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176B1 - 리튬 이온 전기 저장 장치용 전극 바인더 슬러리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전기 저장 장치용 전극 바인더 슬러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176B1
KR102484176B1 KR1020207003530A KR20207003530A KR102484176B1 KR 102484176 B1 KR102484176 B1 KR 102484176B1 KR 1020207003530 A KR1020207003530 A KR 1020207003530A KR 20207003530 A KR20207003530 A KR 20207003530A KR 102484176 B1 KR102484176 B1 KR 102484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lurry composition
addition polymer
slurr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968A (ko
Inventor
스튜어트 디 헬링
스콧 더블유 시스코
제이콥 더블유 모힌
샨티 스와루프
칼럼 에이치 먼로
올리비아 린 존스
라이언 티 플라지오
Original Assignee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1704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8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vinylidene fluor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01G11/06Hybrid capacitors with one of the electrodes allowing ions to be reversibly doped thereinto, e.g. lithium ion capacitors [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8Carbon pastes or blends; Binders or additive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5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lithium-ion capacitors, e.g. for lithium-doping or for interca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56Non-aqueous solutions or disper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01G11/60Liqu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 및/또는 전기전도성 제제; 및 (b) (i) 액체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ii)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 및 전기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전기 저장 장치용 전극 바인더 슬러리 조성물
본 발명은 전기 저장 장치(예컨대 배터리)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극의 제조를 위한 플루오로 중합체(예컨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산업에서는 더 작고 더 가벼운 배터리로 구동되는 소형 장치를 생산하려는 추세가 있다. 음극(예컨대 탄소질 물질) 및 양극(예컨대 리튬 금속 산화물)을 갖는 배터리는 비교적 높은 전력 및 낮은 중량을 제공할 수 있다.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는, 이의 탁월한 전기화학적 저항성으로 인하여, 전기 저장 장치에서 사용되는 전극을 형성하는 데 유용한 바인더가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형적으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는 유기 용매에 용해되며, 전극 물질(즉, 리튬 이온 배터리에 대한 양극의 경우 전기화학적 활성 리튬 화합물 및 탄소질 물질)은 PVDF 용액과 합해져 슬러리를 형성하고, 이는 금속 호일 또는 메쉬에 도포되어 전극을 형성한다.
유기 용매의 역할은, 유기 용매의 증발시 전극 물질 입자와 금속 호일 또는 메쉬 사이에서 양호한 접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PVDF를 용해시키는 것이다. 현재, 선택되고 있는 유기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NMP)이다. NMP에 용해된 PVDF 바인더는 우수한 접착력 및 전극 조성물의 모든 활성 성분의 상호 연결성을 제공한다. 결합된 성분들은 전극 내에서 상호 연결성을 상실하지 않고서도 충전 및 방전 주기 동안 다량의 부피 팽창 및 수축을 허용할 수 있다. 전극의 활성 성분의 상호 연결성은, 특히 충전 및 방전 주기 동안에, 전자가 전극을 통해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 성능에서 매우 중요하며, 리튬 이온 이동도는 전극 내에서 입자 사이의 상호 연결성을 필요로 한다.
불행하게도, NMP는 독성 물질이며, 건강 및 환경적 문제를 야기한다. PVDF 바인더용 용매로서 NMP를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NMP는 많은 다른 유기 용매에 거의 가용성이 아닌 PVDF를 용해시키는 이의 능력에 있어 다소 독특하다.
NMP 이외의 유기 용매에서의 전극-형성 공정에서 PVDF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PVDF는 희석제에 분산되어야 한다. 그러나, 분산액은 현재의 제조 방식과 호환가능해야 하며, 중간체 및 최종 생성물의 목적하는 특성을 제공해야 한다. 몇몇 일반적인 기준은 하기를 포함한다: (a) 충분한 저장 수명을 갖는 플루오로 중합체 분산액의 안정성, (b) 전기전도성 분말과 분산액을 혼합한 후 슬러리의 안정성, (c) 양호한 도포 특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슬러리의 적절한 점도, 및 (d) 전극 내에서 충분한 상호 연결성.
또한, 전극이 전기 저장 장치에서 조립된 후에, 상기 장치는 실질적으로 수분을 함유하지 않고 수분을 유인할 수 있는 친수성 기를 함유하지 않아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및 상호 연결성을 갖는 기타 전기 저장 장치를 위한 고품질 전극을 생산하기 위한, 적합한 도포 특성을 갖는, 전극-형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바인더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NMP의 대안물을 사용한 안정한 PVDF 분산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 및 (b) (i) 액체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ii)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전기전도성 제제; 및 (b) (i) 액체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ii)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집전기; 및 (b) 상기 집전기 상에 형성된 필름을 포함하는 전극을 추가로 제공하되, 상기 필름은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 (i) 액체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ii)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 및 전기전도성 제제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로부터 증착된다.
또한, 본 발명 (a) 집전기 및 상기 집전기 상에 형성된 필름을 포함하는 전극(여기서, 상기 필름은 활성 물질; 전기전도성 제제; 및 (i) 액체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ii)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로부터 증착된다); (b) 상대 전극; 및 (c)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Log 점도 대 온도의 일차 도함수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피크 최대값은 x 좌표로부터 1,2,3-트라이아세톡시프로판(트라이아세틴(triacetin))에 분산된 PVDF의 용해 온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 및 (i) 액체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ii)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슬러리 조성물은 임의적으로 추가로 전기전도성 제제 및/또는 접착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슬러리 조성물은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슬러리에 함유된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로 이루어진 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합한 물질은 관심 전기 저장 장치의 유형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은 양극용 활성 물질로서 사용하기 위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은 리튬을 혼입시킬 수 있는 물질(리튬 삽입/삽입 제거를 통한 혼입을 포함함), 리튬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리튬을 혼입시킬 수 있는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는 LiCoO2, LiNiO2, LiFePO4, LiCoPO4, LiMnO2, LiMn2O4, Li(NiMnCo)O2, Li(NiCoAl)O2, 탄소-코팅된 LiFePO4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리튬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는 황, LiO2, FeF2 및 FeF3, Si, 알루미늄, 주석, SnCo, Fe3O4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은 음극용 활성 물질로서 사용가히 위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은 그래파이트, 리튬 티타네이트, 규소 화합물, 주석, 주석 화합물, 황, 황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은 슬러리의 총 고체 중량을 기준으로 45 내지 95 중량%, 예컨대 70 내지 98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인더는 액체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플루오로 중합체는 슬러리 조성물을 위한 바인더의 전부 또는 성분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플루오로 중합체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잔기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잔기를 포함하는(공)중합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중합체(PVDF)이다. 본원에 사용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중합체"는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예컨대 2원 공중합체 및 3원 중합체, 예컨대 고 분자량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및 3원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중합체는 50 몰% 이상, 예컨대 75 몰% 이상, 80 몰% 이상 또는 85 몰% 이상의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잔기(비닐리덴 다이플루오라이드로도 공지됨)를 함유하는 것을 포함한다.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단량체는 본 발명의 플루오로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트라이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라이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펜, 비닐 플루오라이드, 펜타플루오로프로펜,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퍼플루오로메틸 비닐 에터, 퍼플루오로프로필 비닐 에터,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용이하게 공중합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다. 또한, 플루오로 중합체는 PVDF 단독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루오로 중합체는 50,000 g/mol 이상, 예컨대 100,000 g/mol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고 분자량 PVDF를 포함할 수 있고, 50,000 내지 1,500,000 g/mol, 예컨대 100,000 내지 1,000,000 g/mol 범위일 수 있다. PVDF는 예를 들어 아르케마(Arkema)로부터 상표 KYNAR 하에, 및 이너 몽골리아 3F 완하오 플루오로케미컬 컴패니 리미티드(Inner Mongolia 3F Wanhao Fluorochemical Co., Ltd.)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플루오로 중합체는 나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나노 입자"는 1,000 nm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를 지칭한다. 플루오로 중합체는 50 nm 이상, 예컨대 100 nm 이상, 예컨대 250 nm 이상, 예컨대 300 nm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고, 900 nm 이하, 예컨대 600 nm 이하, 예컨대 450 nm 이하, 예컨대 400 nm 이하, 예컨대 300 nm 이하, 예컨대 200 nm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플루오로 중합체 나노 입자는 50 내지 900 nm, 예컨대 100 내지 600 nm, 예컨대 250 내지 450 nm, 예컨대 300 내지 400 nm, 예컨대 100 내지 400 nm, 예컨대 100 내지 300 nm, 예컨대 100 내지 200 nm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입자 크기"는 플루오로 중합체 입자의 평균 직경을 지칭한다. 본원에 언급된 입자 크기는 하기 절차에 의해 결정되었다: 알루미늄 주자 전자 현미경(SEM) 스텁에 부착된 탄소 테이프 절편 상에 플루오로 중합체를 분산시킴으로써 샘플을 제조하였다. 압축 공기를 탄소 테이프에 불어 초과량의 입자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Au/Pd에 의해 20초 동안 스퍼터 코팅한 후에, Quanta 250 FEG SEM(필드 방사 총 주자 전자 현미경)으로 고 진공 하에 분석하였다. 가속 전압을 20.00 kV로 설정하고, 스팟 크기를 3.0으로 설정하였다. 이미지를 제조한 샘플 상의 3개의 상이한 영역으로부터 수집하고, ImageJ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총 30개의 입자 크기 측정치를 위해 각각의 영역으로부터 10개의 플루오로 중합체 입자의 직경을 측정하고, 이를 함께 평균내어 평균 입자 크기를 결정하였다.
플루오로 중합체는 바인더 고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100 중량%, 예컨대 40 내지 96 중량%, 예컨대 5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바인더에 존재할 수 있다.
슬러리 조성물의 액체 매질은 유기 매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유기 매질"은 유기 매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초과의 물을 포함하는 액체 매질을 지칭한다. 이러한 유기 매질은 유기 매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미만의 물, 30 중량% 미만의 물, 20 중량% 미만의 물, 10 중량% 미만의 물, 5 중량% 미만의 물, 1 중량% 미만의 물 또는 0.1 중량% 미만의 물을 포함할 수 있거나 물을 미함유할 수 있다. 유기 용매는 유기 매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유3기 매질의 50 중량% 초과, 예컨대 70 중량% 이상, 예컨대 80 중량% 이상, 예컨대 90 중량% 이상, 예컨대 95 중량% 이상, 예컨대 99 중량% 이상, 예컨대 99.9 중량% 이상, 예컨대 100 중량%를 차지한다. 유기 용매는 유기 매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1 내지 100 중량%, 예컨대 70 내지 100 중량%, 예컨대 80 내지 100 중량%, 예컨대 90 내지 100 중량%, 예컨대 95 내지 100 중량%, 예컨대 99 내지 100 중량%, 예컨대 99.9 내지 100 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유기 매질은 예를 들어 케톤, 예컨대 메틸 에틸 케톤, 사이클로헥산온 및 이소포론, 에터, 예컨대 에틸렌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C1 내지 C4 알킬 에터, 부틸 피롤리돈, 트라이알킬 포스페이트, 1,2,3-트라이아세톡시프로판, 3-메톡시-N,N-다이메틸프로판아미드,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감마-부티로락톤,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다이메틸 아디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아세테이트, 이염기 에스터(DBE), 이염기 에스터 5(DBE-5), 4-하이드록시-4-메틸-2-펜탄온(다이아세톤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아세테이트, 다이메틸 프탈레이트, 메틸 이소아밀 케톤,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1-에톡시-2-프로판올,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메틸 에터, 포화 및 불포화 선형 및 환형 케톤(이들의 혼합물로서 이스트만(Eastman, 상표) C-11 케톤으로 이스트만 케미컬 컴패니(Eastman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 다이이소부틸 케톤, 아세테이트 에스터(엑세이트(Exxate, 상표) 1000으로서 할스타(Hallstar)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터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지거나 이들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라이알킬 포스페이트는 예를 들어 트라이메틸포스페이트,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 트라이프로필포스페이트, 트라이부틸포스페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매질은 임의적으로 유기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의 용해 온도에서 10 g/min m2 미만의 증발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증발 속도는 ASTM D3539(1996)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기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의 용해 온도는 온도의 함수로서 혼합물의 복소 점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유기 매질에서 혼합된 (다른 유형의 중합체에 더하여) 플루오로 중합체에 적용될 수 있되, 여기서 상기 혼합물의 비휘발성 고체 내용물의 총 질량은 혼합물의 총 질량의 44 내지 46%, 예컨대 45%이다. 복소 점도는 50-mm 콘 및 온도-제어된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안톤-파르(Anton-Paar) MCR301 유량계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플루오로 중합체 혼합물의 복소 점도는 35℃ 내지 75℃ 이상의 온도 범위에 걸쳐 10℃/분의 온도 증가비, 1 Hz의 진동수 및 90 Pa의 응력 진폭 한계값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유기 매질에서 플루오로 중합체의 용해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른 복소 점도의 급격한 증가에 의해 표시된다. 용해 온도는 온도가 증가할 때 점도의 변화비가 최고값일 때의 온도로서 정의되며, 온도에 대한 Log10 복소 점도의 일차 도함수가 최대값에 도달할 때의 온도를 결정함으로써 계산된다. 도 1은 Log10 점도의 일차 도함수 대 온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며, 여기서 피크 최대값은 x 좌표로부터 유기 매질 1,2,3-트라이아세톡시프로판(트라이아세틴)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이너 몽골리아 3F 완하오 플루오로케미컬 컴패니 리미티드의 PVDF T-1)의 용해 온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하기 표는 상기 방법에 따라 이너 몽골리아 3F 완하오 플루오로케미컬 컴패니 리미티드의 PVDF T-1(PVDF T-1은 약 330 내지 380 nm의 입자 크기 및 약 130,000 내지 16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을 열거된 다양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에서 사용하여 결정된 용해 온도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12410161-pct00001
유기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의 용해 온도는 77℃ 미만, 예컨대 70℃ 미만, 예컨대 65℃ 미만, 예컨대 60℃ 미만, 예컨대 55℃ 미만, 예컨대 50℃ 미만일 수 있다. 유기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의 용해 온도는 30℃ 내지 77℃, 예컨대 30℃ 내지 70℃, 예컨대 30℃ 내지 65℃, 예컨대 30℃ 내지 60℃, 예컨대 30℃ 내지 55℃, 예컨대 30℃ 내지 50℃ 범위일 수 있다. 용해 온도는 상기에 논의된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유기 매질은 예를 들어 부틸 피롤리돈, 트라이알킬 포스페이트, 1,2,3-트라이아세톡시프로판, 3-메톡시-N,N-다이메틸프로판아미드,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감마-부티로락톤,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사이클로헥산온,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다이메틸 아디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아세테이트, 이염기 에스터(DBE), 이염기 에스터 5(DBE-5), 4-하이드록시-4-메틸-2-펜탄온(다이아세톤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아세테이트, 다이메틸 프탈레이트, 메틸 이소아밀 케톤,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1-에톡시-2-프로판올,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메틸 에터, 포화 및 불포화 선형 및 환형 케톤(이들의 혼합물로서 이스트만(상표) C-11 케톤으로 이스트만 케미컬 컴패니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 다이이소부틸 케톤, 아세테이트 에스터(엑세이트(상표) 1000으로서 할스타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터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트라이알킬 포스페이트는 예를 들어 트라이메틸포스페이트,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 트라이프로필포스페이트, 트라이부틸포스페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매질은 예를 들어 부틸 피롤리돈, 트라이알킬 포스페이트, 1,2,3-트라이아세톡시프로판, 3-메톡시-N,N-다이메틸프로판아미드,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감마-부티로락톤,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사이클로헥산온,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다이메틸 아디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아세테이트, 이염기 에스터(DBE), 이염기 에스터 5(DBE-5), 4-하이드록시-4-메틸-2-펜탄온(다이아세톤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아세테이트, 다이메틸 프탈레이트, 메틸 이소아밀 케톤,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1-에톡시-2-프로판올,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메틸 에터, 포화 및 불포화 선형 및 환형 케톤(이들의 혼합물로서 이스트만(상표) C-11 케톤으로 이스트만 케미컬 컴패니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 다이이소부틸 케톤, 아세테이트 에스터(엑세이트(상표) 1000으로서 할스타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터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거나 본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라이알킬 포스페이트는 예를 들어 트라이메틸포스페이트,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 트라이프로필포스페이트, 트라이부틸포스페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매질은 주용매 및 조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분산된 상으로서 플루오로 중합체를 갖는 균질 연속 상을 형성한다. 주용매 및 조용매, 및 이들의 적절한 양은 실온(즉, 약 23℃)에서 유기 매질 중의 플루오로 중합체의 분산액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주용매 및 조용매 모두는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플루오로 중합체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주용매에 가용성일 수 있으나, 조용매를 주용매와 함께 사용하는 것은 플루오로 중합체가 유기 매질에서 안정하게 분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주용매는 예를 들어 부틸 피롤리돈, 트라이알킬포스페이트, 3-메톡시-N,N-다이메틸프로판아미드, 1,2,3-트라이아세톡시프로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지거나 본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용매는 예를 들어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감마-부티로락톤 및/또는 글리콜 에터,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터,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터, 에틸렌 글리콜 모노헥실 에터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지거나 본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용매는, 유기 매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 예컨대 65 중량% 이상, 예컨대 75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99 중량% 이하, 예컨대 90 중량% 이하, 예컨대 8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주용매는 유기 매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99 중량%, 예컨대 65 내지 90 중량%, 예컨대 75 내지 8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조용매는 1 중량% 이상, 예컨대 10 중량% 이상, 예컨대 15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50 중량% 이하, 예컨대 35 중량% 이하, 예컨대 2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조용매는 유기 매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 예컨대 10 내지 35 중량%, 예컨대 1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매질은 180℃에서 80 g/min m2 초과, 예컨대 180℃에서 90 g/min m2 초과, 예컨대 180℃에서 100 g/min m2 초과의 증발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액체 매질은 수성 매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수성 매질"은 액체 매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의 물을 포함하는 액체 매질을 지칭한다. 이러한 수성 매질은 수성 매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미만의 유기 용매, 30 중량% 미만의 유기 용매, 20 중량% 미만의 유기 용매, 10 중량% 미만의 유기 용매, 5 중량% 미만의 유기 용매, 1 중량% 미만의 유기 용매 또는 0.1 중량% 미만의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거나, 유기 용매를 미함유할 수 있다. 물은 수성 매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수성 매질의 50 중량% 초과, 예컨대 60 중량% 이상, 예컨대 70 중량% 이상, 예컨대 80 중량% 이상, 예컨대 90 중량% 이상, 예컨대 95 중량% 이상, 예컨대 99 중량% 이상, 예컨대 99.9 중량% 이상, 예컨대 100 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물은 수성 매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1 내지 100 중량%, 예컨대 70 내지 100 중량%, 예컨대 80 내지 100 중량%, 예컨대 90 내지 100 중량%, 예컨대 95 내지 100 중량%, 예컨대 99 내지 100 중량%, 예컨대 99.9 내지 100 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유기 매질은, 슬러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예컨대 15 중량% 이상, 예컨대 20 중량% 이상, 예컨대 30 중량% 이상, 예컨대 35 중량% 이상, 예컨대 4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80 중량% 이하, 예컨대 70 중량% 이하, 예컨대 60 중량% 이하, 예컨대 50 중량% 이하, 예컨대 45 중량% 이하, 예컨대 45 중량% 이하, 예컨대 40 중량% 이하, 예컨대 35 중량% 이하, 예컨대 29 중량% 이하, 예컨대 2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유기 매질은 슬러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예컨대 20 내지 80 중량%, 10 내지 70 중량%, 예컨대 30 내지 70 중량%, 예컨대 35 내지 60 중량%, 예컨대 40 내지 50 중량%, 15 내지 60 중량%, 15 내지 50 중량%, 15 내지 45 중량%, 15 내지 40 중량%, 15 내지 35 중량%, 15 내지 29 중량%, 1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슬러리 조성물은 N-메틸-2-피롤리돈(NMP)을 실질적으로 미함유하거나 본질적으로 미함유하거나 완전히 미함유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슬러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NMP가 기껏해야 5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는 경우 슬러리 조성물은 NMP를 "실질적으로 미함유"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슬러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NMP가 기껏해야 0.3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는 경우, 슬러리 조성물은 NMP를 "본질적으로 미함유"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슬러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NMP가 슬러리 조성물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즉, 0.0 중량%), 슬러리 조성물은 NMP를 "완전히 미함유"한다.
