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086B1 -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 - Google Patents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086B1
KR102467086B1 KR1020220104584A KR20220104584A KR102467086B1 KR 102467086 B1 KR102467086 B1 KR 102467086B1 KR 1020220104584 A KR1020220104584 A KR 1020220104584A KR 20220104584 A KR20220104584 A KR 20220104584A KR 102467086 B1 KR102467086 B1 KR 102467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orizontally
unit
weight
f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씨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씨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씨팜
Priority to KR1020220104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14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the food being transported through an oil-ba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57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electrically heated
    • A47J37/1261Details of the heating elements; Fixation of the heating elements to the fry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에 관한 것으로, 튀김 기름이 충진되는 수납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벽과 바닥면이 형성된 유탕조; 상기 유탕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승강 작동에 의해 유탕조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이격될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수평하게 장착되며 유탕조 내에서 횡 이동하면서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운반수단을 구비하는 대상물 이송부; 상기 유탕조의 측벽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에 연결되며 하방으로 배치되어 대상물 이송부에 연결되는 체인으로 구성된 승강구동부; 상기 유탕조의 바닥면의 하부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함체와, 상기 단열함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바닥면에 접촉되는 열전달부재와, 상기 단열함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열전달부재를 가열시켜 열이 유탕조의 바닥면에 전달되도록 하는 가열체로 구성되는 가열부; 상기 유탕조의 하부에 통하도록 연결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장착된 밸브로 구성되는 오일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Oil bath with improved hygiene in cooking}
본 발명은 식재료를 기름에 튀겨 튀김을 대량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탕처리공정에서는 식물성 식용유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튀김기에 사용되는 식물성 식용유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어 산화가 단시간 내에 잘 이루어지는데, 열이나 광선, 미량금속에 의해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생성하게 되어 유지의 연쇄적 산화 반응이 진행되어 산화현상이 빠르게 진행될 뿐만 아니라, 기름 자체적으로도 고온의 열에 의해 클러스터(지방구)들이 생성되게 되어 기름이 혼탁해지고 점성이 높아진다.
또한, 식재료들에 의한 부유물이 공기와 산화 접촉되고 그것들이 고온에서 탄화되어 오일의 산패를 가속화시키게 된다.
식용유를 반복 사용하다 보면 식재료에서 배어나오는 동물성 유지와, 불순물, 찌꺼기, 지방산, 산화물 등이 함께 혼합되고, 튀김 찌꺼기들의 탄화로 변질되고 오염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해져서 많은 양의 식용유가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소량의 식품을 튀기는 정도여서 대량 작업이 어려웠고, 기름의 투입과 배출과 같은 교체작업이 불편하였으며, 찌꺼기 배출이 난해하여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9-0108120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반죽을 입힌 식재료를 연속적으로 유탕조에 투입하도록 하고, 다량 투입된 식재료를 유탕조 내에서 일정 구간 이동시키면서 튀겨지도록 하여 대량 튀김 작업이 가능하고, 기름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찌꺼기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튀김 기름이 충진되는 수납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벽과 바닥면이 형성된 유탕조; 상기 유탕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승강 작동에 의해 유탕조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이격될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수평하게 장착되며 유탕조 내에서 횡 이동하면서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운반수단을 구비하는 대상물 이송부; 상기 유탕조의 측벽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에 연결되며 하방으로 배치되어 대상물 이송부에 연결되는 체인으로 구성된 승강구동부; 상기 유탕조의 바닥면의 하부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함체와, 상기 단열함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바닥면에 접촉되는 열전달부재와, 상기 단열함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열전달부재를 가열시켜 열이 유탕조의 바닥면에 전달되도록 하는 가열체로 구성되는 가열부; 상기 유탕조의 하부에 통하도록 연결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장착된 밸브로 구성되는 오일배출부;를 포함하는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는 모터의 축에 연결된 주동기어와, 상기 주동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종동기어가 형성되며, 수평부재의 상부에 평행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장착된 스프로켓과, 상기 스프로켓에 체인이 결합되고, 상기 체인의 일단은 대상물 이송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체인의 타단에 장착된 무게균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균형부재는, 상부의 수평중량부재와 양 수직중량부재 및 하부의 수평중량부재로 구성되는 중량물 본체; 상기 체인의 타단에 장착된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이 관통되며 수평중량부재에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나사봉의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브라켓에 