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367B1 - 낚시 기기 - Google Patents

낚시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367B1
KR102483367B1 KR1020207036359A KR20207036359A KR102483367B1 KR 102483367 B1 KR102483367 B1 KR 102483367B1 KR 1020207036359 A KR1020207036359 A KR 1020207036359A KR 20207036359 A KR20207036359 A KR 20207036359A KR 102483367 B1 KR102483367 B1 KR 102483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rum
pair
rotary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034A (ko
Inventor
유이치 하마데
다이고 사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02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낚시 기기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낚싯줄을 권설 가능한 회전 드럼과,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회전 드럼을 풀어 내림 방향 또는 감아 올림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은 그의 각 단부에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한편 이축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드럼은, 회전 중심부에 마련되는 한편 회전축이 끼워지는 관통공과, 관통공 내에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한편 회전축의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가 결합하는 적어도 1개의 제1요홈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낚시 기기
본 발명은 선상에 탑재되어 낚싯줄을 풀어 내림(卷き下げ) 및 감아 올림(卷き上げ)하는 회전 드럼을 가진 낚시 기기에 관한 것이다.
풀어 내림 방향 또는 감아 올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드럼과, 이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와, 이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기구를 구비하여, 오징어 등 어류를 어획하기 위한 낚시 기기는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종래, 낚시 기기의 회전 드럼은, 회전축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2장의 측판 사이에 복수 개의 횡부재가 가로지르는 격자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이 회전 드럼의 복수의 횡부재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낚시 기기에 있어서 회전 드럼은, 그 측판에 마련된 베어링부를 볼트 체결하는 것으로써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었다. 즉, 각 베어링부에 마련된 2개의 볼트를 축 중심 방향으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 베어링부를 회전축에 고정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낚시 기기에 있어서는, 조업 시에 낚싯줄이 회전 드럼에서 벗어나 회전축에 감기거나, 인접한 다른 낚시 기기와 낚싯줄이 얽히거나, 낚싯줄이 끊어져 낚시 바늘을 잃어버리는 경우에, 복구 작업을 행하여 그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지만, 복구 작업 중에는 낚시 조업이 멈춰 버린다. 따라서, 조업의 정지 시간을 최대한 짧게 하기 위하여, 미리 낚싯줄, 낚시 바늘, 추가 장착된 예비의 회전 드럼을 준비하고, 문제가 발생한 낚시 기기의 회전 드럼마다 교환하는 것으로 복구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0-273646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낚시 기기의 경우, 회전 드럼을 교환하는 작업은, 회전 드럼을 고정하는 각 2개, 총 4개의 볼트를 풀고, 회전 드럼 교환 후에 다시 이 4개의 볼트를 체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과, 볼트가 회전 드럼의 내측(회전축측)에 있는(줄 뭉침 방지를 위한 돌기물을 줄일 목적) 것이기 때문에 긴 전용 공구가 필요한 데다, 그 공구로 낚싯줄의 틈새를 강제로 벌이면서 볼트를 풀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낚싯줄에 손상을 주기 쉽다는 등의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 드럼을 용이하면서도 단시간에 탈착 가능한 낚시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드럼을 분리할 때에, 회전축에 감겨진 낚싯줄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낚시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시 기기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낚싯줄을 권설(卷設) 가능한 회전 드럼과,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회전 드럼을 풀어 내림 방향 또는 감아 올림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은 그의 각 단부에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한편 이축(離軸)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凸條)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드럼은, 회전 중심부에 마련되는 한편 회전축이 끼워지는 관통공과, 관통공 내에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한편 회전축의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가 결합하는 적어도 1개의 제1요홈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은 그의 각 단부에 이축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를 구비하여 있으며, 회전 드럼은 회전축이 끼워지는 관통공과, 관통공 내에 회전축의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가 결합하는 적어도 1개의 제1요홈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드럼을 탈착할 때에, 종래와 같은 긴 전용 공구가 필요 없으며, 회전 드럼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의 축 방향의 양단부에는 돌출량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는 회전축의 각 단부에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한편 이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회전 방향으로 서로 180도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회전축의 양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돌출 부재는 회전 방향으로 서로 90도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회전 드럼을 낚싯줄의 감김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 회전축의 좌우 양단부의 어디에든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축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회전 드럼의 축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회전축은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제2요홈을 구비하고 있고,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는 적어도 