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158B1 -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158B1
KR102490158B1 KR1020187017991A KR20187017991A KR102490158B1 KR 102490158 B1 KR102490158 B1 KR 102490158B1 KR 1020187017991 A KR1020187017991 A KR 1020187017991A KR 20187017991 A KR20187017991 A KR 20187017991A KR 102490158 B1 KR102490158 B1 KR 102490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child seat
retaining device
limiting
ch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688A (ko
Inventor
펠레스카 프란츠
썬 크리스토프
Original Assignee
시벡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벡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시벡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99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0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residual deformation or fracture of th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6Adaptations for seat belts with additional belt accessories, e.g. belt tens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002/2815Adaptations for seat belts with additional belt accessories, e.g. a belt tension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 영역(25) 및 배면 섹션(back section)(26), 적어도 하나의 견부 스트랩(28), 상기 견부 스트랩(28)을 유지 및 편향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장치(29), 및 상기 유지 장치가 충격시 유지 장치(30)의 견부 스트랩 또는 견부 스트랩들에 의해 가해진 소정의 한계 힘(limit force)을 초과할 때 제1 구속(arrested) 위치로부터 제2 구속 위치로 천이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힘-제한 수단(12, 14, 1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차일드 시트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차일드 시트(child seat)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차일드 시트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차일드 시트는 이들 자신의 벨트 시스템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자동차의 벨트 시스템에 부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차일드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쉘(shell)(시트 영역) 및 등받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차일드 시트는 헤드레스트 또는 발판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일드 시트"라는 용어는 "고전적" 차일드 카시트 및 베이비 캐리어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일드 시트에 제공되는 특징은 기본적으로 베이비 캐리어에도 적용가능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차일드"라는 용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차일드 및 베이비뿐만 아니라 유아를 위한 일반적인 용어로도 이해된다.
소위 "베이비 캐리어"는 종종 베이비 또는 차일드를 수용하기 위한 일체형 쉘을 (별도로) 포함하고, 별도의 벨트 시스템, 선택적으로 헤드레스트 및 가능한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비 캐리어"는, (구조적으로 묘사된) 등받이 대신에, 차일드의 둔부를 수용할 수 있는 "시트 영역"에 인접하는 배면 섹션(back section)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차일드는 자동차의 3점 벨트 또는 차일드 시트 자체에 제공된 벨트(예를 들어, 5점 벨트, 흉부 벨트 등)에 의해 차일드 시트에 고정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벨트는 시트에 있는 차일드의 어깨를 넘어 골반의 반대쪽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스트랩이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은 하나의 어깨 위로 안내된다. 최소한 자신의 벨트 시스템이 있는 시트의 경우, 벨트 시스템의 위치를 차일드의 사이즈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특히, 적절한 부재, 예를 들어 톱니형 랙(toothed rack)의 포지티브 결합을 통해 벨트 시스템의 다양한 위치가 로킹될 수 있는 솔루션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의 시스템에 공통적인 점은 시트에 있는 차일드가 - 자동차의 충돌할 경우 - 처음에는 관성으로 인해 추가로 움직인 다음, 스트랩에 의해 갑자기 제동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이의 머리는 계속 움직이며, 이는 피칭(pitching) 동작과 가슴에 대한 턱의 충격을 초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를테면 목 척추 부위에서의 위험한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차일드의 가속도를 제한하고 힘의 피크를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위해, 힘 피크를 흡수할 수 있는 대응하는 힘 리미터(limiter)가 종래 기술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DE 10 2005 038 814 A1은 충격시 벨트가 로딩될 때 벨트의 에너지 흡수 용량을 증가시키는 유압 부재의 사용을 제안한다. EP 0 805 066 A2에는 소성 변형이 가능한 토션 바(torsion bar)가 제안되어 있는데, 충격시 변형되어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힘 피크를 인터셉트(intercept)한다.
DE 10 2005 025 570 A1은 또한 소성 변형가능한 구성요소, 특히 변형을 위한 영역을 갖는 스트랩용 홀더의 사용을 제안한다. 부가(supplementary) 힘 - 제한 수단으로서, 벨트에 파열 심(tear seams)이 언급되어 있으며, 과도한 힘이 가해졌을 때 정의된 방식으로 벨트 섹션을 해제하여, 시트에 있는 차일드의 신체가 더 전방으로 이동하여 감속 에너지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DE 10 2005 025 570 A1에서, 차일드의 사이즈 또는 몸무게에 대한 조정을 위해 힘 리미터의 완전한 교체가 이루어져야한다. DE 101 07 874 A1은 또한 설정된 벨트 길이 또는 위치의 함수로서 힘-제한 임계치가 변화하는 소성 변형 힘-제한 수단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재료 두께가 상이한 여러 개의 편향부(deflection)가 제공된다. 벨트 시스템을 다른 편향 장치에 재부착시킴으로써, DE 101 07 874 A1에 따른 힘-제한 수단은 차일드의 사이즈 또는 몸무게로 조정되어야 한다.
