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611B1 - 낚시용 전동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동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611B1
KR102018611B1 KR1020170106743A KR20170106743A KR102018611B1 KR 102018611 B1 KR102018611 B1 KR 102018611B1 KR 1020170106743 A KR1020170106743 A KR 1020170106743A KR 20170106743 A KR20170106743 A KR 20170106743A KR 102018611 B1 KR102018611 B1 KR 102018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reel
reel unit
fish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682A (ko
Inventor
박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to KR1020170106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조작스위치의 온(ON) 조작에 따라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시 라인이 권회되는 스풀(spool)을 원터치타입으로 교체하기 위한 낚시용 전동릴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전동릴은
낚시줄이 감긴 복수개의 스풀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전동릴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버튼과, 교체되는 상기 스풀의 입력정보 및 상기 낚시줄의 풀려나간 길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구동모터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는 릴본체에 대해 포획되는 어종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스풀중 어느 하나로 교체할 수 있는 교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전동릴{a electric motor for fishing}
본 명세서는 낚시용 전동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모터 구동시 회전되는 스풀에 라인(line)이 자동으로 권회되도록 한, 낚시용 전동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릴(REEL)은 사용자가 스풀 축상에 결합된 조작레버를 회동조작시킴에 따라 라인이 스풀에 감겨지도록 하는 수동 릴과, 릴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스풀용 구동모터에 의해 스풀이 회전되면서 스풀이 라인이 자동으로 감겨지도록 하는 전동 릴로 분류된다.
낚시용 전동 릴은 수심(水深)이 깊은 장소에서 낚시를 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필연적으로 라인의 방출되는 길이가 길어지고, 그에 따라 수동 조작만으로 스풀에 라인을 감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낚시용 전동 릴은 낚시대를 뱃전에 장착된 거치대에 놓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최근에는 사용자가 낚시대를 손에 든 상태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보다 소형화 및 컴팩트화된 낚시용 전동릴이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동릴의 소형화로 인해 사용되는 라인의 굵기가 얇아지고 라인의 인장강도가 향상됨에 따라, 종래에 비해 동일한 홋수도 라인의 굵기가 얇아져, 물고기를 잡는 과정에서 라인이 스풀사이로 들어가 뒤엉키는 문제점이 발생되곤 하였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종래의 대부분 전동릴은 릴본체에 대해 스풀을 교체시킬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로 인해 어종에 맞도록 라인의 종류나 굵기가 다른 홋수를 스풀에 감고자할 경우, 스풀에 감겨 있는 라인을 모두 풀어낸 후, 사용할려고 하는 라인을 스풀에 다시 감고 설정해야 되는 번거로움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특히 동절기에 야외에서 릴본체로부터 스풀을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힘든 것이 현실이다.
이와 반면에, 릴본체로부터 스풀을 교체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일부 전동릴의 경우에도, 스풀 내부에 구동모터가 배치됨에 따라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장치 및 제어용 전선 배치로 인해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스풀 내에 유성기어 등이 복잡하게 장착되어 있어 낚시터에서 사용자가 직접 릴본체로부터 스풀을 쉽게 분리시킬 수 없게 되므로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92532호에 낚시용 전동 릴이 게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전동릴의 소형화로 인해 얇아진 라인이 물고기를 잡는 과정에서 스풀 틈새에 들어가 뒤엉키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릴본체로부터 스풀을 쉽게 분리시켜 뒤엉킨 합사를 풀어낼 수 있도록 한, 낚시용 전동릴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라인의 굵기, 종류(nylon, 합사를 말함)가 상이한 홋수가 감긴 복수개의 스풀 중 어종에 맞는 스풀을 릴본체에 쉽게 교체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전동릴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스풀 회전됨을 감지할 수 있는 자석(magnet) 및 마그네틱 센서를 릴본체 프레임의 G/S커버 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킴에 따라 사이드커버 부위를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 낚시용 전동릴과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낚시줄이 감긴 복수개의 스풀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전동릴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버튼과, 교체되는 상기 스풀의 입력정보 및 상기 낚시줄의 풀려나간 길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구동모터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는 릴본체에 대해 포획되는 어종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스풀중 어느 하나로 교체할 수 있는 교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릴을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릴본체;