1개의 제2요홈에 결합하여 고착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회전 드럼은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된 한 쌍의 반 드럼 부재가 서로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반 드럼 부재의 각각이, 중심에 회전축이 끼워지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외주부에 마련되는 줄 감기 몸통부와, 줄 감기 몸통부 부의 축 방향의 한 쪽 끝단의 외주부에 마련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체부의 축 방향의 다른 쪽 끝단이 서로에 고착되는 것으로써 한 쌍의 반 드럼 부재가 서로에 연결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회전 드럼의 경량화 및 고강도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회전 드럼의 중앙의 한 군데에서 회전축의 단부에 고정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긴 전용 공구가 불필요 하고, 회전 드럼 장착 및 분리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회전축이 그 각 단부에 이축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회전 드럼이 회전축이 끼워지는 관통공과, 관통공 내에 회전축의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가 결합하는 적어도 1개의 제1요홈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드럼을 탈착 할 때에, 종래와 같은 긴 전용 공구가 필요 없으며, 회전 드럼의 장착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의 축 방향 양단부에는 돌출량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드럼을 분리할 때에, 회전축에 감긴 낚싯줄이 이 돌출 부재에 걸리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추가로,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는 회전축의 각 단부에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한편 이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회전 방향으로 서로 180도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 부재이며, 회전축의 양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돌출 부재는 회전 방향으로 서로 90도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회전 드럼을, 낚싯줄의 감김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 회전축의 좌우 양단부의 어디에든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추가로, 회전 드럼은,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된 한 쌍의 반 드럼 부재가 서로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반 드럼 부재의 각각이, 중심에 회전축이 끼워지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외주부에 마련되는 줄 감기 몸통부와, 줄 감기 몸통부의 축 방향의 한 쪽 끝단의 외주부에 마련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써, 회전 드럼의 경량화 및 고강도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회전 드럼의 중앙 한 곳에서 회전축의 단부에 고정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긴 전용 공구가 필요 없으며, 회전 드럼 장착 및 분리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낚시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a) 정면도 및 (b)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낚시 기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낚시 기기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낚시 기기의 회전 드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낚시 기기의 회전 드럼과 회전축의 연결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평면 및 수직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낚시 기기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의 전체 구성, 이 빠짐 방지 부재의 로크 플레이트, 및 이 빠짐 방지 부재가 장착되는 회전축의 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 7은 도 1의 낚시 기기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의 기능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낚시 기기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낚시 기기(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a)는 낚시 기기(100)의 정면도이고, (b)는 낚시 기기(10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낚시 기기 본체(1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이 낚시 기기(100)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이 낚시 기기(100)의 회전 드럼(3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회전 드럼(30)과 회전축(20)의 연결 주요부의 구성 및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a)는 도 4 내의 수평면(H)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며, (b)는 도 4 내의 수직면(V)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기기(100)는, 낚시 기기 본체(10)와, 낚시 기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20)과, 낚시 기기 본체(10)의 양측에 있어서 회전축(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회전 드럼(30)과, 회전축(20)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회전 드럼(30)의 축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빠짐 방지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회전 드럼(30)에는, 한 쌍의 낚싯줄(50)이 각각 감겨져 있으며, 한 쌍의 낚싯줄(50)에는 한 쌍의 추(6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 기기 본체(10)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축(2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12)와, 구동 모터(12)의 회전을 회전축(20)에 전달하는 전자 클러치(13)와, 회전축(20)에 따라서 회전 드럼(3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기(14)와, 회전 검출기(14)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12) 및 전자 클러치(13)를 제어하는 제어부(15)와, 회전축(20)을 따라 회전 드럼(30)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기구(횡진동(アヤ振り) 기구)(16)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의 앞면에는, 도 1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5)의 조작 패널이 장착되어 있고, 이 조작 패널에는, 제어부(15)의 입력부(15a), 표시부(15b) 및 전원 스위치 등이 마련되어 있다.
