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214A -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 - Google Patents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214A
KR20170050214A KR1020150151458A KR20150151458A KR20170050214A KR 20170050214 A KR20170050214 A KR 20170050214A KR 1020150151458 A KR1020150151458 A KR 1020150151458A KR 20150151458 A KR20150151458 A KR 20150151458A KR 20170050214 A KR20170050214 A KR 20170050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transverse leaf
bush
lower arm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0214A/ko
Publication of KR2017005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arranged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8Leaf springs

Abstract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는: 단부에 수용홀이 형성되는 횡치형 리프 스프링; 수용홀에 설치되는 부시; 횡치형 리프 스프링의 단부를 수용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로어암; 및 부시를 관통하고, 횡치형 리프 스프링을 로어암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TRANSVERSE LEAF SPRING MOUNTING STRUCTURE OF SUSPENSION}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 쏠림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에는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고 선회시 차체의 밸런스를 유지하고 조종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프링이 사용된다. 최근 상용차량에도 주행성능 및 승차감에 대한 요구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횡치 리프 스프링(Transverse Leaf Spring)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현가장치에서 횡치 리프 스프링은 크로스멤버와 하단 브라켓에 개재된 상·하부 부시 사이에 면접촉 상태로 위치하고, 하단 브라켓의 체결 축력으로 상·하부 부시가 압축되고, 그 반력에 의해 클램핑(Clamping)이 된다. 또한, 리프 스프링의 양단부는 좌·우측 로어암에 개제된 부시에 안착되어 차량의 하중 변화 또는 주행 중 노면 상태에 따라 로어암과 함께 리프 스프링의 거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에서는 험로 주행 및 급 선회시 발생되는 횡 하중 등 차축의 축 방향 하중이 발생할 경우 리프 스프링의 중심위치가 크로스 멤버 중심과 정렬 중심과 정렬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쉽게 틀어지고, 다시 정위치로 복원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리프 스프링의 중심 위치의 틀어짐량에 따라 스프링 특성의 좌·우 편차와 휠 얼라인먼트(Wheel Alignment)의 변화를 일으켜 주행 쏠림, 조종 불안정, 승차감 저하 및 편마모 등의 원인이 되며, 부시의 과도한 이상 변형으로 부시의 이탈에 의한 소음 및 파손 등 2차적인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46951호(2003.06.18 공개, 발명의 명칭: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장착 구조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횡치형 리프 스프링을 로어암에 조립 시 조립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주행상태 및 진동, 횡력 등의 외력으로부터 횡치형 리프 스프링의 정렬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안정성 및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는: 단부에 수용홀이 형성되는 횡치형 리프 스프링; 상기 수용홀에 설치되는 부시; 상기 횡치형 리프 스프링의 단부를 수용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로어암; 및 상기 부시를 관통하고, 상기 횡치형 리프 스프링을 상기 로어암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시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홀에 압입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어암은, 상부면에 상기 안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수용되는 상기 횡치형 리프 스프링을 커버하여 상기 횡치형 리프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커버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커버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에 의하면, 횡치형 리프 스프링을 로어암에 조립되는 위치가 용이하게 결정됨으로써, 조립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주행 중 횡치형 리프 스프링의 위치 복원 및 정렬 상태 유지가 우수하여, 차량 좌·우 횡치형 리프 스프링의 편차를 최소화하고 휠 얼라인먼트의 변형 요소를 제거하여 차량의 주행 안정성 및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에서 횡치형 리프 스프링에 장착되는 부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에서 횡치형 리프 스프링에 장착되는 부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는 횡치형 리프 스프링(10), 부시(20), 로어암(30), 체결부재(40)를 포함한다.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은 위쪽으로 볼록한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프링으로, 양단부가 로어암(30)에 고정된다.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은 로어암(30)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의 양단부에는 부시(20)가 삽입 고정되는 수용홀(15)이 형성된다. 수용홀(15)에 부시(20)가 압입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홀(15)의 직경은 부시(20)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부시(20)는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의 수용홀(15)에 삽입 설치되고, 부시(20)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관통된 체결부재(40)에 의해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의 양단부가 로어암(30)에 고정된다. 부시(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체결부재(40)가 관통되는 구멍(관통공)이 형성된다. 부시(20)의 직경은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의 수용홀(15)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부시(20)는 수용홀(15)에 압입 설치된다.
