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851B1 - 흑마늘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흑마늘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851B1
KR102480851B1 KR1020200126882A KR20200126882A KR102480851B1 KR 102480851 B1 KR102480851 B1 KR 102480851B1 KR 1020200126882 A KR1020200126882 A KR 1020200126882A KR 20200126882 A KR20200126882 A KR 20200126882A KR 102480851 B1 KR102480851 B1 KR 10248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garlic
garlic
drying
extract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3462A (ko
Inventor
백지원
Original Assignee
백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지원 filed Critical 백지원
Priority to KR1020200126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851B1/ko
Priority to PCT/KR2020/017494 priority patent/WO2022071631A1/ko
Publication of KR20220043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1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흑마늘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게하게는 마늘을 찌고 건조하는 과정을 여러차례 반복하고, 오미자 원액을 첨가하여 이취를 제거하고 산도를 조절하며 맛과 영양이 증대된 흑마늘 숙성 원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 흑마늘 숙성 원물을 추출한 흑마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흑마늘 추출물을 농축하여 흑마늘 농축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들로부터 제조된 흑마늘 추출물 및 흑마늘 음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흑마늘 추출물은 마늘의 이취를 제거하고, 풍미를 개선시키며, 음용성 및 상품성을 개선시켜 항산화 기능 강화, 면역기능 강화, 피로회복, 혈액순환 촉진 등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흑마늘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Black garlic extract and its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흑마늘 가공 기술 및 흑마늘 추출물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늘에 오미자 원액 처리, 저온숙성 및 건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흑마늘 숙성 원물을 제조한 다음, 추출한 흑마늘 추출물, 상기 추출물을 농축한 흑마늘 농축액, 상기 흑마늘 농축액에 과일 농축액 및 벌꿀을 혼합하여 제조한 흑마늘 스틱,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흑마늘은 생마늘을 40 ~ 100℃에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10 ~ 40일간 숙성시켜 만드는 마늘 가공품으로 숙성되는 동안 마늘 자체에 함유되어 있던 당과 아미노산이 반응하여 갈변물질을 생성함으로써 마늘의 내부까지 흑색으로 변화되어 생마늘의 흰 빛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흑마늘로 불리게 되었다. 흑마늘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생마늘 특유의 매운 맛과 향이 감소되고, 딱딱한 조직이 연화되어 젤리와 같은 식감을 가지며, 열처리 과정 중에 유기산이나 당이 유리되어 새콤달콤한 맛을 가지게 된다.
흑마늘의 경우 외피를 제거하지 않은 톨마늘 형태로 판매, 유통되거나 깐마늘 형태로 200 ~ 500 g 단위로 판매되고 있어 보다 용이하게 섭취하기 위한 방법으로 물과 함께 추출하여 음료로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8 ~ 15 brix 정도의 농도를 가지며, 80 ~ 100 mL 단위로 포장되고 있다. 홍삼의 경우는 수분이 15% 미만으로 건조되므로 직접 섭취에는 어려움이 있어 분말로 가공하거나 역시 물과 함께 추출하여 음료로 유통되고 있다.
