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899B1 - 낚싯줄감개 - Google Patents
낚싯줄감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3899B1 KR102533899B1 KR1020210099134A KR20210099134A KR102533899B1 KR 102533899 B1 KR102533899 B1 KR 102533899B1 KR 1020210099134 A KR1020210099134 A KR 1020210099134A KR 20210099134 A KR20210099134 A KR 20210099134A KR 102533899 B1 KR102533899 B1 KR 1025338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fishing line
- spool
- reel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44—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in which the package, core, or former is engaged with, or secured to, a driven member rotatable about the axis of the pack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4—Arrangements for supporting cores or formers at winding stations; Securing cores or formers to driving members
- B65H54/547—Cantilever support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10—Command input means
- B65H2551/14—Switches; Sel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10—Command input means
- B65H2551/18—Graphical interactive displays; Mouses; Touch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 B65H2701/355—Fishlines
Abstract
사용성이 우수하고, 릴의 낚시줄을 특정 길이만큼 풀어내는 기능(0점 세팅 기능)이 있는 낚싯줄감개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감개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1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와 나란하게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2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2 모터;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스풀;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 스풀;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박스;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릴거치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감개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1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와 나란하게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2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2 모터;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스풀;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 스풀;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박스;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릴거치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The Present Disclosure)는 릴에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되감고자 할 때, 사용되는 낚시줄감개와 관련된다.
릴(스피닝릴, 전동릴 등)이 결합된 낚시대를 이용하여 수차례 캐스팅과 릴링을 반복하다보면, 릴에는 낚싯줄이 느슨하게 감기는 부분들이 발생한다. 이때 릴에 느슨하게 감긴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낚싯줄감개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릴에 감긴 낚싯줄을 완전히 풀었다가 되감아주어야 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0207호는 낚싯줄감개(동 공보에는 '낚싯줄 감는 기구'로 기재됨)의 일례를 개시하고 있다.
계속해서 특정 수심에 분포된 어종을 공략할 때에는, 낚싯줄이 풀려나간 길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전동릴이 주로 사용된다.
전동릴에 느슨하게 감긴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복원시킬 때에는, 캐스팅시 낚싯줄이 풀려나간 길이가 디스플레이에 정확하게 표시되도록, 전동릴의 0점 세팅을 해야 한다.
전동릴의 0점 세팅 절차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0점 세팅은 전동릴에 낚싯줄을 모두 권취하는 단계와 전동릴로부터 낚싯줄을 10m 풀어내는 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먼저, 전동릴에 낚싯줄을 모두 권취하는 단계에서, 사용자는 낚싯줄을 전동릴에 팽팽한 상태로 모두 권취시킨다.
이후, 전동릴로부터 낚싯줄을 10m 풀어내는 단계에서, 전동릴에서 낚싯줄을 특정 길이(일반적으로 10m이고, 줄자로 측정됨)만큼 풀어준다.
마지막으로, 전동릴의 0점 세팅을 종료한 후 낚싯줄을 10m만큼 되감아 디스플레이에 '0'이 표시되면 0점 세팅이 완료된다.
이후, 전동릴(A)로부터 풀려나간 낚싯줄의 길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한편 낚시 도중에 낚싯줄이 끊어지면 전동릴의 0점 세팅을 다시 해야 하는데, 줄자로 낚싯줄의 길이를 측정하면 측정값이 정확하지 않으며, 또한, 낚시배 위와 같이 협소한 곳에서는 전동릴의 0점 세팅을 하기가 쉽지 않다.
사용성이 우수하고, 릴의 낚시줄을 특정 길이만큼 풀어내는 기능(0점 세팅 기능)이 있는 낚싯줄감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감개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1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와 나란하게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2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2 모터;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스풀;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 스풀;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박스;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릴거치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카운터; 상기 제1 모터의 출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제1 조정스위치; 및 상기 제2 모터의 출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제2 조정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풀의 외측면에는 눈금자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거치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되, 상기 제1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봉; 상기 제1 봉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봉;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감개를 이용하면, 릴에 느슨하게 감긴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신속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감개를 이용하면, 릴에 권취될 낚싯줄의 양단부 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감개를 이용하면, 협소한 곳에서도 전동릴의 0점 세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감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감개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제1 스풀과 제2 스풀의 작동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스풀과 제1 회전축간의 결합과, 제2 스풀과 제2 회전축간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감개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제1 스풀과 제2 스풀의 작동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스풀과 제1 회전축간의 결합과, 제2 스풀과 제2 회전축간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감개(1)[이하 '낚싯줄감개(1)'라 함]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낚싯줄감개(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낚싯줄감개(1)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낚싯줄감개(1)는 베이스(10), 제1 모터(20), 제2 모터(30), 제1 스풀(40), 제2 스풀(50), 제어박스(60), 릴거치대(70) 및 센서(67)를 포함한다.
