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212B1 -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212B1
KR102466212B1 KR1020200174984A KR20200174984A KR102466212B1 KR 102466212 B1 KR102466212 B1 KR 102466212B1 KR 1020200174984 A KR1020200174984 A KR 1020200174984A KR 20200174984 A KR20200174984 A KR 20200174984A KR 102466212 B1 KR102466212 B1 KR 102466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p
molded product
mold
expanded polypropylene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149A (ko
Inventor
송인환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200174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2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ckag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는, 외면을 이루고,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된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내측에 융착되어 내면을 이루고,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으로 구성된 내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재활용이 용이하고, 사출 성형품과 EPP 성형품 간 별도의 접착제 또는 고정용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며, 외면을 이루는 부분이 견고한 사출 성형품으로 보호되므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어 경제적이고, EPP 소재를 적용하여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내면을 이루는 EPP 성형품은 완충효과가 우수하므로 적입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되는 외피와, EPP 성형품으로 구성되는 단열재로만 구성되므로 비용절감효과와 경량화가 가능하며, 설계자유도가 우수한 사출성형공법이 적용되므로 EPP 소재의 구조적인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Cooling box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부는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내부는 EPP 성형품으로 구성된 일체형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냉상자는 저온의 물품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종래 '제과제빵용 운반 및 보관용 보냉상자'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7105호(2007.11.09)에 제시되어 있다.
EPS와 같은 일회용 발포소재로 구성된 종래 보냉상자는 경제적인 단가 대비 우수한 단열성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낮은 내구성으로 다회 사용이 불가능하여 일회용 플라스틱의 유발이라는 환경적인 문제에 직면하게 되어 현재 사회 전반적으로 대안을 모색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EPS를 대체하기 위해 기능성이 보강된 소재(예를 들어, XPS 보드, EPP, 에어로겔 등)는 꾸준히 공개되어 왔지만, 우수한 단열성능을 염두하여 대부분 미세 발포체 구조의 고분자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여전히 내구성이 낮으며 다회 사용에는 제약이 많다.
최근 들어 EPS 대비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EPP 소재가 재조명되고 있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가대비 낮은 내구성, 수분흡수, EPP 입자 사이의 빈공간에서 미생물 서식 및 번식, 오염울 고착현상 등의 위생성 문제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재활용이 용이하고, 사출 성형품과 EPP 성형품 간 별도의 접착제 또는 고정용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며, 외면을 이루는 부분이 견고한 사출 성형품으로 보호되므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어 경제적이고, EPP 소재를 적용하여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내면을 이루는 EPP 성형품은 완충효과가 우수하므로 적입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되는 외피와, EPP 성형품으로 구성되는 단열재로만 구성되므로 비용절감효과와 경량화가 가능하며, 설계자유도가 우수한 사출성형공법이 적용되므로 EPP 소재의 구조적인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는, 외면을 이루고,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된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내측에 융착되어 내면을 이루고,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성형품으로 구성된 내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내측부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기립된 측벽으로 구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바디부재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 다수 개의 보냉상자를 포개는 경우 상기 측벽이 일부분만 겹치도록 포개어지며, 상기 바디부재는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로 이루어지되, 다수 개의 보냉상자를 포개는 경우 두 개의 측벽이 겹치거나 측벽이 겹치지 않는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내측부의 두께를, 세 개의 측벽이 겹치는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내측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로 이루어진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바디부재가 서로 맞닿는 부분 중 일부분은,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부와 상기 바디부재의 내측부가 서로 맞닿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의 제조방법은,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을 금형 내에 삽입하는 단계; 형폐 후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에 용융수지가 융착되도록 사출하는 단계; 및 형개 후 외면은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내면은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성형품으로 구성된 제품을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을 금형 내에 삽입한 다음, 상기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의 게이트(gate)에 대응하는 부분에 스페이서를 조립하여, 용융수지의 압력과 열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형폐 시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게이트와 닿으면서 상기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이 금형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과 밀착되는 금형에는, 상기 사출 성형품이 형성되는 부분과 상기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의 경계에 해당하는 구간에 공차가 없거나 플러스 공차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외부는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하고, 내부는 EPP 성형품으로 구성함으로써, EPP 소재와 동일한 재질인 PP 소재를 사용한 완제품으로 구성되므로 재활용이 용이하고, 사출 성형품과 EPP 성형품 간 별도의 접착제 또는 고정용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다.
외면을 이루는 부분이 견고한 사출 성형품으로 보호되므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어 경제적이다.
