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873B1 -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873B1
KR102481873B1 KR1020180091777A KR20180091777A KR102481873B1 KR 102481873 B1 KR102481873 B1 KR 102481873B1 KR 1020180091777 A KR1020180091777 A KR 1020180091777A KR 20180091777 A KR20180091777 A KR 20180091777A KR 102481873 B1 KR102481873 B1 KR 10248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receiving groove
bracket
vehicle
lock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549A (ko
Inventor
백승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1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873B1/ko
Priority to DE202019104056.4U priority patent/DE202019104056U1/de
Priority to CN201921209329.3U priority patent/CN210502142U/zh
Publication of KR2020001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60G2204/4302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for fixing suspension arm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60Subframe construction
    • B60G2206/601Hanger bra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는: 브래킷부를 구비하는 크로스멤버; 브래킷부에 장착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서스펜션암부; 및 서스펜션암부를 크로스멤버에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브래킷부는, 브래킷몸체부; 브래킷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돌기부를 수용하는 수용홈부; 및 수용홈부에 돌출 형성되고, 돌기부의 이탈을 차단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력이 인가될 경우 크로스멤버에 체결된 서스펜션암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는 노면의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이다.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에서 크로스멤버에 서스펜션암이 연결된다. 크로스멤버와 서스펜션암은 마운팅부시를 매개로 연결된다.
차량이 과도한 고속 선회를 하거나 예상하지 못한 외력이 서스펜션 장치에 인가될 경우 크로스멤버와 서스펜션암을 연결하는 체결부에서 슬립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될 경우 접촉면이 마모되거나 체결력이 느슨해져 이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의 풀림에 의해 크로스멤버에서 서스펜션암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이 인가될 경우 크로스멤버에 체결된 서스펜션암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는: 브래킷부를 구비하는 크로스멤버; 상기 브래킷부에 장착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서스펜션암부; 및 상기 서스펜션암부를 상기 크로스멤버에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부는, 브래킷몸체부; 상기 브래킷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용홈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의 이탈을 차단하는 걸림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수용홈부를 향하여 점점 폭이 좁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브래킷부는, 수용홈부에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걸림턱부와 연결되는 보조걸림턱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점점 폭이 좁게 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에 의하면 외력 등에 의해 크로스멤버와 서스펜션암부 간의 슬립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의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로스멤버에서 서스펜션암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별도의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제품의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에서 크로스 멤버의 브래킷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에서 크로스 멤버의 브래킷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에서 크로스 멤버의 브래킷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에서 크로스 멤버의 브래킷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에서 크로스 멤버의 브래킷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에서 크로스 멤버의 브래킷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에서 크로스 멤버의 브래킷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에서 크로스 멤버의 브래킷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는 크로스멤버(100), 서스펜션암부(200), 체결부(300)를 포함한다.
크로스멤버(100)는 차량의 하부 차체를 이루는 것으로, 차체의 강도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크로스멤버(100)는 차체의 전후나 좌우방향의 비틀림이나 휘어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크로스멤버(100)는 일측(도 1 기준 우측)에는 돌출 형성되는 브래킷부(110)를 포함한다. 브래킷부(110)는 서스펜션암부(200)가 장착되는 것으로, 브래킷몸체부(111), 수용홈부(113), 걸림턱부(115)를 포함한다.
브래킷몸체부(111)는 크로스멤버(100)에서 일측(도 1 기준 우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브래킷몸체부(111)는 내측에 서스펜션암부(200)를 수용할 수 있는 거리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수용홈부(113)는 브래킷몸체부(111)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서스펜션암부(200)의 돌기부(210)를 수용한다. 수용홈부(113)는 돌기부(21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수용홈부(113)에는 서스펜션암부(200)의 돌기부(210)를 관통하는 체결부(300)가 관통되는 체결공부(114)가 형성된다.