대체로, 차일드의 사이즈 또는 몸무게에 대한 힘 - 제한 수단의 적응(가능하다면)이 항상 종래 기술에서 상대적으로 복잡한 단계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은 불리한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DE 10 2005 025 570 A1에 따른 홀더를 교체할 때 뿐만 아니라 DE 101 07 874 A1에 따라 스트랩을 이동시킬 때, 벨트 시스템은 새롭게 설치, 예를 들어 분리 및 재-스레딩(re-threaded)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이 발생한 경우 간단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힘의 제한을 실현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차일드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상기 목적은 시트 영역 및 배면 섹션(등받이), 적어도 하나의 견부 스트랩, 상기 견부 스트랩을 유지 및 편향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장치(retaining devic), 및 상기 유지 장치가 충격시 유지 장치의 견부 스트랩에 의해(또는 2개의 견부 스트랩을 유지 및/또는 편향시키기 위해 유지 장치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견부 스트랩들에 의해) 가해진 소정의 한계 힘(limit force)을 초과할 때 제1 구속(arrested) 위치로부터 제2 구속 위치로 이동되도록(차일드를 유지하는 힘이 감소되거나 에너지가 흡수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힘-제한(force-limiting)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차일드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핵심 아이디어는, 유지 장치가 기본적으로 2개의 (소정의) 위치를 취할 수 있고, 여기서 제2 위치(사고의 경우)는 소정의 한계 힘이 초과될 때만 도달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체) 유지 장치는 피크 힘(peak force)을 흡수하거나 충돌시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변위된다. 유지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이 변위 동안 치수적으로(dimensionally) 안정적이다(따라서 형상을 변경시키지 않음). 힘-제한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제2 위치에 도달하고 차일드의 신체가 멈춰 서거나(즉, 충격 후) 견부 스트랩으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 유지 장치는 제2 위치를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제1 위치와 제2 위치 모두에서, 유지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형태-맞춤 방식으로) 래칭되고, 즉 제1 또는 제2 래칭 위치를 취한다. 전체적으로, 힘-제한 수단 및 유지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장치에 작용하는 힘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개별 (래칭) 위치들 사이의 연결 라인의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래칭(로킹)은 바람직하게 인터로킹되지만, 힘-로킹 방식으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어쩌면 완전히) 발생할 수 있다. (소정의) 로킹 위치(특히 래칭 위치)의 결과로서, 한편으로는 힘 피크가 간단한 방식으로 차단될 수 있고, 견부 스트랩은 다른 한편으로는 충격 전후에 안전하고 신뢰성있게 유지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힘-제한 수단은 간단한 구조로 특징지워지므로,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벨트 길이 및/또는 위치를 차일드 시트 내의 차일드의 사이즈 및/또는 몸무게로 조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위치, 특히 적어도 배면 섹션(등받이)에 대해 유지 장치의 제1 및 제2 로킹 위치(특히 래칭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조정 장치의 결과로서, 차일드 시트는 차일드의 필요에 맞게 쉽게 적응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설계 및 특히 간단한 설계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변위는 한편으로는 조정 장치의 작동에 의해(예를 들어 핸들을 통해) 발생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힘-제한 수단의 작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간단하고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한다. 조정 장치는 특히 높이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일드 시트가 차일드의 사이즈에 적응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유지 장치는 다양한 (래칭) 위치에서 로킹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장치가 제공되며, 래칭 장치를 통해 유지 장치가 (상기) 적어도 두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특히 (상기) 적어도 2개의 래칭 위치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2개의 상보적인 래칭 부재가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돌기, 특히 볼트 및 대응하는 리세스, 특히 포켓). 기본적으로, 로킹은 인터로킹 및/또는 마찰 연결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부재는 포켓형 구조와 결합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개별 포켓은 적어도 하나의 웨브(web)(또는 유사한 것)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그러나, 로킹 부재(돌기부)가 톱니형(toothed) 스트립(또는 그 리셉터클) 또는 천공된(perforated) 스트립(또는 그 구멍)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조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쨌든, 이러한 로킹은 각각의 위치에서 유지 장치를 안정적이고 쉽게 고정할 수 있게 하여, 사고가 발생할 경우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특히, 개별 위치는 바람직하게 필수 구성요소의 구성요소들인, 개별 리셉터클(특히 포켓) 및/또는 돌기 및/또는 (연속 또는 단절된) 연결 웨브에 의해, 및 또는 톱니형 스트립 및/또는 천공된 스트립에 의해 한정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유지 장치는 적어도 3개의 위치(바람직하게는 조절 장치를 통해)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1 한계 힘이 초과될 때 다음 위치가 취해지고, 제2 한계 힘이 초과될 때 멀리 떨어져 있는 (특히 그 다음의) 위치가 취해진다. 일반적으로, 충분히 긴 작용 및 충분히 큰 힘으로 여러 (래칭) 위치가 연속적으로 극복될 수 있다. 하나의 위치로부터 인접한 위치로의 각각의 천이(예를 들어, 각각의 웨브가 2개의 리셉터클, 특히 포켓 사이에 위치됨)의 결과로서, 힘-제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힘-제한 또는 에너지 흡수의 매우 간단한 ("자동") 설정을 허용한다. 다소 작거나 가벼운 차일드의 경우, 다음 위치만이 취해질 수 있으며(충격의 경우), 큰 차일드의 경우에는 그 다음 위치가 취해질 수 있으며, 더 큰 차일드의 경우 선택적으로 그 다음 후속 위치가 취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더 이상 힘-제한이 (상응하는 부정확한 작동의 위험이 있는) 차일드의 사이즈 및 몸무게와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필요가 없다. 차일드 시트는 그에 따라 그 자체로 "적응적(adaptive)" 방식으로 설계된다.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는 부정확한 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특히 현저한 힘 피크 조차도 간단한 방식으로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장치는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및/또는 헤드레스트와 함께 변위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즉 헤드레스트가 차일드의 사이즈에 적응될 때, 견부 스트랩은 차일드의 사이즈에 쉽고 신뢰성있게 적응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충격의 경우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조정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로킹의 당김 해제를 위해 핸들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스프링, 특히 리턴(return) 스프링이 로킹을 생성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유지 장치 및 가능하면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정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허용한다.
