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893B1 -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893B1
KR102499893B1 KR1020200073480A KR20200073480A KR102499893B1 KR 102499893 B1 KR102499893 B1 KR 102499893B1 KR 1020200073480 A KR1020200073480 A KR 1020200073480A KR 20200073480 A KR20200073480 A KR 20200073480A KR 102499893 B1 KR102499893 B1 KR 102499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ethanol
inflammatory bowel
bowel disease
seco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944A (ko
Inventor
신광순
노양국
Original Assignee
파마코바이오 주식회사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마코바이오 주식회사,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파마코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3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893B1/ko
Priority to JP2022578876A priority patent/JP2023531210A/ja
Priority to US18/010,071 priority patent/US20230218701A1/en
Priority to EP21826722.7A priority patent/EP4169522A4/en
Priority to PCT/KR2021/007582 priority patent/WO2021256865A1/ko
Priority to CN202180043349.1A priority patent/CN115715196B/zh
Publication of KR20210155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백초로부터 제조한 특정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fraction of Saururus chinensi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삼백초(Saururus chinensis) 활성 분획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정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정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삼백초 분획물의 염증성 장질환 치료를 위한 의약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염증반응이 조절되지 않거나(dysregulation), 만성 염증은 류마티스 관절염, 죽상 동맥 경화증 및 천식과 같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대장염은 대장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과민성 대장염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 등을 포함한다. 염증성 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궤양성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과 크론병(Crohn's disease, CD)으로 대표된다. 세계적으로 염증성장질환의 유병률은 증가 추세이고 서구보다는 아시아 국가에서의 증가율이 더 높다. 염증성 장질환은 평생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이다.
IBD 환자의 점막 생검은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케모카인(chemokine), 및 세포간 부착 분자(ICAM-1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의 발현 증가 및 점액(mucous) 손실, 상피세포간의 tight junction 감소를 보여준다. 현재 염증성장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제로는 5-aminosalicyic acid, 부신피질호르몬제(corticosteroid), 면역조절제 (immunomodulator), 종양괴사인자 억제제(anti-tumor necrosis factor-α agent, anti TNF-α) 등이 있다. 이들은 서로 다른 작용 기전을 통해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임상지침에 따라 단계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근본적인 치료제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염증성 장질환의 최근 치료 목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은 점막치유(mucosal healing)이다. 염증성 장질환의 환자의 가장 큰 특징은 대장의 뮤신 생성이 저하되어 있다는 점이다. 점막 층의 부재로 인해 세균이 장상피세포로 직접 도달하게 되고 이것들이 심각한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Johansson, M. E. (2014) Mucus layer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flammatory bowel diseases 20, 2124-2131). 근본적인 장 기능 개선을 위해서는 점막 생성이 회복되어야 하고, 장상피세포간의 tight junction의 견고성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최근 점막 생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IBD치료와 건강한 장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염증 억제와 점액층의 정상적 회복, 장상피세포의 tight junction 견고성 회복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염증성 장질환에 효과적인 치료제는 없고, 단지 증상완화제만 처방되고 있는 실정이며, 환자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요구에 맞는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편 삼백초(三白草, Saururus chinensis)는 삼백초과 (Sauru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민간에서 전초(全草) 또는 뿌리, 잎이 다양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2213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삼백초를 이용한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약학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탁월한 삼백초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특정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삼백초 분획물의 의약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S1) 삼백초를 50-90 부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
(S2) 상기 추출 후 남은 잔사에 정제수를 가하고 70-100℃, 바람직하게는 8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100℃로 가열하는 단계,
(S3) 상기 (S2)단계의 결과물을 효소 처리하는 단계,
(S4) 추출물 중 잔사를 제거하고 여과하는 단계,
(S5) (S4)단계의 여과액에 에탄올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S6) 침전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에 유용한 삼백초 분획물(SCEP2)의 제조 방법(방법 1)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 1에 있어, 상기 효소는 삼백초에 존재하는 활성다당 성분을 분리해낼 수 있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펙티나제 (pectinase 또는 polygalacturonase), 펙틴에스테라아제 (pectinesterase), 펙틴라이아제 (pectin lyase), 아라비나제 (arabinose), 자일라네이즈(xylanase), 베타글루카나제 (beta-glucanase), 셀룰라제(cellulase)를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효소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효소는 polygalacturonase, pectin lyas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효소는 polygalacturonase 및 pectin lyase의 혼합물이다.