슬러리 조성물은 케톤, 예컨대 메틸 에틸 케톤, 사이클로헥산온, 이소포론, 아세토페논을 실질적으로 미함유하거나 본질적으로 미함유하거나 완전히 미함유할 수 있다.
슬러리 조성물은 에터, 예컨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의 C1 내지 C4 알킬 에터를 실질적으로 미함유하거 본질적으로 미함유하거나 완전히 미함유할 수 있다.
슬러리 조성물은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헤테로환형 기를 포함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하나 이상의 알파,베타-에틸렌성 불포화 기, 및 고리 구조에 탄소 원자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원자, 예컨대 산소, 질소 또는 황을 갖는 하나 이상의 환형 잔기를 갖는 단량체를 지칭한다. 헤테로환형 기를 포함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특히 에폭시 작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비닐 피롤리돈 및 비닐 카프로락탐을 포함한다.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는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플루오로 중합체 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전기전도성 제제 또는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을 액체 매질에 분산시키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는 슬러리 조성물 바인더의 성분일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플루오로 중합체 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슬러리 조성물의 다른 성분, 예컨대 전기전도성 제제 또는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과 상용성인 하나 이상의 상을 포함할 수 있고, 액체 매질에 상용성인 하나 이상의 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슬러리 조성물은 1, 2, 3 또는 4개 이상의 부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부가 중합체는 슬러리 조성물의 상이한 성분을 분산시키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플루오로 중합체 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전기전도성 제제 또는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 및 액체 매질 모두에 상용성인 상을 갖는 임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상용성"은 실질적으로 균질적이거나 시간이 흘러도 실질적으로 균질적인 다른 물질과의 블렌드를 형성하는 물질의 능력을 의미한다. 플루오로 중합체 및 부가 중합체는 공유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부가 중합체는 이러한 상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는 블록 중합체, 랜덤 중합체 또는 구배 중합체의 형태일 수 있되, 중합체의 상이한 블록에 존재하는 상은 각각 중합체에 걸쳐 무작위로 포함되거나, 계속해서 더 밀집하거나 덜 밀집하게 중합체 주쇄를 따라 존재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부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중합체는 슬러리 조성물의 바인더의 추가적 성분으로서 작용할 수 있고, 부가 중합체는 분산제 또는 바인더, 또는 둘 모두로서 기능하는지에 관계 없이 바인더의 부분으로 간주된다.
부가 중합체는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야기된 헤테로환형 기에 더하여 작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작용기는 예를 들어 활성 수소 작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활성 수소 작용기"는 문헌[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Vol. 49, page 3181 (1927)]에 기재된 제레비티노프(Zerewitinoff) 시험에 의해 결정시 이소시아네이트에 반응성인 것으로 결정된 기를 지칭하고,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 기, 일차 또는 이차 아미노 기, 카복시산 기 및 티올 기를 포함한다.
산 작용기가 존재하는 경우, 부가 중합체는 350 g/산 당량 이상, 예컨대 878 g/산 당량 이상, 예컨대 1,757 g/산 당량 이상의 이론적 산 당량 중량을 가질 수 있고, 17,570 g/산 당량 이하, 예컨대 12,000 g/산 당량 이하, 예컨대 7,000 g/산 당량 이하의 이론적 산 당량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350 내지 17,570 g/산 당량, 예컨대 878 내지 12,000 g/산 당량, 예컨대 1,757 내지 7,000 g/산 당량의 이론적 산 당량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 예컨대 하기에 논의되는 것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고 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단량체의 반응 혼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량체의 혼합물은 하나 이상의 활성 수소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은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예컨대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 및 하기에 기재되는 다른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부가 중합체는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한다.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특히 에폭시 작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예컨대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피롤리돈 및 비닐 카프로락탐을 포함한다.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예컨대 0.5 중량% 이상, 예컨대 1 중량% 이상, 예컨대 5 중량% 이상, 예컨대 8 중량% 이상을 차지할 수 있고, 99 중량% 이하, 예컨대 50 중량% 이하, 예컨대 40 중량% 이하, 예컨대 30 중량% 이하, 예컨대 27 중량% 이하를 차지할 수 있다.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99 중량%, 예컨대 1 내지 99 중량%, 예컨대 0.1 내지 50 중량%, 예컨대 0.5 내지 50 중량%, 예컨대 1 내지 40 중량%, 예컨대 5 내지 30 중량%, 8 내지 27 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반응 혼합물에 사용된 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99 중량%, 예컨대 1 내지 99 중량%, 예컨대 0.1 내지 50 중량%, 예컨대 0.5 내지 50 중량%, 예컨대 1 내지 40 중량%, 예컨대 5 내지 30 중량%, 8 내지 27 중량%의 양으로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부가 중합체가 하나 이상의 헤테로환형 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헤테로환형 기에 반응성인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 상기 헤테로환형 기와의 반응에 의해 부가 중합체 상에 그래프팅될 수 있다. 화합물의 작용기는 예를 들어 티올, 아미노, 하이드록시, 산, 예컨대 카복시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폭사이드 작용기가 부가 중합체 상에 존재하는 경우, 부가 중합체 상의 에폭사이드 작용기는 작용기, 예컨대 티올, 아미노, 하이드록시, 카복시산과 반응할 수 있다. 에폭사이드 작용기의 개환 반응은 부가 중합체 상의 하이드록시 작용기를 생성할 것이다. 상기 헤테로환형 기에 반응성인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티올, 알코올, 아민을 포함하고, 산의 비제한적인 예는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또는 방향족 산, 예컨대 베타-하이드록시 작용성 산, 예컨대 3-하이드록시-2-나프토산을 포함한다.
부가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 단량체 및 임의적으로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알파,베타-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반응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메트)아크릴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알킬 에스터 등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로부터 유도되거나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단량체의 혼합물은 활성 수소 기-함유 (메트)아크릴 단량체, 헤테로환형 기를 포함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및 기타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알파,베타-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시산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알파,베타-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시산의 비제한적인 예는 1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것, 예컨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포함한다. 기타 불포화 산의 비제한적인 예는 알파,베타-에틸렌성 불포화 다이카복시산, 예컨대 말레산 또는 이의 무수물, 퓨마르산 및 이타콘산이다. 또한, 이들 다이카복시산의 하프 에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알파,베타-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시산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예컨대 2 중량% 이상, 예컨대 5 중량% 이상을 차지할 수 있고, 50 중량% 이하, 예컨대 20 중량% 이하, 예컨대 10 중량% 이하, 예컨대 5 중량% 이하를 차지할 수 있다. 알파,베타-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시산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 2 내지 50 중량%, 예컨대 2 내지 20 중량%, 예컨대 2 내지 10 중량%, 예컨대 2 내지 5 중량%, 예컨대 1 내지 5 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반응 혼합물에 사용된 중합가능한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알파,베타-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시산을 1 내지 50 중량%, 2 내지 50 중량%, 예컨대 2 내지 20 중량%, 예컨대 2 내지 10 중량%, 예컨대 2 내지 5 중량%, 예컨대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부가 중합체에 알파,베타-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시산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시키는 것은, 분산액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카복시산 기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를 야기한다.
부가 중합체는 알킬 기에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알킬 기에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의 비제한적인 예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알킬 기에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예컨대 20 중량% 이상, 예컨대 30 중량% 이상, 예컨대 40 중량% 이상, 예컨대 45 중량% 이상, 예컨대 50 중량% 이상을 차지할 수 있고, 99 중량% 이하, 예컨대 98 중량% 이하, 예컨대 96 중량% 이하, 예컨대 90 중량% 이하, 예컨대 80 중량% 이하, 예컨대 75 중량% 이하를 차지할 수 있다. 알킬 기에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99 중량%, 예컨대 1 내지 90 중량%, 예컨대 20 내지 98 중량%, 예컨대 30 내지 96 중량%, 예컨대 30 내지 90 중량%, 40 내지 90 중량%, 예컨대 40 내지 80 중량%, 예컨대 45 내지 75 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반응 혼합물에 사용된 중합가능한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알킬 기에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를 1 내지 99 중량%, 예컨대 1 내지 90 중량%, 예컨대 20 내지 98 중량%, 예컨대 30 내지 96 중량%, 예컨대 30 내지 90 중량%, 40 내지 90 중량%, 예컨대 40 내지 80 중량%, 예컨대 45 내지 7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알킬 기에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알킬 기에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의 비제한적인 예는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알킬 기에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 이상, 예컨대 5 중량% 이상, 예컨대 10 중량% 이상, 예컨대 15 중량% 이상, 예컨대 20 중량% 이상을 차지할 수 있고, 70 중량% 이하, 예컨대 60 중량% 이하, 예컨대 50 중량% 이하, 예컨대 40 중량% 이하, 예컨대 35 중량% 이하를 차지할 수 있다. 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알킬 기에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70 중량%, 예컨대 2 내지 60 중량%, 예컨대 5 내지 50 중량%, 10 내지 40 중량%, 예컨대 15 내지 35 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반응 혼합물에 사용된 중합가능한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알킬 기에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를 2 내지 70 중량%, 예컨대 2 내지 60 중량%, 예컨대 5 내지 50 중량%, 10 내지 40 중량%, 예컨대 15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터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터의 비제한적인 예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터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예컨대 1 중량% 이상, 예컨대 2 중량% 이상을 차지할 수 있고, 30 중량% 이하, 예컨대 20 중량% 이하, 예컨대 10 중량% 이하, 예컨대 5 중량% 이하를 차지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터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 예컨대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2 내지 20 중량%, 2 내지 10 중량%, 예컨대 2 내지 5 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반응 혼합물에 사용된 중합가능한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터를 0.5 내지 30 중량%, 예컨대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2 내지 20 중량%, 2 내지 10 중량%, 예컨대 2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터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부가 중합체에 포함시키는 것은 (하이드록시 기가 다른 방법에 의해 포함될 수 있지만)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 기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를 야기한다.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터의 포함으로부터 야기된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혼입된) 하이드록시 기는 하이드록시 기에 반응성인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 예컨대 아미노플라스트, 페놀플라스트, 폴리에폭사이드 및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또는 하이드록시 기에 반응성인 기를 갖는 자가-가교성 단량체를 부가 중합체에 혼입시킬 때 부가 중합체에 존재하는 알콕시메틸 아미드 기 또는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토 기와 반응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부가 중합체는 자가-가교성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할 수 있고, 부가 중합체는 자가-가교 부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자가-가교성 단량체"는 부가 중합체 상에 존재하는 다른 작용기에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부가 중합체 또는 하나 초과의 부가 중합체 사이의 가교에 혼입시키는 단량체를 지칭한다. 자가-가교성 단량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N-알콕시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단량체, 예컨대 N-부톡시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이소프로폭시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뿐만 아니라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함유하는 자가-가교성 단량체,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토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여기서, 이소시아네이토 기는 경화 온도에서 차단되지 않는 화합물에 반응한다("차단된다"))를 포함한다. 적합한 차단제의 예는 엡실론-카프로락톤 및 메틸에틸 케톡심을 포함한다. 자가-가교성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예컨대 1 중량% 이상, 예컨대 2 중량% 이상을 차지할 수 있고, 30 중량% 이하, 예컨대 20 중량% 이하, 예컨대 10 중량% 이하, 예컨대 5 중량% 이하를 차지할 수 있다. 자가-가교성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 예컨대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2 내지 20 중량%, 2 내지 10 중량%, 예컨대 2 내지 5 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반응 혼합물에 사용된 중합가능한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자가-가교성 단량체를 0.5 내지 30 중량%, 예컨대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2 내지 20 중량%, 2 내지 10 중량%, 예컨대 2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 예컨대 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 알파-클로로스티렌 및 비닐 톨루엔; 유기 니트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알릴 단량체, 예컨대 알릴 클로라이드; 알릴 시아나이드; 및 단량체성 다이엔, 예컨대 1,3-부타다이엔 및 2-메틸-1,3-부타다이엔; 및 아세토아세톡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아세토아세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AAEM)(자가-가교할 수 있다)를 포함한다.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예컨대 1 중량% 이상, 예컨대 2 중량% 이상을 차지할 수 있고, 30 중량% 이하, 예컨대 20 중량% 이하, 예컨대 10 중량% 이하, 예컨대 5 중량% 이하를 차지할 수 있다.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 예컨대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2 내지 20 중량%, 2 내지 10 중량%, 예컨대 2 내지 5 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반응 혼합물에 사용된 중합가능한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0.5 내지 30 중량%, 예컨대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2 내지 20 중량%, 2 내지 10 중량%, 예컨대 2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슬러리 조성물은 임의적으로 추가로 제2 부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가 중합체는 헤테로환형 기를 미함유할 수 있고, 헤테로환형 기-함유 단량체를 제외하고, 상기에 논의된 임의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잔기를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가 중합체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알킬 기에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 잔기 50 내지 80 중량%; 알킬 기에 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메트)아크릴산알킬 에스터 잔기 20 내지 40 중량%;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터 잔기 0.1 내지 10 중량%; 및 알파,베타-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시산 잔기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알킬 기에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 잔기 30 내지 70 중량; 알킬 기에 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메트)아크릴산알킬 에스터 잔기 20 내지 50 중량%;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 1 내지 20 중량%;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터 잔기 0.1 내지 10 중량%; 및 알파,베타-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시산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알킬 기에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 잔기 20 내지 60 중량%; 알킬 기에 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메트)아크릴산알킬 에스터 잔기 25 내지 65 중량%;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 10 내지 30 중량%;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터 잔기 0.1 내지 10 중량%; 및 알파,베타-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시산 잔기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량체 및 적절한 양은, 생성된 부가 중합체가 100℃ 이하, 전형적으로 -50℃ 내지 +70℃, 예컨대 -50℃ 내지 0℃의 Tg를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0℃ 미만의 낮은 Tg는 저온에서 허용되는 배터리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는 통상적인 자유 라디칼 개시되는 용액 중합 기술에 의해(여기서, 중합가능한 단량체는 용매 또는 용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2 유기 매질에 용해되고 전환이 완료될 때까지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 하에 중합된다) 제조될 수 있다. 부가 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유기 매질은 유기 매질의 조성이 부가 중합체 용액의 첨가에 의해 변하지 않도록 슬러리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기 매질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기 매질은 슬러리 조성물의 유기 매질과 동일한 주용매 및 조용매를 동일한 비로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부가 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 제2 유기 매질은 슬러리 조성물의 유기 매질과 상이하며 별개의 것일 수 있다. 부가 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 제2 유기 매질은 임의의 적합한 유기 용매 또는 용매의 혼합물(유기 매질에 대해 상기에 논의된 것, 예컨대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를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예는 단량체의 혼합물에 가용성인 것, 예컨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알파,감마-메틸발레로니트릴),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tert-부틸 퍼아세테이트, 벤조일 퍼옥사이드, 다이-tert-부틸 퍼옥사이드 및 tert-아밀 퍼옥시 2-에틸헥실 카보네이트이다.
