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794Y1 - 낚싯줄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낚싯줄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794Y1
KR200493794Y1 KR2020190001916U KR20190001916U KR200493794Y1 KR 200493794 Y1 KR200493794 Y1 KR 200493794Y1 KR 2020190001916 U KR2020190001916 U KR 2020190001916U KR 20190001916 U KR20190001916 U KR 20190001916U KR 200493794 Y1 KR200493794 Y1 KR 200493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ishing line
body member
ree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512U (ko
Inventor
이정걸
Original Assignee
이정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걸 filed Critical 이정걸
Priority to KR2020190001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9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3Devices for transferring line to a re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 등의 구동부재, 지지대 및 웜샤프트의 구성을 통하여 롤링디스크에 감겨져 있는 낚싯줄을 릴에 감거나 릴에 감겨져 있는 낚싯줄을 롤링디스크에 감아 교체하는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싯줄 교체장치{Fishing line shift device}
본 고안은 낚싯줄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구동부재(110)가 구비되는 본체부재(100);와,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부재(110)와 연결되는 메인샤프트(200);와,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릴(10)을 지지하는 지지대(300);와, 상기 메인샤프트(200)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부재(1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릴(10)에 감겨져 있는 낚싯줄(11)이 감겨지는 롤링디스크(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릴은 줄의 낙하시의 중량과 풀림에 의해 회전하는 스풀이 릴 뭉치내 소정의 기어장치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어장치 측면의 손잡이를 회전함에 의해 베벨기어 상의 기어축에 고정된 스풀이 회전하여 낚시줄을 감게 되며, 낚싯대에 릴을 장착시킨 후 소정의 중량추를 투첨함에 의해 감긴 줄이 풀려나가는 기본 구조를 갖는다.
한편, 낚시용 릴은 사용전 스풀에 낚싯줄을 감아두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낚싯줄을 스풀에 감는 작업은 줄이 감긴 롤의 가운데 구멍에 수평바를 끼우고 낚싯줄을 스플에 결속한 후 작업자가 릴 손잡이를 회전시켜 릴의 스풀에 낚싯줄을 감아왔다.
또한, 획득하려 하는 어종에 따라 릴에 감겨져 있는 낚싯줄은 교체가 되어야 하는데, 스풀에 감겨져 있는 줄을 롤에 감을 때에는, 롤에 줄이 촘촘히 감길 수 있도록 줄의 텐션을 계속 일정하게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 기존에는 줄의 일측을 손으로 잡아서 적절한 텐션을 준 상태로 롤에 줄을 감았는데, 길이가 긴 낚싯줄을 오랫동안 감게 되는 경우, 줄과의 마찰에 의해 부상을 입을 우려가 발생하거나 반복적으로 낚싯줄을 롤에 되감는 작업에 의해 사용자에게 피로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1682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모터 등의 구동부재를 통해 릴에 감겨져 있는 낚싯줄을 롤링디스크에 감아 교체하는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낚싯줄 교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싯줄 교체장치는 내측에 구동부재(110)가 구비되는 본체부재(100);와,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부재(110)와 연결되는 메인샤프트(200);와, 상기 메인샤프트(200)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부재(110)의 구동에 의해 릴(10)에 감겨져 있는 낚싯줄(11)이 감겨지는 롤링디스크(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측에 구동부재(110)가 구비되는 본체부재(100);와,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부재(110)와 연결되는 메인샤프트(200);와,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릴(10)을 지지하는 지지대(300);와, 상기 메인샤프트(200)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부재(1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릴(10)에 감겨져 있는 낚싯줄(11)이 감겨지는 롤링디스크(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300)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310)와, 상기 경사부(310)의 선단측에 상기 본체부재(100)와 축결합되는 연결샤프트(320) 및 상기 경사부(31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릴(10)이 거치되는 거치부(3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샤프트(320)의 타측에는 제1 기어(32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샤프트(320)의 타측 둘레에는 걸림돌기(322)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재(100)의 내측에는, 내측에 공간부(121)가 형성되는 기어안착부(120)와, 상기 공간부(121)의 일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상기 제1 기어(321)가 삽입되는 제2 기어(122)와, 상기 공간부(121)와 상기 제1 기어(321)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23) 및 상기 기어안착부(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부(1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재(110)가 구동시 상기 릴(10)에 감겨져 있는 상기 낚싯줄(11)이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롤링디스크(400)에 감겨지도록 웜샤프트(5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재(100)를 탁자 또는 선반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 측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재(100)가 고정되도록 