구동 모터(1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1) 내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 구동 모터(12)의 구동력이 치합된 기어로 구성되는 제1전달기구(17a), 전자 클러치(13) 및 치합된 기어로 구성되는 제2전달기구(17b)를 매개로 하여 회전축(20)에 전달된다. 또한, 회전 검출기(14)는 체인 및 스프로킷으로 구성되는 제3전달기구(17c)를 매개로 하여 구동축(19)에 연결된다.
전자 클러치(13)는, 코일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동력 전달의 온·오프를 행하는 클러치이며, 공지된 다양한 구성의 것이 적용 가능하다.
회전 검출기(14)는, 회전축(20)을 따라 회전 드럼(3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로터리 인코더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5)는, 키보드 또는 액정 터치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15a)와,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액정 터치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15b)와, CPU(15c)와, ROM(15d)과, RAM(15e)과, 회전 검출기(14)의 출력 신호로부터 회전 드럼(30)의 회전 속도를 산출하는 회전 속도 산출 수단(15f)과, 회전 검출기(14)의 출력 신호로부터 회전축(20)을 따라 회전 드럼(30)이 감아 올림 방향의 회전(정회전)인지 풀어 내림 방향의 회전(역회전)인지라는 회전 드럼(30)의 회전 방향을 판별하는 회전 방향 판별 수단(15g)과, 회전 방향 판별 수단(15g)에 의해 회전 드럼(30)이 풀어 내림 방향의 회전으로 되었다고 판별된 경우, 회전 속도 산출 수단(15f)으로부터 얻어진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회전 속도를 소정의 회전 속도로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자 클러치(13)로의 인가 전압의 변경분을 산출하는 인가 전압 변경분 산출 수단(15h)과, 미리 설정된 인가 전압에 대하여 인가 전압 변경분 산출 수단(15h)에 의해 산출된 인가 전압의 변경분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인가 전압을 조정하는 인가 전압 조정 수단(15i)과, 낚싯줄의 단위 시간 당 풀려 나간 거리를 산출하는 조출(繰出) 거리 산출 수단(15j)을 구비하고 있다.
CPU(15c)는, ROM(15d)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RAM(15e)을 작업 영역으로 사용하면서 낚시 기기(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인가 전압 변경분 산출 수단(15h)은, 회전 드럼(30)이 역회전으로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얻어진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낚싯줄의 풀어 내림 속도를 소정 값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전자 클러치(13)로의 인가 전압의 변경분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인가 전압 변경분 산출 수단(15h)은, 회전 속도 산출 수단(15f)으로부터 얻어진 회전 속도와 이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수의 곱을 전자 클러치(13)로의 인가 전압의 변경분으로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인가 전압 조정 수단(15i)은, 전자 클러치(13)를 구동하기 위한 소정의 전압 설정값(또는 감아 올리는 힘의 설정값)에, 인가 전압 변경분 산출 수단(15h)이 산출한 인가 전압의 변경분을 가산 또는 감산하여 얻은 인가 전압을 전자 클러치(13)에 인가한다.
조출 거리 산출 수단(15j)은, 회전 검출기(14)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회전 드럼(30)이 풀어 내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낚싯줄(50)의 단위 시간 당 풀려 나간 거리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15)는, 회전 방향 판별 수단(15g)에 의해 회전 드럼(30)이 풀어 내림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 있어서, 회전 속도 산출 수단(15f)으로부터 얻어진 회전 속도가 소정의 회전 속도 미만인 경우는, 구동 모터(12)에 의해 회전 드럼(30)을 풀어 내림 방향으로 구동하고, 회전 드럼(30)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회전 속도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는, 구동 모터(12)를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는, 회전 드럼(30)이 풀어 내림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 있어서, 회전 드럼(30)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회전 속도 미만인 경우는, 전자 클러치(13)를 연결하고, 회전 드럼(30)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회전 속도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는, 전자 클러치(13)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는, 전자 클러치(13)의 연결 토크를 클러치 보조 동작 모드의 연결 토크로 자동으로 설정 가능하다. 클러치 보조 동작 모드의 연결 토크의 설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5)가 자동적으로 행하여도 좋고, 조작자가 수동으로 행하여도 좋다. 수동으로 행하는 경우, 회전 드럼(30)이 풀어 내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모터(12)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전자 클러치(13)의 연결 토크를 0에서부터 서서히 올리고, 회전 드럼(30)이 회전하기 시작했을 때의 토크 값을 클러치 보조 동작 모드용 연결 토크로서 전자 클러치(13)에 설정한다.