밀착되는 너트로 구성된 고정수단; 상기 상,하부의 수평중량부재의 양면에 부착되는 각기 이탈방지판과, 양면에 부착된 이탈방지판 사이에 삽입되어 중량물 본체 내에 수납되는 한개 또는 복수개의 중량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량블럭은 양측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양 수직중량부재의 사이에 삽입되고, 양측 스토퍼가 각기 수직중량부재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공에 끼움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반수단은 프레임의 내부에 다수개가 수평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1이송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제1이송롤러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는 상부 컨베어벨트; 프레임의 내부에 다수개가 수평하게 배열되되 상기 제1이송롤러의 하부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이송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제2이송롤러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는 하부 컨베어벨트; 상기 상부 컨베어벨트의 일단에 구비된 제1종동롤러와, 상기 하부 컨베어벨트의 일단에 구비된 제2종동롤러와, 상기 제1종동롤러 및 제2종동롤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휘하는 구동원으로 구성되는 컨베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탕조의 바닥면은 다수의 구간으로 구획되고, 각 구간의 하부에 각기 단열함체가 장착되어 구간별로 가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각 구간별로 삽입되며 가열부와 연동되어 유탕조의 내부 온도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연결되어 가열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량 투입된 식재료를 유탕조 내에서 일정 구간 이동시키면서 튀겨지도록 하여 대량 튀김 작업이 가능하고, 기름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찌꺼기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의 튀김작동 전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의 튀김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의 측면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승강구동부'를 확대한 부분확대도,
도 5는 상기 도 2에서 '운반수단'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의 '무게균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의 '공기 정화부'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의 '공기 정화부'에 대한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의 튀김작동 전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의 튀김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의 측면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승강구동부'를 확대한 부분확대도, 도 5는 상기 도 2에서 '운반수단'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의 '무게균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의 '공기 정화부'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의 '공기 정화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는, 유탕조(2), 대상물 이송부(3), 승강구동부(4), 가열부(5), 오일배출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탕조(2)는 튀김 기름이 충진되는 수납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벽과 바닥면(21)이 형성된다.
유탕조(2)는 대략 직사각형의 구조를 가지며, 바닥면(21)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기름이 오일배출부(6)를 통해 잔여량이 없이 모두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오일배출부(6)는, 상기 유탕조(2)의 하부에 통하도록 연결되는 배출관(62)과, 상기 배출관(62)에 장착된 밸브(63)로 구성된다.
또한 유탕조(2)의 바닥면은 다수의 구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각 구간의 하부에 각기 단열함체(52)가 장착되어 구간별로 가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각 구간별로 삽입되며 가열부(5)와 연동되어 유탕조(2)의 내부 온도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72)와, 상기 센서(72)에 연결되어 가열부(5)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7);를 포함한다.
제어부(7)는 메인 온오프 스위치, 온도 설정 스위치, 타이머 등이 구비된다.
가열부(5)는, 상기 유탕조(2)의 바닥면의 하부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함체(52)와, 상기 단열함체(52)의 내부에 형성되며 바닥면에 접촉되는 열전달부재(53)와, 상기 단열함체(52)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열전달부재(53)를 가열시켜 열이 유탕조(2)의 바닥면에 전달되도록 하는 가열체(54)로 구성된다.
가열체(54)는 전기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일 수 있다. 열전달부재(53)는 구리와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소재로 된 판재이다.
단열함체(52)는 내면에 단열재로 된 내벽을 구비하되 바닥면을 제외한 측면과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내부의 열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대상물 이송부(3)는, 상기 유탕조(2)의 상부에 배치되며, 승강 작동에 의해 유탕조(2)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대상물 이송부(3)는 유탕조(2)의 상부 개구부에 대응되어 직육면체로 형성된 프레임(32)과, 상기 프레임(32)의 하부에 수평하게 장착되며 유탕조(2) 내에서 횡 이동하면서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운반수단(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구동부(4)는, 상기 유탕조(2)의 측벽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부재(42)와, 상기 수직부재(42)의 상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부재(43)로 이루어진 장착대(44)와, 상기 장착대(44)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45)에 연결되며 하방으로 배치되어 대상물 이송부(3)에 연결되는 체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부(4)는, 모터(45)의 축에 연결된 주동기어(461)와, 상기 주동기어(461)와 치차 결합되는 종동기어(462)가 형성되며, 수평부재(43)의 상부에 평행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축(46)과, 상기 회전축(46)에 장착된 스프로켓(463)과, 상기 스프로켓(463)에 체인(464)이 결합되고, 상기 체인(464)의 일단은 대상물 이송부(3)의 상부에 연결된다.
