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107B1 - 첩부재 - Google Patents

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107B1
KR102264107B1 KR1020177015295A KR20177015295A KR102264107B1 KR 102264107 B1 KR102264107 B1 KR 102264107B1 KR 1020177015295 A KR1020177015295 A KR 1020177015295A KR 20177015295 A KR20177015295 A KR 20177015295A KR 102264107 B1 KR102264107 B1 KR 102264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ass
meth
acrylic acid
vinyl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225A (ko
Inventor
히로미치 후지사와
마사히로 남바
가나코 고하타
Original Assignee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2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점착제층이, (a) 점착제 A :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65 ∼ 99.5 질량%,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를 0.5 ∼ 8 질량%, 친수성을 갖지 않는 비닐 단량체 0 ∼ 34.5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및 (b) 점착제 B :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50 ∼ 90 질량%,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를 0.5 ∼ 8 질량%, 친수성을 갖는 비닐 단량체 9.5 ∼ 49.5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혼합 점착제이고, 또한, (ⅰ) 그 점착제 A 와 그 점착제 B 의 혼합비가, 15/85 ∼ 85/15 이고, 또한, (ⅱ) 그 혼합 점착제가 가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

Description

첩부재 {ADHESIVE PATCH}
본 발명은 의료 분야, 특히 절상, 찰상, 자상, 생채기, 구두에 쓸려 까진 상처 등의 창상 및 경도 화상의 치유의 촉진, 통증의 경감, 습윤 환경의 유지 또는 보호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첩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급 반창고에 적합한 첩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 의료용 점착 테이프 혹은 약물을 경구 투여할 수 있는 경피 흡수 제제로서 유용한 첩부재에 관한 것이다.
첩부재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필름, 직포, 부직포, 편포 (編布),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층과, 지지체층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세퍼레이터층이 배치되거나, 또한, 예를 들어 지지체층이 매우 얇은 경우 등에는, 지지체층에 캐리어층을 구비하거나 하는 층 구조를 갖는다.
첩부재의 지지체로서, 직포, 부직포, 편포, 종이 등을 사용한 경우에는, 투습성이 우수하기는 하지만 방수성이 낮기 때문에, 물을 써서 일하는 장소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력이 저하되어 떼어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방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지지체에 필름을 사용하면, 필름에 의해 투습도가 낮아지는 점에서, 피부가 붓고, 발진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방수성과 함께 투습성 및 점착성이 우수한 점착제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첩부재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는, 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및 우레탄계의 점착제가 알려져 있으며, 그 중에서도, 내열, 내후성이 우수함과 함께 점착력도 우수하고, 게다가 변성시키기 쉬운 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경우, 친수성 모노머의 비율이 많은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는, 투습성은 높지만 점착력이 약하고, 한편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소수성 모노머) 의 비율이 높으면, 점착력은 높지만 투습성이 낮다고 여겨져 왔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점착력과 투습성을 높이기 위해, 아크릴계 점착제에 있어서의 그 주요 성분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종류를 바꾸거나, 투습성을 높이기 위한 친수성 모노머나 공중합성 모노머 등을 여러 가지로 바꾼 공중합체가 제조되어, 많은 특성이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점착력과 투습성의 양방 모두 높은 공중합체를 예측한 경우라 하더라도, 점착력과 투습성 모두 어중간한 것이 되거나 하여, 점착력과 투습성을 겸비한 충분히 만족시키는 점착제가 좀처럼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특성이 다른 아크릴계 점착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생각되어 왔다.
특허문헌 1 에는, 점착제층으로서, (A) 카르복실기 혹은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필수 성분으로 하여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와, (B) 측사슬에 염 구조를 갖지 않는 질소 원자를 갖는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필수 성분으로 하여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및 (C) 상기 (A) 성분 및 (B) 성분과 상용 (相容) 하는 유기 액상 성분을 함유하고, 가교한 점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및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모노머 단위로서 갖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A) 성분과, 피롤리돈기 함유 모노머 및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모노머 단위로서 갖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B)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A) 성분인 공중합체가,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수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가교제와의 반응에 의해 가교된 점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양 문헌 모두 점착성과 함께 약물의 용해성을 효과로 하는 것으로, 방수성의 필름을 지지체로서 사용한 경우의 투습성에 대해서 고려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3 에는, (A) 메타크릴산2-아세토아세톡시에틸에스테르 및 그 밖의 비닐 모노머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성 폴리머 A 와, (B)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가 4 개 ∼ 10 개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그 밖의 비닐 모노머를 구성 성분으로 하고, 상기 점착성 폴리머 A 와는 상이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성 폴리머 B 의 2 종류의 점착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4 에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 만 ∼ 100 만인 점착 폴리머 A,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 만 ∼ 150 만인 점착 폴리머 B, 그리고 액상 가소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의료용 비가교 점착제로, 점착 폴리머 A 가,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 N-비닐-2-피롤리돈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이고, 점착 폴리머 B 가,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단독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 혹은(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 N-비닐-2-피롤리돈 이외의 코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인 의료용 비가교 점착제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양 문헌 모두 점착성이나 피부 자극성이 고려되어 있지만, 점착제끼리의 혼합에 있어서의 상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액상 가소제가 사용되고 있고, 또한 방수성, 투습성 및 점착성에 대해서 고려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조성이 상이한 2 종류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혼합하면, 상용성이 나빠져, 가소제를 첨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많다. 또, 방수성이 높아진 필름을 지지체로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투습성과 함께 점착성을 높이고, 2 종류의 아크릴계 점착제의 상용성이 우수한 첩부재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449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1179호 국제 공개공보 제2006/647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14251호
