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067Y1 -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 Google Patents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067Y1
KR200222067Y1 KR2020000033049U KR20000033049U KR200222067Y1 KR 200222067 Y1 KR200222067 Y1 KR 200222067Y1 KR 2020000033049 U KR2020000033049 U KR 2020000033049U KR 20000033049 U KR20000033049 U KR 20000033049U KR 200222067 Y1 KR200222067 Y1 KR 200222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bobbin
fishing line
clamp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석
최백균
Original Assignee
양홍석
최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홍석, 최백균 filed Critical 양홍석
Priority to KR2020000033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0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06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릴낚시용 스풀에 낚시줄을 자동으로 권취하는 릴낚시줄 자동권취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내에 스풀을 장착시키기만 하면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스풀상에 일정한 장력으로 낚시줄을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체(1)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스풀(2)이 안착되는 안착블럭(3)과, 상기 안착블럭의 상측에 설치되어 안착블럭에 얹혀진 스풀을 지지하는 스풀 클램퍼(4)와, 상기 스풀 클램퍼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낚시줄(12)이 감겨진 보빈(13)을 지지함과 동시에 낚시줄의 권취시 보빈과 함께 회전하는 보빈 클램퍼(14)와, 상기 보빈 클램퍼의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에 설치되어 보빈 클램퍼에 지지된 보빈으로부터 풀려 스풀에 감겨지는 낚시줄이 좌우로 유동되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가이드봉(15)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스풀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6)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릴낚시줄 자동권취기{Automatic fishing line winding device for fishing reel}
본 고안은 릴낚시용 스풀에 낚시줄을 자동으로 권취하는 릴낚시줄 자동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릴낚시용 스풀(Spool)은 소정의 길이(약 200m정도)의 낚시줄을 드럼에 권취하여 보관하였다가 낚시를 할 때에는 스풀을 릴낚시대에 지지한 상태에서 낚시줄을 원하는 길이만큼 풀어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스풀은 낚시꾼이 낚시점에서 초기에 구입한 상태에서는 보빈에 감겨진 별도의 낚시줄을 구입하여 수작업으로 구입한 낚시줄을 스풀에 권취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스풀에 권취된 낚시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어 사용시 낚시줄이 꼬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음은 물론 권취상태가 수평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스풀에 감겨진 낚시줄을 장기간 보관시 낚시줄의 탄력성 및 강도가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해 낚시줄의 권취가 이루어져 신속한 권취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스풀에 낚시줄을 연속적으로 권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내에 스풀을 장착시키기만 하면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스풀상에 일정한 장력으로 낚시줄을 권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스풀이 안착되는 안착블럭과, 상기 안착블럭의 상측에 설치되어 안착블럭에 얹혀진 스풀을 지지하는 스풀 클램퍼와, 상기 스풀 클램퍼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낚시줄이 감겨진 보빈을 지지함과 동시에 낚시줄의 권취시 보빈과 함께 회전하는 보빈 클램퍼와, 상기 보빈 클램퍼의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에 설치되어 보빈 클램퍼에 지지된 보빈으로부터 풀려 스풀에 감겨지는 낚시줄이 좌우로 유동되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스풀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낚시줄 자동권취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스풀 클램퍼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축 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보빈 클램퍼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안착블럭
4 : 스풀 클램퍼 6 : 수직부재
7 : 손잡이 9 : 누름부재
14 : 보빈 클램퍼 15 : 가이드봉
16 : 구동수단 17 : 축
17a : 경사면 20 : 브레이크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스풀 클램퍼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로서, 본 고안은 본체(1)의 일측에 스풀(2)이 안착되는 'V'형상의 안착블럭(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착블럭의 상측에는 안착블럭(3)에 얹혀진 스풀(2)을 지지하는 스풀 클램퍼(4)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안착블럭에는 스풀(2)을 보호하기 위한 패드(5)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풀 클램퍼(4)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부재(6)와,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어 손잡이(7)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8)과,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9a)이 구비되어 수직부재(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부재(9)와, 상기 누름부재에 끼워진 스프링(10)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본체(1)에 설치되는 수직부재(6)의 위치를 스풀(2)의 규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수직부재(6)에 장공(6a)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에는 장공(6a)을 통해 나사 결합되는 레버(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스풀 클램퍼(4)의 반대편에는 낚시줄(12)이 감겨진 보빈(13)을 지지함과 동시에 낚시줄의 권취시 