상기 릴본체에 교체가능하게 내설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 라인이 권회되는 스풀;
상기 릴본체에 내설되는 상기 스풀을 교체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릴본체의 일측면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풀의 회전축 일단을 지지하는 사이드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릴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전동릴의 소형화로 인해 얇아진 라인이 스풀 틈새에 들어가 꼬일 경우, 사용자가 직접 릴본체로부터 스풀을 원터치타입으로 쉽게 분리시켜 뒤엉킨 합사를 풀어냄에 따라 사용자에게 신뢰성 및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라인의 굵기, 종류가 상이한 홋수를 미리 감아놓은 복수개의 스풀을 휴대함에 따라 어종에 맞는 라인이 감겨진 스풀을 쉽게 교체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풀 회전됨을 감지할 수 있는 자석 및 마그네틱 센서를 릴본체 프레임의 G/S커버 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킴에 따라 사이드커버를 이루는 커버다이얼 부위를 단순화시켜 이를 제작하는 금형비용 및 비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동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릴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동릴의 요부발췌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동릴의 부분절개단면도,
도 5(a,b)는 릴본체로부터 사이드커버의 잠김상태 및 풀림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동릴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a,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동릴은
홋수가 상이한 낚시줄이 감긴 복수개의 스풀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전동릴에 있어서:
구동모터(미 도시됨)와,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버튼(미 도시됨)과, 교체되는 스풀(11)의 입력정보(스풀에 감기는 홋수가 상이한 낚시줄 종류에 따라 스풀정보가 미리 입력됨) 및 낚시줄(미 도시됨)의 풀려나간 길이정보(어종이 서식하는 수심에 맞도록 풀려나가는 낚시줄 길이가 미리 입력됨)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6b)와, 구동모터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6)가 구비되는 릴본체(10)에 대해 포획되는 어종에 따라 복수개의 스풀(11)중 어느 하나로 교체할 수 있는 교체수단을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전동릴에 의하면, 어종에 따라 스풀(11)로부터 풀려나가 설정된 임의깊이의 수심까지 도달되는 라인 길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어종에 따라 이들이 서식하는 수심 깊이가 상이하게 되고, 라인의 굵기에 따라 스풀(11)에 감기는 라인의 길이가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스풀(11)의 회전수를 감지할 경우 구동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스풀(11)로부터 풀려나가 임의의 어종이 서식하는 미리 설정된 수심까지 도달되는 라인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이한 홋수의 라인이 감기는 복수개의 스풀(11) 유형정보는 제어부(26)에 구비되는 조작버튼(미 도시됨)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풀(11) 회전수를 감지할 경우 제어부(26)에 미리 입력된 스풀(11) 유형정보에 의해 스풀(11)로부터 풀려나와 임의의 어종이 서식하는 임의깊이의 수심까지 도달되는 라인 길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5(a,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동릴은
라인을 풀거나 감기 위해 정회전(시계 방향으로 회전) 및 역회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미 도시됨) 및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버튼(미 도시됨)이 구비되는 릴본체(10);
릴본체(10)에 교체 및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 라인(미 도시됨)이 권회되는 스풀(11);
릴본체(10)에 내설되는 스풀(11)을 교체시킬 수 있도록 릴본체(10)의 일측면 개구부에 원주방향으로 임의각도로 회전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풀(11)의 회전축(12)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사이드커버(13);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이드커버(13)는
회전축(12)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사이드커버(13)를 릴본체(10)에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시킬 경우 이탈방지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스풀 커버(16);
스풀커버(16) 외측면에 고정되고, 릴본체(1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커버다이얼(17);을 구비한다.
전술한 이탈방지수단은
스풀 커버(16)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15);
결합돌기(15)와 대응되게 릴본체(10)의 임의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턱(14)을 구비하여,
릴본체(10)의 개구부에 사이드커버(13)를 결합시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임의각도만큼 회전시킬 경우, 걸림턱(14)에 로킹 또는 언로킹되는 결합돌기(15)에 의해 릴본체(10)에 대해 사이드커버(13)를 착탈시킬 수 있다.