임의적으로, 단량체의 혼합물에 가용성인 연쇄 전달제, 예컨대 알킬 머캅탄, 예를 들어, tert-도데실 머캅탄; 케톤, 예컨대 메틸 에틸 케톤, 클로로하이드로카본, 예컨대 클로로폼이 사용될 수 있다. 연쇄 전달제는 다양한 코팅 적용례에 필요한 점도를 갖는 생성물을 제공하도록 분자량 조절을 제공한다. Tert-도데실 머캅탄이 바람직한데, 이는 Tert-도데실 머캅탄이 단량체로부터 중합체 생성물로의 높은 전환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부가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용매를 먼저 가열하여 환류시키고, 자유 라디칼 개시제를 함유하는 중합가능한 단량체의 혼합물을 상기 환류하는 용매에 서서히 첨가할 수 있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자유 단량체 함량을 예컨대 중합가능한 단량체의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미만, 일반적으로 0.5% 미만으로 감소시기키 위해 중합 온도에서 유지한다.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에서의 사용을 위해,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부가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약 5000 내지 500,000 g/mol, 예컨대 10,000 내지 100,000 g/mol, 또는 25,000 내지 5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부가 중합체는 바인더 고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20 중량%, 예컨대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바인더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슬러리 조성물은 부가 중합체와의 반응을 위해 개별적으로 첨가된 가교제를 임의적으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액체 매질에 가용성이거나 분선성이어야 하고 부가 중합체의 활성 수소 기, 예컨대 존재하는 경우 카복시산 기 및 하이드록시 기에 반응성이어야 한다. 적합한 가교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아미노플라스트 수지,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에폭사이드를 포함한다.
가교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아미노플라스트 수지의 예는 트라이아진, 예컨대 멜라민 또는 벤조구아나민을 폼알데하이드와 반응시켜 형성한 것이다. 이들 반응 생성물은 반응성 N-메틸올 기를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반응성 기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함)에 의해 에터화되어 이들의 반응성이 조정된다. 아미노플라스트 수지의 화학 제조 및 사용을 위해, 문헌["The Chemistry and Applications of Amino Crosslinking Agents or Aminoplast", Vol. V, Part II, page 21 ff., edited by Dr. Oldring; John Wiley & Sons/Cita Technology Limited, London, 1998]을 참고한다. 이들 수지는 상표 MAPRENAL(등록상표), 예컨대 MAPRENAL MF980 하에, 및 상표 CYMEL(상표), 예컨대 CYMEL 303 및 CYMEL 1128 하에 사이텍 인더스트리즈(Cytec Industries)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는 전형적으로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이들의 이소시아네이토 이량체 및 삼량체(여기서, 이소시아네이트 기는 물질, 예컨대 엡실론-카프로락톤 및 메틸에틸 케톡심에 반응한다("차단된다"))이다. 경화 온도에서, 차단제는 (메트)아크릴 중합체에 결합된 하이드록시 작용기에 반응성이 아닌 이소시아네이트를 노출시켜 차단되지 않는다.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는 코베스트로(Covestro)로부터 DESMODUR BL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폴리에폭사이드 가교제의 예는 에폭시-함유 (메트)아크릴 중합체, 예컨대 다른 비닐 단량체와 공중합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제조된 것, 다가 페놀의 폴리글리시딜 에터, 예컨대 비스페놀 A의 다이글리시딜 에터; 및 지환족 폴리에폭사이드, 예컨대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산 카복시레이트 및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아디페이트이다.
부가 중합체의 가교를 촉진시키는 것에 더하여, 가교제, 예컨대 가교성 단량체에 결합된 것 및 개별적으로 첨가된 가교제는 친수성 기, 예컨대 부가 중합체의 활성 수소 작용기에 반응성이어서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 문제점일 수 있는, 이들 기가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방지한다.
개별적으로 첨가된 가교제는 바인더에 15 중량% 이하, 예컨대 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되, 상기 중량%는 바인더 고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슬러리 조성물은 접착 촉진제를 포함한다. 접착 촉진제는 상기에 기재된 플루오로 중합체와 상이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 산 작용성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 접착 촉진제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잔기; 및 (i) (메트)아크릴산, 및/또는 (ii)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한다. (메트)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C1 내지 C5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중합체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예는 솔베이로부터 입수가능한 SOLEF 5130을 포함한다. 상기에 논의된 플루오로 중합체와 다르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는 슬러리 조성물의 유기 매질에 분산되거나 가용화될 수 있다.
산 작용성 폴리올레핀 접착 촉진제는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 예컨대 15 내지 30 중량%, 예컨대 17 내지 25 중량%, 예컨대 약 20 중량%의 아크릴산, 및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90 중량%, 예컨대 70 내지 85 중량%, 예컨대 75 내지 83 중량%, 예컨대 약 80 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중합체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예는 더 다우 케미컬 컴패니로부터 입수가능한 PRIMACOR 5980i를 포함한다.
접착 촉진제는 바인더 고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60 중량%, 20 내지 60 중량%, 예컨대 30 내지 60 중량%, 예컨대 10 내지 50 중량%, 예컨대 15 내지 40 중량%, 예컨대 20 내지 30 중량%, 예컨대 35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바인더는 전형적으로 바인더 분산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80 중량%, 예컨대 40 내지 70 중량%의 수지 고체 함량을 갖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수지 고체"는 "바인더 고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플루오로 중합체, 부가 중합체, 및 존재하는 경우 접착 촉진제, 및 개별적으로 첨가된 가교제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바인더 분산액"은 액체 매질 중의 바인더 고체의 분산액을 지칭한다. 플루오로 중합체는 40 내지 96 중량%, 예컨대 5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바인더에 존재할 수 있고; 부가 중합체는 2 내지 20 중량%, 예컨대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접착 촉진제는 10 내지 60 중량%, 20 내지 60 중량%, 예컨대 30 내지 60 중량%, 예컨대 10 내지 50 중량%, 예컨대 15 내지 40 중량%, 예컨대 20 내지 30 중량%, 예컨대 35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고; 개별적으로 첨가된 가교제는 15 중량% 이하, 예컨대 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되, 중량%는 바인더 고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액체 매질은 바인더 분산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70 중량%, 예컨대 30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바인더 분산액에 존재할 수 있다.
바인더 고체는 슬러리의 총 고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1 내지 10 중량%, 예컨대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은 임의적으로 추가로 전기전도성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전도성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탄소질 물질, 예컨대 활성탄, 카본 블랙, 예컨대 아세틸렌 블랙 및 퍼니스 블랙, 그래파이트, 그래핀, 탄소 나노 튜브, 탄소 섬유, 풀러렌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전기전도성 물질은 고 표면적, 예컨대 100 m2/g 초과의 BET 표면적을 갖는 임의의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BET 표면적"은 정기 간행물["The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60, 309 (1938)]에 기재된 브루나우어-에멧-텔러(Brunauer-Emmett-Teller) 방법을 기초로 한 ASTM D 3663-78 표준법에 따른 질소 흡착에 의해 결정된 비표면적을 지칭한다. 일부 예에서, 전도성 탄소는 100 내지 1,000 m2/g, 예컨대 150 내지 600 m2/g, 예컨대 100 내지 400 m2/g, 예컨대 200 내지 400 m2/g의 BET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전도성 탄소는 약 200 m2/g의 BET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전도성 탄소 물질은 캐봇 코포레이션(Cabot Corporation)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LITX 200이다. 전도성 탄소 물질은 슬러리의 총 고체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20 중량%, 전형적으로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에 존재할 수 있다.
전기전도성 제제는 슬러리의 총 고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에 존재할 수 있다.
슬러리 조성물은 각각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바인더,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 및 전기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슬러리 조성물 형태일 수 있다. 전극 슬러리는 슬러리 조성물에 상기에 기재된 양으로 존재하는 상기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슬러리 조성물은 45 내지 95 중량%, 예컨대 70 내지 98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1 내지 10 중량%, 예컨대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바인더; 및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전기전도성 제제를 포함할 수 있되, 중량%는 전극 슬러리 조성물의 총 고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액체 매질,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 전기전도성 물질, 바인더 분산액(이는 개별적으로 첨가된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추가적 액체 매질, 및 임의적 성분을 포함하는 전극 슬러리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을 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공지된 수단, 예컨대 교반기, 비드 밀 또는 고압 균질기에 의한 교반에 의해 함께 혼합될 수 있다.
전극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혼합 및 교반에 대해 말하자면, 만족스러운 분산액 상태가 충족될 정도로 이들 성분을 교반할 수 있는 믹서가 선택되어야 한다. 분산도는 입자 측정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혼합 및 분산은 바람직하게는 100 μm 이상의 집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수행된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믹서의 예는 볼 밀, 샌드 밀, 안료 디스펜서, 그라인딩 기계, 압출기, 회전자 정류자, 퍼그 밀, 초음파 디스펜서, 균질기, 유성 믹서, 호바트(Hobart) 믹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슬러리 조성물은 30 중량% 이상, 예컨대 40 중량% 이상, 예컨대 50 중량% 이상, 예컨대 55% 이상, 예컨대 60% 이상, 예컨대 65% 이상, 예컨대 71% 이상, 예컨대 75% 이상의 고체 함량을 가질 수 있고, 90 중량% 이하, 예컨대 85 중량% 이하, 예컨대 75 중량% 이하의 고체 함량을 가질 수 있되, 중량%는 슬러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슬러리 조성물은 슬러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90 중량%, 예컨대 40 내지 85 중량%, 예컨대 50 내지 85 중량%, 예컨대 55 내지 85 중량%, 예컨대 60 내지 85 중량%, 예컨대 65 내지 85 중량%, 예컨대 71 내지 85 중량%, 예컨대 75 내지 85 중량%의 고체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전기 및 상기 집전기 상에 형성된 필름을 포함하는 전극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필름은 상기에 기재된 전극 슬러리 조성물로부터 증착된다. 전극은 양극 또는 음극일 수 있고, 상기에 기재된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기의 표면 상에 도포하여 코팅 필름을 형성한 후에, 코팅 필름을 건조시키고/시키거나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코팅 필름은 1 내지 500 μm, 예컨대 1 내지 150 μm, 예컨대 25 내지 150 μm, 예컨대 30 내지 125 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코팅 필름은 가교된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집전기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도성 물질은 금속, 예컨대 철, 구리, 알루미늄, 니켈 및 이들의 합금, 뿐만 아니라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전기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메쉬, 시트 또는 호일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집전기의 모양 및 두께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집전기는 0.001 내지 0.5 mm의 두께, 예컨대 약 0.001 내지 0.5 mm의 두께를 갖는 메쉬, 시트 또는 호일을 가질 수 있다.
집전기는 슬러리 조성물 증착 전에 전처리 조성물로 전처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전처리 조성물"은, 집전기에 접촉시 집전기 표면에 반응하고 이를 화학적으로 변경시키고 이에 결합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전처리 조성물은 IIIB족 및/또는 IVB족 금속을 포함하는 전처리 조성물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IIIB족 및/또는 IVB족 금속"은, 예를 들어 문헌[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63rd edition (198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AS 주기율표의 IIIB족 또는 IVB족에 존재하는 원소를 지칭한다. 적용가능한 경우, 상기 금속 자체가 사용될 수 있으나, IIIB족 및/또는 IVB족 금속 화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IIIB족 및/또는 IVB족 금속 화합물"은 CAS 주기율표의 IIIB족 또는 IVB족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적합한 전처리 조성물 및 집전기 전처리 방법은 US 9,273,399의 4단 60행 내지 10단 26행에 기재되어 있고, 이의 인용부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전처리 조성물은 양극 또는 음극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 집전기를 처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기에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슬러리 조성물은 닥터 블레이드 코팅, 딥 코팅, 리버스 롤 코팅, 디렉트 롤 코팅, 그라비어 코팅, 압출 코팅, 침지 또는 브러쉬질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슬러리 조성물의 도포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액체 매질이 제거된 후에 형성된 코팅의 두께는 1 μm 이상, 예컨대 1 150 μm, 예컨대 25 내지 150 μm, 예컨대 30 내지 125 μm일 수 있다.