본 발명의 과제는, 2 종류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혼합하는 혼합 점착제로 함으로써, 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지지체로서 필름 소재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피부가 붓거나 발진이 일어나거나 하는 경우가 없으며, 방수성, 투습성과 함께 점착성도 겸비한 첩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에 대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점착제층으로서, 상용성이 양호한, 특정한 2 종류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특정 비율로 배합하고, 추가로 가교함으로써, 지지체로서 필름 소재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방수성, 유연성, 점착성의 전부를 겸비한 첩부재가 가능해지는 것은 아닐지에 대해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단량체 단위로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일정 이상 있는 경우에는, 피부로부터 분비된 피지 성분을 점착제가 흡수하기 쉬워, 첩부재가 잘 떼어지지 않는다는 지견을 기초로, 주성분으로서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즉, 주성분이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인 2 종류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혼합 점착제로 하고, 추가로 가교함으로써, 요구되는 방수성, 투습성과 함께 점착성도 겸비한 점착제가 가능해지는 것은 아닐지에 대해 착상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통상적으로, 주성분이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인 아크릴계 점착제는, 소수성의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친수성 특성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혼합하고, 추가로 가교함으로써, 방수성, 투습성과 함께 점착성도 겸비한 점착제가 되는 것은 아닐지에 대해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들은,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 가교를 위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를, 가교에 필요한 정도의 소량 배합한 점착제를 기초로 하여, 친수성의 특성을 발생시키는 제 3 성분을 탐구하였다. 이 경우, 혼합에 있어서, 2 종의 아크릴계 점착제의 상용성이 적절해지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가소제를 사용하는 것은, 점착제의 특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탐구하던 중, 상용성을 감안하여, 친수성 특성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얻기 위해서는, 친수성을 갖는 비닐 단량체를 제 3 성분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자들은, 제 3 성분의 유무에 의해, 점착제 A (제 3 성분 없음) 와 점착제 B (제 3 성분 있음) 라는 특성이 상이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혼합 점착제를 알아내고, 이 혼합 점착제를 가교함으로써, 방수성, 투습성과 함께 점착성도 겸비한 점착제를 얻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1) 지지체층 및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재로서, 그 점착제층이,
(a) 점착제 A : 필수 성분으로서,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65 ∼ 99.5 질량%,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를 0.5 ∼ 8 질량%, 나머지 성분으로서, 추가로 단량체 합계 100 질량% 가 되는 범위에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그 비닐 단량체와는 상이한 비닐 단량체로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친수성을 갖지 않는 비닐 단량체 0 ∼ 34.5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및
(b) 점착제 B : 단량체 합계 100 질량% 가 되는 범위에서, 필수 성분으로서,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50 ∼ 90 질량%,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를 0.5 ∼ 8 질량%,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그 비닐 단량체와는 상이한 비닐 단량체로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친수성을 갖는 비닐 단량체 9.5 ∼ 49.5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혼합 점착제이고, 또한, (ⅰ) 그 점착제 A 와 그 점착제 B 의 혼합비 (점착제 A/점착제 B) 가, 점착제 A 와 점착제 B 의 합계 질량을 100 질량부로 했을 때, 15/85 ∼ 85/15 (질량비) 이고, 또한, (ⅱ) 그 혼합 점착제가 가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2) 상기 점착제층의 가교가, 가교제에 의한 것인 상기 (1) 의 첩부재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3) 상기 관능기가, 카르복실기 혹은 하이드록실기인 상기 (1) 의 첩부재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4) 상기 점착제층이, 실온에서 액체상인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의 첩부재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5) 상기 지지체가, 필름을 포함하는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의 첩부재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6) 상기 지지체가, 필름과 포백의 적층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의 첩부재의 첩부재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7) 투습도가 300 g/㎡ㆍ24 h 이상인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의 첩부재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8) 그 점착제 A 와 그 점착제 B 의 혼합비 (점착제 A/점착제 B) 가, 점착제 A 와 점착제 B 의 합계 질량을 100 질량부로 했을 때, 35/65 ∼ 65/35 (질량비) 인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의 첩부재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9) 점착제 A 와 점착제 B 의 주요 구성 성분인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용해도 파라미터의 SP 값의 차가, 0.50 이내인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의 첩부재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10) 구급 반창고인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의 첩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첩부재의 점착제를, 가소제의 필요성 없이, 상용성이 있는 소수성의 아크릴계 점착제와 친수성의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혼합 점착제로 하고, 추가로 그 혼합 점착제를 가교함으로써, 지지체가 방수성을 갖는 필름이라 하더라도, 피부가 붓거나 발진이 일어나거나 하는 경우가 없고, 방수성, 투습성과 함께 점착성도 겸비한 첩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들 첩부재는, 구급 반창고로서, 의료용 점착 테이프로서 혹은 경피 흡수 제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첩부재는, 기본적으로, 지지체층과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재이다.
1. 지지체층
본 발명의 첩부재의 지지체층은, 필름이나, 직물, 편물, 부직포 등의 포백 등을 들 수 있는데, 특히, 방수성을 가짐과 함께, 피부에 밀착할 수 있고, 또한, 피부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을 정도의 유연한 재질로서, 그리고 장시간 첩부 후에 있어서 피부의 발진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지체층으로서 사용되는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하, 「PET」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나일론, 면, 아세테이트레이온, 레이온, 레이온/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셀로판 등을 성분으로 하는 필름의 단층 또는 적층체를 들 수 있다. 또, 피부 발진의 발생 등을 억제하기 위해, 지지체층으로는, 지지체층의 투습도〔JIS Z 0208 에 규정되는 B 조건 (온도 40 ℃, 상대 습도 90 %) 에서 측정〕가 1,000 g/㎡ㆍ24 시간 이상, 특히 2,000 g/㎡ㆍ24 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방수성이 있고, 또한 유연성이나 투습성을 갖는 지지체층으로서, 엘라스토머 필름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엘라스토머 필름을 형성하는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1,2-폴리부타디엔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2 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엘라스토머 중에서도,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필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지체층으로서, 방수성이 있는 상기 필름에, 추가로 유연성이나 흡습성을 갖게 하기 위해, 포백을 적층시킨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포백은, 천연 섬유 외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크릴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직포 및 편포이고, 그 중에서도 탄성을 갖는 점에서 폴리우레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필름과 포백의 적층은, 점착제를 도포하는 측이 필름이어도 되고 포백이어도 되어, 어느 쪽이어도 된다.
(지지체층의 두께)
본 발명의 첩부재가 구비하는 지지체층은, 두께는, 필름만인 경우에는 10 ∼ 50 ㎛ 의 범위이지만, 필름과 포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경우에는 20 ∼ 250 ㎛ 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70 ∼ 200 ㎛ 이다. 필름과 포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경우에는, 필름의 두께는 2 ∼ 20 ㎛, 바람직하게는 3 ∼ 10 ㎛ 이다. 지지체층의 두께는, 지지체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은 경우에는, 지지체층의 강도가 불충분해져, 첩부재를 피부에 첩부하거나, 첩부재를 피부로부터 떼어내거나 할 때, 지지체층이 끊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지지체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크면, 첩부재의 두께가 커지는 결과, 첩부재가 피구 (皮溝) 등의 미세한 요철이 있는 피부 표면을 따라 잘 밀착되지 않아, 첩부 상태가 눈에 띄기 쉬워지고, 위화감도 커지기 쉽다.
