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663B1 - 도어 홀더 - Google Patents

도어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663B1
KR102471663B1 KR1020187030382A KR20187030382A KR102471663B1 KR 102471663 B1 KR102471663 B1 KR 102471663B1 KR 1020187030382 A KR1020187030382 A KR 1020187030382A KR 20187030382 A KR20187030382 A KR 20187030382A KR 102471663 B1 KR102471663 B1 KR 102471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oor
brake
retainer housing
retain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905A (ko
Inventor
피터 호프만
군돌프 하인리히
토르스텐 마이센
디트마르 레본
Original Assignee
에드샤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샤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드샤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35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retractable sliding fe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0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concealed, e.g.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0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concealed, e.g. for vehicles
    • E05C17/20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concealed, e.g. for vehicles with elastomeric springs to hold wing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는 리테이너 하우징(230)을 포함하며, 리테이너 하우징(230)을 관통하고 다른 도어 및 도어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는 도어 리테이너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리테이너 로드는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표면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표면을 향해 변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요소(50)는 리테이너 하우징(23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브레이크 요소는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도어 리테이너 로드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표면과 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 리테이너 로드에 대하여 1차 제동력 성분을 생성하며, 도어 리테이너 로드는 브레이크 표면에 대해 기울어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표면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높은 유지력을 제공하는 도어 홀더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요소(235a, 235b)가 리테이너 하우징(230) 상에 배치되어 만들어지며, 상기 가이드 요소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가이드 표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도어 리테이너 로드의 변위에 대해 2차 제동력 성분을 생성한다.

Description

도어 홀더
본 발명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따른 도어 홀더에 관한 것이다.
WO 01 90 518 A1은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연결가능한 리테이너 하우징(retainer housing)과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을 관통하고 다른 도어 및 도어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는 도어 리테이닝 로드(door retaining rod)를 포함하는 도어 홀더를 기술한다. 도어 리테이닝 로드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브레이크 표면(breaking surface)을 가지며, 각각이 브레이크 표면 중 하나의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두 개의 브레이크 요소는 리테이너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브레이크 요소는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브레이크 표면과 접촉하여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변위에 대한 1차 제동력 성분을 공동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리테이닝 로드는 브레이크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기울어지고 프로파일링(profiling)을 가지지 않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표면을 가진다.
GB 948 797 A는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연결가능한 리테이너 하우징과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을 관통하고 다른 도어 및 도어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는 도어 리테이닝 로드를 포함하는 도어 홀더를 기술한다. 도어 리테이닝 로드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브레이크 표면을 가지며 일부 영역에서 넓어진다.
DE 10 2004 03 4259 A1은 도어에 연결가능한 리테이너 하우징과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을 관통하고 도어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는 도어 리테이닝 로드를 포함하며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를 임시로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도어 홀더를 기술한다. 도어 리테이닝 로드는 그것의 좁은 측면 상에 브레이크 표면을 가지며, 두 개의 금속 스프링 와이어 섹션이 리테이너 하우징 상에 제공되며, 그들 각각은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브레이크 표면과 접촉하여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변위에 대한 1차 제동력 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두 개의 스프링 와이어 섹션은 하우징 상의 케이스에 고정된다. 공지된 도어 홀더는 한편으로 스프링 와이어 섹션을 리테이닝 로드의 좁은 측면에 직접 적용하는 것이 소음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어서 도어 홀더의 편안한 작동이 크게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 와이어 섹션은 그것의 노출된 위치 때문에 부식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인가되는 유지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도어 홀더가 일반 차량 건설에 사용하기에 그다지 적합하지는 않다.
DE 10 2010 051 250 A1은 리테이닝 로드가 리테이너 하우징을 관통하는 도어 홀더를 기술한다.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두 표면에 접촉할 수 있는 두 개의 로브(lobe)를 가지는 밀봉 장치가 리테이너 하우징 상에 제공되며, 밀봉 장치는 압축가능하다.
DE 10 2014 108 023 A1은 도어에 연결가능한 리테이너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홀더를 기술한다. 리테이너 하우징은 도어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는 도어 리테이닝 로드에 의해 관통되며, 도어 리테이닝 로드는 그것의 두 개의 넓은 측면 각각 상에 브레이크 표면을 가지며, 각각이 브레이크 표면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미리 인장되는 축방향으로 변형가능한 브레이크 요소가 리테이너 하우징 상에 배치된다. 브레이크 요소는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대응하는 브레이크 표면에 접촉하여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변위에 대한 1차 제동력 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어 리테이닝 로드는 또한 브레이크 표면에 대해 경사진 두 개의 가이드 표면을 가진다. 브레이크 표면 상의 요철 섹션에 대한 효과에 대응하는 요철 섹션이 가이드 표면 상에 제공된다. 브레이크 요소의 변위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원주 둘레에서 스프링 요소를 향하는 가이드 표면과 접촉하여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변위에 대한 2차 제동력 성분을 발생시키는 두 개의 스프링 요소가 리테이너 하우징 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 스프링 와이어 섹션은 브레이킹 요소의 이동 축의 하류에 연결되는 리테이너 하우징의 개구부의 영역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토크와 기울어지는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스프링 와이어 섹션은 부식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스프링 와이어 섹션은 리테이너 하우징에 대해 변형되고, 이에 따라 아주 큰 주행으로 2차 제동력 성분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높은 유지력을 제공하는 도어 홀더를 명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항에 명시된 특징을 가지는 도어 홀더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홀더는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연결가능한 리테이너 하우징 및 리테이너 하우징을 관통하고 다른 도어 및 도어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는 도어 리테이닝 로드를 포함한다. 이 경우, 도어 리테이닝 로드는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표면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표면의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요소가 리테이너 하우징 상에 배치되며, 상기 브레이크 요소는 적어도 일부의 섹션이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표면과 접촉하여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변위에 대한 1차 제동력 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어 리테이닝 로드는 또한 브레이크 표면에 대해 경사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표면을 가진다. 도어 홀더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요소가 리테이너 하우징 상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구별되며, 상기 가이드 요소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하나 이상의 가이드 표면과 접촉하여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변위에 대한 2차 제동력 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다.
1차 제동력 성분을 돕는 2차 제동력 성분의 제공으로 인하여, 도어 리테이닝 로드를 위한 높은 유지력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도어가 그 후에 종래 기술로부터 도어 홀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2차 제동력 성분은 1차 제동력 성분의 양보다 적거나, 많거나, 또는 같을 수 있다. 2차 제동력 성분은 바람직하게 1차 제동력 성분보다 크지 않으나, 특히 바람직하게 1차 제동력 성분의 반보다 크다. 1차 제동력 성분은 두께에 따라 대응하는 섹션을 사용하여 강하게 또는 덜 강하게 인장되는 스프링 적재 브레이크 요소를 뒤로 가압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달성된다. 이 경우 섹션을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는 리테이닝 로드의 브레이크 표면 상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섹션은 시작 위치에 대하여 꽤 크게 상승될 수 있다. 그 후에 개구부는 상응하도록 높게 제공 되어야 한다.