예를 들어, 상용효소인 Pectinex® Ultra SP-L(polygalacturonase), Pectinex® Ultra MASH(pectin lyase), Rapidase C80Max (pectinase, arabinase), Viscozyme L (beta-glucanase (endo-1,3(4)-), Xylanase, cellulase, hemicellulase, arabinase), Pectinex 5XL (pectin lyase, polygalacturonase, pectinesteras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좀더 바람직하게는 Pectinex® Ultra SP-L 및 Pectinex® Ultra MASH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효소 처리는 삼백초 중량부에 대하여 효소 0.05-5 중량부를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는 데, 상기 효소가 0.05중량부 미만이면 효소량이 너무 적어 삼백초에 존재하는 활성다당의 회수율이 감소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도한 효소 작용으로 활성다당의 효능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효소 처리시 반응시간은 6-96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12-72시간이 좀 더 바람직하다. 효소처리 시 온도 및 pH는 효소별 최적조건 하에서 처리하는 것이 가장 높은 회수율의 활성다당 성분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효소 처리 반응시간이 6시간 미만이면, 효소에 처리되는 시간이 너무 짧아 회수율이 감소하며, 96시간을 초과하면 과도한 효소처리로 인하여 활성다당의 효능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 1에 있어, 바람직하게, 상기 S5 단계는 여과액을 농축하고 농축액 보다 많은(바람직하게는, 2-8배 부피비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에 형성되는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침전물은 반응액을 정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 1에 있어, 상기 S6의 침전물을 회수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원심 분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회수된 침전물은 농축하고 동결 건조한 후에 의약품의 제조를 위한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S1) 삼백초를 50-90 부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
(S2)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단계,
(S3) 농축액을 레진 충진 컬럼에 통과시켜 레진에 흡착되는 유무에 따라 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S4) 상기 레진에 흡착된 성분 중 물과 에탄올 농도 구배에 따라 용출되는 성분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에 유용한 삼백초 분획물(SCESII-1)의 제조 방법(방법 2)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3가지 분획들은 다음과 같이 얻어질 수 있다.
1분획(SCESII-1): 20-40 부피% (바람직하게는 30%) 에탄올로 용출을 시작하고. 회수되는 용출액이 대략 1.5-2.5 (바람직하게는 2배)의 충진부피가 되면 회수를 중단하고 60-80 부피%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로 용출 용매를 변경한다. 60-80 부피% 에탄올로 용출 용매를 변경하기 전까지의 분획이다. 바람직하게, 용출액를 상온에서 단위시간당 1배의 충진부피(bed volume, BV)가 흐르는 유속으로 흘려주며 용출액을 회수한다.
2분획(SCESII-2): 60-80 부피%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로 용출하고 이를 회수한다. 용출액이 대략 1.5-2.5 (바람직하게는 2배)의 충진부피(BV)가 되면 회수를 중단하고 100% 에탄올로 용출용매를 변경한다.
3분획(SCESII-3): 100% 에탄올로 용출을 시작하고 이를 회수한다. 용출액이 대략 2.5-3.5 (바람직하게는 3배)의 충진부피(BV)가 될 때까지 회수한다.
본 발명은 또한
(S1) 삼백초를 50-90 부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
(S2)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단계,
(S3) 농축액을 레진으로 극성에 따라 분리하는 단계,
(S4) 상기 레진 분리 시 칼럼에 흡착되지 않은 성분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에 유용한 삼백초 분획물(SCESII-4)의 제조 방법(방법 3)을 제공한다.