예를 들어, 로킹된 벨트 시스템의 규칙적인 조정을 위해, 로킹 부재는 (예를 들어,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핸들을 당김으로써) 대응하는 포켓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고, 다음에 벨트 시스템의 위치가 원하는대로 조정될 수 있고, 로킹 부재는 (예를 들어, 핸들을 해제함으로써 가능하면 스프링 힘의 작용으로) 포켓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언로킹은 또한 시트가 차량에 설치되고 차일드가 시트에 앉아 있을 때 발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핸들, 아마도 레버 및/또는 스위치 등이 높이 조정을 언로킹하기 위해 시트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항상 액세스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힘-제한 수단은 로킹 위치들 사이의 영역에 의해(예를 들어, 톱니형 스트립의 포켓 또는 융기부 또는 치(teeth) 사이의 웨브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의 래칭 장치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예를 들어, 포켓 또는 일반적으로 리세스)은 한계 힘이 극복되거나 파괴될 때, 특히 파손 또는 파열될 때 소성 변형 또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중간 섹션은 한계 힘을 초과하는 힘이 발생할 경우 인접한 위치로 (개별 로킹 위치 사이의 연결 라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웨브는 2개의 래칭 장치(예를 들어, 포켓) 사이에 배치되고, 소정의 한계 힘이 초과되거나 파손되어 유지 장치가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소성 변형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웨브(및 관련된 3개 이상의 래칭 장치, 특히 3개 이상의 포켓)가 제공되며, 웨브는 상이한 두께로 제조된다. 이러한 웨브는 힘-제한 수단을 쉽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웨브가 상이한 두께로 제공되는 경우, 유지 장치가 배치되는 각각의 위치에 따라 극복되어야 할 상이한 한계 힘이 설정될 수 있다. 웨브의 두께는 일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웨브가 제공되면, 이들 4개의 웨브는 제1 웨브, 제2 웨브, 제3 웨브 및 제4 웨브의 순서로 배열되고, 각각의 다음 웨브(예를 들어, 제3 웨브)는 각각 이전에 배치된 것(예를 들어, 제2 웨브)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특히, 가장 두꺼운 웨브는 유지 장치가 비교적 높은 위치(키가 큰 또는 무거운 차일드에 대응함)에 위치될 때, 높은 한계 힘이 제공되고, 그 다음에 유지 장치가 다소 낮은 위치(다소 작거나 가벼운 차일드에 해당)에 위치될 때 오히려 낮은 한계 힘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여러 웨브로) 이들은 상이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상이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은 저항(또는 변형 또는 파괴에 대항하는)의 측면에서 상이하다. 필요하다면, 정확하게 하나의 웨브가 선택적으로 두 래칭 위치 사이에 제공될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복수의 웨브(또는 단절된 웨브)가 제공될 수 있다. 웨브 대신에, 충격의 경우 탄성 변형되고 한계 힘을 초과하는 다른 (래칭)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예를 들어, 2개) 스프링, 특히 판 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다. (판 스프링 대신에) 탄성 변형을 위한 다른 수단이 고려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유지 장치는 (바람직하게 조정 장치를 통해) 적어도 3 (로킹) 위치, 즉 적어도 제1, 제2 및 제3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격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특히 중간 영역의 구조적 설계(예를 들어, 재료 및/또는 두께의 선택)에 의해 한정된 한계 힘은 특히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한계 힘보다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만큼 크다(또는 작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위치는 최고 위치이고, 제2 위치는 중간 위치이고, 제3 위치는 유지 장치의 최저 위치이다. 전반적으로, 이로써 힘-제한에 대한 사용자 친화적이고 안전한 조정이 가능하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힘-제한 수단은 한계 힘이 초과될 때 로킹 부재(만)가 로킹(볼트 결합) 위치로부터 슬라이딩 되도록 배치되고 설계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경사면은 로킹 부재 또는 볼트 리셉터클 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힘-제한은 간단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힘-제한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록한 또는 사다리꼴 형태의 로킹 부재를 가진다. 또한, 이로써 힘-제한이 간단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힘-제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특히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으로, 힘-제한 수단이 탄성 변형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충격 후)는 원래의 상태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소정의 한계 힘이 초과되면 다른 로킹 위치가 취해지는 점만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한계 힘은 차일드의 몸무게로 조정되어야 한다. 한계 힘은 적어도 500 N,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0 N,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0 N 및/또는 최대 21000 N, 바람직하게는 최대 17000 N,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5000 N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충격시 적어도 짧은 시간동안 약 50 g(즉, 중력에 의한 가속의 50 배)의 하중이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힘 임계치의 측정은 유익하게는 이 제한 및 차일드의 몸무게에서 초래한다. 차일드 시트의 경우, 최대 허용 몸무게는 36 kg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비 캐리어의 경우, 최소 몸무게는 약 2.5 kg이 될 수 있다. 상이한 한계 힘(2개 이상의 로킹 위치 또는 대응하는 힘-제한 수단을 갖는)의 경우, 최고 위치의 한계 힘은 상한 범위(예를 들어, 12000 내지 21000 N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최저 위치의 한계 힘은 하한 범위(예 : 500 N 내지 11000 N)에 있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힘-제한 수단에 대한 다른 힘 임계치(한계 힘)이 획득될 수있다(예를 들어, 풀리형(pulley-type) 편향에 의해). 어떤 경우에도, 시트에 위치한 차일드의 하중은 40 내지 60 g,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g로 제한되어야한다.