EPP 소재를 적용하여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EPP 성형품 내부면은 열처리 코팅 처리를 하여 EPP 입자 사이이 빈공간을 제거함으로써 위생적이다.
내면을 이루는 EPP 성형품은 완충효과가 우수하므로 적입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되는 외피와, EPP 성형품으로 구성되는 단열재로만 구성되므로 비용절감효과와 경량화가 가능하다.
설계자유도가 우수한 사출성형공법이 적용되므로 EPP 소재의 구조적인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출성형은 2t 정도 두께를 지닌 리브 등의 구조설정이 가능하지만 EPP성형은 9t 이하는 거의 불가능하다.
측벽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 중첩하여 보관이 가능하므로 다수의 보냉상자 보관시 공간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외측부의 가장자리는 내측부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외측부와 내측부가 쉽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보완할 수 있다.
커버부재와 바디부재가 서로 맞닿는 부분 중 일부분은, 커버부재의 내측부와 바디부재의 내측부가 서로 맞닿도록 구성됨으로써, 탄성이 있는 발포 폴리프로필렌를 통하여 커버부재와 바디부재의 밀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출 성형부와 EPP 성형품의 경계구간(a)의 금형에 1:1 규격 또는 플러스 공차를 설정하여, 사출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용융수지가 EPP 성형품 구간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EPP 성형품의 게이트에 대응하는 부분에 스페이서를 조립하면, 게이트를 통하여 금형 내부로 유입되는 용융수지의 높은 압력과 온도를 1차로 흡수하며 분산시키고, 용융수지의 방향을 전환시켜준다. 이에 따라, EPP 성형품이 높은 압력과 온도의 용융수지에 의해 과도하게 눌려서 설계된 두께보다 두꺼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스페이서에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면, 형폐 시 돌기부가 게이트와 닿으면서 EPP 성형품이 금형에 밀착된다. 따라서, EPP 성형품 인서트 작업시 작업자 또는 자동화 로봇이 EPP 성형품을 금형 내에 끝까지 밀착시키지 않더라도 금형의 형폐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밀착이 이루어지고, 나아가 용융수지 충전을 위한 유로가 확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바디부재와 커버부재의 외측부와 내측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다수 개의 바디부재를 포개는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12는 바디부재의 제조과정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외관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냉상자는 바디부재(100)와 커버부재(200)를 포함한다.
바디부재(10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부재(100)는, 바닥을 이루는 직사각판 형상의 바닥면과,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기립된 측벽(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벽(13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바닥면의 길이가 긴 한 쌍의 가장자리로부터 기립된 한 쌍의 장측벽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바닥면의 길이가 짧은 한 쌍의 가장자리로부터 기립된 한 쌍의 단측벽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바디부재(100)의 각 측벽(130)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기립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다수 개의 보냉상자를 포개는 경우 보냉상자의 바디부재(100) 내부에 다른 보냉상자의 바디부재(100)가 놓이게 된다. 이렇게, 다수 개의 바디부재(100)를 포개는 경우 경사진 측벽(130)에 의해 측벽(130)의 일부분만 서로 겹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되는 측벽(130)의 경사각을 조절하면, 여러 개의 바디부재(100)를 포개는 경우 바디부재(100)가 서로 겹치는 부분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벽(130)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 중첩하여 보관이 가능하므로 다수의 보냉상자 보관시 공간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커버부재(200)는 바디부재(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는 직사각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바디부재(100)와 커버부재(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부(101, 201)와 내측부(103, 203)를 포함한다. 즉, 바디부재(100)는 외측부(101)와 내측부(103)를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커버부재(200)는 외측부(201)와 내측부(203)를 포함한다.
외측부(101, 201)는 외면을 이루고,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된다.
내측부(103, 203)는 외측부(101, 201)의 내측에 융착되어 내면을 이루고,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성형품으로 구성된다. 명세서의 도 2 상에서는 외측부(101, 201)와 내측부(103, 203)를 보여주기 위하여 분리하여 도시하였지만, 도 3과 같이 바디부재(100)와 커버부재(200)의 내측부(103, 203)는 외측부(101, 201)의 내측에 융착된 상태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부(101, 201)의 가장자리는 내측부(103, 203)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부재(200)의 외측부(201)의 가장자리는 커버부재(200)의 외측부(2021)의 가장자리로부터 커버부재(200)의 내측부(203)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대략 '디귿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부재(100)의 외측부(101)의 가장자리는 바디부재(100)의 외측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바디부재(100)의 내측부(103)의 상면과 내면을 감싸도록 대략 디귿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외측부(101, 201)의 가장자리는 내측부(103, 203)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외측부(101, 201)와 내측부(103, 203)가 쉽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보완할 수 있다.