고정클램프(6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모터 등의 구동부재를 통해 릴에 감겨져 있는 낚싯줄을 롤링디스크에 감아 교체하는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교체장치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교체장치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교체장치의 구성 중 기어안착부와 연결샤프트의 결합 관계의 모습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교체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내부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교체장치의 구성 중 지지대의 사용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교체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교체장치(1)는 크게 본체부재(100), 메인샤프트(200), 지지대(300) 및 롤링디스크(4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명확하고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 중 일부 도면에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도시되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본체부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부재(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부에 모터 등의 구동부재(110)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재(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PCB 및 PCB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재(110)의 전원을 인가하고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전원버튼부(140) 및 모터회전방향조절부(150)가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본체부재(110)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재(11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메인샤프트(2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샤프트(200)에는 낚싯줄(11)이 감기는 롤링디스크(400)가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릴(10)에 감겨져 있는 상기 낚싯줄(11)을 다른 낚싯줄로 교체하는 경우, 상기 메인샤프트(200)에 상기 롤링디스크(400)를 결합시키고, 상기 롤링디스크(400)의 내측에 상기 낚싯줄(11)의 선단을 고정시킨 후 상기 구동부재(110)를 구동하면 상기 구동부재(11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메인샤프트(200)와 상기 메인샤프트(200)에 결합된 상기 롤링디스크(400)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릴(10)에 감겨져 있는 상기 낚싯줄(11)이 상기 롤링디스크(400)의 내측에 감겨지는 것이 가능해 진다.
다음으로, 지지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지대(300)는 도 4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 상, 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릴(1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310)와, 상기 경사부(310)의 선단측에 상기 본체부재(100)와 축결합되는 연결샤프트(320) 및 상기 경사부(31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릴(10)이 거치되는 거치부(33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거치부(330)에는 상기 릴(10)이 상기 거치부(3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330)의 표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앞, 뒤방향으로 볼팅체결되어 상기 릴(10)을 고정시키도록 릴고정시트(331) 및 릴고정너트(332)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300)를 상, 하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고, 원하는 각도에서 상기 지지대(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먼저, 상기 연결샤프트(320)에는 제1 기어(321), 걸림돌기(32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기어(321)는 상기 연결샤프트(320)의 타측 말단에 형성되는 일종의 기어로서, 기어톱니는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 기어(321)는 상기 연결샤프트(320)의 가압여부에 따라 후술할 제2 기어(122) 내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2 기어(112)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제1 기어(321)가 상기 제2 기어(122) 내에 위치된 경우에는 기어 간 맞물림으로 인하 상기 지지대(300)가 고정되고, 상기 제1 기어(321)가 상기 제2 기어(122)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는 기어 간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지지대(300)는 상, 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322)는 상기 연결샤프트(320)의 타측 둘레에 링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걸림돌기(322)는 상기 지지대(320)의 각도조절을 위해 상기 연결샤프트(320)를 가압하여 상기 제1 기어(321)를 상기 제2 기어(122)로부터 이탈시킨 후 원하는 각도에서 상기 지지대(3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샤프트(320)에 가해졌던 힘을 제거할 경우, 후술할 탄성부재(12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기어(321)가 상기 제2 기어(122)의 내측으로 이동시 후술할 커버부(124)에 맞닿아 상기 제1 기어(321)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제1 기어(321)가 상기 제2 기어(122)의 내측에 정확히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재(100)의 내측에는 기어안착부(120), 제2 기어(122), 탄성부재(123) 및 커버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안착부(120)는 상기 본체부재(100)의 내측에 고정되고, 그 내측에는 공간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기어(122)가 고정되고, 상기 제1 기어(321)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준다.