전술한 릴본체(10)에 사이드커버(13)를 착탈시 클릭음을 발생시키고, 릴본체(10)에 결합되는 사이드커버(13)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릴본체(10)의 팜 사이드커버(18)의 내부 임의위치에 장착되고, 원주방향으로 결합홈(24a) 및 걸림턱(24b)이 형성되는 홀더(24);
결합홈(24a)에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킹핀(19);
결합홈(24a)에 로킹핀(19)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5)(일 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
커버다이얼(17) 내측면에 이웃하게 형성되는 제1,2요홈(20,20a)을 구비하여,
릴본체(10)에 대해 사이드커버(13)를 착탈시키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로킹핀(19)이 결합홈(24a)에 원주방향으로 임의거리만큼 이동되어 제1요홈(20) 또는 제2요홈(20a)에 결합되거나 또는 이탈시 클릭음을 발생하게 된다.
전술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한 스풀(11) 회전됨을 감지할 수 있도록,
스풀(11)의 플랜지(11a,11b)중 릴본체(10)의 안쪽에 위치하는 플랜지(11b) 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21);
릴본체(10)의 G/S커버(22) 임의위치에 장착되고, 스풀(11) 회전시 자성체(21)의 자력 세기에 의해 스풀(11) 회전됨을 감지하기 위한 마그네틱 센서(23);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26은 릴본체(10) 외측면에 장착되고, 조작버튼(26a) 조작에 의해 낚시 환경과 관련되는 각종 정보를 변경할 수 있고, 일 예로서 스풀로부터 풀려나간 라인의 길이 정보, 구동모터 출력의 가변 범위를 변경하는 출력범위 설정 정보, 또는 물속에 투입한 장치를 원하는 수심에서 정지시키는 수심 정보 등을 액정표시부(26b)에 숫자 또는 문자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이고, 27는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착탈가능한 휴대 배터리를 장착하거나, 또는 사용자 발 밑에 둔 배터리나 낚시배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전동릴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서와같이, 핸들(31)의 회전력이 스풀(11)에 전달하기 위한 온(ON) 상태, 또는 핸들(31)의 회전력이 스풀(11)로 전달되지않도록 하는 오프(OFF) 상태를 선택적으로 셋팅하기 위한 클러치기구(미 도시됨); 스풀(11)을 따라 라인을 균일하게 감아들이기 위한 레벨와인드기구(33); 핸들축(30)에 설치되는 드레그와셔와 메인기어와의 밀착력을 조정함에 따라 스풀(11)에 라인을 감아들이는 드래그력을 셋팅하기 위한 스타드래그(34); 핸들축(30)의 외측단에 연결되는 핸들(31) 및 핸들(31) 외측단에 연결되는 핸들노브(32); 조작버튼(26a)에 의해 낚시 채비와 관련되는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액정표시부(26b)를 갖는 제어부(26);를 구비하는 전동릴(A)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a,b)에서와 같이, 스풀(11)을 팜 사이드커버(18)의 개구부를 통과시켜 릴본체(10)에 결합하되 스풀(11)의 플랜지(11a,11b)중 일측 플랜지(11b)가 릴본체(10)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결합시킨 후, 스풀(11)의 타측 플랜지(11a)를 스풀커버(1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도 5(a)에서와 같이, 사이드커버(13)를 릴본체(1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임의각도만큼 회전시킬 경우, 사이드커버(13)를 이루는 스풀커버(16)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5)가 이와 대응되게 릴본체(10) 내측면에 계단형태로 형성된 걸림턱(14)에 안착되어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릴본체(10)에 결합되는 스풀(11)을 사이드커버(13)의 스풀커버(1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결합돌기(15) 및 걸림턱(14)의 결합구조에 의해 사이드커버(13)를 릴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경우, 사이드커버(13)가 릴본체(10)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커버(13)를 이루는 커버다이얼(17) 외주연에 형성된 제1요홈(20) 또는 제2요홈(20a)에 의해 팜 사이드커버(18)에 형성된 홀더(24)의 결합홈(24a)에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로킹핀(19)을 가압하게 된다.
즉, 스풀(1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사이드커버(13)를 릴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켜 제1요홈(20) 또는 제2요홈(20a)에 의해 로킹핀(19)이 가압될 경우 탄성부재(25)는 압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전동릴(A) 바닥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릴다리 설치부(a)를 낚시대(미 도시됨)에 고정시킨 후 스풀(11)로부터 라인을 풀어 물고기를 잡는 경우, 스풀(11)에 권취된 라인을 풀거나 스풀(11)에 감는 과정에서 스풀(11) 사이에 라인이 들어가 뒤엉킬 수 있다.
