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668B1 - 조업용 양승기 - Google Patents

조업용 양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668B1
KR101477668B1 KR1020130013706A KR20130013706A KR101477668B1 KR 101477668 B1 KR101477668 B1 KR 101477668B1 KR 1020130013706 A KR1020130013706 A KR 1020130013706A KR 20130013706 A KR20130013706 A KR 20130013706A KR 101477668 B1 KR101477668 B1 KR 101477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belt
fishing line
disposed
dri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1032A (ko
Inventor
문용호
승 구 김
Original Assignee
문용호
승 구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용호, 승 구 김 filed Critical 문용호
Priority to KR1020130013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66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1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업용 양승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낚싯줄을 드럼과 벨트 사이에 배치시켜서 끌어올림으로써, 낚싯줄의 접촉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서 마찰력이 증대되고 장치의 내구성도 향상되는 조업용 양승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업용 양승기{line hauler for fishing operation}
본 발명은 조업용 양승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낚싯줄을 드럼과 벨트 사이에 배치시켜서 끌어올림으로써, 낚싯줄의 접촉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서 마찰력이 증대되고 장치의 내구성도 향상되는 조업용 양승기에 관한 것이다.
양승기는 크게 외줄을 마찰 드럼을 이용하여 끌어올려서 선체 바닥
에 늘어뜨리는 방식(특허문헌 1,2)과, 외줄을 릴처럼 드럼에 감고 푸는 방식(특허문헌 3)의 두 가지 타입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양승기로 예를 들면 갈치낚시를 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갈치낚시는 대나무 낚싯대를 선박 좌우(배 한 척에 6대 또는 8대 한 사람이 2대 사용)에 메달아 낚싯대 끝 클립에 걸려있는 한 틀은 바다에 담겨져 있고, 다른 한 틀은 미끼를 꿰어 멀리 던져(멀리 던져야 미끼가 배 밑으로 오는 중에 고기가 유인) 미끼가 배 밑에 다다르면 먼저 담겨져 있는 한 틀을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미끼가 번갈아 가며 수중에 계속 있는 상태로 작업한다.
이때, 미끼를 미리 던진 낚싯줄은 특허문헌들에 걸어서 마찰 또는 릴 방식으로 끌어올리는 방식의 수작업이다.
이러한 수작업은 1개의 마찰롤러부재 또는 1개의 회전 드럼이 사용되기 때문에, 먼저 투승한 낚싯줄은 동일한 마찰롤러부재 또는 동일한 회전 드럼에 계속 걸어서 끌어올려야 한다.
또한, 구동드럼과 텐션드럼 사이에 낚싯줄을 배치시켜서 마찰 방식으로 낚싯줄을 끌어올리는 경우에는 구동드럼 및 텐션드럼과 낚싯줄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지 않아서 마찰력이 작은 문제점이 있고, 마찰력 증진을 위해 드럼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무층도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37921호 특허문헌 2 :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3010호 특허문헌 3 :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141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낚싯줄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서 낚싯줄을 원활하게 끌어올릴 수 있는 조업용 양승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업용 양승기는, 드럼;과, 풀리에 끼워져서 상기 드럼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벨트;와, 상기 드럼과 상기 벨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낚싯줄은 상기 드럼과 상기 벨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리에 연결되는 래칫과,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가 상기 드럼에 근접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낚싯줄에 설치된 도래를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2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 및 상기 드럼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기 낚싯줄의 길이를 감지하는 제3센서와 끌어올려진 상기 낚싯줄의 길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럼과 상기 풀리와 상기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배를 연결하는 브라켓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하우징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하우징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걸림고리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에 상기 드럼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고정축에 보조드럼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보조드럼은 상기 고정축에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축과 연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에는 핀이 설치되고, 상기 핀 및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핀축삽입공이 상기 드럼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동력을 상기 드럼에 끊는 클러치가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드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축 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바와, 상기 클러치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바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킹바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에는 폭방향으로 스토퍼핀이 삽입되는 핀홀이 여러개 형성되며, 여러개의 상기 핀홀은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장치를 유인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인모드는 상기 낚싯줄을 정해진 시간동안 정지시켰다가 끌어올리며 상기 정해진 시간은 어종 또는 미끼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부하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업용 양승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낚싯줄을 드럼과 벨트 사이에 배치시켜서 끌어올림으로써, 낚싯줄의 접촉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서 마찰력이 증대되고 장치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상기 풀리에 연결되는 래칫과,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을 더 포함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벨트를 상기 드럼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상기 벨트와 상기 드럼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서, 마찰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벨트가 상기 드럼에 근접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벨트가 상기 드럼에 근접되면 상기 구동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가 작업하기에 편리해진다.
