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735B1 -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 Google Patents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735B1
KR101291735B1 KR1020110085954A KR20110085954A KR101291735B1 KR 101291735 B1 KR101291735 B1 KR 101291735B1 KR 1020110085954 A KR1020110085954 A KR 1020110085954A KR 20110085954 A KR20110085954 A KR 20110085954A KR 101291735 B1 KR101291735 B1 KR 101291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body member
fly
product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2915A (ko
Inventor
심창업
신철수
구효선
Original Assignee
(주)에나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나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에나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1008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7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8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mounted to facilitate unwinding of material from packages
    • B65H57/20Fl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2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 B65H2404/1521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 B65H2404/15212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roller axis

Landscapes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 본체부재의 회전으로 회전되며, 제품에 권선이 감기도록 안내하는 롤러부재가 연결된 플라이 몸체부재의 토크를 토크 조절 기기로 조절하여 제품에 권선을 감을 경우 권선이 촘촘하거나 느슨하게 감기는 정도를 조절하고, 제품에 권선이 균일하게 감길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Fly Apparatus for Windng machine}
본 발명은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대상 제품에 권선을 감을 경우 회전 토크를 조절하여 감기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에 관한 발명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는 회전하면서 대상 제품에 권선을 감게 하는 장치이다.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는 회전 기기에 장착되어 회전 기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며 대상 제품에 권선을 감기게 안내하는 롤러가 연결되는 플라이를 포함한다.
상기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는 권선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플라이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가 없으므로 대상 물체에 균일하게 권선을 감는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즉, 상기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가 회전하면서 권선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플라이가 회전을 하게 되는데 점점 가속도가 붙어 회전 속도를 조절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권선의 감기는 정도 즉, 권선이 촘촘하거나 느슨하게 감기는 정도를 조절 할 수가 없다.
따라서 권선의 감는 정도 조절의 방법으로 무게가 다른 플라이를 이용할 수가 있는데, 이 또한 완벽한 회전 속도의 조절은 어렵기 때문에 권선이 균일하게 감길 수가 없게 된다.
상기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는 대상 제품에 감기는 권선이 과다한 텐션에 의한 끊어지는 사고와, 좁은 간격 내에서 플라이가 고속 회전하면서 권선이 감겨짐으로써 대상 제품에 권선이 겹쳐져 감기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권선 작업을 하는 도중 롤러가 연결된 플라이가 가속도가 붙게 되면서 균일한 텐션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어 권선이 균일하게 감기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권선의 감기는 정도는 플라이의 교체로 조절할 수 있는데 권선 작업 도중 플라이를 교체하기 어렵고, 교체 작업으로 권선 작업이 중단되어 권선 작업 시간이 늘어나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 단가가 증가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관련 선행 기술로는 국내 특허공개 제2003-0092839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이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대상 제품에 권선의 감기는 정도를 조절하고, 대상 제품에 권선이 균일하게 감기도록 하는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권선이 감기는 제품이 관통되는 제품 이동로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회전 기기에 연결되어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본체부재;
상기 회전 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라이 몸체부재;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제품에 권선이 감기도록 안내하는 롤러부재; 및
상기 회전 본체부재에 구비되며 플라이 몸체부재의 토크를 조절하는 토크 조절 기기를 포함한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토크 조절 기기는, 상기 회전 본체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프링 지지부재;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를 상기 회전 본체부재에 고정하고,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부재; 및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 본체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제품 이동로가 관통된 막대 형상의 회전 장착대; 상기 회전 장착대의 일 단부 측에 구비되며 회전 기기에 장착되는 장착구; 및 상기 회전 장착대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후술될 플라이 몸체부재를 지지하는 몸체 지지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토크 조절 기기는, 상기 회전 장착대의 타 단부 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프링 지지부재;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를 상기 회전 장착대에 고정하고,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부재; 및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 본체부재는, 상기 몸체 지지구의 일측에 상기 회전 장착대와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회전 본체부재의 제품 이동로를 통과하여 제품이 배출되는 상기 회전 본체부재의 단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가이드 롤러부; 상기 제 1 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에 고정되는 제 1 롤러 연결대;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부와 반대 측에 배치되며 권선을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부로 안내하는 제 2 가이드 롤러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라이 몸체에 고정되는 제 2 롤러 연결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토크 조절 기기는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부재를 지지하는 완충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압 고정 볼트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는 회전속도의 감속없이 제품에 권선이 감기는 힘을 조절할 수 있어 권선이 제품에 과도한 힘으로 감기면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품의 생산성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품에 권선을 감을 경우 권선이 촘촘하거나 느슨하게 감기는 정도를 조절하고, 제품에 권선이 균일하게 감길 수 있게 함으로써, 권선 작업의 불량율을 크게 저하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권선 작업 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의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와 비교되는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는 회전 기기(100)에 연결되어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본체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본체부재(10)는 권선(3)이 감기는 제품(1)이 관통되는 제품 이동로(10a)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 본체부재(10)는 길이 방향으로 제품 이동로(10a)가 관통된 막대 형상의 회전 장착대(11)를 포함한다.