1차 제동력 성분은 브레이크 요소와 브레이크 표면 사이에서 생성되는 모든 제동력의 합으로 정의되며, 2차 제동력 성분은 가이드 요소와 가이드 표면 사이에서 생성되는 모든 제동력의 합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홀더는 경량이고 콤팩트하게 설계되며 종래 기술의 도어 홀더보다 더 큰 설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특히, 도어 홀더의 도어 리테이닝 로드를 좁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동일한 브레이크 표면에 작용하는 추가 브레이크 요소에 의한 힘 증가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테이닝 로드는 유리하게는 1차 제동력 성분 및 2차 제동력 성분이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실시예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게 하며, 두 개의 제동력 성분을 중첩 또는 합산함으로써 도어의 유지력 곡선의 설계를 위한 새로운 실시예 옵션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가이드 표면 및 브레이크 표면 중 하나는 특정 간격으로 캐치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고, 가이드 표면 및 브레이크 표면 중 다른 하나는 연속적으로 상승 또는 감소하는 제동력을 설정한다. 따라서, 때로는 1차 제동력 성분 및 때로는 2차 제동력 성분이 두 개의 제동력 성분의 합계로 인한 제동력의 큰 부분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동력 성분에 포함된 마찰 계수에 따라서 영향을 주기 위해 가이드 표면 및 브레이크 표면의 영역에서의 재료 조성 또는 거칠기를 다르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브레이크 요소는 보어홀(borehole)에서 편의상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며, 따라서 상당히 큰 스트로크(stroke)를 실행할 수 있다. 브레이크 요소의 프리-텐션(pre-tension)은 각각의 경우에 별도로 할당된 스프링에 의해 편리하게 수행된다.
브레이크 표면의 수와 가이드 표면의 수는 도어 홀더에서 편의상 동일하며, 이에 따라 두 개의 가이드 표면인 경우에 두 개의 브레이크 표면이 제공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어 리테이닝 로드가 횡단면에서 육각형의 프로파일을 가지면 가이드 표면의 수와 브레이크 표면의 수를 다르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대향하는 쌍들 중 하나, 특히 넓은 측면은 각각 브레이크 표면을 형성하고, 나머지 4 개의 에지는 가이드 표면을 형성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리테이닝 로드가 횡단면에서 삼각형의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부 측면은 브레이크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측면과 각을 이루는 두 개의 추가 표면은 가이드 표면을 형성한다. 그러나, 브레이크 표면 및 가이드 표면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표면 및 가이드 표면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성분은 실질적으로 없다.
도어 리테이닝 로드는 한 쌍으로 먼쪽으로 향하는 두 개의 브레이크 표면과 한 쌍으로 먼쪽으로 향하는 두 개의 가이드 표면을 가지며, 예를 들어 횡단면에서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테이너 하우징은 한쌍으로 서로를 향해 마주보는 두 개의 브레이크 요소와 한 쌍으로 서로를 향해 마주보는 두 개의 가이드 요소를 갖는다.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브레이크 요소는 유리하게 이 경우에는 동일한 이동 축 상에 배치되는 반면, 가이드 요소의 배치에 대한 다양한 옵션이 있다.
두 개의 브레이크 표면 각각은 브레이크 요소와 편리하게 개별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두 개의 가이드 표면 각각은 가이드 요소와 개별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접촉이 발생하는지 여부는 리테이너 하우징의 개구부에서 전후로 변위가능한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국부적 구성에 의존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요소는 스프링에 의해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표면의 방향으로 프리-텐션을 받고,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표면은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코스(course)에 걸쳐 높이가 불균일하게 연장되는 높이 프로파일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높이 프로파일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요소의 스프링이 인장된다.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상당히 높은 스프링 강성을 가지며, 이는 결과적으로 스프링의 인장의 경우 결과적인 1차 제동력 성분이 상당히 높아진다.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요소는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표면의 방향에서 스프링에 의해 바람직하게 프리-텐션되며, 이에 따라 브레이크 요소는 스프링이 인장되는 충분히 큰 높이를 가지는 브레이크 표면의 섹션을 걸쳐 이동할 때 축방향 스트로크를 실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표면은 스프링이 인장된 섹션과 스프링이 완화된 섹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코스에 걸쳐 높이가 불균일하게 연장되는 높이 프로파일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1차 힘 성분은 브레이크 표면의 대응하는 섹션의 실시예 및/또는 높이 프로파일의 선택에 의해 특히 양호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높이 프로파일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스프링이 점점 더 인장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대향하는 가이드 요소가 리테이너 하우징 상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요소는 각각 리테이닝 로드의 서로 먼쪽으로 향하는 두 개의 가이드 표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게 될 수 있으며, 두 개의 가이드 표면은 적어도 일 영역에서 두 개의 가이드 요소에 대해 오버사이즈를 갖는 것이 제공된다. 오버사이즈로 구비된 가이드 표면을 가이드 요소를 지나 이동시키기 위해, 보다 높은 힘을 리테이너 하우징의 시스템에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드 요소를 로드하는 프리-텐션 유닛이 재설정되거나 리테이너 하우징의 전체 시스템이 리테이닝 로드가 이동될 수 있도록 변형된다. 특히, 별도의 스프링 장치가 가이드 요소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 2차 제동력 성분이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경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요소가 각 경우에 핀으로 형성되며, 핀은 리테이너 하우징의 가이드 부분에 수용되는 것이 제공된다. 핀은 가이드 표면과의 맞물림을 위해 외부 윤곽의 일부를 제공하고 또한 가이드부에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우 비탄성인 핀은 또한 가이드 표면으로부터 리테이너 하우징 내로 힘을 전달한다.
제1 변형예에 따르면, 핀의 단부면은 리테이너 하우징의 개구부 내로 돌출되거나 적어도 리테이너 하우징의 경계를 정한다. 그 다음, 단부면은 개별적으로 연관된 가이드 표면과의 접촉이 의도되며, 핀의 원통형 측면에 대한 단부면으로부터의 전이는 주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둥굴게될 수 있다. 이 경우, 핀은 리테이닝 로드의 최소 두께에 대략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로 접촉하는 표면이 최대가 된다. 또한, 개구부 내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핀으로서의 가이드 요소의 실시예는 실시되는 핀이 과도하게 큰 직경을 갖지 않는 편평한 중심부를 갖는 크라운 팁을 구비한다는 이점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가이드 요소의 추가 기능, 즉 만곡된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특정 커브 안내를 달성하는 것이 덜 간섭된다. 핀이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제공된다면, 바람직하게는 단부면이 가이드 표면 슬라이딩 파트너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큰 표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고체 재료 핀으로서 형성된다.
