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828B1 - 고 함량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퀘르세틴의 간편 신속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고 함량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퀘르세틴의 간편 신속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828B1
KR101116828B1 KR1020090009988A KR20090009988A KR101116828B1 KR 101116828 B1 KR101116828 B1 KR 101116828B1 KR 1020090009988 A KR1020090009988 A KR 1020090009988A KR 20090009988 A KR20090009988 A KR 20090009988A KR 101116828 B1 KR101116828 B1 KR 101116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rcetin
enzyme
flavonoid compound
act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737A (ko
Inventor
정신교
권선영
김숙경
정호철
황인욱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9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82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7/00Preparation of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with only O, N, S, Se or Te as ring hetero atoms
    • C12P17/02Oxygen as only ring hetero atoms
    • C12P17/06Oxygen as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a six-membered hetero ring, e.g. fluoresc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2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311/2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04Cellulase (3.2.1.4), i.e. endo-1,4-beta-glucan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06Endo-1,3(4)-beta-glucanase (3.2.1.6)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08Endo-1,4-beta-xylanase (3.2.1.8)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는 삼백초에 당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글라이콘 형태의 비활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아글라이콘 형태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로 전환시킴으로서 활성현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된 삼백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당분해 효소는 셀룰라아제, 베타글루카네제 및 자일라제를 포함하는 비스코자임(viscozyme)을 이용하고, 농도 0.25ml/g, 효소처리 온도 35℃, 효소처리 시간 12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퀘르세틴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상기 제1항에 의해 제조된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ODS(Octadecylsilane)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퀘르세틴을 신속하게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단기에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퀘르세틴 함량이 높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고, 제조된 물질은 라디칼 생성 억제를 함으로서 다양한 질환의 예방제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삼백초, 플라보노이드, 퀘르세틴, 효소, 분리

Description

고 함량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퀘르세틴의 간편 신속 분리 방법{Method for preparing high bioactive flavonoid compound and method for rapid isolating quercetin therefrom}
본 발명은 효소처리에 의한 활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삼백초 조성물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당 분해 효소를 삼백초에 첨가하여 글라이콘 형태의 비활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아글라이콘 형태의 활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로 전환시킴으로써 활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된 삼백초 조성물을 제조하는 동시에, 이에 의한 삼백초 조성물로부터 퀘르세틴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삼백초에 함유된 주요 성분은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퀘르세틴(quercetin), 퀘르세트린(quercetrin)이다. 천연물질로부터 기능성 성분의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최 등 : Choi et al., Korean J. Crop Sci. 51, 209-214 (2006)), 항산화물질인 flavonoid 성분을 탐색하고, 항산화력을 비교, 분석하여 관련 기초산업에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김 등 : Kim et al., J. Medicianl Crop Sci. 16(4), 231-237 (2008))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의 50-80%가 배당체의 형태를 차지하며 글라이콘(배당체)을 구성하는 당으로는 포도당(glucose), 아라비노스(arabinose), 갈락토스(galactose), 자일리톨(xylose)등이 있으며, 대부분 활성물질과 알파1,4(α-1,4) 나 베타(β-1,4) 결합을 하고 있다. (안 등 : Ahn et al., Kor. J. Microbiol. Biotechnol. 33(4), 288-294 (2005)) 배당체 형태의 비활성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를 분해할 수 있는 효소나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비배당체로 분해되지 못하여 흡수율이 떨어져 대부분 체외로 배설된다.(William, M. et al., J. A gric. Food Chem. 50, 5197-5201, (1999)) 따라서 최근에는 글라이콘(glycoside) 형태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를 아글라이콘(aglycone) 형태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로 전환시켜 이 함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세포벽 구성 성분의 가수분해를 통한 유효 생리활성 성분의 추출성을 증대시키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Manach, C et al., FEBS Lett. 426, 331-336, (1998) and Francisco, R. T.et al., J. Agric. Food. Chem. 49, 5207-5209, (2001))
와인을 만들고 남은 포도박에 pectinase 효소를 처리시 세포벽의 파괴로 인한 추출 수율 및 총페놀함량이 증가하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으며,(Anne S. Meyer et al., J. A gric. Food Chem. 46, 2439-2446, (1998)) 로즈마리 및 세이지에 효소처리시 폴리페놀 물질이 20%이상 증가된 상태로 추출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 되어 있다.(Z. G. Weinberg et al., J. Agric. Food. Chem. 47, 2959-2962, (1999))
종래 공지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7-0016127호에는 삼백초 추출물에서 분리된 사우세르네올 B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 알러지 및 천식 질환의 예방 및 개선 용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삼백초 뿌리에서 추출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성분인 사우세르네올 B(saucerneol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내용이다. 그리고, 상기 공개특허에 따르면 효소처리 조건에 따른 삼백초의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최적화에 관한 내용이 없으며, 퀘르세틴의 유용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된 바 없다.