한편, 릴본체(10)에 내설된 구동모터(미 도시됨)에 의해 스풀(11)을 회전시켜 라인을 스풀(11)에 권회시키는 구성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하게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사용자가 사이드커버(13)를 파지하여 원주방향으로 임의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릴본체(10)로부터 원터치타입으로 사이드커버(13)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b)에서와 같이, 릴본체(10) 일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커버(13)를 이루는 커버다이얼(17)을 파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임의각도만큼 회전시킬 경우, 사이드커버(13)를 이루는 커버다이얼(17) 내측면에 고정된 스풀커버(16)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5)(일 예로서, 4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됨)가 이와 대응되게 릴본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4)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사이드커버(13)를 릴본체(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이드커버(13)를 릴본체(1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릴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풀(11)을 릴본체(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고기를 잡는 과정에서 홋수 및 굵기가 얇아진 라인이 스풀(11)사이에 들어가 뒤엉킬 경우에도 릴본체(10)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사이드커버(13)를 파지하여 원주방향으로 임의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원터치타입으로 릴본체(1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릴본체(10)로부터 스풀(11)을 분리시킬 경우, 팜 사이드커버(18)와 커버다이얼(17)에 대응되게 형성된 클릭음 발생수단에 의해 클릭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풀커버(16)의 결합돌기(15)를 이와 대응되게 릴본체(10)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4)으로부터 이탈시켜 사이드커버(13)를 릴본체(1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팜 사이드커버(18)에 형성된 홀더(24)의 결합홈(24a)에 결합된 로킹핀(19)을 가압하고 있는 커버다이얼(17)에 형성된 요홈(20)의 가압력이 해제된다.
이로 인해, 사이드커버(13)를 릴본체(10)에 결합시 로킹핀(19)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재(25)(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로킹핀(19)을 결합홈(24a) 내에서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로킹핀(19)의 플랜지가 홀더(24)의 걸림턱(24b)에 걸려 홀더(24)로부터 로킹핀(19)은 이탈되지않게 된다.
따라서, 릴본체(10)로부터 사이드커버(13)를 분리시킬 경우, 커버다이얼(17) 외주연에 형성된 제1요홈(20)이 이와 대응되게 팜 사이드커버(18)에 형성된 로킹핀(19)으로부터 이탈될 경우 클릭음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릴본체(10)에 내설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한 스풀(11) 회전됨을 감지하기 위해 스풀(11)의 플랜지(11a,11b)중 릴본체(10)의 안쪽에 위치하는 플랜지(11b)에 자성체(21)를 장착하고, 스풀(11) 회전시 자성체(21)의 자력 세기에 의해 스풀(11) 회전됨을 감지하기 위한 마그네틱 센서(23)를 릴본체(10)의 G/S커버(22) 임의위치에 장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풀(11)의 자성체(21)를 감지하여 스풀(11) 회전됨을 감지하기 위한 마그네틱 센서(23)를 릴본체(10)의 G/S커버(22)에 장착시킴에 따라, 사이드커버(13)를 이루는 커버다이얼(17) 부위를 단순화시켜 이를 제작하는 금형비용을 줄임에 따라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의 내용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릴본체
11; 스풀(spool)
12; 회전축
13; 사이드커버(side cover)
14; 걸림턱
15; 결합돌기
16; 스풀커버(spool cover)
17; 커버다이얼(cover dial)
18; 팜 사이드커버(palm side cover)
19; 로킹핀
20; 요홈
21; 자성체(magnet)
22; G/S커버
23; 마그네틱 센서
24; 홀더(holder)
25; 탄성부재
26; 제어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릴본체; 상기 릴본체에 교체가능하게 내설되고 상기 구동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시 라인이 권회되는 스풀; 상기 릴본체의 일측면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풀의 회전축 일단을 지지하는 사이드커버;를 구비하는 낚시용 전동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커버는
    상기 회전축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릴본체에 상기 사이드커버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시킬 경우 이탈방지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스풀 커버; 상기 스풀커버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릴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커버다이얼;을 구비하되,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스풀 커버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게 상기 릴본체의 임의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릴본체의 개구부에 상기 사이드커버를 결합시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임의각도만큼 회전시킬 경우, 상기 걸림턱에 로킹 또는 언로킹되는 상기 결합돌기에 의해 상기 릴본체에 대해 상기 사이드커버를 착탈시킬 수 있고,
