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908B1 -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908B1
KR101630908B1 KR1020130114345A KR20130114345A KR101630908B1 KR 101630908 B1 KR101630908 B1 KR 101630908B1 KR 1020130114345 A KR1020130114345 A KR 1020130114345A KR 20130114345 A KR20130114345 A KR 20130114345A KR 101630908 B1 KR101630908 B1 KR 101630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ibition
dendritic cells
saucerneol
present
mat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364A (ko
Inventor
한상배
황방연
김영수
홍진태
유화선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14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9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61K31/36Compounds containing methylenedioxyphenyl groups, e.g. sesa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과민반응에 의해 야기되는 자가면역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삼백초 유래의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은 수지상세포의 성숙화에 따른 산화질소 생성 억제; 표면 분자 발현 억제; 내포 작용 억제;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수지상세포 이동 억제; 성숙 과정 중 활성화되는 신호전달 물질 발현 억제; 및 T세포 활성화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궁극적으로 수지상세포의 성숙화 억제를 통한 면역반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에 따라 자가면역질환과 같은 면역과민반응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면역 억제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comprising saucerneol D}
본 발명은 면역과민반응에 의해 야기되는 자가면역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 DC)는 강력한 항원제시세포로서 후천성 면역반응을 유도하고 조절한다. 림프기관, 피부, 소화기 등의 대부분 조직 속에서 미성숙한 형태로 존재하며 효율적으로 항원을 포획하여 표지한다.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나 염증유도 사이토카인 등의 자극을 받으면 가까운 림프 조직의 T 세포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성숙화된다. 성숙 수지상세포는 항원 포획 능력이 감소하는 반면 항원 제시 능력이 증가되어 다양한 부착/공동 자극 분자 (CD40, CD80, CD86)의 발현이 증가된다. 성숙 수지상세포는 세포 표면의 MHCⅠ와 MHCⅡ 분자와 결합한 항원 펩티드를 T 세포에 제시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증가된 부착/공동 자극 분자를 통해 T 세포의 CD154, CD28 분자와 결합하여 T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또한 수지상세포는 성숙화되면 인터루킨-12나 인터페론-γ와 같은 싸이토카인을 분비한다.
면역세포가 일으킬 수 있는 반응은 면역관용과 면역반응 두 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수지상세포는 이 두 가지 반응 모두를 매개할 수 있다. 수지상 세포의 이런 상반되는 기능은 수지상세포가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에 관련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실제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위적으로 수지상세포를 성숙시키면 T 림프구의 활성이 촉진되어 자가면역질환이 유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건선(psoriasis), 류마티스 관절염(rhematoid arthritis), 전신홍반성 루프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그리고 당뇨병(diabetes) 같은 자가면역질환이 수지상 세포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 여러 논문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한편, 삼백초 (Saururus chinensis)는 제주도와 지리산 일부지역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습기가 많은 계곡의 바람이 잘 통하고 공중습도가 높은 곳에서 자라며 독특한 냄새를 가지고 있다. 키는 50~100㎝로, 잎은 길이 5~15㎝, 폭은 0.3~0.8㎝로 긴 타원형이며 어긋나게 난다. 잎 표면은 연한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백색이며 꽃이 필 무렵에는 윗부분의 잎 2~3개가 백색으로 변한다. 뿌리줄기는 굵고 가로로 기며, 잎은 심장 모양이나 달걀꼴 심장 모양이다. 여러 개의 이삭 모양인 흰꽃이 5~8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경에 꽃망울에 한 개씩이 둥글게 달린다. 꽃을 포함한 잎과 줄기 뿌리는 약재로 쓰인다.