흑마늘 추출액을 이용한 가공 제품이 있으나 생산이 저조한 이유는 흑마늘 특유의 이취로 인하여 대중의 선호가 낮은데 큰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흑마늘의 이취를 제거하고 풍미를 개선하는 가공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흑마늘 추출액을 고농도로 농축한 제품이 개발되어 있으나 꿀과 유사한 점성을 가지므로 섭취시마다 떠서 먹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포장 방법들은 휴대하기에 부피가 크거나 덜어서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꾸준히 섭취하여야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건강 증진 또는 예방용 식품의 특성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섭취에 대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흑마늘 추출액의 섭취가 용이한 점성 및 포장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흑마늘 관련 특허로는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5160호에서는 "고압 반응 및 효소 처리를 이용한 흑마늘 진액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흑마늘 진액"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1683호에서는 "흑마늘 진액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진액"을,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5361호에서는 "흑마늘 농축액과 홍삼분말을 포함하는 고점도 음료의 제조방법"을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흑마늘을 찌고 건조하는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한 후 오미자 첨가를 이용하여 흑마늘의 이취를 제거하고 풍미를 증진시키면서 맛과 영양을 증대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흑마늘의 응용성 및 상품성 개선을 위한 새로운 가공 기술에 대해 연구개발한 결과, 마늘을 찌고 건조하는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하고, 오미자 원액을 첨가를 이용하여 이취를 제거하고 풍미를 증진시키고, 맛과 영양을 증대시키며, 게다가 과일 농축액 및 벌꿀을 혼합하여 당도 및 점도를 개선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늘을 찌고 건조하는 과정을 여러차례 반복하고, 오미자의 원액, 추출물 또는 스프레드를 첨가하여 이취를 제거하고 산도를 조절하며 맛과 영양이 증대된 흑마늘 숙성 원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숙성 원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흑마늘 숙성 원물을 추출한 흑마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숙성 원물의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흑마늘 숙성 원물의 추출물을 농축한 후 과일 농축액 및 벌꿀을 혼합하여 흑마늘 스틱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농축액을 포함하는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흑마늘 농축액, 과일 농축액 및 벌꿀을 포함하는 흑마늘 음료, 흑마늘 건강차 또는 흑마늘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마늘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마늘에 오미자의 원액, 추출물 또는 스프레드를 고르게 전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전처리된 마늘을 저온숙성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4 ~ 5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마늘 숙성 원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늘에 오미자가 처리된 흑마늘 숙성 원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숙성 원물을 추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흑마늘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흑마늘 숙성 원물을 추출한 흑마늘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흑마늘 추출물을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흑마늘 추출 농축액에 과일 농축액 및 벌꿀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포장재에 충진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마늘 스틱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추출 농축액, 과일 농축액 및 벌꿀을 포함하는 흑마늘 스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추출 농축액을 포함하는 흑마늘 음료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추출 농축액을 포함하는 흑마늘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흑마늘의 마늘 특유의 이취를 제거하고, 풍미를 개선시켜 흑마늘을 거부감 없이 취식할 수 있도록 맛, 향 및 기호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흑마늘의 유용 성분을 최대로 유지하면서 오미자 원액 또는 스프레드 등을 통해 영양을 증대시켜 항산화 기능 강화, 면역기능 강화, 피로회복, 혈액순환 촉진 등의 기능성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과일 농축액 및 벌꿀을 더 첨가하여 흑마늘 추출물의 당도 및 점도를 개선시키고, 스틱 제형으로 제조하여 음용성 및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따른 흑마늘 추출물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1) 마늘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마늘에 오미자의 원액, 추출물 또는 스프레드를 고르게 전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전처리된 마늘을 저온숙성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4 ~ 5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마늘 숙성 원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마늘은 껍질과 불순물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세척한 후, 손질된 마늘을 자연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전처리는 오미자의 추출액, 농축액 또는 스프레드를 마늘에 고르게 분사하거나 바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처리는 1차 또는 2차 저온숙성 후 각각 1 ~ 2회 추가적으로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미자 스프레드는 i) 오미자 과육을 급속동결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 ii) 동결건조한 오미자를 분쇄하여 오미자 분말을 얻는 단계; 및 iii) 오미자 분말 및 설탕을 혼합하고 가열된 물에 넣어 저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 i)의 급속동결은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i)의 동결건조는 1일 내지 14일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일 내지 10일 동안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iii)의 가열된 물은 90 ~ 100℃의 온도로 가열된 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iii)의 오미자 분말 및 설탕은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오미자 분말 40 내지 70 중량부 및 설탕은 3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iii)의 저어주는 단계에서 저어주는 시간은 30초 내지 180초인 것이 바람직하고, 45초 내지 90초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저온숙성하고 건조하는 단계는 마늘을 발효 숙성하는 단계로서, 저온숙성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4 ~ 5회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회 반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저온숙성하는 단계는 마늘을 수분 증발 방지를 위해 숨구멍을 낸 식품용 대형 비닐 봉투에 마늘을 정량씩 소분하여 밀봉하여 일정 수분이 비닐 봉투내에 머물어 마늘이 마르지 않고 자체의 수분으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에서 저온숙성하는 단계는 1차 저온숙성은 80 ~ 90℃에서 1 ~ 2일 동안 저온 숙성하고, 2차 저온숙성은 70 ~ 80℃에서 1 ~ 2일 동안 저온 숙성하며, 3차 저온 숙성은 40 ~ 60℃에서 10 ~ 20일 동안 저온 숙성하고, 4차 저온 숙성은 30 ~ 40℃에서 10 ~ 20일 동안 저온 숙성하며, 선택적으로, 5회 반복하는 경우 5차 저온 숙성은 30 ~ 40℃에서 10 ~ 20일 동안 저온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온숙성하는 단계는 1차 저온숙성은 80 ~ 85℃에서 24 ~ 30시간 동안 저온 숙성하고, 2차 저온숙성은 70 ~ 80℃에서 24 ~ 30시간 동안 저온 숙성하며, 3차 저온 숙성은 40 ~ 50℃에서 14 ~ 15일 동안 저온 숙성하고, 4차 저온 숙성은 30 ~ 35℃에서 14 ~ 15일 동안 저온 숙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에서 건조하는 단계는 1 ~ 3차 건조는 실온에서 1일 ~ 2일 건조하고, 4차 건조는 실온에서 3일 ~ 4일 건조하며, 선택적으로, 5차 건조는 실온에서 3일 ~ 4일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1 ~ 3차 건조는 실온에서 24 ~ 30시간 동안 건조하고, 4차 건조는 실온에서 72 ~ 80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늘에 오미자가 전처리되어 숙성 발효된 흑마늘 숙성 원물을 제공한다.
