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145Y1 -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145Y1
KR200292145Y1 KR2020020016694U KR20020016694U KR200292145Y1 KR 200292145 Y1 KR200292145 Y1 KR 200292145Y1 KR 2020020016694 U KR2020020016694 U KR 2020020016694U KR 20020016694 U KR20020016694 U KR 20020016694U KR 200292145 Y1 KR200292145 Y1 KR 200292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bending
rod support
bending device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병율
Original Assignee
권병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병율 filed Critical 권병율
Priority to KR2020020016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14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바닷가, 저수지, 낚시터의 좌대(座臺)등 다양한 조건의 낚시 장소에서도 낚싯대 받침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받침은 몸체의 상단과 낚싯대 지지부재 사이에 제 1절곡장치를 배치하여 낚싯대 지지부재를 절곡하고, 몸체의 하단과 클램프 사이에는 제 2절곡장치를 배치하므로서 몸체를 절곡하여 낚싯터 조건에 따라 낚싯대 받침의 높, 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낚싯대의 높, 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조건의 낚싯터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하도록 하여 낚시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그에 따라 낚시사용자들로 부터 신뢰를 얻는 낚싯대 받침을 널리 공급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FISHING STAND HAVE THE ANGLE CONTROL FOR BENDING DEVICE}
본 고안은 낚싯대 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안테나 식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몸체의 상단과 몸체 상단에 배치된 낚싯대 지지부재 사이에 제 1절곡장치를 배치하여 낚싯대 지지부재를 절곡하고, 몸체 하단과 클램프 사이에 제 2절곡장치를 배치하여 몸체를 용이하게 경사조절되도록 절곡하여 낚싯터 조건에 따라 구비되는 낚싯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므로서 낚싯대의 각도를 수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하여 최상의 낚시조건을 제공하는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나 양어장, 바닷가 등에서 낚시할 때, 사용자는 낚싯대를 일정한 형태로 고정, 거치시키기 위해 낚싯대 받침을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는데, 종래의 낚싯대 받침은 통상 "Y"자형으로 형성하여 받침대 하단의 설치대를 땅바닥에 박아 고정한 후, 상단의 받침구에 낚싯대를 걸쳐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의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받침대는 하단의 설치대를 고정할 수 있는 장소가 흙이나 개펄에 국한되어 바위나 저수지의 좌대에는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고, 각도변화를 통해 높이 조절이 필요한 환경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여 낚시할 때, 사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0237444호로 "낚싯대 받침"이 개시되었다.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 낚싯대 받침(FS)은 안테나식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몸체(BD)가 구비되고, 그 몸체(BD)의 하단에는 고정대(FF)에 장착되는 클램프(CL)가 배치되고, 상단에는 편심회동구(OR)가 양측으로 배치된 받침구(ST)가 구비된다.
클램프(CL)는 집게식으로 된 제 1, 2장착편(FB1)(FB2)이 양측으로 배치되고,제 1장착편(FB1)의 일측에는 몸체(BD)의 하단과 결합된 회동구(RE)가 결합되어 상단에 받침구(ST)가 결합된 몸체(BD)가 소정각도 회동하는 것이다.
또한, 제 1장착편(FB1)과 회동구(RE)를 관통한 볼트(BT)가 나비너트(BN)에 의해 조일 수 있도록 하여 몸체(BD)의 회동이 완료되면 견실하게 조여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제 1, 2장착편(FB1)(FB2)의 상측에는 조절볼트(AB)가 관통, 배치되고, 조절볼트(AB)의 하측에는 힌지부재(HM)에 의해 상호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이 나비너트(AB)를 조임방향으로 회동하면 제 2장착편(FB2)이 회동으로 조여지며 고정대(FF)에 견실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낚싯대 받침(FS)은 상기 클램프(CL)와 회동구(RE)에 의해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낚싯대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하는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를 전, 후방향으로 회동하며 높낮이를 조절할 때, 조절되는 높낮이 편차가 작아 낚싯대 받침 상단에 구비되는 낚싯대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며 수면과 멀리 떨어진 낚싯대 선단이 바람에 의해 요동치며 제대로 낚시를 즐길 수 없는 실정이었다.