또한 승강구동부(4)는 체인(464)의 타단에 장착된 무게균형부재(9);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균형부재(9)는 대상물 이송부(3)의 상승 또는 하강시 하중에 의해 승강 작동에 필요한 힘을 절감시켜줄 수 있어 모터(45)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무게균형부재(9)는, 상부의 수평중량부재(922)와 양 수직중량부재(921) 및 하부의 수평중량부재(922)로 구성되는 중량물 본체(92); 상기 체인(464)의 타단에 장착된 나사봉(942)과, 상기 나사봉(942)이 관통되며 수평중량부재(922)에 형성된 브라켓(944)과, 상기 나사봉(942)의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브라켓(944)에 밀착되는 너트(946)로 구성된 고정수단(94); 상기 상,하부의 수평중량부재(922)의 양면에 부착되는 각기 이탈방지판(95)과, 양면에 부착된 이탈방지판(95) 사이에 삽입되어 중량물 본체(92) 내에 수납되는 한개 또는 복수개의 중량블럭(96);을 포함한다.
상기 중량블럭(96)은 양측에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되어 양 수직중량부재(921)의 사이에 삽입되고, 양측 스토퍼가 각기 수직중량부재(921)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공(923시)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중량블럭(96)의 수량을 조절하여 중량물 본체(92)에 결합시켜 대상물 이송부(3)의 무게와 적정하게 설정됨으로써 대상물 이송부(3)의 승강 작동에 최적의 무게를 갖도록 한다.
상기 운반수단(8)은, 프레임(32)의 내부에 다수개가 수평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1이송롤러(81)와, 상기 복수개의 제1이송롤러(81)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는 상부 컨베어벨트(82); 프레임(32)의 내부에 다수개가 수평하게 배열되되 상기 제1이송롤러(81)의 하부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이송롤러(83)와, 상기 복수개의 제2이송롤러(83)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는 하부 컨베어벨트(84); 상부 컨베어벨트(82)의 일단에 구비된 제1종동롤러(861)와, 하부 컨베어벨트(84)의 일단에 구비된 제2종동롤러(862)와, 제1종동롤러(861) 및 제2종동롤러(862)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휘하는 구동원(863)으로 구성되는 컨베어 구동부(86);를 포함한다.
컨베어 구동부(86)의 구동원(863)은 모터이며, 모터의 축에 주동스프로켓이 장착되고, 상부 컨베어벨트(82)의 일단에 구비된 제1종동롤러(861)와, 하부 컨베어벨트(84)의 일단에 구비된 제2종동롤러(862)를 연결하는 체인벨트(864)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원(863)이 온(on) 작동되면 체인벨트(864)가 회전되어 제1,2종동롤러(861,862)가 동시 회전되고, 그에 연결된 상,하부 컨베어벨트(82,84)가 동반하여 동시 주행된다.
상부 컨베어벨트(82)와 하부 컨베어벨트(84)는 대상물이 그 사이에 끼여진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적정한 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대상물이 이송 과정에서 유실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부 컨베어벨트(82) 또는 하부 컨베어벨트(84)는 일단에 프레임에 구비된 장력조절기(87)를 통해 적정한 장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장력조절기(87)는 프레임(32)에 수평하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장공(320)에 제1,2이송롤러(871,872)가 결합되고, 제1,2이송롤러(871,872)에 연결된 실린더로드와, 실린더로드가 결합된 실린더(874)로 구성된다.
따라서 실린더로드의 인출 또는 인입작동에 의해 제1,2이송롤러(871,872)가 적정한 위취로 이동됨으로써 상부 컨베어벨트(82) 또는 하부 컨베어벨트(84)의 장력이 조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컨베어벨트(82) 또는 하부 컨베어벨트(84)는 기름이 쉽게 빠질 수 있도록 쇠그물을 사용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대상물 이송부(3)의 상부에 장착되며, 유탕조(2)의 내부와 통하는 후드(H)와, 후드(H)의 내부에 공기 정화부(100)가 장착되어 튀김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여 여과시켜 배출시킬 수 있다.