일반적인 아이디어에 따르면, 조정 장치에 의해 (구동 전에) 의도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유지 장치의 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힘-제한 수단의 작용에 의해 충돌시 취해질 수 있는 위치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한편으로는 원하는 설정을 위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힘을 제한하기 위해 별도의 래칭 장치가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조정 장치는 스트랩 길이 또는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복수의 위치를 한정하고 한계 힘이 초과될 때 (자체) 상이한 위치를 취하도록 장착되는 조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힘-제한 수단은 유지 장치에 작용하는 소정의 한계 힘이 초과될 때 유지 장치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시키는 힘-제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힘-제한 부재(자체)는 복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충격시의 한계 힘 초과로 인한 위치의 변화는 유지 장치의 높이 조정을 위해 의도적으로 수행되는, 대응하는 위치 이동과 동일하지 않다. 이러한 상이한 위치 변경의 분리로 인해, 사고 발생시 힘-제한 및 스트랩 길이 또는 위치 모두의 특히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조정이 가능하다(구동 전).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종속항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힘-제한 수단이 없는 차일드 시트의 개략적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도 1a의 라인 Ib-Ib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도 2는 도 1a와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상세를 도시하고;
도 3a는 도 2와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도 2와 유사한 단면의 다른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도면과 유사한 힘-제한 수단의 상이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5는 차일드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을 통해 도 1b와 유사한 단면을 도시하고;
도 6a는 차일드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도 6a에 따른 단면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c는 도 6a에 따른 단면의 또 다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a는 차일드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b는 도 7a에 따른 단면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7c는 도 7a에 따른 단면의 또 다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적 단면을 도시하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적 단면을 도시하고;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적 단면을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적 단면을 도시하고;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10b는 도 10a의 라인 Xb-Xb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적 단면을 도시하고;
도 12b는 로킹 부재의 편향 위치에서의 도 12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도 13의 확대 단면을 도시하며;
도 15는 도 13의 스텝 섹션을 도시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고 등가인 부분에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힘-제한 수단이 없는 차일드 시트의 단면을 도시한다. 상기 섹션은, 예를 들어, 차일드 시트의 후면, 특히 등받이 또는 배면 섹션의 후면에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a 및도 1b는 그 위치, 특히 높이와 관련하여 견부 스트랩을 위한 유지 장치(29)(여기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 도 13 내지 도 15 참조)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다. 이 목적을 위해, (수용) 포켓(10)이 제공되며, 그 내부에는 로킹 부재(11)가 결합될 수 있다. 로킹 부재(11)는 각각의 포켓(10)의 각각에(도 1a 및도 1b에서, 예를 들어 상부로부터 제2 포켓(1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로킹 부재(11)는 견부 스트랩을 위한 유지 장치의 일부이거나 적어도 이러한 유지 장치에 연결된다. 원칙적으로, 2개의 견부 스트랩이 제공되면, 견부 스트랩은 각각 별도의 유지 장치에 유지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견부 스트랩이 모두 하나의 유지 장치(29)(도 13 내지 도 15 참조)에 의해 유지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도 1a와 유사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2에 따른 구조는 (상대적으로 얇은) 웨브(web)(12)를 개별 포켓(특히, 위로부터 제2 포켓 내지 아래로부터 제2 포켓) 사이에 제공함으로써 도 1a 및 도 1b에 따른 구조와 상이하다. 웨브(12)는 한계 힘(예를 들어, 충격 사고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을 초과할 때 이들이 소성 변형되거나 심지어 파손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로킹 부재(11)를 다음 위치로 이동시동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사고시 위로부터 제2 웨브(12)가 파손될 수 있어, 제3 포켓 내지 제4 포켓(위로부터)의 로킹 부재(11)의 이동을 허용함). 또한, 도 2에 따르면, 최대 힘에서도 각 포켓 내의 로킹 부재에 의한 로킹의 해제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도 1a 및 도 1b에서의 대응하는 분리 영역(12)과 마찬가지로) 힘-제한 수단을 형성하지 않는, 분리 영역(13)이 2개의 최상부 및 2개의 최하부 포켓(10) 사이에 추가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이들 분리 영역(13)은 또한 21000 N 이상, 바람직하게는 25000 N 이상의 힘(다음 포켓의 방향으로 작용함)을 견딘다.