또한, 낚싯대의 선단이 수면과 멀리 떨어지면 찌의 위치도 수면위로 구비되어 물고기의 입질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 낚싯대 선단을 수면과 근접시키기 위해 낚싯대를 기울이면 낚싯대 선단이 물속에 잠기게 되고, 그에 따라 낚싯대 코팅층의 부식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낚싯대 선단이 물속에 잠겨 있으므로, 물의 저항에 의해 챔질이 용이하지 못하여 대다수의 사용자들로 부터 신뢰를 잃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낚시조건에 따라 받침대의 높낮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의 낚시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낚싯대가 수면과 거의 수평상태로 구비되는 최상의 낚시조건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신뢰를 얻는데 있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낚싯대 받침을 보인 것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받침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절곡장치의 스프링 안착홈을 보인 도 2a "B"-"B"선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받침의 작용효과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받침의 다른사용상태를 보인 참고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낚싯대 10;낚싯대 받침
11;낚싯대 지지부재 12;몸체
13;클램프 100;제 1절곡장치
110,150;제 1, 2절곡부재 111,151;장착부시
112,152;제 1, 2회동편 113,153;제 1, 2관통공
114,154;제 1, 2기어 200;제 2절곡장치
210,250;제 1, 2절곡부재 211;장착부시
251;장착블럭 212,252;제 1, 2회동편
213,253;제 1, 2관통공 14,254;제 1, 2기어
115,155,215,255;스프링 안착홈 SP;스프링
300;체결부재 HB;볼트
BN;나비너트 HH;육각홈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에 배치된 낚싯대 지지부재에 의해 낚싯대를 지지하며 안테나 형식으로길이가 가변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단에 배치되어 고정대에 장착, 고정하는 클램프로 이루어진 낚싯대 받침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 받침은 상기 몸체의 상단과 상기 낚싯대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낚싯대 지지부재를 전, 후로 회동하여 절곡시키는 제 1절곡장치와;
상기 몸체 하단과 상기 클램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를 전, 후로 회동하여 절곡시키는 제 2절곡장치와;
상기 제 1, 2절곡장치를 관통하고, 각도조절이 완료되면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측에서 조여주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절곡장치는 몸체의 상단과 결합되는 장착부시와, 상기 장착부시 단부 일측에 원형으로 형성된 제 1회동편과, 상기 제 1회동편의 중심에 형성된 제 1관통공과, 상기 제 1관통공의 내측면에 방사상으로 제 1기어가 형성된 제 1절곡부재와, 상기 제 1절곡부재와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낚싯대 지지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는 장착부시와, 상기 장착부시 단부 타측에 원형으로 형성된 제 2회동편과, 상기 제 2회동편의 중심에 상기 제 1관통공과 동심한 위치에 형성된 제 2관통공과, 상기 제 2관통공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기어와 치합되도록 제 2기어가 형성된 제 2절곡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절곡장치는 몸체의 하단과 결합하는 장착부시와, 상기 장착부시 단부 일측에 원형으로 형성된 제 1회동편과, 상기 제 1회동편의 중심에 형성된 제 1관통공과, 상기 제 1관통공의 내측면에 방사상으로 제 1기어가 형성된 제 1절곡부재와, 상기 제 1절곡부재와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클램프의 상단 일측과결합되는 장착블럭과, 상기 장착블럭 단부 타측에 원형으로 형성된 제 2회동편과, 상기 제 2회동편의 중심에 상기 제 1관통공과 동심한 위치에 형성된 제 2관통공과, 상기 제 2관통공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기어와 치합되도록 제 2기어가 형성된 제 2절곡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절곡부재는 상기 제 1, 2기어 외주에 소정깊이 요홈으로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과, 상기 스프링 안착홈에 양단이 지지되어 상기 제 1, 2절곡부재가 외측으로 탄성되도록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절곡부재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 외측으로 육각볼트의 머리부분이 지지되는 육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절곡장치는 