도포 후 코팅 필름의 건조 및/또는 가교는, 적용가능한 경우, 예를 들어 고온, 예컨대 50℃ 이상, 예컨대 60℃ 이상, 예컨대 50℃ 내지 145℃, 예컨대 60℃ 내지 120℃, 예컨대 65℃ 내지 110℃에서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가열 시간은 온도에 다소 의존적이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경화에 필요한 시간이 짧아진다. 전형적으로, 경화 시간은 5분 이상, 예컨대 5 내지 60분이다. 온도 및 시간은, 경화된 필름의 분산제가 (적용가능한 경우) 가교되도록, 즉, 공유결합이 분산제 중합체 쇄 상의 공동-반응성 기(예컨대 카복시산 기 및 하이드록시 기)와 아미노플라스트의 N-메틸올 및/또는 N-메틸올 에터 기,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의 이소시아네이토 기, 또는 자가-경화성 분산제의 경우, N-알콕시메틸 아미드 기 또는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토 기 사이에 형성되기에 충분해야 한다. 경화 또는 가교의 정도는 용매, 예컨대 메틸 에틸 케톤(MEK)에 대한 저항으로 측정될 수 있다. 시험은 ASTM D-54029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이중 문지름(1회의 앞뒤 움직임)의 수가 기록된다. 이러한 시험은 흔히 "MEK 저항"으로 지칭된다. 따라서, 분산제 및 가교제(자가-경화 분산제 및 분산제를 개별적으로 첨가된 가교제와 함께 포함함)는 바인더 조성물로부터 단리되고 필름으로서 증착되고 바인더 필름이 가열되는 온도 및 시간 동안 가열된다. 이어서, 이중 문지름의 수를 기록하여 필름을 MEK 저항에 대해 측정한다. 따라서, 가교된 분산제는 50회 이상의 이중 문지름, 예컨대 75회 이상의 이중 문지름의 MEK 저항을 갖는다. 또한, 가교된 분산제는 하기에 언급되는 전해질의 용매에 대해 실질적으로 용매 저항성을 갖지 않는다. 코팅 필름을 건조하는 다른 방법은 주위 온도 건조, 마이크로파 건조 및 적외선 건조를 포함하고, 코팅 필름을 경화시키는 다른 방법은 e-빔 경화 및 UV 경화를 포함한다.
리튬 이온 전기 저장 장치의 방전 동안, 리튬 이온은 음극으로부터 방출되고 전류를 양극으로 나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삽입 제거로 공지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동안, 리튬 이온은 양극의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에서 음극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상기 이온은 음극에 존재하는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에 매립된다. 이러한 과정은 삽입으로 공지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저장 장치는 본 발명의 전극 슬러리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상기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전기 저장 장치는 전극, 상대 전극 및 전해질을 포함한다. 전극, 상대 전극 또는 둘 모두는, 하나의 전극이 양극이고, 나머지 하나의 전극이 음극인 경우 본 발명의 전극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저장 장치는 전지, 배터리, 배터리 팩, 이차 배터리, 커패시터 및 수퍼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전기 저장 장치는 전해질 용액을 포함하고 파트, 예컨대 분리기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으로, 음극 및 양극을 이들 사이의 분리기와 함께 조립하고, 생성된 조립체를 배터리의 모양에 따라 말거나 구부리고 배터리 용기에 넣고, 전해질 용액을 배터리 용기에 주입하고, 배터리 용기를 밀폐한다. 배터리의 모양은 코인, 버튼 또는 시트와 비슷하거나 실린더형, 사각형 또는 평평할 수 있다.
전해질 용액은 액체 또는 겔일 수 있고, 효과적으로 배터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전해질 용액은 음극 활성 물질 및 양극 활성 물질의 유형에 따라 전기 저장 장치에 사용되는 공지된 전해질 용액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전해질 용액은 적합한 용매에 용해된 전해질을 함유하는 용액일 수 있다. 전해질은 리튬 이온 이차 배터리를 위해 통상적으로 공지된 리튬 염일 수 있다. 리튬 염의 예는 LiClO4, LiBF4, LiPF6, LiCF3CO2, LiAsF6, LiSbF6, LiB10Cl10, LiAlCl4, LiCl, LiBr, LiB(C2H5)4, LiB(C6H5)4, LiCF3SO3, LiCH3SO3, LiC4F9SO3, Li(CF3SO2)2N, LiB4CH3SO3Li 및 CF3SO3Li를 포함한다. 상기 전해질을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이의 예는 카보네이트 화합물, 예컨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부틸렌 카보네이트, 다이메틸 카보네이트, 메틸 에틸 카보네이트 및 다이에틸 카보네이트; 락톤 화합물, 예컨대 γ-부틸 락톤; 에터 화합물, 예컨대 트라이메톡시메탄, 1,2-다이메톡시에탄, 다이에틸 에터, 2-에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설폭사이드 화합물, 예컨대 다이메틸 설폭사이드를 포함한다. 전해질 용액에서 전해질의 농도는 0.5 내지 3.0 mol/L, 예컨대 0.7 내지 2.0 mol/L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중합체"는 대략적으로 올리고머, 및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모두를 지칭한다. 용어 "수지"는 "중합체"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용어 "아크릴" 및 "아크릴레이트"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그렇지 않으면 의도된 의미가 변경될 수 있다), 분명하게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아크릴산, 및 이의 무수물 및 유도체, 예컨대 이의 C1-C5 알킬 에스터, 저급 알킬-치환된 아크릴산, 예를 들어 C1-C2 치환된 아크릴산, 예컨대 메타크릴산, 2-에틸아크릴산 등, 및 이의 C1-C4 알킬 에스터를 포함한다. 용어 "(메트)아크릴"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지시된 물질,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아크릴/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메타크릴레이트 형태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기준물을 사용하는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된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분자량은 중량 평균 기준을 따른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유리 전이 온도"는, 문헌[T. G. Fox, Bull. Am. Phys. Soc. (Ser. II) 1, 123 (1956)] 및 [J. Brandrup, E. H. Immergut, Polymer Handbook 3rd edition, John Wiley, New York, 1989]에 따라 단량체 충전물의 단량체 조성을 기반으로 한 Fox 방법에 의해 계산된 유리 전이 온도 이론값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용어 "실질적으로 미함유"는 성분이 기껏해야 슬러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함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용어 "본질적으로 미함유"는 성분이 기껏해야 슬러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함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용어 "완전히 미함유"는 성분이 슬러리 조성물에 존재하지 않는, 즉, 슬러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 중량%임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총 고체"는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의 비휘발성 성분을 지칭하고 구체적으로 액체 매질을 배제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다"는 언급된 물질 또는 단계, 및 청구된 발명의 기본 특성 및 새로운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으로 이루어지다"는 언급되지 않은 임의의 원소, 단계 또는 성분을 배제한다.
상세한 설명의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달리 명시적으로 반대로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양한 대안의 변형 및 단계 순서를 가정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임의의 작업 실시예 또는 달리 지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값, 양, 백분율, 범위, 하위 범위 및 분수를 나타내는 모든 숫자는 용어 "약"이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더라도 용어 "약"이 선행되는 것처럼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반대로 지시되지 않는 한, 하기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 제시된 수치 파라미터는 본 발명에 의해 수득하고자 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근사치이다. 청구항의 범위로 균등론의 적용을 제한하지 않거나 최소로 제한하려는 시도로서, 각각의 수치 파라미터는 적어도 보고된 유효 숫자의 수를 고려하고 통상적인 반올림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해석되어야 한다. 폐쇄형 또는 개방형 수치 범위가 본원에 기술되는 경우, 수치 범위 내에 있거나 포함되는 모든 숫자, 값, 양, 백분율, 하위 범위 및 분수는, 이들 숫자, 값, 양, 백분율, 하위 범위 및 분수가 전체적으로 명시적으로 작성된 것처럼, 본원의 최초 개시에 구체적으로 포함되고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한다.
본 발명의 넓은 범위를 나타내는 수치 범위 및 파라미터가 근사치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실시예에 제시된 수치는 가능한 정확하게 보고된다. 그러나, 모든 수치는, 각각의 시험 측정에서 발견된 표준 편차로부터 불가피하게 발생한 약간의 오차를 본질적으로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용어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단수의 용어를 포함 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 플루오로 중합체, 부가 중합체, 전기전도성 제제 및 접착 촉진제가 언급되나, 이들 성분의 조합(즉, 복수의 이들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또는"의 사용은,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특정 경우에 "및/또는"이 명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및/또는"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포함함", "함유함"및 유사한 용어는 본원에 있어서 "포함함"과 동의어인 것으로 이해되고, 따라서 개방형이며, 기술되지 않거나 언급되지 않은 추가적 원소, 물질, 성분 또는 방법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으로 이루어짐"은 본원에 있어서 임의의 언급되지 않은 요소, 성분 또는 방법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짐"은 본원에 있어서 언급된 요소, 물질, 성분 또는 방법 단계 "및 기술되는 것의 기본 특성 및 새로운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가 "포함함"의 용어로 기술되었지만, 이루어지거나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시양태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상에", "상에 도포됨", "상에 형성됨", "상에 증착됨"은 표면 상에 형성되거나 포개지거나 증착되거나 제공되되 표면 상에 반드시 접촉할 필요는 없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판 "상에 증착된" 조성물은 전착성 코팅 조성물과 기판 사이에 위치한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다른 개재 코팅층의 존재를 불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원의 전체 교시에 비추어 이러한 세부 사항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대안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배열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첨부된 청구항의 전체 폭 및 이의 임의의 모든 등가물이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양태
상기에 기재된 특징 및 예 각각 및 이들의 조합은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하기 양태로 도출된다:
1. (a) (i) 액체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ii)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를 포함하는 바인더; 및
(b) (b1)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 및
(b2) 전기전도성 제제
중 하나 이상
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2.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에폭시 작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비닐 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양태 1의 슬러리 조성물.
3. 부가 중합체가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태 1 또는 2의 슬러리 조성물.
4. 부가 중합체가 에폭시 작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 및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양태 3의 슬러리 조성물.
5. 부가 중합체가 0.1 내지 50 중량%의 에폭시 작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 및 1 내지 90 중량%의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되, 중량%가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양태 4의 슬러리 조성물.
6. 부가 중합체가 비닐 피롤리돈 잔기 및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7. 부가 중합체가 1 내지 99 중량의 비닐 피롤리돈 잔기 및 1 내지 99 중량%의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되, 중량%가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양태 6의 슬러리 조성물.
8. 헤테로환형 기에 반응성인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 상기 헤테로환형 기와의 반응에 의해 부가 중합체 상에 그래프팅되는, 양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9. 헤테로환형 기에 반응성인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 방향족 산을 포함하는, 양태 8의 슬러리 조성물.
10. 방향족 산이 베타-하이드록시 작용성 산을 포함하는, 양태 9의 슬러리 조성물.
11. 액체 매질이 유기 매질에서 플루오로 중합체의 용해 온도에서 10 g/min m2 미만의 증발 속도를 갖는 유기 매질을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12. 유기 매질이 180℃에서 80 g/min m2 초과의 증발 속도를 갖는, 양태 11의 슬러리 조성물.
13. 유기 매질이 부틸 피롤리돈, 트라이알킬 포스페이트, 예컨대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 1,2,3-트라이아세톡시프로판, 3-메톡시-N,N-다이메틸프로판아미드,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감마-부티로락톤,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사이클로헥산온,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다이메틸 아디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아세테이트, 이염기 에스터(DBE), 이염기 에스터 5, 4-하이드록시-4-메틸-2-펜탄온,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아세테이트, 다이메틸 프탈레이트, 메틸 이소아밀 케톤,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1-에톡시-2-프로판올,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메틸 에터, 포화 및 불포화 선형 및 환형 케톤, 다이이소부틸 케톤, 아세테이트 에스터,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터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양태 11 또는 12의 슬러리 조성물.
14. 유기 매질이 주용매 및 조용매를 포함하되, 상기 주용매가 부틸 피롤리돈, 트라이알킬포스페이트, 예컨대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 3-메톡시-N,N-다이메틸프로판아미드, 1,2,3-트라이아세톡시프로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조용매가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감마-부티로락톤,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터,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터, 에틸렌 글리콜 모노헥실 에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양태 11 또는 12의 슬러리 조성물.
15. 각각 유기 매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주용매가 50 내지 99 중량%, 예컨대 65 내지 90 중량%, 예컨대 75 내지 8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조용매가 1 내지 50 중량%, 예컨대 10 내지 35 중량%, 예컨대 1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양태 14의 슬러리 조성물.
16. 주용매가 트라이알킬포스페이트, 예컨대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 및 조용매를 포함하는, 양태 14 또는 15의 슬러리 조성물.
17. 유기 매질이 트라이에틸 포스페이트를 주용매로 포함하고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를 조용매로 포함하는, 양태 14 또는 15의 슬러리 조성물.
18. 부가 중합체가 제2 유기 매질에 용해된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혼합물의 통상적인 자유 라디칼 개시된 용액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양태 1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19. 부가 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 제2 유기 매질이 슬러리 조성물의 유기 매질과 동일한 것인, 양태 18의 슬러리 조성물.
20. 상기 부가 중합체와 상이한 제2 부가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21. 슬러리가 이소포론을 실질적으로 미함유하는, 양태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22. 슬러리가 N-메틸-2-피롤리돈을 실질적으로 미함유하는, 양태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23. 전기전도성 제제가 그래파이트, 카본 블랙, 예컨대 아세틸렌 블랙 및 퍼니스 블랙, 그래핀, 탄소 나노 튜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24. 전기전도성 제제가 100 내지 1000 m2/g의 표면적을 갖는 전도성 탄소 물질을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25. 전기전도성 제제가 슬러리의총 고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 조성물에 존재하는, 양태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26.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이 리튬을 혼입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27. 리튬을 혼입시킬 수 있는 물질이 LiCoO2, LiNiO2, LiFePO4, LiCoPO4, LiMnO2, LiMn2O4, Li(NiMnCo)O2, Li(NiCoAl)O2, 탄소-코팅된 LiFePO4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양태 26의 슬러리 조성물.
28.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이 리튬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29. 리튬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이 황, LiO2, FeF2 및 FeF3, Si, 알루미늄, 주석, SnCo, Fe3O4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양태 28의 슬러리 조성물.
30.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이 그래파이트, 규소 화합물, 주석, 주석 화합물, 황, 황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31.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이 슬러리의 총 고체 중량을 기준으로 45 내지 95 중량%, 예컨대 70 내지 98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 조성물에 존재하는, 양태 1 내지 30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32. 접착 촉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31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33. 개별적으로 첨가된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32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34. 바인더 고체가 슬러리의 총 고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1 내지 10 중량%, 예컨대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 조성물에 존재하는, 양태 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35. 바인더 고체가 슬러리의 총 고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1 내지 10 중량%, 예컨대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 조성물에 존재하고, 플루오로 중합체가 40 내지 96 중량%, 예컨대 5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바인더에 존재하고; 부가 중합체가 2 내지 20 중량%, 예컨대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되, 중량%가 바인더 고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양태 1 내지 31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
36. 바인더 고체가 슬러리의 총 고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1 내지 10 중량%, 예컨대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 조성물에 존재하고, 플루오로 중합체가 40 내지 96 중량%, 예컨대 5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바인더에 존재하고; 부가 중합체가 2 내지 20 중량%, 예컨대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개벌적으로 첨가된 가교제가 15 중량% 이하, 예컨대 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되, 중량%가 바인더 고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양태 33의 슬러리 조성물.
37. 바인더 고체가 슬러리의 총 고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1 내지 10 중량%, 예컨대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 조성물에 존재하고, 플루오로 중합체가 40 내지 96 중량%, 예컨대 5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바인더에 존재하고; 부가 중합체가 2 내지 20 중량%, 예컨대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접착 촉진제가 10 내지 60 중량%, 20 내지 60 중량%, 예컨대 30 내지 60 중량%, 예컨대 10 내지 50 중량%, 예컨대 15 내지 40 중량%, 예컨대 20 내지 30 중량%, 예컨대 35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 조성물에 존재하되, 중량%가 바인더 고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양태 32의 슬러리 조성물.
38. 바인더 고체가 슬러리의 총 고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1 내지 10 중량%, 예컨대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 조성물에 존재하고, 플루오로 중합체가 40 내지 96 중량%, 예컨대 5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바인더에 존재하고; 부가 중합체가 2 내지 20 중량%, 예컨대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접착 촉진제가 10 내지 60 중량%, 20 내지 60 중량%, 예컨대 30 내지 60 중량%, 예컨대 10 내지 50 중량%, 예컨대 15 내지 40 중량%, 예컨대 20 내지 30 중량%, 예컨대 35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슬러리 조성물에 존재하고; 개별적으로 첨가된 가교제가 15 중량% 이하, 예컨대 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수 있되, 중량%가 바인더 고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양태 33의 슬러리 조성물.
39. (a) 집전기; 및
(b) 상기 집전기 상에 형성된 필름
을 포함하는 전극으로서,
상기 필름이 양태 1 내지 38 중 어느 하나의 슬러리 조성물로부터 증착되는, 전극.
40. 집전기(a)가 메쉬, 시트 또는 호일 형태의 구리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양태 39의 전극.
41. 양극을 포함하는 양태 39 또는 40의 전극.
