프텐 오일 등의 광유; 올리브유, 올리브스쿠알렌 등의 식물유; 라놀린, 터틀 오일, 밀랍 등의 동물유;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실리콘 오일 등의 합성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제는 점착제에 적당한 유연성을 부여하면서, 응집 파괴되기 어렵게 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첨가하면 된다.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면 천연 로진 유도체, 쿠마론-인덴 수지, 테르펜 올리고머, 지방족 석유 수지, 알킬 변성 페놀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검 로진(gum rosin), 로진 에스테르, 유성 페놀 수지, 쿠마론 인덴 수지, 석유계 탄화수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의 종류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카라야검, 구연산, 인산, 인산수소나트륨, 무수인산수소나트륨, 펙틴, 무수구연산,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유기산의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pH 조정제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을 정상인 피부의 pH에 맞추어, pH4.0∼pH6.0의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점착제층이 함유할 수 있는 약효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상기 첩부재의 위로부터 투여할 수 있는 약제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약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부에 대한 고정성을 담보하고, 지지체 두께와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1㎛ 이상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 0.1㎜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점착제층의 건조 시의 도공 중량(점착제 두께)은, 1g/㎡ 이상 1000g/㎡ 이하가 바람직하고, 10g/㎡ 이상 200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g/㎡ 이상 100g/㎡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나, 도공 중량이 상기 상한 이상이면, 투습성, 취급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하한 미만이면, 피부에 대한 고정성을 담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일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첩부재의 점착력은, 점착력이 지나치게 강하지 않고, 또한 지나치게 약하지도 않은 것이며, BA-SUS판에 대한 점착력에 있어서 0.3∼10N/25㎜ 정도, 바람직하게는 0.5∼4.0N/25㎜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BA-SUS판에 대한 점착력은, 온도 23℃, 50%RH 분위기 하에서, BA-SUS판에, 길이 150㎜ 및 폭 25㎜으로 잘라내어 조제한 테이프 시험편을 첩부하고, 2kg의 고무 롤을 600㎜/분의 속도로 1왕복시켜 압착한다. 1분 이내에, 박리 각도 180도 및 박리 속도 300㎜/분의 조건으로 박리력을 측정하고, 시험편의 BA-SUS판에 대한 점착력을 구한다. 측정은 3회 행하고, 그 평균값을 첩부재의 BA-SUS판에 대한 점착력(단위: N/25㎜)으로 한다.
또한, 지지체에 형성한 점착제층의 택성(tack property)은, 지나치게 강하지도 않고, 또한 지나치게 약하지도 않은 것이며, 프로브텍(probe tack)에 있어서 0.4∼10(N/5㎜φ) 정도, 바람직하게는 0.6∼5.0(N/5㎜φ) 정도로 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브텍은, 니치반 가부시키가이샤(Nichiban Co., Ltd.) 제조의 프로브텍 테스터를 사용하고, JIS Z 0237에 참고로서 기재되어 있는 프로브텍 시험법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이 측정은 3회 행하고, 그 평균값을 프로브텍에 대한 값(단위=N/5㎜φ)으로 한다.
[박리체]
본 발명의 첩부재에 사용하는 박리체(이하, 「상기 박리체」라고도 함)는, 점착제층을 보호할 목적으로, 상기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지지체가 설치되는 면과는 반대 측의 면에 박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박리체로서는, 첩부재의 분야에서 관용의, 박리지, 박리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이형 처리한 상질지, 글라신지 등의 종이 기재나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박리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통상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며, 그 상한값은 500㎛ 정도이다. 박리체의 대략 중심부에, 그 외형을 분단(分斷)하는 선형의 박리체 분단부를 하나 또는 2개 이상 형성함으로써, 한쪽의 박리체를 벗겨도, 다른 쪽의 박리체가 남아, 점착면에 접촉되지 않고 첩부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한다. 첩부재를 롤형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는, 특히 박리체를 벗겨내기 쉽게 하고,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효하다. 또한, 2매 이상의 박리체를 점착제로부터 박리하기 쉽도록, 박리체를 한쪽에 피복시키거나 또는 되접히도록 배치해도 된다.
[담지체]
본 발명의 첩부재에 사용하는 담지체(이하, 「상기 담지체」라고도 함)는, 지지체의 점착제층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 측의 면에 박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고, 지지체를 보강하여, 본 발명의 첩부재의 제조성이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담지체는 첩부 시에 첩부 부위를 확인할 수 있는 시인성(視認性)을 고려하면,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담지체는, 지지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률을 가지고, 지지체에 대하여, 3∼20배 정도의 탄성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담지체를 지지체에 적층시키는 면에는, 지지체와 적절한 접착성을 유지하여 적층될 필요가 있으므로, 각종 처리를 행해 두는 것이 적절하다. 이와 같은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처리, 매트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담지체가 지지체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운 경우에는, 담지체의 중앙부 부근에 절취선을 형성해도 되고, 담지체끼리의 절취선 간격을 두고 담지체를 2매로 해도 된다. 또한, 담지체의 절취선 상부에 테이프 또는 필름을 더 적층하여, 그립 단편으로서 절취부를 형성해도 된다. 절취부는 필름, 부직포, 직포, 또는 이들의 적층체로 해도 되고, 점착 테이프로 해도 되고, 착색도 가능하다. 담지체의 끝 부분은 파형 또는 복수의 홈을 만든 상태로 해도 되고, 지지체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은, 첩부재를 롤형으로 한 경우에 있어도, 담지체를 볏겨내기 쉽게 하고,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유효하다.