각 대칭형으로 결합하는 원형의 회동편와 장착부시 사이에 형성된 호(弧)형의 스톱퍼에 의해 제 1절곡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육각볼트와 나비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각도조절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에 따라, 낚싯대 받침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낚싯터 조건에 따라 낚싯대가 수면과 거의 수평상태가 되도록 소망하는 높이로 조절가능하여 최상의 낚시환경을 제공하므로서, 사용자들에게 신뢰를 얻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받침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 "B"-"B"선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받침의 작용효과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받침의 사용상태를 보인 참고사시도이다. (이하,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명칭을 붙여 설명하되, 부호만 달리 붙여 설명한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10)(이하, "낚싯대 받침"이라 칭한다.)은 안테나식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몸체(12)와, 몸체(12)의 상단에 배치된 낚싯대 지지부재(11)(이하, "지지부재"라 칭한다.)와 몸체(12)의 하단에 배치되어 고정대(13a)에 고정, 장착하도록 하는 클램프(13)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2)와 지지부재(11), 클램프(13) 사이에 용이하게 각도조절되며 높낮이 조절되도록 배치되는 제 1, 2절곡장치(100)(20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받침(10) 상단에 배치된 지지부재(11)는 스프링(SP)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되며 편심회동하는 홀더(11a)가 양측으로 배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낚싯대 지지부재(1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편심회동하는 홀더(11a)를 구비한 형식 이외에 "Y"자 형상으로 되어 낚싯대(1)를 지지하는 홀더가 적용될 수도 있다.
낚싯대 지지부재(11)의 하측에는 몸체(12)가 배치되는데, 몸체(12)는 안테나 형식으로 길이가 가변되어 낚싯터 상황에 따라 길게 또는 짧게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몸체(12)의 상단과 하단에는 절곡되며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본 고안의 제 1, 2절곡장치(100)(200)가 설치되고, 이 제 1, 2절곡장치(100)(20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300)에 의해 각도조절이 완료된 제 1, 2절곡장치(100)(200)의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하, 설명 편의상 제 1, 2절곡장치(100)(200)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어느 하나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후술하는 클램프(13)와 장착되는 제 2절곡장치(200)는 클램프(130)와 장착하기 이해 달라지는 장착블럭(25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붙여 설명하되, 부호만 달리붙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절곡장치(100)는 양측에 원형의 제 1, 2회동편(112)(152)이 대칭형으로 면접하는 제 1절곡부재(110)와 제 2절곡부재(150)로 나누어진다.
제 1절곡부재(110)는 몸체(12)의 상단과 관형(管形)의 장착부시(111)가 결합되고, 장착부시(111)의 상단부 일측에 원형으로 제 1회동편(112)이 장착되어 있다.
제 1회동편(112)과 장착부시(111)의 사이에는 제 1회동편(112)의 내측방향으로 호(弧)형의 스톱퍼(110a)가 플랜지형상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제 2회동편(152)이 회동할 때, 상호 교차하며 걸리도록 하여 각 방향 90도 이상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였다.
제 1회동편(110)의 중심에는 제 1관통공(113)이 형성되고, 이 제 1관통공(113)의 내측면 중심선상에서 방사상으로 제 1기어(11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기어(114) 외주에는 소정깊이를 갖는 요홈으로 스프링 안착홈(115)이 형성되어 스프링(SP)의 일단이 지지된다.
한편, 상기한 제 1절곡부재(110)의 내측방향으로는 제 2절곡부재(150)가 대칭형으로 배치된다.(이하, 편의상 도면에 예시된 방향대로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절곡장치의 절곡에 따라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제 2절곡부재(150)는 지지부재(11)의 하단과 결합되는 장착부시(151)가 상향으로 배치되고, 장착부시(151)의 하단일측에 제 2회동편(152)이 형성된다.