삼백초의 성분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플라보노이드류(flavonoids), 알칼로이드류(alkaloids), 아미노산류(amino acids), 지방산류(fatty acids), 퀴논류(quinone) 및 정유 성분에 대해 진행되어 왔다. 전초의 주성분은 메틸-n-노닐 케톤(methyl n-nonyl ketone)이고, 줄기에는 가수분해성 탄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잎에는 퀘르세틴(quercetin), 이소퀘르세트린(isoquercetrin), 아비큘라린(avicularin), 하이페린(hyperin), 루틴(rutin) 및 가수분해성 탄닌이 함유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
한편, 북미대륙의 습지에 널리 분포하는 동속 식물인 미국 삼백초(Saururus cernuus)의 추출물에 세스퀴테르펜 (sesquiterpene)계 화합물이 존재하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라오 등(Rao et al., Tetrahedron Lett. 24(45): 4947-4950, 1983)은 미국 삼백초의 추출물로부터 SC-8, SC-9, 마나산틴 A, 마나산틴 B 및 소서네올이라는 화합물들을 분리하여 이들의 구조를 규명하였고, 이중 마나산틴 A가 신경중추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에서도 다이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퀘르세틴을 분리·동정하여 약리작용 및 항균작용을 확인하였다(곽재욱,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또한, 최근에는 삼백초의 항암활성(한국등록특허 제10-0248942호) 및 항염증활성(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75135호)에 대한 특허가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삼백초로부터 유래된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의 수지상세포의 성숙화를 억제하는 기작을 통한 면역과민반응에 의해 야기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관해서는 연구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의 기능성 약제학적 소재를 연구하던 중, 삼백초부터 분리된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이 수지상세포의 성숙화에 따른 산화질소 생성 억제, 표면 분자 발현 억제, 내포 작용 억제,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수지상세포 이동 억제, 성숙 과정 중 활성화되는 신호전달 물질 발현 억제 및 T세포 활성화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기작을 통해 면역과민반응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633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24894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53027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삼백초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조성물에 1μM 내지 100μ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수지상세포의 성숙화를 억제하는 기작을 통해 면역억제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지상세포의 성숙화 억제 기작은 수지상세포의 성숙화에 따른 산화질소 생성 억제, 표면 분자 발현 억제, 내포 작용 억제,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수지상세포 이동 억제, 성숙 과정 중 활성화되는 신호전달 물질 발현 억제 및 T세포 활성화 억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질환은 다발성 경화증(MS, multiple sclerosis), 건선,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 제 I 형 당뇨병(diabetes mellitus), 염증성 장질환 및 전신성 루프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떡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주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삼백초 유래의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은 수지상세포의 성숙화에 따른 산화질소 생성 억제; 표면 분자 발현 억제; 내포 작용 억제;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수지상세포 이동 억제; 성숙 과정 중 활성화되는 신호전달 물질 발현 억제; 및 T세포 활성화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궁극적으로 수지상세포의 성숙화 억제를 통한 면역반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에 따라 자가면역질환과 같은 면역과민반응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면역 억제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의 처리에 의해서 유도되는 수지상세포의 nitric oxide(NO) 생성에 대한 사우서네올 D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의 처리에 의해서 유도되는 수지상세포의 표면 분자의 발현에 대한 사우서네올 D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의 처리에 의해서 유도되는 수지상세포의 내포 작용에 대한 사우서네올 D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의 처리에 의해서 유도되는 수지상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에 대한 사우서네올 D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의 처리에 의해서 유도되는 수지상세포의 이동에 대한 사우서네올 D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의 처리에 의해서 유도되는 수지상세포의 신호전달계에 대한 사우서네올 D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의 처리에 의해서 유도되는 수지상세포의 T 세포 활성화에 대한 사우서네올 D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삼백초 지상부로부터 사우서네올 D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9는 사우서네올 D의 HPLC-DAD 크로마토그램이다. HPLC 분석은 1.0 ml/min의 유속에서 혼합용매 시스템 MeCN-H2O (20:80 to 100:0, 0-40 min)를 사용하여 워터tm 시스템(2996 광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를 갖는 515 펌프) 및 YMC J'sphere ODS-H80 컬럼(4 μm, 150 x 4.6 mm I.D.) 상에서 수행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87232910-pat00001