삼백초 추출물은 항산화, 항암, 항염증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본 발명자들이 확인한 결과 통상적인 삼백초 추출물은 염증성 장질환에 거의 효과가 없었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특정 제조 방법으로 얻은 삼백초 분획물이 통상적인 삼백초 추출물과 달리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또는 개선에 놀라운 효과를 발휘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삼백초 활성 분획물이 DSS로 유도된 쥐의 대장염 치료 효과, 항염증, 뮤신생성 능력 증가, 장상피세포의 tight junction 견고성 강화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DSS로 염증성 장질환이 유도된 대장 조직의 검사를 통해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에 유용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삼백초 분획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1β, IL-6 등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삼백초는 삼백초과 (Saururaceae)에 속하는 삼백초(三白草, Saururus chinensis)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 1 내지 3에 있어, 에탄올 수용액은 60-8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 1 내지 3에 있어 에탄올 수용액은 65-75 부피% 에탄올 수용액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 2 및 3에 있어, 바람직하게, S1 단계에서 회수되는 잔사를 S1 단계의 추출조건으로 동일하게 추출하여 추출액을 회수하고, 이 추출액을 S1 단계의 추출액과 합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 2 및 3에 있어, 바람직하게 레진으로는 Styrene과 DVB(Divinyl benzene) 공중합체의 High Porous Type 합성흡착제인 (예를 들어, Amberlite XAD-2, Amberlite XAD-4, Amberlite XAD-16N, Amberlite XAD-1180N, TRILITE® GSH-20, TRILITE GSP-25 TRILITE GSP-50, TRILITE GSP-07, DIAION HP20), 비이온성 지방족 아크릴고분자의 다공성 합성흡착제(예를 들어, Amberlite XAD-7HP)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 2 및 3에 있어, 상기 레진으로는 DIAION사의 HP20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삼백초 분획물은 의약품 원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잔존하는 저급 알코올 및 유기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감압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의 통상적인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삼백초 분획물은 농축된 액상일 수도 있고, 동결건조된 분말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삼백초 분획물은 농축된 액상 형태인 연조 엑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얻어진,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얻어진,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염증성 장질환"은 장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총칭하는 용어로서, 구체적으로 소장 및/또는 대장에서 면역체계의 조절이상으로 인한 만성 재발성 염증 질환일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및 과민성 대장염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염증성 장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용 제형, 예를 들면 정제, 트로키제(troches), 로진지(lozenge), 수용성 또는 유성현탁액, 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캅셀, 시럽 또는 엘릭실제(elixirs) 등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정제 및 캅셀 등의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유당, 미결정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부형제,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포스페이트, 크로스포비돈 등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 등과 같은 활택제가 함유될 수 있다. 캅셀 제형의 경우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 주입방식에 의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 또는 예방학적으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유효한 양 이어야 한다.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제제화 방법, 환자의 상태 및 체중, 환자의 성별, 연령, 질환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 배설 속도, 반응 감응성 등과 같은 요인들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유효량은 당업자에게 인식되어 있듯이 처리의 경로, 부형제의 사용 및 다른 약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삼백초 분획물의 투여량 또는 복용량은 환자의 나이, 신체적 조건, 몸무게 등에 의해 다양화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0 내지 100 ㎎/㎏(몸무게)/1일 범위 내에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1일 유효투입량 범위 내에서 하루에 한번 또는 하루에 여러 번 나누어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식품에 포함되어 섭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에 포함되어 섭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삼백초 분획물의 약학적으로 또는 예방학적으로 필요한 유효한 양을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이 필요한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체는 인간이다.
본 발명은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유용한 삼백초 분획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삼백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약학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삼백초(Saururus chinensis) 분획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2는 삼백초 분획물 투여 후 장 염증 모델 평가 10일차의 마우스 대장 길이를 평가한 결과이다(n=8).
도 3은 삼백초 분획물 투여 후 대장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4는 삼백초 분획물 투여 후 대장 조직내 TNF-α의 평가 결과이다.