제 1절곡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제 2절곡부재(150)에도 장착부시(151)와 제 2회동편(152) 사이에 호형(弧形) 플랜지형상의 스톱퍼(150a)가 형성되어 제 1절곡부재(110)에 형성된 스톱퍼(110a)와 대각방향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절곡을 위해 회동시 각 방향 90도 이상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제 1관통공(113)과 동심한 위치인 제 2회동편(150)의 중심에는 제 2관통공(153)이 형성되고, 제 2회동편(250)의 내측면에도 제 2관통공(153)의 중심선상에서 방사상으로 제 2기어(154)가 형성된다.
제 2기어(154)의 외주에 형성된 스프링안착홈(155)에 상기한 제 1회동편(110)의 스프링안착홈(115)에 일단이 지지된 스프링(SP)의 타단이 지지된다.
이와 같이, 대칭형으로 제 1, 2회동편(110)(150)이 결합되면 각 내측에 형성된 제 1, 2기어(114)(154)가 치합되고, 제 1, 2관통공(113)(153)을 관통한 체결부재(300)인 육각볼트(HB)와 이 육각볼트(HB)의 단부에서 체결되는 나비너트(BN)에 의해 임의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각 스프링 안착홈(115)(155)에 구비된 스프링(SP)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2기어(114)(154)가 면접하는 제 1, 2절곡부재(110)(150)는 외측으로 탄성이 생겨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나비너트(BN)를 풀면 상호 치합되었던 제 1, 2기어(114)(154)가 상호 분리되며 각도조절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호 치합된 제 1, 2기어(114)(154)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기어이빨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소망하는 각도가 되었을 때, 체결부재(300)를 조여주면 견실한 치합상태가 되므로서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치합된 제 1, 2기어(114)(154)는 삼각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나비너트(BN)를 느슨하게 하고 회동할 때, 다소의 간섭이 발생해도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하였다.
제 1, 2관통공(113)(153)을 관통하여 일단에서 체결되는 체결부재(300)는 예시된 바와 같이, 육각볼트(HB)와 나비너트(BN)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제 2관통공(153)의 외측에 형성된 육각홈(HH)에 육각볼트(HB)의 머리부분이 지지되면 별도의 체결공구가 필요없이 각도조절을 위해 타측에서 나비너트(BN)를 조이거나 풀어도 따라 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바에 의해, 육각홈(HH)이 제 2절곡부재(150)에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대칭측의 제 1절곡부재(110)에 형성할 수도 있고, 양측에 다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 2절곡장치(200)는 몸체(12) 하단과 클램프(13) 사이에 연결되며 몸체(12)를 회동하여 절곡하는 구성은 제 1절곡장치(100)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고, 클램프(13)와 장착되는 제 2절곡부재(250)의 장착블럭(251)과 클램프(13)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먼저, 장착블럭(251)과 결합되는 클램프(13)는 양측으로 배치된 제 1, 2고정편(14)(15)의 상단에서 힌지편(16)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구조이고, 제 1, 2고정편(14)(15) 사이에는 스프링(SP)이 구비되어 제 2고정편(15)을 외측으로 밀도록 탄성된다.
또한, 스프링(SP)의 내주에는 제 1고정편(14)에 조임볼트(RB)의 일단이 장착되고, 제 2고정편(252)을 관통하여 외부에 구비된 타단에는 나비너트(BN)가 체결되어 나비볼트(BN)를 조임방향으로 조이면 제 2고정편(15)이 회동하며 도시되지 않은 고정대에 견실하게 고정된다.
제 1고정편(14)의 상단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절곡장치(200)의 제 1절곡부재(210)와 이 제 2절곡부재(250)의 하측으로 형성된 장착블럭(251)의 외측이 면접하고, 제 1고정편(14)의 외측에서 육각볼트(HB)로 장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몸체(12)의 상, 하단에서 지지부재(11)와 클램프(13)와 연결된 제 1, 2절곡장치(100)(200)는 낚싯터 조건에 따라 절곡하여 용이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1, 2절곡장치(100)(200)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한 것으로, 회동할 때 상호 간섭이 발생해도 소음이 거의 없다.