핀은 리테이너 하우징의 가이드부의 대응하는 보어홀 내로 편리하게 가압되지만, 나사식으로, 접착식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른 비용 효율적인 대안에 따르면, 핀이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되는 경우 리테이너 하우징의 대응 가이드 부 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 후, 핀의 말단은 가이드부와 편리하게 동일한 평면에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핀은 개구부 내로 돌출하지 않고 리테이닝 로드의 높이에서 경계를 정한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핀의 반경방향 원주 표면이 개구부 내로 돌출하거나 적어도 개구부를 경계로 정한다. 일반적으로, 원주방향 섹션인 도어 리테이닝 로드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마주보는 핀의 부분은 리테이닝 로드를 제동하기 위해 가이드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바람직한 제1 구현예에 따르면, 핀은 고체 재료로 형성되고, 리테이너 하우징의 가이드에 형태맞춤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사출 성형된다. 그러나 핀을 오목부에 삽입한 다음 핀을 관통하는 스터드(stud)로 핀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핀의 원주방향 윤곽은 원하는대로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 하우징의 대응하는 리셉터클(receptacle)에서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다각형이며, 동시에 가이드 표면에 적합한 윤곽을 제공한다. 그러나, 리테이닝 로드가 개구부, 특히 가이드 표면 상에 제공되는 경사부(ramp)로 양호하게 주행하는 것을 보장하는 둥근 원주방향 윤곽을 가지는 핀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요소가 바람직하게 시작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프리-텐션된 패널 또는 패널부로서 리테이너 하우징에 부착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 가이드 요소는 리테이닝 로드의 가이드 표면으로부터 먼쪽으로 향하는 그 측면 상에 예를 들어 파지 또는 고정되는 리테이너 하우징에 수용된 스트럿(strut)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패널은 또한 리테이너 하우징의 대응 부분 상에 접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패널은 또한 개구부의 경계를 정하는 리테이너 하우징의 가이드부의 측면 상에 인서트 성형될 수 있다. 패널로서 본 실시예의 특별한 이점은, 리테이닝 로드를 개구부를 향한 방향으로 양호하게 안내하고 또한 오염에 상당히 민감하다는 것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요소는 리테이너 하우징의 가이드부로 형성된 표면 영역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 요소는 가이드부에 별도의 부분으로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 요소를 형성하는 표면 영역이 가이드부의 결합 표면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테이너 하우징은 종래 기술로부터의 리테이너 하우징과 외부적으로 구별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실시되는 리테이너 하우징은 또한 오버사이즈로 구비된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도어 리테이닝 로드를 갖는 차량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응하는 리테이너 하우징이 빈번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핀으로서 실시되는 가이드 요소와 관련하여 이 변형은 생산하기에 비교적 간단하다. 적어도 표면 영역은 이 경우 섬유 보강재 없이 형성된다. 표면 영역은 유리하게는 더 작은 두께로 가이드 표면을 향해 마주보는 가이드부의 새들 영역을 포함한다. 표면 영역은 유리하게는 개구부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지만, 이 높이의 중간 영역에서만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으로 형성된 표면 영역은 고체 부분을 인서트 성형하거나 레이저를 사용한 열처리 또는 선택적 코팅에 의해 가이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인서트 성형 또는 사출 성형의 경우, 표면 영역의 단부는 유리하게는 브레이크 요소를 안내하는 하우징 부분의 영역 내로 연장하고 유리하게는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가이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표면에 대해 인장된다. 인장은 가이드 요소가 예를 들어 얇은 벽 패널 부품 또는 하중 베이스로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 요소의 고유 장력으로 인해 교대로 발생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자체적으로 변형가능한 리테이너 하우징은 리테이너 하우징에 부착된 가이드 요소, 특히 리테이너 하우징의 가이드부를 인장시키고, 이에 따라 가이드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요소의 프리-텐션을 생성한다. 가이드 표면이 가이드 요소를 따라 변위되면, 가이드 요소는 시프트 또는 편향되며, 이에 따라 오버사이즈로 치수가 정해진 리테이닝 로드는 가이드 요소를 지나서 변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강 또는 탄성 재료로 제조된 스터드가 리테이너 하우징에 수용되고, 리테이닝 로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요소를 가지는 가이드부를 적재하는 것을 제공한다. 스터드는 예를 들어 리테이너 하우징의 추가 부분의 약간 비스듬한 형태로 실시되는 보어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벌지(bulge) 또는 프리-텐션을 가질 수 있다.
비용효율적인 모듈식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요소는 리테이너 하우징의 별도의 가이드부 상에 제공되며, 별도의 가이드부는 리테이너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리테이너 하우징의 추가 개별 부분으로 조립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이드 요소가 설치되기 전에 미리 가이드 요소 상에 또는 가이드부 내에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게하며 이는 전체적으로 리테이너 하우징의 설치 용이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리테이너 하우징은 브레이크 요소를 수용하는 두 개의 하우징부 및 두 개의 가이드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부품이 제공된다.
리테이너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원주방향이거나 적어도 리테이너 하우징의 3 개의 측면을 둘러싸는 보강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이고, 리테이닝 로드의 가이드 표면으로부터 가이드 요소로 전달되는 힘을 어느정도 흡수하며, 이에 따라 리테이너 하우징의 파손 또는 데미지를 방지한다. 리테이너 하우징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히 추가 하우징부로의 가이드부의 연결 영역을 보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 하우징부가 가이드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여 개구부로부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볼트를 갖는 것이 유리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 하우징부로부터 가이드부로의 전이에 대한 파손 민감 영역은 유리하게 더 강화된다. 특히 유리한 변형예에 따르면, 볼트가 각각 하우징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고 하우징부의 리테이닝 플레이트 상에 적어도 일 단부, 바람직하게 양 단부에서 리벳 결합되는 것이 제공된다.
리테이닝 로드는 전체적으로 도어를 잠그기 위한 목적에 적합한 임의의 윤곽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의 다양한 제동 또는 유지 특성이 설정 가능하다. 특히, 리테이닝 로드는 금속 코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 표면 및/또는 브레이크 표면 상에 플라스틱 케이싱을 장착할 수 있다.
가이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 하우징 상에 토크 없이 실질적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딩 섹션으로 형성되고, 2차 제동력 성분은 마찰 쌍의 마찰 계수에 의해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이드 요소는 리테이너 하우징 및또는 그 가이드부 내로 힘을 균일하게 도입한다. 또한, 가이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 하우징에 대해 변위 가능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보어홀과 같은 길이방향 가이드가 리테이너 하우징 상에 제공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 가이드 요소에 작용하는 힘이 리테이너 하우징으로 직접 도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요소는 가이드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롤러로 형성되며, 롤러는 가이드 표면으로 롤러 원주와 결합된다. 이 목적을 위해, 롤러 원주는 그 중심 평면을 향해 떨어지는 쐐기형 또는 U자형의 함몰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롤러 원주의 중심에 대해 유지 로드를 중심에 둔다. 이 목적을 위해, 롤러는 편리하게 롤러 베어링, 예를 들어 상술한 볼트들 중 하나에 장착되며, 가이드 표면으로부터 롤러 내로 도입되는 축방향 변위는 롤러의 베어링을 사용하여 흡수된다.
가이드 요소는 편리하게는 개구부의 높이에 대해 중앙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유리하게는 도어 리테이닝 로드가 또한 작동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가이드 요소가 개구부 또는 그 실질적인 부분의 전체 높이를 덮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따라 그 단부가 리테이너 하우징 내로 더 쉽게 카운터싱크(countersink)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개선, 특성 및 구현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종속항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비롯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홀더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 홀더의 리테이너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홀더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도어 홀더의 확대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홀더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리테이너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리테이너 하우징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홀더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리테이너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홀더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리테이너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리테이너 하우징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1 및 도 2의 리테이너 하우징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어 리테이닝 로드(20) 및 리테이너 하우징(30)을 포함하는 도어 홀더(10)가 도 1에 사시도로 도시된다. 리테이닝 로드(20)는 조인트(21)를 통해 일점 쇄선(1)으로 표시된 도어 프레임의 외향 측면을 고정하기 위한 피팅(22)과 연결된다. 리테이너 하우징(30)은 일점 쇄선(2)으로 표시된 도어의 내향 측면 상에 부착되고, 리테이닝 로드(20)가 이를 통해 안내하는 중심 개구부(31)를 갖는다. 리테이닝 로드(20)는 유리 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로 제조된 섬유 보강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지는 사출 성형 부품으로 형성된다.