도 5는 삼백초 분획물 투여 후 대장 조직내 MPO의 평가 결과이다.
도 6은 삼백초 분획물 투여 후 장염증모델의 Peyer's patch cell에 의한 sIgA 분비능 및 관련 cytokine 유도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7은 삼백초 활성성분 분획물의 장내 점액분비세포(LS 174T, a human intestinal goblet cell line)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삼백초 분획물들의 제조
도 1과 같이 다양한 분획물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삼백초 열수추출물(SCW)의 제조
건조 분쇄한 삼백초에 20배 부피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100°C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추출포를 이용하여 잔사를 제거한 뒤 추출액을 Whatman No.2 filter paper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삼백초 열수추출물(SCW)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다양한 삼백초 유기용매 추출물(SCE, SCESII-1, SCESII-2, SCESII-3, SCESII-4)의 제조
건조 분쇄한 삼백초에 70%(v/v) 에탄올 수용액 10배 부피를 혼합하여 70°C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포로 여과한 뒤 걸러진 잔사를 같은 조건에서 한번 더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Whatman No.2 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이를 70% 에탄올 추출물 농축액 SCE라 명명하였다. SCE 추출물을 합성수지 HP20이 충진된 컬럼에 통과시켰다. 레진에 흡착되지 않는 성분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모두 회수하였고 이 성분을 SCESII-4라 명칭하였다. 다음 단계로 레진에 흡착된 성분을 정제수~30 부피% 에탄올, 30~70 부피% 에탄올, 70~100 부피% 에탄올 순서로 용출하였고, 용출용매의 극성에 따라 회수하였다. 이를 먼저 용출된 순서에 따라 SCESII-1, SCESII-2, SCESII-3이라 명칭 하였다.
실시예 3: 삼백초 조다당 SCEP1, 활성다당 SCEP2 및 저분자당 SCES 분획물의 제조
삼백초를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남은 잔사에 다시 20배 부피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효소(Pectinex® Ultra SP-L와 Pectinex® Ultra MASH의 1:1 중량비)를 첨가하고 55℃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효소 반응액을 100°C에서 30분간 불활성화하였다. 추출포를 이용하여 잔사를 제거한 뒤 추출액을 Whatman No.2 filter paper로 여과하였다. 이 여과액을 조다당 SCEP1라 명칭하였다. 이 여과액을 농축한 후 농축액의 4배 부피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정치하여 침전물을 형성시켰다. 침전액을 원심 분리하여 각각 침전물과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침전물을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삼백초 SCEP2 활성다당 분획물을 제조하였고, 상등액을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삼백초 SCES 저분자당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장염증 모델에서의 염증억제 효과 평가
삼백초 활성성분 분획물에 의한 장염증 발생 억제 및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BALB/c 마우스 모델에 덱스트란 황산나트륨(DSS, dextran sodium sulfate)을 가지고 염증성 장질환을 유도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BALB/c 마우스 8주 수컷을 100마리 구입하여, 무작위로 9그룹으로 나누었다. 마우스에 급성 대장염을 유발시키기 위하여 음용수에 DSS를 5%로 용해하여 BALB/c 마우스에 7일간 자유 급수하였으며, 정상 대조군 (NT: Not treated)은 음용수를 자유 급수 하였다. DSS 급수 1일 후, 정상 대조군 및 5% DSS를 단독 섭취한 음성대조군(NC: Negative Control)은 증류수를, 시료군은 각각의 시료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용량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9일간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그룹 식이방법