이동 구동기구(16)는, 횡진동 기구로서 회전축(20)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이동 구동기구(16)는, 구동 모터(12)에 의해 제1전달기구(17a) 및 제2전달기구(17b)를 매개로 하여 회전 구동되며, 회전축(20)과 평행하게 마련된 구동축(19)과, 구동축(19)의 표면에 마련되는 이 구동축(19)의 축 방향에 대하여 왕복하는 나선형상 홈(18a)과, 회전 드럼(30)의 회전축(20)에 장착되어, 회전축(20)의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이 회전축(20)에 장착되어, 나선형상 홈(18a)에 삽입되어 구동축(19)이 회전할 때에 나선형상 홈(18a)을 따라서 안내되는 걸림 부재(18b)를 가진다. 이와 같은 이동 구동기구(16)를 채용하는 것으로, 낚싯줄(50)이 한 곳으로 치우치는 것(편심되어 부풀어 오르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며, 낚시 바늘끼리 얽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감겨지는 부분의 직경이 변화하는 것에 의해, 감아 올림 길이의 계산이 부정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축(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 기기 본체(10)의 하우징(11)을 삽입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회전축(20)의 양단부에는, 각각 회전 드럼(3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20)은, 그의 한 쪽 단부(20a)에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회전 방향으로 서로 180도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축측 키홈(본 발명의 한 쌍의 제2요홈에 대응함)(2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한 쌍의 축측 키홈(21)에는 한 쌍의 키(본 발명의 한 쌍의 돌출 부재에 대응함)(22)가 각각 결합하여 고착되어 있다. 또한, 도 5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20)은, 그의 다른 쪽의 단부(20b)에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회전 방향으로 서로 180도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축측 키홈(본 발명의 한 쌍의 제2요홈에 대응함)(23)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한 쌍의 축측 키홈(23)에는 한 쌍의 키(본 발명의 한 쌍의 돌출 부재에 대응함)(24)가 각각 결합하여 고착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축측 키홈(21)(한 쌍의 키(24))과 한 쌍의 축측 키홈(23)(한 쌍의 키(24))은, 회전 방향으로 서로 90도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20)에는 그의 한 쪽 단부에 2개의 축측 키홈(21) 및 2개의 키(22)가, 다른 쪽의 단부에 2개의 축측 키홈(23) 및 2개의 키(24)가 마련되어, 합계로 4개의 축측 키홈(21 및 23)과 4개의 키(22 및 24)가 회전축(20)에 마련되어 있다.
회전 드럼(30)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줄(50)이 감겨져 있는 권취부(31)의 축 단면 형상이 마름모형으로 형성된 드럼이다. 이러한 회전 드럼(30)이 낚시 기기 본체(10)에 의해 적절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으로써, 낚싯줄(50)이 감아 올림 또는 풀어 내림된다. 낚싯줄(50)에는 가지 바늘이나 연결 바늘과 같은 가짜 미끼가 달린 낚시 바늘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낚싯줄(50)의 선단에 추(60)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마름모형의 회전 드럼(30)을 이용하는 경우, 그 풀어 내림 시에, 회전 드럼(30) 자체가 정속으로 회전하고 있어도 낚싯줄(50)의 낙하 속도에 변동을 주어 이것이 딸국질(シャクリ) 동작으로 되는 것으로, 오징어의 유인 효과를 자동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경량화 및 고강도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드럼(30)은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된 한 쌍의 반 드럼 부재(30a 및 30b)가 서로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반 드럼 부재(30a 및 30b)의 각각은, 중심에 회전축(20)이 끼워지는 관통공(35)을 가진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외주부에 위치하는 줄 감기 몸통부(32)와, 이 줄 감기 몸통부(32)의 축 방향의 한 쪽 끝단의 외주부에 마련된 플랜지부(3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31)의 축 방향의 다른 쪽 끝단이 서로에 고착되는 것으로써 한 쌍의 반 드럼 부재(30a 및 30b)가 서로에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반 드럼 부재(30a 및 30b)의 본체부(31)의 중앙부에 있어서,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나사(34)로 연결되어 있다. 수지 재료로서 염화 비닐이나 탄소 섬유 강화 수지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드럼(30)은, 그의 베어링의 축 구멍인 관통공(35)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관통공(35) 내에는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한편 회전축(20)의 상술한 한 쌍의 키(22)가 각각 결합하도록 회전 방향으로 서로 180도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6)(본 발명의 한 쌍의 제1요홈에 대응함)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5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드럼(30)의 관통공(35) 내에는,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한편 회전축(20)의 상술한 한 쌍의 키(24)가 각각 결합하도록 회전 방향으로 서로 180도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7)(본 발명의 한 쌍의 제1요홈에 대응함)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6)과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7)은, 회전 방향으로 서로 90도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드럼(30)에는, 그 일측에 2개의 베어링측 키홈(36)이 타측에 2개의 베어링측 키홈(37)이 마련되어, 합계로 4개의 베어링측 키홈(36 및 37)이 회전 드럼(30)에 마련되어 있다.