리테이닝 로드(20)는 연결부(21)로부터 먼쪽으로 향하는 단부 상에, 리테이닝 로드(20)가 개구부(31)를 통해 미끌어질 수 없도록 충분히 큰 치수로 된 단부 정지부(23)를 갖는다. 도어가 완전히 열리면, 단부 정지부(23)는 개구부(31)의 양 측에 배치된 리테이너 하우징(30)의 정지 요소(32)에 충돌하여 정지부(32)와 리테이너 하우징(30)의 충돌을 감쇠시키고 소음을 또한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리테이닝 로드(20)는 도어(2) 및 도어 프레임(1)의 힌지 축을 중심으로 반경에 다소 적합한 약간의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도어 리테이닝 로드(20)는 리테이너 하우징(30)의 개구부(31)를 통해 작은 노력으로도 이동가능하다. 이 경우, 리테이너 하우징(30)을 통과하는 도어 리테이닝 로드(20)의 일부는 도어(2)의 내부에 수용되며, 이에 따라 곡률은 유리하게 도어(2)의 연결부의 반경에 의해 미리 정의된 것보다 더 평탄해져서, 도어(2)의 폭을 불필요하게 넓히지 않게 된다.
도어 리테이닝 로드(20)는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방 및 하방을 향한 넓은 측면은 각각 두 개의 신장된 브레이크 표면(24a, 24b)을 형성하며, 횡방향으로 배치된 좁은 측면은 리테이닝 로드(20)의 가이드 표면(25a, 25b)을 형성한다.
브레이크 표면(24a, 24b)은 그것의 연결부(21)로부터 단부 정지부(2)까지의 코스에서 다수의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섹션(40)은 리테이닝 로드(20)가 연장 방향으로 저항 없이 리테이너 하우징 (30)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자유 운동 섹션 또는 조임 보조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경사 섹션(41)은 양 브레이크 표면(24a, 24b) 상에 배치된 경사부에 의해 구별된다. 본 발명의 경우 하나의 경사 섹션(41)이 도시되어 있지만, 더 두꺼운 리테이닝 로드(20)를 형성하기 위해 정지부(23)를 향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덜 두꺼운 리테이닝 로드(20)를 형성하기 위해 정지부(2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사부와 같은 다수의 슬로프가 각각 경사 섹션(41)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립 섹션(42)은 경사 섹션(41)에 인접하며 리테이닝 로드(20)의 두께는 리테이너 하우징(30)에서 일정한 힘으로 유지되도록 선택된다. 마지막으로, 도어(2)의 유지 위치를 한정하고 리테이닝 로드(20)가 두꺼운 치수를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사부를 갖는 양 방향으로 제공되는, 정지부(23) 앞에 오목부(46)가 형성된 단부 섹션(43)이 제공된다.
섹션(40, 41, 42, 43)은 또한 다른 시퀀스 또는 다른 치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션이 브레이크 표면(24a, 24b)의 일부뿐만 아니라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부 섹션(43)으로부터의 함몰부(46)보다 더 많은 함몰부가 섹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언급된 섹션 중 일부만 또는 일부 섹션을 여러 번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언급한 섹션보다 많은 섹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아래에 상세히 후술될 섹션(41, 42, 43)은 리테이너 하우징(3)과 함께 도어 리테이닝 로드(20)의 변위에 대한 1차 제동력 성분을 발생시킨다.
또한, 그립 섹션(42)의 대략적인 범위(extension)에 걸쳐, 리테이닝 로드(20)의 가이드 표면(25a, 25b)은 입구(49a) 및 출구(49b)를 갖는 확대 영역(49)을 추가로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확대 영역(49)은 가이드 표면(25a, 25b)의 양 측면 상으로 돌출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확대 영역(49)이 리테이너 하우징(30)과 함께 도어 리테이닝 로드(20)의 변위에 대한 2차 제동력 성분을 발생시키는 결과를 갖는다.
리테이너 하우징(30)은 리테이닝 로드(20)의 브레이크 표면(24a, 24b)을 향하여 마주보며 대향하는 쌍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평탄면(31a)을 가지며, 리테이너 하우징(30)의 하우징부(34) 중 하나의 경계 각각에는 중앙 리세스(33)가 형성되며(도 2), 각각의 리세스(33)에는 브레이크 요소(50) 및 이를 프리-텐션하는 스프링 요소가 수용된다. 이 경우, 스프링 요소는 하우징부(34a, 34b)의 슬롯(36)에 삽입된 접촉 플레이트(52)에 대해 지지되며, 이에 따라 브레이크 요소(50)는 각 경우에 이를 향하여 마주보는 브레이크 표면(24a, 24b)을 향해 프리-텐션된다. 브레이크 요소(50)는 대략 원통형 자켓 섹션으로부터 연장되는 크라운 표면을 가지며, 원통형 자켓 섹션은 리세스(33) 내로 개방되는 보어홀(33a)에서 축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원통형 자켓 섹션은 중공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은 중앙 보어홀(33a)의 원주형 벽(circumferential wall)과 마찰 소음을 일으키지 않고 원통형 자켓 섹션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은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지만, 이를 위해 컵 스프링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통형 자켓 섹션의 외부 주변 벽은 이동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주형 플루트를 가지며, 또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트위스트 락이 원통형 자켓 섹션 상에 형성되며, 트위스트 락은 보어홀(33a)의 길이방향 연장 홈과 협동하여 브레이크 요소(50)가 축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리테이너 하우징(30)은 일체형 플라스틱 부품으로 제조되며, 브레이크 요소(5) 및 스프링은 표면(31a)으로부터 먼쪽으로 향하는 상부 및 하부 단면에 제공되는 중앙 통로(37)를 통해 삽입 가능하며, 삽입 후 볼트 플레이트(52)는 보어홀(33a)을 가로지르는 슬롯(36) 내로 삽입된다. 브레이크 요소(50) 및 스프링의 삽입시 리세스(31)에 도어 리테이닝 로드(20)를 미리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으로, 보어홀(33a)을 통로(37)를 갖지 않는 포켓 구멍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리테이너 하우징(30)은 리테이닝 로드(2), 브레이크 요소(50) 및 스프링과 볼트 플레이트(52) 없이 도2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밖의 숨겨진 세부사항을 더 잘 인식할 수 있다.
리테이너 하우징(30)은 리테이닝 로드(2)가 또한 변위 가능하도록 중심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mirror-symmetrical)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요소(50)가 각각의 경우에 상측 및 하측 모두에 배치되고, 그들을 향하여 마주보는 브레이크 표면(24a, 24b)과 연결되는 그들 둘은 리테이닝 로드(20)가 스프링이 적용되는 브레이크 요소(50)를 따라 변위될 때 도어 리테이닝 로드(20)의 변위에 대해 1차 제동력 성분을 생성한다. 이는 섹션(41, 42, 43)의 경우 모두에 해당하고, 프리휠 섹션(40) 내의 브레이크 표면(24a, 25a)의 거리에 의해 한정되는 리테이닝 로드(20)의 두께는 브레이크 요소(50)와 접촉이 없거나 사실상 접촉이 없도록 치수가 정해지며, 이에 따라 도어(2)는 보다 작은 힘의 적용시에도 도어 락 내로 미끌어질 수 있다.