상기 담지체로서 사용되는 것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단체의 담지체뿐 아니라, 종이, 부직포, 직포, 편포, 금속박과 적층한 복합체의 담지체여도 상관없지만, 이와 같은 담지체에는, 시인성이나 비용 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지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통상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며, 그 상한값은 500㎛ 정도이다.
본 발명의 첩부재에서는, 담지체와 지지체 사이, 지지체와 점착제층 사이, 및/또는 점착제층과 박리체 사이에, 다른 층을 한층 이상 개재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접착성이나 박리성을 높이기 위해서, 하도제층이나 접착제층, 또는 박리제층을 형성해도 되고, 또는 필름, 부직포, 직포, 또는 이들의 적층체를 개재시켜도 된다.
<첩부재의 제조 방법>
상기 첩부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첩부재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예를 들면 지지체 또는 박리체의 한쪽의 상면에 점착제를 코팅법, 압출 성형법 등의 방법에 의해 공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와 박리체 사이에 점착제를 공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와 점착제층을 공압출 성형할 수도 있다.
안정된 품질의 첩부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박리체층의 상면에 점착제를 도공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첩부재의 제조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도공 방법은 용전(溶展) 도공, 핫멜트 도공, 에멀전 도공 등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특히, 두께 50㎛ 이하의 얇은 점착제층을 얻을 경우에는 용전 도공 방법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형성한 박리체를 일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그 상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를 도공하고, 용매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다음에, 점착제층이 박리체와 대향하도록 하여, 지지체를 적층하는 것에 의해, 지지체, 점착제층 및 박리체를 이 순서로 적층하여 포함하는, 첩부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도공 패턴으로서는, 상기 지지체의 표면을 전면적으로 피복 해도 되지만,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경우에는, 격자상, 네트상, 입상, 당초 모양 등이 임의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부분적으로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통풍성, 투습성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고, 또한, 피부로부터의 박리 시의 자극을 보다 경감할 수도 있다.
상기 첩부재의 제조 시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체와 상기 점착제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체에 표면 처리 또는 프라이머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상기 지지체의 표면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엠보스 가공, 샌드 매트 가공,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알칼리 처리 등, 공지의 모든 처리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실란 커플링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등, 본 발명에 관한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프라이머라면, 공지의 모든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프라이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첩부재의 용도 및 용법>
상기 첩부재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피부에 첩부했을 때에, 피부의 늘어남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외상이나 수술에 의한 상처를 가지는 피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대한 추종성, 투습성 등도 우수하기 때문에, 장시간 첩부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첩부재에 의하면, 창상의 치유, 흉터의 치료를 촉진하고, 반흔이나 켈로이드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반흔이나 켈로이드의 형성 예방에 효과적이다. 제왕절개나, 흉골정중절개, 복강경 수술 등의 외과 수술에 의한 창상부의 흉터의 치료 또는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첩부할 때의 첩부재 방향(길이 방향과 폭 방향)은, 상처의 크기에 따라서 정할 수 있다. 특히 상처가 직선형인 경우에는, 상처와 수직으로 되는 방향(외력이 가해지기 쉬운 방향)의 10% 인장 하중이 높아지도록 첩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용도 이외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용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습진, 화상, 여드름, 피어스 구멍, BCG 접종 등을 한 환부에 첩부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창상 치유 과정은, 그 시간적 경과로부터 염증기, 증식기 및 조직 재구축기의 3가지 시기로 나뉘어지는 생체 방어 시스템의 하나이며, 경도의 창상에서는 치료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치유에 이른다. 그러나, 창상 부위에 늘어남 등의 기계적인 왜곡이 생기면, 특히 증식기 초기의 매크로파지에 의한 괴사 조직의 소화 제거나 여분의 세포의 아포토시스를 억제하고, 콜라겐 섬유의 반흔화에 연결되어, 그 결과 조직의 재구축이 억제되고 흉터가 비대하여 켈로이드가 형성된다고 추측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첩부재는, 창상 치유를 촉진한다는 시점에 있어서 외상이나 수술에 의한 흉터의 치료를 위해 사용할 수 있고, 한편, 반흔, 켈로이드의 형성을 억제하는 의미로, 반흔, 켈로이드 형성의 예방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첩부재의 용법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지만, 예를 들면 창상부의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3개월 ∼12개월 정도 연속 첩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매의 상기 첩부재는, 일단 접착한 후, 그것이 벗겨질 때까지 연속 첩부할 수 있다. 이 기간은, 통상 3일∼10일간 정도이다. 그 후, 새로운 첩부재를 첩부하고, 벗겨지면 또 새로운 첩부재를 접착하는 것을 반복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첩부재는, 방수 및 장기 부착을 위해, 필요에 따라, 드레싱 재료나 의료용 테이프 등을 상기 첩부재 상으로부터 덮어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 중의 부 및 %는,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각각 질량부 및 질량%를 나타낸다.