상기 낚싯줄에 설치된 도래를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2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도래를 감지하면 상기 구동장치가 자동으로 멈추도록 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작업하기에 편리해진다.
상기 벨트 및 상기 드럼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기 낚싯줄의 길이를 감지하는 제3센서와 끌어올려진 상기 낚싯줄의 길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작업자가 끌어올려진 낚싯줄의 길이를 쉽게 알 수 있어서 조업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드럼과 상기 풀리와 상기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배를 연결하는 브라켓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하우징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하우징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걸림고리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배가 정박해 있을 때와 같이 양승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양승기를 배 안쪽으로 들여놓을 수 있게 되어, 양승기가 근접해 있는 다른 배와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순한 구조로 양승기를 배 안쪽으로 들여놓거나 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어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에 상기 드럼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고정축에 보조드럼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보조드럼은 상기 고정축에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축과 연동 가능하게 끼워져서, 회전축에 끼워진 드럼을 회전시켜 바다 속에 투승되어진 낚싯줄을 감아 끌어올려 고기를 수거한 후 탈거한 드럼은 먼저 고정축에 끼워진 드럼에 감진 낚싯줄을 공회전으로 바다 속으로 자연스럽게 투승한 드럼과 서로 바꿔 끼워 조업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에는 핀이 설치되고, 상기 핀 및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핀축삽입공이 상기 드럼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동력을 상기 드럼에 끊는 클러치가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드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축 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바와, 상기 클러치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바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킹바를 포함하여, 단순한 구조로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동력이 상기 드럼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클러치가 구비되어 작업자의 옷이나 신체가 드럼에 엉키는 등의 위급상황시에 상기 드럼이 쉽게 멈출 수 있게 되어 양승기를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클러치가 구비되어, 상기 드럼이 상기 회전축에 대해 공회전 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드럼에 감겨진 낚신줄을 풀어서 바다속에 투승할 수 있다. 따라서, 방어나 돔 등의 조업시에 드럼에 감겨있는 줄을 용이하게 감거나 투승할 수 있다.
상기 드럼에는 폭방향으로 스토퍼핀이 삽입되는 핀홀이 여러개 형성되며, 여러개의 상기 핀홀은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르도록 형성되어, 조업하는 바다의 깊이에 따라 상기 핀홀에 스토퍼핀을 꼽아 낚싯줄이 더이상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를 유인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인모드는 상기 낚싯줄을 정해진 시간동안 정지시켰다가 끌어올리며, 상기 정해진 시간은 어종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어종 또는 미끼에 따라 미끼의 움직임을 다양하게 하여 유인할 수 있어서 조업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부하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어획량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업용 양승기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업용 양승기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서 벨트 및 풀리를 제거한 상태에서 래칫과 폴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트가 드럼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도 6에서 벨트 및 풀리와 드럼을 제거한 상태에서 래칫과 폴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업용 양승기 비사용시 배 안으로 들여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업용 양승기 비사용시 배로부터 이탈시켜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업용 양승기의 이탈방지핀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업용 양승기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드럼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정면도.
도 14는 도 11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과 드럼의 축이음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6은 도 13에서 드럼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드럼이 드럼에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8은 도 17 상태에서 드럼을 제거한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업용 양승기를 배 안쪽으로 들여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조업용 양승기는 드럼과 벨트 또는 드럼과 가압드럼을 이용하여 마찰식으로 낚싯줄을 양승할 수도 있고, 드럼으로부터 벨트 또는 가압드럼을 멀어지게 하고, 드럼에 낚싯줄을 감아서 릴 방식으로 양승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두가지 양승방식은 폴과 래칫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조업용 양승기는, 드럼(D);과, 풀리(220)에 끼워져서 상기 드럼(D)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벨트(240);와, 상기 드럼(D)과 상기 벨트(24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구동장치(170)를 포함하여, 낚싯줄(S)은 상기 드럼(D)과 상기 벨트(24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장치(170)는 모터로 구비되며, 구동장치(170)에는 회전축(150)이 연결된다. 회전축(150)과 구동장치(170)는 하우징(110)에 탑재되거나 장착된다.