상기 제품(1)은 권선(3)이 감기는 케이블(1a)을 일 예로 하며, 상기 제품(1) 즉, 케이블(1a)은 케이블 이동 기기(200)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일 단부에서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다른 단부로 배출된다.
또, 상기 회전 본체부재(10)는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일 단부 측에 구비되며 회전 기기(100)에 장착되는 장착구(12); 및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후술될 플라이 몸체부재(20)를 지지하는 몸체 지지구(13)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일측은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장착구(12)가 구비되고, 상기 제품 이동로(10a)에서 제품(1)이 유입되는 입구 측이며, 타측은 상기 제품 이동로(10a)에서 제품(1)이 유입되는 출구 측이다.
상기 회전 장착대(11)는 막대 형상으로 권선(3)이 감긴 보빈(2)을 관통하여 회전 기기(100)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구(12)는 회전 기기(100)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되는 나사 결합부(12a)로 형성되어 회전 기기(100)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 지지구(13)를 중심으로 일 단부 측에 회전 기기(100)에 장착되는 장착구(12)가 구비되며, 타 단부 측으로 플라이 몸체부재(20)가 관통되어 결합된다.
상기 회전 장착대(11)는 막대 형상을 가져 권선(3)이 감긴 보빈(2)을 관통하여 회전 기기(100)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구(12)는 회전 기기(100)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되는 나사 결합부(12a)로 형성되어 회전 기기(100)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몸체 지지구(13)는 다각 형상을 가지고, 상기 회전 장착대(11)에 일체로 구비되어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 장착대(11)를 회전시키기 용이하게 한다.
작업자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상기 몸체 지지구(13)를 잡아 돌림으로써 상기 회전 장착대(11)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상기 나사 결합부(12a)를 회전 기기(100)에 간단하게 체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장착대(11)는 일측으로 보빈(2)을 관통하여 회전 기기(100)에 장착되고, 상기 몸체 지지구(13)는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회전 장착대(11)가 통과할 수 있는 거리를 두고 구비되며, 상기 나사 결합부(12a)가 회전 기기(100)에 체결될 때 상기 보빈(2)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보빈(2)에 상기 회전 장착대(11)를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또한, 상기 회전 본체부재(10)는 상기 몸체 지지구(13)의 일측에 상기 회전 장착대(11)와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구(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14)는 상기 몸체 지지구(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금속 재질로 일정 기준 이상의 무게를 가지는 중량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장착대(11)가 회전할 경우 무게 중심을 유지하고, 회전 시 유동 및 진동을 최소화하고 상기 회전 장착대(11)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14)는 상기 보빈(2)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보빈(2)에 상기 회전 장착대(11)를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회전 본체부재(10)에는 플라이 몸체부재(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는 상기 회전 장착대(11)가 관통되는 관통 구멍(20a)이 형성된다.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는 상기 관통 구멍(20a)을 통해 상기 회전 장착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몸체 지지구(13)에 지지된다.
즉,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의 관통 구멍(20a)에는 상기 회전 본체부재(10)의 타측 단부가 관통되어 결합하고,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의 일측면은 상기 몸체 지지구(13)에 안착된다.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는 금속 재질로 일정 기준 이상의 무게를 가지는 중량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 지지구(13)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회전 시 상기 회전 장착대(11)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와 상기 회전 본체부재(10) 중 한 측에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가 원활하게 회전된다. 상기 베어링은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의 관통 구멍(20a) 내에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에는 상기 회전 본체부재(10)를 관통하여 이동하고 있는 제품(1)에 권선(3)이 감기도록 안내하는 롤러부재(30)가 장착된다.