나아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와 바디부재(100)가 서로 맞닿는 부분 중 일부분은, 커버부재(200)의 내측부(103)와 바디부재(100)의 내측부(103)가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부재(200)의 가장자리가 바디부재(100)의 가장자리에 올려지는데,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커버부재(200)의 외측부(201)의 가장자리는 커버부재(200)의 외측부(201)의 가장자리로부터 커버부재(200)의 내측부(203)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바디부재(100)의 외측부(101)의 가장자리는 바디부재(100)의 외측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바디부재(100)의 내측부(103)의 상면과 내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어, 커버부재(200)의 내측부(230)와 바디부재(100)의 내측부(103)가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의 내측부(203) 하면에서 바디부재(100)의 상면과 맞닿는 부분의 내측에는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커버부재(200)의 내측부(203)에 돌출부(204)가 형성되어, 돌출부(204)가 바디부재(100)의 내측부(103)와 밀착된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200)와 바디부재(100)가 서로 맞닿는 부분 중 일부분은, 커버부재(200)의 내측부(203)와 바디부재(100)의 내측부(103)가 서로 맞닿도록 구성됨으로써, 탄성이 있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를 통하여 커버부재(200)와 바디부재(100)의 밀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보냉상자를 포개는 경우 경사진 측벽(130)에 의해 측벽(130)의 일부분만 서로 겹치는 상태가 되는데, 하부에 배치된 보냉상자의 측벽(130)과 상부에 배치된 보냉상자의 측벽(130)은 일부분이 겹치게 된다.
이때 하부에 배치된 보냉상자의 측벽(130)과 겹치지 않는 상부에 배치된 보냉상자의 측벽(130)의 상부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바디부재(100)가 외측부(101)와 내측부(103)로 구성됨에 따라, 바디부재(100)의 외측부(101) 및 내측부(103)의 상부(101a, 103a)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부에 배치된 보냉상자의 측벽(130)과 겹치지 않는 하부에 배치된 보냉상자의 측벽(130)의 하부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바디부재(100)가 외측부(101)와 내측부(103)로 구성됨에 따라, 바디부재(100)의 내측부(103)의 하부(103b)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할 경우, 두 개의 측벽이 겹치거나 측벽이 겹치지 않는 부분에 배치되는 내측부(103a, 103b)의 두께를, 세 개의 측벽이 겹치는 부분에 배치되는 내측부(103c)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중첩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간에 배치된 내측부(103a, 103b)의 두께를 보강하여 보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제조방법을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하였다. 본 명세서의 도 6 내지 도 12에서는 바디부재(100)의 제조과정을 도시하였지만, 커버부재(200)도 바디부재(100)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냉상자의 내측부(103)를 이루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103, 이하, EPP 성형품이라고 함.)은 미리 제조한다. 이때, EPP 성형품(103)의 표면은 글레이징과같은 가열 코팅이 이루어진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품이 적입되는 공간인 내측면에 해당하는 EPP 성형품(103)의 표면이 가열 코팅되면, 매끄러운 면을 설정하고, 나아가 오염물의 고착, 흡습, 미생물의 서식 또는 번식 등의 위생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미리 제조된 EPP 성형품(103)을 금형 내에 삽입하여, 외측부(101)를 이루는 사출 성형품(101)을 성형한다. 이때 상대적인 고온과 압력으로 유입되는 용융수지가 EPP 성형품(103)을 과도하게 녹이거나 누르면서 충전될 경우 설정된 사출 성형품(101)의 두께보다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EPP 성형품(103)은 강도 및 열안전성을 위해 10 ~15배율 정도의 발포율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융수지는 흐름성이 우수하고 용융점이 낮은 그레이드(grade)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 6과 같이 형개후 도 7과 같이 미리 제조된 EPP 성형품(103)을 금형(10) 내에 삽입한다.