이에 삼백초 효소첨가에 따른 세포벽 분해에 따른 폴리페놀 수율증대 및 배당체 폴리페놀의 무배당체인 퀘르세틴(quercetin)으로의 함량증대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증대된다.
종래 공지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3-0057950호에는 항균 및 항암 활성이 있는 한국산 도꼬마리 추출물의 분리 정제방법 및 그것의 용도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한국산 도꼬마리 추출물의 분리정제방법 및 그것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한국산 도꼬마리에서 생리활성물질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분리?정제하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 내용이다. 그리고, 상기 공개특허에 따르면 효소처리 조건에 따른 삼백초의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최적화에 관한 내용이 없으며, 퀘르세틴의 유용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된 바 없다. 또한, 종래 공지된 쿼세틴이나 플라보노이드의 분리 방법은 여러 과정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를 사용하고, 주로 마지막 단계에서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에 삼백초에 효소를 처리하여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성분중 유용성분으로서 의 가치가 가장 높은 퀘르세틴의 함량을 증가시킨 조성물을 제조하여, 용매 및 칼럼을 장착한 MPLC (Moderate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Yamazen 540, Japan)를 이용하여 간편, 신속하게 퀘르세틴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특허출원 제2007-0016127호 “삼백초 추출물에서 분리된 사우세르네올 B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 알러지 및 천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문헌2] 한국 특허출원 제2003-0057950호 “항균 및 항암 활성이 있는 한국산 도꼬마리 추출물의 분리정제 방법 및 그것의 용도 ”
본 발명은 삼백초를 이용하여 효소처리에 따른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단기에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퀘르세틴 함량이 높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삼백초를 이용하여 효소처리에 따른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조성물을 제조하여 용매 및 칼럼을 장착한 MPLC (Moderate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Yamazen 540, Japan)을 이용하여 단기에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퀘르세틴 함량이 높은 조성물 신속 간편하게 분리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는 삼백초에 당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글라이콘 형태의 비활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아글라이콘 형태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로 전환시킴으로서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된 삼백초 조성물을 제조하며, 상기 당분해 효소는 셀룰라아제, 베타글루카네제 및 자일라제를 포함하는 비스코자임(viscozyme)을 이용하고, 당분해 효소는 농도 0.25ml/g, 효소처리 온도 35℃, 효소처리 시간 12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퀘르세틴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제1항에 의해 제조된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ODS(Octadecylsilane)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퀘르세틴을 신속하게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기에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퀘르세틴 함량이 높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고, 제조된 물질은 라디칼 생성 억제를 함으로서 다양한 질환의 예방제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삼백초 내에 존재하는 활성형 플라보노이드를 분석한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스펙트럼, 도 1b는 삼백초를 비스코자임(Viscozyme, Novozymes Co. Denmark)를 처리하여 삼백초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배당체로부터 전환된 퀘르세틴 유용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삼백초 효소조성물을 분석한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스펙트럼이다.(여기서, 피크 1, 2, 3은 각각, 루틴(rutin), 퀘세트린(quercitrin), 퀘르세틴(quercetin)의 피크이다.)