두 개의 하우징부(34)는 리테이너 하우징(30)의 두 개의 가이드부(35)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이들은 수직 평면에 대해 그리고 개구부(31)의 양 측면 상에 거울상으로 배치되고, 리테이너 하우징(30)의 외벽(38)이 편평하게 구현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가이드부(35)는 본 실시예에서는 새들 루프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새들의 꼭지점은 대향한느 리세스(33) 또는 보어홀(33a)의 중심 축의 높이로 대략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테이닝 로드(20)가 브레이크 요소의 영역에서 두 개의 가이드부(35) 사이로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 얇은 벽 클램프로 형성되고 또한 안장 지붕과 같은 형상을 갖는 패널부로서 형성되는 가이드 요소(35a, 35b)는, 각각의 경우에 가이드부(35)의 새들의 영역에서 끼워진다. 후방 측면에서, 클램프는 가이드부(35)의 대응하는 홈에 끼워질 수 있는 웹(351)을 갖는다. 가이드 요소(35a, 35b)는 가이드 표면(25a, 25b)을 향하여 마주보는 외측을 향하는 측부를 가지는 다소 탄성이고 따라서 항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의 경우 가이드 표면을 개구부(31)를 통해 브레이크 요소로 90의 각도로 안내한다. 이 경우, 가이드 요소(35a, 35b)의 거리는 두 개의 가이드 표면(25a, 25b)의 거리로서 측정가능한 영역(49) 외부의 유지 로드(20)의 폭보다 크다. 대조적으로, 영역(49)에서, 리테이닝 로드(20)의 폭은 가이드 요소(35a, 35b)의 서로를 향하여 마주보는 외부 표면의 거리보다 크며, 이에 따라 섹션(50)이 가이드 요소(35a, 35b)와 접촉하여 리테이닝 로드(20)의 가압이 발생할 때마다, 도어 리테이닝 로드(20)의 변위에 대한 2차 제동력 성분이 발생한다.
영역(49)과 이에 인접한 리테이닝 로드의 좁은 측면의 영역 사이의 두께 차이는 약 8 mm이다. 리테이닝 로드(20)의 인접한 영역에서, 이는 단지 가이드 요소(35a, 35b)를 통해 끼워지며, 이에 따라 두 개의 가이드 요소(35a, 35b) 각각은 약 4mm 뒤로 이동해야 한다. 이는 한편으로는 가이드부(35) 상의 가이드 요소(35a, 35b)의 탄성 수용에 의해 달성되고;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리테이너 하우징(30)의 전체의 변형이 이 목적을 위해 요구되며, 이에 따라 도어 리테이닝 로드를 변위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브레이크 요소(50) 및 브레이크 표면(34a, 34b)의 1차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대해 실질적으로 상승된다. 대조적으로, 영역(49)의 외측에서, 리테이닝 로드(20)는 오버사이즈를 갖춘 종래 기술로부터의 도어 홀더와 같이 개구부(31)를 통해 2차 제동력 성분의 생성 없이 미끌어진다.
이 목적을 위해, 어떤 경우에도 적어도 영역(49)과 가이드 요소(35a, 35b)는 다수의 전후 운동 동안에도 재료 두께가 변하지 않는 재료로부터 선택되며, 이에 따라 현실적으로 2차 제동력 성분의 현저한 변화는 마모 등에 기인하여 시간이 지나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 목적을 위해, 섬유가 각각의 다른 영역(49)을 연마 처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가이드 요소(35a, 35b) 및 영역(49) 중 하나 이상은 섬유 보강재 없이 구현된다.
가이드 요소(35a, 35b)는 리테이너 하우징(30)의 각각의 가이드부(35)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 장치에 의해 동시에 가이드 요소(35a, 35b)가 프리-텐션된다. 그러나,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접착제 본딩, 인서트 성형, 리벳팅 등에 의해 가이드 요소(35a, 35b)를 가이드부(35) 상에 견고하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어 리테이닝 로드(20)가 영역(49)을 통해 가이드 요소 및/또는 리테이너 하우징(30)을 넓힐 때 가이드 요소(35a, 35b)에 의해 생성된 힘 성분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F)로 표시된다.
도 3 및 도 4는 도어 홀더(1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구조적으로 비교가능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며, 수정된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100만큼 증가된다.
도어 홀더(110)는 상이한 하중으로 설계되고 도 1 및 도 2의 도어 홀더(10)와는 상이한 리테이닝 프로파일을 갖는다. 따라서, 도어 홀더의 도어 유지 로드(120)는 하나의 브레이크 표면(24b) 상의 그립 섹션(42)에서 다수의 캐치 오목부(46)를 갖는다. 대향하는 측면은 브레이크 표면(24a)과 같이 거울상으로 구현되며 상세한 설명을 위해 모든 세부사항이 도시되지는 않는다. 또한, 리테이닝 로드(120)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을 가지며, 이에 따라 가이드 표면(24a) 상에 영역(49)이 제공되지 않는다. 받침대(152) 대해 지지되는 스프링(51)이 인가되는 브레이크 요소(50)는 각각의 경우에 브레이크 표면(24a, 24b)에 양 측으로부터 거울상으로 적용된다. 받침대(152)는 금속 플레이트이며, 리테이너 하우징(130) 내로 사출 성형되고, 리테이닝 로드(120)의 변위 및 브레이크 요소(50)의 후방 가압 동안 스프링(51)을 지지한다.
또한, 리테이너 하우징(130)은 섬유강화 플라스틱 조각으로 사출 성형되며, 고정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39a)가 도어(2)와의 접촉을 위한 하나의 단부면(39) 상에 제공된다.
가이드 표면(25a)과 대략적으로 정렬되는 측벽(138)의 영역에서는, 섬유 보강재 없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슬라이더로 형성된 가이드 요소(135a)가 연결되며, 슬라이더는 리테이너 하우징(130)의 벽(138) 내로 사출 성형된다. 받침대를 형성하는 벽(138) 상에 가이드 요소(135a)의 근위 단부가 고정되거나 대안적으로 클램핑되는 동안, 가이드 요소(135a)의 원위 단부는 가이드 표면(25a)과 인장 상태로 맞물리고 하중 암을 형성하는 각진 단부를 형성한다. 그 후, 가이드 요소(135a)는 가이드 표면(25a)과 마찰 쌍을 형성하며, 이는 도어 리테이닝 로드(120)의 변위에 대향하는 제2 힘 성분을 생성한다.
도 4에서 가이드 요소(135a)는 도어 리테이닝 로드(120)의 폭의 대략 절반과 중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섬유 보강재가 없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슬라이더로서 형성된 가이드 요소(135a)는 단면으로 도시된 거울상 하우징부(134)의 측면 상에 편리하게 다시 부착되고, 이에 따라 두 개의 가이드 요소(135a)는 가이드 표면(25a)을 적재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두 개의 가이드 요소(135b)는 리테이너 하우징(130)의 대향 측면 상의 가이드 표면(25b)과 마찰식으로 결합된다. 가이드 요소(135a, 135b) 및 가이드 표면(25a, 25b)이 2차 제동력 성분을 생성하는 동안, 브레이크 요소(50) 및 브레이크 표면(24a, 24b)는 다시 2차 제동력 성분을 생성한다. 가이드 표면(25a, 25b)의 프로파일이 돌출부 또는 영역(49) 없이 균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2차 제동력 성분은 리테이닝 로드(120)의 범위에 대해 일정하다.
도 5는 도어 홀더(2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구조적으로 비교가능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며, 수정된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200만큼 증가된다. 도 1의 리테이닝 로드(20)와 동일한 리테이닝 로드는 다시 도시되지 않았다. 브레이크 요소(50)의 원주형 플루트(50a)가 보일 수 있다.