(각 방향의 정의) 구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상', '하', '좌', '우', '전', '후' 등]은 [도 1]을 기준으로 한다.
베이스(10)는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나, 하나의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평평한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베이스(10)는 소정 높이를 갖는다.
제1 모터(20)는 베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때 제1 모터(20)의 제1 회전축(21)은 베이스(10)의 바깥 영역에 위치된다. 제1 모터(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출력이 제어되는 DC 12V ~ 24V 사양의 기어드 모터일 수 있다.
제1 회전축(21)은 선단에서부터 일정 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터(30)는 베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 모터(20)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2 모터(30)의 제2 회전축(31)은 베이스(10)의 바깥 영역에 위치되며, 제1 회전축(21)과 평행을 이룬다. 제2 모터(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출력이 제어되는 DC 12V ~ 24V 사양의 기어드 모터일 수 있다.
제2 회전축(31)은 선단에서부터 일정 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풀(40)은 낚싯줄을 권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제1 모터(20)의 제1 회전축(21)에 결합되되, 제1 회전축(21)에서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제1 스풀(40)과 제1 회전축(21)의 예시적 결합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스풀(40)은 부싱(22), 너트캡(23) 및 스프링(24)을 매개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1 회전축(2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부싱(22)은 제1 스풀(4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제1 원통부(22a)와, 제1 스풀(40)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제2 원통부(22b)가 결합된 형태로, 제1 모터(20)와 가까운 제1 회전축(21)에 구비된다. 또한, 부싱(2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너트캡(23)은 제1 스풀(4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너트부(23a)와, 제1 스풀(40)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단차부(23b) 및 손잡이(23c)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제1 회전축(21)의 선단에 구비된다.
스프링(24)은 제1 스풀(4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부싱(22)과 너트캡(23) 사이에 구비된다.
스프링(24)은 너트캡(23)이 풀리지 않도록, 부싱(22)과 너트캡(23)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한다.
제1 스풀(40)의 내경에는, 부싱(22)의 제1 원통부(22a), 스프링(24) 및 너트캡(23)의 너트부(23a)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스풀(40)의 양 측면은, 부싱(22)의 제2 원통부(22b)와 너트캡(23)의 단차부(23b)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풀(40)은 제1 회전축(21)에 결합된다.
제1 스풀(40)의 외측면(좌측면)에는, 제1 스풀(40)이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원형눈금자(4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스풀(50)은 낚싯줄을 권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제2 모터(30)의 제2 회전축(31)에 결합되되, 제2 회전축(31)에서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제2 스풀(50)과 제2 회전축(31)의 예시적 결합 형태를 설명한다.
제2 스풀(50)은 부싱(32), 너트캡(33) 및 스프링(34)을 매개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2 회전축(3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부싱(32)은 제2 스풀(5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제1 원통부(32a)와, 제2 스풀(50)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제2 원통부(32b)가 결합된 형태로, 제2 회전축(31)에서 제2 모터(30)와 가까운 곳에 구비된다. 또한, 부싱(3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너트캡(33)은 제2 스풀(5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너트부(33a)와, 제2 스풀(50)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단차부(33b) 및 손잡이(33c)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제2 회전축(31)의 선단에 구비된다.
스프링(34)은 제2 스풀(5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부싱(32)과 너트캡(33) 사이에 구비된다.
스프링(34)은 너트캡(33)이 풀리지 않도록, 부싱(32)과 너트캡(33)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한다.
제2 스풀(50)의 내경에는, 부싱(32)의 제1 원통부(32a), 스프링(34) 및 너트캡(33)의 너트부(33a)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스풀(50)의 양 측면은, 부싱(32)의 제2 원통부(32b)와 너트캡(33)의 단차부(33b)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제2 스풀(50)은 제2 회전축(31)에 결합된다.
