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428B1 -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 Google Patents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428B1
KR100838428B1 KR1020067025347A KR20067025347A KR100838428B1 KR 100838428 B1 KR100838428 B1 KR 100838428B1 KR 1020067025347 A KR1020067025347 A KR 1020067025347A KR 20067025347 A KR20067025347 A KR 20067025347A KR 100838428 B1 KR100838428 B1 KR 100838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material
adhesive coating
knitted fabric
elonga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918A (ko
Inventor
다까부미 구보
Original Assignee
알케어캄파니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케어캄파니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케어캄파니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6702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428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61F13/024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kin contacting layer, e.g. air-vapor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61F13/025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characterized by the adhesiv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387Plasters use skin protection
    • A61F2013/00404Plasters use skin protection against blisters or bed so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 부위로부터 벗겨지지 않고, 구겨지지 않으며, 특히 욕창 예방 및/또는 치료용으로서 바람직한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의 한쪽면에 편물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지지체와, 이 필름의 편물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필름이 150 내지 1,500 %의 신장률을 가지며, 편물이 신장률 1 내지 200 %의 필라멘트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를 제공한다.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필라멘트

Description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vering Material for Application to Skin}
본 발명은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한 필름의 한쪽면에 특정한 편물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지지체와, 이 필름의 편물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는, 특히 피부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마찰 완충 및 욕창의 예방 및 치료에 적합하다.
외과적 수술이나 각종 질환 때문에 침대에 줄곧 눕게 되거나, 휠체어 등에서 장시간 정지된 상태를 강요당하게 되면, 특히 뼈가 돌출한 부위에 압력이 국소적으로 집중하게 된다. 이 때, 생체 조직 내부에 압축 응력, 전단 응력, 인장 응력 등이 가해져 욕창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특허 문헌 1에는 감압성 접착제로 한쪽 표면이 피복된, 엠보싱 가공된 탄성 필름을 포함하는 피부의 마찰 수포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얇은 필름상의 점착 붕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점착 붕대는 필름 표면의 엠보싱 가공에 의해 필름 표면의 유효 접촉 면적을 50 % 이하로 감소시켜 표면의 마찰 계수를 저하시킨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자의 검토에 따르면, 상기 점착 붕대를 욕창 예방 및/또는 치료용으로서 사용하면, 인체로부터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엠보싱 가공된 부분이 필름의 탄성에 의해 쉽게 변형되어 유효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결국 마찰력이 증대된다는 것을 알았다. 그 결과, 점착 붕대가 접착 부위로부터 벗겨지거나, 점착 붕대가 구겨져, 오히려 이로 인해 욕창이 생긴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부직포의 한쪽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부직포 표면층의 정마찰 계수가 특정한 범위에 있는 의료용 점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의료용 점착 테이프는 환부의 보호나 수술 부위의 피복ㆍ봉합ㆍ고정을 위한 수술용 드레싱 테이프나 폐쇄용 점착 드레싱 테이프로서, 외과용 보조 재료로서의 외과용 점착 테이프로서, 또한 특수 처리를 실시한 패드부를 갖는 구급 반창고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 의료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는, 목적하는 정마찰 계수를 얻기 위해 기재인 부직포의 평활화 처리가 필요하며, 평활화는 부직포를 엠보싱 가공하거나, 부직포에 무기 충전제나 안료를 도포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런데, 엠보싱 가공에 의해 부직포의 신축성이나 탄성이 저하하여 피부에 접착했을 때 피부를 추종하기 어려워 접착시에 위화감을 제공한다. 또한, 부직포에 도포된 무기 충전제나 안료는 사용 중에 서서히 탈락하기 때문에, 마찰 계수가 서서히 증대하게 된다. 그 결과, 역시 특허 문헌 1의 점착 붕대와 마찬가지로 테이프가 접착 부위로부터 벗겨지거나, 테이프가 구겨져, 오히려 욕창이 발생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점착 붕대나 의료용 점착 테이프에는 접착 부위로부터 벗겨지기 쉽고, 구겨지기 쉬워, 오히려 욕창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등의 문제 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3-17866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1-9623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 부위로부터 벗겨지지 않고, 구겨지지 않으며, 특히 욕창 예방 및/또는 치료용으로서 바람직한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진행시킨 결과, 욕창 발생의 요인으로서 생체 표면에 걸리는 마찰력에 주목하고, 이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욕창의 악화를 방지하고, 또한 욕창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상도하고, 이 착상에 기초하여 더욱 연구를 진행시켜 특정한 신장률을 갖는 필라멘트로 형성된 편물 및 특정한 신장률을 갖는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지지체의 필름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 사실에 기초하여 더욱 연구를 진행시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의 한쪽면에 편물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지지체와, 이 필름의 편물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필름이 150 내지 1,500 %의 신장률을 가지며, 편물이 신장률 1 내지 200 %의 필라멘트로 형성된 것이고, 필름 표면의 편물 피복률이 5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에 있어서, 편물을 형성하는 필라멘트가 모노필라멘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에 있어서, 편물을 형성하는 필라멘트의 평균 직경이 15 내지 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에 있어서, 편물이 20 내지 600 %의 신장률을 갖고, 편물의 기본 중량이 10 내지 100 g/m2이며, 필름 표면의 편물 피복률이 10 내지 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에 있어서, 편물의 종방향 및 횡방향의 신장률의 비가 1.