도 2는 효소의 처리조건에 따른 퀘르세틴 함량의 등도선 지도 및 반응표면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3은 효소 농도와 추출 온도에 따른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에 있는 퀘르세틴 함량,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DPPH, FRAP), 환원당의 함량의 등고선법 지도(contour map)를 이중인화법(superimposing)에 근거하여 최적 추출조건 범 위를 예측한 그림이다.(A: 퀘르세틴 함량, B: 총 페놀함량, C: 항산화 활성(DPPH), D: 항산화활성(FRAP), E: 환원당 함량)
도 4는 삼백초 효소처리 조성물에서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조성물 및 퀘르세틴 추출방법 도식도이다. 삼백초 지상부 분말 10g에 효소처리를 하여 제조한 삼백초 효소조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와 용매분획을 통해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서, 백초로부터 생리활성이 우수한 퀘르세틴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자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이 때 중심합성계획에 의해 효소 농도와 추출 온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추출물의 기능 성분 및 특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반응표면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삼백초로부터 퀘르세틴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효소처리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삼백초의 지상부에 존재하는 생리활성이 우수한 퀘르세틴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자 효소를 이용하여 최적 추출 조건에서 추출물을 제조한 후 용매 및 칼럼을 장착한 MPLC (Moderate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Yamazen 540, Japan)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분리, 정제하였으며, 분리한 물질을 동정하였다.
또,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효소처리에 따른 삼백초 지상부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조성물의 변화 및 퀘르세틴 함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고압액체 크로마토 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효소처리에 의해서 유용성분인 퀘르세틴(quercetin)의 함유율이 높아지는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조성물이 형성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의 단계 S10)
사용된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 Shimadzu LC-10A system
칼럼 : ODS column (Thermo Hypersil Gold, i.d.; 5μM, 250×4.6 mm)
유속 : 1 mL/min
검출 : UV 290nm
시료주입량 :20μL
사용용매(이동상) : 2% 아세트산(acetic acid)과 50% 아세트나이트릴(acetonitrol)을 두 용매를 이용해 단계별(gradient) 조건으로 분석
그리고 대부분의 효소분해 실험에서 기본적인 공적인자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pH, 추출온도, 효소농도 및 추출시간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예비설정실험을 통하여 조건을 결정하고, 추출효율이 우수한 효소 농도, 추출 온도의 범위를 바탕으로 실험계획을 실시하였다. 예비실험한 결과 pH 4.2, 처리시간 12시간, 효소처리시간이 45℃, 효소량 0.25mL/g(300unit)로 처리하였을 때 퀘르세틴 함량이 높은 삼백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도 1). 이에 효소량 0.25mL/g 및 효소온도를 45℃ 기준으로 중심합성계획을 설계하였다.
또, 본 발명의 다음 단계로서, 효소처리에 따른 삼백초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및 유용성분 퀘르세틴(quercetin)의 함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삼백초의 퀘르세틴의 최적 추출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중심합성계획을 실시하였으며 본 실험에서 공정변수인 효소 농도와 추출온도에 따른 삼백초 추출물의 quercetin 함량, 총 페놀함량, 항산화성(DPPH, FRAP) 및 환원당 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퀘르세틴 기능성 성분 함량의 추출 조건에 따른 변화는 도 2에 반응표면곡선으로 나타내었다.
[표 1] 효소 농도와 추출온도에 따른 삼백초 추출물의 퀘르세틴(quercetin) 함량, 총 페놀함량, 항산화성(DPPH, FRAP), 환원당 함량 측정
Figure 112009007639345-pat00001
또, 본 발명의 다음 단계로서, 효소처리에 따른 삼백초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조성물의 최적 추출조건 예측 및 실증을 수행하였다.
효소 농도와 추출 온도를 추출 조건으로 하여 이로부터 추출 조건의 최적화 를 위한 추출물의 특성인 퀘르세틴 함량,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DPPH, FRAP), 환원당의 함량의 등고선법 지도(contour map)를 이중인화법(superimposing)에 근거하여 도 3과 같이 최적 추출조건 범위를 예측하였다. 이 때, 반응표면이 중복된 부분의 범위는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효소농도 0.24-0.33mL/g, 추출 온도 32.5-38℃로 나타냈다.
