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947U -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947U
KR20210002947U KR2020200002180U KR20200002180U KR20210002947U KR 20210002947 U KR20210002947 U KR 20210002947U KR 2020200002180 U KR2020200002180 U KR 2020200002180U KR 20200002180 U KR20200002180 U KR 20200002180U KR 20210002947 U KR20210002947 U KR 202100029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fishing rod
memory device
line memory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149Y1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to KR2020200002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149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9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9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1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낚싯대용 릴의 일측에 설치되어 현재 릴에 권취된 라인의 호수가 표시될 수 있으며, 별도의 클릭음 발생이 구비되지 않아도 조절시 클릭음이 발생됨에 따라 회전여부가 용이하게 확인됨은 물론 회전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어 임의로 회전되지 않으며, 드라이버 같은 기구나 손톱을 사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는 릴 일측에 구비되되 전면에는 방사상 다수 개의 조절홈이 형성된 회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구비된 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그 중심축이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과 동일축 상에 위치되는 스프링과, 전방에는 상기 회전홈 내에서 다단으로 회전되는 다이얼이 위치되고 후방에는 상기 관통공 및 스프링에 일체로 관통되는 회전축이 연장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의 후단이 상기 스프링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노브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LINE MEMORY DEVICE OF A REEL FOR FISHING ROD}
개시된 내용은 낚싯대용 릴에 설치되어 릴에서 사용중인 라인의 호수가 표시되게 하는 라인 메모리장치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릴은 낚싯대에 장착하여 낚싯줄을 풀거나 감을 수 있게 고안된 장치이다. 이러한 릴은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spool)에 낚싯줄이 감기도록 되어 있으며 스피닝릴(spinning reel), 크러스트 페이스릴(crust face reel), 플라이릴(fly reel), 베이트릴(bait reel)로 구분된다.
스피닝릴은 초보자도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릴로서, 주로 채비를 멀리 던진다는 목적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릴이다. 용도에 따라 몇 가지로 구분되지만 기본 구조는 동일한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스풀이 직접 돌면서 라인이 감기는 양축 릴과는 달리, 스피닝 릴은 로터(rotor)가 돌면서 고정된 스풀에 라인이 감기는 구조를 갖는다.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 모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핸들을 좌우로 바꿔 부착시킬 수 있다.
베이트릴은 라인을 감는 힘이 스피닝릴보다 강하여 바다낚시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릴이다. 핸들의 회전력을 구동기어와 스풀기어의 기어전동을 통해 스풀축에 전달하여 라인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스풀을 회전시키는 릴로 비교적 강한 힘을 바탕으로 정확한 장거리 캐스팅에 유용하며 배스나, 우럭과 같은 큰 고기를 잡을 때 유리하다. 하지만 라인이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스풀이 더 빨리 회전될 경우 줄이 심하게 꼬이는 현상이 자주 나타나므로 줄감개를 이용해 속도를 조정해 주어야 해 초보자는 사용하기 어렵다.
한편, 릴에는 낚싯줄이 권취되어 사용되는데, 낚싯줄은 원줄(line)과 목줄(leader)로 구분된다. 목줄이란 원줄의 끝과 바늘의 윗부분까지의 줄로, 채비안에 바늘과 연결된 줄을 말한다. 목줄은 원줄과는 다르게 다양한 소재를사용하는데 미끼의 종류나 수중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낚싯줄은 나일론, 플로로카본, PE(폴리에틸렌) 세가지이며, 단위로는 굵기를 기준으로 한 호수(號)가 사용된다.