도 3a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도 2에 따른 실시형태와 비교)에서, 웨브는 부분적으로 "취출(taken out)"된다. 환언하면, (도 2에 따른) 각각의 웨브(12)는 서로를 향해 지향되는 2개의 돌기(웨브 돌기)(14)로 대체된다. 포켓(10)은 예를 들어 4개의 돌기(1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돌기(14)는 (4개의 상부 돌기(14)에 대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단부(15) 또는 (4개의 하부 돌기(14)에 대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단부(16)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베벨(beveled) 단부는 로킹 부재(11)로부터 다음 위치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따라서, 하한 힘은 다음 위치로 이동하기에 충분하다). 특히, 다양한 한계 힘(힘 임계치)은 상이한 경사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14)의 각각의 단부는 위에서 아래로 점차 평탄화된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와 유사한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추가로 상세히 도시한다. 특히, 개별 돌기(14) 대신에, 돌기 쌍(17)이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포켓(10)은 4개의 돌기 쌍(17)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또한, 포켓(10)은 2개의 돌기 쌍(17) 및 (넘을 수 없는(insurmountable)) 분리 영역(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켓(10)은 2개의 (넘을 수 없는) 분리 영역(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특히,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돌기(웨브 돌기) 대신에, 탄성 돌기(18)가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돌기(14)는 도 4에 또한 도시된 판 스프링(19)(또는 다른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된 돌기는 소성 변형 또는 탄성 변형 또는 심지어 파단될 수 있다(힘 임계치를 극복할 때).
도 5는 도 1b와 유사한 단면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여기서, 웨브는 기하학적으로 설계되어(구체적으로 힘이 가해진 측면의 약간의 경사에 의해), 인가된 힘의 큰 성분이 웨브에 대해 로킹 부재를 가압하고, 작은 성분이 로킹 부재를 포켓으로부터 리프팅한다. 힘 임계치가 초과되면, 작은 힘 성분은 큰 힘 성분에 의해 발생된 마찰 저항을 극복하고 로킹 부재(11)는 포켓(10)으로부터 리프팅되거나 슬로프(20)를 넘어서 다음 포켓으로 슬립(slip)한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톱니형 또는 천공된 스트립 등에 대한 솔루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웨브 또는 돌기(웨브 연장부)(14)는 한쪽 및 아래쪽의 주위 구조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한쪽에만(선호됨) 또는 아래쪽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 한쪽에만 배열하는 것에 대한 대안이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되어 있다(특히 도 7c 참조). 도 6a 내지 도 6c 및도 7a 내지 도 7c에서, 돌기(웨브 인서트)는 측방향으로만 부착(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돌기는 공간에서 자유롭게 행잉(hang)되므로, 로킹 부재가 다음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돌기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도 8a는 도 2와 유사한, 즉 로킹 부재(11)가 직선 단부(21)를 갖는 세부적인 도면이다. 대안적으로(도 8b 참조), 로킹 부재(11)는 슬로핑 단부(22)를 가질 수 있으므로, 돌기(14)에 작용하는 힘은 웨브(14)에 증가된 표면 하중을 유발하여 탄성 또는 소성 변형 또는 파손을 용이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로킹 부재의 기하학적 형상은 가해진 힘이 로킹 위치들 사이의 영역에 점 또는 면적 부하를 증가시키고 탄성 또는 소성 변형 또는 파손을 용이하게 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예를 들어 사다리꼴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도 8b 및 8c 참조). 또한, 로킹 부재(11)의 힘 부하 측면(force-loaded side)을 볼록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킹 부재는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도 9 참조)에서, 넘을 수 없는 위치가 다시 가정되기 전에 일정 수의 로킹 위치만이 항상 극복(overcome)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포켓(10)들 사이에 개별 중간 영역(23)만을 설정하여 이들이 다음 위치로 극복될 수 있게 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 3 번째 또는 매 4 번째 중간 영역(23)은 넘을 수 없다 (도 9 참조).
다른 실시형태에서, 추가 구성요소(24)가 사용되고, 이는 높이 조정가능 방식으로(그러나 힘-제한 수단없이) - 특히 관련된 포켓(10)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로킹 부재(11b)를 통해 - 로킹될 수 있고, 차례로 힘-제한 수단을 포함하는 벨트 시스템을 로킹하기 위한 수개의 위치를 정의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벨트 시스템은 초기에 항상 구성요소(24) 내의 최상위 위치에 로킹될 수 있고 한정된 한계 힘이 초과될 때만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24)는 로킹 부재(11a)가 결합될 수 있는 포켓(10a)을 이 목적을 위해 가진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도 11 참조)에서, 힘-제한이 적용되는 한계 힘은 모든 위치에서 동일하지는 않지만, 벨트 시스템이 로킹되는 위치에 의존한다. 따라서, 차일드의 신장과 몸무게 사이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힘 임계치를 선택할 때 시트 내의 차일드의 몸무게를 고려해야하는 전술한 필요성에 대한 설명이 취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이것은 웨브 두께(도 11) 및/또는 잔류 웨브 인서트(돌기)의 길이 및/또는 스프링의 재료 두께 및/또는 스프링 강도 및/또는 슬로프의 각도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원칙적으로, 다양한 실시형태는 원하는 대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예로서, 상이한 길이의 웨브 돌기(돌기)는 오목한 측면을 갖는 로킹 부재에 연결될 수있다(도 12a 및 도 12b 참조).