보빈과 함께 회전하는 보빈 클램퍼(1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 클램퍼의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1)에는 상기 보빈 클램퍼에 지지된 보빈(13)으로부터 풀려 스풀(2)에 감겨지는 낚시줄(12)이 좌우로 유동되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가이드봉(1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스풀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빈 클램퍼(14)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17)과, 상기 축을 본체로부터 착탈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축 홀더(18)와, 상기 축에 고정되어 보빈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블럭(19)과, 상기 축의 다른 일단에 설치되어 축의 과잉 회전으로 인해 낚시줄이 엉키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브레이크(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축(17)에 보빈(13)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블럭(19)을 원터치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축(17)의 외주면에는 양측으로 상호 반대가 되게 형성되며 양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17a)이 구비되어 있고 지지블럭(19)의 보스(19a)에는 손잡이(21)가 보스(19a)의 외부로 노출된 볼(22)이 승강 가능하게 스프링(23)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17)의 일단을 지지하는 축 홀더(18)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용공간(24a)이 형성된 지지편(24)과, 상기 지지편에 결합되며 손잡이(25)가 고정된 연결봉(26)과, 상기 연결봉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축의 일단을 지지하는 콜렛(27)과, 상기 수용공간내에 설치되어 손잡이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콜렛(27)을 축(17)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28)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봉(26)의 외주면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이상의 베어링(29)이 설치되어 콜렛(27)이 상기 베어링(29)에 압입 고정되는데, 이는 축(17)의 회전시 축의 일단을 지지하는 콜렛(27)이 축과 함께 보다 원활히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풀(2)의 손잡이(2a)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6)은 전원의 인가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30)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감속기(31)와, 상기 감속기 축에 고정되어 스풀(2)의 손잡이(2a)을 회전시키는 아암(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착블럭(3)에 안착되는 스풀(2)의 규격에 따라 스풀 클램퍼(4)를 구성하고 있는 수직부재(6)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여야 된다.
이를 위해, 본체(1)상에 수직부재(6)를 고정시키는 레버(1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직부재(6)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므로 장공(6a)을 이용하여 수직부재(6)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한 다음 풀어 놓았던 레버(1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직부재(6)를 록킹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7)를 잡아 당기면 랙(9a)과 맞물려 있던 피니언(8)이 회전하게 되므로 누름부재(9)가 스프링(10)을 압축시키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안착블럭(3)의 상면에 스풀(2)을 얹어 놓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착블럭(3)의 상면에 스풀(2)을 얹어 놓고 잡아 당기고 있던 손잡이(7)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누름부재(9)는 압축되었던 스프링(10)의 복원력에 의해 도 3의 일점쇄선과 같이 하강하여 스풀을 눌러주게 되므로 스풀(2)의 장착작업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스풀 클램퍼(4)에 스풀(2)을 클램핑시키고 나면 반대편에 위치된 보빈 클램퍼(14)에는 보빈(13)을 클램핑시켜야 된다.
이를 위해서는 본체(1)로부터 축(17)을 분리시켜야 되는데, 이하에서는 보빈 클램퍼(14)에 보빈(13)을 클램핑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25)를 일점쇄선과 같은 상태로 잡아 당기면 탄성부재(28)의 탄성력에 의해 축(17)측으로 전진하여 축을 지지하고 있던 콜렛(27)이 빠져 나오게 되므로 본체(1)로부터 축(17)의 분리가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축(17)을 분리시키고 나면 축(17)으로부터 일측의 지지블럭(19)을 분리시켜야 한 쌍의 지지블럭(19)사이에 보빈(13)을 끼울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지지블럭(19)을 파지한 상태에서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 된다.
즉, 지지블럭(19)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프링(23)으로 탄력 설치된 볼(22)이 축(17)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면(17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지지블럭(19)의 분리가 가능해지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볼(22)과 고정된 손잡이(21)가 보스(19a)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손잡이(21)를 상측으로 잡아 당겨 볼(22)이 경사면(17a)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면 지지블럭(19)의 분리가 보다 용이해지게 된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축(17)으로부터 1개의 지지블럭(19)을 분리하고 나면 낚시줄(12)이 감겨진 보빈(13)을 축(17)에 끼운 다음 전술한 바와는 반대의 동작으로 손잡이(21)를 잡아 당겨 볼(22)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지지블럭(19)을 축(17)에 끼워주기만 하면 한 쌍의 지지블럭(19)이 보빈(13)을 지지하게 되고, 지지블럭(19)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난 상태에서는 볼(22)이 경사면(17a)상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지지블럭(19) 및 보빈(13)이 축(17)으로부터 공회전하지 않고 함께 회전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풀 클램퍼(4)에 스풀(2)을 클램핑시킨 다음 보빈 클램퍼(14)에 보빈(13)을 클램핑시키는 순서로 설명하였으나, 그 순서는 반대가 되게 실시하여도 무관하다.