정상군 Not treated (NT) group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 및 시료 모두 투여하지 않은 군
음성대조군 Negative control (NC) group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처리 염증성장질환 유도군
실험군 삼백초 주정추출물 SCE SCE 2.0 mg/mouse +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SS)처리
실험군 삼백초 물추출물 SCW SCW 2.0 mg /mouse +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SS)처리
실험군 저분자 비극성 SCESII-1 SCESII-1 2.0mg/mouse +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SS)처리
실험군 저분자 비극성 SCESII-2 SCESII-2 2.0mg/mouse +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SS)처리
실험군 저분자 비극성 SCESII-3, SCESII-3 2.0mg/mouse +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SS)처리
실험군 저분자 극성 SCESII-4 SCESII-4 2.0mg/mouse +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SS)처리
실험군 저분자당 SCES SCES 2.0mg/mouse +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SS)처리
실험군 조다당 SCEP1 SCEP-1 2.0mg/mouse +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SS)처리
실험군 활성다당 SCEP2 SCEP-2 2.0mg/mouse (mg/kg) +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SS)처리
대장염의 유발 정도(disease activity index, DAI)는 2일 간격으로 체중 감소, 변의 묽기, 혈변 정도 및 항문의 혈액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하기 표 2에 작성된 점수를 토대로 계산하였다
계산식:
DAI=(weight loss score)+(stool consistency score)+(blood in stool score)+(blood in anus score)
Disease activity index (DAI) scoring system
Score Weight Stool consistency Blood in stool Blood in anus
0 - Normal Normal Normal
1 1-5% - trace trace
2 5-10% Loose stool Hemoccult + Hemoccult +
3 10-20% - Hemoccult ++ Hemoccult ++
4 >20% Diarrhea Gross bleeding Gross bleeding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균±SD 2일 4일 6일 8일
NT 비처리 0.2±
0.4472
0.8±
1.0954
1±
1
0.6±
0.8944
NC DSS처리 2±
0.7071
1.6±
2.0736
10.2±
1.7889
14.8±
1.3038
SCE 주정추출물 1.4±
1.1402
1±
0.7071
9.4±
2.3022
13.2±
1.7889
SCE 물추출물 1.8±
0.5477
2.4±
0.8944
9.2±
0.8944
12.8±
2.1679
SCESII-1 저분자 비극성 0±
0
2.4±
0.8944
6.6±
0.5477
8.4±
1.1402
SCESII-2 저분자 비극성 0.4±
0.5477
2.6±
0.8944
6.6±
0.8944
9.2±
2.1679
SCESII-3 저분자 비극성 1±
1
2.2±
1.6432
8.2±
3.2711
12.4±
1.5166
SCESII-4 저분자 극성 0±
0
2±
0
6±
0
9.2±
2.1679
SCES 저분자당 1±
1
1.6±
0
6.6±
1.8166
9.6±
2.0736
SCEP1 조다당 1±
1
1.2±
1.6432
6.2±
3.2711
10.4±
1.5166
SCEP 2 활성다당 2±
0
1.2±
1.0954
5.8±
1.7889
7.6±
0.5477
각각의 투여군의 DAI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정상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군 2일차부터 DAI 점수가 증가하였으나, 저분자 활성물질 분획물 SCESII-1, 활성 다당 분획분 SCEP2은 8일차에 DAI 점수가 음성대조군(NC)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대장염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다른 분획물들과 삼백초 물추출물은 효과가 거의 없었다.
DAI는 체중, 변의 상태, 혈흔 정도 등을 인자로 하여 측정하는 것이므로 DAI가 더 중요한 평가요소가 될 수 있다.
실험 10일차에 마우스를 희생하여 대장 및 소장의 길이와 비장의 무게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종합하여 나타내었다.