구동장치(170)는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온/오프 되어 회전축(150)에 회전동력을 제공한다.
하우징(110)은 구동장치(17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회전축(150)은 하우징(110)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회전축(150)은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제1회전축과, 드럼(D)이 축이음되는 제2회전축으로 구획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17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150)에는 핀(150c) 또는 스플라인(미도시)이 형성되고, 핀(150c) 및 상기 제2회전축이 삽입되는 핀축삽입공 또는 스플라인이 드럼(D)에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축과 드럼(D)은 축이음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D)이 회전축(1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회전축의 끝단에 이탈방지핀(1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핀(140)은 회전축(15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면 드럼(D)이 장착된 상태이고,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드럼(D)을 탈거하는 상태이다.
즉, 이탈방지핀(140)은 핀(41)과, 핀(41)의 일측에 형성되는 장공(43)과, 고정축(30)의 상단에 양측에서 돌출하여 중심에 선회 공간(46)을 만드는 지지편(45)과, 장공(43)에 끼워져 지지편(45)에 선회 가능하게 핀(41)을 지지하는 힌지축(47)으로 구성하여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핀(140)은 지지편(45)에 대해서 탈거하지 않고 잠금/해제 상태를 구현할 수 있어 조작이 간단하고 분실 위험이 없다.
드럼(D)은 중심부분에 상기 제2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D)은 중심부분 내측에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핀축삽입공이 형성된다. 또한, 드럼(D) 양측 외주면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플랜지부로 인해, 벨트(240)를 가이드하고, 드럼(D)에 낚싯줄(S)이 원활하게 감길 수 있다.
벨트(240)는 양측이 풀리(220)에 각각 끼워져서 드럼(D)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벨트(240)는 원형, 평형, V형 벨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낚싯줄(S)은 드럼(D)의 외주면과 벨트(240)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낚싯줄(S)은 드럼(D)의 외주면과 벨트(240)의 내주면에 선접촉 또는 면접촉 되어, 낚싯줄(S)과 드럼(D)과 벨트(240) 사이의 접촉면적은 늘어나게 되어 마찰력도 늘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낚싯줄(S)을 원활하게 양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240) 내측 중간부분에 드럼(D)이 배치되어, 벨트(240)의 내측면과 드럼(D)의 외주면이 마주보게 된다. 즉, 드럼(D)의 양측에 풀리(220)가 배치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220)는 드럼(D)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풀리(220)는 드럼(D)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풀리(220)는 드럼(D)과 엇갈리게 배치되어, 양승되는 낚싯줄(S)이 풀리(22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양측에 배치되는 풀리(220)는 드럼(D)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풀리(220)가 배치되어 풀리(220)가 드럼(D)과 엇갈리게 배치되더라도 벨트(240)가 원활하게 드럼(D)으로 향할 수 있다.
드럼(D)의 우측에 배치되는 풀리(220)는 축이 하우징(110)의 외측에 설치된다.
드럼(D)의 좌측에 배치되는 풀리(220)는 축이 래칫(230)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230)은 하우징(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판형상의 풀리장착브라켓(16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풀리장착브라켓(164)은 하우징(110)의 외측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여러개의 지지판(162)과 지지판(162)과 풀리장착브라켓(164)을 연결하는 연결봉(163)에 의해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래칫(230)은 일측 둘레에 기어이(2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래칫레버(232)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래칫(230)에는 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장공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가 풀리장착브라켓(164)에 형성되어, 래칫(230)의 회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래칫(230)에는 풀리(220) 및 벨트(240)를 보호하는 동시에 벨트(240)를 가이드하는 굴곡판넬(221)이 설치된다. 굴곡판넬(221)은 풀리(220)를 둘러싸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굴곡판넬(221)은 우측에 배치되는 풀리(220)에도 구비되어 있다.