공기 정화부(100)는, 공기를 내부로 유입 허용하는 유입구(210)를 구비하고,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배출 안내하는 제 1배출구(220)를 구비하며, 정화된 공기를 강제 배출 안내하는 제 2배출구(230)를 구비하는 하우징(200); 하우징(200)의 내부 구비되어, 유입구(210)를 통해 하우징(200)으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 궤적을 엇갈리게 안내하여 함유된 이물질을 분리 안내하는 이물질분리안내부(300); 이물질분리안내부(300)에 의해 이물질을 분리 후 제 2배출구(230) 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함유된 비교적 부피가 작은 이물질을 분리 안내하며 탈취 유도하도록 하우징(200)에 구비되는 필터유닛(400);을 포함한다.
이물질분리안내부(30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고, 하우징(2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310); 구획판(310) 각각에 복수 개 통공되어 유입구(210)로 강제 유입되어 유동되는 공기를 제 2배출구(230) 측으로 유동 안내하는 연통홀부(320); 구획판(310)의 상측 또는 상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연통홀부(320) 각각의 가장자리나 내측면에 해당되는 구획판(310)에 구비되어, 유동되는 공기에 순간적으로 직진 이동성을 부여하는 튜브(330)를 포함한다.
하우징(200)의 축 방향을 따라 이웃한 구획판(310)의 각 튜브(330)는 중심축이 하우징(200)의 축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공기로부터 이물질의 분리 효율을 증대한다.
하우징(200)의 축 방향을 따라 이웃한 구획판(310) 사이에서 공기가 정체되는 영역에 해당되는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공기에 와류를 생성하거나 와류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배플(510)이 형성된다.
공기는 배플(510)에 부딪히며 와류 등 유동성을 유지 또는 증가하며 대응되는 튜브(33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공기가 배플(510)에 부딪힘으로써 함유하고 있는 이물질을 구획판(310)의 상면에 낙하시키게 된다.
후크(530)는 하우징(200)의 외측에서 장착홀(270)에 삽입되고, 끼움돌기(520)를 억지 수용하기 위해 끼움홈부(532)를 형성한다.
필터유닛(400)은 흡착필터(410) 및 탈취필터(420)를 포함한다.
흡착필터(410)는 이물질분리안내부(300)를 통과 후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 특히 비교적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제 2배출구(230) 측에 대응되는 하우징(2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물질분리안내부(300)에 의해 일차적으로 이물질을 분리한 공기를 통과 허용하며 이차적으로 이물질을 분리한다.
탈취필터(420)는 튀김시 발생되는 연기가 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되기 전(前)에 함유된 분진을 흡착하여 분리하는 것으로서, 제 2배출구(230)를 형성하는 하우징(200)의 상면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흡착필터(410)를 통과한 공기에 함유된 기름 입자를 제거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 : 유탕조 3 : 대상물 이송부
4 : 승강구동부 5 : 가열부
6 : 오일배출부 7 : 제어부
32 : 프레임 8 : 운반수단
44 : 장착대 45 ; 모터
46 : 회전축 9 : 무게균형부재
52 : 단열함체 53 : 열전달부재
54 : 가열체 82 : 상부 컨베어벨트
84 : 하부 컨베어벨트 86 : 컨베어 구동부
92 : 중량물 본체 94 : 고정수단
95 : 이탈방지판 96 : 중량블럭
100 : 공기 정화부

Claims (3)

  1. 튀김 기름이 충진되는 수납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벽과 바닥면이 형성된 유탕조;
    상기 유탕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승강 작동에 의해 유탕조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이격될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수평하게 장착되며 유탕조 내에서 횡 이동하면서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운반수단을 구비하는 대상물 이송부;
    상기 유탕조의 측벽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에 연결되며 하방으로 배치되어 대상물 이송부에 연결되는 체인으로 구성된 승강구동부;
    상기 유탕조의 바닥면의 하부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함체와, 상기 단열함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바닥면에 접촉되는 열전달부재와, 상기 단열함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열전달부재를 가열시켜 열이 유탕조의 바닥면에 전달되도록 하는 가열체로 구성되는 가열부;
    상기 유탕조의 하부에 통하도록 연결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장착된 밸브로 구성되는 오일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승강구동부는
    모터의 축에 연결된 주동기어와, 상기 주동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종동기어가 형성되며, 수평부재의 상부에 평행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장착된 스프로켓과, 상기 스프로켓에 체인이 결합되고, 상기 체인의 일단은 대상물 이송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체인의 타단에 장착된 무게균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균형부재는