마우스를 희생하여 대장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5% DSS를 단독으로 섭취한 NC는 DSS를 섭취하지 않은 음성대조군보다 대장의 길이가 약 32% 감소하였으나, 저분자 활성분획물 SCESII-I, SCESII-4, 및 활성다당 분획분 SCEP2는 정상군인 NT와 비교시 거의 비슷한 길이로 회복하였다. 이는 음성대조군대비 획기적으로 대장염이 호전되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삼백초 유래 활성다당 분획분 SCEP2, 및 저분자 활성분획물 SCESII-I는 마우스 간의 대장 길이가 매우 유사하여 실험의 신뢰도가 높다고 사료되었다. 이에 반해 삼백초 물추출물, 주정추출물 등을 포함한 다른 추출물 또는 분획물 실험군들은 NC와 비슷한 대장의 길이를 보이거나 미세한 회복을 보여 효과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5% DSS 단독 섭취군(NC)은 모든 마우스에서 변의 묽기가 묽어지고, 혈변이 관찰된 반면 활성다당 분획분 SCEP2는 변의 묽기가 NC 보다 덜 묽었으며, 3마리 마우스에서는 잠혈만이 관찰되었다. 이는 삼백초 유래 활성다당이 대장염에 대한 치료효과가 뛰어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위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활성 다당 분획분 SCEP2, 및 저분자 활성분획물 SCESII-I는 DAI 점수가 5% DSS를 단독으로 섭취한 음성대조군(NC)달리 정상수준으로 회복하였으며, 대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진 것으로 보아 대장염 억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삼백초 분획물 투여 후 대장의 조직학적 변화 관찰
부검 후 조직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적출한 대장을 10% formaldehyde 용액에 고정시킨 후, 일반적인 조직처리과정을 거쳐 파라핀 포매하였다. 포매된 각 조직은 microtome(Leica, Wetzlar, Germany)으로 5.0 μm 박절한 후, alcian blue staining을 실시하고 각 박편을 canadian balsam처리하여 광학현미경(Olympus BX53 microscope (Olympus Corp., Tokyo, Japan)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덱스트란 황산나트륨을 처리한 군에서는 염증으로 인한 조직손상이 심하였고, 염증은 점막까지 이어지고 있었으며, 창자샘 전체와 상피세포의 손상이 심하게 일어났다. 그러나, 활성 다당 분획분 SCEP2, 저분자 활성분획물 SCESII-I, 및 저분자 활성분획물 SCESII-4를 투여한 군에서는 현격히 회복된 조직 소견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삼백초 분획물 투여 후 대장 조직내 MPO 및 TNF-α의 평가
대장염 유발대장조직에서 TNF-α 및 myeloperoxidase (MPO)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장 조직 샘플을 lysis buffer (Intron, Seoul, Korea)에 넣어 homogenizer (Scilogex, Rocky hill, CT, USA)를 사용하여 마쇄하였다. 이를 10,000 rpm, 4
Figure 112020062182386-pat00001
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고 TNF-α 및 MPO 함량을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 및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활성 다당 분획분 SCEP2 및 저분자 활성분획물 SCESII-I의 경우 매우 뛰어나게 주요 염증유발인자 TNF-α의 생성이 감소하였다. 뿐만 아니라 대식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MPO의 생성 억제의 경우 다당 분획분 SCEP2, 및 저분자 활성분획물 SCESII-I, 3이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장염증모델 Peyer's patch cell에 의한 sIgA 분비능 및 관련 cytokine 유도능 평가
62-1주령의 C3H/HeN 마우스를 6마리씩 그룹으로 나눈 다음, 삼백초 분획물을 20일간 총 10회(1회/2일) 경구투여 하였다. 마우스의 Peyer's patch 세포를 회수한 다음, 96 well plate에 3일간 배양하여 경구 투여로 인해 활성화된 Peyer's patch 세포가 생산해 내는 sIgA를 ELISA법으로 분석하였다. 경구투여가 종료된 마우스의 소장을 적출하고 분변(feces)을 회수하여 sIgA의 생산능은 ELIS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 slgA의 생성이 활성 다당 분획분 SCEP2, 조다당 SCEP1, 저분자 활성분획물 SCESII-I, 및 저분자 활성분획물 SCESII-4에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삼백초 활성분획물 경구투여로 인해 분변에서 유도된 SCFA 생산능의 평가
경구투여가 종료된 마우스의 맹장을 회수하고, 최종 농도가 1 g/mL이 되도록 80% methanol로 희석한 후, 0.45 μm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DB-FFAP capillary column이 장착된 gas chromatography (GC)를 통해 5 종의 단쇄지방산(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valeric acid 및 heptanoic acid)의 생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분변에서 활성다당 분획분 SCEP2, 및 저분자 활성분획물 SCESII-I은 농도의존적으로 SCFA의 생성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양성대조군인 설파살라진은 오히려 SCFA생성생이 감소하였다.