본 발명의‘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는 삼백초로부터 분리되는 화합물로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합물이 수지상세포의 성숙화를 억제하는 기작을 통한 면역과민반응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물질로서 약리학적 조성물과 같은 의약품은 물론이고,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하기 실험예 1에서는,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을 처리한 후,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자극시켜 NO 생성량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리포폴리사카가이드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병용 처리한 실험군에서 사우서네올 D의 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NO 생성량이 102, 93, 64, 36, 33, 26, 23, 22%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하기 실험예 2에서는,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을 처리한 후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자극시켜 수지상세포의 표면 분자의 발현 정도에 따른 수지상세포의 성숙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병용 처리한 실험군에서 사우서네올 D 처리 농도(1, 3, 10, 30 μM)에 의존적으로 MHC Ⅱ의 발현도가 47, 40, 31, 23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하기 실험예 3에서는,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을 처리한 후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자극시켜 수지상세포 내부에 유입된 항원의 양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병용 처리한 실험군에서 사우서네올 D의 처리 농도(1, 3, 10, 30 μM)에 의존적으로 항원취득도가 20, 17, 16, 15%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의한 수지상세포의 성숙화와 항원 포획능력이 사우서네올 D에 의해서 억제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도 3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하기 실험예 4에서는,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을 처리한 후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자극시켜 생성되는 사이토카인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병용 처리하였을 경우 IL-12, IL-1β, TNF-α 그리고 iNOS의 분비가 사우서네올 D 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하기 실험예 5에서는,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가 수지상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지상세포의 이동여부를 CCR7의 리간드인 MIP-3β와 CCR5의 리간드인 RANTES에 대하여 transwell를 이용해 수지상세포의 움직임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단독 처리군에 비해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와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병용 처리한 실험군에서 수지상세포의 이동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참조). 이러한 결과는 사우서네올 D가 케모카인과 케모카인 수용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지상세포의 림프구 이동을 억제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험예 6에서는, 수지상세포는 성숙과정 중에 활성화되는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ERK, JNK, p38) 및 NF-κB(p65, p50)의 단백질 양을 웨스턴 블랏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병용 처리한 실험군에서 사우서네올 D 처리 농도(1, 3, 10, 30 μM)에 의존적으로 p-JNK, p-p38 그리고 p-ERK의 양 및 핵 내의 p65와 p50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실험예 7에서는, 수지상세포의 성숙 정도를 수지상세포의 T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병용 처리한 수지상세포에서 T림프구 증식능 및 사이토카인 생성량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참조).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이 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의한 수지상세포의 성숙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면역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그러므로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면역과민반응에 의해 야기되는 자가면역질환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는 염,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천연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천연물로부터 분리하고 하는 경우, 분리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이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는 조성물에 1 내지 300μ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에 1 내지 100μ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9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자가면역질환으로는, 다발성 경화증(MS, multiple sclerosis), 건선,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 제 I 형 당뇨병(diabetes mellitus), 염증성 장질환 및 전신성 루프스 등을 들 수 있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상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를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와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와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 saucerneol D), 실험동물 및 수지상세포 준비
<1-1> 삼백초 유래 사우서네올 D 준비
음건한 삼백초 지상부 5 kg을 세절하여 실온에서 메탄올(MeOH) 15 L로 3회 반복 추출하고 이를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 1.0 kg을 얻었다. 메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n-hexane으로 분획하고 물층을 다시 CH2Cl2로 분획하여CH2Cl2 추출물(100 g)을 얻었다. CH2Cl2 분획에 대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CH2Cl2 gradient)를 시행하여 21개의 분획 (SCC-1-SCC-21)으로 나누었다. SCC-14중에서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1.0 g을 분리되었다. 화합물 1은 YMC J'sphere ODS-H80 컬럼으로 MeCN-H2O의 용매조건에서 HPLC한 결과 28.3분에서 머무름 시간 (retention time)을 나타내었다.
<1-2> 실험동물의 준비
실험동물은 체중 18~22g의 C57BL/6 암컷 마우스(샘타코)를 사용하였고, 동물사육실에서 일정한 조건(온도: 21±2℃, 명암: 12시간 명암주기)에서, 사료와 음수의 자유로운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실험시작 전까지 물과 먹이를 충분히 제공하며 실험시작 전에 실험동물을 7일 동안 동물사육실에서 순화시켰다.