회전축(20)의 한 쌍의 키(22)가 회전 드럼(30)의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6)에 각각 결합하고, 회전축(20)의 한 쌍의 키(24)가 회전 드럼(30)의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7)에 각각 결합하는 것으로써, 회전축(20)의 회전 구동력이 회전 드럼(30)에 전달된다. 또한, 도 5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20)의 한 쌍의 키(22) 및 한 쌍의 키(24) 각각의 한 쌍의 축측 키홈(21) 및 한 쌍의 축측 키홈(23)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축 방향 양단부에는 그 돌출량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다.
도 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드럼(30)의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6)은, 관통공(35)의 한 쪽 개구측(도면에서 좌측)의 위치에서 홈이 얕아지거나 없어지도록 단차부(36a)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 드럼(30)의 관통공(35) 내에 회전축(20)을 삽입했을 때에, 회전축(20)의 한 쌍의 키(22)가 위치 P에 있어서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6) 단차부(36a)에 맞닿아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되고 위치 결정된다. 도면 내에서, P는 베어링측 키홈(36)의 단차부(36a)와 키(22)의 접촉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드럼(30)의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7)은, 관통공(35)의 다른 쪽 개구 측(도면에서 우측)의 위치에서 홈이 얕아지거나 없어지도록 단차부(37a)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 드럼(30)의 관통공(35) 내에 회전축(20)을 삽입했을 때에, 회전축(20)의 한 쌍의 키(24)가 위치 P에 있어서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7)의 단차부(37a)에 맞닿아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되고 위치 결정된다. 도면 내에서 P는 베어링측 키홈(37)의 단차부(37a)와 키(24)의 접촉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드럼(30)의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6) 및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7)은, 역방향으로 회전축(20)을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한 구성이기 때문에, 회전 방향으로 서로 90도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빠짐 방지 부재(40)는, 회전축(20)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회전 드럼(30)의 축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이 회전 드럼(3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이 빠짐 방지 부재(40)에 대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6 (a)는 이 빠짐 방지 부재(4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6 (b)는 이 빠짐 방지 부재(40)의 로크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있고, 도 6 (c)는 이 빠짐 방지 부재(40)가 장착되는 회전축(20)의 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40)는, 회전축(20)의 단부에 동축으로 삽입되는 부재 본체(41)와, 부재 본체(41) 내에 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크 플레이트(42)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로크 플레이트(42)는, 도 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20)의 단부가 삽입 관통 가능한 관통공(42a)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공(42a)의 아래쪽 가장자리에는 산형(山形) 돌출 부재(42b)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산형 돌출 부재(42b)가 회전축(20)의 단부에 형성된 도 6 (c)에 나타낸 V형 홈(V형 오목 부재)(25)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크 플레이트(42)는 관통하는 장공(42c)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으며, 이 장공(42c)에는 지지축 부재(43)가 삽입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장공(42c) 및 지지축 부재(43)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42)의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또한, 부재 본체(41) 내에는, 로크 플레이트(42)를 도면에서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44)(도 7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도 7은 빠짐 방지 부재(40)의 기능을 설명하고 있으며, 도 (a)는 빠짐 방지 부재(40)가 회전축(20)의 단부에 장착된 회전 드럼(30)을 로크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b)는 빠짐 방지 부재(40)의 로크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상태에 있어서는, 로크 플레이트(42)가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고, 이 로크 플레이트(42)의 관통공(42a)의 산형 돌출 부재(42b)가 회전축(20)의 단부에 형성된 V형 홈(25)에 걸리기 때문에, 회전 드럼(30)의 축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코일 스프링(44)이 가압하고 있으므로, 이 로크 상태는 로크 해제 시를 제외하고 항상 유지된다.