42. 음극을 포함하는 양태 39 또는 40의 전극.
43. 필름이 가교결합되는, 양태 39 내지 42 중 어느 하나의 전극.
44. 집전기가 전처리 조성물로 전처리되는, 양태 39 내지 43 중 어느 하나의 전극.
45. 필름이 1 μm 이상, 예컨대 1 내지 500 μm, 예컨대 1 내지 150 μm, 예컨대 25 내지 150 μm, 예컨대 30 내지 125 μm의 두께를 갖는, 양태 39 내지 44 중 어느 하나의 전극.
46. (a) 양태 39 내지 45 중 어느 하나의 전극;
(b) 상대 전극; 및
(c) 전해질
을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47. 전해질(c)이 용매에 용해된 리튬 염을 포함하는, 양태 46의 전기 저장 장치.
48. 리튬 염이 유기 카보네이트에 용해되는, 양태 46의 전기 저장 장치.
49. 전지를 포함하는 양태 46 내지 48 중 어느 하나의 전기 저장 장치.
50.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양태 46 내지 48 중 어느 하나의 전기 저장 장치.
51. 이차 배터리를 포함하는 양태 46 내지 48 중 어느 하나의 전기 저장 장치.
5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양태 46 내지 48 중 어느 하나의 전기 저장 장치.
53. 수퍼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양태 46 내지 48 중 어느 하나의 전기 저장 장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지만, 본 발명을 이들의 세부 사항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한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하기 실시예에서 및 명세서 전체에 걸쳐 모든 부 및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분산제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4-목 환저 플라스크에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TEP, 375.4 g)를 첨가하고, 상기 플라스크에 기계적 교반 블레이드, 열전대 및 환류 응축기를 설치하였다. TEP 용매를 함유하는 플라스크를 120℃의 설정점으로 질소 대기 하에 가열하였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228.2 g),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215.7 g), 에틸 아크릴레이트(EA, 58.4 g), N-비닐 피롤리돈(NVP, 58.4 g),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11.5 g) 및 메타크릴산(MAA, 11.5 g)을 함유하는 단량체 용액을 별개의 용기에서 완전히 혼합하였다. tert-아밀퍼옥시 2-에틸헥실 카보네이트(Trigonox 131, 아크조노벨(AkzoNobel)로부터 입수가능, 12.9 g) 및 TEP(61.1 g)의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플라스크에 185분 동안 첨가하였다. 개시제 용액 첨가 개시 5분 후에, 단량체 용액의 첨가를 개시하고, 단량체 용액을 상기 플라스크에 180분 동안 첨가하였다. 개시제 및 단량체 공급 모두를 완료한 후에, 단량체 첨가 깔때기를 TEP(14.4 g)로 헹궜다. 이어서, Trigonox 131(4.3 g) 및 TEP(61.1 g)의 추가적 용액을 60분 동안 첨가하였다. 이러한 제2 개시제 공급을 완료한 후에, 개시제 첨가 깔때기를 TEP(57.9 g)로 헹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60분 동안 유지하였다. 상기 60분의 유지 후에,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적합한 용기에 부었다. 반응 생성물의 측정된 최종 고체 함량은 51.02 중량%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분산제 조성물의 고체 함량을 각각의 분산제 실시예에서 하기 절차에 의해 측정하였다. 알루미늄 칭량 접시(피셔 사이언티픽(Fisher Scientific))를 화학 천칭을 사용하여 칭량하였다. 빈 접시의 중량을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기록하였다. 분산제(약 0.5 g) 및 아세톤(3.5 g)을 칭량 접시에 첨가하였다. 접시 및 분산제 용액의 중량을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기록하였다. 분산제 용액을 함유하는 접시를 110℃로 오븐 온도를 설정한 실험실 오븐에 두고, 1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칭량 접시 및 건조된 분산제를 화학 천칭을 사용하여 칭량하였다. 접시 및 건조된 분산제의 중량을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기록하였다. 고체를 하기 수학식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 고체 = 100 x [(접시 및 건조 분산제의 중량)-(빈 접시의 중량)] / [(접시 및 분산제 용액의 중량)-(빈 접시의 중량)].
실시예 2
바인더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플라스틱 컵에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41.67 g) 및 실시예 1의 분산제(26.89 g)를 첨가하였다. 아크릴이 용매에 완전히 혼입될 때까지 혼합물을 분산 블레이드에 의해 교반하였다. 이어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중합체(PVDF T-1, 이너 몽골리아 3F 완하오 플루오로케미컬 컴패니 리미티드, 31.59 g)를, PVDF가 혼합물에 완전히 혼입될 때까지, 분산 블레이드로 교반하면서 30 내지 60분 동안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슬러리의 측정된 총 비휘발물 함량은 45.24 중량%였다.
분산제 조성물 이외의 모든 조성물의 고체 함량을 하기 절차에 의해 측정하였다. 알루미늄 칭량 접시(피셔 사이언티픽)를 화학 천칭을 사용하여 칭량하였다. 빈 접시의 중량을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기록하였다. 분산액(약 1 g )을 칭량 접시에 첨가하였다. 접시 및 분산액의 중량을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기록하였다. 슬러리를 함유하는 접시를 오븐 온도를 120℃로 설정한 실험실 오븐에 두고 1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칭량 접시 및 건조된 분산액을 화학 천칭을 사용하여 칭량하였다. 접시 및 건조된 슬러리의 중량을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기록하였다. 고체를 하기 수학식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 고체 = 100 x [(접시 및 건조 분산액의 중량)-(빈 접시의 중량)] / [(접시 및 습윤 분산액의 중량)-(빈 접시의 중량)].
실시예 3
전극 슬러리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플라스틱 컵에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14.83 g) 및 실시예 2의 바인더(2.15 g)를 첨가하였다. 전도성 탄소 LITX200(캐봇 코포레이션, 0.72 g)을 2개의 분획으로 첨가하고, 각각의 순차적 블렌드를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에서 2000 RPM에서 5분 동안 혼합하였다. 캐소드 활성 분말 NMC 111(EQ-Lib-LNCM111, MTI 코포레이션, 22.33 g)을 2개의 분획으로 첨가하고, 각각의 순차적 블렌드를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에서 2000 RPM에서 5분 동안 혼합하여 제형화된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상기 슬러리의 총 비휘발물 함량은 60.0 중량% 였다. NMC111:탄소:바인더 건조 고체의 최종 비는 93:3:4였다.
닥터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형화된 슬러리를 드로우-다운(draw-down) 도포하여 알루미늄 호일 상에 습윤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습윤 필름을 오븐에서 120℃의 최대 온도로 10분 이상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 후에, 106 μm의 평균 건조 필름 두께를 측미계를 사용하여 5개의 측정치로부터 결정하였다. 건조 필름을 87 μm의 필름 두께로 캘린더-가압하였다. 생성된 필름의 접착력을 90° 박리 강도 시험 기기(Mark 10, ESM303)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간략히, 코팅된 호일을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코팅면이 아래로 가도록 단단한 플레이트에 부착시키고, 아래에 있는 알루미늄 기판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크로스헤드 상의 힘 측정기에 부착시켰다. 이와 같이 시험시, 건조 필름은 7.9 N/m의 90° 박리 강도를 나타냈다.
슬러리의 점도 프로필을 25℃에서 50 mm 콘 및 플레이트 유량계에 의해 측정하였다. 0.1, 1, 10, 100 및 1000초-1의 전단비에서의 점도는 각각 2040, 1350, 880, 599 및 427 cp였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모든 실시예에서 점도 측정은 25℃에서 수행하였다.
실시예 4A
글리시딜 작용성 분산제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4-목 환저 플라스크에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TEP, 552.6 g)를 첨가하고, 상기 플라스크에 기계적 교반 블레이드, 열전대 및 환류 응축기를 설치하였다. TEP 용매를 함유하는 플라스크를 120℃의 설정점으로 질소 대기 하에 가열하였다. MMA(336 g), EHA(285.3 g), EA(134.9 g), GMA(85.9 g) 및 HEA(17 g)를 함유하는 단량체 용액을 적합한 용기에서 완전히 혼합하였다. Trigonox 131(19 g) 및 TEP(89.9 g)의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플라스크에 185분 동안 첨가하였다. 개시제 용액 첨가 개시 5분 후에, 단량체 용액의 첨가를 개시하고 180분 동안 계속하였다. 개시제 및 단량체 공급 모두를 완료한 후에, 단량체 첨가 깔때기를 TEP(21.2 g)로 헹궜다. 이어서, Trigonox 131(6.4 g) 및 TEP(90 g)의 추가적 용액을 60분 동안 첨가하였다. 이러한 제2 개시제 공급을 완료한 후에, 개시제 첨가 깔때기를 TEP(85.2 g)로 헹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60분 동안 유지하였다. 상기 60분의 유지 후에,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적합한 용기에 부었다. 수지의 측정된 최종 고체 함량은 50.57 중량%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4B
실시예 4A의 글리시딜 작용성 분산제는 하기와 같이 제조된 베타-하이드록시 작용성 산과 후속-반응하였다: 4-목 환저 플라스크는 기계적 교반 블레이드, 열전대 및 환류 응축기를 갖췄다. 이어서, 2,826의 측정된 에폭시 당량(EEW)을 갖는 실시예 4A의 글리시딜 작용성 분산제 분산액(525 g)을 상기 플라스크에 첨가한 후에, 3-하이드록시-2-나프토산(31.2 g),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TEP, 31.1 g) 및 벤질 다이메틸아민(0.126 g)을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110℃의 설정점으로 질소 대기 하에 가열하였다. 110℃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반응 생성물을 140℃로 가열하였다. 측정된 수지의 산가가 1 미만일 때까지 반응 온도를 140℃에서 유지하였다. 140℃에서 6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산가는 0.55인 것으로 측정되었고, 반응 생성물을 냉각하고 적합한 용기에 부었다. 수지의 측정된 최종 고체 함량은 50.56 중량%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5
바인더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플라스틱 컵에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61.05 g),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8.25 g) 및 실시예 4의 분산제(26.70 g)를 첨가하였다. 아크릴 중합체가 용매에 완전히 혼입될 때까지 혼합물을 분산 블레이드에 의해 교반하였다. 이어서, PVDF T-1(이너 몽골리아 3F 완하오 플루오로케미컬 컴패니 리미티드, 56.41 g)을, PVDF가 혼합물에 완전히 혼입될 때까지 분산 블레이드로 교반하면서 30 내지 60분 동안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슬러리의 측정된 총 비휘발물 함량은 45.86 중량%였다.
실시예 6
접착 촉진제 용액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유리 용기에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614.25 g)를 첨가한 후에, 이를 핫플레이트 상에서 교반하면서 약 6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PVDF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접착 촉진제(27.00 g, Solef 5130, 솔베이(Solvay)로부터 입수가능)를 자성 교반 막대로 교반하면서 30 내지 60분 동안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슬러리의 측정된 총 비휘발물 함량은 4.20 중량%였다.
전극 슬러리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플라스틱 컵에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5.93 g), 실시예 5의 바인더(2.44 g) 및 상기에 기재된 접착 촉진제 용액(6.68 g)을 첨가하고, 전도성 탄소 LITX200(1.06 g)을 2개의 분획으로 첨가하고, 각각의 순차적 블렌드를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에서 1000 RPM에서 5분 동안 혼합하였다. 이어서, 캐소드 활성 분말 NMC 111(32.56 g, EQ-Lib-LNCM111, MTI 코포레이션)을 2개의 분획으로 첨가하고, 각각의 순차적 블렌드를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에서 1000 RPM에서 5분 동안 혼합하여 제형화된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상기 슬러리의 총 비휘발물 함량은 70.0%였다. NMC111:탄소:바인더 건조 고체의 최종 비는 93:3:4였다.
닥터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형화된 슬러리를 미리 세정된 알루미늄 호일 상에 드로우-다운 도포하여 습윤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습윤 필름을 오븐에서 90℃의 최대 온도로 20분 이상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 후에, 112 μm의 평균 건조 필름 두께를 측미계를 사용하여 5개의 측정치로부터 결정하였다. 건조 필름을 97 μm의 필름 두께로 캘린더-가압하였고,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시 114.2 N/m의 90° 박리 강도를 나타냈다.
슬러리의 점도 프로필을 25℃에서 50 mm 콘 및 플레이트 유량계에 의해 측정하였다. 0.1, 1, 10, 100 및 1000초-1의 전단비에서의 점도는 각각 214000, 52800, 19600, 9040 및 1680 cp였다.
실시예 7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분산제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4-목 환저 플라스크에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TEP, 552.6 g)를 첨가하고, 상기 플라스크에 기계적 교반 블레이드, 열전대 및 환류 응축기를 설치하였다. TEP 용매를 함유하는 플라스크를 120℃의 설정점으로 질소 대기 하에 가열하였다. MMA(232 g), EHA(257.7 g), EA(137.7 g), GMA(214.8 g) 및 HEA(17 g)를 함유하는 단량체 용액을 적합한 용기에서 완전히 혼합하였다. Trigonox 131(19 g) 및 TEP(89.9 g)의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플라스크에 185분 동안 첨가하였다. 개시제 용액 첨가 개시 5분 후에, 단량체 용액의 첨가를 개시하고 180분 동안 계속하였다. 개시제 및 단량체 공급 모두를 완료한 후에, 단량체 첨가 깔때기를 TEP(21.2 g)로 헹궜다. 이어서, Trigonox 131(6.4 g) 및 TEP(90 g)의 추가적 용액을 60분 동안 첨가하였다. 이러한 제2 개시제 공급을 완료한 후에, 개시제 첨가 깔때기를 TEP(85.2 g)로 헹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60분 동안 유지하였다. 상기 60분의 유지 후에,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적합한 용기에 부었다. 반응 생성물의 측정된 최종 고체 함량은 50.88 중량%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8
바인더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플라스틱 컵에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69.57 g) 및 실시예 7의 분산제(26.55 g)를 첨가하였다. 아크릴이 용매에 완전히 혼입될 때까지 혼합물을 분산 블레이드에 의해 교반하였다. 이어서, PVDF T-1(이너 몽골리아 3F 완하오 플루오로케미컬 컴패니 리미티드, 54.53 g)을, PVDF가 혼합물에 완전히 혼입될 때까지 분산 블레이드로 교반하면서 30 내지 60분 동안 서서히 첨가하였다. 측정된 총 비휘발물 함량은 44.36 중량%였다.
실시예 9
전극 슬러리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플라스틱 컵에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16.02 g) 및 실시예 8의 바인더(3.69 g)를 첨가하였다. 전도성 탄소 LITX200(캐봇 코포레이션, 1.27 g)을 2개의 분획으로 첨가하고, 각각의 순차적 블렌드를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에서 1000 RPM에서 5분 동안 혼합하였다. 캐소드 활성 분말 NMC 111(EQ-Lib-LNCM111, MTI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가능, 39.10 g)을 2개의 분획으로 첨가하고, 각각의 순차적 블렌드를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에서 1000 RPM에서 5분 동안 혼합하여 제형화된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상기 슬러리의 총 비휘발물 함량은 70.0 중량%였다. NMC111:탄소:바인더 건조 고체의 최종 비는 93:3:4였다.
닥터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형화된 슬러리를 드로우-다운 도포하여 습윤 필름을 알루미늄 호일 상에 제조하였다. 이러한 습윤 필름을 오븐에서 90℃의 최대 온도로 20분 이상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 후에, 104 μm의 평균 건조 필름 두께를 측미계를 사용하여 5개의 측정치로부터 결정하였다. 건조 필름을 75 μm의 필름 두께로 캘린더-가압하였고,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시 23.0 N/m의 90° 박리 강도를 나타냈다.