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에 있어서, 필름의 두께가 5 내지 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에 있어서, 점착제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에 있어서, 점착제가 액상 성분 및/또는 친수성 물질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는, 바람직하게는 신장률이 20 내지 600 %이고, 20 % 신장시의 인장 응력이 2.0 내지 15.0 N/19 mm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는,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의 가시광 투과율을 갖는다.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는, 바람직하게는 편물측의 표면이 3.0 N/40 cm2 이하의 동마찰력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는, 욕창이 발생한 부위에 접착하여 욕창의 악화를 방지하고, 또한 욕창 발생의 우려가 있는 부위에 미리 접착하여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욕창 예방 및/또는 치료용 점착성 피복재로서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는, 슬립성이 우수한 외표면을 갖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피복재와 접촉하는 물건과의 마찰 완화가 우수하고, 접착 부위로부터 벗겨지지 않으며, 구겨지지 않기 때문에,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는, 특히 욕창 예방 및/또는 치료용으로서 바람직하며, 또한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를 구성하는 필름, 편물 및 점착제를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접착 부위를 외부로부터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욕창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유효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이하, 간단히 「점착성 피복재」라고도 함)는 필름의 한쪽면에 편물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지지체와, 이 필름의 편물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점착성 피복재에 있어서는, 필름의 한쪽에 편물이, 다른쪽에 점착제층이 적층된다. 다시 말하면, 이들 3개는, 점착제층-필름-편물의 순서로 적층될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 지지체를 구성하는 필름은 150 내지 1,500 %의 신장률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신장률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상기 필름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에 있어서, 필름이 피부의 신장성을 추종하기 어려워 접착 중에 위화감이 생기고, 또한 외부나 피부로부터의 전단 응력에 대한 완충성도 저하된다. 또한, 신장률이 상기 상한보다 크면, 사용 중에 필름에 구김이나 휘어짐이 발생하기 쉽고, 슬립성이 저하한다.
필름의 신장률은,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500 %이다.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는, 상기 신장률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에틸렌ㆍ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ㆍ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 에틸렌ㆍ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에틸렌ㆍ메타크릴산 중합체(EMAA) 등의 올레핀계 공중합체;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 불소 수지; 폴리염화비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이들 재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필름의 두께는 5 내지 40 ㎛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30 ㎛가 더욱 바람직하다. 필름이 지나치게 얇으면 점착성 피복재의 강도가 불충분하고, 사용시에 반복 마찰에 의해 찢어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필름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부피 밀도가 높아져 피부에 접착했을 때 위화감이 있고, 특히 곡면 부위로의 추종성이 불량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적층 지지체는 필름에 편물을 적층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편물이란 연속된 그물코로 구성된 천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편물은 필라멘트로 구성한 것이다.
필라멘트는 모노필라멘트일 수도 있고, 멀티필라멘트일 수도 있지만, 특히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함으로써 평활한 표면을 얻기 쉽고, 이와 접촉하는 시트 등이 필라멘트 표면에 침식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으로 구성한 편물은 양호한 슬립성을 갖는다. 또한,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면, 섬유에 의한 광의 난반사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투시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모노필라멘트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1 가닥의 필라멘트(연속된 긴 섬유)를 말하며, 멀티필라멘트란 2 가닥 이상의 필라멘트를 다발로 한 필라멘트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필라멘트는 1 내지 200 %의 신장률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신장률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이다. 신장률이 1 %보다 작으면, 필라멘트로 편물을 구성했을 때 편물 전체가 단단해지고, 이 편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점착성 피복재를 피부에 접착했을 때 위화감이 생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신장률이 200 %보다 크면, 편물과 접촉하는 이불이나 쿠션의 시트나 커버, 속옷 등의 신체 장착물(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간단히 「시트 등」이라고도 함)이 편물을 구성하는 개개의 필라멘트의 표면에 침식하기 쉬워져, 그 결과 시트 등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슬립성이 저하한다.