리테이너 하우징(230)은 도 1 및 도 2의 리테이너 하우징(30)과 달리, 가이드부(35)가 그의 새들의 영역에서 개구부(31)의 절반높이에서 핀으로 형성된 가이드 요소(235a, 235b)를 각각 가질 수 있으며, 핀은 편평한 중앙 섹션(2352)을 갖는 크라운 팁(2351)으로 개구부 내로 돌출하며, 팁(2351)은 각각의 경우에 가이드 표면(25a, 25b) 중 하나와 결합한다. 핀(235a, 235b)은 대칭적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그의 두 개의 단부 또는 팁에서 동일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양 하우징부(35) 상에 양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핀(235a, 235b)은 가이드부(35)의 재료로 가압되며, 따라서 리테이너 하우징(230) 상에 고정된다. 그러나, 언더컷을 사용하여 형상 맞춤 방식(formfitting manner)으로 유지하거나, 사출 성형하거나, 나사를 조이는 것도 가능하다. 압입은 핀(235a, 235b)의 관통 깊이가 동일한 리테이너 하우징 상에 적용됨에 따라 교정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핀(235a, 235b)이 나사결합되는 경우, 가이드부(35)의 대응하는 보어홀은 나사 체결에 의해 나사산이 제공될 것이며, 이에 따라 조절에 의한 나사 삽입 깊이의 변화가 가능하지 않다.
리테이닝 로드(20)가 영역(49)을 갖는다면 이는 가이드 요소(235a, 235b)와 압입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리테이닝 로드가 개구부(31)에서 변위가능하도록 리테이너 하우징(230)이 펼쳐지거나 적어도 변형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제2 유지력이 생성된다. 가이드 요소(235a, 235b)는 주로 가이드부(35)에 수용되며, 이에 따라 도어 리테이닝 로드(20)와의 접촉시에 이탈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향하는 핀(235a, 235b)는 서로 정렬되고, 그의 공통 주축은 브레이크 요소를 수용하는 보어홀(33a)의 공통 주축과 교차한다.
리테이너 하우징(230)에 추가 보강을 위한 강철 스프링 케이지를 또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하중 파손의 위험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케이지가 리테이닝 로드(20)로부터 먼쪽으로 향하는 핀(235a, 235b)의 팁을 둘러싸는 경우, 이들은 가이드부(35)의 대응하는 보어홀에 고정 연결 없이 삽입될 수 있다. 핀(235a, 235b)은 각각의 경우 폴리에틸렌 에레트 케톤(PEEK)으로 제조되며, 그 융점은 리테이닝 로드(20)와의 반복된 마찰시에도 도달하지 않는다.
도 6은 도어 홀더(210')의 변형예를 도시하며,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구조적으로 비교가능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며, 단지 차이점만이 설명될 것이다. 핀으로 형성된 가이드 요소(235a', 235b')는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35) 내로 사출 성형되며, 이에 따라 핀(235a', 235b')의 상이한 형상이 적절하며, 그들은 개구부(31) 또는 표면(38)을 향하여 마주보는 가이드부(3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핀(235b')의 팁은 가이드부의 새들과 정렬된 러그(2356)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대칭으로 형성되지 않은 핀(235a', 235b')의 후방 측면은 편평하고 표면(38)과 동일평면에 형성된다.
도 7은 도어 홀더(3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구조적으로 비교가능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며, 수정된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300만큼 증가된다. 도 1의 리테이닝 로드(20)와 동일한 리테이닝 로드는 다시 도시되지 않았다. 브레이크 요소(50)의 원주형 플루트(50a)가 보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에서 리테이너 하우징(310)은 일체형 부품으로 제조되지 않고, 오히려 분리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부(334) 및 가이드부(335)를 가지며, 이는 함께 리테이닝 로드(20)를 위한 개구부(31)의 경계를 정한다.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사출 성형품으로 각각 형성된 상기 부품(334, 335)은 리테이너 하우징(310)을 형성하도록 함께 플러깅(plug)될 수 있으며, 하우징부(334)는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해 가이드부(335)의 보어홀(62)에 삽입가능하게 금속으로 제조된 돌출 스터드(61)를 구비한다. 또한, 가이드부(335)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대략 삼각형의 돌출부(63)는 하우징부(334)의 상보적으로 형성된 오목부(64)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부(334)와 가이드부(335)는 쌍으로 동일하며, 이에 따라 리테이너 하우징(310)을 조립하는 데 단지 두 종류의 부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부품(334, 335)을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터드(61)의 보어홀을 관통하는 핀은 또한 부품(334)의 각각에 고정 부목으로서 삽입될 수 있다. 리테이너 하우징(310)에 요구되는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원주방향 강철 스프링 케이지가 4 개의 부품(334, 335) 모두의 둘레에 대해 인장된다.
가이드 요소(335a, 335b)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에는 클램프로 형성되지만, 가이드부(335)의 재료는 본 발명의 경우에는 압출된다. 따라서, 가이드 요소(335a, 335b)는 가이드부(335)에 대해 움직일 수 없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 중 하나에서와 같이 가이드부(335) 상에 가이드 요소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도어 홀더(4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구조적으로 비교가능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며, 수정된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는 도 7에 따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100만큼 증가된다. 도 1의 리테이닝 로드(20)와 동일한 리테이닝 로드는 다시 도시되지 않았다.
리테이너 하우징(430)은 두 개의 하우징부(434) 및 두 개의 가이드부(435)로부터 다시 조립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돌출부(61) 대신에, 연속 스터드(461)가 각각의 경우에 두 개의 하우징부(434) 및 두 개의 가이드부(435) 중 하나를 서로 결합시키고, 이들은 각각 접촉 플레이트(452) 상에 리벳팅된다.
스터드(461)는 또한 이 경우에 중공 핀으로서 형성되고 각각의 가이드부(35)에서 사출 성형되는 가이드 요소(435a, 435b)를 관통한다. 가이드 요소(435a, 435b)의 반경 방향 원주 표면은 개구부(31)를 향하여 마주보는 가이드부(435)의 표면과 정렬하고, 리테이닝 로드(20)의 가이드 표면(25a, 25b)과 마찰 쌍을 형성하며, 스터드(461)는 일종의 프리-텐션된 스프링을 형성한다. 따라서, 스터드(461)는 리테이너 하우징(430)의 변형에 의해 생성된 하중의 대부분을 흡수한다.
도 9는 도 8의 리테이너 하우징(430')의 변형예를 도시하며, 도 8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구조적으로 비교가능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8과는 대조적으로, 가이드 요소(435a')는 가이드부(35)에서 사출 성형되지 않고, 오히려 표면(38)의 리세스(71)에 대향하는 편평한 측면(7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스터드(461) 상의 두꺼운 부분(461a)은 보어홀(62) 내에 압입되어 가이드 요소(435a', 435b')를 유지한다. 가이드 요소(435a', 435b')는 대향하는 편평한 측면(72)에 더하여, 그 둘레 상의 두 개의 맞물림 둥근 영역을 가지며, 이들은 개구부(31)를 향하여 마주보는 가이드부(435)의 측면으로부터 다소 돌출하거나 개구부(31)를 향하여 마주보는 가이드부(435)의 측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연장함으로써 적어도 개구부(31)의 경계를 정한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 두꺼운 부분(461a)과 보어홀(62)을 프리즘형 단면으로 형성하여, 스터드(461)와 가이드 요소(435a', 435b') 사이에 트위스트 락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리세스(71)가 편평한 측면(72)에 대해 미끄러짐을 갖는다면, 가이드 표면을 통해 도입된 힘이 스터드(62)에 의해 실질적으로 흡수되며, 이에 따라 리테이너 하우징(430')에 대해 파손의 위험이 감소된다. 도 5의 핀(235a, 235b)과 같은 축방향 돌출 핀을 스터드(62)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도 1 및 도 2의 리테이너 하우징(30')의 변형예를 도시하며, 이에 따라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구조적으로 비교가능한 부분을 나타낸다.