실시예 10
아크릴 공중합체 분산제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4-목 환저 플라스크에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TEP, 375.4 g)를 첨가하고, 상기 플라스크에 기계적 교반 블레이드, 열전대 및 환류 응축기를 설치하였다. TEP 용매를 함유하는 플라스크를 120℃의 설정점으로 질소 대기 하에 가열하였다. MMA(228.2 g), EHA(175.3 g), EA(157 g), HEA(11.5 g) 및 MAA(11.5 g)를 함유하는 단량체 용액을 별개의 용기에서 완전히 혼합하였다. Trigonox 131(12.9 g) 및 TEP(61.1 g)의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플라스크에 185분 동안 첨가하였다. 개시제 용액 첨가 개시 5분 후에, 단량체 용액의 첨가를 개시하고 180분 동안 계속하였다. 개시제 및 단량체 공급 모두를 완료한 후에, 단량체 첨가 깔때기를 TEP(14.4 g)로 헹궜다. 이어서, Trigonox 131(4.3 g) 및 TEP(61.1 g)의 추가적 용액을 60분 동안 첨가하였다. 이러한 제2 개시제 공급을 완료한 후에, 개시제 첨가 깔때기를 TEP(57.9 g)로 헹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60분 동안 유지하였다. 상기 60분의 유지 후에,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적합한 용기에 부었다. 반응 생성물의 측정된 최종 고체는 50.50 중량%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11
바인더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10의 분산제(34.75 g), 실시예 1의 분산제(24.50 g),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75 g) 및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25 g)를 1000 ml 고밀도 폴리에틸렌 용기에 첨가하였다. 아크릴 중합체 및 용매 성분을 함유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용기를 2 L 수욕에 두고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죔쇠로 고정시켰다. 아크릴 및 용매 성분을 2-inch 직경의 카울레즈(Cowles) 혼합 임펠러를 사용하여 5분 동안 500 RPM의 회전 속도로 혼합하였다.
2-inch 직경의 카울레즈 혼합 임펠러를 500 RPM의 회전 속도로 사용하여 일정한 교반을 유지하면서, PVDF T-1(이너 몽골리아 3F 완하오 플루오로케미컬 컴패니 리미티드, 100 g)을 점진적으로 30분 동안 아크릴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성분을 2-inch 직경의 카울레즈 혼합 임펠러를 40분 동안 1600 RPM에서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슬러리 온도가 40℃ 초과로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혼합 동안, 수욕의 물을 약 22 내지 25℃에서 유지하였다. 수욕을 사용하여 나노 입자 분산액이 혼합 동안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나노 입자 분산액의 온도를 분산 공정에 걸쳐 40℃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분산액의 고체는 50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성된 나노 입자 바인더 분산액은 후속 사용 동안 취급의 용이성을 달성하기 위해 짧은 교반을 필요로 하는 높은 고체 함량의 전단 희박 물질이었다.
실시예 12
접착 촉진제 용액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636 g) 및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33.50 g)를 2000 ml 유리 용기에 첨가하고, 핫플레이트를 사용하여 40℃로 가열하였다. 따뜻한 용매 혼합물을 2000 ml 고밀도 폴리에틸렌 용기에 옮겼다. 용매 성분을 2-inch 직경의 카울레즈 혼합 임펠러를 5분 동안 500 RPM의 회전 속도로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2-inch 직경의 카울레즈 혼합 임펠러를 500 RPM의 회전 속도로 사용하여 일정한 교반을 유지하면서, 접착 촉진제(Solef 5130, 솔베이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 35.75 g)를 점진적으로 30분 동안 따뜻한 용매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성분을 2-inch 직경의 카울레즈 혼합 임펠러를 120분 동안 1600 RPM에서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용액의 고체는 5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3
용매 희석제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800 g) 및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200 g)를 1000 ml 고밀도 폴리에틸렌 용기에 첨가하였다. 용기를 캡핑한 후에, 용매를 30초 동안 진탕함으로써 함께 혼합하였다.
실시예 14
애노드 슬러리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슬러리 성분을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 모델 ARM-310(띵키 코포레이션 제팬(Thinky Corporation, Japan))을 사용하여 PTFE 어댑터에 담긴 폴리프로필렌 컵에서 혼합하였다.
슬러리를 제조하기 전에, 분배시키기에 충분히 낮은 점도까지 실시예 11 및 12의 개별적 바인더를 30초 동안 진탕함으로써 교반하였다.
실시예 11의 나노 입자 분산액 바인더(2.11 g) 및 이어서 실시예 13의 희석제(33.97 g)를 250 ml 폴리프로필렌 혼합 컵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1분 동안 2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희석된 바인더는 투명하였고 낮은 점도를 가졌다.
팀컬 수퍼 P 카본 블랙(아이메리즈 그래파이트 앤드 카본 벨지움 에스에이(Imerys Graphite & Carbon Belgium SA))을 희석된 바인더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5분 동안 500 RPM에서 사용한 후에 2분 동안 2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을 혼합하였다. 슬러리 온도가 40℃ 초과로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혼합 후에, 추가적 진행 전에, 바인더 용액 중의 카본 블랙을 30분 동안 혼합하지 않고 유지하였다.
상기 30분의 유지 기간 후에,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5분 동안 500 RPM에서 사용하여 바인더 용액 중의 카본 블랙을 혼합하였다.
AML400 그래파이트(둥관 카이진 뉴 에너지 테크놀로지 컴패니 리미티드(Dongguan Kaijin New Energy Technology Co., Ltd.), 22.22 g)를 카본 블랙 및 바인더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2분 동안 1000 RPM에서 사용한 후에 4분 동안 2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슬러리 온도가 40℃ 초과로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추가적 AML400 그래파이트(11.11 g)를 그래파이트, 카본 블랙 및 바인더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2분 동안 1000 RPM에서 사용한 후에 4분 동안 2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슬러리 온도가 40℃ 초과로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추가적 AML400 그래파이트(11.11 g)를 그래파이트, 카본 블랙 및 바인더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2분 동안 1000 RPM에서 사용한 후에 4분 동안 2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2분 동안 1000 RPM에서 사용한 후에 2분 동안 2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2분 동안 1000 RPM에서 사용한 후에 2분 동안 2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슬러리 온도가 40℃ 초과로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실시예 12의 접착 촉진제 용액(6.73 g)을 그래파이트, 카본 블랙 및 바인더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2분 동안 1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28분 동안 2000 RPM에서 2-분의 증분량으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슬러리 온도가 40℃ 초과로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생성된 슬러리의 고체는 53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성된 슬러리의 점도를, 실온에서 LV 스핀들 세트의 스핀들 번호 3을 사용하고 2, 4, 10 및 20 RPM의 회전 속도로 브룩필드 점도계모델 LVDV-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브룩필드 점도를 표 1에 나타냈다.
% 고체 점도 (cP)
2 RPM 4 RPM 10 RPM 20 RPM
53 15120 10350 6820 5100
실시예 15
전극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10-μm 두께의 구리 호일의 6 cm × 30 cm 샘플을 AFA-II 자동 후막 코터(MTI 코포레이션) 상에 두고 아세톤으로 닦은 후에, 이소프로판올로 닦았다. 세정된 알루미늄 호일에, 실시예 14의 애노드 슬러리의 분액을, 10 cm 너비의 닥터 블레이드를 약 135 μm의 블레이드 갭 세팅으로 사용하여 습윤 코팅으로서 도포하였다.
습윤 애노드 코팅으로 코팅된 호일을, 하기 램프-및-소크(ramp-and-soak) 조건을 사용하여, 2.5" 직경의 배기 덕트 및 프로토콜 3 프로그램 작동이 가능한 컨트롤러를 갖춘 디스패치(Despatch) 브랜드 클래스 A 실험실 박스 오븐을 사용하여 건조하였다: 55℃의 초기 설정점; 코팅된 호일을 오븐에 둔다; 55℃에서 3분 동안 유지; 55℃에서 70℃로 1분에 걸쳐 상승; 70℃에서 2분 동안 유지; 70℃에서 90℃로 4분에 걸쳐 상승; 코팅된 호일을 오븐에서 제거한다.
디지털 측미계를 사용하고 6개의 측정치의 평균을 구하고 코팅되지 않은 호일의 두께를 감하여 애노드 코팅만의 두께를 계산함으로써 호일 상의 애노트 코팅의 건조 필름 두께(DFT)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DFT를 표 2에 나타냈다.
9 cm2 면적의 코팅된 호일을 화학 천칭을 사용하여 칭량하였다. 호일 및 건조된 슬러리 코팅의 중량을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기록하였다. 9 cm2 면적의 코팅되지 않은 호일을 또한 화학 천칭을 사용하여 칭량하였다. 코팅되지 않은 호일의 중량을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기록하였다. 코팅되지 않은 호일의 중량을 코팅된 호일의 중량에서 감함으로써 건조된 코팅의 중량을 계산하였다.
코팅된 호일의 면적(9 cm2)을 코팅의 측정된 두께의 평균과 곱함으로써 코팅의 측정된 부피를 결정하였다. 건조된 코팅된 호일의 기공도를 애노드 코팅의 측정된 부피, 애노드 코팅의 측정된 질량, 애노드의 조성 및 캐소드 성분의 공지된 밀도를 기반으로 계산하였다. 코팅된 애노드 코팅의 계산된 기공도를 표 2에 나타냈다.
이어서, 건조된 코팅된 호일을 8-inch 직경의 롤을 갖춘 IMC 캘린더 프레스를 0.2 m/분의 라인 속도로 사용하여 35%의 표적 기공도로 가압하였다. 35% 기공도로 캘린더링된 캐소드 코팅의 가압된 필름 두께(PFT)를 디지털 측미계로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냈다.
캘린더 가압된 필름의 가요성을, 오각형 맨드렐(mandrel) 굽힘 시험 기기를 사용하여 [FTMS No. 141, Method 6221, Flexibility]에 상세히 기재된 시험 방법을 1/8-inch 반경의 맨드렐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1/8-inch 반경의 맨드렐을 사용하여 파괴가 관찰되는 경우, 파괴가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시험하지 않은 영역을 보다 큰 반경의 맨드렐을 사용하여 시험하고, 통과가 처음 관찰되는 때의 반경을 기록하였다. 오각형 맨드렐 굽힘 시험 기기는 1/8, 1/4, 3/8, 1/2, 5/8, 3/4 및 1 inch의 시험 반경을 갖는다.
캘린더 가압된 필름이 박리 강도를 하기 절차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첫번째로, 가압된 애노드 코팅된 호일의 샘플을 고정하였다. 12.7 mm 너비의 3M(상표) 이중 코팅된 테이프 444의 4개의 약 100 mm 길이의 조각을 이중 코팅된 테이프의 한 면을 사용하여 4개의 별개의 강 패널에 각각 부착하였다. 약 14 내지 15 mm 너비 및 약 140 내지 160 mm 길이의 4개의 스트립을 가압된 애노드 코팅된 호일로부터 절단하였다. 이어서, 4개의 스트립 각각을, 호일의 애노드 코팅된 면이 접착 테이프에 접촉하고 또한 약 40 내지 60 mm의 가압된 애노드 코팅된 호일이 자유롭고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있도록, 강 패널 상의 이중 코팅된 테이프의 나머지 한 면에 부착하였다. 하나의 1/4 inch 크기의 바인더 클립으로 가압된 애노드 코팅된 호일의 자유롭고 부착되지 않은 단부에 고정시켰다. 두번째로, 제1 고정된 호일을, 시리즈 5 어드밴스드 디지털 힘 측정기, 모델 M5-5, 모델 DC4060 디지털 제어 패널 및 모델 G1045 90° 박리 기구와 함께 설치된 ESM303 전동 인장/압축 시험 스탠드의 샘플 스테이지에 두었다. 고정된 호일을 제자리에 자기로 고정시키고, 바인더 클립을 힘 측정기의 샘플링 기구에 부착시켰다. 세번째로, 가압된 애노드 코팅의 박리 강도를 0.2초의 샘플 비 및 50 mm/분의 박리 비를 사용하여 600개의 측정치의 평균을 위해 측정하였다. 박리 강도 데이터를 pc를 통해 MESUR(상표) 측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이들 고정 및 측정 단계를 나머지 3개의 스트립에 대해 반복하였다. 4개의 스트립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균 박리 강도 및 박리 강도의 표준 편차를 N/m 단위로 결정하고, 이를 표 3에 나타냈다. 또한, 박리된 호일의 파괴 모드를 시각적으로 평가하고 "접착/클린", "접착/더티", "응집" 또는 "혼합"으로 기록하였고, 여기서 "접착/클린"은 대부분 클린 호일을 남기는 호일로부터 코팅의 접착 파괴이고, "접착/더티"는 또한 코팅의 약간의 식별가능한 덮는 막을 갖는 호일을 남기는 호일로부터 코팅의 주된 접착 파괴이며, "응집" 파괴는 코팅 층의 벌크 내에 코팅의 분할이고, "혼합"은 측정된 샘플 면적에 걸쳐 상기 변화의 일부 조합이다.
DFT (μm) 코팅된 % 기공도 결함 1/8 in (3 mm) 맨드렐 굽힘
72 56 없음 통과
PFT (μm) 박리 강도 (N/m)
48 4.8 ± 0.8
실시예 16
캐소드 슬러리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슬러리 성분을,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 모델 ARM-310(띵키 코포레이션 재팬)을 사용하여 PTFE 어댑터에 담긴 폴리프로필렌 컵에서 혼합하였다.
슬러리를 제조하기 전에, 분배시키기에 충분히 낮은 점도까지 실시예 11 및 12의 개별적 바인더 성분을 30초 동안 진탕하여 교반하였다.
실시예 11의 나노 입자 분산액 바인더(4.524 g) 및 이어서 실시예 13의 희석제(42.24 g)를 250 ml 폴리프로필렌 혼합 컵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1분 동안 2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희석된 바인더는 투명하였고 낮은 점도를 가졌다.
팀컬 수퍼 P 카본 블랙(아이메리즈 그래파이트 앤드 카본 벨지움 에스에이, 2.81 g)을 희석된 바인더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5분 동안 1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슬러리 온도가 40℃ 초과로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혼합 후에, 추가적 진행 전에, 바인더 용액 중의 카본 블랙을 5분 동안 혼합하지 않고 유지하였다.
상기 5분의 유지 기간 후에, Phostech P2 리튬 철 포스페이트(LFP, 존슨 멧데이, 15 g)를 카본 블랙 및 바인더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5분 동안 500 RPM에서 사용한 후에 5분 동안 15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슬러리 온도가 40℃ 초과로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추가적 Phostech P2 LFP(15 g)를 LFP, 카본 블랙 및 바인더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5분 동안 500 RPM에서 사용한 후에 5분 동안 15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슬러리 온도가 40℃ 초과로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추가적 Phostech P2 LFP(11.28 g)를 LFP, 카본 블랙 및 바인더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5분 동안 500 RPM에서 사용한 후에 5분 동안 1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슬러리 온도가 40℃ 초과로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혼합 후에, 추가적 진행 전에, 슬러리를 10분 동안 혼합하지 않고 유지하였다.
실시예 12의 접착 촉진제 용액(11.165 g)을 LFP, 카본 블랙 및 바인더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5분 동안 1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추가적 진행 전에, 슬러리를 5분 동안 혼합하지 않고 유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20분 동안 5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슬러리 온도가 40℃ 초과로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혼합 후에, 추가적 진행 전에, 슬러리를 10분 동안 혼합하지 않고 유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20분 동안 500 RPM에서 사용한 후에 5분 동안 1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슬러리 온도가 40℃ 초과로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생성된 슬러리의 고체는 46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성된 슬러리의 점도를, LV 스핀들 세트의 스핀들 번호 3을 사용하고 20 RPM의 회전 속도로 브룩필드 점도계모델 LVDV-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점도를 혼합 직후에(제1일), 2일 후에(제3일), 9일 후에(제10일) 및 13일 후에(제14일)에 측정하였다. 측정된 브룩필드 점도를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17
전극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15-μm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의 6 cm × 30 cm 샘플을 AFA-II 자동 후막 코터(MTI 코포레이션) 상에 두고 아세톤으로 닦은 후에, 이소프로판올로 닦았다. 세정된 알루미늄 호일에, 실시예 16의 캐소드 슬러리의 분액을, 10 cm 너비의 닥터 블레이드를 약 125 μm의 블레이드 갭 세팅으로 사용하여 습윤 코팅으로서 도포하였다.