《첩부재의 제작》
1. 점착제
아크릴 점착제로서는, 아크릴 점착제 1, 아크릴 점착제 2를 사용하였다. 아크릴 점착제 1은, 아크릴산이소노닐/아크릴산 2-메톡시에틸/아크릴산(질량비 68/30/2)으로 이루어지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등록상표) HL 0.3 질량부(닛폰 폴리우레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첨가한 아크릴계 점착제다. 아크릴 점착제 2는, 아크릴산이소노닐/아크릴산(질량비 96/4)으로 이루어지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TETRAD-X(등록상표) 0.03 질량부(미쓰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첨가한 아크릴계 점착제다.
2. 지지체
지지체로서는,
PET 직포,
PET 직포 + PU 필름품(폴리에스테르 직포를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라미네이트 한 것),
PET 직포를 우레탄계 수지로 편면 코팅한 것,
PET 필름,
PP 스펀 본드 부직포(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폴리우레탄 부직포,
PET/펄프 부직포(폴리에스테르 및 펄프를 포함하는 부직포)
를 사용하였다.
상기 PET 직포는,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KB 세이렌 가부시키가이샤(KB SEIREN. Ltd.) 제조, 84dtex/36개, 산화티탄 0.3 질량% 함유]를, 토크 178회/m으로 가연 가공한 가연 가공사[56dtex/36개, 신축 복원율(CR) 36%, 강도 4.6cN/dtex]를 사용하여 평직물[폭 135cm, 경밀도 102가닥/인치(2.54cm), 위밀도 90가닥/인치(2.54cm)]를 제직하고, 이 생기(生機)를,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조제하고, 각 PET 직포를 제작하였다. 각 PET 직포의 폭, 직밀도, 두께, 단위당 중량을, 표 1에 함께 나타낸다. 또한, 각 PET 직포의 1%, 5%, 및 10% 인장 하중을 표 2에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가연 가공사의 신축 복원율(CR), 각 PET 직포의 사이즈, 특성 등의 측정 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지지체의 각 특성의 측정 방법>
(인장 하중)
각각 JIS L 1096에 준하여 인장 시험을 행하고, 1%, 5%, 및 10% 인장 하중의 측정을 행하였다. 각 첩부재의 시험편은, 폭(CD) 방향, 길이(MD) 방향 각각에 대하여, 폭 25㎜, 길이 100㎜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한 것을 사용하였다. 각 지지체의 폭(CD)방향, 길이(MD) 방향 각각에 대하여 3매씩 시험편을 재단하고, 3매 모두에 대하여 측정을 행하고, 3매의 평균값을 CD 방향, MD 방향 각각의 인장 하중의 측정값으로 하였다. 측정의 조건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시험기: 오토그래프 인장 시험기
시험편: 폭 25㎜, 길이 100㎜
그립 간격: 50㎜
크로스헤드 이동 속도(인장 속도): 300㎜/min
반복 시험수: n=3
(직밀도)
덴시미터를 사용하여, 경위 각각의 방향의 직밀도를 측정하고, 그 방향의 직밀도로 하였다.
(두께)
JIS L 1085에 준하여, 두께 측정기[피콕(peacock)사 제조, 형식 No.H]를 사용하여, 250㎜×250㎜의 시험편의 네 코너에 대하여, 가압 하 10초 후의 두께를 측정하고,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하였다.
(단위당 중량)
250㎜×250㎜의 시험편을 3장 채취하고, 10mg까지의 질량을 측정하고, 평균값을 16배하였다. 3개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하였다.
[신축 복원율(CR)]
0.176mN×총섬도의 하중을 가하여 타래(hank) 길이 약 40cm, 와이딩수 10회의 작은 타래를 제작하고, 100℃×15분으로 끓인다. 이 시료를 0.176mN×20×총섬도의 하중과, 8.82mN×20×총섬도의 하중을 더 가하여, 온도 20±2℃의 수중에 2분간 침지한 후, 타래 길이를 측정하고, 즉시 8.82mN×20×총섬도의 하중을 제거하여 2분간 방치한 후, 다시 타래 길이를 측정하고, 다음의 식에 의해 신축 복원율(%)을 산출하였다.