상기 흑마늘 숙성 원물은 흑마늘의 마늘 특유의 이취를 제거하고, 풍미를 개선시켜 흑마늘을 거부감 없이 취식할 수 있도록 맛, 향 및 기호도를 증진시키고, 흑마늘의 유용 성분을 최대로 유지하면서 오미자를 더해 영양이 증대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숙성 원물을 추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흑마늘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흑마늘 숙성 원물과 물 또는 정제수를 혼합한 후 50 ~ 100℃에서 1 ~ 5일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 ~ 90℃에서 2 ~ 3일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은 1 ~ 3회 반복하여 추출하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흑마늘 추출물은 추출한 후 여과, 교반, 농축, 동결건조 및 살균 공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공정을 더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흑마늘 숙성 원물을 추출한 흑마늘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흑마늘 추출물은 추출한 후 교반기에서 교반하여 흑마늘과 첨가물이 골고루 섞이도록 하는 교반 공정, 및 90 ~ 100℃ 구간에서 45 ~ 54sec 동안 순간 살균하는 공정을 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흑마늘 추출물은 흑마늘의 마늘 특유의 이취를 제거하고, 풍미를 개선시켜 흑마늘을 거부감 없이 취식할 수 있도록 맛, 향 및 기호도를 증진시키고, 흑마늘의 유용 성분을 최대로 유지하면서 오미자를 더해 영양이 증대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흑마늘 추출물을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흑마늘 추출물의 농축액에 과일 농축액 및 벌꿀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포장재에 충진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마늘 스틱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농축물은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며, 50 ~ 70 brix로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 ~ 70 brix로 농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과일 농축액은 오미자, 귤, 자몽, 오렌지, 레몬, 키위, 파인애플, 매실, 사과, 청포도 및 베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농축액일 수 있으며, 상기 농축액은 50 ~ 70 brix로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 ~ 70 brix로 농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흑마늘 추출물의 농축액 및 과일 농축액은 2 : 1 ~ 1 : 2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벌꿀은 상기 혼합물의 5 ~ 15 중량%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흑마늘 추출물의 농축액 및 과일 농축액을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벌꿀은 10%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에 추가적으로 비타민, 미네랄 및 아미노산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타민은 비타민 B1, B2, B3, B6, C 및 D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네랄은 생체성분으로서의 무기질을 뜻하는 것으로 무기영양소라고도 불리며, 칼슘 및/또는 아연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산은 발린, 루신, 아이소루이신, 메티오닌, 트레오닌, 라이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히스티틴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체내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아미노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에 추가적으로 점성을 높이기 위하여 검류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검류는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점성을 나타내는 혼종 다당류의 일종으로서, 물과 결합하여 점성용액이나 겔을 형성하는 친수성 물질이며, 같은 분자량을 가진 경우에는 직쇄상의 검류가 가지를 많이 가진 검류보다 점도가 높다. 상기 검류는 아라비아검(gum arabic), 트라가칸트검(tragacanth gum), 카라야검(gum karaya), 로커스트콩검(locust bean gum), 크산탄검, 구아검(gum guar), 한천(agar), 알긴산(alginic acid, algin), 카라기난(Carrageenan), 덱스트란(dextran)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포장은 고온순간멸균기를 사용하여 미생물을 살균한 뒤 포장재에 충진하는 충진단계를 통하여 스틱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추출 농축액, 과일 농축액 및 벌꿀을 포함하는 흑마늘 스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추출 농축액을 포함하는 흑마늘 음료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추출 농축액을 포함하는 흑마늘청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흑마늘 추출물의 제조
<1-1> 기초 준비
한지형 마늘로 유효성분이 높으며 약리작용이 뛰어난 의성산 마늘을 준비한다. 무르거나 상한 탈락 개체를 제외하고 우수한 품질의 개체를 선별한다. 껍질과 불순물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세척하여 기초 준비 단계를 마친다.