    상기 릴본체에 상기 사이드커버를 착탈시 클릭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릴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사이드커버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릴본체의 팜 사이드커버의 내부 임의위치에 장착되고, 원주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는 홀더;
    상기 결합홈에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킹핀;
    상기 결합홈에 상기 로킹핀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커버다이얼 내측면에 이웃하게 형성되는 제1,2요홈;을 구비하여,
    상기 릴본체에 대해 상기 사이드커버를 착탈시키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로킹핀이 상기 결합홈에 원주방향으로 임의거리만큼 이동되어 상기 제1요홈 또는 제2요홈에 결합되거나, 또는 이탈시 클릭음을 발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릴.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한 상기 스풀 회전됨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풀의 플랜지중 상기 릴본체의 안쪽에 위치하는 플랜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
    상기 릴본체의 G/S커버 프레임 임의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스풀 회전시 상기 자성체의 자력 세기에 의해 상기 스풀 회전됨을 감지하기 위한 마그네틱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릴.
KR1020170106743A 2017-08-23 2017-08-23 낚시용 전동릴 KR102018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743A KR102018611B1 (ko) 2017-08-23 2017-08-23 낚시용 전동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743A KR102018611B1 (ko) 2017-08-23 2017-08-23 낚시용 전동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682A KR20190021682A (ko) 2019-03-06
KR102018611B1 true KR102018611B1 (ko) 2019-09-06

Family

ID=6576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743A KR102018611B1 (ko) 2017-08-23 2017-08-23 낚시용 전동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023A (ko)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바낙스 라인 인출이 용이한 전동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794Y1 (ko) 2019-05-10 2021-06-04 이정걸 낚싯줄 교체장치
KR102295002B1 (ko) * 2019-08-19 2021-08-30 주식회사 바낙스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되는 낚시용 전동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11Y1 (ko) * 2012-02-20 2014-02-13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전동 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5951A (ja) * 1996-01-31 1997-08-12 Ryobi Ltd 魚釣用両軸受けリール
JPH09313078A (ja) * 1996-05-29 1997-12-09 Ryobi Ltd 魚釣用電動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11Y1 (ko) * 2012-02-20 2014-02-13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전동 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023A (ko)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바낙스 라인 인출이 용이한 전동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682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611B1 (ko) 낚시용 전동릴
CN109691290B (zh) 打草机
TW201216844A (en) Dual-bearing reel
JP4381733B2 (ja) 両軸受リール
CN104115797B (zh) 双轴承绕线轮
KR101836471B1 (ko) 전동 릴
WO2017091447A1 (en) Detachable line cartridge system
US2130671A (en) Fishing reel
US4739944A (en) Manual-electric spinning reel
CN214801804U (zh) 双重驱动单方向旋转装置及包括其的卷轴
JP6675443B2 (ja) スプール交換が容易な釣用電動リール
TWI336613B (ko)
TWI810406B (zh) 釣魚用電動捲線器、其模式遷移控制方法及模式遷移控制程式
JPH0731342A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2009022222A (ja) 魚釣リール
US3351300A (en) Spinning type fishing reel
KR20210002947U (ko)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JP6654217B2 (ja) 釣り用リールのクリック音発生装置
KR20210000170U (ko) 피싱 모터 라인 텐션기
CN111657238A (zh) 钓鱼用电动绕线轮的卷线筒驱动控制装置及方法、钓鱼用电动绕线轮、卷线筒驱动控制程序
KR102295002B1 (ko)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되는 낚시용 전동릴
TWI821471B (zh) 釣具用電動捲線器之捲軸驅動控制裝置及具備其之釣具用電動捲線器、捲軸驅動控制方法及捲軸驅動控制程式
US9398763B2 (en) Two-speed fishing reel
JP2015002689A5 (ko)
KR102666364B1 (ko) 낚시용 릴 및 이것을 구비한 이력 데이터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