로크 해제 시는, 도 7 (a)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손으로 누르는 등을 하여 로크 플레이트(42)를 아래쪽으로 눌러 내리면, 도 7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42)의 관통공(42a)의 산형 돌출 부재(42b)가 회전축(20)의 V형 홈(25)으로부터 멀어지고, 이에 따라, 빠짐 방지 부재(40)를 도 7 (b)의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축을 따라서 오른쪽 방향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회전 드럼(30)을 회전축(20)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 기기(100)에 있어서, 회전축(20)은 그 한 쪽의 단부에 이축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키(22)를, 다른 쪽 단부에 이축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키(24)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회전 드럼(30)은 회전축(20)이 끼워지는 관통공(35)과, 관통공(35) 내에 회전축(20)의 한 쌍의 키(22) 및 한 쌍의 키(24)가 결합하는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6) 및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7)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20)의 한 쌍의 키(22)가 회전 드럼(30)의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6)에 각각 결합하고, 회전축(20)의 한 쌍의 키(24)가 회전 드럼(30)의 한 쌍의 베어링측 키홈(37)에 각각 결합하는 것으로써, 회전축(20)의 회전 구동력이 회전 드럼(30)에 전달된다. 회전축(20)의 한 쌍의 키(22) 및 한 쌍의 키(24) 각각의 한 쌍의 축측 키홈(21) 및 한 쌍의 축측 키홈(23)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축 방향의 양단부에는 그 돌출량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20)의 키(22 및 24)와 회전 드럼(30)의 베어링측 키홈(36 및 37)의 결합에 의해, 회전축(20)의 회전 구동력이 회전 드럼(30)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드럼(30)의 장착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되고, 원터치 착탈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에 따라, 회전 드럼(30)의 교환 작업의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볼트에 의한 체결이 없으므로, 회전축(20)으로의 손상(압흔(壓痕))이 없어진다. 게다가, 돌출된 부분의 축 방향의 양단부에는 그 돌출량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긴 전용 공구가 필요 없으며, 낚싯줄(50)에의 손상이 없어진다. 추가로, 회전 드럼(30)을 분리할 때에, 회전축(20)에 감겨진 낚싯줄이 키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축(20)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키 부재가 회전 방향으로 서로 90도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드럼을 낚싯줄의 감김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 회전축의 좌우 양단부의 어디에든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 드럼(30)은, 중심에 회전축(20)이 끼워지는 관통공을 가지는 본체부(31)와, 이 본체부(31)의 외주부에 위치하는 줄 감기 몸통부(32)와, 줄 감기 몸통부(32)의 한 쪽 끝단 측에 마련되는 플랜지부(33)가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 한 쌍의 반 드럼 부재(30a 및 30b)의 본체부 끼리를 서로 등지고 맞대어 연결시켜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회전 드럼(30)의 경량화 및 고강도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 드럼(30)의 중앙 위치에서 회전축(20)에 고정하기 때문에, 회전축(20)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이 가능하고, 어선 전체의 경량화에도 기여하며, 어선의 조종 안정성이나 연비의 향상이 기대 가능하다. 또한, 회전 드럼(30)의 중앙 한 곳에서 회전축(20)에 고정하기 때문에, 장착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 회전 드럼(30)을 이용한 낚시 기기에 대해서는 2018년 4월말부터 시험선(제18류키마루)에 탑재하여 다양한 실험을 행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낚시 기기(100)에 있어서, 회전 드럼(30)은, 축 단면 형상이 마름모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축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낚시 기기(100)에 있어서, 회전 드럼(30)은, 본체부(31)와, 줄 감기 몸통부(32)와, 플랜지부(33)가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 한 쌍의 반 드럼 부재(30a 및 30b)의 본체부 끼리를 서로 등지고 맞대어 연결시켜서 구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종래의 2장의 측판의 사이에 복수 개의 횡부재가 가로지르는 격자 구조체로 이루어진 회전 드럼에도 적용 가능하다.