이러한 낚싯줄은 낚시환경이나 대상어종에 따라 적합한 호수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낚싯줄은 육안으로는 그 호수를 쉽게 구분하기 어려워 릴에 몇 호수의 낚싯줄이 감겨있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87514호(2018.08.06)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33434호(1998.10.12)
낚싯대용 릴의 일측에 설치되어 현재 릴에 권취된 라인의 호수가 표시될 수 있으며, 별도의 클릭음 발생이 구비되지 않아도 조절시 클릭음이 발생됨에 따라 회전여부가 용이하게 확인됨은 물론 회전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어 임의로 회전되지 않는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릴 일측에 구비되되 전면에는 방사상 다수 개의 조절홈이 형성된 회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구비된 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그 중심축이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과 동일축 상에 위치되는 스프링과, 전방에는 상기 회전홈 내에서 다단으로 회전되는 다이얼이 위치되고 후방에는 상기 관통공 및 스프링에 일체로 관통되는 회전축이 연장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의 후단이 상기 스프링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노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에 의하면, 낚싯대용 릴의 일측에 설치되어 현재 릴에 권취된 라인의 호수가 표시될 수 있으며, 별도의 클릭음 발생이 구비되지 않아도 조절시 클릭음이 발생됨에 따라 회전여부가 용이하게 확인됨은 물론 회전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어 임의로 회전되지 않으며, 드라이버 같은 기구나 손톱을 사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의 작동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작동단면도이고, 도 4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1)의 구성부재들과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체(10)가 구비된다. 이 본체(10)는 낚싯대용 릴(40)에 설치되며,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체(10)는 릴(40) 일측에 구비되되 전면에는 방사상 다수 개의 조절홈(111)이 형성된 회전홈(11)이 형성되고 회전홈(11)의 중앙에는 관통공(12)이 관통 형성된다.
본체(10)가 설치되는 본체(10)에는 추후에 설명될 스프링(20)이 구비될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홈(11)의 외측에는 라인호수(13)가 방사상 기재되는데, 이 라인호수(13)는 종래기술에 따른 라인의 호수가 숫자로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조절홈(111)은 추후에 설명될 조절돌기(312)가 탄성적으로 타고넘으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양측에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본체(10)가 구비된 릴(40)의 공간부 내에는 스프링(20)이 수용 구비된다. 이 스프링(20)은 추후에 설명될 노브(30)가 본체(10) 측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프링(20)은 그 중심축이 관통공(12)의 중심축과 동일축 상에 위치되는 원통형 스프링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스프링(20)의 전방 측은 관통공(12) 가장자리에 지지되고 후방 측은 노브(30)의 후단에 지지되어 노브(30)의 회전시 공간부 내에서 반복적으로 압축 및 복원된다.
한편, 전술한 본체(10)의 회전홈(11)에는 노브(3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노브(30)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릴(40)에 권취된 라인의 호수를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노브(30)는 그 전방에 회전홈(11) 내에서 다단으로 회전되는 다이얼(31)이 위치되고 후방에는 관통공(12) 및 스프링(20)에 일체로 관통되는 회전축(32)이 연장 형성되되, 회전축(32)의 후단이 스프링(20)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이얼(31)의 전면에는 노브(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절홈(111) 외측에 기재된 라인호스를 지시하는 지시부(311)가 구비되고, 다이얼(31)의 후면에는 조절홈(111)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으며 다이얼(31)의 회전방향에 따라 다수 개의 조절홈(111) 중 한 개 이상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한 개 이상의 조절돌기(31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조절돌기(312)는 조절홈(111)과 동일한 개수만큼 형성될 수도 있으나 노브(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180도 간격으로 두 개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시부(331)는 다이얼(31) 전면에서 돌출 형성된 부분에 형성되는데 사용자는 이 부분을 파지하고 다이얼(31)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드라이버와 같은 기구나 손톱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축(32)의 후단 외주연에는 스프링(2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홈(21)이 형성되며, 지지홈(21) 내에 스프링(20)의 후단이 회전 가능하게 감겨져 지지된다. 따라서 노브(30)가 회전될 때 조절돌기(312)가 조절홈(111)을 타고넘기 위해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고 해도 스프링(20)에 지지됨에 따라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다이얼(31)은 본체(10)의 회전홈(11) 내에 위치되고, 전술한 회전축(32)은 관통공(12)에 관통된 뒤 스프링(20) 내에 관통 위치되며 그 후단은 스프링(20) 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이얼(31)을 노브(30)를 회전시키면 조절돌기(312)가 조절홈(111)의 경사를 타고넘기 위해서 노브(30)가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데, 이때 스프링(20)은 공간부 내에서 압축된 상태이며 노브(30)가 스프링(20) 지지되어 있어 본체(10)에서 이탈되지 않게된다. 조절돌기(312)가 조절홈(111)의 경사를 타고 넘어가면 압축되었던 스프링(20)이 복원되고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조절돌기(312)가 다음 조절홈(111)으로 넘어가 삽입되면서 돌출되었던 노브(30)가 원위치되며, 이때 클릭음이 발생되면서 회전여부가 명확하게 인식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시부(311)가 해당 라인호수(13)를 지시할 때까지 다이얼(31)을 회전시켜준다.