E=(a-b)×100/a
E=신축 복원율(%)
a=0.176mN×20×총섬도의 하중에, 8.82mN×20×총섬도의 하중을 더 가했을 때의 타래 길이(㎜)
b=0.176mN×20×총섬도의 하중을 가했을 때의 타래 길이(㎜)
[표 1]
Figure 112017122041608-pct00001
[표 2]
Figure 112017122041608-pct00002
3. 첩부재의 제작
[실시예 7∼실시예 12, 및 비교예 1∼비교예 6]
박리체의 한쪽 면에, 아크릴 점착제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전체의 고형분은 약 40 질량%)을, 건조 후의 두께가 40g/㎡로 되도록 도포하고, 이어서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각 지지체를 라미네이트하고, 첩부재를 제작하였다. 사용한 아크릴 점착제 및 지지체는 각각 표 3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첩부재의 특성은, 후술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표 4∼표 8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표 6 중의 「-」은, 실시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17122041608-pct00003
<첩부재의 각 특성의 측정 방법>
(인장 하중)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첩부재에 대해서는, 각각 JIS K 7113에 준하여 인장 시험을 행하고, 1%, 5%, 및 10% 인장 하중의 측정을 행하였다. 각 첩부재의 시험편은, 폭(CD) 방향, 길이(MD) 방향 각각에 대하여, 폭 25㎜, 길이 100㎜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한 것을 사용하였다. 척(chuck) 사이가 50㎜로 되도록 양단에 니치반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포점착 테이프 <LS> No.123을 첩부하고, 인장 강도 측정용 시험편을 제작하고, 덴시론형 인장 시험기의 크로스헤드에 상기 50㎜의 그립 간격으로 장착하였다. 상부 크로스헤드를 300㎜/min의 속도로 올리고, 상기 시험편을 잡아당겼다. 신장의 측정 조건 설정은, 「신장의 원점은 첫 하중점, 첫 하중값은 3.0N, 느슨해짐 보정은 없음」으로 하고, 1%, 5%, 10% 신장에 이르렀을 때의 하중을 각각 1%, 5%, 10% 인장 하중으로 하였다. 인장 하중의 단위는, 뉴턴(N)/25㎜으로 나타낸다. 각 첩부재의 폭(CD) 방향, 길이(MD) 방향 각각에 대하여 3매씩 시험편을 재단하고, 3매 모두에 대하여 상기 측정을 행하였다. 3매의 평균값을 CD 방향, MD 방향 각각의 인장 하중의 측정값으로 하였다. 측정의 조건을 정리하면 하기와 같다.
시험기: 덴시론형 인장 시험기
시험편: 폭 25㎜, 길이 100㎜
그립 간격: 50㎜
크로스헤드 이동 속도(인장 속도): 300㎜/min
반복 시험수: n=3
측정 분위기: 23℃, 50%RH
(강연도)
캔틸레버 시험 JIS L 1096에 의한다. 각 첩부재의 시험편은, 폭(CD) 방향, 길이(MD) 방향 각각에 대하여, 폭 20㎜, 길이 150㎜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한 것으로 하였다. 45°의 경사면을 가지는, 표면이 매끄러운 수평대 위에 샘플의 짧은 변을 스케일 기선에 맞추어 두고, 적당한 방법에 의해 시험편을 경사면의 방향으로 완만하게 슬라이딩시켜 20초 이내에 시험편이 쓰러졌을 때, 수평대 측의 끝(端)의 위치를 스케일로부터 판독하였다. 강연도는 시험편이 이동한 길이(㎜)로 나타내고, 3매의 평균값을 강연도의 측정값으로 하였다. 그리고, 측정은 모두 각 첩부재의 지지체면을 아래로 하여 행하였다.
(겉보기 밀도)
각 첩부재의 평량(g/㎡)을 그 두께(㎛)로 나눈 값을 산출하여, 겉보기 밀도(g/㎤)로 하였다.
(투습도)
투습도는, JIS Z 0208의 B조건에 따라, 온도 40℃, 상대 습도 90%로 측정하였다. 즉, 각 첩부재의 한쪽 면 측을 온도 40℃, 상대 습도 90%로 조절하고, 다른 면 측에는 약 15g의 흡습제(염화칼슘)를 두고, 각 첩부재를 통과한 수분을 흡수시키고, 흡습제의 질량 변화량을 1㎡, 24시간당으로 환산하여, 3매의 시험편의 평균값을 투습도로 하였다.
(첩부재의 위로부터의 투약 가능성)
첩부재의 위로부터 투약할 수 있는지 아닌가를 평가하였다.
폭 25㎜, 길이 100㎜으로 재단한 첩부재 2매를 배꼽 하부에 첩부하고, 지지체의 점착제를 바르지 않은 면에 각각 1매씩 연고[린데론 VG 연고 0.12% : 시오노기 세이야쿠(SHIONOGI & CO., LTD.) 제조]와 크림(린데론 VG 크림 0.12% : 시오노기 세이야쿠제) 0.5g를 발랐다. 그 후, 첩부재를 벗기고, 연고가 피부 위에 발라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도포되어 있는 경우에는 A, 도포되지 않은 경우에는 D로서 평가하였다. 시험은 3명에게 실제로 행하고, 2명 이상의 평가를 본 시험의 평가로 하였다.