패널 부품으로 형성된 도 1 및 도 2의 가이드 요소(35a, 35b)와는 대조적으로, 가이드 요소(35a', 35b')는 본 발명의 경우 개구부(31)의 전체 높이에 걸쳐 있고 가이드부(35) 상에 견고하게 형성되는 표면 영역에 의해 구현된다. 표면 영역(35a', 35b')은 가이드부(35) 상에 얇은 벽 브라켓형 섹션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조되지만, 이 지점에서 매설된 핀 또는 도포된 필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표면 영역(35a', 35b')은 열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표면을 처리함으로써 탬퍼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섬유강화 PEEK에서 표면 영역(35a', 35b')의 재료로부터 표면 영역(35a', 35b')을 포함하는 가이드부(35)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면 영역(35a', 35b')은 유리하게는 리테이너 하우징(30')의 가이드부(35)에 대해 견고하게 연결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도 1 및 도 2의 패널 부품(35a, 35b)과는 대조적으로 그에 대해 이동가능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도어 리테이닝 로드(20)의 영역에 의해 벌어지지 않기 위한 반발력이 리테이너 하우징(30')에 의해 한정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리테이너 하우징(30')은 가이드부의 영역에서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테이너 하우징(30')의 질량 및 도어(2)에서 필요한 설치 공간이 작아진다.
리테이너 하우징(30')은 제동력 성분을 생성할 수 있는 전용 표면 영역(35a', 35b')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리테이너 하우징과 상이하다.
또한, 일체로 제조된 리테이너 하우징에서, 가이드부(35)로부터 하우징부(34)로의 전이 영역은 섬유 보강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는 가이드 표면(25a, 25b) 및 가이드 요소(35a, 35b)의 압입에 의해 발생된 인장 응력을 더 잘 흡수하며, 이는 플라스틱 부품에서 중요할 수 있으며, 다소 편향된다.
도어 홀더의 기능은 모든 실시예에서 원칙적으로 동일하다. 1차 제동력 성분 및 2차 제동력 성분의 설계는 리테이닝 로드의 섹션 및 영역의 실시예에 의해 실질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각각의 리테이너 하우징은 리테이닝 로드만이 적용되는 경우 다양한 도어 유지 특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 요소 및 리테이너 하우징의 다양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모든 리테이너 하우징은 기술된 가이드 요소들 중 임의의 것과 원칙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은 본 출원의 개시사항의 일부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지만,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브레이크 표면은 거울상 프로파일을 가진다. 즉, 경사 섹션 등은 각각의 제동면 모두에 제공된다. 두 개의 브레이크 표면 중 하나만이 이러한 프로파일을 가지며, 다른 하나는 본질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프로파일링을 향하여 마주보는 브레이크 요소가 스프링에 의해 프리-텐션된 프로파일에 이동가능하게 조절가능할 필요는 없다. 브레이크 요소에 대향하는 리테이너 하우징의 단부는 편평한 지지 표면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변형 가능하거나 축방향으로 조정가능한 브레이크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표면이 리테이닝 로드의 넓은 측면 상에 형성되며 가이드 표면이 리테이닝 로드의 좁은 측면 상에 형성되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이는 또한 역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리테이닝 로드는 브레이크 표면 및 가이드 표면의 범위가 대략 동일한 대략 사각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요소가 보어홀로 구현된 길이방향 가이드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브레이크 요소는 예를 들어 리테이너 하우징 상에 연결된 브레이크 요소에 의해 브레이크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다르게 조절될 수 있고, 이는 링크 축을 중심으로 피봇되어 브레이크 슈(break shoe)를 형성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비틀림 스프링이 적용된 롤러 또는 소켓에 수용된 볼(ball)이 고려된다.
본 발명은 사출 성형 방법에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일체형 부품으로 제조되거나 두 개의 가이드부 및 두 개의 하우징부로 조립되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하나의 가이드부는 각각의 경우에 하우징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나의 가이드부와 하나의 하우징부로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유닛, 특히 점 대칭 및/또는 동일하게 형성된 유닛은 리테이너 하우징의 조립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 표면이 슬라이드 하여 특히 높은 2차 제동력 성분을 생성하는 슬라이드 또는 슬라이딩 표면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부에 고정되거나 약간만 이동 가능한 가이드 요소를 갖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가이드 표면에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부 상에 또는 내부에 제공되는 볼트나 스터드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부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리테이너 하우징의 부품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리테이너 하우징의 부품은 리벳팅에 의해 추가 부품에 연결되거나 프라스틱 재료가 사출 성형되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요소가 반구형 또는 크라운형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동일한 방식으로, 브레이크 요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와 함께 바람직하게 맞물릴 수 있는 러그형상(lug-shape)의 단부면을 가질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가이드 요소가 리테이너 하우징의 가이드부 각각의 상에 배치되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리테이닝 로드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수의 가이드 요소가 각각의 가이드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 후, 가이드 요소의 두 개의 대향 배열은 거울상으로 배열될 수 있고, 또한 리테이닝 로드의 변위 방향으로 반으로 나누어 오프셋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돌출 가이드 요소가 두 개의 대향하는 돌출 가이드 요소의 중심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가이드 요소로부터 먼쪽으로 향하는 가이드부(35)의 표면(38)이 하우징부(34)의 측벽과 대략 정렬되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가이드부는 하우징부(34)를 유사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드 요소는 또한 축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로딩될 수 있고 축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리테이너 하우징은 본질적으로 더하기 기호와 같이 형성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도어 리테이닝 로드가 제1 및 제2 가이드 표면을 갖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예를 들어,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단면이 육각형인 경우, 도어 리테이닝 로드는 제3 및 제4 가이드 표면을 더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경우 모든 가이드 표면 또는 가이드 표면 중 개별적인 하나만이 가이드 요소와 상호작용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0)

  1. 도어 홀더로서,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연결가능한 리테이너 하우징; 및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의 개구부를 관통하고 다른 도어 및 도어 프레임와 연결되는 도어 리테이닝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리테이닝 로드는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표면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표면의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요소는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 상에 배치되며, 상기 브레이크 요소는 적어도 섹션에서 상기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요소와 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변위에 대하여 1차 제동력 성분을 생성하며,
    상기 도어 리테이닝 로드는 상기 브레이크 표면에 대해 기울어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표면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가이드 요소는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 상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요소는 적어도 영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표면과 접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변위에 대하여 2차 제동력 성분을 생성하며,
    상기 가이드 요소는 핀으로 형성되며, 상기 핀은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의 가이드부에 수용되며, 상기 핀의 단부면은 상기 개구부 내로 축방향으로 돌출하거나 적어도 상기 개구부의 경계를 정하는,
    도어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요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도어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PEEK를 포함하는,
    도어 홀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요소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요소의 상기 가이드 표면과 접하는 영역에서 강화 섬유가 없는,
    도어 홀더.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의 보어홀(borehole) 내에 수용되는,
    도어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홀은 상기 하나 이상의 변위가능한 브레이크 요소의 축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축을 가지는,
    도어 홀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의 보어홀에 나사결합되는,
    도어 홀더.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만곡된 단부면을 가지며, 이는 상기 가이드 표면를 따른 미끄러짐을 촉진하는,
    도어 홀더.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소는 상기 가이드 표면을 향해 인장되는,
    도어 홀더.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요소는 상기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표면의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프리-텐션(pre-tension)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표면은 상기 도어 리테이닝 로드의 코스에 걸쳐 높이가 불균일하게 연장하는 높이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높이 프로파일의 높이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요소의 스프링이 점점 인장되는,
    도어 홀더.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리테이닝 로드는 한 쌍으로 서로로부터 먼쪽으로 향하는 두 개의 브레이크 표면을 가지며, 도어 리테이닝 로드는 한 쌍으로 서로로부터 먼쪽으로 향하는 두 개의 가이드 표면을 가지는,
    도어 홀더.