필라멘트는, 그 평균 직경이 15 내지 2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내지 15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직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편물 제조 공정의 관리도 번잡하고, 점착성 피복재 사용 중에 시트 등과의 마찰에 의해 편물을 구성하는 필라멘트가 끊어지기 쉽다는 우려가 있다. 또한, 평균 직경이 지나치게 크면, 적층 지지체를 구성하는 편물과 필름 사이에 단차가 생기고, 예를 들면 불규칙한 표면을 갖는 섬유 제품이 이 편물 표면에 접촉하면, 이 단차에 섬유 제품이 걸리기 쉬워지므로 슬립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단차에 의해 표면에 꺼끌한 느낌이 생겨, 그 표면에 피부가 닿았을 때 촉감이 불량해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의 신장률 및 평균 직경은, 멀티필라멘트에 대해서는 이것을 구성하는 개개의 필라멘트에 대한 수치가 아니라, 멀티필라멘트로서의 수치이다.
필라멘트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아크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레이온,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 리오셀, 아세트산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다.
이들 재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편물은, 그 종방향 신장률이 20 내지 6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6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횡방향 신장률이 20 내지 6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6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종방향이란 편물의 제조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말하며, 통상은 편물의 웰 방향에 해당된다. 한편, 횡방향이란 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말하며, 통상은 편물의 코스 방향에 해당된다.
편물의 신장률이 지나치게 작으면, 피부의 신장성을 추종하기 어려워 접착 중에 위화감이 생기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전단 응력에 대한 완충성도 저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신장률이 지나치게 크면, 편물의 지지력이 저하하여 편물의 표면과 이와 접촉하는 시트 등과의 계면에서 슬립성이 생기기 전에 편물 그물코의 구조 변형이 발생하여 쉬워지므로 슬립성이 불량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편물은 종방향 및 횡방향의 신장률의 비(양쪽의 신장률이 상이한 경우에는 작은 쪽의 신장률을 분모로 함)가 1.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종방향 및 횡방향 중 어느 한쪽의 신장률이 지나치게 크면, 편물 표면에 구김이 생기기 쉬워 슬립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편물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편물의 루프가 구조 변형함으로써 편물의 신장률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직포나 부직포와 같은 편물 이외의 포백에서는 상기 신장률의 실현이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편물의 편조직으로서는 공지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그 구체예로서, 위편으로서는 평편, 고무편, 펄편, 스무스편 등을 들 수 있으며, 경편으로서는 덴비편, 코드편, 아틀라스편, 체인편, 밀라니즈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양호한 신장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위편 조직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물의 기본 중량은 10 내지 100 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30 g/m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본 중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시트 등과의 반복 마찰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기본 중량이 지나치게 크면, 부피 밀도가 커져 피부에 접착했을 때 위화감이 있고, 특히 곡면 부위로의 추종성이 불량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특정한 범위의 신장률을 갖는 필라멘트로 형성된 편물과 상기 특정 범위의 신장률을 갖는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지지체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편물에 의해 필름이 지지되기 때문에, 점착성 피복재를 피부에 접착할 때 취급하기 쉽고, 필라멘트와 필름의 신장률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접착 중에는 필름에 변형이나 구김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편물과 필름의 적층에는 종래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열 융착이나 접착제에 의한 결합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가압 조건, 온도 조건 등을 제어함으로써 편물과 필름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필름 표면의 편물 피복률은 5 내지 80 %일 것이 필요하고, 10 내지 40 %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편물 피복률이란, 적층 지지체를 편물측 바로 위에서 보았을 때, 적층 지지체를 구성하는 필름 면적에 대한, 편물을 구성하고 있는 필라멘트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필름 면적의 백분비를 말한다. 편물 피복률이 지나치게 작으면, 편물의 강도가 떨어져 반복 마찰에 의해 필라멘트가 끊어질 가능성이 있고, 또한 시트 등과의 접촉 면적이 지나치게 적어져 편물 밑의 필름이 시트 등과의 접촉면이 되기 때문에 오히려 슬립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편물 피복률이 지나치게 크면, 시트 등과의 접촉 면적이 지나치게 많아져 슬립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편물 피복률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필름 표면의 광택을 억제하고, 점착성 피복재를 피부에 접착했을 경우, 이것이 잘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성 피복재는, 상기 적층 지지체를 구성하는 필름의 편물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것이다.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예로서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비닐 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4 내지 1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및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와 관능성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인 점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이소노닐, 아크릴산 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관능성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 말레산 모노알킬에스테르, N-알킬 모노(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산 N,N-디메틸아미노알킬 등을 들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천연 고무, 폴리이소프렌 고무, 폴리부타디엔 고무 등의 공액 디엔 중합체나 방향족 비닐 화합물-공액 디엔 블럭 공중합체 등의 각종 블럭 공중합체에 점착 부여제를 배합한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블럭 공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럭 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SEP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SEEPS), 수소 첨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HSBR), 스티렌-에틸렌/부틸렌-올레핀 결정 블럭 공중합체(SEBC), 올레핀 결정-에틸렌/부틸렌-올레핀 결정 블럭 공중합체(CEBC)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제로서는 로진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석유계 수지, 테르펜 페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비닐 에테르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에틸에테르, 폴리비닐이소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제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페닐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점착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점착제 중 고무계 점착제 및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상술한 SIS, SBS, SEPS, SEBS, SEEPS, HSBR, SEBC, CEBC 등의 각종 블럭 공중합체 외에, 우레탄계 (공)중합체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에 액상 성분을 첨가하면,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되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자극이나 힘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갖게 할 수 있다.