<1-2> 1차 건조
손질된 마늘을 자연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생마늘 보관 시 변질과 잡내를 방지한다. 전처리의 효율을 높이고 숙성에 적절한 상태가 된다.
<1-3> 1차 전처리
오미자 원액을 골고루 분사하여 마늘의 매운맛 감소시킨다. 수분 증발 방지를 위해 숨구멍을 낸 식품용 대형 비닐 봉투에 마늘을 정량씩 소분하여 밀봉한다. 일정 수분이 비닐 봉투 내에 머물어 마늘이 마르지 않고 자체의 수분으로 습도를 유지한다.
<1-4> 1차 저온숙성
80-85℃ 구간에서 24hr 저온 숙성한다. 영양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저온에서 숙성한다.
<1-5> 2차 전처리
1차 숙성을 거친 중간단계에서 2차로 오미자 원액을 분사한다. 자른 사과를 간격을 두고 마늘 사이에 배치한다. 오미자와 사과가 마늘의 매운맛을 다시한번 감소 시킨다.
<1-6> 2차 저온숙성
이전보다 낮은 온도 70-80℃ 구간에서 24hr 저온 숙성한다. 마늘의 갈변과 부피의 축소가 눈에 띄게 확인된다.
<1-7> 2차 건조
실온에서 24hr 자연 건조한다. 과한 수분으로 인해 마늘이 형태를 잃고 부서지는 것을 방지한다.
<1-8> 3차 저온숙성
40-50℃ 구간에서 2주일 저온 숙성한다. 본격적으로 흑마늘이 발현되는 구간이다.
<1-9> 3차 건조
실온에서 48hr 자연 건조하여 흑마늘의 농도를 진하게 한다.
<1-10> 4차 저온숙성
식품용 대형 비닐 봉투를 제거하고 흑마늘만 마무리 숙성 단계에 돌입한다. 30-35℃ 구간에서 2주일 저온 숙성한다. 흑마늘 완성의 직전 단계로 완전히 숙성 된 상태다.
<1-11> 4차 건조
마지막으로 실온에서 72hr 자연 건조하여 흑마늘을 완성한다. 불필요한 수분을 모두 제거하여 알이 진하고 쫀득한 상태다.
<1-12> 추출
완성된 흑마늘을 추출기로 이동한다. 정제수와 함께 48hr 추출한다.
<1-13> 교반
교반기에서 12hr 교반하여 흑마늘과 첨가물이 골고루 섞이도록 한다. 상·하층 어느 구간에서도 배합비율과 농도가 동일하도록 한다.
<1-14> 살균 및 진액 완성
추출액을 살균탱크로 이동한다. 90-100℃ 구간에서 45-54sec 순간 살균한다. 이로써 제조일로부터 2년이라는 유통기한을 설정할 수 있다.