상기 롤러부재(30)는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의 회전 시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러부재(30)는 상기 회전 본체부재(10)의 제품 이동로(10a)를 통과하여 제품(1)이 배출되는 상기 회전 본체부재(10)의 단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가이드 롤러부(31);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부(3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에 고정되는 제 1 롤러 연결대(32);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부(31)와 반대 측에 배치되며 권선(3)을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부(31)로 안내하는 제 2 가이드 롤러부(33);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부(3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에 고정되는 제 2 롤러 연결대(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부(31) 및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부(33)의 외주면에는 권선(3)이 삽입되는 권선 삽입 홈(30a)이 형성되어 권선 작업 중 권선(3)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권선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롤러 연결대(34)는 일 단이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에서 상기 몸체 지지구(13)에 안착되는 안착면에 연결되고, 타 단에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부(3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2 롤러 연결대(34)는 상기 회전 장착대(11)가 관통되는 보빈(2)의 외주면 외측으로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부(33)를 배치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부(33)는 상기 보빈(2)에서 풀리(122)는 권선(3)을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부(31)로 안내한다.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부(31)는 상기 회전 본체부재(10)의 제품 이동로(10a)를 통과하여 제품(1)이 배출되는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단부 일측에 배치되어 권선(3)을 상기 제품(1)에 감기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부(31)는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의 타측 면에 고정되는 상기 제 1 롤러 연결대(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다. 또,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부(33)는 상기 플라이 몸체부의 일측 면에 고정되는 상기 제 2 롤러 연결대(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일 측에서 상기 보빈(2)의 외주면 외측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는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의 토크를 조절하는 토크 조절 기기(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토크 조절 기기(40)는 상기 회전 본체부재(10)에서 상기 제품 이동로(10a)의 출구 측 즉, 상기 회전 본체부재(10)의 타측에 구비된다.
상기 토크 조절 기기(40)는 상기 회전 본체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프링 지지부재(41);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41)를 상기 회전 본체부재(10)에 고정하고,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부재(42);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41)에 지지되어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43)를 포함한다.
상기 토크 조절 기기(40)는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부재(43)를 지지하는 완충 지지부재(44)를 더 포함하여, 권선 작업 중 상기 스프링부재(43)가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를 지지하면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부재(42)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41)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회전 본체부재(10)를 가압하는 가압 고정 볼트부(42a)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가압 고정 볼트부(42a)는 타단부에 다각형의 공구 삽입홈(42b)이 형성되어 다각 렌치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회전된다. 상기 가압 고정 볼트부(42a)는 상기 공구 삽입홈(42b)에 해당 다각 렌치를 삽입하여 회전되고,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 본체부재(10)를 가압하고, 가압 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41)는 상기 가압 고정 볼트부(42a)가 상기 회전 본체부재(10)를 가압하여 고정되고, 상기 가압 고정 볼트부(42a)를 풀어 상기 회전 본체부재(1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이동되어 위치 조정이 가능해진다.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41)는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부재(43)는 한 단부가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41)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한 단부가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에 지지되어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를 상기 몸체 지지구(13) 사이에서 탄성 지지한다.
상기 토크 조절 기기(40)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41)를 이동시켜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41)와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의 토크를 조절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토크 조절 기기(40)는 상기 스프링부재(43)와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41)가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를 상기 몸체 지지구(13)에 더 밀착시키게 되어 상기 회전 장착대(11)와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가 일체로 돌아가는 힘 즉,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의 토크가 커져서 권선 작업 시 권선(3)이 제품(1)에 더 촘촘하게 감기게 한다.
또한, 상기 토크 조절 기기(40)는 상기 스프링부재(43)와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의 간격을 넓히면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41)가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를 상기 몸체 지지구(13)에 밀착시키는 힘이 약해져 상기 회전 장착대(11)와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가 일체로 돌아가는 힘 즉,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의 토크가 작아져서 권선 작업 시 권선(3)이 제품(1)에 비교적 느슨하게 감기게 한다.