위에서 얻은 최적 추출조건에 대한 예측 값과 동일 조건에서 실측치와 추출 성분 특성을 확인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예측된 최적 추출 조건에서 얻어진 실측치 퀘르세틴 함량 등은 예측된 값과 오차를 고려하여 거의 유사한 값을 나타내어 도출된 회귀식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에 삼백초 효소처리에 의한 활성형 플라보노이드의 최적 처리조건은 효소 농도 0.25mL/g(300unit), 효소처리 온도 35℃와 효소처리 시간 12시간으로 설정되었다.
[표 2] 효소처리 삼백초 자상부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함유 조성물의 등고선법 지도(contour map)에 근거한 이중인화법(superimposing)로부터 예측도출된 최적 추출조건 범위
Figure 112009007639345-pat00002
[표 3] 예측도출된 최적 추출조건 범위의 실증
Figure 112009007639345-pat00003
도 5a는 삼백초 효소처리 조성물을 실리카겔 칼럼에서 획분한 후 포함된 플라보노이드 물질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확인환 실험결과이고, 도 5b는 삼백초 효소처리 조성물을 오디에스 칼럼에서 획분한 후 포함된 플라보노이드 물질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확인환 실험결과이다. 도 6은 액체질량분석기에 의한 분리된 플라보노이드 퀘르세틴 물질 확인도이다. 도 7은 수소핵자기공명법의 의한 분리된 플라보노이드 퀘르세틴 물질 확인도이다. 도 8은 단일물질로 분리된 퀘르세틴의 DPPH법(radical 소거 활성 측정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다른 물질과 비교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효소처리에 따른 삼백초 내 퀘르세틴(quercetin)의 추출 과정을 거친다.(도 4의 단계 S10)
건조한 삼백초 10g에 아세트산 완충액(acetate buffer : pH 4)를 가하여 효소처리 하였다. 이때 효소처리를 위한 변수로서 최적화 추출 조건인 효소 농도 0.25mL/g, 효소처리 온도 35℃와 효소처리 시간을 12시간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실험하였다. 효소 불활성화와 추출물을 얻기 위해 에탄올을 첨가하여 80℃에서 12 시간 가열하여 조추출물을 얻었다. 에탄올 조추출물은 에틸아세테이트와 물 층으로 용매 분획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 획분을 농축하여 시험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또, 본 발명의 다음 단계(S20)로서, 중심합성으로부터 얻어진 효소 반응 최적 조건을 바탕으로 삼백초의 퀘르세틴을 분리하기 위하여 에탄올 조추출물을 대량으로 얻었다. 비극성 용매와 극성이 높은 용매인 에틸아세테이트와 물 층을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그 중 에틸아세테이트 획분을 실리카겔 칼럼(silica gel column)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MPLC(Moderate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Yamazen 540)를 이용하여 에틸아세테이트 획분을 충진한 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혼합용매에서 메탄올 비율 98% 클로로포름에서 100% 메탄올 비율로 순차적으로 높여가며 칼럼 분획을 실시하여 98% 클로로포름에서 퀘르세틴을 함유한 분획물 0.2g을 얻었으며 이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퀘르세틴을 확인하였다.
또, 본 발명의 다음 단계(S30)로서, 실리카겔칼럼(Silica gel column)에서 얻은 획분을 더욱 정제하기 위해 오디에스 칼럼 분획(Octadecylsilane column chromatography)을 실시하였다. 오디에스 칼럼에 메탄올농도를 20%에서 100%까지 20%씩 증가시키는 단계별 용출법에 의해 용출시켰다. 80% 메탄올에서 화합물에서 퀘르세틴 10mg을 얻었다. 획득한 플라보노이드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퀘르세틴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분리 퀘르세틴의 단일물질을 2가지 방식으로 확인하였다. 첫째로 액체 질량분석기(LC-MS)를 이용한 확인에 있어서, 액체 질량분석기(LC-MS)로 분리된 플라보노이드를 분석한 결과 [M-H] m/z 301로 퀘르세틴의 분자량과 일치하였으 며, 이 플라보노이드는 C15H10O7의 분자식을 가지며 분자량이 302인 퀘르세틴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둘째로, 핵자기공명법(NMR)을 이용한 확인에 있어서, 수소 핵자기공명법(1H-NMR)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단리된 항산화활성 물질은 퀘르세틴으로 확인되었다.