<1-3> 수지상세포의 준비
C57BL/6 마우스로부터 골수세포를 분리한 후 2×105cells/ml 농도로 세포배양을 하였다. 2ng/ml 농도로 GM-CSF를 첨가하여 8일간 배양하였으며, 이때 생성되는 수지상세포는 미성숙(immature) 수지상세포라고 알려져 있다.
< 실험예 1>
사우서네올 D( saucerneol D)가 수지상세포의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
본 실험에서는 사우서네올 D의 수지상세포의 NO(nitric 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처리한 후,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자극시켜 NO 생성량의 정량하였다.
자세하게는 상기 실시예<1-3>을 통해 준비된 미성숙 수지상세포를 96 플레이트에 5×105cells/ml 농도로 분주하고 2시간 안정화시켰다. 분주한 수지상세포에 사우서네올 D를 1~100μM의 농도로 첨가하고 2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1μg/ml의 농도로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층액 100 μl에 griess 시약 (griess A : B =1:1) 100 μl를 가해주고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NO 생성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nitric oxide (NO)의 생성은 대조군의 경우는 24%이었고,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단독 처리군에서는 100%로 증가하였으며,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를 병용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사우서네올 D 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NO 생성량이 102, 93, 64, 36, 33, 26, 23, 22%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사우서네올 D( saucerneol D)가 수지상세포의 표면 분자에 미치는 영향
본 실험에서는 사우서네올 D의 수지상세포의 표면 분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처리한 후,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자극시켜 수지상세포의 표면 분자의 발현 정도에 따른 수지상세포의 성숙 정도를 살펴보았다.
자세하게는 상기 실시예<1-3>을 통해 준비된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1~30μM 농도의 사우서네올 D를 2시간 먼저 처리하고 1μg/ml 농도의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세포를 수확한 후, APC-CD11c, FITC-CD40, FITC-CD80, FITC-CD86, FITC-MHC I 그리고 II 등의 항체로 염색한 후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Mean Fluorescence Intensity(MFI)로 결과를 표현하였다. 수지상세포가 성숙(maturation)할수록 분자의 발현이 강하고 MFI 수치가 높다. CD11c는 수지상세포에서 선택적으로 발현되는 표면분자이며, 수지상세포가 성숙할수록 CD40, CD80, CD86, MHC-I 그리고 II 등이 많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결과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CD40의 발현도는 대조군의 경우에는 20이었고,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처리군에서는 65로 증가하였으며,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를 같이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사우서네올 D 처리 농도(1, 3, 10, 30 μM)에 의존적으로 CD40의 발현도가 54, 53, 43, 33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D80의 발현도는 대조군의 경우에는 19이었고,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처리군에서는 45로 증가하였으며,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를 같이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사우서네올 D 처리 농도(1, 3, 10, 30 μM)에 의존적으로 CD80의 발현도가 34, 31, 25, 20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D86의 발현도는 대조군의 경우에는 21이었고,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처리군에서는 72로 증가하였으며,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를 같이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사우서네올 D 처리 농도(1, 3, 10, 30 μM)에 의존적으로 CD86의 발현도가 59, 57, 50, 39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HC Ⅰ의 발현도는 대조군의 경우에는 19이었고,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처리군에서는 46로 증가하였으며,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를 같이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사우서네올 D 처리 농도(1, 3, 10, 30 μM)에 의존적으로 MHC Ⅰ의 발현도가 38, 36, 31, 21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HC Ⅱ의 발현도는 대조군의 경우에는 17이었고,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처리군에서는 52로 증가하였으며,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를 같이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사우서네올 D 처리 농도(1, 3, 10, 30 μM)에 의존적으로 MHC Ⅱ의 발현도가 47, 40, 31, 23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사우서네올 D( saucerneol D)가 수지상세포의 내포작용에 미치는 영향