점착제에 첨가하는 액상 성분으로서는,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각 성분과 상용할 수 있는, 상온에서 액체 상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구체예로서는 액상 고무, 다가 알코올, 합성유, 식물유, 동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액상 고무로서는, 예를 들면 액상 이소프렌 고무(LIR), 액상 스티렌-이소프렌 고무(LSIR), 액상 에틸렌/프로필렌 고무(LEPR), 액상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고무(LSEPR), 액상 폴리이소부틸렌, 액상 폴리부텐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유로서는, 예를 들면 리놀렌산, 리놀레산, 올레산, 카프르산 등의 고급 지방산;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에틸헥실 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유동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아미노실리콘 등의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유로서는, 예를 들면 올리브유, 올리브 스쿠알란, 마카데미아 너츠유, 호호바유, 스쿠알란, 아몬드유, 낙화생유, 피마자유, 야자유, 팜유, 서플라워유, 해바라기유, 면실유, 경화 야자유, 경화 팜유, 아보가드유, 살구씨유, 포도씨유 등을 들 수 있다.
동물유로서는, 예를 들면 라놀린, 거북이유(Turtle Oil), 밀랍, 스쿠알란, 프리스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액상 성분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액상 성분 중 액상 고무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액상 이소프렌 고무(LIR), 액상 스티렌-이소프렌 고무(LSIR), 액상 에틸렌-프로필렌 고무(LEPR) 및 액상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고무(LSEPR)가 바람직하다.
특히, 점착제가 열가소성 블럭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액상 고무를 액상 성분으로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점착제층에 응집성이 부여되어 형 붕괴가 생기지 않고, 피부에 대한 양호한 유연성을 나타내게 된다.
액상 성분의 배합량은, 점착제의 전량에 대하여 4 내지 80 중량%의 범위이다. 배합량이 상기 범위 내라면, 점착제층의 형 붕괴나 콜드 플로우를 야기하지 않고 점착제에 첨가할 수 있으며, 접착시에는 양호한 유연성을 나타낸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15 내지 5,0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1,000 ㎛이다. 점착제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충분한 점착력이 얻어지고, 피부에 접착했을 때 위화감이 느끼지지 않는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점착층에 구김이나 요철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점착성 피복재의 슬립성이 저하하지 않는다.
점착제에 친수성 물질을 첨가하여, 소위 히드로콜로이드 점착제로 하면, 땀이나 창상으로부터 스며나온 액이 흡수된다. 이에 따라, 점착성 피복재를 피부에 장시간 접착한 경우, 무더움에 의한 염증이나 소양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친수성 물질이란, 물을 흡착 또는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 물질을 말한다.
친수성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펙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ㆍ나트륨(CMC-Na), 구아검, 젤라틴, 카라야검, 알긴산, 키틴, 키토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염, 전분ㆍ아크릴산 그래프트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에는 피부의 치료 또는 손상의 예방, 미용 등을 목적으로 하는 약효 성분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라마이드 등의 보습 효과가 있는 물질에는 마찰이나 각질 박리에 의해 손상을 받은 피부를 건강한 피부로 근접시키는 효과가 있는데, 그 효과가 본 발명의 점착성 피복재의 완충 작용과 어울려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또한, 혈류 촉진 효과가 높은 γ-오리자놀 등을 첨가하면, 체압에 의해 생기는 혈관의 폐색을 완화하고, 더욱 효과적인 욕창 예방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에 산화 방지제, 응집력 보강제, 점착 부여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필름과 편물의 적층체 지지체에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를 얻을 수 있다. 적층 지지체에 점착제층을 설치하는 방법도 종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박리지에 점착제를 도공하고,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그 점착제층에 적층 지지체를 접합하고, 그것을 가압 롤러에 의해 압착하여 점착제층을 적층 지지체에 전사함으로써 점착성 피복재를 얻을 수 있다.