이때 EPP 성형품(103)과 밀착되는 금형(10)에는, 도 8과 같이 사출 성형품(101)이 형성되는 부분(11)과 EPP 성형품(103)의 경계에 해당하는 구간(a)에 공차가 없거나 플러스 공차를 설정하고, 이외의 구간(b)에 공차를 설정한다. EPP 성형품(103)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금형(10)의 코어부는 공차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구간에 공차를 설정할 경우 공차 내부로 용융수지가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출 성형부(11)와 EPP 성형품(103)의 경계구간(a)의 금형(10)에 1:1 규격 또는 플러스 공차를 설정하여, 사출 성형품(101)을 성형하기 위한 용융수지가 EPP 성형품(103) 구간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금형(10) 내에 삽입된 EPP 성형품(103)의 외측면에는, 도 7과 같이 하기에서 설명할 스페이서(300)가 삽입되는 스페이서 삽입홈(103b)이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 삽입홈(103b)은 게이트(gate)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도 7에서는 EPP 성형품(103)을 바디부재(100)의 내측부(103)로 도시하였기 때문에 EPP 성형품(103)의 바닥면 외측에 스페이서 삽입홈(10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스페이서 삽입홈(103b)은 내측부(103) 바닥면에 '엑스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게이트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EPP 성형품(203)이 커버부재(200)의 내측부(203)일 경우 스페이서 삽입홈(203b)은 도 2와 같이 내측부(203) 상면에 엑스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게이트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와 같이 스페이서 삽입홈(103b)에 스페이서(300)를 조립한다. 상기에서 언급하였듯이, 스페이서 삽입홈(103b)은 도 11과 같이 EPP 성형품(103)의 게이트(gate)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EPP 성형품(103)의 게이트에 대응하는 부분에 스페이서(300)를 조립하면, 게이트를 통하여 금형(10, 20) 내부로 유입되는 용융수지(30)의 높은 압력과 온도를 1차로 흡수하며 분산시키고, 용융수지(30)의 방향을 전환시켜준다. 이에 따라, EPP 성형품(103)이 높은 압력과 온도의 용융수지(30)에 의해 과도하게 눌려서 설계된 두께보다 두꺼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9와 같이 스페이서(300)에는 다수의 돌기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스페이서(300)에 다수의 돌기부(310)가 형성되면, 도 11과 같이 형폐 시 돌기부(310)가 게이트와 닿으면서 EPP 성형품(103)이 금형(10)에 밀착된다. 따라서, EPP 성형품(103) 인서트 작업시 작업자 또는 자동화 로봇이 EPP 성형품(103)을 금형(10) 내에 끝까지 밀착시키지 않더라도 금형(10, 20)의 형폐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밀착이 이루어지고, 나아가 용융수지(30) 충전을 위한 유로가 확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과 같이 형폐 후 EPP 성형품(103)에 용융수지가 융착되도록 사출한다. 이때 190℃ ~ 230℃의 상대적인 고온으로 유입되는 용융수지가 EPP 성형품(103)의 외부면을 녹이면서 충전되며, 이로 인해 EPP 성형품(103)과 사출 성형품(101)이 융착된 일체형 제품이 생산되는 것이다. 사출 성형품(101)의 단면두께는 해당구간의 금형(20)의 캐비티(21) 부분과 EPP 성형품(103)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2와 같이 형개 후 외면은 사출 성형품(101)으로 구성되고 내면은 EPP 성형품(103)으로 구성된 제품(100)을 취출한다. 완성된 제품(100)은 사출 성형품(101)이 내구성을 위하여 EPP 성형품(103)의 외면 전구간을 덮고 있으며, 사출 성형품(101)의 성형 말단부분은 '디귿자' 형상으로 EPP 성형품(103)을 감싸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외부는 사출 성형품(101)으로 구성하고, 내부는 EPP 성형품(103)으로 구성함으로써, EPP 소재와 동일한 재질인 PP 소재를 사용한 완제품으로 구성되므로 재활용이 용이하고, 사출 성형품(101)과 EPP 성형품(103) 간 별도의 접착제 또는 고정용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다.
외면을 이루는 부분이 견고한 사출 성형품(101)으로 보호되므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어 경제적이다.
EPP 소재를 적용하여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EPP 성형품(103) 내부면은 열처리 코팅 처리를 하여 EPP 입자 사이이 빈공간을 제거함으로써 위생적이다.
내면을 이루는 EPP 성형품(103)은 완충효과가 우수하므로 적입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사출 성형품(101)으로 구성되는 외피와, EPP 성형품(103)으로 구성되는 단열재로만 구성되므로 비용절감효과와 경량화가 가능하다.