좌우측에 배치되는 풀리(220) 및 드럼(D)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벨트(24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넬(222)이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래칫(230)의 기어이(231)에 치합되는 폴(233)이 풀리장착브라켓(16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폴(233)과 풀리장착브라켓(164) 사이에는 폴(233)이 래칫(230)에 치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된다.
폴(233)의 일측에는 폴레버(234)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래칫(230)의 기어이(231)는 폴(233)이 치합되어 있을 때 래칫(2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되 래칫(2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래칫(230)의 기어이(231)는 벨트(240)가 드럼(D)에 근접하게 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되, 벨트(240)가 드럼(D)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
벨트(240)가 드럼(D)에 근접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미도시)가 래칫레버(23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는 래칫레버(232)가 금속재질의 하우징(110)에 근접하게 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로 구비되여, 래칫레버(232)가 하우징(110)에 근접하면 벨트(240)가 드럼(D)으로부터 멀어지고, 래칫레버(232)가 하우징(110)에서 멀어지면 벨트(240)가 드럼(D)에 근접하게 되는 것으로 감지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장치(17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벨트(240)가 드럼(D)에 근접되면 구동장치(170)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가 별도로 구동장치(170)를 작동시키기 않아도 래칫레버(232)만 하우징(11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면 구동장치(170)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작업하기에 편리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벨트(240)가 드럼(D)에서 멀어지면(래칫레버(232)를 하우징(11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면) 구동장치(170)가 자동으로 꺼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아 올려지는 낚싯줄(S)을 회전축(150)에 끼워진 드럼(D)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18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부재(180)는 수평 롤(181)과, 좌우 수직 봉(185)(187)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 롤(181)은 지지브래킷(18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브래킷(182)은 수평 롤(181)의 양쪽을 지지하는 지지벽(182a)과, 지지벽(182a)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닥면(182b)을 포함한다.
지지브래킷(182)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연결브라켓(161)에 의해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좌우 수직 봉(185)(187)은 수평 롤(181)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배치된다.
좌우 수직 봉(185)(187)은 지지브래킷(182)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가이드 부재(180)에 의해 가이드되는 낚싯줄(S)을 벨트(240)와 드럼(D) 사이에 배치시킨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레버(23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풀리(220)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우측에 있는 풀리(220)와 좌측에 있는 풀리(220) 사이 간격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벨트(240)는 팽팽해져서 드럼(D)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래칫(2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드럼(D)의 직경에 따라 벨트(240)를 드럼(D)에 정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장치(170)를 작동시키면, 회전축(150)이 회전되고, 드럼(D)이 회전되게 된다. 이로 인해 드럼(D)에 밀착된 벨트(240)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드럼(D)과 벨트(240) 사이에 있는 낚싯줄(S)도 마찰력에 의해 끌어올려진다.
낚싯줄(S)을 끌어올리는 작업이 완료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레버(234)를 회동시켜서 폴(233)을 기어이(231)로부터 이탈시킨 후에 래칫레버(2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풀리(22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우측에 있는 풀리(220)와 좌측에 있는 풀리(220) 사이 간격은 좁아지게 되어 벨트(240)는 느슨해지게 된다.
후단에 배치되는 좌우 수직 봉(185)(187)과 수평 롤(181) 사이에는 낚싯줄(S)에 설치된 금속재질의 도래를 감지하는 제2센서(121)가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2센서(12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장치(17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래(낚싯줄의 끝단에 설치)를 감지하면 구동장치(170)가 자동으로 멈추도록 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작업하기에 편리해진다.
나아가, 구동장치(170)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부(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장치(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상기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부하대 어획량 비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상기 부하감지부로부터 받은 신호를 계산하여 어획량을 바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부하대 어획량 비에 대한 데이터는 실험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구동장치(170)에 걸리는 부하가 크면 끌어올려지는 낚싯줄(S)의 무게가 크다는 의미이므로 표시부에 표시된 수치를 통해 어획량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구동장치(170)에 고부하가 걸릴때에는 구동장치(170)를 자동으로 멈추게 제어하여 구동장치(17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센서(121)는 바닥면(182b)에 설치되며, 제2센서(121) 상부로 끌어올려지는 낚싯줄(S)이 지나가게 된다.