전체적인 작용에 있어서, 건조한 삼백초 10g에 효소 최적화 추출 조건인 효소 농도 0.25mL/g(300unit), 효소처리 온도 35℃와 효소처리 시간을 12시간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최적 효소처리 조건으로 추출한 삼백초 조성물로부터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효소 처리한 삼백초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획분을 실리카 겔 및 오디에스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더욱더 분리, 정제된 효소처리 삼백초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최적 효소처리 조건으로 추출한 삼백초 조성물로부터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분리한 퀘르세틴 화합물을 분석용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액체 질량분석기, 수소핵자기공명법(1H-NMR)을 행하여 퀘르세틴을 동정하였다. 삼백초 조성물 중 퀘르세틴(quercetin)의 함량은 100g당 100mg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활성형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삼백초 조성물중에서 퀘르세틴을 MPLC(Moderate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신속 간편하게 분리하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또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알아본 결과, 효소 처리한 삼백초 조성물에서 얻은 획분(퀘르세틴)은 갈릭산(gallic acid), 트롤록스(trolox)와 비교해 훨씬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효소 처리한 삼백초 조성물을 통해 퀘르세틴 함량을 증대 시킨 후, 퀘르세틴을 분리하여 항산화 활성 등의 기능자원으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 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a는 삼백초 내에 존재하는 활성형 플라보노이드를 분석한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스펙트럼,
도 1b는 퀘르세틴 유용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삼백초 효소조성물을 분석한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스펙트럼,
도 2는 효소의 처리조건에 따른 퀘르세틴 함량의 등도선 지도 및 반응표면을 나타낸 도표,
도 3은 효소 농도와 추출 온도에 따른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에 있는 퀘르세틴 함량,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DPPH, FRAP), 환원당의 함량의 등고선법 지도(contour map)를 이중인화법(superimposing)에 근거하여 최적 추출조건 범위를 예측한 그림,
도 4는 삼백초 효소처리 조성물에서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조성물 및 퀘르세틴 추출방법 도식도,
도 5a는 삼백초 효소처리 조성물을 실리카겔 칼럼에서 획분한후 포함된 플라보노이드 물질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확인한 실험결과 사진이고,
도 5b는 삼백초 효소처리 조성물을 오디에스 칼럼에서 획분한 후 포함된 플라보노이드 물질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확인한 실험결과,
도 6은 액체질량분석기에 의한 분리된 플라보노이드 퀘르세틴 물질 확인도,
도 7은 수소핵자기공명법의 의한 분리된 플라보노이드 퀘르세틴 물질 확인도,
도 8은 단일물질로 분리된 퀘르세틴의 DPPH법(α, α’-diphenyl-β-picrylhydrazyl)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표준 항산화 물질과 비교한 그림이다.

Claims (5)

  1. 삼백초에 당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글리아콘 형태의 비활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아글라이콘 형태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로 전환시킴으로서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된 삼백초 조성물을 제조하며,
    상기 당분해 효소는 셀룰라아제, 베타글루카네제 및 자일라제를 포함하는 비스코자임(viscozyme)을 이용하고,
    상기 첨가되는 당분해 효소는 농도 0.25ml/g, 효소처리 온도 35℃, 효소처리 시간 12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함량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퀘르세틴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함량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5. 상기 제1항에 의해 제조된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ODS(Octadecylsilane)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퀘르세틴을 신속하게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함량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로부터 퀘르세틴의 간편 신속 분리 방법.