계속해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받침(10)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저수지등의 낚싯터에 구비된 좌대(座臺)에 낚싯대 받침(10)의 상, 하단을 절곡하여 낚싯대의 높이를 낮게 구비시키고 낚시에 임하도록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 1, 2절곡장치(100)(200)를 통해 낚싯대 받침(10)을 절곡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낚싯대 받침(10)의 하단에 구비된 클램프(13)를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대(13a)에 견실하게 장착하고, 제 1절곡장치(100)의 일측에 구비된 나비너트(BN)를 풀어 제 1, 2절곡부재(110)(150)의 결합상태를 다소 느슨하게 하여 상호 치합되어 있는 제 1, 2기어(미도시)를 분리시킨다.
제 1, 2기어(미도시)를 분리시켜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지지부재(11)를 소망하는 각도로 회동하여 절곡시킨 후, 느슨하게 풀었던 나비너트(BN)를 견실하게 조여 제 1, 2기어(미도시)를 다시 치합된 상태로 유지시켜 각도조절된 상태로 고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몸체(12)와, 몸체(12) 하단의 클램프(13) 사이에 배치된 제 2절곡장치(200)도 원하는 각도로 조절이 완료되면 일측의 나비너트(BN)를 조여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단에 구비된 지지부재(11)에 낚싯대(1)를 삽입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 2절곡장치(100)(200)를 절곡하지 않고, 안테나식의 몸체(12)를 길게 연장하여 바닷가 또는 바위지역에서 낚싯대(1)를 높게 구비시켜 낚시하도록 설치된 낚싯대 받침(10)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받침(10)에 의해 거의 모든 낚싯터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용이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길이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최상의 조건에서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에 의하면, 낚시조건에 따라 받침대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낚싯대 선단이 물에 잠기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므로서, 낚싯대의 수명을 연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낚싯터 조건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설치된 낚싯대가 수면과 거의 수평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최상의 낚시조건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들로 부터 신뢰를 얻은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상단에 배치된 낚싯대 지지부재에 의해 낚싯대를 지지하며 안테나 형식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단에 배치되어 고정대에 장착, 고정하는 클램프로 이루어진 낚싯대 받침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 받침은 상기 몸체의 상단과 상기 낚싯대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낚싯대 지지부재를 전, 후로 회동하여 절곡하는 제 1절곡장치와;
    상기 몸체 하단과 상기 클램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를 전, 후로 회동하여 절곡하는 제 2절곡장치와;
    상기 제 1, 2절곡장치의 중심을 관통하여 각도조절이 완료되면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측에서 조여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시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절곡장치는 몸체의 상단과 결합되는 장착부시와, 상기 장착부시 단부 일측에 원형으로 형성된 제 1회동편과, 상기 제 1회동편의 중심에 형성된 제 1관통공과, 상기 제 1관통공의 내측면에 방사상으로 제 1기어가 형성된 제 1절곡부재와;
    상기 제 1절곡부재와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낚싯대 지지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는 장착부시와, 상기 장착부시 단부 타측에 원형으로 형성된 제 2회동편과,상기 제 2회동편의 중심에 상기 제 1관통공과 동심한 위치에 형성된 제 2관통공과, 상기 제 2관통공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기어와 치합되도록 제 2기어가 형성된 제 2절곡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절곡장치는 몸체의 하단과 결합하는 장착부시와, 상기 장착부시 단부 일측에 원형으로 형성된 제 1회동편과, 상기 제 1회동편의 중심에 형성된 제 1관통공과, 상기 제 1관통공의 내측면에 방사상으로 제 1기어가 형성된 제 1절곡부재와;