(첨가제)
지지체층을 형성하는 필름은, 첩부 중에, 첩부재가 눈에 띄지 않게 하는, 즉, 첩부 아래 피부의 색조를 비쳐 보이게 하기 쉽다는 점에서는, 투명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게 채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지지체층을 형성하는 필름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 안료나 염료 등의 착색제,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활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함유량은,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범위를 선정하면 되는데,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 100 질량부에 대해, 통상적으로 0.001 ∼ 3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 25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20 질량부의 범위로 하는 경우가 많다.
〔엠보스 가공〕
첩부재를 사람의 피부 표면에 첩부했을 때, 첩부재의 감촉, 슬라이딩성, 외관 등을 개선하기 위해, 첩부재를 구성하는 지지체층의 배면 (지지체층의, 점착제층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을 의미한다.) 에 미소한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즉, 지지체층의 점착제층측과 반대측의 면이 엠보스 가공되어 있는 첩부재로 할 수 있다. 엠보스 가공에 의해, 지지체층 표면의 동마찰 계수를 1.0 미만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캐리어층의 표면에 엠보스 가공에 의해 미소한 요철을 형성해 두고, 그 미소한 요철면 상에 지지체층을 형성하면, 엘라스토머 필름으로부터 형성되는 지지체층의 표면 (배면) 에 그 미소한 요철을 전사할 수 있다.
또, 지지체층은, 점착제와의 투묘성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편면 또는 양면에 샌드 블라스트 처리,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 포재 (包材) 로부터 첩부재를 꺼내기 쉽게 하기 위해, 지지체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샌드 블라스트 이외의 방법으로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2. 점착제층
본 발명의 첩부재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가, 이하의 2 개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혼합 점착제이다.
(a) 점착제 A :
필수 성분으로서,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65 ∼ 99.5 질량%,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를 0.5 ∼ 8 질량%, 나머지 성분으로서, 추가로 단량체 합계 100 질량% 가 되는 범위에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그 비닐 단량체와는 상이한 비닐 단량체로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친수성을 갖지 않는 비닐 단량체 0 ∼ 34.5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b) 점착제 B :
단량체 합계 100 질량% 가 되는 범위에서, 필수 성분으로서,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50 ∼ 90 질량%,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를 0.5 ∼ 8 질량%,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그 비닐 단량체와는 상이한 비닐 단량체로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친수성을 갖는 비닐 단량체 9.5 ∼ 49.5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또한, 그 혼합 점착제는, 점착제 A 와 점착제 B 의 혼합비 (점착제 A/점착제 B) 가, 점착제 A 와 점착제 B 의 합계 질량을 100 질량부로 했을 때, 15/85 ∼ 85/15 (질량비), 바람직하게는 25/75 ∼ 75/25 (질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35/65 ∼ 65/35 이고, 게다가 점착제 A 와 점착제 B 가 가교되어 있는 것이다.
점착제 A 는 2 성분계 또는 3 성분계인데, 성분비의 결정 방법은, 점착제 A 의 양을 결정하고, 이어서, 필수 성분의 성분을 소정의 범위 내로 하고, 전체로 100 질량% 가 되도록 나머지 성분을 소정의 범위 내로 한다. 점착제 B 는 3 성분계이고, 전체로 100 질량% 가 되도록 성분비를 결정한다.
(1) 점착제 A
점착제 A 는 소수성이다.
본 발명의 첩부재에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 A 는, 필수 성분으로서,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65 ∼ 99.5 질량%, 바람직하게는 75 ∼ 99.3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98 질량% 이고,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를 0.5 ∼ 8 질량%, 바람직하게는 0.7 ∼ 6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 5 질량%, 나머지 성분으로서, 추가로 단량체 합계 100 질량% 가 되는 범위에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그 비닐 단량체와는 상이한 비닐 단량체로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친수성을 갖지 않는 비닐 단량체 0 ∼ 34.5 질량%, 바람직하게는 0 ∼ 24.3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19.1 질량% 이다.
(1-1)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점착제 A 에 있어서의 필수 성분인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는, (메트)아크릴산n-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n-데실, (메트)아크릴산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라우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중에서도,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이소노닐 등의 탄소수 8 ∼ 9 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2)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
관능기는, 점착제 A 와 점착제 B 를 가교하기 위한 관능기로서 기능하고, 관능기로는,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및 에폭시기가 있고, 그 중에서도 카르복실기 및 하이드록실기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을 들 수 있고, 하이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로는,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실메틸,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프로필을 들 수 있고, 또 (메트)아크릴산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스테르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메트)아크릴산모노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아미노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로는 (메트)아크릴아미드를 들 수 있고,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로는,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2 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이다.
(1-3)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친수성을 갖지 않는 비닐 단량체
이 비닐 단량체는, 상기 (1-1), (1-2) 의 비닐 단량체와 상이한 단량체로서, 친수성을 갖지 않는다.
즉, 여기에서, 친수성을 갖지 않는 비닐 단량체로 하는 것은, 상기 (1-1) 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상기 (1-2) 의 비닐 단량체로서 사용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는 제외된다.
즉, 점착제 A 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와, 친수성을 갖지 않는 비닐 단량체는 중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상기 (1-1), (1-2) 의 비닐 단량체와 상이한 비닐 단량체로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비닐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즉,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n-헥실 등을 들 수 있다.
또, 시클로헥실기 등의 포화 탄소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비닐 단량체 (불포화 니트릴), 스티렌 등의 비닐 방향족 화합물, 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2 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비닐이 있다.
(1-4) 이와 같은 점착제 A 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이소노닐 96 질량%, 아크릴산 4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나, 아크릴산이소노닐 98 질량%, 아크릴산 2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나, 아크릴산2-에틸헥실 85 %, 아크릴산 4 %, 아세트산비닐 11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를 들 수 있다.
(2) 점착제 B
점착제 B 는 친수성이다.