즉, 상기 토크 조절 기기(40)는 텐션 조절에 의해 권선(3)이 제품(1)에 감기는 힘을 조절한다.
도 2를 다시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를 사용하여 권선 작업하는 예는 하기와 같다.
상기 회전 장착대(11)는 회전 기기(100)에 장착되어 회전되며, 권선 작업의 대상 제품(1)은 케이블(1a)을 일 예로 하고, 상기 케이블(1a)은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제품 이동로(10a)를 관통하여 케이블 이동 기기(200)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케이블 이동 기기(20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권선 작업된 케이블(1a)을 감는 릴(미도시)과, 상기 회전 기기(100)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권선 작업된 케이블(1a)을 상기 릴로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 롤(21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기기(100)는 권선(3)이 감긴 보빈(2)이 안착되며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기 보빈(2)을 관통한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일측에 구비된 장착구(12) 즉, 나사 결합부(12a)가 나사 결합되어 장착되는 회전 통체(110)와; 상기 회전 통체(11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120)는 회전 모터(121) 및 상기 회전 모터(121)의 회전 축에 구비된 풀리(122), 상기 풀리(122)와 상기 회전 통체(110)에 양 단부가 각각 감겨져 상기 회전 모터(121)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통체(110)로 전달하는 벨트(1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에서 상기 회전 장착대(11)는 상기 회전 통체(110)의 상부면에 안착된 보빈(2)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구(12) 즉, 나사 결합부(12a)가 상기 회전 통체(11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회전 통체(110)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보빈(2)은 상기 고정구(14)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회전 통체(110)에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보빈(2)의 권선(3)은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부(33)를 통해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부(31)로 걸쳐지고 단부가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상부로 배출되어 이동되는 케이블(1a)에 교차되게 배치된다.
권선 작업은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이동 기기(200) 및 상기 회전 기기(100)를 작동시켜 상기 케이블(1a)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보빈(2) 및 상기 회전 장착대(11)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는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회전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 장착대(11)의 제품 이동로(10a)를 통해 배출되고, 이동되는 케이블(1a)에 권선(3)을 감는다. 그리고, 권선(3)이 감겨진 상기 케이블(1a)은 상기 케이블 이동 기기(200)의 릴에 감기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의 권선(3)을 감는 권선 작업 시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는 상기 토크 조절 기기(40)를 이용하여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의 토크를 조절할 수 있어 권선(3)이 촘촘하거나 느슨하게 감기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는 상기 토크 조절 기기(40)로 권선(3)의 텐션을 조절하여 제품(1)에 권선(3)이 감기는 속도 즉, 상기 보빈(2)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권선(3)이 제품(1)에 감기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는 회전속도의 감속없이 제품(1)에 권선이 감기는 힘을 조절할 수 있어 권선(3)이 제품(1)에 과도한 힘으로 감기면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품(1)의 생산성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는 제품(1)에 권선(3)이 균일하게 감길 수 있게 함으로써, 권선 작업의 불량율을 크게 저하시키고 제품(1)의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권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킨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와 비교 예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는 상기 회전 장착대(11),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20) 및 상기 롤러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교 예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는 토크 조절 기기(40)가 없어 상기와 같은 권선 작업 중 플라이 몸체부재(20)의 토크를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비교 예인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는 권선(3)이 과다한 텐션에 의한 끊어지는 사고와, 좁은 간격 내에서 플라이가 고속 회전하면서 권선(3)이 감겨짐으로써 대상 제품(1)에 권선(3)이 겹쳐져 감기는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회전 본체부재 11 : 회전 장착대
12 : 장착구 13 : 몸체 지지구
14 : 고정구 20 : 플라이 몸체부재
30 : 롤러부재 40 : 토크 조절 기기
41 : 스프링 지지부재 42 : 잠금부재
43 : 스프링부재 44 : 완충 지지부재

Claims (8)

  1. 권선이 감기는 제품이 관통되는 제품 이동로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회전 기기에 연결되어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본체부재;
    상기 회전 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라이 몸체부재;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제품에 권선이 감기도록 안내하는 롤러부재; 및