(신장 회복율)
각 첩부재의 시험편은 폭(CD) 방향, 길이(MD) 방향 각각에 대하여, 폭 25㎜, 길이 100㎜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한 것을 사용하였다. 척 사이가 50㎜로 되도록 양단에 니치반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포점착 테이프 <LS> No.123을 첩부하고, 인장 강도측정용 시험편을 제작하고, 덴시론형 인장 시험기의 크로스헤드에 상기 50㎜(L0)로 표시를 하여 장착하였다. 상부 크로스헤드를 300㎜/min의 속도로 올리고, 상기 시험편에 9N(또는 18N)의 하중을 가했을 때의 테이프 길이(L1)를 측정하였다. 그 후, 변위를 제로로 되돌린(하중을 제거함) 후에, 9N(또는 18N)의 하중을 가했을 때의, 하중이 가해지기 시작했을 때의 척 사이의 길이(L2)를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구하였다.
신장 회복율(%)={(L1-L2)/ (L1-L0)}×100
각 첩부재의 폭(CD) 방향, 길이(MD) 방향 각각에 대하여 3매씩 시험편을 재단하고, 3매 모두에 대하여 상기 측정을 행하였다. 3매의 평균값을 CD 방향, MD 방향 각각의 신장 회복율의 측정값으로 하였다. 측정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시험기: 덴시론형 인장 시험기
시험편: 폭 25㎜, 길이 80㎜
척간: 50㎜
크로스헤드 이동 속도(인장 속도): 300㎜/min
반복 시험수: n=3
측정 분위기: 23℃, 50%RH
[표 4]
Figure 112017122041608-pct00004
[표 5]
Figure 112017122041608-pct00005
[표 6]
Figure 112017122041608-pct00006
<첩부재의 평가(인간 피부에서의 실용 평가) 방법>
각 첩부재를 인간 피부의 하기의 각 부위에 첩부하고, 하기의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그리고, 각 부위에서의 평가에는, 폭(CD) 방향, 길이(MD) 방향 각각에 대하여 각 첩부재를 사방 50㎜의 사이즈로 재단한 시험편을 3매씩 사용하였다.
(배꼽 하부)
배꼽 하부에 매직펜으로 사방 50㎜의 정사각형을 마킹하였다(50㎜×50㎜의 4변). 몸의 수직(상하) 방향을 세로, 수평(좌우) 방향을 가로로 하였다(흉부 및 견부도 동일하게 하여 행함). 양손을 허리에 대고, 허리를 뒤로 굽힌 상태(몸을 젖힌 상태)에서 정지하고, 그 때의 마킹한 세로 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피부를 늘리는 행위). 또한, 의자에 허리 깊이 앉은 상태에서 정지하고, 그 때의 마킹한 세로 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피부를 수축시키는 행위). 이들 측정값을 첩부하지 않았을 때(공백)의 측정값으로 하였다. 다음에, 마킹한 개소(箇所)에 각 첩부재의 시험편을 붙이고, 동일한 동작을 행하고, 테이프의 세로 길이를 줄자로 측정하여 첩부 시의 측정값으로 하였다. 각 첩부재의 시험편 3매에 대하여 동일한 측정을 행하였다. 첩부하지 않았을 때의 측정값 및 첩부 시의 측정값 각각과, 초기값(50㎜)의 차이를 산출하고, 첩부하지 않았을 때에 늘어났거나 또는 수축된 길이가, 첩부 시에 어느 정도 억제되었는지를 억제율(%)로서 산출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세로 방향만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그리고, 표 4에 나타낸 결과는, 상기 3매의 시험편에 관한 평균값이다. 여기에서, 억제율이 100%란, 첩부재의 첩부에 의해, 피부의 늘어남이 완전히 억제된 것을 나타낸다.
(흉부)
흉부의 잘 움직이는 개소(흉부의 중앙)에 매직펜으로 사방 50㎜의 정사각형을 마킹하였다(50㎜×50㎜의 4변). 양손 모두 주먹을 만들고, 가슴을 앞으로 밀어내도록 가슴을 펴서 그 상태로 정지하고(피부를 늘리는 행위), 그 때의 마킹한 세로 및 가로 변의 길이를 측정하고, 첩부하지 않았을 때(공백)의 측정값으로 하였다. 다음에, 마킹한 개소에 각 첩부재의 시험편을 붙이고, 동일한 동작을 행하고, 테이프의 세로 및 가로 변의 길이를 줄자로 측정하여 첩부 시의 측정값으로 하였다. 각 첩부재의 시험편 폭(CD) 방향, 길이(MD) 방향 각각 3매에 대하여 동일한 측정을 행하였다. 억제율의 산출은 배꼽부의 경우와 동일하게 행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피부를 늘리는 행위에 대하여
A: 억제율 100% ∼90%
B: 억제율 89% ∼80%
C: 억제율 79% ∼70%
D: 억제율 69% 이하
[표 7]
Figure 112017122041608-pct00007
<첩부재의 평가(인간 피부에서의 5일간 연속 첩부 평가) 방법>
각 첩부재를 인간 피부의 복부에 첩부하고, 하기의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그리고, 각 부위에서의 평가에는, 폭(CD) 방향 25㎜, 길이(MD) 방향 각각에 대하여 각 첩부재를 사방 50㎜의 사이즈로 재단한 시험편을 1매씩 복부에 5일간 연속으로 첩부하고, 부착성, 첩부 중의 가려움, 첩부 중의 위화감, 박리 시의 통증, 박리 1시간 후 및 24시간 후의 피부 자극을 평가하였다.