점착성 피복재의 제품 형태로서는 시트상 또는 테이프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크기나 형상은 접착 부위에 맞추어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에 있어서, 종방향(점착성 피복재를 구성하는 편물의 종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말함)의 신장률은 20 내지 6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6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횡방향(점착성 피복재를 구성하는 편물의 횡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말함)의 신장률은 20 내지 6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6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신장률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피부 신장성을 잘 추종하고, 접착 중에 위화감이 생기지 않으며, 외부나 피부로부터의 전단 응력에 대한 완충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신장률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점착성 피복재가 접착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점착성 피복재에 변형이 생기지 않으며, 원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복원되기 때문에 슬립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에 있어서, 종방향 및 횡방향의 신장률의 비(양쪽의 신장률이 상이한 경우에는, 작은 쪽의 신장률을 분모로 함)가 1.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종방향 및 횡방향의 어느 한쪽의 신장률이 지나치게 크면, 편물 표면 또는 점착제층에 구김이 발생하기 쉬워 슬립성이 저하하거나, 접착 중에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성 피복재는 20 % 신장시의 인장 응력이 종방향으로 2.0 내지 15.0 N/19 mm, 횡방향으로 2.0 내지 15.0 N/19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종방향으로 2.0 내지 11.0 N/19 mm, 횡방향으로 2.0 내지 11.0 N/19 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0 % 신장시의 인장 응력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는 피부의 신장성을 잘 추종하고, 피부로의 접착 중에 위화감이나 물리적 자극을 주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는, 그 편물측의 표면이 3.0 N/40 cm2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N/40 cm2 이하의 동마찰력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편물측 표면의 양호한 슬립성에 의해 점착성 피복재의 마찰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성 피복재에 있어서, 투명한 필름과 투명한 점착제층을 채용할 수 있다. 이 때, 광 투과성이 우수한 점착성 피복재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착성 피복재를 접착했을 때 피부와 동일한 외관을 나타내기 때문에, 장착시의 미관이 향상되고, 또한 욕창 예방이나 상처 치료를 위해 피부의 상황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에 있어서, 필름으로서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올레핀계 공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를 사용하고, 점착제로서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스티렌계 블럭 공중합체(SIS, SBS, SEPS, SEBS, SEEPS, HSBR, SEBC 등)를 사용하여,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편물, 적층 지지체 및 점착성 피복재의 가시광 투과율을 각각 20.0 % 이상, 5.0 % 이상 및 2.5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착성 피복재를 피부에 접착했을 때의 미관이 향상됨과 동시에, 피부에 접착한 상태로 피부의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상태를 관찰할 때, 접착한 피복재를 박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욕창 등의 치유를 촉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 및 부는 중량 기준이다.
필름, 편물 및 점착성 피복재의 각 특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필라멘트 신장률]
JIS L1013(1999)에 준하여 행한다. 우선, 그물코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를 느슨히 잡아당긴 상태로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 상품명 「오토그래프 AG-I」)의 손잡이에 손잡이 간격 50 mm로 부착한다. 그 후, 필라멘트가 신장하지 않고, 똑바로 되는 정도의 하중을 가했을 때의 신도를 이완 E0(mm)으로서 읽고, 인장 속도 100 mm/min으로 인장하여 절단시의 신도 E1(mm)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필라멘트 신장률을 산출한다.
S1={(E1-E0)/(L+E0)}×100
여기서, S1은 필라멘트 신장률(%)이고, E0은 이완(mm)이고, E1은 절단시의 신도(mm)이고, L은 손잡이 간격(=50 mm)이다.
[편물 신장률]
JIS L1018(1999)에 준하여 행한다. 우선, 폭 25 mm×길이 100 mm의 시료를 느슨히 잡아당긴 상태로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 상품명 「오토그래프 AG-I」)의 손잡이에 손잡이 간격 50 mm로 부착한다. 그 후, 편물이 신장하지 않고 똑바로 되는 정도의 하중을 걸고, 인장 속도 100 mm/min으로 인장하여 절단시의 신도 E2(mm)를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신장률을 산출한다. 신장률은 종방향 및 횡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다.