    상부의 수평중량부재와 양 수직중량부재 및 하부의 수평중량부재로 구성되는 중량물 본체;
    상기 체인의 타단에 장착된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이 관통되며 수평중량부재에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나사봉의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브라켓에 밀착되는 너트로 구성된 고정수단;
    상기 상,하부의 수평중량부재의 양면에 부착되는 각기 이탈방지판과,
    양면에 부착된 이탈방지판 사이에 삽입되어 중량물 본체 내에 수납되는 한개 또는 복수개의 중량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운반수단은
    프레임의 내부에 다수개가 수평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1이송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제1이송롤러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는 상부 컨베어벨트;
    프레임의 내부에 다수개가 수평하게 배열되되 상기 제1이송롤러의 하부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이송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제2이송롤러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는 하부 컨베어벨트;
    상기 상부 컨베어벨트의 일단에 구비된 제1종동롤러와,
    상기 하부 컨베어벨트의 일단에 구비된 제2종동롤러와, 상기 제1종동롤러 및 제2종동롤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휘하는 구동원으로 구성되는 컨베어 구동부;
    상기 유탕조의 바닥면은 다수의 구간으로 구획되고, 각 구간의 하부에 각기 단열함체가 장착되어 구간별로 가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각 구간별로 삽입되며 가열부와 연동되어 유탕조의 내부 온도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연결되어 가열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대상물 이송부의 상부에 장착되며, 유탕조의 내부와 통하는 후드와, 후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연기를 여과하는 공기 정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
  2. 삭제
  3. 삭제
KR1020220104584A 2022-08-22 2022-08-22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 KR10246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584A KR102467086B1 (ko) 2022-08-22 2022-08-22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584A KR102467086B1 (ko) 2022-08-22 2022-08-22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086B1 true KR102467086B1 (ko) 2022-11-14

Family

ID=8404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584A KR102467086B1 (ko) 2022-08-22 2022-08-22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0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318U (ja) * 1999-08-03 2000-02-18 ニチワ電機株式会社 コンベヤ式フライヤ―
KR20050042273A (ko) * 2005-03-25 2005-05-06 권영신 전기히터를 이용한 자동연속 튀김장치
KR20190108120A (ko) 2017-02-11 2019-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318U (ja) * 1999-08-03 2000-02-18 ニチワ電機株式会社 コンベヤ式フライヤ―
KR20050042273A (ko) * 2005-03-25 2005-05-06 권영신 전기히터를 이용한 자동연속 튀김장치
KR20190108120A (ko) 2017-02-11 2019-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285C (zh) 一种烹调设备
MXPA00011506A (es) Horno de conveccion con velocidad de transferencia termica elevada con capacidades de manejo de grasa y reduccion de humo.
KR840009211A (ko) 오븐 브로일러
KR102467086B1 (ko) 조리의 위생성을 개선한 유탕기
KR102500573B1 (ko) 자동 튀김 장치
US8464635B1 (en) Frying system
US20020162462A1 (en) Oven with drip collection
JP2021098123A (ja) 自動フライヤ
CN110558864A (zh) 油炸系统
JP4117521B2 (ja) 排熱風導入型の横型回転円筒式連続炒め装置
JP2009100866A (ja) クッカー
WO1995012989A1 (fr) Procede et appareil de production d'aliments frits
CN201213738Y (zh) 导热油油水混合连续油炸锅
EP0064407B1 (en) Direct fired fryer
KR20200025508A (ko) 전기 구이 장치
CN211298227U (zh) 环形传输油炸装置
CN2862922Y (zh) 燃煤节能油炸锅
KR101435494B1 (ko)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TWM589022U (zh) 全自動化烹調系統
CN218355788U (zh) 烧烤机
KR200479653Y1 (ko) 수유식 튀김기
CN215189038U (zh) 一种植源性蛋白素肉制品加工用连续式油炸机
CN115646408A (zh) 一种便于散热降温的反应釜及其散热装置
JP2014140412A (ja) フライヤー
KR100817039B1 (ko) 순환 여과식 튀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