나아가, 하우징(110) 내부에는 회전축(150)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벨트(240) 및 드럼(D)에 의해 끌어올려진 낚싯줄(S)의 길이를 감지하는 제3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110) 외부에는 상기 제3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끌어올려진 낚싯줄(S)의 길이를 표시하는 상기 표시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끌어올려진 낚싯줄(S)의 길이를 쉽게 알 수 있어서 조업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끌어 올리는 낚싯줄(S)의 길이를 설정하면, 상기 제3센서로부터 회전량을 전달받아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구동장치(170)의 전원을 차단하여 자동 제어가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하부에는 하우징(110)과 배(B)를 연결하는 브라켓부(210)가 배치된다. 브라켓부(210)는 하우징(1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브라켓부(210)는 배(B)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217)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배(B)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211)와 제1고정부(211)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213)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211)에는 볼트 등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여러개 형성된다. 여러개의 체결공 중 하나에는 머리부가 제1고정부(21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체결되는 연결볼트(219)가 체결된다.
제2고정부(213)는 제1고정부(2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부(213b)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에는 연결볼트(219)의 머리부가 관통할 수 있는 제1구멍(218)과, 제1구멍(218)에 연통되며 제1구멍(218)보다 작은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구멍(218a)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승기를 배(B)에 부착시킬 경우에는 연결볼트(219)의 머리부를 제1구멍(218)에 관통시킨 후에 제2고정부(213) 및 하우징(110)을 슬라이딩 시켜서, 연결볼트(219)의 몸통이 제2구멍(218a)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연결볼트(219)의 머리부는 제2고정부(213)에 걸리게 되어 양승기는 배(B)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브라켓부(210)로 인해 하우징(110)은 배(B)에 탈착가능해진다. 따라서, 양승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양승기를 수리하거나 할 경우에는 용이하게 배(B)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2고정부(213)의 상기 수평부 상면에는 제2고정부(213)가 제1고정부(211)에 대해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스토퍼편(212)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토퍼편(212)은 하우징(110)과 마주보는 쪽이 개방되도록 끼움홈(212a)이 형성된다. 끼움홈(212a)에는 연결볼트(219)의 머리부가 끼워진다.
스토퍼편(212)은 끼움홈(212a)이 형성된 쪽의 반대편에는 손잡이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부로 절곡된 절곡부(212b)가 형성된다.
따라서, 양승기를 배(B)에 부착시킨 후에 스토퍼편(212)을 회전시켜서 끼움홈(212a)에 연결볼트(219)의 머리부를 끼워넣으면 제2고정부(213)는 제1고정부(211)에 대해 슬라이딩되지 않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승기를 배(B)에서 이탈시킬 경우에는, 스토퍼편(212)을 회전시켜서 끼움홈(212a)으로부터 연결볼트(219)의 머리부를 이탈시킨다. 이어서, 제2고정부(213)를 슬라이딩시켜서 연결볼트(219)의 머리부가 제1구멍(218)으로 오게한 후에 양승기를 들어올리면 연결볼트(219)의 머리부가 제1구멍(218)으로부터 빠져나와 양승기는 배(B)에서 이탈된다.
하우징(110) 외측에는 하우징가이드돌기(216)가 형성된다.
연결부(217)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고정부(213)의 수직부(213b)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고정부(213)의 수직부(213b)에는 연결부회동축(213e)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연결부(217)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회동축(213e)이 끼워지는 축공(217c)이 장공으로 형성된다.
연결부(217) 타측에는 하우징가이드돌기(216)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215)이 형성된다. 가이드장공(215)은 축공(217c)과 같은 방향으로 축공(217c)보다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장공(215)의 타측 끝단은 하부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연결부(217) 타측 하부에는 걸림고리(217a)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제2고정부(213)에는 걸림고리(217a)에 끼워지는 고정돌기(214)가 형성된다.