또한, 전술한 솔루션 및 구조는 예를 들어 톱니형 또는 천공된 스트립 또는 예를 들어 인터로킹 및/또는 힘-로킹(force-locked) 결합을 허용하는 다른 적절한 구조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3은 시트 영역(25), 배면 섹션(26), 견부 스트랩(28)을 갖는 벨트 시스템(27) 및 견부 스트랩(25)을 유지 및 편향시키는 유지 장치(29)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유지 장치(29)는 로킹 부재(11)에 연결되고, 로킹 부재는 차례로 포켓(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4는 유지 장치(29) 및 로킹 부재(11)를 갖는 도 13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유지 장치(29)에는, 벨트 가이드(30)가 배치되고, 이 가이드를 통해 벨트가 유지되고 편향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3에 따른 섹션의 스텝(stepped) 섹션을 도시한다. 도 15에서, 견부 스트랩 (28)에 의해 유지 섹션에 작용하는 힘은 (본질적으로, 적어도 구성요소에 대해) 화살표(31)의 방향으로, 즉 포켓(10)의 배열의 일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유지 장치의 위치, 특히 유지 장치의 높이의 고의적인 설정을 허용하는 조정 디바이스의 세부사항을 도 15에서 인식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정 장치는 축(35)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도 15에서 반시계 방향) 스프링(34)의 작용(도 14에 도시 됨)에 대해 로킹 장치를 그 리셉터클(포켓)로부터 (아치형) 스톱(33)을 통해 푸싱하는, (발톱 형상(claw-shaped)의) 작동 부재(32)를 포함한다. 작동 부재(32)는 의도하지 않은 로킹 해제에 대해 로킹 부재를 고정하는, 후크 형상의 아마도 언더컷 섹션(36)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충격시 유지 장치 상의 견부 스트랩으로부터 작용하는 힘 또는 적어도 성분은 바람직하게 상부에서 하부로(등받이에 평행한) 작용하지만, 또한 (벨트 가이드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하부로부터 상부로 작용한다. 중간 위치가 존재하고 로킹 부재가 하부 위치로부터 상부로 그리고 상부 위치로부터 하부로 이동될 수도 있다(또는 대응하는 힘이 작용될 수도 있다).
전반적으로, 유아용 시트에는 안전이 강화된 힘-제한 수단이 제공된다. 특히, 힘-제한 수단은 특히 벨트 층이 정확하게 조정될 때 최적의 힘-제한 수단이 "자동적으로" 제공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복수의 힘-제한 수단이 연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한계 힘은 종래 기술에서보다 더 낮게 선택될 수 있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별도의 단계에서 힘-제한 수단의 선택이 발생하지 않고, 벨트 위치의 조정과 함께, 선택적으로 헤드레스트의 조정과 함께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고도의 편안함을 제공한다. 이 설정은 어쨌든 차일드 시트를 사용할 때 종종 필요하다. 특히, 과거에 습관적이었던 것처럼, 스트랩을 다시 부착하거나 스레딩하여, 차일드 시트가 제거되어야 하므로, 한계 힘의 설정은 더 이상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 오히려, 예를 들어 정면에서 편리하게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적절한 설계로 사용 중에도 설정이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또한 종래의 해결책에 비해 적은 노력으로 그것의 실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가 특히 간단하다. 예를 들어, 유압 부재가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힘-제한 수단은 예를 들어 기존의 로킹 기구의 변형 형상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추가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며, 모든 부품은 사출 성형, 압출 취입 성형 등과 같은 통상적인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별도의 설치에 의한 노력도 없다.
이 점에서, 전술된 모든 부분은 단독으로 그리고 임의의 조합으로, 특히 도면에 도시된 세부사항이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으로 청구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 변형은 당업자에게 익숙하다.