습윤 캐소드 코팅으로 코팅된 호일을, 하기 램프-및-소크 조건을 사용하여, 2.5" 직경의 배기 덕트 및 프로토콜 3 프로그램 작동이 가능한 컨트롤러를 갖춘 디스패치 브랜드 클래스 A 실험실 박스 오븐을 사용하여 건조하였다: 55℃의 초기 설정점; 코팅된 호일을 오븐에 둔다; 55℃에서 3분 동안 유지; 55℃에서 70℃로 1분에 걸쳐 상승; 70℃에서 2분 동안 유지; 70℃에서 90℃로 4분에 걸쳐 상승; 코팅된 호일을 오븐에서 제거한다.
디지털 측미계를 사용하고 6개의 측정치의 평균을 구하고, 코팅되지 않은 호일의 두께를 감하여 캐소드 코팅만의 두께를 계산함으로써 호일 상의 캐소드 코팅의 건조 필름 두께(DFT)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DFT를 표 5에 나타냈다.
9 cm2 면적의 코팅된 호일을 화학 천칭을 사용하여 칭량하였다. 호일 및 건조된 슬러리 코팅의 중량을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기록하였다. 9 cm2 면적의 코팅되지 않은 호일을 또한 화학 천칭을 사용하여 칭량하였다. 코팅되지 않은 호일의 중량을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기록하였다. 코팅되지 않은 호일의 중량을 코팅된 호일의 중량에서 감함으로써 건조된 코팅의 중량을 계산하였다.
코팅된 호일의 면적(9 cm2)을 코팅의 측정된 두께의 평균과 곱함으로써 코팅의 측정된 부피를 결정하였다. 건조된 코팅된 호일의 기공도를 캐소드 코팅의 측정된 부피, 캐소드 코팅의 측정된 질량, 캐소드의 조성 및 캐소드 성분의 공지된 밀도를 기반으로 계산하였다. 코팅된 캐소드 코팅의 계산된 기공도를 표 5에 나타냈다.
이어서, 건조된 코팅된 호일을 8-inch 직경의 롤을 갖춘 IMC 캘린더 프레스를 0.2 m/분의 라인 속도로 사용하여 35%의 표적 기공도로 가압하였다. 35% 기공도로 캘린더링된 캐소드 코팅의 가압된 필름 두께(PFT)를 디지털 측미계로 측정하여 표 6에 나타냈다.
캘린더 가압된 필름의 가요성을 실시예 15에서와 같이 입증하였다.
캘린더 가압된 필름의 박리 강도를 실시예 15에서와 같이 결정하였다. 4개의 스트립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균 박리 강도 및 박리 강도의 표준 편차를 N/m 단위로 결정하고, 이를 표 6에 나타냈다. 또한, 박리된 호일의 파괴 모드를 시각적으로 평가하고 "접착/클린", "접착/더티", "응집" 또는 "혼합"으로 기록하였다.
실시예 18(비교용)
통상적인 N-메틸-2-피롤리돈(NMP) 중의 PVDF 바인더 용액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n-메틸 피롤리돈(1141.44 g)을 1-gal 금속 캔에 첨가하였다. 용매를 3-inch 직경의 카울레즈 혼합 임펠러를 500 RPM의 회전 속도로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3-inch 직경의 카울레즈 혼합 임펠러를 500 RPM의 회전 속도로 사용하여 일정한 교반을 유지하면서, PVDF T-1(이너 몽골리아 3F 완하오 플루오로케미컬 컴패니 리미티드, 58.56 g)을 점진적으로 30분 동안 상기 용매에 첨가하였다.
용액의 고체는 4.9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9(비교용)
통상적인 전극 슬러리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슬러리 성분을,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 모델 ARM-310(띵키 코포레이션 재팬)을 사용하여 PTFE 어댑터에 담긴 폴리프로필렌 컵에서 혼합하였다.
슬러리를 제조하기 전에, 실시예 18(비교용)의 바인더 성분을 30초 동안 진탕함으로서 교반하였다.
실시예 18(비교용)의 NMP 중의 PDVF 바인더 용액(24.05 g) 및 이어서 NMP(13.32 g)를 250 ml 폴리프로필렌 혼합 컵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1분 동안 2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희석된 바인더는 투명하였고 낮은 점도를 가졌다.
팀컬 수퍼 P 카본 블랙(아이메리즈 그래파이트 앤드 카본 벨지움 에스에이, 0.585 g)을 희석된 바인더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5분 동안 1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추가적 팀컬 수퍼 P 카본 블랙(아이메리즈 그래파이트 앤드 카본 벨지움 에스에이, 0.585 g)을 상기 바인더 및 탄소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5분 동안 2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혼합 후에, 추가적 진행 전에, 바인더 용액 중의 카본 블랙을 5분 동안 혼합하지 않고 유지하였다.
상기 5분의 유지 기간 후에, Phostech P2 리튬 철 포스페이트(LFP, 존슨 멧데이, 8.575 g)를 카본 블랙 및 바인더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5분 동안 500 RPM에서 사용한 후에 5분 동안 15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추가적 Phostech P2 LFP(8.575 g)를 LFP, 카본 블랙 및 바인더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5분 동안 500 RPM에서 사용한 후에, 5분 동안 2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혼합 후에, 추가적 진행 전에, LFP, 카본 블랙 및 바인더 혼합물을 5분 동안 혼합하지 않고 유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5분 동안 2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혼합 후에, 추가적 진행 전에, LFP, 카본 블랙 및 바인더 혼합물을 5분 동안 혼합하지 않고 유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5분 동안 2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혼합 후에, 추가적 진행 전에, LFP, 카본 블랙 및 바인더 혼합물을 5분 동안 혼합하지 않고 유지하였다.
이어서,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를 5분 동안 2000 RPM에서 사용하여 성분을 혼합하였다.
생성된 슬러리의 고체는 35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성된 슬러리의 점도를, LV 스핀들 세트의 스핀들 번호 3을 사용하고 20 RPM의 회전 속도로 브룩필드 점도계모델 LVDV-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점도를 혼합 직후에(제1일), 2일 후에(제3일), 9일 후에(제10일) 및 13일 후에(제14일)에 측정하였다. 측정된 브룩필드 점도를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바인더 % 고체 점도 (cP)
제1일 제3일 제10일 제14일
실시예 16 본 발명 46.0 4830 3690 3480 3360
실시예 19 PVDF NMP 35.0 5730 겔화됨
본 발명의 바인더 시스템(실시예 16)은, NMP 중의 PVDF(실시예 19)와 비교하여, 파워 전지 및 에너지 전지 조성물 둘 다에 대해 높은 도포 고체 함량에서 공업용 리튬 이온 배터리 생산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롤-투-롤(roll-to-roll) 전극 도포에서 필요한 범위 내에 점도를 조절하는 것에 대해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유리점은 보다 높은 탄소 함량의 파워 전지의 경우 더욱 뚜렷하다.
본 발명의 바인더 시스템(실시예 16)은, 슬러리 제조 36 내지 48시간 내에 회복불능의 겔을 형성하는 비교용 PVDF/NMP(실시예 19)와 비교하여, 저장 안정성을 갖는 슬러리를 가능하게 한다. 부드러운 교반 후에, 슬러리 점도는 공업용 리튬 이온 배터리 생산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롤-투-롤 전극 도포에 필요한 범위 내에 있고, 전지 성능이 유지되었다.
실시예 20(비교용)
15-μm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의 6 cm × 30 cm 샘플을 AFA-II 자동 후막 코터(MTI 코포레이션) 상에 두고 아세톤으로 닦은 후에, 이소프로판올로 닦았다. 세정된 알루미늄 호일에, 실시예 19(비교용)의 캐소드 슬러리의 분액을, 10 cm 너비의 닥터 블레이드를 약 145 μm의 블레이드 갭 세팅으로 사용하여 습윤 코팅으로서 도포하였다.
습윤 캐소드 코팅으로 코팅된 호일을, 하기 램프-및-소크 조건을 사용하여, 2.5" 직경의 배기 덕트 및 프로토콜 3 프로그램 작동이 가능한 컨트롤러를 갖춘 디스패치 브랜드 클래스 A 실험실 박스 오븐을 사용하여 건조하였다: 55℃의 초기 설정점; 코팅된 호일을 오븐에 둔다; 55℃에서 3분 동안 유지; 55℃에서 70℃로 1분에 걸쳐 상승; 70℃에서 2분 동안 유지; 70℃에서 90℃로 4분에 걸쳐 상승; 코팅된 호일을 오븐에서 제거한다.
디지털 측미계를 사용하고 6개의 측정치의 평균을 구하고, 코팅되지 않은 호일의 두께를 감하여 캐소드 코팅만의 두께를 계산함으로써 호일 상의 캐소드 코팅의 건조 필름 두께(DFT)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DFT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41 μm였다.
9 cm2 면적의 코팅된 호일을 화학 천칭을 사용하여 칭량하였다. 호일 및 건조된 슬러리 코팅의 중량을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기록하였다. 9 cm2 면적의 코팅되지 않은 호일을 또한 화학 천칭을 사용하여 칭량하였다. 코팅되지 않은 호일의 중량을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기록하였다. 코팅되지 않은 호일의 중량을 코팅된 호일의 중량에서 감함으로써 건조된 코팅의 중량을 계산하였다.
코팅된 호일의 면적(9 cm2)을 코팅의 측정된 두께의 평균과 곱함으로써 코팅의 측정된 부피를 결정하였다. 건조된 코팅된 호일의 기공도를 캐소드 코팅의 측정된 부피, 캐소드 코팅의 측정된 질량, 캐소드의 조성 및 캐소드 성분의 공지된 밀도를 기반으로 계산하였다. 코팅된 캐소드 코팅의 계산된 초기 기공도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60%였다.
이어서, 건조된 코팅된 호일을 80℃로 가열된 8-inch 직경의 롤을 갖춘 IMC 캘린더 프레스를 3000 psi의 캘린더링 압력 및 0.2 m/분의 라인 속도로 사용하여 35%의 표적 기공도 가압하였다. 디지털 측미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35% 기공도로 캘린더링된 캐소드 코팅의 가압된 필름 두께(PFT)는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5 μm였다.
캘린더 가압된 필름의 가요성을 실시예 15에서와 같이 입증하였다.
캘린더 가압된 필름의 박리 강도를 실시예 15에서와 같이 결정하였다. 4개의 스트립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균 박리 강도 및 박리 강도에 대한 표준 편차를 N/m 단위로 결정하고, 이를 표 6에 나타냈다.
실시예 바인더 DFT (μm) 코팅된 % 기공도 결함 3 mm 맨드렐 굽힘
실시예 17 본 발명 43 54 없음 통과
실시예 20 PVDF NMP 41 60 없음 통과
본 발명의 바인더 시스템(실시예 17)을 사용하여 제조한 전극의 코팅된 필름 및 건조된 필름 특성은 NMP 중의 PVDF(실시예 20)를 사용하여 제조한 전극과 비교하여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바인더 시스템은, 비교용 PVDF/NMP과 비슷한 초기 기공도를 유지하면서, 고용량 에너지 전지용 가요성 전극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인더 시스템은, 가요성을 유지하면서, 비교용 PVDF/NMP와 비교하여, 고 탄소 함량의 파워 전지의 경우 개선된 초기 기공도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조성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 탄소 바인더 PFT (μm) 박리 강도 (N/m) 파괴 모드
실시예 17 88-6-6 LFP 수퍼 P 본 발명 31 42.4±3.8 혼합*
실시예 20 88-6-6 LFP 수퍼 P PVDF NMP 25 16.6±1.7 혼합*‡
*약간의 응집 파괴(>200 N/m) 약간의 접착 파괴 영역 박리 강도가 기록됨
*‡약간의 응집 파괴(>100 N/m) 약간의 접착 파괴 영역 박리 강도가 기록됨
모든 코팅된 전극을 필름 결함 및 손상 없이 캘린더 가압하였다. 코팅을 통해 기판까지 절단을 수행한 후에, 88-6-6의 파워 전지 조성을 사용하여 박리 강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렇지 않으면 테이프는 가압된 캐소드 코팅의 표면에서 접착 파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제형을 사용한 박리 강도는 NMP 비교물 및 산업 최소치를 초과하고, 실린더형 및 프리즘형 전지에 충분하다.
실시예 21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분산제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4-목 환저 플라스크에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TEP, 375.4 g)를 첨가하고, 상기 플라스크에 기계적 교반 블레이드, 열전대 및 환류 응축기를 설치하였다. TEP 용매를 함유하는 플라스크를 120℃의 설정점으로 질소 대기 하에 가열하였다. MMA(227.6 g), EHA(148.2 g), BA(126 g), 아세토아세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AAEM, 58.4 g), HEA(11.5 g) 및 MAA(11.5 g)를 함유하는 단량체 용액을 별개의 용기에서 완전히 혼합하였다. Trigonox 131(12.9 g) 및 TEP(61.1 g)의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플라스크에 185분 동안 첨가하였다. 개시제 용액 첨가 개시 5분 후에, 단량체 용액을 개시하여 180분 동안 첨가하였다. 개시제 및 단량체 공급 모두를 완료한 후에, 단량체 첨가 깔때기를 TEP(14.4 g)로 헹궜다. 이어서, Trigonox 131(4.3 g) 및 TEP(61.1 g)의 추가적 용액을 60분 동안 첨가하였다. 이러한 제2 개시제 공급을 완료한 후에, 개시제 첨가 깔때기를 TEP(57.9 g)로 헹궜다. 이어서, 반응 생성물을 120℃에서 60분 동안 유지하였다. 상기 60분의 유지 후에, 반응 생성물을 냉각하고 적합한 용기에 부었다. 수지의 측정된 최종 고체 함량은 48.82 중량%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22
바인더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플라스틱 컵에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68.368 g), 실시예 21의 분산제(27.685 g)를 첨가하였다. 아크릴이 용매에 완전히 혼입될 때까지 혼합물을 분산 블레이드에 의해 교반하였다. 이어서, PVDF T-1(이너 몽골리아 3F 완하오 플루오로케미컬 컴패니 리미티드, 54.300 g)을, PVDF가 혼합물에 완전히 혼입될 때까지 분산 블레이드로 교반하면서 30 내지 60분 동안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슬러리의 측정된 총 비휘발물 함량은 45.14 중량%였다.
실시예 23
전극 슬러리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플라스틱 컵에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15.936 g) 및 실시예 22의 바인더(3.763 g)를 첨가하였다. 전도성 탄소 LITX200(캐봇 코포레이션, 1.277 g)을 2개의 분획으로 첨가하고, 각각의 순차적 블렌드를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에서 1000 RPM에서 5분 동안 혼합하였다. 캐소드 활성 분말 NMC 111(EQ-Lib-LNCM111, MTI 코포레이션, 39.07 g)을 2개의 분획으로 첨가하고, 각각의 순차적 블렌드를 이중 비대칭 원심 믹서에서 1000 RPM에서 5분 동안 혼합하여 제형화된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상기 슬러리의 총 비휘발물 함량은 70.0 중량%였다. NMC111:탄소:바인더 건조 고체의 최종 비는 93:3:4였다.
닥터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형화된 슬러리를 미리 세정된 알루미늄 호일 상에 드로우-다운 도포하여 습윤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습윤 필름을 오븐에서 90℃의 최대 온도로 10분 이상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 후에, 51 μm의 평균 건조 필름 두께를 측미계를 사용하여 5개의 측정치로부터 결정하였다. 건조 필름을 37 μm의 필름 두께로 캘린더-가압하였고, 실시예 15에서와 같이 측정시 62.15 N/m의 90° 박리 강도를 나타냈다.
슬러리의 점도 프로필을 25℃에서 50 mm 콘 및 플레이트 유량계에 의해 측정하였다. 0.1, 1, 10, 100 및 1000초-1의 전단비에서의 점도는 각각 2930, 1320, 743, 498 및 354 cp였다.