본 발명의 첩부재에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 B 는, 단량체 합계 100 질량% 가 되는 범위에서, 필수 성분으로서,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50 ∼ 90 질량%, 바람직하게는 51 ∼ 88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2 ∼ 86 질량%,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를 0.5 ∼ 8 질량%, 바람직하게는 0.7 ∼ 6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 5 질량%,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그 비닐 단량체와는 상이한 비닐 단량체로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친수성을 갖는 친수성을 갖는 비닐 단량체 9.5 ∼ 49.5 질량%, 바람직하게는 11.3 ∼ 48.3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3.1 ∼ 47.1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친수성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이다.
(2-1) 점착제 B 의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상기 (1-1) 중에서 선택된다.
(2-2) 점착제 B 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는, 상기 (1-2) 중에서 선택된다.
(2-3)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친수성을 갖는 비닐 단량체
친수성의 특성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 3 성분으로서, 친수성을 갖는 비닐 단량체를 사용한다.
이 비닐 단량체는, 상기 (2-1) 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상기 (2-2) 의 비닐 단량체와는 상이한 비닐 단량체로서, 친수성을 갖는다.
즉, 여기에서, 친수성을 갖는 비닐 단량체로 하는 것은, 상기 (2-1) 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상기 (2-2) 에서 서술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로서 사용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는 제외된다.
즉, 점착제 B 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와 친수성을 갖는 비닐 단량체는 중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친수성을 갖는 비닐 단량체로서, 통상적으로, 알콕시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를 사용한다.
알콕시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로는, (메트)아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2-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프로폭시에틸, (메트)아크릴산2-부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2-에톡시메틸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톡시에틸렌글리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톡시디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가 있다.
(2-4) 이와 같은 점착제 B 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이소노닐 68 질량%, 아크릴산 2 질량%, 아크릴산2-메톡시에틸 30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나, 아크릴산이소노닐 83 질량%, CH2=CHCOO-(CH2CH2O)9H 1 질량%, CH2=CHCOO-(CH2CH2O)9CH3 16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아크릴 공중합체의 제조)
본 발명의 첩부재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A 및 점착제 B 를 구성하는 아크릴 공중합체는,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합법으로는,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괴상 중합법 등이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의 첩부재가 구비하는 점착제층이 양호한 점착 특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공중합체를 얻기 위한 중합 개시제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개시제 ;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상기의 b-1), b-2) 및 b-3) 으로 이루어지는 전체 단량체 100 질량부에 대해, 0.1 ∼ 3 질량부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40 ∼ 90 ℃ 정도의 온도에서 30 분간 ∼ 30 시간 교반하여 공중합시킨다. 용액 중합법에서는,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 아세톤, 톨루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범용된다.
점착제 A 및 점착제 B 를 구성하는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통상적으로 100,000 ∼ 1,500,000, 바람직하게는 300,000 ∼ 1,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50,000 ∼ 650,000 의 범위이다.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응집성, 점착력, 다른 성분과의 혼합 작업성, 다른 성분과의 친화성 등을 균형있게 할 수 있다.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법에 의해,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값으로서 구한 값이다.
(상용성)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점착제 A 와 점착제 B 가, 점착제 A 와 점착제 B 의 합계 질량을 100 질량부로 했을 때, 15/85 ∼ 85/15 (질량비) 의 비율로 혼합되고, 추가로 가교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점착제 A 는 소수성을 갖고, 또 점착제 B 는 친수성을 갖는 것인데, 혼합 점착제가 점착제층으로서 일체화된 것으로 하기 위해, 서로 상용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양자의 주요 구성 성분인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동일한 것이거나, 동일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용해도 파라미터의 SP 값의 차가 0.5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점착제 A 와 점착제 B 의 바람직한 혼합비는 25/75 ∼ 75/25 % (질량비) 이고, 35/65 ∼ 65/35 (질량비) 가 더욱 바람직하다.
(가교 및 가교제)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 A 와 점착제 B 가 혼합 처리에 의해, 가교제 없이 가교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가교제에 의해 가교되는 것도 바람직하고, 가교제로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나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아세틸아세톤 금속염 등을 들 수 있으며,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콜로네이트 (등록 상표) HL, 콜로네이트 L, 콜로네이트 EH, 미츠비시 가스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TETRAD-X (등록 상표), TETRAD-C (등록 상표), 나셈 (등록 상표) 알루미늄 등으로서 입수할 수 있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점착제 A 와 점착제 B 에 있어서의 아크릴 공중합체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 1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 0.5 질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 ∼ 0.1 질량부이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사용해도 되고, 동시에 2 종류 이상의 첨가를 실시하지 않아도 되고,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의 도공 전 또는 도공 중에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는, 상기 점착제 A 및 점착제 B 와 가교제 외에,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약물, 충전제, 산화 방지제 (항산화제, 방부제), 착색제, 향료, 점착 부여제, 가소제 등, 첩부재가 구비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에 있어서 관용되고 있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의 점착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 점착 부여제를 배합할 수 있다. 점착 부여제로는, 예를 들어 테르펜계, 테르펜페놀계, 쿠마론인덴계, 스티렌계, 로진계, 자일렌계, 페놀계, 석유계 등의 점착 부여 수지를 들 수 있다.
(가소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A 및 점착제 B 는, 상용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추가로 가교 처리가 실시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첩부재에 있어서의 점착제에 함유되어 있는 가소제를 함유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가소제로는,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류 (글리세린,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3-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 페놀류 (티몰, 사프롤, 이소사프롤, 오이게놀, 이소오이게놀 등) ; 고급 알코올류 (벤질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등) ;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세스퀴올레산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스테아르산폴리옥실 등) ; 지방산 에스테르류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올레산올레일, 프탈산디에틸, 프탈산디부틸 등) ; 유기산류 (락트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말산 등) ; 등 실온에서 액체상인 가소제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오히려 실온에서 액체상인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온에서 액체상인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는」이란, 실온에서 액체상인 가소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점착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함유량인 것을 의미하고, 통상적으로, 아크릴계 점착제 100 질량부에 대해, 통상적으로 2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하까지 함유하는 것은 허용되는 경우가 있다.