(부착성)
부착되어 있는 면적율을 산출하고, 그 평균점을 평가 결과로 하였다.
(가려움)
100: 가려움이 없음
60: 조금 가렵지만 문제없음
0: 가려워서 문제임
(위화감)
100: 위화감이 없음
60: 조금 위화감이 있지만 문제없음
0: 위화감이 있어서 문제임
(박리 1시간 후 및 24시간 후의 피부 자극)
100: 피부 자극이 없음
60: 조금 피부 자극이 있지만 문제없음
0: 피부 자극이 있어서 문제임
(평가)
부착성, 첩부 중의 가려움, 첩부 중의 위화감, 첩부 시의 통증, 박리 1시간 후, 및 24시간 후의 피부 자극의 결과를 상기의 기준으로 점수화하고, 평정을 하기와 같이 하였다.
A: 100∼90
B: 89∼80
C: 79∼70
D: 69 이하
[표 8]
Figure 112017122041608-pct00008
<평가>
상기 표 4∼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첩부재는 피부의 늘어남을 충분히 억제하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실시예의 첩부재는, 5일간 첩부 후의 피부에 대한 부착율이 높고, 또한 첩부 중의 가려움이나 위화감이 거의 없었다. 또한, 박리 후의 피부 자극도 적었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첩부재는, 피부의 신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피부에 대한 추종성도 우수하여, 장기간의 첩부가 가능한 것을 알았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의 첩부재는, 첩부 시의 미소한 동작에는 추종하여 늘어나고(1%의 인장 하중은 작음), 반흔·켈로이드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작은 억제하였다(10%의 인장 하중은 큼). 그에 대하여 비교예의 첩부재는, 표 8에 있어서의 특성 평가에는 우수해도, 표 7에 나타내는 피부의 신장 억제 효과가 불충분한 것 등, 피부의 신장 억제 효과와 피부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할 수 없는 것을 알았다. 특히, 비교예 1∼비교예 3의 PET 필름에 있어서는, 1%의 인장 하중이 크고, 첩부 시의 미소한 동작에 추종하지 않고 첩부 시에 위화감을 느끼거나, 벗겨지기 쉬워지는 경우가 많았다. 비교예 4∼비교예 6의 부직포에서는, 첩부 시의 미소한 동작에 추종하지만, 반흔·켈로이드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작은 억제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10%의 인장 하중이 작음). 10% 인장 강도가 신장의 억제에 영향을 주고, 1% 인장 강도, 강연도, 강연도와 겉보기 밀도의 곱이, 부착성과 위화감에 영향을 주고, 투습도가 첩부 중의 가려움과 피부 자극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지지체 자체와 동일한 지지체를 사용한 첩부재에서의 인장 하중의 측정값의 차이가 큰 것이 있지만, 이것은 주로, 점착제 도공 시에 지지체에 가해지는 장력 및 열, 점착제 숙성 시의 가열 등에 의한 지지체 물성의 변화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또는 수술 후 창상 보호용 첩부재에 의하면, 피부의 신장을 가해지는 응력에 따라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외상이나 수술에 의한 상처를 가지는 피부에 미치는 외력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피부에 대한 추종성, 투습성 등도 우수하다. 그 때문에, 장기간 첩부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또는 수술 후 창상 보호용 첩부재는 창상의 치유용, 흉터의 치료용 또는 반흔이나 켈로이드의 형성 예방용에 바람직하다.

Claims (15)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첩부재(貼付材)로서,
    상기 첩부재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 인장 하중이 13N/25㎜ 이하이고, 10% 인장 하중이 18N/25㎜ 이상 95N/25㎜ 이하이고,
    상기 지지체가, 총섬도 40dtex 이상 85dtex 이하의 실을 사용한, 경밀도(經密度)가 80∼120가닥/인치(2.54cm)이고, 위밀도(緯密度)가 80∼120가닥/인치(2.54cm)인 직포이고,
    상기 첩부재의 투습도(g/㎡·day)가 1,000g/㎡·day 이상 30,000g/㎡·day 이하인, 창상 피복용 또는 수술 후 창상 보호용 첩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첩부재의 강연도(剛軟度)(㎜)가, 5㎜ 이상 40㎜ 이하인, 첩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첩부재의 5% 인장 하중이 5N/25㎜ 이상 50N/25㎜ 이하인, 첩부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와 겉보기 밀도(g/㎤)의 곱이 2㎜·g/㎤ 이상 30 ㎜·g/㎤ 이하인, 첩부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첩부재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9N 및 18N 하중 시의 신장 회복율이 85% 이상인, 첩부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창상의 치유용, 흉터의 치료용 또는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용인, 첩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외과 수술에 의한 창상부의 창상의 치유용, 흉터의 치료용 또는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용인, 첩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 수술이 제왕절개, 흉골정중절개 또는 복강경 수술인, 첩부재.