The production of short chain fatty acid in cecal extracts (Short chain fatty acid production in cecum (μM))
Sample Dose
(mg/mouse)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Valeric acid Caproic acid Heptanoic acid Total SCFA
NT - 10758 (64.2) 759 (4.5) 4200 (25.0) 761 (4.5) - 290 (1.7) 16768 (100)
NC - 5417 (63.4) 830 (9.7) 836 (9.8) 774 (9.1) 123 (1.4) 565 (6.6) 8545 (100)
PC 2 3284 (56.5) 798 (13.7) 841 (14.5) 513 (8.8) - 372 (6.4) 5808 (100)
SCESII-1 0.5 4201 (60.9) 886 (12.8) 1207 (17.5) 609 (8.8) - - 6903 (100)
1 4932 (63.5) 1001 (12.9) 1202 (15.5) 629 (8.1) - - 7764 (100)
2 5130 (62.4) 1098 (13.4) 1379 (16.8) 614 (7.5) - - 8221 (100)
SCEP-2 0.5 4846 (63.2) 797 (10.4) 790 (10.3) 595 (7.8) 144 (1.9) 500 (6.5) 7672 (100)
1 5227 (64.6) 836 (10.3) 1419 (17.5) 607 (7.5) - - 8089 (100)
2 5307 (61.1) 903 (10.4) 1858 (21.4) 621 (7.1) - - 8689 (100)
실험예 6: 삼백초 활성성분 분획물의 장내 점액분비세포(LS 174T, a human intestinal goblet cell line)에 미치는 효과
BALB/c mice를 7일간 5 % DSS 포함된 물을 제공하였고, 8일간 실험샘플을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동물을 희생 후 조직 분석을 진행하였다. 대장을 절편을 10% 포르말린 용액(formalin)으로 고정 후, 파라핀을 채웠다. 섹션은 5 μm 두께로 준비한후 alcian blue (AB) 염색약으로 염색하였다. 그리고 canada balsam으로 마운트하였다. 각 슬라이드는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40× magnification), 이미지는 MetaMorph software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활성 다당 분획분 SCEP2, 저분자 활성분획물 SCESII-I, 및 저분자 활성분획물 SCESII-4의 경우 DSS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과 비교시 Goblet 세포에서 분비되는 Mucin(alcian blue에 의해 파랗게 염색됨) 생성량이 정상군과 유사하게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Claims (15)

  1. (S1) 삼백초를 50-90 부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
    (S2) 상기 추출 후 남은 잔사에 정제수를 가하고 70-100℃,
    (S3) 상기 (S2)단계의 결과물을 효소 처리하는 단계,
    (S4) 추출물 중 잔사를 제거하고 여과하는 단계,
    (S5) (S4)단계의 여과액에 에탄올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S6) 침전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에 유용한 삼백초 분획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polygalacturonase, pectin lyas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의 에탄올 수용액은 60-8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인,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5)단계는 여과액을 농축하고 농축액 보다 많은 에탄올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에 형성되는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인,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S6)단계 후에 침전물을 농축하고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6. (S1) 삼백초를 50-90 부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
    (S2)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단계,
    (S3) 농축액을 레진 충진 컬럼에 통과시켜 레진에 흡착되는 유무에 따라 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S4) 상기 레진에 흡착된 성분 중 물과 에탄올 농도 구배에 따라 20-40부피% 에탄올 수용액 구간에서 용출되는 성분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에 유용한 삼백초 분획물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의 에탄올 수용액은 60-8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인,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은 Styrene과 DVB(Divinyl benzene)의 공중합체의 다공성 합성흡착제 또는 비이온성 지방족 아크릴고분자의 다공성 합성흡착제인,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073480A 2020-06-17 2020-06-17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99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80A KR102499893B1 (ko) 2020-06-17 2020-06-17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2578876A JP2023531210A (ja) 2020-06-17 2021-06-17 三白草分画物を含む薬学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8/010,071 US20230218701A1 (en) 2020-06-17 2021-06-17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ururus chinensis frac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21826722.7A EP4169522A4 (en) 2020-06-17 2021-06-17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URURURUS CHINENSIS FRAC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PCT/KR2021/007582 WO2021256865A1 (ko) 2020-06-17 2021-06-17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2180043349.1A CN115715196B (zh) 2020-06-17 2021-06-17 包含三白草馏分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80A KR102499893B1 (ko) 2020-06-17 2020-06-17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944A KR20210155944A (ko) 2021-12-24