(약물 등)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는, 통상적으로 첩부재에 있어서의 점착제에 함유되는 각종의 약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약물로는, 디카프릴산피리독신, 글리시리진산디칼륨, 디팔미트산피리독신, 글리시리진산, 염산디펜하이드라민, 황벽나무 엑기스, 스테아르산글리시레티닐, 염화리소자임, 아미노카프로산, 영지 엑기스, 의이인, 전동싸리 엑기스, 모란 엑기스, 당귀 엑기스, 당귀뿌리 엑기스, 천궁 엑기스, 이질풀 엑기스, 알란토인 및 아르니카 엑기스 등의 항염증제 ; 시코닌, 히노키티올, 세드롤,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톤늄, 감광소 201 호 및 아디프산 등의 항균제 ; 에스트라디올, 비타민 B2, 비타민 B6, 로열 젤리 엑기스, 리보플라빈 등의 피지 분비 억제제 ; 다공질 나일론 파우더 및 다공질 셀룰로오스 파우더 등의 흡유성 다공질 분체 ; 카올린, 탤크, 점토, 산화아연 등의 피지 흡수제 ; 살리실산, 황, 벤토나이트,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각질 박리제 ;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아세트산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벤조산류, 파라벤류, 염화벤잘코늄 및 염화벤제톤늄 등의 항산화제 (방부제) ; 아르니카 몬타나 엑기스, 감초 엑기스, 레티놀,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작약 엑기스, 세이지잎 엑기스, 비파잎 엑기스, 로즈메리 엑기스 등의 피부 거침 개선제 ; 비타민 및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등의 산화 방지제 ; 또한 각종 진통 소염제 ; 항히스타민제 ;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 ; 보습제 ; 비타민류 ; 향료 ; 미용 성분 ;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첩부재를 경구 흡수 제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약제로서, 각각 목적에 따라 질환의 치료에 필요로 하는 약물이 첨가된다. 예를 들어, 진통제로는 스테로이드계 진통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 마약계 진통제나 국소 마취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약제로는, 정신 안정제, 항우울제, 불면증 개선약, 항고혈압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필요에 따라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염, 산화아연, 산화티탄,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 등의 충전제 ; 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약물이나 충전제의 함유량은, 약물이나 충전제의 종류에 따라 유효 함유량이 상이한데,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 전체 질량을 100 질량% 로 했을 때, 0.001 ∼ 10 질량%, 특히 0.01 ∼ 2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
본 발명의 첩부재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10 ∼ 200 ㎛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5 ∼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100 ㎛ 의 범위이다.
3. 세퍼레이터층
본 발명의 첩부재는, 지지체층, 점착제층 외에, 통상적으로, 구급 반창고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을 피부에 첩부할 때까지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해서, 점착제층에 인접하여 세퍼레이터층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층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첩부재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형지, 이형 필름, 박리지, 박리 필름, 박리 라이너 등이라고 하여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표면을 실리콘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표면을 실리콘 처리한 폴리에틸렌과 종이의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세퍼레이터층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두께의 2 장 이상의 시트로 하여 점착제층을 보호해도 된다. 또, 세퍼레이터층은, 취급성 (즉,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성) 을 향상시키기 위해, 절개선을 형성해도 되고, 첩부재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하여, 주연부에 그립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세퍼레이터층은, 취급성의 향상이나 인쇄 적성의 향상 등의 목적으로, 세퍼레이터층의 점착제층에 대향하는 면 또는 점착제층의 반대측의 면에, 샌드 블라스트 처리 등에 의한 요철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세퍼레이터층을 1 장의 큰 시트로서 형성하고, 그 위에 점착제층, 지지체층 및 캐리어층으로 이루어지는 조합을 복수 배열시켜도 되고, 이 경우, 세퍼레이터층은, 복수의 첩부재에서 공유되게 된다.
세퍼레이터층의 두께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20 ㎛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이고, 그 상한값은 500 ㎛ 정도이다.
4. 캐리어층
통상적으로, 지지체층이 얇은 경우, 첩부재는 캐리어층, 지지체층, 점착제층 및 세퍼레이터층을 이 순서로 적층하여 구비하는 첩부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첩부재는, 지지체층에 인접하여 캐리어층을 구비함으로써, 첩부재의 취급성, 피부로의 첩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첩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지지체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첩부재를 피부에 첩부할 때, 지지체층에 주름이 생기거나 첩부재가 구부러져 점착제층끼리 접착해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지만, 첩부재가 지지체층에 인접하여 캐리어층을 구비함으로써, 첩부재의 형상 유지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캐리어층의 두께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20 ㎛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 이고, 그 상한값은 500 ㎛ 정도이다.
캐리어층은 각종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이오노머,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필름과 종이의 적층체를 사용할 수 있다.
캐리어층은, 사용시에, 즉 첩부재를 피부에 첩부할 때, 지지체층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캐리어층과 지지체층은 열 압착 또는 점착 등에 의해 박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층과 지지체층의 박리력을 조정하기 위해, 캐리어층의 지지체층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점착제, 액상 가소제, 이형제 등을 도포해도 된다.
5. 첩부재
본 발명의 첩부재는, 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지지체와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것으로, 첩부재로서의 높은 투습성과 높은 점착력을 갖는 것이다. 투습도로는 300 g/㎡ㆍ24 h 이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프로브택이 1.0 ∼ 4.0 N/5 ㎜φ 인 것이 바람직하다.
(첩부재의 형상)
본 발명의 첩부재는 지지체층,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재로서, 또한, 상기 한 제특성을 구비하는 것인 한 특별히 형상이 한정되지 않고, 구급 반창고나 점착 테이프 혹은 경피 흡수 제제로서의 특성에 맞춘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점착 테이프로 하는 경우에는, 롤상으로 할 수 있고, 구급 반창고나 경피 흡수 제제이면, 원형, 타원형이나 사용 목적에 따른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투습도)
본 발명의 첩부재는, 투습도로서 300 g/㎡ㆍ24 h 이상, 바람직하게는 600 g/㎡ㆍ24 h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50 g/㎡ㆍ24 h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 g/㎡ㆍ24 h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50 g/㎡ㆍ24 h 이상이다. 상한은 1500 g/㎡ㆍ24 h, 바람직하게는 1,070 g/㎡ㆍ24 h 이다. 투습도가 큼으로써, 첩부재를 피부에 첩부할 때, 땀이 나거나 고이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투습도는 JIS Z 0208 에 규정되는 B 조건 (온도 40 ℃, 상대 습도 90 %) 에서 측정한다.