< 실시예 2> 흑마늘 스틱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흑마늘 추출물을 농축하여 농축액을 제조한 후, 흑마늘 농축액 및 오미자 농축액을 1 : 1 중량 비율, 및 벌꿀을 10% 첨가하여 스틱용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저온숙성 및 건조 공정을 반복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서, 흑마늘 추출물의 제조 과정에서 1차 건조, 1차 전처리, 1차 저온숙성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실온에서 72h 자연 건조한 다음, 상기 추출, 교반 및 살균하여 흑마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저온숙성 및 건조 공정을 일부만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서, 흑마늘 추출물의 제조 과정에서 2차 전처리, 2차 저온숙성 및 2차 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추출, 교반 및 살균하여 흑마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저온숙성 및 건조 공정을 과다하게 반복한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서, 2차 전처리, 2차 저온 숙성, 2차 건조 공정, 3차 저온 숙성 및 3차 건조 공정을 2회 반복하여 흑마늘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그 외 공정을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오미자 원액을 바르지 않은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서, 흑마늘 추출물의 제조 과정에서 1차 전처리 및 2차 전처리 공정을 제외하고, 흑마늘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그 외 공정을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관능평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스틱을 성인(30~50대) 남녀 30명에게 시식하게 한 후, 맛, 향, 식감, 종합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의 결과는 맛, 향, 식감, 종합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각각 기준(5-매우 좋다, 4-좋다, 3-보통이다, 2-나쁘다, 1-매우 나쁘다)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구분 식감 기호도
실시예 1 4.5 4.7 4.5 4.6
실시예 2 4.8 4.9 4.8 4.8
비교예 1 3.2 3.2 3.0 3.3
비교예 2 3.6 3.8 3.3 3.5
비교예 3 3.4 3.8 3.8 3.7
비교예 4 3.0 3.2 3.4 3.3
< 실험예 2> 효능평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스틱을 성인(30~50대) 남녀 20명에게 일일 3번씩 1주일 간 시식하게 한 후, 피로도 및 체력 회복 정도를 관찰하였다.
구분 피로도 및 체력 회복 정도
시식 1일 후 시식 3일 후 시식 7일 후
실시예 1 약간 좋음 좋음 매우 좋음
실시예 2 약간 좋음 좋음 매우 좋음
비교예 1 반응 없음 반응 없음 약간 좋음
비교예 2 반응 없음 반응 없음 약간 좋음
비교예 3 반응 없음 반응 없음 약간 좋음
비교예 4 반응 없음 약간 좋음 약간 좋음

Claims (10)

1) 마늘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마늘에 오미자의 원액, 추출물 또는 스프레드를 고르게 2~3회 반복해서 전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전처리된 마늘을 비닐 봉투에 넣고 밀봉하여 저온숙성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4 ~ 5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단계 3)에서 저온숙성하는 단계는
1차 저온숙성은 80 ~ 90℃에서 1 ~ 2일 동안 저온 숙성하고,
2차 저온숙성은 70 ~ 80℃에서 1 ~ 2일 동안 저온 숙성하며,
3차 저온 숙성은 40 ~ 60℃에서 10 ~ 20일 동안 저온 숙성하고,
4차 저온 숙성은 30 ~ 40℃에서 10 ~ 20일 동안 저온 숙성하며,
선택적으로, 5차 저온 숙성은 30 ~ 40℃에서 10 ~ 20일 동안 저온 숙성하고,
상기 단계 3)에서 건조하는 단계는
1 ~ 3차 건조는 실온에서 1일 ~ 2일 건조하고,
4차 건조는 실온에서 3일 ~ 4일 건조하며,
선택적으로, 5차 건조는 실온에서 3일 ~ 4일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숙성 원물의 제조방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늘에 오미자가 전처리되어 숙성 및 건조된, 흑마늘 숙성 원물.
제6항의 흑마늘 숙성 원물을 추출한 흑마늘 추출물.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흑마늘 숙성 원물과 정제수를 혼합한 후 50 ~ 100℃에서 1 ~ 3일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추출물.
1) 제7항의 흑마늘 추출물을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흑마늘 추출 농축액에 과일 농축액 및 벌꿀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포장재에 충진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마늘 스틱의 제조방법.
제9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추출 농축액, 과일 농축액 및 벌꿀을 포함하는,
흑마늘 스틱.