  12. 제11항에 있어서,
    두 개의 브레이크 표면 각각은 브레이크 요소와 접촉할 수 있으며, 두 개의 가이드 표면 각각은 가이드 요소와 각각 접촉할 수 있는,
    도어 홀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쌍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 요소는 쌍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브레이크 요소의 변위 축을 가로지르는 최단 연결 직선 라인을 정의하여, 상기 두개의 라인이 평면에 걸쳐있는,
    도어 홀더.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먼쪽으로 향하는 두 개의 가이드 표면과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각각 접촉할 수 있는 두 개의 대향하는 가이드 요소가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 상에 배치되며, 상기 두 개의 가이드 표면은 적어도 영역에서 상기 두 개의 가이드 요소에 대하여 오버사이즈를 가지는,
    도어 홀더.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소는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의 개별 가이드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개별 가이드부는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의 추가 개별 부품으로 조립될 수 있는,
    도어 홀더.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7030382A 2016-04-13 2017-04-12 도어 홀더 KR102471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6826.8A DE102016106826A1 (de) 2016-04-13 2016-04-13 Türfeststeller
DE102016106826.8 2016-04-13
PCT/DE2017/100302 WO2017178018A1 (de) 2016-04-13 2017-04-12 Türfestste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905A KR20180135905A (ko) 2018-12-21
KR102471663B1 true KR102471663B1 (ko) 2022-11-25

Family

ID=58738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382A KR102471663B1 (ko) 2016-04-13 2017-04-12 도어 홀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92828B2 (ko)
EP (1) EP3417132B1 (ko)
JP (1) JP7088844B2 (ko)
KR (1) KR102471663B1 (ko)
CN (1) CN109072645B (ko)
DE (1) DE102016106826A1 (ko)
MX (1) MX2018012412A (ko)
WO (1) WO20171780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9444B2 (ja) 2015-11-06 2020-01-15 マルチマティック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Multimatic Inc. 車両ドアチェッカー
DE202017105612U1 (de) * 2017-09-15 2017-09-28 Edscha Engineering Gmbh Türfeststeller
JP7099671B2 (ja) * 2019-04-09 2022-07-1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リンク装置
KR20210010726A (ko) * 2019-07-18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US11367493B2 (en) 2019-07-18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s and program methods thereof
CN111058704B (zh) * 2019-12-31 2022-05-31 武汉路特斯汽车有限公司 一种车门的限位装置、车门的限位方法及汽车
CN113958211B (zh) * 2021-11-12 2024-09-17 赢技汽车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车门限位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072B1 (ko) * 2008-04-03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체커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8797A (en) 1961-06-10 1964-02-05 Scharwaechter 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ays for doors, windows and the like
JP2603878Y2 (ja) * 1992-12-15 2000-03-27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ー
JP3168185B2 (ja) * 1998-04-21 2001-05-21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4357013B2 (ja) * 1998-07-23 2009-11-0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収納容器の蓋開閉ラッチ機構
US6901630B2 (en) * 1998-08-07 2005-06-07 Ventra Group, Inc. Door check device
DE10025185C2 (de) 2000-05-20 2002-12-19 Edscha Ag Kugeldruckgleiter-Türfeststeller
KR20030016658A (ko) * 2001-08-21 2003-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체커의 구조
KR20030039750A (ko) * 2001-11-14 2003-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체커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
JP3943979B2 (ja) * 2002-04-08 2007-07-11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DE102004034259A1 (de) * 2003-07-14 2005-02-03 Edscha Ag Türfeststeller
KR20060062515A (ko) * 2004-12-03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롤러식 도어 체커
DE102007023110A1 (de) * 2007-02-01 2008-08-07 Edscha Ag Türfeststeller
DE102010051250A1 (de) * 2010-11-12 2012-05-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Vorrichtung zum Feststellen eines bewegbaren plattenförmigen Körpers
DE102014108023A1 (de) 2014-06-06 2015-12-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ürfeststeller
JP6374256B2 (ja) * 2014-07-25 2018-08-15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チェッカ
CN204418855U (zh) * 2014-12-31 2015-06-24 合肥义和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车门限位器
KR102639631B1 (ko) * 2015-09-07 2024-02-23 이케아 서플라이 아게 저마찰 슬라이드 부재
US11441342B2 (en) * 2018-06-12 2022-09-13 Innomotive Systems Hainichen Gmbh Catch arm for a door locker unit, door locker unit with catch arm, vehicle door with door locker unit and vehicle with vehicle side doors with door locker unit
DE102018119650A1 (de) * 2018-08-13 2020-02-13 Edscha Engineering Gmbh Türfeststeller
US11643858B2 (en) * 2019-11-04 2023-05-09 Ventra Group Co. Plastic door check without steel fasten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072B1 (ko) * 2008-04-03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2645A (zh) 2018-12-21
WO2017178018A1 (de) 2017-10-19
EP3417132A1 (de) 2018-12-26
EP3417132B1 (de) 2020-01-29
US11492828B2 (en) 2022-11-08
KR20180135905A (ko) 2018-12-21
MX2018012412A (es) 2019-06-06
DE102016106826A1 (de) 2017-10-19
CN109072645B (zh) 2020-06-05
JP7088844B2 (ja) 2022-06-21
US20190169894A1 (en) 2019-06-06
JP2019513923A (ja)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663B1 (ko) 도어 홀더
KR100928413B1 (ko) 고정 요소
JP7558926B2 (ja) ドアのアレスタ
KR100838264B1 (ko) 뼈 고정 부재
US4464076A (en) Expansion dowel assembly
JP3212671B2 (ja) 2つのプロフィル部品を着脱可能に結合するためのクランプ装置
RU2187870C2 (ru) Вставной дюбель
KR960700667A (ko) 척주 고정 시스템용 클램프 조립체(Clamp assembly for spinal fixation system)
KR20070009993A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US20220299051A1 (en) Tolerance compensation device
US4484832A (en) Connection coupling for the releasable attachment of an end of a first rod with a second rod
US20100203991A1 (en) Chain guiding element for a timing chain, timing chain drive, and vehicle engine
US7565823B2 (en) Frictional damper especially for cylinder washing machines
CA2777246C (en) Fastening device for furniture fittings
EA018490B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разжимной втулки в мягкий материал
JP2023517577A (ja) 自動車のディスクブレーキ用のライニング支持体プレート、並びにその製造のための方法
US20120281959A1 (en) Device for receiving a subassembly assigned to an optical fibre cable and for fastening the same to a mounting.
US8967902B2 (en) Fastening device for furniture fittings
EP0599033A1 (de) Bremsbelag mit Verschleisswarnvorrichtung
EP2104758B1 (en) System used to permanently fix a plastic object to an object made of different material with higher toughness and surface hardness
US20120192472A1 (en) Breech Device
CS218573B2 (en) Expanding machine
CA1254260A (en) Metal fitting part for a detachable connection between panels
ITMI972224A1 (it) Disposizione di rotelle e di guida per porte scorrevoli
WO2024209320A1 (en) Fastening element for panels of a piece of furniture and panel for such a fasten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