(프로브택)
본 발명의 첩부재는, 프로브택이 1.0 ∼ 4.0 N/5 ㎜φ 인 것이 바람직하고, 1.95 ∼ 3.70 N/5 ㎜φ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96 ∼ 3.60 N/5 ㎜φ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97 ∼ 3.57 N/5 mφ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브택이 지나치게 작으면, 첩부 중에 첩부재가 탈락해 버리는 경우도 있다. 또, 프로브택이 지나치게 크면, 첩부재를 첩부한 후에 피부 표면으로부터 박리했을 때에 저항감이나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첩부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첩부재는, 지지체층 및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재로서, 그 점착제층이,
(a) 점착제 A : 필수 성분으로서,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65 ∼ 99.5 질량% 이고,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가 0.5 ∼ 8 질량% 이고, 나머지 성분으로서, 추가로 단량체 합계 100 질량% 가 되는 범위에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그 비닐 단량체와는 상이한 비닐 단량체로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알콕시기를 갖지 않는 비닐 단량체 0 ∼ 34.5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및
(b) 점착제 B : 단량체 합계 100 질량% 가 되는 범위에서, 필수 성분으로서,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50 ∼ 90 질량% 이고,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가 0.5 ∼ 8 질량,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그 비닐 단량체와는 상이한 비닐 단량체로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알콕시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를 9.5 ∼ 49.5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혼합 점착제이고, 또한, (ⅰ) 그 점착제 A 와 그 점착제 B 의 혼합비가, 점착제 A 와 점착제 B 의 합계 질량을 100 질량부로 했을 때, 15/85 ∼ 85/15 (질량비) 이고, 또한, (ⅱ) 그 혼합 점착제가 가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를 얻을 수 있는 한 그 제조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첩부재는, 시트상의 적층체로서 제조할 수 있고, 롤상의 적층체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통상의 첩부제의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첩부제의 제조 방법인 핫멜트법이나, 캘린더법이나 용전법 (溶展法) 등을 채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용전법이 바람직하다. 용전법이란, 필요한 성분을 용제에 용해하여 지지체에 전개하고, 그 후 용제를 증산하여 지지체와 첩합하고, 이어서 적당한 형상으로 재단하여 첩부제를 얻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첩부제의 하나의 제조 방법으로서, 2 종류의 아크릴계 점착제의 혼합 점착제와 가교제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교반 혼합하고, 실리콘계 박리제 등을 도포한 공정지 (工程紙) 위에, 상기 혼합 점착제의 용액 또는 에멀션을 도공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그 점착제층을 필름을 포함하는 지지체와 일체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도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 성분을 함유하는 점착제의 용액을 나이프 코터, 콤마 코터 또는 리버스 코터 등의 범용의 도공기를 사용하여 도공할 수 있다. 얻어진 첩부제는, 롤상으로 권취하여 롤상의 첩부재를 얻어도 되고, 사용 용도에 따라 타원형, 원형, 정방형, 장방형 등의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재단한다.
(첩부재의 용도)
본 발명의 첩부재는, 필요에 따라 캐리어층, 세퍼레이터층을 부착시키고, 사용 부위에 따른 형상으로 하여 일반적인 구급 반창고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그대로 의료용 점착 테이프로서 사용할 수 있고, 특정한 약제를 첨가한 경피 흡수 제제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첩부재 및 첩부재가 구비하는 각 층의 특성 및 물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두께)
지지체층, 점착제층 및 첩부재의 두께는,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위 : ㎛, n = 3 의 평균값).
(투습도)
첩부재의 투습도는, JIS Z 0208 에 규정되는 B 조건 (온도 40 ℃, 상대 습도 90 %) 에서 측정하였다 (단위 : g/㎡ㆍ24 h, n = 3 의 평균값).
(프로브택)
점착제층의 프로브택은, 니치반 주식회사 제조의 프로브택 테스터를 사용하여, JIS Z 0237 (1996 년판) 에 참고로서 기재되어 있는 프로브택 시험법에 따라, 직경 5 ㎜ 의 원주 프로브를 점착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떼어내는 데에 필요로 하는 힘을 측정하여 구하였다 (단위 : N/5 ㎜φ, n = 3 의 평균값).
(실용 평가)
첩부재의 실용 평가로서, 성인 남녀 5 명의 피험자의 입욕 후의 수분을 닦아낸 후, 손가락의 제 2 관절에 첩부제를 첩부하고, 12 시간 첩부한 후, 입욕하여 『입욕 후의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그 후, 첩부로부터 24 시간 후에 『24 시간 첩부 후의 부착성』을 평가한 후, 첩부재를 박리하여, 『피부의 부기』를 평가하였다. 평가는 피험자 5 명 각각 하기 기준을 따라 1 ∼ 5 로 평가하고, 그 평균값을 사사오입하고, 하기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 종합 평가는, 특성 평가와 실용 평가의 결과에 입각하여 본 발명자들이 평가하였다.
<입욕 후의 부착성>
5 : 전체면이 잘 붙어 있었다
4 : 주위가 약간 떼어지거나 또는 말려 있었다
3 : 1/3 정도 떼어지거나 또는 말려 있었다
2 : 절반 이상 떼어지거나 또는 말려 있었다
1 : 탈락
A : 평균값이 4.0 이상
B : 평균값이 3.5 ∼ 3.9
C : 평균값이 3.4 이하
<24 시간 첩부 후의 부착성>
5 : 전체면이 잘 붙어 있었다
4 : 주위가 약간 떼어지거나 또는 말려 있었다
3 : 1/3 정도 떼어지거나 또는 말려 있었다
2 : 절반 이상 떼어지거나 또는 말려 있었다
1 : 탈락
A : 평균값이 3.6 이상
B : 평균값이 3.1 ∼ 3.5
C : 평균값이 3.0 이하
<피부의 부기>
5 : 부기 없음
4 : 다소 부었지만 문제 없음
3 : 부어서 문제 있음
2 : 부어서 많이 문제 있음
1 : 과도한 부기로 물집이 생김
A : 평균값이 4.0 이상
B : 평균값이 3.5 ∼ 3.9
C : 평균값이 3.4 이하
<종합 평가>
AA : 종합적으로 특히 우수하였다
A : 종합적으로 우수하엿다
C : 종합적으로 문제가 생겼다
[점착제 A 및 점착제 B 의 상용성 분석]
점착제 A1 : 아크릴산2-에틸헥실/아세트산비닐/아크릴산 (질량비 85/11/4) 공중합체의 아크릴계 점착제에 에폭시계 가교제 (TETRAD-X, 미츠비시 가스 화학사 제조) 0.05 부를 첨가하고 가교하여 얻었다.