추가로, 상술한 실시 형태의 낚시 기기(100)에 있어서, 회전축(20)의 양단에 각각 한 쌍의 키홈이 마련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회전축(20)의 양단에 각각 1개의 키홈이 마련되어도 좋다.
게다가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낚시 기기(100)에 있어서, 구동 모터(12)의 회전을 회전축(20)에 전달하는 전자 클러치(13)를 이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자 클러치(13)를 이용하지 않고, 구동 모터(12)의 회전을 회전축(20)에 직접 전달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구동 모터(12)의 전류 값을 감시·제어하는 것으로써 토크 관리하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한 형태를 기술적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상에 탑재되어 낚싯줄을 풀어 내림 및 감아 올림하는 회전 드럼을 가진 낚시 기기에 이용 가능하다.
10 : 낚시 기기 본체
11 : 하우징
12 : 구동 모터
13 : 전자 클러치
14 : 회전 검출기
15 : 제어부
15a : 입력부
15b : 표시부
15c : CPU
15d : ROM
15e : RAM
15f : 회전 속도 산출 수단
15g : 회전 방향 판별 수단
15h : 인가 전압 변경분 산출 수단
15i : 인가 전압 조정 수단
15j : 조출 거리 산출 수단
16 : 이동 구동기구
17a : 제1전달기구
17b : 제2전달기구
17c : 체인
18a : 나선형상 홈
18b : 걸림 부재
19 : 구동축
20 : 회전축
21, 23 : 축측 키홈
22, 24 : 키
25 : V형 홈
30, 30A : 회전 드럼
30a, 30b : 반 드럼 부재
31 : 본체부
32 : 줄 감기 몸통부
33 : 플랜지부
34 : 나사
35, 42a : 관통공
36, 37 : 베어링측 키홈
36a, 37a : 단차부
40 : 빠짐 방지 부재
41 : 부재 본체
42 : 로크 플레이트
42b : 산형 돌출 부재
42c : 장공
43 : 지지축 부재
44 : 코일 스프링
50 : 낚싯줄
60 : 추
100 : 낚시 기기
A, B : 화살표
H : 수평면
K : 키
P : 접촉 위치
V : 수직면

Claims (7)

  1.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낚싯줄을 권설 가능한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상기 회전 드럼을 풀어 내림 방향 또는 감아 올림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은 각 단부에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한편 이축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 드럼은, 회전 중심부에 마련되는 한편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 내에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회전축의 상기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가 결합하는 적어도 1개의 제1요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의 축 방향의 양단부에는 돌출량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각 단부에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한편 이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회전 방향으로 서로 180도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 부재는 회전 방향으로 서로 90도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상기 회전 드럼의 축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기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제2요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1개의 돌출 부재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요홈에 결합하여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기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된 한 쌍의 반 드럼 부재가 서로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반 드럼 부재의 각각이, 중심에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부에 마련되는 줄 감기 몸통부와, 상기 줄 감기 몸통부의 축 방향의 한 쪽 끝단의 외주부에 마련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축 방향의 다른 쪽 끝단이 서로에 고착되는 것으로써 상기 한 쌍의 반 드럼 부재가 서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기기.