상기 제2 기어(122)는 상기 공간부(121)에 고정되는 일종의 기어로서, 기어톱니는 내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기어(321)가 상기 제2 기어(122) 내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300)가 고정되고, 상기 제1 기어(321)가 상기 제2 기어(122) 내측을 이탈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대(300)가 상, 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23)는 상기 공간부(121)와 상기 제1 기어(321) 사이에 구비되는 일종의 스프링으로서, 상기 연결샤프트(320)를 가압한 후 상기 연결샤프트(320)에 가해졌던 힘을 제거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샤프트(320)가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기어(321)가 상기 제2 기어(122)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커버부(124)는 상기 기어안착부(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부재(123)에 의해 상기 연결샤프트(320)가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322)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제1 기어(321)가 상기 제2 기어(122) 내측에 정확히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300)가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3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대(300)의 회전반경에 맞춰 지지대이동가이드홈(130)이 타공형성되고,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이동가이드홈(130)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310)를 통과하는 이동가이드샤프트(340)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310)의 일측을 통과한 상기 이동가이드샤프트(340)에 볼팅체결되는 나비볼트타입의 고정너트(350)가 형성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는 X형이동홈(510)이 함몰형성되는 웜샤프트(500)와 상기 웜샤프트(500) 회전시 상기 X형이동홈(510)을 따라 좌우로 왕복이동하는 레벨와인더(5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부재(110)를 구동시켜 상기 릴(10)에 감겨져 있는 상기 낚싯줄(11)을 상기 롤링디스크(400)에 감는 경우, 상기 낚싯줄(11)이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롤링디스크(400) 내측에 한쪽으로 치우쳐 지지 않게 감겨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메인샤프트(200)에는 제1 풀리(160)가 결합되고, 상기 웜샤프트(500)에는 제2 풀리(170)가 결합되며, 상기 제1 풀리(160)와 상기 제2 풀리(170)는 연결벨트(18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웜샤프트(500)와 상기 메인샤프트(200)가 상기 구동부재(110)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는 고정클램프(60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재(100)를 탁자 등의 가장자리 측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클램프(600)에 연결된 고정볼트(610)을 조여 줌으로써, 상기 본체부재(100)가 탁자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300)가 흔들리거나 기울여지지 않고 안전하게 상기 낚싯줄(11)을 상기 롤링디스크(400)에 감는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낚싯줄 교체장치
10: 릴 11: 낚싯줄
100: 본체부재 110: 구동부재
120: 기어안착부 121: 공간부
122: 제2 기어 123: 탄성부재
124: 커버부 130: 지지대이동가이드홈
140: 전원버튼부 150: 모터회전방향조절부
160: 제1 풀리 170: 제2 풀리
180: 연결벨트
200: 메인샤프트
300: 지지대 310: 경사부
320: 연결샤프트 321: 제1 기어
322: 걸림돌기 330: 거치부
331: 릴고정시트 332: 릴고정너트
340: 이동가이드샤프트 350: 고정너트
400: 롤링디스크
500: 웜샤프트 510: X형이동홈
520: 레벨와인더
600: 고정클램프 610: 고정볼트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내측에 구동부재(110)가 구비되는 본체부재(100);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부재(110)와 연결되는 메인샤프트(200);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릴(10)을 지지하는 지지대(300);
    상기 메인샤프트(200)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부재(1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릴(10)에 감겨져 있는 낚싯줄(11)이 감겨지는 롤링디스크(400);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300)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310)와, 상기 경사부(310)의 선단측에 상기 본체부재(100)와 축결합되는 연결샤프트(320) 및 상기 경사부(31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릴(10)이 거치되는 거치부(3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교체장치(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샤프트(320)의 타측에는 제1 기어(32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샤프트(320)의 타측 둘레에는 걸림돌기(322)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재(100)의 내측에는,
    내측에 공간부(121)가 형성되는 기어안착부(120)와, 상기 공간부(121)의 일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상기 제1 기어(321)가 삽입되는 제2 기어(122)와, 상기 공간부(121)와 상기 제1 기어(321)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23) 및 상기 기어안착부(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부(1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교체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재(110)가 구동시 상기 릴(10)에 감겨져 있는 상기 낚싯줄(11)이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롤링디스크(400)에 감겨지도록 레벨와인더(5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교체장치(1).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10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재(100)를 탁자 또는 선반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 측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재(100)가 고정되도록 고정클램프(6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교체장치(1).