걸림턱부(115)는 수용홈부(113)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된다. 걸림턱부(115)는 수용홈부(113)에 수용된 돌기부(210)가 걸려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돌기부(210)가 걸림턱부(115)에 걸려서, 차량이 과도하게 고속 선회하거나, 예상하지 못한 외력이 인가될 때 돌기부(210)가 수용홈부(113)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턱부(115)는 서스펜션암부(200)의 돌기부(210)가 수용홈부(113)에 삽입되는 방향(도 5 기준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걸림턱부(115)가 이격된 거리는 돌기부(210)의 외경에 대응된다. 따라서 돌기부(210)는 걸림턱부(115)에 걸림으로써, 수용홈부(113)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걸림턱부(115)는 수용홈부(113)를 향하여(도 4 기준 좌측상향) 점점 폭이 좁게 형성된다. 걸림턱부(115)가 수용홈부(113)를 향할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어, 돌기부(210)와의 밀착성이 증대된다. 걸림턱부(115)와 돌기부(210)의 밀착성이 증대되어, 걸림턱부(115)와 돌기부(210) 사이의 슬립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210)의 단부는 걸림턱부(115)의 형상에 따라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기테이퍼부(211)가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부(210)의 돌기테이퍼부(211)와 걸림턱부(115)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돌기부(210)의 돌기테이퍼부(211)와 걸림턱부(115)와 사이의 슬립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브래킷부(110)는 상술한 브래킷몸체부(111), 수용홈부(113), 걸림턱부(115)를 포함하고, 보조걸림턱부(117)를 더 포함한다. 브래킷몸체부(111), 수용홈부(113), 체결공부(114), 걸림턱부(115)의 구조는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보조걸림턱부(117)는 수용홈부(113)의 일측(도 7 기준 하측)에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걸림턱부(115)와 연결된다. 수용홈부(113)에 수용된 돌기부(210)는 수용홈부(113)의 좌우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턱부(115)와, 수용홈부(113)의 하측에 돌출 형성된 보조걸림턱부(117)에 의해 수용홈부(113)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수용홈부(113)의 좌우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턱부(115)는 돌기부(210)의 좌우 하중을 지지하고, 수용홈부(113)의 하측에 돌출 형성된 보조걸림턱부(117)는 돌기부(210)의 하방 하중을 지지하여, 돌기부(210)의 좌우방향 하중에 의해 슬립과 하방 하우징에 의해 슬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브래킷부(110a)는 브래킷몸체부(111a), 수용홈부(113a), 걸림턱부(115a)를 포함한다. 브래킷몸체부(111a), 수용홈부(113a), 체결공부(114a)는 상술한 브래킷몸체부(111), 수용홈부(113), 체결공부(114)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걸림턱부(115a)는 돌기부(210)가 수용홈부(113a)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점점 폭이 좁게 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도 9를 참조하면, 한 쌍의 걸림턱부(115a)는 하방을 향하여 설정 각도(θ)로 좁게 형성된다. 설정 각도(θ)는 돌기부(210)의 중심이 체결공부(114a)에 배치될 수 있게 형성된다.
걸림턱부(115a)가 수용홈부(113a)의 하방으로 점점 폭이 좁게 형성되어, 돌기부(210)가 좌우 방향 또는 하방으로 수용홈부(113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턱부(115a)는 돌기부(210)의 좌우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돌기부(210)의 하방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턱부(115a)는 돌기부(210)의 좌우방향 하중에 의해 슬립과 하방 하우징에 의해 슬립 발생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다.
서스펜션암부(200)는 차체와 바퀴를 연결하는 것으로, 크로스멤버(100, 100a)의 브래킷부(110, 110a)에 장착되는 돌기부(210)를 구비한다. 돌기부(2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브래킷부(110, 110a)의 수용홈부(113, 113a)에 수용되고, 걸림턱부(115, 115a) 또는 보조걸림턱부(117)에 의해 지지된다.