10 포켓
11 로킹 부재
12 웨브
13 분리 영역
14 돌기
15 직선 단부
16 경사 단부
17 돌기 쌍
18 탄성 돌기
19 (판) 스프링
20 슬로프
21 단부
22 경사 단부
23 중간 지역
24 컴포넌트
25 시트 영역
26 배면 섹션
27 벨트 시스템
28 견부 스트랩
29 유지 장치
30 벨트 가이드
31 활살표
32 작동 부재
33 스톱
34 스프링
35 축
36 섹션

Claims (15)

  1.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차일드 시트로서,
    - 시트 영역(25) 및 배면 섹션(26),
    - 적어도 하나의 견부 스트랩(28),
    - 상기 견부 스트랩(28)을 유지 및 편향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장치(29),
    - 상기 유지 장치(29)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견부 스트랩 또는 견부 스트랩들로부터 작용하는 소정의 한계 힘(limit force)을 초과하면 상기 유지 장치가 제1 로킹 위치로부터 제2 로킹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힘-제한 수단(12, 14, 17), 및
    - 차일드 시트에 위치한 차일드의 사이즈 또는 몸무게에 맞게 벨트 길이 또는 위치 중 어느 하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배면 섹션에 대해 상기 유지 장치(29)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29)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위치는 적어도 제1 및 제2 로킹 위치를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29)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장치를 통해 적어도 두 위치에 로킹될 수 있는, 차일드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별 위치는 개별 리셉터클에 의해 한정되는, 차일드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29)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를 통해 적어도 3개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1 한계 힘이 초과되면 다음 위치가 취해지고, 제2 한계 힘이 초과되면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가 취해지는, 차일드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장치(29)는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거나 상기 헤드레스트와 함께 변위가능한, 차일드 시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로킹을 생성하기 위한 핸들 및 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
  8. 제3항에 있어서, 한계 힘을 극복할 때, 2개의 래칭 부재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은 소성 또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거나 파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상보적인 래칭 부재를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
  9.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래칭 부재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웨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웨브 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웨브 또는 상기 웨브 돌기는 소정의 한계 힘이 초과되면 변형되거나 파괴되어 상기 유지 장치가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상보적인 래칭 부재를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29)는 적어도 제1, 제2 및 제3 위치의 적어도 3개의 로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변위를 위한 한계 힘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의 변위를 위한 한계 힘보다 적어도 5% 만큼 높거나 또는 낮은, 차일드 시트.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힘-제한 수단은 한계 힘이 초과될 때 로킹 부재(11)가 로킹 위치로부터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되고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힘-제한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록하거나 사다리꼴 형태의 로킹 부재(11)를 가지는, 차일드 시트.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힘-제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한계 힘은 적어도 500 N 또는 최대 21000 N인, 차일드 시트.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에 의해 의도적으로 구동 전에 설정될 수 있는 유지 장치의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힘-제한 수단의 작용에 의한 충격의 경우에 가정된 위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할 수 있고,
    조정 장치는 벨트 길이 또는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위치를 한정하고 한계 힘이 초과될 때 상이한 위치를 차지하도록 장착되는 조정 요소를 포함하거나,
    힘-제한 수단은 유지 장치 상의 견부 스트랩으로부터 작용하는 소정의 한계 힘이 초과될 때 상기 유지 장치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힘-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힘-제한 부재는 복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차일드 시트.
KR1020187017991A 2015-12-23 2016-12-22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차일드 시트 KR102490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5107068.3U DE202015107068U1 (de) 2015-12-23 2015-12-23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DE202015107068.3 2015-12-23
PCT/EP2016/082490 WO2017109137A1 (de) 2015-12-23 2016-12-22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688A KR20180099688A (ko) 2018-09-05
KR102490158B1 true KR102490158B1 (ko) 2023-01-19

Family

ID=55274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991A KR102490158B1 (ko) 2015-12-23 2016-12-22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차일드 시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25636B2 (ko)
EP (1) EP3393864B1 (ko)
JP (1) JP7274861B2 (ko)
KR (1) KR102490158B1 (ko)
CN (1) CN108698558B (ko)
DE (1) DE202015107068U1 (ko)
ES (1) ES2959756T3 (ko)
PL (1) PL3393864T3 (ko)
WO (1) WO2017109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107068U1 (de) 2015-12-23 2016-01-20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CN112046355A (zh) * 2019-06-05 2020-12-08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位置调节方法及装置
CN110466400B (zh) * 2019-09-20 2024-03-22 安徽永驰婴童科技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及椅背俯仰角度调节机构
CN116118583A (zh) * 2021-11-12 2023-05-16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2841A1 (en) 2013-03-11 2014-09-11 Inspired Products Group, LLC Child Safety Seat With Shock Absorber Having Compression-Type Soft Material Resilient Member
US20150076875A1 (en) * 2013-09-13 2015-03-19 Chin-Ming Cheng Safety belt buffering device and vehicle safety seat having the safety belt buffe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3641A1 (de) * 1990-07-25 1992-01-30 Christoph Dr Med Salat Kindersitz fuer kraftfahrzeuge
GB9103841D0 (en) * 1991-02-23 1991-04-10 Britax Roemer Kindersicherheit Gmbh Shock absorber for vehicle seat belt
DE29608030U1 (de) 1996-05-03 1996-09-05 Trw Repa Gmbh Kindersitz
JP2001097086A (ja) * 1999-09-28 2001-04-10 Combi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1239920A (ja) * 2000-02-28 2001-09-04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アンカ装置
DE10107874B4 (de) 2001-02-20 2007-09-06 Daimlerchrysler Ag Sicherheitsgurtsystem für Kindersitze
EP1285810B1 (en) * 2001-08-21 2007-11-07 Britax Excelsior Limited Child safety seat
JP4902070B2 (ja) * 2001-08-22 2012-03-21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GB0204383D0 (en) * 2002-02-26 2002-04-10 Britax Roemer Kindersicherheit Gmbh Shoulder pad for vehicle
GB0413938D0 (en) * 2004-06-19 2004-07-28 Britax Excelsior Child safety seat
DE102005025570B4 (de) 2005-06-03 2008-05-29 Daimler Ag Kindersitz für Fahrzeuge
DE102005038814A1 (de) 2005-08-17 2007-02-22 Günter Till GmbH & Co. KG Kraftbegrenzer für Kindersitzgurte bei Unfällen
US7472952B2 (en) * 2005-09-09 2009-01-06 Britax Child Safety, Inc. Safety seat
DE202008008884U1 (de) * 2008-10-20 2009-01-02 Curt Würstl Vermögensverwaltungs-Gmbh & Co. Kg Mittel zum Absorbieren der auf einen Sicherheitsgurt an einem Kindersicherheitssitz auftretenden Aufprallkräfte
NL1036865C2 (en) 2009-04-16 2010-10-19 Maxi Miliaan Bv Child vehicle seat.