KR1020207036359A 2018-10-12 2019-04-16 낚시 기기 KR102483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93204A JP7114070B2 (ja) 2018-10-12 2018-10-12 釣り機
JPJP-P-2018-193204 2018-10-12
PCT/JP2019/016357 WO2020075329A1 (ja) 2018-10-12 2019-04-16 釣り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034A KR20210020034A (ko) 2021-02-23
KR102483367B1 true KR102483367B1 (ko) 2022-12-29

Family

ID=7016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359A KR102483367B1 (ko) 2018-10-12 2019-04-16 낚시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14070B2 (ko)
KR (1) KR102483367B1 (ko)
CN (1) CN112384065B (ko)
TW (1) TWI765152B (ko)
WO (1) WO2020075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899B1 (ko) * 2021-07-28 2023-05-17 정선희 낚싯줄감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6994A1 (ja) 2016-06-15 2017-12-21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釣り機及び釣り機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3696U (ko) * 1975-04-18 1976-10-28
US4958784A (en) * 1989-08-31 1990-09-25 David Totten Collapsible spool holder for fishing line
JP3457745B2 (ja) * 1994-08-05 2003-10-20 三明マリン株式会社 釣糸巻取装置
JPH08131031A (ja) * 1994-11-11 1996-05-28 Towa Denki Seisakusho:Kk 自動イカ釣装置
JP3509766B2 (ja) * 2001-03-28 2004-03-22 神漁網株式会社 釣糸巻取り装置
JP3948978B2 (ja) * 2002-02-18 2007-07-25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2005005375A (ja) * 2003-06-10 2005-01-06 Shinsei Kogyo Kk コイルボビン、コイル装置、コイルボビン巻線装置及びコイル巻線方法
JP2005060082A (ja) * 2003-08-19 2005-03-10 Marine Hydrotec Co Ltd レットライン巻取装置
JP2010273646A (ja) 2009-05-29 2010-12-09 Towa Denki Seisakusho Co Ltd 自動イカ釣装置
JP2013034397A (ja) * 2011-08-04 2013-02-21 Towa Denki Seisakusho Co Ltd 漁労用巻上げ装置
JP5912371B2 (ja) * 2011-09-27 2016-04-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
KR101424914B1 (ko) * 2013-02-13 2014-08-06 이승호 갈치 양승기
JP6093844B1 (ja) * 2015-12-18 2017-03-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CN207185703U (zh) * 2017-08-23 2018-04-06 李佳倍 一种电动钓鱼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6994A1 (ja) 2016-06-15 2017-12-21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釣り機及び釣り機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58312A (ja) 2020-04-16
CN112384065A (zh) 2021-02-19
JP7114070B2 (ja) 2022-08-08
CN112384065B (zh) 2022-04-19
WO2020075329A1 (ja) 2020-04-16
TW202014095A (zh) 2020-04-16
KR20210020034A (ko) 2021-02-23
TWI765152B (zh) 202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367B1 (ko) 낚시 기기
CN112367840B (zh) 钓捕机
KR101372457B1 (ko) 와이어 로프 릴 스탠드
KR101027398B1 (ko) 선박용 소형 윈치 장치
KR102619790B1 (ko) 낚시 기기 및 낚시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940089B1 (ko) 감기는 낚시줄의 폭조절이 가능한 낚시줄 감는 장치
JP5726795B2 (ja) 草刈機
JP5744781B2 (ja) 草刈機
US11510830B2 (en) Hoist mechanism
JP5226340B2 (ja) クラッチ装置
CN210655942U (zh) 机动车轮陷自救装置
KR101477668B1 (ko) 조업용 양승기
JP6461889B2 (ja) 交換式のコードリールカセットを備える刈払機及びそれに用いる交換式コードリールカセット
EP3081735B1 (en) Drive unit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
JP6823340B2 (ja) 携帯型電動巻き上げ機
KR100860876B1 (ko) 가이드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양망기
KR101567707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WO2024095301A1 (ja) 刈払機に取り付け可能なコードリールカセット及びそれを備える刈払機
KR101578402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WO2024116420A1 (ja) コードリールを備える刈払機
KR20110082727A (ko) 중량물의 낙하방지장치
JP2005210963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CN117440750A (zh) 具备卷线器的割草机
KR19980042501U (ko) 벨트 콘베이어용 구동풀리드럼의 슬립 방지장치
JP2018123533A (ja) 建築用シャッターにおける落下防止装置の移動規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