실시예 24
부가 중합체를 탄소를 분배시키는 이의 능력에 대해 평가하였다: 유리 바이알에 TEP(약 34.4 g) 및 부가 중합체(약 0.25 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하거나 진탕하여 용해시켰다. 부가 중합체가 용액의 0.402 질량%이고 용액의 총 질량이 34.764 g이도록, 부가 중합체 및 트라이에틸 포스페이트의 정확한 양을 조정하였다. 이어서, 탄소가 용액의 4.400 질량%이도록 카본 블랙(팀컬 수퍼 P, 아이메리즈 에스에이 벨지움으로부터 입수가능, 1.600 g)을 상기 바이알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하거나 활발히 진탕하여 탄소 분산액을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의 점도를 CC27 원추형 실린더 및 컵 툴(시리얼 번호 38116)을 사용하는 안톤-파르 MCR302 유량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이때 상기 컵 및 실린더는 각각 28.914 mm 및 26.652 mm의 직경을 가졌다. 모든 점도 측정은 25℃에서 수행하였고, 점도를 39.8초-1의 전단비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헤테로환형 기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 및 실시예 4B의 산과 후속-반응하는 헤테로환형 기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를 실시예 10에서 제조된 헤테로환형 기를 포함하지 않는 부가 중합체와 비교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7에 제공된다.
헤테로환형 작용기 실시예 39.8 s-1에서 점도(cP) 상대 점도
없음 실시예 10 135 100%
산과 후속-반응하는 글리시딜 실시예 4B 80 59%
피롤리돈 실시예 1 54 40%
표 7의 결과는, 실시예 10의 부가 중합체와 비교하여 실시예 1 또는 4B의 부가 중합체를 포함하는 탄소 분산액의 감소된 점도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헤테로환형 작용기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가 헤테로환형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 부가 중합체보다 양호하게 탄소를 분배시킴을 시사한다.
당업자는 본원에 기술되고 예시된 광범위한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개시내용에 비추어 수많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개시내용은 단지 본원의 다양한 예시적인 양태를 예시하는 것이며, 본원 및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수많은 수정 및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7)

  1. (a)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 및
    (b) (i) 액체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ii)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를 포함하는 바인더
    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로서,
    상기 슬러리 조성물의 액체 매질은 유기 매질을 포함하고, 상기 슬러리 조성물은 N-메틸-2-피롤리돈을 슬러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미만의 양으로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에폭시 작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비닐 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체가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체가 에폭시 작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 및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체가 0.1 내지 50 중량%의 에폭시 작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 및 1 내지 90 중량%의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되, 중량%가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슬러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체가 비닐 피롤리돈 잔기 및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체가 1 내지 99 중량%의 비닐 피롤리돈 잔기 및 1 내지 99 중량%의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되, 중량%가 부가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슬러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체가 하나 이상의 헤테로환형 기를 포함하고, 상기 헤테로환형 기에 반응성인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 상기 헤테로환형 기와의 반응에 의해 부가 중합체 상에 그래프팅되는, 슬러리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헤테로환형 기에 반응성인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작용기가 티올, 아미노, 하이드록시, 카복시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유기 매질이, 유기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의 용해 온도에서 10 g/min m2 미만의 증발 속도를 갖는, 슬러리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유기 매질이 180℃에서 80 g/min m2 초과의 증발 속도를 갖는, 슬러리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유기 매질이 부틸 피롤리돈, 트라이알킬포스페이트, 1,2,3-트라이아세톡시프로판, 3-메톡시-N,N-다이메틸프로판아미드,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감마-부티로락톤,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유기 매질이 트라이알킬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주용매, 및 조용매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15. 제11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체가 제2 유기 매질에 용해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혼합물의 통상적인 자유 라디칼 개시된 용액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슬러리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유기 매질이 슬러리 조성물의 유기 매질과 동일한 것인, 슬러리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헤테로환형 기를 미함유하는 제2 부가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슬러리 조성물은 이소포론을 슬러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19. 삭제
  20. 제1항에 있어서,
    (c) 전기전도성 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전기전도성 제제가 그래파이트, 아세틸렌 블랙, 퍼니스 블랙, 그래핀, 탄소 나노 튜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22. 제20항에 있어서,
    전기전도성 제제가 100 내지 1000 m2/g의 표면적을 갖는 전도성 탄소 물질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23. (a) 전기전도성 제제; 및
    (b) (i) 액체 매질에 분산된 플루오로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ii) 헤테로환형 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부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를 포함하는 바인더
    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로서,
    상기 슬러리 조성물의 액체 매질은 유기 매질을 포함하고, 상기 슬러리 조성물은 N-메틸-2-피롤리돈을 슬러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미만의 양으로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24. (a) 집전기; 및
    (b) 상기 집전기 상에 형성된 필름
    을 포함하는 전극으로서,
    상기 필름이 제20항의 슬러리 조성물로부터 증착되는, 전극.
  25. 제24항에 있어서,
    집전기(a)가 메쉬, 시트 또는 호일 형태의 구리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전극.
  26. 제24항에 있어서,
    양극을 포함하는 전극.
  27. 제24항에 있어서,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
  28. 제24항에 있어서,
    필름이 가교결합되는, 전극.
  29. 제24항에 있어서,
    집전기가 전처리 조성물로 전처리되는, 전극.
  30. (a) 제24항의 전극;
    (b) 상대 전극; 및
    (c) 전해질
    을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전해질(c)이 용매에 용해된 리튬 염을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리튬 염이 유기 카보네이트에 용해되는, 전기 저장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전지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34. 제30항에 있어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35. 제30항에 있어서,
    이차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36. 제30항에 있어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37. 제30항에 있어서,
    수퍼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기 저장 장치.
KR1020207003530A 2017-07-07 2018-07-06 리튬 이온 전기 저장 장치용 전극 바인더 슬러리 조성물 KR102484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42648A KR102542858B1 (ko) 2017-07-07 2018-07-06 리튬 이온 전기 저장 장치용 전극 바인더 슬러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29499P 2017-07-07 2017-07-07
US62/529,499 2017-07-07
PCT/US2018/041131 WO2019010443A1 (en) 2017-07-07 2018-07-06 ELECTRODE BINDER BOILING COMPOSITION FOR LITHIUM ION ELECTRIC STORAGE DEVIC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648A Division KR102542858B1 (ko) 2017-07-07 2018-07-06 리튬 이온 전기 저장 장치용 전극 바인더 슬러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968A KR20200026968A (ko) 2020-03-11
KR102484176B1 true KR102484176B1 (ko) 2023-01-02

Family

ID=630363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530A KR102484176B1 (ko) 2017-07-07 2018-07-06 리튬 이온 전기 저장 장치용 전극 바인더 슬러리 조성물
KR1020217042648A KR102542858B1 (ko) 2017-07-07 2018-07-06 리튬 이온 전기 저장 장치용 전극 바인더 슬러리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648A KR102542858B1 (ko) 2017-07-07 2018-07-06 리튬 이온 전기 저장 장치용 전극 바인더 슬러리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843118B2 (ko)
EP (1) EP3649687A1 (ko)
JP (1) JP7217735B2 (ko)
KR (2) KR102484176B1 (ko)
CN (1) CN110870108B (ko)
AU (2) AU2018297344B2 (ko)
CA (1) CA3069147A1 (ko)
TW (1) TWI694633B (ko)
WO (1) WO20190104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69166A1 (en) 2017-07-07 2019-01-10 Ppg Industries Ohio, Inc. Electrode binder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electrical storage devices
CN108767235B (zh) * 2018-06-04 2020-05-29 广州天赐高新材料股份有限公司 锂二次电池正极浆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482696B2 (en) * 2020-02-26 2022-10-25 Ppg Industries Ohio, Inc. Method of coating an electrical current collector and electrodes resulting therefrom
EP4315448A1 (en) * 2021-03-26 2024-02-07 PPG Industries Ohio Inc. Electrode binder and slurry compositions for lithium ion electrical storage devices
JP2024520645A (ja) * 2021-06-02 2024-05-24 ピーピージー・インダストリーズ・オハイ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連続コーティングラインを使用して電極を製造する方法
CN117897821A (zh) * 2021-06-02 2024-04-16 Ppg工业俄亥俄公司 使用连续涂覆线制造电极的方法
WO2023056396A1 (en) * 2021-09-30 2023-04-06 Ppg Industries Ohio, Inc. Binder composition and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ion electrical storage devices
WO2023059953A1 (en) * 2021-10-06 2023-04-13 Ppg Industries Ohio, Inc. Negative electrode waterborne slurry compositions for lithium ion electrical storage devices
WO2024097452A2 (en) 2022-10-10 2024-05-10 Ppg Industries Ohio, Inc. Supercapacitor electrode coating materials including active composite particles and conductive carbon-containing partic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4351A (ja) 2011-10-06 2013-05-09 Nippon Zeon Co Ltd 電気化学素子電極用複合粒子、電気化学素子電極材料、及び電気化学素子電極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9130A (ja) * 1996-01-22 1997-07-31 Elf Atochem Japan Kk 電極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二次電池
JPH10172573A (ja) * 1996-12-13 1998-06-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JPH11228902A (ja) 1998-02-17 1999-08-24 Elf Atochem Japan Kk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の金属基材への接着方法、電極構造体、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H11329904A (ja) 1998-05-12 1999-11-30 Asahi Glass Furoro Polymers Kk 非水系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US6168885B1 (en) 1998-08-21 2001-01-02 Sri International Fabrication of electrodes and devices containing electrodes
JP4226704B2 (ja) 1998-11-05 2009-02-18 株式会社クレハ 非水系電気化学素子電極用バインダー溶液、電極合剤、電極および電気化学素子
JP4325002B2 (ja) 1998-12-15 2009-09-02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チウム電池
JP2002260666A (ja) 2001-02-28 2002-09-13 Asahi Kasei Corp 非水系二次電池
KR100385357B1 (ko) 2001-06-01 2003-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황 전지
JP2003257433A (ja) 2002-02-28 2003-09-12 Mitsubishi Materials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及び結着剤
JP4361241B2 (ja) 2002-04-26 2009-11-11 株式会社クレハ 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電極合剤組成物、電極および二次電池
KR100454030B1 (ko) 2002-08-07 2004-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황 전지용 양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황 전지
TW200410439A (en) 2002-11-22 2004-06-16 Kureha Chemical Ind Co Ltd Binder composition for electrode of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use thereof
KR100599602B1 (ko) 2004-10-28 2006-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4929792B2 (ja) 2006-03-30 2012-05-0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電極用複合粒子
FR2912555B1 (fr) 2007-02-09 2011-02-2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Liant pour electrode de systeme electrochimique, electrode comprenant ce liant, et systeme electrochimique comprenant cette electrode.
TWI437009B (zh) 2007-04-24 2014-05-11 Solvay Solexis Spa 1,1-二氟乙烯共聚物類
JP2009063907A (ja) 2007-09-07 2009-03-26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CN101855752B (zh) 2007-11-14 2014-07-23 株式会社吴羽 非水系电池用正极合剂和正极结构体
JP2010049872A (ja) 2008-08-20 2010-03-04 Toyo Ink Mfg Co Ltd 電池用組成物
EP2398095A4 (en) 2009-02-12 2013-08-14 Daikin Ind Ltd SUSPENSION FOR POSITIVE ELECTRODE MIXTURE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SUSPENSION
RU2011154157A (ru) 2009-05-29 2013-07-10 Аркема Инк. Во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поливинилиденфторида
US8951670B2 (en) 2010-06-30 2015-02-10 Very Small Particle Company Limited Adhesion of active electrode materials to metal electrode substrates
WO2012124582A1 (ja) 2011-03-15 2012-09-20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の製造方法、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9761903B2 (en) 2011-09-30 2017-09-12 Ppg Industries Ohio, Inc. Lithium ion battery electrodes including graphenic carbon particles
US10763490B2 (en) 2011-09-30 2020-09-01 Ppg Industries Ohio, Inc. Methods of coat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substrate and related electrodepositable compositions including graphenic carbon particles
WO2013183717A1 (ja) 2012-06-07 2013-12-1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負極スラリー組成物、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負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40045880A (ko) 2012-10-09 2014-04-1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축전 장치
KR101535199B1 (ko) 2012-11-30 2015-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분산성을 갖는 슬러리 및 그의 용도
US9273399B2 (en) 2013-03-15 2016-03-01 Ppg Industries Ohio, Inc. Pre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ating a battery electrode
JP2014181252A (ja) 2013-03-18 2014-09-29 Nippon Shokubai Co Ltd カルボン酸系重合体組成物
US9466830B1 (en) 2013-07-25 2016-10-11 Quantumscap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lithiated electrode material
JP6253155B2 (ja) 2013-09-25 2017-1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電解質組成物、これを用いた電池用電極シートおよび全固体二次電池
JP6369473B2 (ja) * 2013-10-31 2018-08-0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正極用スラリー組成物、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6098852B2 (ja) 2014-01-06 2017-03-2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二次電池用負極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102222117B1 (ko) 2014-01-10 2021-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2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이를 채용한 양극과 리튬전지
JP2014132591A (ja) 2014-03-13 2014-07-17 Daikin Ind Ltd リチウム二次電池の電極合剤用スラリー、電極、そ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US9385374B2 (en) 2014-04-01 2016-07-05 Ppg Industries Ohio, Inc. Electrode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electrical storage devices
US11552297B2 (en) * 2014-06-04 2023-01-10 Zeon Corporation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electrode-use,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electrode-us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us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O2016006945A1 (ko) * 2014-07-11 2016-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3387B1 (ko) * 2014-07-11 2016-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 및 이의 제조방법
JP6166235B2 (ja) 2014-08-26 2017-07-19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塗工液、塗工膜、及び複合材料
CN104497190B (zh) 2014-12-29 2016-09-21 浙江孚诺林化工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锂离子电池电极材料粘结剂的偏氟乙烯聚合物的制备方法
JP2016181479A (ja) 2015-03-25 2016-10-13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組成物
JP2016201244A (ja) 2015-04-09 2016-12-01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用電極の電極表面改質用塗布剤、表面改質電極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液電池の製造方法
KR20160139240A (ko)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2017010093A (ja) 2015-06-17 2017-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HUE055008T2 (hu) 2015-07-14 2021-10-28 Zeon Corp Kötõanyag készítmény szekunder akkumulátor elektródhoz, vezetõ anyag pasztakészítmény szekunder akkumulátor elektródhoz, zagykészítmény szekunder akkumulátor elektródhoz, elektród szekunder akkumulátorhoz és szekunder akkumulátor
PL3358662T3 (pl) 2015-09-30 2021-04-19 Kureha Corporation Kompozycja środka wiążącego, elektroda baterii wtórnej z elektrolitem niewodnym oraz bateria wtórna z elektrolitem niewodnym
KR20170050078A (ko) * 2015-10-29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이차전지 양극용 아크릴 바인더
CN106299379B (zh) * 2016-10-28 2019-02-05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锂电池正极合浆溶剂、使用该溶剂的锂电池正极浆料的制备方法
KR20240046619A (ko) * 2017-07-07 2024-04-09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리튬 이온 전기 저장 장치용 전극 슬러리 조성물
CA3069166A1 (en) * 2017-07-07 2019-01-10 Ppg Industries Ohio, Inc. Electrode binder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electrical storage devices
US11228037B2 (en) 2018-07-12 2022-01-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igh-performance electrodes with a polymer network having electroactive materials chemically attached theret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4351A (ja) 2011-10-06 2013-05-09 Nippon Zeon Co Ltd 電気化学素子電極用複合粒子、電気化学素子電極材料、及び電気化学素子電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968A (ko) 2020-03-11
CA3069147A1 (en) 2019-01-10
TWI694633B (zh) 2020-05-21
AU2018297344A1 (en) 2020-02-13
EP3649687A1 (en) 2020-05-13
WO2019010443A1 (en) 2019-01-10
AU2022200368A1 (en) 2022-02-17
TW201921783A (zh) 2019-06-01
US20240120491A1 (en) 2024-04-11
JP7217735B2 (ja) 2023-02-03
CN110870108B (zh) 2023-11-14
US11843118B2 (en) 2023-12-12
AU2018297344B2 (en) 2021-10-21
KR102542858B1 (ko) 2023-06-13
CN110870108A (zh) 2020-03-06
JP2020526882A (ja) 2020-08-31
KR20220002725A (ko) 2022-01-06
US20200176777A1 (en)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176B1 (ko) 리튬 이온 전기 저장 장치용 전극 바인더 슬러리 조성물
KR102662135B1 (ko) 리튬 이온 전기 저장 장치용 전극 바인더 슬러리 조성물
JP7348327B2 (ja) リチウムイオン蓄電装置用の電極結合剤スラリー組成物
AU2018297321B9 (en)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electrical storag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330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227

Effective date: 2022112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