제2 스풀(50)의 외측면(좌측면)에는, 제2 스풀(50)이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원형눈금자(5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67)는 제1 모터(20) 또는 제1 모터(20)의 인근에 위치되어, 제1 모터(20)(또는 제1 스풀(4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스풀(40)의 지름은 고정되므로, 제1 모터(20)의 회전수를 파악할 수 있으면, 제1 스풀(40)의 특정 길이의 낚싯줄을 권취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풀(40)의 둘레가 20cm 일 경우, 제1 스풀(40)에 낚싯줄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스풀(40)이 50번 회전하게 되면, 제1 스풀(40)에는 10m의 낚싯줄이 권취된다.
제어박스(60)는 베이스(10)의 인근에 위치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에 상면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제1 모터(20)와 제2 모터(30)의 몸체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박스(60)는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 구성되고, 제어박스(60)의 좌측면 하부에는 제1 회전축(21)과 제2 회전축(31)을 수용하는 한 쌍의 홀(66)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박스(6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제1 모터(20) 및 제2 모터(30)의 출력 및 회전방향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박스(60)는 카운터(61), 제1 조정스위치(62) 및 제2 조정스위치(63)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61)는 제1 모터(20) 및 센서(67)와 연동된다. 카운터(61)는 센서(67)에 의해 측정된 제1 스풀(40)의 회전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또한 카운터(61)는 제1 모터(20)가 특정 횟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모터(20)의 회전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제1 조정스위치(62)는 노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조정스위치(62)는 제1 모터(20)의 출력과 회전 방향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제2 조정스위치(63)는 노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조정스위치(63)는 제2 모터(30)의 출력과 회전 방향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제어박스(60)는 전원스위치(64), 모터스위치(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스위치(64)는 제어박스(60), 제1 모터(20) 및 제2 모터(30) 전체의 전원을 켜고 끄는 기능을 한다.
모터스위치(65)는 제1 모터(20)와 제2 모터(30) 각각을 독립적으로 켜고 끄는 기능을 한다.
릴거치대(70)는 베이스(10)에 구비되며, 지지대(71), 제1 봉(72) 및 제2 봉(7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7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소정 높이를 갖는다. 다만 지지대(71)는 반드시 베이스(10)의 상면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10)의 측면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제1 봉(72)은 지지대(71)에서 축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제1 회전축(21) 또는 제2 회전축(3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봉(73)의 단부에는 제1 봉(72)을 감싸는 고리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며, 제2 봉(73)은 제1 봉(72)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제2 봉(73)은 제1 봉(72)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제1 봉(72)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제2 봉(73)에는 전동릴(A)이 결합된다.
도 3의 (a)는 낚싯줄감개(1)의 제1 스풀(40)과 전동릴(A)이 낚싯줄로 연결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낚싯줄감개(1)의 제2 스풀(50)과 전동릴(A)이 낚싯줄로 연결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c)는 낚싯줄감개(1)의 제1 스풀(40)과 제2 스풀(50)이 낚싯줄로 연결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낚싯줄감개(1)로 수행할 수 있는 작동 예들을 설명한다.
도 3의 (a)를 참조하여, 낚싯줄이 전동릴(A)에서 제1 스풀(40)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전동릴(A)에 권취된 낚싯줄의 끝단을 제1 스풀(40)에 고정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제1 모터(2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출력이 전동릴(A)의 시계 방향으로의 출력보다 높은 상태에서, 전동릴(A)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낚싯줄 텐션이 특정값(전동릴(A)의 제품별로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3')이 되도록 제1 모터(20)의 출력을 조절한다. 하지만, 낚싯줄이 제1 스풀(40)에 권취되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낚싯줄 텐션이 특정값 이상으로 유지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스풀(40)에 낚싯줄이 권취된 양이 많아질수록 제1 스풀(40)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속도가 빨라지므로, 사용자는 제1 모터(20)의 출력을 점차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전동릴(A)에 권취되었던 낚싯줄이 모두 팽팽한 상태로 제1 스풀(40)에 권취되면, 사용자는 제1 모터(20)와 전동릴(A)의 작동을 종료한다.
낚싯줄이 제1 스풀(40)에서 전동릴(A)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는, 낚싯줄이 전동릴(A)에서 제1 스풀(40)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와 동일한 순서를 갖되, 전동릴(A)의 시계 방향으로의 출력이 제1 모터(2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출력보다 높은 상태로 수행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낚싯줄이 전동릴(A)에서 제2 스풀(50)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는, 낚싯줄이 전동릴(A)에서 제1 스풀(40)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와 동일한 순서를 갖되, 제1 스풀(40) 대신 제2 스풀(50)에 낚싯줄의 끝단이 고정되며, 제1 모터(20) 대신 제2 모터(30)가 사용된다.