이상에서와 같은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1)에 의하면, 낚싯대용 릴(40)의 일측에 설치되어 현재 릴(40)에 권취된 라인의 호수가 표시될 수 있으며, 별도의 클릭음 발생이 구비되지 않아도 조절시 클릭음이 발생됨에 따라 회전여부가 용이하게 확인됨은 물론 회전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어 임의로 회전되지 않으며, 드라이버 같은 기구나 손톱을 사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10 : 본체
11 : 회전홈
111 : 조절홈
12 : 관통공
13 : 라인호수
20 : 스프링
30 : 노브
31 : 다이얼
311 : 지시부
312 : 조절돌기
32 : 회전축
321 : 지지홈
40 : 릴

Claims (5)

  1. 릴 일측에 구비되되 전면에는 방사상 다수 개의 조절홈이 형성된 회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구비된 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그 중심축이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과 동일축 상에 위치되는 스프링; 및
    전방에는 상기 회전홈 내에서 다단으로 회전되는 다이얼이 위치되고 후방에는 상기 관통공 및 스프링에 일체로 관통되는 회전축이 연장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의 후단이 상기 스프링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노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홈의 외측에는 라인호수가 방사상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은 양측에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의 전면에는 상기 노브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조절홈 외측에 기재된 라인호스를 지시하는 지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의 후면에는 상기 조절홈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으며 상기 다이얼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조절홈 중 한 개 이상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한 개 이상의 조절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KR2020200002180U 2020-06-23 2020-06-23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KR200496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180U KR200496149Y1 (ko) 2020-06-23 2020-06-23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180U KR200496149Y1 (ko) 2020-06-23 2020-06-23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47U true KR20210002947U (ko) 2021-12-30
KR200496149Y1 KR200496149Y1 (ko) 2022-11-16

Family

ID=7917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180U KR200496149Y1 (ko) 2020-06-23 2020-06-23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1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835A (ko) 2022-05-24 2023-12-01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릴 스풀의 라인 호수 메모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434Y1 (ko) 1996-02-24 1998-12-15 정종오 스피닝 릴의 낚시줄 호수 표시장치
KR101887514B1 (ko) 2016-10-12 2018-09-10 주식회사 코커스 낚싯줄 호수 표시구가 구비된 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237Y1 (ko) 2001-11-12 2002-02-21 주식회사 바낙스 플라이 낚싯대용 릴
KR200292145Y1 (ko) 2002-05-31 2002-10-14 권병율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
KR101879346B1 (ko) 2017-08-31 2018-07-17 이성옥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434Y1 (ko) 1996-02-24 1998-12-15 정종오 스피닝 릴의 낚시줄 호수 표시장치
KR101887514B1 (ko) 2016-10-12 2018-09-10 주식회사 코커스 낚싯줄 호수 표시구가 구비된 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835A (ko) 2022-05-24 2023-12-01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릴 스풀의 라인 호수 메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149Y1 (ko)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8003B2 (en) Baitcast reel having externally adjustable dual brakes having centrifugal and magnetic brakes
US5120003A (en) Changeable fishing reel cartridge with line
US7191969B2 (en) Fishing reel
US20150150228A1 (en) Apparatus for a Fishing Reel
KR20210002947U (ko)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US4238086A (en) Kite string wrapper
US3171609A (en) Reel for fishing
KR102018611B1 (ko) 낚시용 전동릴
KR102188172B1 (ko) 낚시용 릴
US4796831A (en) Multiplier fly casting reel with anti-reversing mechanism
US4596365A (en) Spool means used in flying a kite
JP4503231B2 (ja) 釣具用リール
US3007276A (en) Fishing lure
US4288046A (en) Spinning reel with anti-reversal mechanism
US5443219A (en) Reversal preventive device for fishing reel
US6843439B1 (en) Anti-reverse bail control
US4601437A (en) Spinning reel
US11559052B2 (en) Large arbor ice fishing tip-up spool
US5890668A (en) Spinning reel having a roller-type one-way clutch
US5033228A (en) Tackle holder for fishermen
US3351300A (en) Spinning type fishing reel
US5538198A (en) Handle for fishing reel
JP6284307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US2979281A (en) Apparatus for untwisting lines
US4824045A (en) Spinning r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