    상기 제 1절곡부재와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클램프의 상단 일측과 결합되는 장착블럭과, 상기 장착블럭 단부 타측에 원형으로 형성된 제 2회동편과, 상기 제 2회동편의 중심에 상기 제 1관통공과 동심한 위치에 형성된 제 2관통공과, 상기 제 2관통공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기어와 치합되도록 제 2기어가 형성된 제 2절곡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절곡부재는 상기 제 1, 2기어 외주에 소정깊이 요홈으로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과, 상기 스프링 안착홈에 양단이 지지되어 상기 제 1, 2절곡부재가 외측으로 탄성되도록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절곡부재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 외측으로 육각볼트의 머리부분이 지지되는 육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절곡장치는 각 대칭형으로 결합하는 원형의 회동편와 장착부시 사이에 형성된 호(弧)형의 스톱퍼에 의해 각 방향 90도 이상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육각볼트와 나비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
KR2020020016694U 2002-05-31 2002-05-31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 KR200292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694U KR200292145Y1 (ko) 2002-05-31 2002-05-31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694U KR200292145Y1 (ko) 2002-05-31 2002-05-31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145Y1 true KR200292145Y1 (ko) 2002-10-14

Family

ID=7307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694U KR200292145Y1 (ko) 2002-05-31 2002-05-31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14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050B1 (ko) 2007-02-09 2008-03-10 김경호 솔라셀 및 레이저를 장착한 충전식 낚시용 뒷받침대
KR20220041423A (ko) * 2020-09-25 2022-04-01 김현진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KR200496149Y1 (ko) 2020-06-23 2022-11-16 주식회사 바낙스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KR20230031099A (ko) * 2021-08-26 2023-03-07 임선영 낚싯대 홀더가 거치되는 낚싯대 받침틀 지지구조
KR102670584B1 (ko) 2021-08-26 2024-05-30 임선영 낚싯대 홀더가 거치되는 낚싯대 받침틀 지지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050B1 (ko) 2007-02-09 2008-03-10 김경호 솔라셀 및 레이저를 장착한 충전식 낚시용 뒷받침대
KR200496149Y1 (ko) 2020-06-23 2022-11-16 주식회사 바낙스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KR20220041423A (ko) * 2020-09-25 2022-04-01 김현진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KR102554365B1 (ko) 2020-09-25 2023-07-11 김현진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KR20230031099A (ko) * 2021-08-26 2023-03-07 임선영 낚싯대 홀더가 거치되는 낚싯대 받침틀 지지구조
KR102670584B1 (ko) 2021-08-26 2024-05-30 임선영 낚싯대 홀더가 거치되는 낚싯대 받침틀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755B1 (en) Watercraft accessory tower mount
US8443819B2 (en) Umbrella support assembly
US7560633B1 (en) Adjustable stand for percussion instrument
KR200292145Y1 (ko) 각도조절용 절곡장치를 갖춘 낚싯대 받침
KR20100000337U (ko) 낚시받침대
KR200428736Y1 (ko) 낚싯대 받침구
KR20090004006U (ko) 낚시 받침대 고정장치
KR102453407B1 (ko)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CN213369035U (zh) 一种辅助猕猴桃种植用调节支架
KR20220041423A (ko)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CN214382105U (zh) 一种用于园林设计的辅助架
JP4901824B2 (ja) 魚釣り用体安定装置およびその取付具
CN107047229A (zh) 一种园林绿化用的树木限位支架
KR20110010830U (ko) 수목지지대
KR200361593Y1 (ko) 낚시 받침대
KR200235557Y1 (ko) 낚시받침대
KR200188470Y1 (ko) 낚시대 받침장치
KR200321983Y1 (ko) 낚시받침틀
CN208982419U (zh) 一种底座固定件
KR200300725Y1 (ko) 낚싯대 받침구
KR200176877Y1 (ko) 낚시 받침대
KR20090021788A (ko) 낚싯대 받침틀
CN212438190U (zh) 搁板托
CN215815136U (zh) 一种钢琴脚垫
KR200310803Y1 (ko) 낚시 받침대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