설계자유도가 우수한 사출성형공법이 적용되므로 EPP 소재의 구조적인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출성형은 2t 정도 두께를 지닌 리브 등의 구조설정이 가능하지만 EPP성형은 9t 이하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바디부재 101 : 외측부
103 : 내측부 130 : 측벽
200 : 커버부재 201 : 외측부
203 : 내측부 204 : 돌출부
300 : 스페이서 310 : 돌기부

Claims (9)

  1. 외면을 이루고,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된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내측에 융착되어 내면을 이루고,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성형품으로 구성된 내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의 게이트(gate)에 대응하는 부분에 스페이서를 조립하여, 상기 사출 성형품 성형시 상기 게이트를 통하여 금형 내부로 유입되는 용융수지의 압력과 열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내측부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기립된 측벽으로 구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바디부재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 다수 개의 보냉상자를 포개는 경우 상기 측벽이 일부분만 겹치도록 포개어지며,
    상기 바디부재는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로 이루어지되,
    다수 개의 보냉상자를 포개는 경우 두 개의 측벽이 겹치거나 측벽이 겹치지 않는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내측부의 두께를, 세 개의 측벽이 겹치는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내측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로 이루어진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바디부재가 서로 맞닿는 부분 중 일부분은,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부와 상기 바디부재의 내측부가 서로 맞닿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6.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을 금형 내에 삽입하는 단계;
    형폐 후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에 용융수지가 융착되도록 사출하는 단계; 및
    형개 후 외면은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내면은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성형품으로 구성된 제품을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을 금형 내에 삽입한 다음, 상기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의 게이트(gate)에 대응하는 부분에 스페이서를 조립하여, 용융수지의 압력과 열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제조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형폐 시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게이트와 닿으면서 상기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이 금형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과 밀착되는 금형에는,
    상기 사출 성형품이 형성되는 부분과 상기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성형품의 경계에 해당하는 구간에 공차가 없거나 플러스 공차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제조방법.
KR1020200174984A 2020-12-15 2020-12-15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466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984A KR102466212B1 (ko) 2020-12-15 2020-12-15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984A KR102466212B1 (ko) 2020-12-15 2020-12-15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149A KR20220085149A (ko) 2022-06-22
KR102466212B1 true KR102466212B1 (ko) 2022-11-14

Family

ID=8221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984A KR102466212B1 (ko) 2020-12-15 2020-12-15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872B1 (ko) * 2022-08-23 2023-10-10 엔피씨(주)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637B2 (ja) * 1995-11-15 2000-01-2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のアース構造
JP2000355379A (ja) * 1999-06-10 2000-12-26 Nippon Suisan Kaisha Ltd 繰り返し使用できリサイクル性の高い通い箱
JP2007091271A (ja) * 2005-09-28 2007-04-12 Sekisui Plastics Co Ltd カバー付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277A (ja) * 1992-04-28 1993-11-2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製容器本体および金属蓋付容器
JP3002637U (ja) * 1994-03-31 1994-09-27 株式会社旭パック 保冷用食品箱
JPH0995369A (ja) * 1995-09-28 1997-04-08 Takunori Konishi 容 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637B2 (ja) * 1995-11-15 2000-01-2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のアース構造
JP2000355379A (ja) * 1999-06-10 2000-12-26 Nippon Suisan Kaisha Ltd 繰り返し使用できリサイクル性の高い通い箱
JP2007091271A (ja) * 2005-09-28 2007-04-12 Sekisui Plastics Co Ltd カバー付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149A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6212B1 (ko)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
MX2011000524A (es) Proceso para producir articulos de plastico moldeados, con paredes reforzadas por la inyeccion de termoplasticos espumados.
WO1998034077A1 (en) Refrigerator door with an advanced insulation and re-cycling performance
KR101171935B1 (ko)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KR20110076127A (ko) 조립식 캐비티금형
JPH08337235A (ja) 合成樹脂製容器
JP2001080638A (ja) 蓋付き折畳コンテナー
US20100078428A1 (en) Microwavable food package
JP2013245918A (ja) 断熱箱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冷蔵庫
US7090905B1 (en) Flat or semi-flat element including a frame
JPS5836270B2 (ja) 断熱壁の内板製造方法
CN109676949A (zh) 具有高承载能力的托盘的制备方法
JP3802983B2 (ja) 自動車用ブロー成形品
JP2000327041A (ja) 断熱コンテナ
KR101171934B1 (ko) 조립식 캐비티금형
JP2011218671A (ja) 発泡樹脂パネルの製造方法
JP7325916B2 (ja) 複合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73562B1 (ko)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JPH10339563A (ja) 冷蔵庫の扉構造
CN209833551U (zh) 用于机动车辆的吸声的部件及用于机动车辆的结构
ITMI942436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elementi strutturali termoisolanti ed elementi cosi ottenuti
KR100213129B1 (ko) 냉장고의 내상 제조방법
US20050140055A1 (en) Method for making a part by injection molding and decorating visually-exposed face and side surfaces of the part in their entireties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part
JPS601085Y2 (ja) 容器の蓋
JP2675530B2 (ja) 断熱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