  9.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첩부재로서,
    상기 첩부재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 인장 하중이 13N/25㎜ 이하이고, 5% 인장 하중이 5N/25㎜ 이상 50N/25㎜ 이하이며, 10% 인장 하중이 18N/25㎜ 이상 95N/25㎜ 이하이고, 투습도(g/㎡·day)가 1,000g/㎡·day 이상 30,000g/㎡·day 이하이고, 상기 지지체가 총섬도 40dtex 이상 85dtex 이하의 실을 사용한, 경밀도(經密度)가 80∼120가닥/인치(2.54cm)이고, 위밀도(緯密度)가 80∼120가닥/인치(2.54cm)인 직포이고, 상기 점착제층은 발포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외과 수술에 의한 창상부의 창상의 치유용, 흉터의 치료용 또는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용 첩부재.
  10.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첩부재로서,
    상기 첩부재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 인장 하중이 13N/25㎜ 이하이고, 5% 인장 하중이 5N/25㎜ 이상 50N/25㎜ 이하이며, 10% 인장 하중이 18N/25㎜ 이상 95N/25㎜ 이하이고, 상기 첩부재의 강연도(㎜)가, 8㎜ 이상 25㎜ 이하이며,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의 양단에 협지(sandwich)되는 측부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첩부재의 투습도(g/㎡·day)가 1,000g/㎡·day 이상 30,000g/㎡·day 이하이고, 상기 지지체가 총섬도 40dtex 이상 85dtex 이하의 실을 사용한, 경밀도(經密度)가 80∼120가닥/인치(2.54cm)이고, 위밀도(緯密度)가 80∼120가닥/인치(2.54cm)인 직포인, 외과 수술에 의한 창상부의 창상의 치유용, 흉터의 치료용 또는 반흔·켈로이드 형성 예방용 첩부재.
  11. 창상 피복용 또는 수술 후 창상 보호용 첩부재의 지지체로서 이용하는 첩부재용 지지체로서, 지지체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1% 인장 하중이 13N/25㎜ 이하이고, 10% 인장 하중이 15N/25㎜ 이상 95N/25㎜ 이하이고, 총섬도 40dtex 이상 85dtex 이하의 실을 사용한, 경밀도(經密度)가 80∼120가닥/인치(2.54cm)이고, 위밀도(緯密度)가 80∼120가닥/인치(2.54cm)인 직포인, 첩부재용 지지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신축 복원율(CR)이 15∼40%인 가연(假撚) 가공사를 사용한 직포인, 첩부재용 지지체.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7035362A 2015-05-20 2016-03-17 첩부재 및 그것에 사용하는 첩부재용 지지체 KR102503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3194 2015-05-20
JPJP-P-2015-103194 2015-05-20
PCT/JP2016/058518 WO2016185778A1 (ja) 2015-05-20 2016-03-17 貼付材及びそれに用いる貼付材用支持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549A KR20180008549A (ko) 2018-01-24
KR102503512B1 true KR102503512B1 (ko) 2023-02-23

Family

ID=5732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362A KR102503512B1 (ko) 2015-05-20 2016-03-17 첩부재 및 그것에 사용하는 첩부재용 지지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80133067A1 (ko)
EP (1) EP3298996B1 (ko)
JP (1) JP6329699B2 (ko)
KR (1) KR102503512B1 (ko)
CN (1) CN107847357A (ko)
HK (1) HK1249844A1 (ko)
PL (1) PL3298996T3 (ko)
TW (1) TWI701020B (ko)
WO (1) WO2016185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63177S (ko) * 2016-03-22 2016-11-14
GB2579790B (en) * 2018-12-13 2022-10-05 Adv Med Solutions Ltd Ribbon wound dressing
JP7376510B2 (ja) * 2018-12-26 2023-11-08 国立大学法人 長崎大学 シート状物貼付デバイス
CN112545755A (zh) * 2019-12-06 2021-03-26 苏州恒星医用材料有限公司 一种耐磨面料透气创口贴的制作方法
USD961093S1 (en) * 2020-05-20 2022-08-16 Classys Inc. Skin patch
USD952868S1 (en) * 2021-01-25 2022-05-24 Suw Inc. Taping tape
USD979769S1 (en) * 2021-09-03 2023-02-28 Paprtect Ab Finger cover pap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8935A (ja) * 2000-05-19 2001-11-27 Hisamitsu Pharmaceut Co Inc 貼付剤
JP2006207092A (ja) * 2005-01-31 2006-08-10 Toyobo Co Ltd 伸縮性シートおよび貼付剤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0281004A (ja) * 2009-06-04 2010-12-16 Kb Seiren Ltd 織物
JP2012135582A (ja) * 2010-12-28 2012-07-19 Alcare Co Ltd 貼付材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7536B2 (ja) * 1983-04-01 1985-06-29 良輔 冨士森 医療用貼付材
JP2903723B2 (ja) * 1991-01-22 1999-06-14 東レ株式会社 粘着テープ用基布
JPH0779827A (ja) 1993-09-13 1995-03-28 Nifco Inc 引出し構造