이와 같이 보빈 클램퍼(14)에 낚시줄(12)이 감겨진 보빈(13)을 장착하고 나면 보빈(13)으로부터 낚시줄(12)을 풀어 가이드봉(15)에 낚시줄(12)이 얹혀지도록 통과시킨 다음 끝단을 수작업에 의해 스풀(2)에 몇 바퀴 감아 준 후 낚시줄(12)이 팽팽해지도록 유지시킨 상태에서 구동수단(16)인 모터(30)에 전원을 인가하면 감속기(31)에 의해 회전수가 감속되어 아암(32)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스풀(2)에 낚시줄(12)이 감겨지기 시작하는데, 상기 스풀(2)에 감져지는 낚시줄(12)은 감김위치에 따라 가이드봉(15)을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므로 스풀(2)상에 낚시줄이 균일하게 권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권취작업시 축(17)의 일단에 브레이크(20)가 설치되어 있어 낚시줄(12)이 느슨하게 늘어지지 않고 항상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 축(17)의 일단을 지지하는 콜렛(27)이 축(17)과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마찰저항의 발생을 최소화하게 된다.
계속되는 구동수단(16)의 구동으로 스풀(2)상에 원하는 양의 낚시줄(12)이 권취되고 나면 구동수단에 인가되던 전원의 공급을 중단시킴과 동시에 낚시줄을 절단하고, 스풀 클램퍼(4)의 손잡이(7)를 당김으로써, 낚시줄(12)이 감겨진 스풀(2)의 분리가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풀에 권취된 낚시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시 낚시줄이 꼬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권취상태가 수평으로 이루어져 스풀에 감겨진 낚시줄을 장기간 보관시 낚시줄의 탄력성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낚시줄을 신속하게 권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풀에 낚시줄을 연속적으로 권취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스풀이 안착되는 안착블럭과, 상기 안착블럭의 상측에 설치되어 안착블럭에 얹혀진 스풀을 지지하는 스풀 클램퍼와, 상기 스풀 클램퍼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낚시줄이 감겨진 보빈을 지지함과 동시에 낚시줄의 권취시 보빈과 함께 회전하는 보빈 클램퍼와, 상기 보빈 클램퍼의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에 설치되어 보빈 클램퍼에 지지된 보빈으로부터 풀려 스풀에 감겨지는 낚시줄이 좌우로 유동되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스풀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클램퍼는 본체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어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이 구비되어 수직부재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에 끼워진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에 장공을 형성하고 본체에는 장공을 통해 나사 결합되는 레버를 설치하여 스풀의 규격에 따라 수직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클램퍼는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축과, 상기 축을 본체로부터 착탈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축 홀더와, 상기 축에 고정되어 보빈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블럭과, 상기 축의 다른 일단에 설치되어 축의 과잉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이 위치하는 축의 외주면에 양측으로 상호 반대되게 형성되며 양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되고 지지블럭의 보스에는 손잡이가 보빈의 외부로 노출된 볼이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 홀더는 본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결합되며 손잡이가 고정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축의 일단을 지지하는 콜렛과, 상기 수용공간내에 설치되어 손잡이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콜렛을 축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베어링이 설치되어 콜렛이 상기 베어링에 압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KR2020000033049U 2000-11-25 2000-11-25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KR200222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049U KR200222067Y1 (ko) 2000-11-25 2000-11-25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049U KR200222067Y1 (ko) 2000-11-25 2000-11-25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653A Division KR20020040952A (ko) 2000-11-25 2000-11-25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067Y1 true KR200222067Y1 (ko) 2001-05-02

Family

ID=7309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049U KR200222067Y1 (ko) 2000-11-25 2000-11-25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0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47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вырезания стекл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728534A (en) Spinning reel attachment
KR200222067Y1 (ko)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KR20020040952A (ko) 릴낚시줄 자동권취기
CA2028591C (en) Filament gripper
CA1052351A (en) Strand carrier for a strand fabricating machine
JP4345939B2 (ja) トロイダルコアの自動巻線装置
CN217609072U (zh) 一种自动上线器
US5911377A (en) Device for preventing thread-entanglement on a fishing reel
CN112607529A (zh) 一种便于操控的电缆收放线设备
KR100325765B1 (ko) 낚시줄 권취기
US4762285A (en) Bobbin winder for a spinning wheel
US6149088A (en) Fishing reel with tangle free system
JP3422425B2 (ja) コイル巻線装置
US2998668A (en) Evergreen roping and wreath-making machine
US4354642A (en) Package support apparatus for forming a creeling tail
JPS6333890Y2 (ko)
CN115039740A (zh) 一种自动上线器
KR100575395B1 (ko) 방제기의 호스이송장치
JPS6410431B2 (ko)
JP2738476B2 (ja) 紐繰り出し機構
JP2006027874A (ja) 電線供給装置
JP3108383B2 (ja) 巻線装置
KR100432503B1 (ko) 낚시용 릴의 줄 권취장치
JP2650393B2 (ja) ワイヤ式切断機の溝ローラ群へのワイヤ巻付回数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