연결부(217)의 타측 끝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승기를 사용할 때에는 연결부(217)를 수평한 상태로 배치시켜서, 고정돌기(214)가 걸림고리(217a)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에 대해 연결부(217)는 상하로 이동하지 않게 되고, 연결부(217)에 대해 하우징(110)도 상하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승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연결부(217)를 타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고정돌기(214)가 걸림고리(217a)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 상태가 되면 하우징(110)은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우징(110)을 배(B)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양승기를 배(B) 안쪽으로 들여놓을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가이드돌기(216)를 가이드장공(215)의 타측 끝단의 굴곡진 부분으로 삽입하여 하우징(110)이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B)가 정박해 있을 때와 같이 양승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양승기를 배(B) 안쪽으로 들여놓을 수 있게 양승기가 근접해 있는 다른 배(B)와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순한 구조로 양승기를 배 안쪽으로 들여놓거나 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어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제 2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조업용 양승기는,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50)과, 회전축(50)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축(30)을 더 포함하며, 회전축(50)에 드럼(D1)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고정축(30)에 보조드럼(D2)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며, 보조드럼(D2)은 고정축(30)에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드럼(D1)은 회전축(50)과 연동가능하게 끼워진다.
고정축(30) 및 회전축(50)의 끝단에는 이탈방지핀(40)이 설치되어, 드럼(D1)과 보조드럼(D2)이 고정축(30) 및 회전축(50)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진다.
고정축(30)은 하우징(10)에서 회전축(50)이 설치되는 부분의 반대면의 외측에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하우징(10)은 박스 형상으로서, 선체의 바닥 등에 브라켓부(13)를 통해 체결 고정된다. 브라켓부(13)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승기 비사용시에는 양승기를 배(B) 안쪽으로 회전시켜 놓을 수 있다. 또한, 양승기 비사용시 양승기를 배(B)로부터 이탈시켜 놓을 수 있다.`
회전축(50)은 상하 베어링(15)(17)에 의해 지지되는 제1회전축(50a)과,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을 강제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회전축(50b)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2회전축(50b)에는 핀(50c)이 설치되고, 핀(150c) 제2회전축(50b)이 삽입되는 핀축삽입공이 보조드럼(D2) 및 드럼(D1)에 형성되어, 제2회전축(50b)과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은 축이음될 수 있다.
고정축(30)에 공회전하면서 최초 던져 넣은 어구(낚싯줄)의 드럼을 배에 가까이 이르면(어장 수심 대략 겨울에는 200미터 여름에는 50미터) 드럼을 회전축(50)에 걸어 고기를 유인하는 동안 다른 드럼의 어구를 멀리 던져 고정축(30)에 걸어놓고 봉돌이 자연스럽게 가라앉는 동안 회전축(50)에 걸어두었던 드럼을 동력을 이용해 목줄까지 감고 나머지 아랫줄에 있는 고기는 수작업으로 끌어 털어내 미끼를 매달아 고정축(30)에 있는 드럼과 바꿔 다시 어구를 던지고 회전축에 있는 드럼을 다시 끌어올리는 방법을 반복한다.
또한, 수작업에서는 드럼(틀) 2개가 던지고 걷어올리는 반복 작업이어서 드럼 간에 줄이 꼬이게 되는데 사람이 풀 수밖에 없으므로 고정된 드럼으로는 1인이 1드럼 작업만이 가능하므로 능률이 반으로 줄어듭니다.
하우징(10)의 우측에는 낚싯줄(S)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80)가 구비된다.
하우징(10)의 좌측에는 가압드럼(90)이 가압드럼브라켓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가압드럼브라켓은 전술한 실시예의 풀리장착브라켓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압드럼브라켓에 가압드럼(9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압드럼브라켓 일측에는 래칫(93)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폴(94)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칫(93)에는 가압드럼(90) 축이 설치되어, 가압드럼(90)은 래칫(93)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래칫(93)에 형성된 기어이(91)는 폴(94)이 치합되었을 때 가압드럼(90)이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에 밀착되는 방향인 시계방향으로는 회전가능하고, 가압드럼(90)이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가압드럼(90) 외주면에는 단면형상이 "V"형상인 홈이 여러개 형성된다. 이로 인해 가압드럼(90)과 낚싯줄(S)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승기로 낚싯줄(S)을 끌어올릴 때에는 래칫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래칫(93)을 폴(94)에 치합시켜서 가압드럼(90)을 회전축(50)에 끼워진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에 밀착시킨다.