KR102499893B1 true KR102499893B1 (ko) 2023-02-15

Family

ID=7917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480A KR102499893B1 (ko) 2020-06-17 2020-06-17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18701A1 (ko)
EP (1) EP4169522A4 (ko)
JP (1) JP2023531210A (ko)
KR (1) KR102499893B1 (ko)
CN (1) CN115715196B (ko)
WO (1) WO202125686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089B1 (ko) * 2002-07-20 2006-04-10 주식회사 엘컴사이언스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050076225A (ko) * 2004-01-20 2005-07-26 학교법인 인제학원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KR101116828B1 (ko) * 2009-02-07 2012-03-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 함량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퀘르세틴의 간편 신속 분리 방법
WO2011099665A1 (ko) * 2010-02-12 2011-08-18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복합 천연 방부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403999B1 (ko) * 2012-06-20 2014-06-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독성물질을 제거한 삼백초 정제물 및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482661B1 (ko) * 2013-03-06 2015-01-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백초(Saururus chinensis L.)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위염 억제용 조성물
KR101630908B1 (ko) * 2013-09-26 2016-06-1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50142213A (ko) 2014-06-11 2015-12-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백초 수용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601804A (zh) * 2015-11-06 2018-09-28 韩国科玛株式会社 用于预防和治疗炎性肠病的组合物
KR20170067055A (ko) * 2015-12-07 2017-06-1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백초의 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Th-1 매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73480A (ko) 2018-12-14 2020-06-24 허승표 온도 조절과 흔들림 완화 기능을 갖춘 유모차
CN110467687A (zh) * 2019-09-24 2019-11-19 贵州道庄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白芨多糖胶提取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15196A (zh) 2023-02-24
WO2021256865A1 (ko) 2021-12-23
JP2023531210A (ja) 2023-07-21
EP4169522A1 (en) 2023-04-26
KR20210155944A (ko) 2021-12-24
EP4169522A4 (en) 2024-02-28
US20230218701A1 (en) 2023-07-13
CN115715196B (zh) 202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3905C2 (ru) Экстракт семян fraxinus excelsior и его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применение
KR101072663B1 (ko) 천초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79219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7235B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7148414A1 (zh) 褐藻多糖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5622222B2 (ja) 血脂降下組成物及びその使用
AU2013210416A1 (en) Desrhamnosyl acteoside-containing olive extract
EP2704710B1 (en) A composition for treating autoimmune disorders and methods thereof
KR102499893B1 (ko)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091265A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4133286A1 (ko) 한인진 및 울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994352B (zh) 苍耳子总苷提取物用于制备抗炎性反应产品的用途
WO2022124803A1 (ko)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19410B1 (ko) 회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193558B1 (ko) 다시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학조성물
KR20040080640A (ko) 항통풍활성을 갖는 개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787082B1 (ko) 유효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31719B1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779026B1 (ko)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구골 추출물
KR20190048431A (ko) 백수오 조다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장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142672A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093731B1 (ko) 맥문동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620160B1 (ko) 백출 속 및 탱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87247B1 (ko) 크립토탄시논을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조성물
RU2575585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аутоиммун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и способы, связанные с н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