US5755680A (en) * 1994-11-01 1998-05-26 Ghodsian; Kamran Method for inhibiting the formation of striations due to skin tension
JPH11200124A (ja) * 1997-09-30 1999-07-27 Asahi Chem Ind Co Ltd 芯 地
US6558790B1 (en) * 1999-11-30 2003-05-06 Avery Dennison Corporation Water vapor-perme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JP2003137773A (ja) * 2001-10-31 2003-05-14 Hisamitsu Pharmaceut Co Inc 積層支持体を有する貼付剤
KR100564999B1 (ko) * 2003-09-25 2006-03-30 주식회사 바이오폴 의료용 점착 테이프
JP4448913B2 (ja) * 2004-06-03 2010-04-14 アルケア株式会社 皮膚貼付用粘着性被覆材
EP1879508B1 (en) * 2005-05-12 2014-07-30 Canica Design Inc. Dynamic tensioning system and method
DE102005033720A1 (de) * 2005-07-15 2007-01-18 Karl Otto Braun Kg In Kettrichtung längselastische Binde
WO2008019051A2 (en) * 2006-08-03 2008-02-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Devices and bandage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scars and/or keloids and methods and kits therefor
US8518841B2 (en) * 2006-08-04 2013-08-27 Kuraray Co., Ltd. Stretchable nonwoven fabric and tape
US9241835B2 (en) * 2007-08-03 2016-01-26 Neodyne Biosciences, Inc.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with variable edge geometries
US20100217171A1 (en) * 2007-09-28 2010-08-26 Nichiban Co., Ltd. Patch Material
ES2685172T3 (es) * 2010-07-12 2018-10-05 Teikoku Seiyaku Co., Ltd. Relleno que tiene una estructura de tres capas y parche adhesivo acuoso que incluye el relleno
JP5755976B2 (ja) * 2011-09-02 2015-07-29 ユニチカ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医療用織物
US10022274B1 (en) * 2014-06-02 2018-07-17 Zdzislaw Harry Piotrowski Systems and methods for wound healing
JP6007953B2 (ja) * 2014-09-03 2016-10-19 日本精工株式会社 送りねじ装置の軸方向剛性変化抑制方法
JP5767417B1 (ja) * 2015-02-05 2015-08-19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8935A (ja) * 2000-05-19 2001-11-27 Hisamitsu Pharmaceut Co Inc 貼付剤
JP2006207092A (ja) * 2005-01-31 2006-08-10 Toyobo Co Ltd 伸縮性シートおよび貼付剤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0281004A (ja) * 2009-06-04 2010-12-16 Kb Seiren Ltd 織物
JP2012135582A (ja) * 2010-12-28 2012-07-19 Alcare Co Ltd 貼付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5778A1 (ja) 2016-11-24
HK1249844A1 (zh) 2018-11-16
TWI701020B (zh) 2020-08-11
EP3298996A4 (en) 2019-04-03
TW201641087A (zh) 2016-12-01
JP6329699B2 (ja) 2018-05-23
JPWO2016185778A1 (ja) 2018-02-22
CN107847357A (zh) 2018-03-27
KR20180008549A (ko) 2018-01-24
PL3298996T3 (pl) 2023-08-28
EP3298996B1 (en) 2023-04-26
EP3298996A1 (en) 2018-03-28
US20180133067A1 (en)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512B1 (ko) 첩부재 및 그것에 사용하는 첩부재용 지지체
JP6358874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またはシート
JP5457446B2 (ja) 貼付材
ES2906065T3 (es) Parche adhesivo que contiene un sistema de revestimiento de liberación mejorada
EP1762206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vering material for application to skin
WO2011136330A1 (ja) 貼付剤とその使用
KR102264107B1 (ko) 첩부재
JP4925545B2 (ja) 皮膚貼着用粘着部材
WO2015072517A1 (ja) 貼付材
WO2023172878A2 (en) Strained skin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JP6214529B2 (ja) 皮脂吸収性貼付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810418B2 (ja) 貼付材
KR100838428B1 (ko)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CN111163735B (zh) 创可贴及创可贴用聚氨酯无纺布
KR101842976B1 (ko) 점착성 탄력 미용 밴드
JPH0838543A (ja) 適合性絆創膏
JP2005046333A (ja) 皮膚貼着用粘着テープおよびシート
JP4841808B2 (ja) 裏打材付きドレッシン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