부시(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한다. 또는 부시(20)의 외주면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는 탄성부(21)에 의해 감싸여질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21)가 부시(20)의 외주면을 감싸는 경우, 부시(20)는 강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탄성부(21)는 탄성 변형되면서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에 탄성 반력을 제공한다.
부시(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이 차량 주행 중 외력을 받게 되는 경우, 압축 또는 인장되면서 러버 스프링(Rubber Spring) 역할을 하면서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의 위치를 정위치로 정열시킨다. 즉, 부시(20)는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에 차량 주행상태 및 진동, 횡력 등의 외력이 발생되는 경우, 탄성 압축에 의한 반력으로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의 위치를 정위치로 복원시킨다.
로어암(30)은 차량의 현가장치의 하측에 설치되는 암으로, 차량 주행 시 노면 충격과 조향 기구 작용에 따른 높낮이와 각도 변화 및 진동을 흡수한다. 로어암(30)은 차량의 진동을 차단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로어암(30)는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의 단부를 수용하는 안착홈(32)이 형성되고, 체결부재(40)에 의해 횡치형 리프 스프링(10)과 체결된다. 로어암(30)의 상부면에는 안착부(31)가 형성된다. 로어암(30)의 상측에는 어퍼암(미도시)가 설치된다. 로어암(30)과 어퍼암은 차량 본체와 바퀴를 연결하고, 차량의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안착부(31)의 상부면에는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이 거치되는 안착홈(32)이 형성된다. 안착홈(32)은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횡치형 리프 스프링(10)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오목하게 형성된다.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은 안착부(31)의 안착홈(32)에 수용되어, 차량 주행 중 외력에 의해 안착부(3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을 안착부(31)의 안착홈(32)에 수용함으로써, 로어암(30)에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의 장착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안착부(31)의 상부에는 상부커버(35)가 설치된다. 상부커버(35)는 안착홈(32)에 수용된 횡치형 리프 스프링(10)를 커버함으로써,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이 안착홈(3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부(31)와 상부커버(35)는 보조체결부재(50)에 의해 체결된다. 보조체결부재(50)는 볼트, 나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안착부(31)에는 제1관통공(33)이 형성되고, 상부커버(35)에는 제2관통공(36)이 형성된다. 안착부(31)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33)은 안착홈(32)에 형성된다. 제1관통공(33)과 제2관통공(36)은 각각 체결부재(40)가 관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커버(35)의 제2관통공(36)과, 부시(20)의 관통공, 안착부(31)의 제1관통공(33)은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부재(40)에 의해 상부커버(35), 부시(20), 로어암(30)의 안착부(31)가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일괄 체결된다.
체결부재(40)는 부시(20)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을 로어암(30)에 체결시킨다. 체결부재(40)는 볼트 또는 나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체결부재(40)는 상부커버(35)의 제2관통공(36), 부시(20)의 관통공, 안착홈(32)의 제1관통공(3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로어암(30)과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을 체결시킨다. 체결부재(40)의 단부는 로어암(30)의 하부로 노출되고, 고정부재(45)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부재(45)는 볼트 또는 나사로 이루어진 체결부재(40)를 고정시키는 너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이 안착홈(32)에 안착되고, 상부커버(35), 부시(20), 로어암(30)이 탑-다운 방식으로 체결부재(40)에 의해 일괄 체결되고, 고정부재(45)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의 조립 위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의 조립을 살펴본다.
도 5를 참조하면,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의 단부에 형성된 수용홀(15)에 부시(20)가 설치된다. 부시(20)는 수용홀(15)과 동일한 직경 또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수용홀(15)에 압입 설치된다. 따라서 부시(20)는 탄성 변형되면서 수용홀(15)에 삽입 설치되어, 횡치형 리프 스프링(10)과 일체를 이룬다.
부시(20)는 차량 주행상태 및 진동, 횡력 등의 외력이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에 발생되는 경우, 탄성 압축되고 그 반력으로 횡치형 리프 스프링(10)를 정위치로 복원시킨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부시(20)와 일체를 이루는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은 안착부(31)의 안착홈(32)에 안착된다.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을 안착부(31)에 안착한 후, 안착부(31)의 상부를 상부커버(35)로 커버한다. 상부커버(35)와 안착부(31)는 보조체결부재(50)에 의해 체결된다.
체결부재(40)는 상부커버(35)의 제2관통공(36), 부시(20)의 관통공, 안착부(31)의 제1관통공(33)을 관통한다. 체결부재(40)의 단부는 로어암(30)의 외부로 노출되고, 고정부재(45)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이 안착홈(32)에 거치되어,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에 수용된 부시(20)와 로어암(30)의 조립 위치가 용이하게 결정됨으로써, 조립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주행 중 부시(20)의 탄성 반력에 의해 횡치형 리프 스프링(10)의 위치 복원 및 정렬 상태 유지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차량의 좌·우 횡치형 리프 스프링(10) 단부의 편차를 최소화하고 휠 얼라인먼트의 변형 요소를 제거하여 차량의 주행 안정성 및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횡치형 리프 스프링 15: 수용홀
20: 부시 21: 탄성부
30: 로어암 31: 안착부
32: 안착홈 33: 제1관통공
35: 상부커버 36: 제2관통공
40: 체결부재 45: 고정부재
50: 보조체결부재