KR2020190001916U 2019-05-10 2019-05-10 낚싯줄 교체장치 KR200493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916U KR200493794Y1 (ko) 2019-05-10 2019-05-10 낚싯줄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916U KR200493794Y1 (ko) 2019-05-10 2019-05-10 낚싯줄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12U KR20200002512U (ko) 2020-11-18
KR200493794Y1 true KR200493794Y1 (ko) 2021-06-04

Family

ID=7357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916U KR200493794Y1 (ko) 2019-05-10 2019-05-10 낚싯줄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899B1 (ko) 2021-07-28 2023-05-17 정선희 낚싯줄감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395B2 (ja) * 1992-05-28 2001-08-13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アミノクマラン誘導体
JP2006280291A (ja) 2005-04-01 2006-10-19 Hideo Ishitani 釣り用仕掛け巻き取り器
JP6192786B2 (ja) 2015-09-07 2017-09-06 曾慶華 釣り糸巻き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473A (ja) * 1994-07-06 1996-01-23 Kansai Shinku Kk 釣り糸巻替え機における張力調節装置
JPH1033099A (ja) * 1996-07-25 1998-02-10 K T S:Kk 釣り糸取出し器
JP3198395U (ja) * 2014-11-04 2015-07-02 曾慶華 釣り糸巻き機
KR102018611B1 (ko) 2017-08-23 2019-09-06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전동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395B2 (ja) * 1992-05-28 2001-08-13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アミノクマラン誘導体
JP2006280291A (ja) 2005-04-01 2006-10-19 Hideo Ishitani 釣り用仕掛け巻き取り器
JP6192786B2 (ja) 2015-09-07 2017-09-06 曾慶華 釣り糸巻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12U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413099C2 (de) Automatisch arbeitendes Werkzeug zum Umwickeln von Drahtbündeln od. dgl.
US10660321B2 (en) Fishing line winder
CA2823758C (en) Chain saw
KR101949284B1 (ko) 저소음 환형 코어 권선기
KR200493794Y1 (ko) 낚싯줄 교체장치
CA2829749A1 (en) Optical fiber cutter
JP6317120B2 (ja) 線材の挿入装置、長尺ワークの巻取装置及び線材の挿入方法
WO1996008339A1 (de) Elektrische handwerkzeugmaschine
KR200487872Y1 (ko)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그 장치
JP6261990B2 (ja) 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RU2743782C2 (ru) Блок намотки для резки панели остек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20120085855A1 (en) Compact Weed Trimmer Mounted Line Spooling Device
DE102019120637A1 (de) Baustahlbindewerkzeug
CH693736A5 (de) Handwerkzeugmaschine.
FR2676468A1 (fr) Dispositif d'alimentation de ruban sur une machine a coudre.
DE202011052545U1 (de) Beleuchtungsvorrichtung mit einem automatischen teleskopischen Aufbau
KR101565066B1 (ko) 선박 케이블 권취장치
DE2835705C2 (de) Bandwickelvorrichtung
JP6875266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DE674572C (de) Spulmaschine mit Treibtrommelantrieb der Wickelspule
CN210312876U (zh) 一种自动排线装置
KR101291735B1 (ko)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EP2898772B1 (en) Fishing reel
KR200222067Y1 (ko)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KR20020040952A (ko)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