점착제 B1 : 아크릴산이소노닐/아크릴산2-메톡시에틸/아크릴산 (질량비 68/30/2) 공중합체의 아크릴계 점착제에 에폭시계 가교제 (TETRAD-X), 미츠비시 가스 화학사 제조) 0.05 부를 첨가하고 가교하여 얻었다.
혼합 점착제 C1 : 점착제 A (: 아크릴산2-에틸헥실/아세트산비닐/아크릴산 (질량비 85/11/4) 공중합체의 아크릴계 점착제) 와 점착제 B (: 아크릴산이소노닐/아크릴산2-메톡시에틸/아크릴산 (질량비 68/30/2) 공중합체의 아크릴계 점착제) 의 합계 100 질량부에, 에폭시계 가교제 (TETRAD-X), 미츠비시 가스 화학사 제조) 0.05 질량부를 첨가하고 가교하여 얻었다.
점착제 A1, 점착제 B1 및 혼합 점착제 C1 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실시하여, 각각의 tanδ (손실 정접) 의 온도 의존, 저장 탄성률 (G') 의 온도 의존 및 손실 탄성률 (G") 의 온도 의존을 구하였다. 또한, 아크릴산2-에틸헥실과 아크릴산이소노닐의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은, 각각 8.36 과 8.38 이고, 그 차는 0.50 의 범위 내이다.
(결과)
동적 점탄성 측정의 tanδ (손실 정접) 의 온도 의존으로부터, 그 피크에 의해 유리 전이 온도 (Tg) 가 얻어지고, 점착제 A1 의 유리 전이 온도는 -33.2 ℃, 점착제 B1 의 유리 전이 온도 -19.4 ℃ 에 대해, 혼합 점착제 C1 의 유리 전이 온도는, -29.3 ∼ -27.6 ℃ 의 범위에서 1 개의 피크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혼합 점착제 C1 의 유리 전이 온도는, 점착제 A1 과 점착제 B1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의 중간점인 -26.3 ℃ 에 가까운 값이 되어, 상용성이 인정되었다.
혼합 점착제 C1 의 저장 탄성률 (G') 과 손실 탄성률 (G") 의 온도 의존 변화는, 점착제 A1 과 점착제 B1 사이에 위치하고, 동일한 변화를 나타내고 있어, 그것에 의해서도 상용성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4]
폴리우레탄 필름에 폴리우레탄 부직포를 적층한 지지체 위에, 통상의 제법에 의해, 혼합 점착제 C1 에 의한 점착제층을 형성한 첩부재 (지지체층의 두께 170 ㎛, 점착제층의 두께 40 ㎛) 를 얻었다. 점착제 A1 및 점착제 B1 의 혼합비를 바꾸고,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재로서, 점착제 A1 과 점착제 B1 의 혼합비에 의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첩부재의 실용 평가와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8]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필름 (두께 30 ㎛) 에 혼합 점착제 C1 에 의한 점착제층 (두께 40 ㎛) 을 형성한 첩부재를 얻었다. 점착제 A1 을 50 질량부, 점착제 B1 을 50 질량부의 혼합비로, 실용 평가와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53350301-pct00001
[고찰]
표 1 로부터, 지지체가 필름/부직포인 실시예 1 ∼ 7 의 경우, 점착제 A 는 단독으로는 투습도가 594 g/㎡ㆍ24 h 로 낮지만, 투습성이 양호한 점착제 B 를 혼합 점착제 100 질량부 중에서 15 질량부 이상 배합한 경우에, 투습도 650 g/㎡ㆍ24 h 를 초과하는 것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점착제 A 와 점착제 B 의 혼합비가 35/65 ∼ 65/35 (질량비) 일 때에 가장 양호한 실용 평가가 얻어졌다.
그러나, 점착제 A 와 점착제 B 의 혼합비 (점착제 A/점착제 B) 가 15/85 ∼ 85/15 (질량비) 까지는 실용 평가가 우수하지만, 점착제 B 를 늘려 혼합 점착제 100 질량부 중에서 85 질량부를 초과하면, 실용 평가가 열등한 것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지체가 필름인 실시예 8 의 경우, 지지체가 필름이기 때문에 투습도는 떨어지지만, 피부에 밀착하여, 실용성의 평가에 있어서, 입욕 후의 부착성이 양호하였다. 이것은 물이 옆으로부터 들어가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에 비해, 비교예 1 ∼ 4 는, 실용 평가에 있어서, C 의 평가가 있고, 종합 평가도 C 가 되어 문제가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첩부재는 피부 등에 적용되어, 예를 들어, 의료용으로서, 예를 들어 의료 위생 분야나 외용 용도 등의 분야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반창고, 의료용 점착 테이프, 점착 붕대, 드레싱재, 외과 수술용 서지컬 테이프, 경피 흡수 제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첩부재의 점착제층이 소수성의 아크릴계 점착제와 친수성의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혼합 점착제로 함으로써, 지지체가 방수성을 갖는 필름이라 하더라도, 피부가 붓거나 발진이 일어나거나 하는 경우가 없고, 방수성, 투습성과 함께 점착성도 겸비한 첩부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용 점착 테이프나 구급 반창고에 적합한 첩부재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특히, 구급 반창고에 적합하다.

Claims (10)

  1. 지지체층 및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재로서, 그 점착제층이,
    (a) 점착제 A : 필수 성분으로서,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65 ∼ 99.5 질량%,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를 0.5 ∼ 8 질량%, 나머지 성분으로서, 추가로 단량체 합계 100 질량% 가 되는 범위에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그 비닐 단량체와는 상이한 비닐 단량체로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친수성을 갖지 않는 비닐 단량체 0 ∼ 34.5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및
    (b) 점착제 B : 단량체 합계 100 질량% 가 되는 범위에서, 필수 성분으로서,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50 ∼ 90 질량%,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를 0.5 ∼ 8 질량%,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그 비닐 단량체와는 상이한 비닐 단량체로서,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친수성을 갖는 비닐 단량체 9.5 ∼ 49.5 질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혼합 점착제이고,
    여기에서, 상기 관능기는,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또는 에폭시기이고,
    상기 친수성을 갖지 않는 비닐 단량체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포화 탄소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 시아노기 함유 비닐 단량체, 비닐 방향족 화합물, 또는 아크릴아미드이고, 그리고
    상기 친수성을 갖는 비닐 단량체는, 알콕시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이고,
    또한, (ⅰ) 그 점착제 A 와 그 점착제 B 의 혼합비 (점착제 A/점착제 B) 가, 점착제 A 와 점착제 B 의 합계 질량을 100 질량부로 했을 때, 15/85 ∼ 85/15 (질량비) 이고, 또한, (ⅱ) 그 혼합 점착제가 가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가교가 가교제에 의한 것인 첩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능기가 카르복실기 혹은 하이드록실기인 첩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가, 실온에서 액체상인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는 첩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층이, 필름을 포함하는 첩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층이, 필름과 포백의 적층인 첩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습도가 300 g/㎡ㆍ24 h 이상인 첩부재.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A 와 상기 점착제 B 의 혼합비 (점착제 A/점착제 B) 가, 점착제 A 와 점착제 B 의 합계 질량을 100 질량부로 했을 때, 35/65 ∼ 65/35 (질량비) 인 첩부재.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제 A 의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과, 점착제 B 의 탄소수 8 ∼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의 용해도 파라미터 (SP) 의 차가 0.50 의 범위 내인 첩부재.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급 반창고인 첩부재.