미성숙한 수지상세포는 높은 항원 포획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성숙한 수지상세포는 항원을 포획하는 능력은 감소하고 항원을 제시하는 기능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사우서네올 D의 수지상세포의 내포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처리한 후,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자극시켜 수지상세포 내부에 유입된 항원의 양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세하게는 상기 실시예<1-3>을 통해 준비된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1~30μM 농도의 사우서네올 D와 1μg/ml 농도의 LPS를 첨가한 다음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FITC-dextran을 0.4mg/ml의 농도로 세포에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를 수확한 후 0.5% BSA/PBS로 세척하여 여분의 FITC-dextran을 완전히 제거한 후 수지상세포 내부에 유입된 항원의 양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지상세포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CD11c-PE 항체를 같이 염색하여 수지상 세포를 선택적으로 분리 분석한 후 항원의 유입된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할 때 미성숙 수지상세포(대조군)의 항원취득도는 53%이었으며, 리포폴리사카라이드가 처리된 수지상세포의 항원취득도는 30%로 감소하였으며, 1~30μM 농도의 사우서네올 D와 1μg/ml 농도의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같이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사우서네올 D의 처리 농도(1, 3, 10, 30 μM)에 의존적으로 항원취득도가 20, 17, 16, 15%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의한 수지상세포의 성숙화와 항원 포획능력이 사우서네올 D에 의해서 억제되었음을 의미한다. 4℃에서 배양할 경우 세포의 항원취득이 완전히 정지하여 모든 세포에 2~3%의 낮은 항원취득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항원취득이 능동적으로 일어나는 면역반응임을 의미한다.
< 실험예 4>
사우서네올 D( saucerneol D)가 수지상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
미성숙 수지상세포는 항원 자극 후 성숙화 되면서 많은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수지상세포의 사이토카인 발현은 T 세포를 자극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IL-12는 성숙화 된 수지상세포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사우서네올 D의 처리에 따른 수지상세포의 성숙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처리한 후,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자극시켜 생성되는 사이토카인의 양을 측정하였다.
자세하게는 상기 실시예<1-3>을 통해 준비된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사우서네올 D를 1~30μM의 농도로 2시간 먼저 첨가하고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1μg/ml의 농도로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배양이 끝난 후 배양액을 수거하여 수지상세포에서 분비된 사이토카인의 양을 enzyme-linked immunoassa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UN)은 IL-12, IL-1β, TNF-α 그리고 iNOS를 거의 분비하지 못하였고,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처리군에서는 IL-12, IL-1β, TNF-α 그리고 iNOS의 분비가 강하게 증가하였지만,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를 같이 처리하였을 경우 IL-12, IL-1β, TNF-α 그리고 iNOS의 분비가 사우서네올 D 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IFN-α와 IFN-β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처리군에서는 강하게 증가하였지만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를 같이 처리한 군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의한 수지상세포의 성숙화를 사우서네올 D가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5>
사우서네올 D( saucerneol D)가 수지상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수지상세포는 성숙화되면 T 세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림프구로 이동한다. 이때 림프구에서 방출하는 케모카인과 수지상세포가 발현하는 케모카인 수용체사이의 상호작용이 림프구로의 이동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미성숙한 수지상 세포는 케모카인 수용체인 CCR1, CCR5를 많이 발현하고 있고 성숙화가 되면 케모카인 수용체인 CCR7의 발현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사우서네올 D의 처리에 따른 수지상세포의 성숙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처리한 후,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자극시켜 수지상세포의 이동여부를 CCR7의 리간드인 MIP-3β와 CCR5의 리간드인 RANTES에 대하여 transwell를 이용해 수지상세포의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자세하게는 상기 실시예<1-3>을 통해 준비된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사우서네올 D와 1μg/ml 농도의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사우서네올 D에 의한 수지상세포의 이동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CCR7의 리간드인 MIP-3β와 CCR5의 리간드인 RANTES에 대하여 transwell를 이용해 수지상세포의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수지상세포를 upper chamber에 넣고 MIP-3β와 RANTES를 각각 30∼300ng/ml의 농도로 lower chamber에 넣은 후 37℃ 배양기에서 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lower chamber로 이동한 세포 수를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성숙 수지상세포에서는 CCR1과 CCR5의 발현이 높고 CCR7를 적게 발현하고 있었으며, 이에 비해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처리한 군에서는 CCR7의 발현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사우서네올 D와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같이 처리할 군에서는 CCR7의 발현은 감소하고 CCR1과 CCR5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5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UN)은 MIP-3β에 의해서는 이동이 없고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처리할 경우에는 MIP-3β에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이동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사우서네올 D와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같이 처리한 군에서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처리한 군과 비교했을 때 MIP-3β에 의한 세포 이동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RANTES에 의한 대조군(UN)의 세포 이동이 증가하였고 사우서네올 D와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같이 처리할 경우 대조군에 비해서는 세포 이동이 적게 일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우서네올 D가 케모카인과 케모카인 수용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지상세포의 림프구 이동을 억제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 실험예 6>