KR1020200126882A 2020-09-29 2020-09-29 흑마늘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882A KR102480851B1 (ko) 2020-09-29 2020-09-29 흑마늘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0/017494 WO2022071631A1 (ko) 2020-09-29 2020-12-02 흑마늘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882A KR102480851B1 (ko) 2020-09-29 2020-09-29 흑마늘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462A KR20220043462A (ko) 2022-04-05
KR102480851B1 true KR102480851B1 (ko) 2022-12-22

Family

ID=8095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882A KR102480851B1 (ko) 2020-09-29 2020-09-29 흑마늘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0851B1 (ko)
WO (1) WO2022071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946B1 (ko) * 2022-04-11 2022-10-24 백지원 이미, 이취가 제거된 흑마늘 추출액 제조방법
KR102458943B1 (ko) * 2022-04-11 2022-10-24 백지원 흑마늘 초콜릿 제조방법
KR102435548B1 (ko) * 2022-05-31 2022-08-26 (주)에이피테크놀로지 액상스틱형 에너지 스포츠 음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70B1 (ko) * 2007-12-27 2008-09-05 의성흑마늘 영농조합법인 발효숙성 흑마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숙성 흑마늘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529668B1 (ko) 2014-05-29 2015-06-17 (재)남해마늘연구소 S-알릴-시스테인 함량이 높은 생마늘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KR102068248B1 (ko) 2018-10-23 2020-01-2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초록들 오미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무침 반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498B1 (ko) * 1996-12-27 1999-07-01 서경배 무취 마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23246B1 (ko) * 2007-10-19 2009-10-23 한국한방식품공사주식회사 흑마늘 제조방법
KR20090054557A (ko) * 2007-11-27 2009-06-01 기태형 오미자, 발효, 효소
KR20090055090A (ko) * 2007-11-28 2009-06-02 김창겸 흑마늘 제조방법
KR100983213B1 (ko) * 2008-04-30 2010-09-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성이 우수한 숙성 흑마늘의 제조방법
KR20110059066A (ko) * 2009-11-27 2011-06-02 유미경 흑마늘 초콜릿 제조방법
KR20110078496A (ko) * 2009-12-31 2011-07-07 원용덕 매운맛 냄새 제거 천연 마늘 건강 조성물
KR101000469B1 (ko) * 2010-06-07 2010-12-14 새남해농업협동조합 숙성 흑마늘 홍삼 진액 제조방법
WO2016035916A1 (ko) * 2014-09-05 2016-03-10 영농조합법인 태영농수산 흑마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70B1 (ko) * 2007-12-27 2008-09-05 의성흑마늘 영농조합법인 발효숙성 흑마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숙성 흑마늘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529668B1 (ko) 2014-05-29 2015-06-17 (재)남해마늘연구소 S-알릴-시스테인 함량이 높은 생마늘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KR102068248B1 (ko) 2018-10-23 2020-01-2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초록들 오미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무침 반찬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의성흑마늘진액으로 환절기 건강 챙기기(뉴하비츠 과일품은 흑마늘 진액)", 네이버 블로그 (2020.09.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462A (ko) 2022-04-05
WO2022071631A1 (ko)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851B1 (ko) 흑마늘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5110B1 (ko) 천연 산야초 발효 흑마늘,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포함하는 건강식품
CN103039789A (zh) 一种复方枸杞板栗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5249420A (zh) 一种番茄辣椒酱及其制备方法
CN104560518A (zh) 一种无核金刺梨与甜酒酿复合功能饮料生产方法
CN111493185A (zh) 一种浓缩冻干花果茶及其制备方法和饮用方法
CN114766683A (zh) 食叶草活性肽的制备方法
KR101374857B1 (ko) 저열량 과일잼 제조방법
KR101348311B1 (ko) 마늘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7786A (ko) 연근 발효음료 제조방법
CN105918725B (zh) 天然的低糖红色果汁及其加工工艺
CN105211443B (zh) 一种雪梨银耳茶
KR101721940B1 (ko) 과일 발효주와 과채류를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102431A (ja) ザクロエキス
CN106418523B (zh) 一种稳定型软枣猕猴桃功能保健凝乳
CN1299614C (zh) 竹荪草莓饮料及其生产工艺和余渣利用的方法
CN104059835A (zh) 一种南瓜酒
KR20100136871A (ko) 녹용식초의 제조방법
RU237010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джема из морских водорослей
CN114190499A (zh) 一种黑枸杞银耳菊花复合饮料其制备及应用方法
KR102131362B1 (ko) 아로니아 효소가 함유된 된장 제조방법
CN109673994B (zh) 酸木瓜辣椒果酱及其制备方法
CN103652272A (zh) 水蜜桃软冰淇淋粉
CN103039790B (zh) 一种复方阿胶板栗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100383811B1 (ko) 동충하초와 매실 및 표고버섯 추출액을 주 재료로한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