S2=(E2/L)×100
여기서, S2는 편물 신장률(%)이고, E2는 절단시의 신도(mm)이고, L은 손잡이 간격(=50 mm)이다.
[편물 피복률]
적층 지지체의 편물측을 바로 위에서 본 상태를 비디오 현미경(KEYENCE사 제조)으로 50배 확대하여 촬영한다. 그 때 관찰된 화상의 그물코가 필름을 피복하고 있는 면적을 측정하고, 그 백분비를 산출한다.
[필름 신장률]
폭 25 mm×길이 100 mm의 시료를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 상품명 「오토그래프 AG-I」)의 손잡이에 손잡이 간격 50 mm로 부착한다. 그 후, 인장 속도 100 mm/min으로 인장하여 절단시의 신도 E3(mm)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신장률을 산출한다.
S3=(E3/L)×100
여기서, S3은 필름 신장률(%)이고, E3은 절단시의 신도(mm)이고, L은 손잡이 간격(=50 mm)이다.
[점착성 피복재의 신장률]
폭 19 mm×길이 약 100 mm의 시료를 제조하여 50 mm 간격의 도장을 찍는다. 이 시료를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 상품명「오토그래프 AG-I」)의 손잡이에, 손잡이 간격 내에 도장 사이가 들어가도록 부착하고, 인장 속도 200 mm/min으로 인장하여 파단시의 신도를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한다. 신도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다.
신장률(%)={(E-L)/L}×100
여기서, S는 신장률(%)이고, E는 파단시의 도장간의 길이(mm)이며, L은 도장간 간격(=50 mm)이다.
[점착성 피복재의 20 % 신장시의 인장 응력]
폭 19 mm×길이 약 100 mm의 시료를 제조하여 50 mm 간격의 도장을 찍는다. 이 시료를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 상품명「오토그래프 AG-I」)의 손 잡이에, 손잡이 간격 내에 도장 사이가 들어가도록 부착하고, 인장 속도 300 mm/min으로 인장하여 시료를 20 % 인장했을 때의 인장 응력(N/19 mm)을 측정한다. 인장 응력은 종방향 및 횡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다.
[점착성 피복재의 동마찰력]
JIS K7125(1999)에 준하여 행한다. 슬립편으로는 접촉면으로서 면 카네킨을 사용하고, 그 슬립편의 전체 질량을 100 g, 접촉 면적을 40 cm2로 한 정방형의 것을 사용한다. 슬립 속도를 300 mm/min으로 하여 동마찰력(N/40 cm2)을 측정한다. 동마찰력은 종방향 및 횡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다.
[가시광 투과율]
두께 0.13 내지 0.17 mm의 투명한 유리판 상에 25 mm×25 mm의 시험편을 얹은 측정 샘플을 제조한다. 자외 가시분광 광도계(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 상품명 「UV-1650PC」)를 사용하고, 이 샘플의 파장 550 nm에서의 광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이 값을 가시광 투과율로 한다. 측정은 편물, 적층 지지체 및 점착성 피복재의 각각의 시험편에 대하여 행한다.
[점착성 피복재의 피부 접착 평가 (1): 접착감]
점착성 피복재를 폭 25 mm×길이 50 mm로 절단하여 피험자의 하복부에 접착하고, 접착하고 나서 24 시간 후까지 피험자가 느끼는 자극 및 위화감 정도에 따라 3 단계의 기준(○: 자극이나 위화감이 거의 없음, △: 자극이나 위화감이 다소 있음, ×: 자극이나 위화감이 강함)으로 평가한다.
[점착성 피복재의 피부 접착 평가 (2): 접착 후의 상황]
접착 24 시간 경과 후의 점착성 피복재의 상황을 관찰하여, 점착성 피복재의 변형이나 구김, 벗겨짐 및 들뜸의 발생 정도에 따라 3 단계 기준(○: 발생이 거의 없음, △: 다소 발생함, ×: 현저하게 발생함)으로 평가한다.
<실시예 1>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SIS) 15 부, 액상 성분으로서의 액상이소프렌(LIR) 30 부 및 액상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고무(LSIR) 60 부 및 친수성 물질로서의 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CMC-Na) 50 부를 가압 혼련기에 넣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여 점착제 A1을 제조하였다. 이 점착제 A1을 가압 롤러로 두께 600 ㎛로 압연하고, 박리지 상에 점착제 A1층을 제조하였다.