그리고, 제2 모터(3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출력이 전동릴(A)의 시계 방향으로의 출력보다 높은 상태로 수행된다.
낚싯줄이 제2 스풀(50)에서 전동릴(A)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는, 낚싯줄이 전동릴(A)에서 제2 스풀(50)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와 동일한 순서를 갖되, 전동릴(A)의 시계 방향으로의 출력이 제2 모터(3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출력보다 높은 상태로 수행된다.
도 3의 (c)를 참조하여, 낚싯줄이 제1 스풀(40)에서 제2 스풀(50)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제1 스풀(40)에 권취된 낚싯줄의 끝단을 제2 스풀(50)에 고정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제2 모터(3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출력을 제1 모터(2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출력보다 높은 상태에서 제2 모터(30)의 출력을 조절한다.
또한, 제2 스풀(50)에 낚싯줄이 권취된 양이 많아질수록 제2 스풀(50)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속도가 빨라지므로, 사용자는 제2 모터(30)의 출력을 점차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제1 스풀(40)에 권취되었던 낚싯줄이 모두 팽팽한 상태로 제2 스풀(50)에 권취되면, 사용자는 제1 모터(20)와 제2 모터(30)의 작동을 종료한다.
낚싯줄이 제2 스풀(50)에서 제1 스풀(40)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는, 낚싯줄이 제1 스풀(40)에서 제2 스풀(50)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와 동일한 순서를 갖되, 제1 모터(2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출력이 제2 모터(3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출력보다 높은 상태에서 수행된다.
전술한 작동 예들을 토대로, 낚싯줄감개(1)의 낚싯줄 되감기 기능 , 0점 세팅 기능 및 낚싯줄의 양단부 방향을 바꾸는 기능 에 대해 설명한다.
가. 낚싯줄감개(1)의 낚싯줄 되감기 기능 은, 낚싯줄이 전동릴(A)에서 제1 스풀(40)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를 수행한 후, 낚싯줄이 제1 스풀(40)에서 전동릴(A)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를 수행한다.
나. 낚싯줄감개(1)의 0점 세팅 기능 은, 낚싯줄이 전동릴(A)에서 제1 스풀(40)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를 수행한 후, 낚싯줄이 제1 스풀(40)에서 전동릴(A)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를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카운터(61)에 원하는 길이(일반적으로, 10m)에 해당하는 회전수를 설정하고, 그리고 제1 모터(2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출력이 전동릴(A)의 시계방향으로의 출력보다 높은 상태로 제어하면, 전동릴(A)에 권취된 낚싯줄은 설정된 길이만큼 제1 스풀(40)에 자동으로 권취된다.
마지막으로, 전동릴(A)의 0점 세팅 기능을 종료한 후, 사용자는 전동릴(A)의 시계 방향으로의 출력을 제1 모터(2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출력보다 높은 상태로 조절하여, 전동릴(A)에 낚싯줄을 10m만큼 권취한다.
0점 세팅 기능이 완료된 전동릴(A)은 풀려나간 낚싯줄의 길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다. 낚싯줄감개(1)의 낚싯줄의 양단부 방향을 바꾸는 기능 은, 낚싯줄이 전동릴(A)에서 제1 스풀(40)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를 수행한 후, 낚싯줄이 제1 스풀(40)에서 제2 스풀(50)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를 수행한다.
그리고, 낚싯줄이 제2 스풀(50)에서 전동릴(A)로 권취되는 과정의 작동 예까지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사용자는 낚싯줄감개(1)를 사용하여 전동릴(A)에 권취된 낚싯줄의 양단부 방향을 변경한다.