체결부(300)는 서스펜션암부(200)를 크로스멤버(100, 100a)에 체결한다. 체결부(300)는 보스부(310), 너트부(320), 와셔부(330)를 포함한다. 보스부(310)는 크로스멤버(100, 100a)의 수용홈부(113, 113a)의 체결공부(114, 114a)와, 서스펜션암부(200)의 돌기부(210)를 관통한다. 보스부(310)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너트부(320)는 보스부(310)의 단부에 체결된다. 너트부(320)는 보스부(310)와 나사 결합되거나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와셔부(330)는 보스부(310)와 브래킷부(110, 110a) 사이에 개재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보스부(310)가 브래킷부(110, 110a)를 가압하는 압력을 분산시켜 보스부(310)가 브래킷부(110, 110a)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에 의하면 외력 등에 의해 크로스멤버(100)와 서스펜션암부(200) 간의 슬립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의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로스멤버(100)에서 서스펜션암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별도의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제품의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크로스멤버 110, 110a: 브래킷부
111, 111a: 브래킷몸체부 113, 113a: 수용홈부
114, 114a: 체결공부 115, 115a: 걸림턱부
117: 보조걸림턱부 200: 서스펜션암부
210: 돌기부 211: 돌기테이퍼부
300: 체결부 310: 보스부
320: 너트부 330: 와셔부

Claims (6)

  1. 브래킷부를 구비하는 크로스멤버;
    상기 브래킷부에 장착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서스펜션암부; 및
    상기 서스펜션암부를 상기 크로스멤버에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부는,
    브래킷몸체부;
    상기 브래킷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수용홈부;
    상기 수용홈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의 이탈을 차단하는 걸림턱부; 및
    상기 수용홈부에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걸림턱부와 연결되는 보조걸림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걸림턱부는 상기 수용홈부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의 하방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수용홈부를 향하여 점점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점점 폭이 좁게 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KR1020180091777A 2018-08-07 2018-08-07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KR102481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777A KR102481873B1 (ko) 2018-08-07 2018-08-07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DE202019104056.4U DE202019104056U1 (de) 2018-08-07 2019-07-23 Aufhäng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N201921209329.3U CN210502142U (zh) 2018-08-07 2019-07-30 用于车辆的悬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777A KR102481873B1 (ko) 2018-08-07 2018-08-07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549A KR20200016549A (ko) 2020-02-17
KR102481873B1 true KR102481873B1 (ko) 2022-12-27

Family

ID=6777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777A KR102481873B1 (ko) 2018-08-07 2018-08-07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81873B1 (ko)
CN (1) CN210502142U (ko)
DE (1) DE202019104056U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86341A1 (en) * 2020-08-12 2023-09-14 Audi Ag Link for a wheel suspension of a motor vehicle and wheel suspension for a wheel of a front axle of a motor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0922A (ja) 2008-10-03 2010-04-22 Honda Motor Co Ltd 防振ブッシュ
JP2010274912A (ja) * 2010-07-05 2010-12-09 Mazda Motor Corp パワープラント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7425A (ja) * 1992-10-19 1994-05-10 Toyota Motor Corp トー角調整装置
KR100521216B1 (ko) * 2003-11-27 2005-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어퍼암 마운팅브라켓트의 구조
KR20180091777A (ko) 2018-06-06 2018-08-16 이종운 암반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반 절삭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0922A (ja) 2008-10-03 2010-04-22 Honda Motor Co Ltd 防振ブッシュ
JP2010274912A (ja) * 2010-07-05 2010-12-09 Mazda Motor Corp パワープラント支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86341A1 (en) * 2020-08-12 2023-09-14 Audi Ag Link for a wheel suspension of a motor vehicle and wheel suspension for a wheel of a front axle of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549A (ko) 2020-02-17
DE202019104056U1 (de) 2019-08-12
CN210502142U (zh)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1741B2 (en) Suspension brake torque reactor
KR102481873B1 (ko)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CN111516760A (zh) 挡泥板装置
EP1060979A2 (en) A bicycle frame with rear wheel suspension
KR20160140179A (ko) 로워암 조립장치
KR101613470B1 (ko) 자동차용 로워암
KR20170050214A (ko)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
KR102394736B1 (ko) 차량용 부시장치
JP2010241349A (ja) 車両用スタビライザバー取付機構
US6843491B2 (en) Rear suspension system
US11807328B2 (en) Bicycle seatpost
CN111051189A (zh) 自行车支架安装用连接器以及具备其的双脚支架
KR10252375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190021564A (ko) 현가장치용 트레일링 암
KR101710373B1 (ko) 차량의 로어암조립체
KR102546369B1 (ko) 로어암 어셈블리
CN220448461U (zh) 两轮车的固定装置
JP2004034884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19511409A (ja) 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の板バネアッセンブリ用の軸受装置
JP6562293B2 (ja) スタビライザの保持構造
KR20100033848A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US11370494B2 (en) Side bracket
KR20190027163A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장치
KR101624506B1 (ko) 캠버각 조절식 리어 액슬
KR200158024Y1 (ko) 자동차의 토우각 고정용 보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