한편, 평균 직경 52.5 ㎛, 신장률 12 %의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기본 중량 19.8 g/m2의 스무스편의 편물(종방향 신장률 60 %, 횡방향 신장률 300 %)을 두께 17.5 ㎛, 신장률 400 %의 폴리우레탄 필름에 편물 피복률이 21.1 %가 되도록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여 필름/편물 적층 지지체 S1을 얻었다.
점착제 A1층에 상기 적층 지지체 S1의 필름측을 접합시켜,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C1을 얻었다(하기 표 1).
이 점착성 피복재 C1에 대하여 신장률, 인장 응력 등 각종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아크릴산 부틸 70 부, 아크릴산 2-에틸헥실 25 부, 아크릴산 3 부 및 메타크릴산 메틸 2 부를 공중합하여 얻은 랜덤 공중합체에, 용제로서 아세트산 에틸을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 50 %의 용액을 포함하는 점착제 A2를 얻었다. 이 점착제 A2를 박리지 상에 두께 50 ㎛가 되도록 도공하고, 그 후 건조하여 박리지 상에 점착제 A2층을 제조하였다.
한편, 평균 직경 63.7 ㎛, 신장률 21 %의 폴리아미드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기본 중량 30.0 g/m2의 스무스편의 편물(종방향 신장률 70 %, 횡방향 신장률 250 %)을 두께 20.0 ㎛, 신장률 250 %의 폴리우레탄 필름에 편물 피복률이 33.1 %가 되도록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여 필름/편물 적층 지지체 S2를 얻었다.
접착제 A2층에 상기 적층 지지체 S2의 필름측을 접합시켜, 본 발명의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C2를 얻었다(표 1).
이 점착성 피복재 C2에 대하여 신장률, 인장 응력 등 각종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 있어서, 편물을 평균 직경 43.2 ㎛, 신장률 19 %의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기본 중량 15.0 g/m2의 스무스편의 편물(종방향 신장률 44 %, 횡방향 신장률 80 %)로 변경하고, 필름에 대한 편물 피복률을 19.3 %로 변경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피복재 C3을 얻었다(표 1). 이 점착성 피복재 C3에 대하여 신장률, 인장 응력 등 각종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지지체를 편물을 사용하지 않고, 필름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피복재 C4를 얻었다(표 1). 이 점착성 피복재 C4에 대하여 신장률, 인장 응력 등 각종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 편물을 평균 직경 78.9 ㎛, 신장률 32 %의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기본 중량 42.3 g/m2의 평직물(종방향 신장률 32 %, 횡방향 신장률 32 %)로 변경하고, 필름에 대한 편물(직포) 피복률을 63.1 %로 변경하며, 또한 필름을 두께 20.0 ㎛, 신장률 110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피복재 C5를 얻었다(표 1). 이 점착성 피복재 C5에 대하여 신장률, 인장 응력 등 각종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2에 있어서, 편물을 기본 중량 34.0 g/m2의 폴리에스테르 스판레이스 부직포(종방향 신장률 31 %, 횡방향 신장률 38 %)로 변경하고, 필름에 대한 부직 포 피복률을 32.3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피복재 C5를 얻었다(표 1). 이 점착성 피복재 C5에 대하여 신장률, 인장 응력 등 각종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89336021-pct00001
표 1의 주
*1: 아크릴 점착제의 단량체 조성(부)
BA: 아크릴산 부틸
2EHA: 아크릴산 2-에틸헥실
AA: 아크릴산
MMA: 메타크릴산 메틸
*2: 필라멘트의 재료
PET: 폴리에스테르
PAM: 폴리아미드
*3: 필라멘트의 형태
모노: 모노필라멘트
멀티: 멀티필라멘트
* 4: 필름의 재료
PU: 폴리우레탄
PET: 폴리에스테르
Figure 112006089336021-pct00002
표 2의 결과로부터, 이하의 사실을 알 수 있다.