KR1020090009988A 2009-02-07 2009-02-07 고 함량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퀘르세틴의 간편 신속 분리 방법 KR101116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88A KR101116828B1 (ko) 2009-02-07 2009-02-07 고 함량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퀘르세틴의 간편 신속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88A KR101116828B1 (ko) 2009-02-07 2009-02-07 고 함량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퀘르세틴의 간편 신속 분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737A KR20100090737A (ko) 2010-08-17
KR101116828B1 true KR101116828B1 (ko) 2012-03-13

Family

ID=4275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988A KR101116828B1 (ko) 2009-02-07 2009-02-07 고 함량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퀘르세틴의 간편 신속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8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893B1 (ko) * 2020-06-17 2023-02-15 파마코바이오 주식회사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7682A (en) 1995-06-07 1998-10-27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Two-step conversion of vegetable protein isoflavone conjugates to aglucones
US20030147980A1 (en) * 2000-01-11 2003-08-07 Wallace Robert Gerard Extraction of flavonoids
US20040071685A1 (en) 2002-10-09 2004-04-15 Devin Houst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plant polyphenols
KR20050076225A (ko) * 2004-01-20 2005-07-26 학교법인 인제학원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7682A (en) 1995-06-07 1998-10-27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Two-step conversion of vegetable protein isoflavone conjugates to aglucones
US20030147980A1 (en) * 2000-01-11 2003-08-07 Wallace Robert Gerard Extraction of flavonoids
US20040071685A1 (en) 2002-10-09 2004-04-15 Devin Houst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plant polyphenols
KR20050076225A (ko) * 2004-01-20 2005-07-26 학교법인 인제학원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737A (ko) 2010-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i et a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jor flavonoids and caffeoylquinic acids in three Compositae plants by LC/DAD-APCI/MS
Dalisay et al. Dirigent protein-mediated lignan and cyanogenic glucoside formation in flax seed: integrated omics and MALDI mass spectrometry imaging
Lanzotti The analysis of onion and garlic
de Oliveira et al. Flavonoids from leaves of Mauritia flexuosa
Sheliya et al. Inhibition of α-glucosidase by new prenylated flavonoids from Euphorbia hirta L. herb
Lin et al. Chromatographic profiles and identification of new phenolic components of Ginkgo biloba leaves and selected products
Gao et al. Kaempferol acetylated glycosides from the seed cake of Camellia oleifera
Boulekbache‐Makhlouf et al. Qualitative and semi‐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s in Eucalyptus globulus leave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diode array detection and electrospray ionisation mass spectrometry
de Aguiar et al. Sequential high-pressure extraction to obtain capsinoids and phenolic compounds from biquinho pepper (Capsicum chinense)
KR101438543B1 (ko) 항염증, 항노화 기능성 옥시레스베라트롤, 트란스-레스베라트롤 및 모라신이 함유된 뽕나무 가지추출물의 제조방법
Rauha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polyphenolic composition of purple loosestrife (Lythrum salicaria)
Costa et al. Isolation of C-glycosylflavonoids with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from Passiflora bogotensis Benth by gradient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Oliveira et al. Metabolite profiling of the leaves of the Brazilian folk medicine Sideroxylon obtusifolium
Li et al. Chemical profiles and screening of potential α-glucosidase inhibitors from Sichuan pepper using ultra-filtration combined with UHPLC-Q-TOF
Keefover-Ring et al. Phenylpropanoid glycosides of Mimulus guttatus (yellow monkeyflower)
Deng et al. Antidepressant effects of noni fruit and its active principals
Kashchenko et al. Acylated flavonoids from Spiraea genus as inhibitors of α-amylase
JP2002267655A (ja) ニシキギ科サラキア属の植物および/またはそれからの抽出物の品質判定方法
Lekar et al. Extraction of bioflavonoid mixture from onion husk by subcritical water
Chen et al. Profiling and elucidation of the phenolic compounds in the aerial parts of Gynura bicolor and G. divaricata collected from different Chinese origins
Cateni et al. Lipid metabolites with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om Euphorbia helioscopia L.
Baiocchi et al. 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Desmodium adscendens constituent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diode array ultraviolet-electrospray ionization multistage mass spectrometry
KR101116828B1 (ko) 고 함량의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퀘르세틴의 간편 신속 분리 방법
JP2006265250A (ja) ルテオリン6−c−グルコシドの製造方法
EP4349845A1 (en) Novel isoflavone comp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