0점 세팅 기능을 제외한, 릴에 낚싯줄을 되감아주는 기능과, 낚싯줄의 양단부 방향을 바꾸는 기능은 수동릴(미도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수동릴(미도시)은 제2 봉(73)에 거치될 수 있으며, 수동릴(미도시)의 핸들에 결합되는 제3 모터(미도시)가 제어박스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를 설명할 때 사용된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은 본 개시의 본질적 기술사상을 독자에게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기 위한 도구적 목적으로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를 바탕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와 본질적 기술사상은 동일하지만 외관상으로는 차이가 있는 변형 실시예들을 무수히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기재된 일부 표현들에 의해 제한되어선 안 되고, 본 개시의 본질적 기술사상에 의거하여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 : 낚싯줄감개
10 : 베이스
20 : 제1 모터
21 : 제1 회전축
30 : 제2 모터
31 : 제2 회전축
40 : 제1 스풀
50 : 제2 스풀
60 : 제어박스
70 : 릴거치대
A : 릴
10 : 베이스
20 : 제1 모터
21 : 제1 회전축
30 : 제2 모터
31 : 제2 회전축
40 : 제1 스풀
50 : 제2 스풀
60 : 제어박스
70 : 릴거치대
A : 릴
Claims (4)
-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1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와 나란하게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2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2 모터;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스풀;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 스풀;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박스;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릴거치대;를 포함하는, 낚싯줄감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카운터;
상기 제1 모터의 출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제1 조정스위치; 및
상기 제2 모터의 출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제2 조정스위치;를 포함하는, 낚싯줄감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풀의 외측면에는 눈금자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감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거치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되, 상기 제1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봉; 및상기 제1 봉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봉;을 포함하는, 낚싯줄감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9134A KR102533899B1 (ko) | 2021-07-28 | 2021-07-28 | 낚싯줄감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9134A KR102533899B1 (ko) | 2021-07-28 | 2021-07-28 | 낚싯줄감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7530A KR20230017530A (ko) | 2023-02-06 |
KR102533899B1 true KR102533899B1 (ko) | 2023-05-17 |
Family
ID=8522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9134A KR102533899B1 (ko) | 2021-07-28 | 2021-07-28 | 낚싯줄감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389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72974B2 (ja) | 1996-10-08 | 1999-03-24 | 冨士太 木村 | 釣糸巻取り装置 |
JP2909424B2 (ja) | 1996-01-10 | 1999-06-23 | 冨士太 木村 | 釣糸巻取装置 |
JP2020058312A (ja) | 2018-10-12 | 2020-04-16 |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 釣り機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0207Y1 (ko) | 2018-12-08 | 2019-10-10 | 권용훈 | 낚싯줄 감는 기구 |
KR200493794Y1 (ko) | 2019-05-10 | 2021-06-04 | 이정걸 | 낚싯줄 교체장치 |
KR200495206Y1 (ko) | 2019-07-12 | 2022-03-29 | 권용훈 | 피싱 모터 라인 텐션기 |
-
2021
- 2021-07-28 KR KR1020210099134A patent/KR1025338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09424B2 (ja) | 1996-01-10 | 1999-06-23 | 冨士太 木村 | 釣糸巻取装置 |
JP2872974B2 (ja) | 1996-10-08 | 1999-03-24 | 冨士太 木村 | 釣糸巻取り装置 |
JP2020058312A (ja) | 2018-10-12 | 2020-04-16 |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 釣り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7530A (ko) | 2023-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513283B (en) | Electric reel | |
KR102533899B1 (ko) | 낚싯줄감개 | |
JP2751731B2 (ja) | 魚釣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 |
JPH05103567A (ja) | 魚釣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 |
US3659802A (en) | Coil pay off | |
JP2905818B2 (ja) | 釣り用リール | |
JP2813635B2 (ja) | 魚釣用リール | |
JP2601516B2 (ja) | 魚釣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 |
JP3066991B2 (ja) | 釣り用リール | |
JP7133265B2 (ja) | 魚釣用リール | |
JP3045045B2 (ja) | 魚釣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 |
JP2606929B2 (ja) | 魚釣用リール | |
JPH0427330A (ja) | 釣り用リール | |
JP2905817B2 (ja) | 釣り用リール | |
CN212024317U (zh) | 一种旋转纵纹机 | |
JPH02119734A (ja) | 電動リール | |
JPH06320213A (ja) | 連続式伸線機における線径の寸法算出方法 | |
JPH0427331A (ja) | 釣り用リール | |
JPH04104750A (ja) | 釣り用リール | |
JPH0755901Y2 (ja) | 魚釣用電動リール | |
JP4039743B2 (ja) | 釣り用リール | |
JPH03228634A (ja) | 魚釣り用電動リールにおける釣糸の船ベリ自動停止位置調整装置 | |
JP3361428B2 (ja) | 釣り用リールの水深表示装置 | |
JP2530319Y2 (ja) | 魚釣用電動リール | |
JP2957638B2 (ja) | 釣り用リー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