    상기 회전 본체부재에 구비되며 플라이 몸체부재의 토크를 조절하는 토크 조절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본체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제품 이동로가 관통된 막대 형상의 회전 장착대;
    상기 회전 장착대의 일 단부 측에 구비되며 회전 기기에 장착되는 장착구; 및
    상기 회전 장착대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를 지지하는 몸체 지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토크 조절 기기는,
    상기 회전 장착대의 타 단부 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프링 지지부재;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를 상기 회전 장착대에 고정하고,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부재; 및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본체부재는,
    상기 몸체 지지구의 일측에 상기 회전 장착대와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회전 본체부재의 제품 이동로를 통과하여 제품이 배출되는 상기 회전 본체부재의 단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가이드 롤러부;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에 고정되는 제 1 롤러 연결대;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부와 반대 측에 배치되며 권선을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부로 안내하는 제 2 가이드 롤러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라이 몸체에 고정되는 제 2 롤러 연결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크 조절 기기는,
    상기 플라이 몸체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부재를 지지하는 완충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압 고정 볼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KR1020110085954A 2011-08-26 2011-08-26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KR101291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954A KR101291735B1 (ko) 2011-08-26 2011-08-26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954A KR101291735B1 (ko) 2011-08-26 2011-08-26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915A KR20130022915A (ko) 2013-03-07
KR101291735B1 true KR101291735B1 (ko) 2013-07-31

Family

ID=4817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954A KR101291735B1 (ko) 2011-08-26 2011-08-26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2332B (zh) * 2022-02-28 2023-01-17 安徽九天变压器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油浸式变压器线圈约束装置
CN114406038A (zh) * 2022-03-07 2022-04-29 青岛雷霆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立式高速旋转冷轧盘卷上料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922A (ja) * 1990-03-29 1994-02-01 Palitex Project Co Gmbh 糸製造用スピンドル
KR20000007762U (ko) * 1998-10-02 2000-05-06 이명원 연사기용 텐서
JP2003096626A (ja) * 2001-09-26 2003-04-03 Toshibumi Morihashi フライヤ駆動方法及びフライヤ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922A (ja) * 1990-03-29 1994-02-01 Palitex Project Co Gmbh 糸製造用スピンドル
KR20000007762U (ko) * 1998-10-02 2000-05-06 이명원 연사기용 텐서
JP2003096626A (ja) * 2001-09-26 2003-04-03 Toshibumi Morihashi フライヤ駆動方法及びフライ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915A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0250B2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JP3638858B2 (ja) 線材の巻線方法及び装置
KR101433706B1 (ko) 텐션장치 및 텐션부여방법
US9033271B2 (en) Wire winding apparatus and wire winding method
EP2392532B1 (en) Winder
JP2010203032A (ja) 二重ワイヤ撚糸機において精密捲線を備えるクロス巻きにより巻取る方法
RU2587697C2 (ru) Конструкц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одачи проволоки в сварочной машине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движения сварочной проволоки
JP2014534140A (ja) 金属ワイヤを一定の張力で供給するための積極的供給装置
JP2006306588A (ja) 繊維機械における糸の弛み取り装置
KR101291735B1 (ko)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KR101441913B1 (ko) 마찰 밴드 브레이크를 이용한 자가 보상 필라멘트 장력 제어 장치
US11169043B2 (en) Drive apparatus for a balancing machine and a balancing machine
EP3334673A1 (en) Adjustable yarn tensioner, textile machine, and method for tensioning a continuously running yarn
CA2749226A1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strands or the like
JPH02216249A (ja) 引っ張り装置
US9950385B2 (en) Wire feeding mechanism and arc processing system employing the same
JP4207947B2 (ja) 線材送り出し装置
KR101188728B1 (ko) 레이스 기계의 원사 자동 송출 장치
JP2014136619A (ja) 金属線送出装置
KR101703006B1 (ko) 튜브 권취장치
CN212611114U (zh) 整经机退绕卷纱装置
JP2012069678A (ja) 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JP2006213522A (ja) 綾巻き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繊維機械に用いられる巻取り装置
KR20080015272A (ko) 와이어 언로더 텐션장치
JP6726491B2 (ja) 糸道摩耗試験機および糸道摩耗試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