DE102009017601B4 (de) * 2009-04-16 2011-06-22 RECARO GmbH & Co. KG, 73230 Fahrzeugkindersitz
CN102985286B (zh) * 2010-03-24 2015-12-16 谛欧诺有限责任公司 倾斜骑倒式儿童座椅
US8662582B2 (en) * 2010-11-24 2014-03-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tch anchor inertial lock and pretensioner
US8496293B2 (en) * 2010-12-13 2013-07-30 Cosco Management, Inc. Energy-dissipation system for juvenile vehicle seat
US8573693B2 (en) * 2010-12-21 2013-11-05 Cosco Management, Inc. Adjustable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US8764108B2 (en) * 2011-03-22 2014-07-01 Cosco Management, Inc. Adjustable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seat
CN204580651U (zh) * 2012-06-07 2015-08-26 菲尔和特德设计有限公司 将儿童固定到座椅的安全带、车辆车厢、车辆座椅及推车
JP5643282B2 (ja) * 2012-11-29 2014-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ショルダーパッド
JP5643281B2 (ja) * 2012-11-29 2014-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ハーネスカバー
JP5705815B2 (ja) * 2012-11-29 2015-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
US8911015B2 (en) * 2013-03-05 2014-12-16 Yochanan Cohen Car seat
US9586505B2 (en) * 2013-03-15 2017-03-0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Harness tensioner for child safety seat
CN104627117B (zh) * 2013-11-13 2018-02-09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缓冲机构及儿童安全座椅
EP2883758B1 (en) * 2013-12-10 2016-05-04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Safety belt buffering mechanism and related vehicle safety chair
CN203666434U (zh) * 2013-12-19 2014-06-25 宝钜(中国)儿童用品有限公司 支撑装置及具有该支撑装置的儿童汽车安全椅
DE202015107068U1 (de) 2015-12-23 2016-01-20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US10173553B2 (en) * 2016-01-26 2019-01-08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Harness tightening system for car seats
US10293713B2 (en) * 2016-10-19 2019-05-21 Dorel Juvenile Group, Inc. Child-restraint harn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2841A1 (en) 2013-03-11 2014-09-11 Inspired Products Group, LLC Child Safety Seat With Shock Absorber Having Compression-Type Soft Material Resilient Member
US20150076875A1 (en) * 2013-09-13 2015-03-19 Chin-Ming Cheng Safety belt buffering device and vehicle safety seat having the safety belt buffe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8558A (zh) 2018-10-23
EP3393864A1 (de) 2018-10-31
PL3393864T3 (pl) 2024-01-15
CN108698558B (zh) 2022-01-11
WO2017109137A1 (de) 2017-06-29
KR20180099688A (ko) 2018-09-05
DE202015107068U1 (de) 2016-01-20
EP3393864C0 (de) 2023-07-26
US10625636B2 (en) 2020-04-21
JP7274861B2 (ja) 2023-05-17
ES2959756T3 (es) 2024-02-28
EP3393864B1 (de) 2023-07-26
JP2018538199A (ja) 2018-12-27
US20180370393A1 (en)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3293B1 (en) Child safety seat
KR102490158B1 (ko)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차일드 시트
US11560073B2 (en) Child safety seat or baby carrier for mounting on a motor vehicle seat and side impact bar for such a seat
EP3345784B1 (en) Child car seat
JP5420579B2 (ja) エネルギー吸収装置を備えた安全チャイルドシート
US9085250B2 (en) Base for child safety carrier
US20140021758A1 (en) Child Safety Seat
WO2008054526A1 (en) Seat belt system for a vehicle
EP2719576A1 (en) Vehicle with an adjustable seat belt system and a seat belt system
KR100850045B1 (ko) 비관성 해제형 안전구속벨트 버클
US10086722B2 (en) Child restraint
WO2004113119A2 (en) Non-inertial release safety restraint belt buckle system
EP2015959B1 (en) Bracket system adapted for use in a raising and lowering mechanism of an adjustable headrest of a vehicle seat
US11878611B2 (en) Retaining device, base and carrier
EP2772389B1 (en) Child safety seat
CN109415031B (zh) 安全带张紧和吸震装置及包括该装置的儿童座椅
KR200209010Y1 (ko) 헤드레스트 조립체
CN112440841A (zh) 安全座椅头部保护装置和安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