편물을 사용하지 않고, 필름만을 점착성 피복재의 지지체로 한 비교예 1에서는 접착 중의 위화감 등은 적지만, 필름에 변형이나 구김이 발생하고, 점착성 피복재의 연부에 벗겨짐이나 들뜸이 발생하였다. 이것은 편물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필름의 신도가 커져 동마찰력이 커지고, 슬립성이 저하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신장률이 작은 필름과 신장률이 작은 직포를 이용하여 적층 지지체를 구성한 비교예 2에서는, 비교예 1에 비하여 동마찰력은 작지만, 접착 중에 자극이나 위화감이 심했다. 이것은 필름의 신도 및 직포의 신도가 작은 것에 기인하여 점착성 피복재의 신도가 작고, 피부의 움직임을 추종하지 못하며, 외부 자극이 그대로 접착 부위에 전달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편물 대신에 부직포를 사용하여 적층 지지체를 구성한 비교예 3에서는, 접착 중에 자극이나 위화감을 느꼈다. 이것은 부직포 표면의 보풀 등에 의해 점착성 피복재의 동마찰력이 커지고, 외부로부터의 자극이 부직포 표면에서 그다지 완충되지 않고, 접착 부위에 전달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점착성 피복재는 피부 접착 중의 감촉도 양호하고, 위화감을 느끼는 경우가 없었다. 이것은 편물 구조에 기인하여, 점착성 피복재가 큰 신장률을 나타내고, 피부의 움직임을 충분히 추종하며, 또한 동마찰력이 작은 것으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점착성 피복재와 접촉함에 따른 자극도 적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성 피복재는 필름, 점착제 및 편물을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가시광 투과율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편물로서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면,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동마찰력이 낮고, 가시광 투과율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필름의 한쪽면에 편물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지지체와, 이 필름의 편물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필름이 150 내지 1,500 %의 신장률을 가지며, 편물이 신장률 1 내지 200 %의 필라멘트로 형성된 것이고, 필름 표면의 편물 피복률이 5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2. 제1항에 있어서, 편물을 형성하는 필라멘트가 모노필라멘트인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3. 제1항에 있어서, 편물을 형성하는 필라멘트의 평균 직경이 15 내지 200 ㎛인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4. 제1항에 있어서, 편물이 20 내지 600 %의 신장률을 갖고, 편물의 기본 중량이 10 내지 100 g/m2이며, 필름 표면의 편물 피복률이 10 내지 40 %인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5. 제1항에 있어서, 편물의 종방향 및 횡방향의 신장률의 비가 1.0 내지 15.0인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6.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의 두께가 5 내지 40 ㎛인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7. 제1항에 있어서, 점착제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8. 제1항에 있어서, 점착제가 액상 성분 및/또는 친수성 물질을 함유하는 것인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9. 제1항에 있어서, 신장률이 20 내지 600 %이고, 20 % 신장시의 인장 응력이 2.0 내지 15.0 N/19 mm인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10. 제1항에 있어서, 2.5 % 이상의 가시광 투과율을 갖는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11. 제1항에 있어서, 편물측의 표면이 3.0 N/40 cm2 이하의 동마찰력을 갖는 것인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욕창 예방 및/또는 치료용인 피 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KR1020067025347A 2004-06-03 2005-05-26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KR100838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5347A KR100838428B1 (ko) 2004-06-03 2005-05-26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65257 2004-06-03
KR1020067025347A KR100838428B1 (ko) 2004-06-03 2005-05-26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918A KR20070031918A (ko) 2007-03-20
KR100838428B1 true KR100838428B1 (ko) 2008-06-16

Family

ID=4365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347A KR100838428B1 (ko) 2004-06-03 2005-05-26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150A (ko) 2019-11-18 2021-05-26 (주)트리젠 창상피복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피복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435B1 (ko) * 2010-04-14 2012-08-30 김봉조 접착성 함수 겔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130A (ja) * 1993-09-28 1995-04-04 Asahi Chem Ind Co Ltd サージカルテー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130A (ja) * 1993-09-28 1995-04-04 Asahi Chem Ind Co Ltd サージカルテー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150A (ko) 2019-11-18 2021-05-26 (주)트리젠 창상피복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피복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918A (ko) 200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2206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vering material for application to skin
US8946499B2 (en) Systems, methods and materials for delivery and debonding on demand
JP6329699B2 (ja) 貼付材及びそれに用いる貼付材用支持体
JP2022137110A (ja) 医療圧迫用接着フィルム包帯
WO2017034907A1 (en) Nasogastric tube securement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4149814B2 (ja) 医療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38428B1 (ko) 피부 접착용 점착성 피복재
JP5581534B2 (ja) 粘着剤、及び該粘着剤を用いた粘着シート、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US20230285201A1 (en) Strained skin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JP6214529B2 (ja) 皮脂吸収性貼付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810418B2 (ja) 貼付材
WO2009084611A1 (ja) かゆみ止めシート
WO2015072517A1 (ja) 貼付材
JP5581531B2 (ja) 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貼付材、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4841808B2 (ja) 裏打材付きドレッシング材
JP2005046333A (ja) 皮膚貼着用粘着テープおよびシート
AU2023230886A1 (en) Strained skin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