사우서네올 D( saucerneol D)가 수지상세포의 신호전달계에 미치는 영향
수지상세포는 성숙과정 중에 ERK, JNK, p38 등의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와 NF-κB가 활성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사우서네올 D의 처리에 따른 수지상세포의 성숙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본 발명의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처리한 후,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자극시켜 인산화되어 있는 ERK, JNK, p38의 단백질양은 웨스턴 블랏(western blot)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자세하게는 상기 실시예<1-3>을 통해 준비된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를 15분간 처리하였으며, 세포를 파괴하여 단백질을 모두 분리하였다. 총(total) 단백질을 이용해 인산화되어 있는 ERK, JNK, p38의 단백질양은 웨스턴 블랏(western blot)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핵 단백질을 이용해 핵 내로 이동한 NF-κB(p65, p50)의 양을 웨스턴 블랏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상위 단계인 IkB 분해에 대해서도 억제효과가 있는지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도 6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단독 처리군에서는 인산화되어 있는 p-JNK, p-p38 그리고 p-ERK의 양이 증대된 반면,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를 같이 처리한 군에서는 사우서네올 D 처리 농도(1, 3, 10, 30 μM)에 의존적으로 p-JNK, p-p38 그리고 p-ERK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6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를 같이 처리한 군에서 사우서네올 D 처리 농도(1, 3, 10, 30 μM)에 의존적으로 핵 내의 p65와 p50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7>
사우서네올 D( saucerneol D)가 수지상세포의 T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수지상세포의 중요한 면역기능은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수지상세포가 성숙하게 되면 림프구로 이동하여 포식된 항원을 T 세포에 제시하고 항원을 인식한 T 세포는 분열, 증식하며 IL-2와 IFN-γ 같은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본 실험에서는 사우서네올 D의 처리에 따른 수지상세포의 성숙 정도를 수지상세포의 T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측정하였다.
자세하게는 상기 실시예<1-3>을 통해 준비된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30μM 농도의 사우서네올 D와 1μg/ml 농도의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세포를 수거하고 allogeneic T세포와 각각 3일과 5일(도 7A, 7B) 동안 혼합배양하였다. 세포배양 마지막 16시간 동안 [3H]-thymidine을 처리하여 증식하는 T세포의 DNA내로 방사능물질을 유입하여 세포증식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A 및 도 7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리포폴리사카라이드만을 단독 처리한 수지상세포는 강한 T림프구 증식능을 보였으나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를 같이 처리한 수지상세포는 T림프구 증식능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인 IFN-γ와 IL-2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C와 도 7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리포폴리사카라이드만을 단독 처리한 수지상세포와 공동배양한 T세포에서는 사이토카인 생성량이 강하게 증가한 반면,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사우서네올 D를 같이 처리한 수지상세포와 공동배양한 T림프구는 사이토카인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화학식 1>
    Figure 112016029485481-pat00002

    상기 화합물은 수지상세포의 성숙화를 억제하는 기작을 통해 면역억제의 효과를 가지며,
    상기 자가면역질환은 다발성 경화증(MS, multiple sclerosis), 건선,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 제 I 형 당뇨병(diabetes mellitus), 염증성 장질환 및 전신성 루프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지상세포의 성숙화 억제 기작은 수지상세포의 성숙화에 따른 산화질소 생성 억제, 표면 분자 발현 억제, 내포 작용 억제,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수지상세포 이동 억제, 성숙 과정 중 활성화되는 신호전달 물질 발현 억제 및 T세포 활성화 억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삼백초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조성물에 1μM 내지 100μ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사우서네올 D(saucerneol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은 수지상세포의 성숙화를 억제하는 기작을 통해 면역억제의 효과를 가지며,