Claims (5)

  1. 단부에 수용홀이 형성되는 횡치형 리프 스프링;
    상기 수용홀에 설치되는 부시;
    상기 횡치형 리프 스프링의 단부를 수용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로어암; 및
    상기 부시를 관통하고, 상기 횡치형 리프 스프링을 상기 로어암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홀에 압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은, 상부면에 상기 안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수용되는 상기 횡치형 리프 스프링을 커버하여 상기 횡치형 리프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
KR1020150151458A 2015-10-30 2015-10-30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 KR20170050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458A KR20170050214A (ko) 2015-10-30 2015-10-30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458A KR20170050214A (ko) 2015-10-30 2015-10-30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214A true KR20170050214A (ko) 2017-05-11

Family

ID=5874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458A KR20170050214A (ko) 2015-10-30 2015-10-30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02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8084A (zh) * 2017-12-08 2020-07-24 五十铃自动车株式会社 悬架装置及下臂
DE102018200459B4 (de) 2018-01-12 2022-0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bindungsanordnung zur Verbindung einer Blattfeder und einer Lenkereinheit
US11850903B1 (en) 2022-06-30 2023-12-26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height adjus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8084A (zh) * 2017-12-08 2020-07-24 五十铃自动车株式会社 悬架装置及下臂
CN111448084B (zh) * 2017-12-08 2023-08-11 五十铃自动车株式会社 悬架装置及下臂
DE102018200459B4 (de) 2018-01-12 2022-0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bindungsanordnung zur Verbindung einer Blattfeder und einer Lenkereinheit
US11850903B1 (en) 2022-06-30 2023-12-26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height adjus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23029A1 (en) Tubular vibration-damping device
CA2512848A1 (en) Lightweight, low part-count, suspension system for wheeled vehicles
KR20170050214A (ko)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
US20050099060A1 (en) Torsion beam axle suspension
US20080303196A1 (en) Upper strut mount assembly
US20030163911A1 (en) Method for attaching an axle to a leaf spring on a golf cart with hydraulic brakes
KR101724479B1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JP2009216177A (ja) バウンドストッパ
KR20160049694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CN210502142U (zh) 用于车辆的悬架装置
KR200311935Y1 (ko) 자동차의 프론트 현가장치
KR100953318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마운팅 유닛
KR20100033848A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KR102394736B1 (ko) 차량용 부시장치
KR20230063051A (ko) 차량의 횡치 판스프링 장치
KR20090020337A (ko) 코일스프링 설치용 스프링하단시트
KR200493790Y1 (ko) 업소버 고정용 마운트를 그대로 활용하는 suv차량용 쇼크 업소버 결합 장치
JP3237503U (ja) ロアブラケット及びエアスプリング取付け構造
KR20180079829A (ko) 로어암 어셈블리
KR20100056886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유닛
KR101624506B1 (ko) 캠버각 조절식 리어 액슬
KR100506657B1 (ko) 차축식 현가장치
KR100316930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장착구조
KR20210136283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756732B1 (ko) 차량용 현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