낚싯줄(S)은 가이드 부재(80)에 의해 가이드된 후에, 가압드럼(90)과 회전축(50)에 끼워진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 사이에 배치되어, 마찰력에 의해 끌어올려진다.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승작업이 끝난 후에는, 폴(94)을 회전시켜서 폴(94)과 래칫(93)의 치합을 해제시킨 후에, 상기 래칫레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가압드럼(90)을 회전축(50)에 끼워진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동력을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에 끊는 클러치(20)가 상기 구동장치와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 사이에 배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20)는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축(50) 방향에 수직한 축(2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바(22)와, 클러치바(2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클러치바(22)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킹바(24)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의 전방 우측에는 클러치바(2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축설치부(1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클러치바(22)는 하우징(1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클러치바(22)는 두개가 구비되어, 회전축(5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클러치바(22)는 수직하게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개의 연결봉(2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클러치바(22)의 중간부분에는 누름롤러(2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누름롤러(25)는 회전축(50)에 끼워진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을 누르는 부분으로 클러치바(22)의 다른 부분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누름롤러(25)는 축(26)과 연결봉(21)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축(5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누름롤러(25)로 인해 회전되는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을 바깥쪽으로 밀 수 있다.
클러치바(22)의 우측 끝단에는 축(26)의 우측에 배치되도록 회전축(50)에 끼워진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굴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의 끝단 양측에는 미세돌기(28)가 여러개 형성된다.
로킹바(24)는 연결봉(21)이 설치된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로킹바(24)는 로킹부와 로킹부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레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부에는 다각형상의 공구끼움공이 형성된다. 상기 로킹부 끝단에는 하우징(10)의 모서리 부분이 안정적으로 끼워지도록 안착홈이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0)에 끼워진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이 공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결봉(21)을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 쪽으로 근접시키면 클러치바(22)는 축(2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누름롤러(25)가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을 회전축(50)의 바깥쪽으로 누르게 된다. 이로 인해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은 회전축(50)의 핀(50c)과 분리되게 되어 축이음이 해제되어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은 공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려면, 로킹바(24)의 레버부를 회전시켜서 로킹부의 안착홈에 하우징(10)의 무서리 부분이 안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클러치바(22)의 회전된 상태는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러치(20)가 구비되어,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이 회전축(50)에 대해 공회전 할 수 있게 되어,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에 감겨진 낚신줄을 풀어서 바다속에 투승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에는 폭방향으로 스토퍼핀(미도시)이 삽입되는 핀홀(1a, 1b)이 여러개 형성된다. 핀홀(1a, 1b)은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여러개의 핀홀(1a, 1b)은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르도록 형성되어, 조업하는 바다의 깊이에 따라 낚싯줄(S)이 감겨져 있는 보조드럼(D2) 또는 드럼(D1)의 핀홀(1a, 1b)에 스토퍼핀을 꼽아 낚싯줄이 더이상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를 유인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인모드는 낚싯줄(S)을 정해진 시간동안 정지시켰다가 끌어올린다. 또한, 이러한 낚싯줄(S)의 정지와 끌어올림을 여러번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해진 시간은 어종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어종 또는 미끼에 따라 미끼의 움직임을 다양하게 하여 유인할 수 있어서 조업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하우징 150 : 회전축
140 : 이탈방지핀 170 : 구동장치
180 : 가이드 부재 D, D1,D2 : 드럼, 보조드럼
S : 낚싯줄 240 : 벨트
220 : 풀리

Claims (11)

  1. 삭제
  2. 드럼;
    풀리에 끼워져서 상기 드럼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벨트;
    상기 드럼과 상기 벨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낚싯줄은 상기 드럼과 상기 벨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풀리에 연결되며 기어이가 형성되는 래칫과,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을 더 포함하여,
    상기 래칫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벨트를 상기 드럼에 밀착시키거나 상기 벨트를 느슨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양승기.
  3. 드럼;
    풀리에 끼워져서 상기 드럼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벨트;
    상기 드럼과 상기 벨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낚싯줄은 상기 드럼과 상기 벨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벨트가 상기 드럼에 근접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벨트가 상기 드럼에 근접되면 상기 구동장치를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벨트가 상기 드럼에서 멀어지면 상기 구동장치를 자동으로 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양승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에 설치된 도래를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2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업용 양승기.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및 상기 드럼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기 낚싯줄의 길이를 감지하는 제3센서와 끌어올려진 상기 낚싯줄의 길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조업용 양승기.