    상기 자가면역질환은 다발성 경화증(MS, multiple sclerosis), 건선,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 제 I 형 당뇨병(diabetes mellitus), 염증성 장질환 및 전신성 루프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지상세포의 성숙화 억제 기작은 수지상세포의 성숙화에 따른 산화질소 생성 억제, 표면 분자 발현 억제, 내포 작용 억제,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수지상세포 이동 억제, 성숙 과정 중 활성화되는 신호전달 물질 발현 억제 및 T세포 활성화 억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떡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주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30114345A 2013-09-26 2013-09-26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30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345A KR101630908B1 (ko) 2013-09-26 2013-09-26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345A KR101630908B1 (ko) 2013-09-26 2013-09-26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364A KR20150034364A (ko) 2015-04-03
KR101630908B1 true KR101630908B1 (ko) 2016-06-15

Family

ID=5303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345A KR101630908B1 (ko) 2013-09-26 2013-09-26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9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318B1 (ko) * 2018-03-30 2019-04-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백초의 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Th-1 매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99893B1 (ko) * 2020-06-17 2023-02-15 파마코바이오 주식회사 삼백초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942B1 (ko) 1997-09-30 2000-04-01 신동권 항암 효과를 가지는 삼백초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30274B1 (ko) 2003-02-20 2005-11-22 학교법인 고황재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삼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70022758A (ko) * 2004-05-17 2007-02-27 콤비네이토릭스, 인코포레이티드 면역염증성 질환의 치료 방법 및 시약
KR100749675B1 (ko) * 2005-12-27 2007-08-17 한국화학연구원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면역억제용 조성물
KR20120006336A (ko) 2010-07-12 2012-01-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011. Vol.11, pp.698-7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364A (ko) 2015-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390B1 (ko) 투실라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세포의 성숙화 억제용 조성물
US20170157069A1 (en) Composition using metformi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mmune diseases including lupus
KR101630908B1 (ko) 사우서네올 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TWI673059B (zh) Il-6產生抑制劑、抗炎劑、抗神經退化性疾病劑、抗精神神經疾病劑、醫藥品
KR100939052B1 (ko) 글라브리딘 또는 글라브리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수지상 세포 성숙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20140036504A (ko) 아포-9&#39;&#39;-푸코잔티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15959B1 (ko)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1331148B1 (ko) 유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272425B1 (ko) 사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쇼그렌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3140B1 (ko) 길경 유래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세포 성숙화 유도용 조성물
KR20120138333A (ko) 수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아사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60983A (ko)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풀무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20190024941A (ko) 톳추출물을 이용한 미성숙수지상세포의 성숙화유도를 통한 항암면역치료용 약학조성물
JP6529837B2 (ja) 造血幹細胞の分化促進剤
KR20150087657A (ko) 비파 분획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518129B1 (ko) 강판귀로부터 분리된 디보사이드 에이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가면역 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2975B1 (ko) 신규한 모나스커스 퍼퓨리우스 sl1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링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150062543A (ko) 외톨개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3865B1 (ko) 톳추출물을 이용한 미성숙수지상세포의 성숙화유도방법
KR101864607B1 (ko) 피노셈브린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983395B2 (ja) 抗加齢剤
KR101489435B1 (ko) 결핵균의 Rv2769c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용 조성물
KR20230061813A (ko) 에크멘시아 뮤신필리아, gdf15 유도를 통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조성물
JP6268015B2 (ja) 造血幹細胞の増殖促進剤および未分化維持剤
KR101425048B1 (ko) 백서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