KR1020177015295A 2014-12-26 2014-12-26 첩부재 KR102264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84513 WO2016103449A1 (ja) 2014-12-26 2014-12-26 貼付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225A KR20170102225A (ko) 2017-09-08
KR102264107B1 true KR102264107B1 (ko) 2021-06-10

Family

ID=5614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295A KR102264107B1 (ko) 2014-12-26 2014-12-26 첩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78334B2 (ko)
KR (1) KR102264107B1 (ko)
CN (1) CN107001866B (ko)
WO (1) WO20161034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8245B1 (en) * 2016-08-09 2023-06-07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skin patch and wound body of adhesive skin patch
WO2019058915A1 (ja) * 2017-09-19 2019-03-28 株式会社タイキ 化粧用シートおよび化粧物品
JP7292139B2 (ja) * 2018-07-26 2023-06-1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熱収縮性プラスチック製部材、複合プリフォームおよび複合容器
CN109705793A (zh) * 2019-01-16 2019-05-03 荆晓东 改性环氧树脂胶黏剂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6338A (ja) 2000-08-11 2004-06-0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親水性および疎水性感圧接着剤を含む接着剤配合物
JP2007209515A (ja) 2006-02-09 2007-08-23 Nichiban Co Ltd 医療補助用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11654T2 (de) * 1988-11-17 1994-04-07 Nitto Denko Corp Dermalfolic mit druckempfindlichem Haftmittel.
JP2967788B2 (ja) * 1990-10-15 1999-10-25 日東電工株式会社 医療用粘着テープおよび疾患治療用テープ製剤
JP3474381B2 (ja) * 1996-12-03 2003-12-08 ニチバン株式会社 皮膚貼付用粘着剤組成物
JP2000008013A (ja) * 1998-06-19 2000-01-11 Nichiban Co Ltd 感圧接着剤組成物
JP4145996B2 (ja) 1998-08-03 2008-09-03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および経皮吸収製剤
JP5177726B2 (ja) * 2000-09-01 2013-04-10 日東電工株式会社 皮膚貼付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皮膚貼付用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US6998432B2 (en) * 2000-09-01 2006-02-14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composition for skin and adhesive tape or sheet for skin comprising the composition
JP4688364B2 (ja) * 2001-08-03 2011-05-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絆創膏用粘着剤組成物
JP4276125B2 (ja) * 2004-04-27 2009-06-10 日東電工株式会社 医療用非架橋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貼付材、ならびに医療用非架橋粘着剤の製造方法
ES2416679T3 (es) * 2004-12-15 2013-08-02 Nipro Patch Co., Ltd. Preparación de cinta médica
JP4873871B2 (ja) 2005-02-28 2012-02-08 久光製薬株式会社 粘着剤及び貼付剤
JP5130203B2 (ja) * 2006-04-28 2013-01-30 ライオン株式会社 非水系粘着剤組成物、貼付剤および貼付剤の製造方法
CA2698827C (en) * 2007-09-28 2014-09-09 Nichiban Co., Ltd. Makeup-assisting patch and makeup method using the patch
JP2010082102A (ja) * 2008-09-30 2010-04-15 Nitto Denko Corp 皮膚貼付用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933209B (zh) * 2010-04-13 2015-06-17 东亚合成株式会社 医疗用粘合剂组合物、医疗用贴剂和该组合物的制备方法
JP6166901B2 (ja) * 2010-12-10 2017-07-19 日立化成株式会社 光学用粘着材樹脂組成物、光学用粘着材シート、画像表示装置、光学用粘着材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0426739B2 (en) * 2011-12-21 2019-10-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patch assembly with overlay liner and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6214529B2 (ja) * 2012-05-28 2017-10-18 ニチバン株式会社 皮脂吸収性貼付材、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6338A (ja) 2000-08-11 2004-06-0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親水性および疎水性感圧接着剤を含む接着剤配合物
JP2007209515A (ja) 2006-02-09 2007-08-23 Nichiban Co Ltd 医療補助用粘着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78334B2 (ja) 2019-03-06
JPWO2016103449A1 (ja) 2017-11-24
WO2016103449A1 (ja) 2016-06-30
KR20170102225A (ko) 2017-09-08
CN107001866B (zh) 2021-05-04
CN107001866A (zh)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8874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またはシート
EP3337546B1 (en) Nasogastric tube securement systems
KR102264107B1 (ko) 첩부재
KR102503512B1 (ko) 첩부재 및 그것에 사용하는 첩부재용 지지체
JP2011208069A (ja) 粘着テープ
CN106459693B (zh) 用于医学应用的改进的压敏粘合剂
WO2013077134A1 (ja) 貼付材
JP5342702B1 (ja) 貼付材
JP6214529B2 (ja) 皮脂吸収性貼付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912159B2 (ja) 皮膚貼付用粘着剤組成物及び皮膚貼付材
JP2005314618A (ja) 皮膚貼付用粘着剤組成物及びこの皮膚貼付用粘着剤組成物を用いてなる皮膚貼付材
JP7369552B2 (ja) 医療用貼付材
JP6528154B2 (ja) ビソプロロール含有貼付製剤
WO2009084611A1 (ja) かゆみ止めシート
WO2015072517A1 (ja) 貼付材
JPH09206369A (ja) 皮膚貼付材および救急絆創膏
JP2000225185A (ja) 救急絆創膏
JP5936410B2 (ja) ひまし油配合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