  6. 드럼;
    풀리에 끼워져서 상기 드럼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벨트;
    상기 드럼과 상기 벨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낚싯줄은 상기 드럼과 상기 벨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과 상기 풀리와 상기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배를 연결하는 브라켓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하우징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하우징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걸림고리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양승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에 상기 드럼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고정축에 보조드럼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보조드럼은 상기 고정축에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축과 연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조업용 양승기.
  8. 드럼;
    풀리에 끼워져서 상기 드럼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벨트;
    상기 드럼과 상기 벨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낚싯줄은 상기 드럼과 상기 벨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에는 핀 또는 스플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핀 및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핀축삽입공 또는 스플라인이 상기 드럼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동력을 상기 드럼에 끊는 클러치가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드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축 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바와, 상기 클러치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바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킹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양승기.
  9. 드럼;
    풀리에 끼워져서 상기 드럼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벨트;
    상기 드럼과 상기 벨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낚싯줄은 상기 드럼과 상기 벨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에는 폭방향으로 스토퍼핀이 삽입되는 핀홀이 여러개 형성되며, 여러개의 상기 핀홀은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양승기.
  10. 삭제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부하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양승기.
KR1020130013706A 2013-02-07 2013-02-07 조업용 양승기 KR101477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706A KR101477668B1 (ko) 2013-02-07 2013-02-07 조업용 양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706A KR101477668B1 (ko) 2013-02-07 2013-02-07 조업용 양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032A KR20140101032A (ko) 2014-08-19
KR101477668B1 true KR101477668B1 (ko) 2014-12-31

Family

ID=5174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706A KR101477668B1 (ko) 2013-02-07 2013-02-07 조업용 양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565A (ko) * 2019-02-08 2020-08-19 (주) 승진유공압테크 패류채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822B1 (ko) * 2021-06-11 2022-03-11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어선용 전복방지기능이 구비된 양승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70U (ja) * 1993-06-12 1995-05-16 一東 本田 魚を捕獲する縄の引揚装置
KR20110017243A (ko) * 2009-08-13 2011-02-21 김길환 주낙 연승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70U (ja) * 1993-06-12 1995-05-16 一東 本田 魚を捕獲する縄の引揚装置
KR20110017243A (ko) * 2009-08-13 2011-02-21 김길환 주낙 연승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565A (ko) * 2019-02-08 2020-08-19 (주) 승진유공압테크 패류채취장치
KR102229280B1 (ko) 2019-02-08 2021-03-18 (주)승진유공압테크 패류채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032A (ko)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016B1 (ko) 갈치잡이장치 및 조상기
JPS59501794A (ja) 釈放可能な掛止、連結または支持装置
KR100497783B1 (ko) 수중 집어등용 윈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4673B1 (ko) 크릴쓰레더 및 사용방법
KR101477668B1 (ko) 조업용 양승기
US8615919B2 (en) Deep water fishing rod and electric reel
JP2019018930A (ja) 荷下ろし方法、及び、荷下ろし装置
KR102599955B1 (ko) 낚싯대 보조용 조상기
US7197998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pulling a tow rope
US2813434A (en) Drive gear throw-out for barn cleaner
JP2000350535A (ja) 漁網の揚網自動化装置及び操業方法
KR101213767B1 (ko) 조업용 양승기
CN207225518U (zh) 悬吊式存储系统
JP7114070B2 (ja) 釣り機
US4774782A (en) Method of handling fishing equipment and an arrangemen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200429728Y1 (ko) 어망 권양기
US2937610A (en) Anchor hoist
JP2002284085A (ja) 海水取水方法とその装置
KR200408449Y1 (ko) 목재 운반유니트
KR102581494B1 (ko) 자동 오징어 낚시 장치
US20060192044A1 (en) Deep water fishing rod and electric reel
JPH06319421A (ja) 糸送り出し装置
JPH0324472Y2 (ko)
US20070294817A1 (en) Locking Rope Reel
JP6917197B2 (ja) チェーン巻取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重量物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