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872B1 -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Google Patents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6872B1 KR102586872B1 KR1020220105720A KR20220105720A KR102586872B1 KR 102586872 B1 KR102586872 B1 KR 102586872B1 KR 1020220105720 A KR1020220105720 A KR 1020220105720A KR 20220105720 A KR20220105720 A KR 20220105720A KR 102586872 B1 KR102586872 B1 KR 1025868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shell
- frame
- insulation
- rib
- she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면을 이루는 바디외피와, 상기 바디외피에 내장되어 내측면을 이루는 바디단열재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디단열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에 결합하여 상기 바디외피와 상기 바디단열재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구비되는 단열재프레임을 포함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를 개방하는 바디부재; 및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단열재가 직접 바디부재의 내측면을 이루는 형태로 바디단열재를 바디외피에 내장시킴으로써 보냉상자에 별도의 바디내피가 포함되지 않게 되므로 보냉상자가 보다 경량화 될 수 있으며, 또한 바디내피의 두께만큼 바디단열재의 두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커버부재를 단일 단열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층 형태의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보냉상자가 보다 경량화될 수 있으며, 또한 커버부재 전체가 단열 작용을 하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바디단열재를 바디외피에 단열재프레임을 통해 결합시키되, 바디외피와 단열재프레임을 돌기 및 홈으로 이루어진 언더컷 구조로 결합시킴으로써 융착 방식에 의한 결합 방식에 비해 원재료의 제약이 없으며,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불량률이 작은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단열재가 직접 바디부재의 내측면을 이루는 형태로 바디단열재를 바디외피에 내장시킴으로써 보냉상자에 별도의 바디내피가 포함되지 않게 되므로 보냉상자가 보다 경량화 될 수 있으며, 또한 바디내피의 두께만큼 바디단열재의 두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커버부재를 단일 단열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층 형태의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보냉상자가 보다 경량화될 수 있으며, 또한 커버부재 전체가 단열 작용을 하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바디단열재를 바디외피에 단열재프레임을 통해 결합시키되, 바디외피와 단열재프레임을 돌기 및 홈으로 이루어진 언더컷 구조로 결합시킴으로써 융착 방식에 의한 결합 방식에 비해 원재료의 제약이 없으며,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불량률이 작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량화 되면서 단열성능은 향상된 보냉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냉상자는 저온의 물품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이스박스와 일회용 EPS 보냉상자 등을 말하며, 한국등록특허 제10-2254344호 (2021.05.14)에는 종래 보냉상자의 일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54344호 (2021.05.14.)에 개시된 보냉상자의 경우, 외면을 이루는 바디 외피와, 내면을 이루는 바디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바디부재와, 상면을 이루는 커버 외피와, 하면을 이루는 커버 내피로 이루어지고, 바디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바디 외피와 바디 내피 사이 및 커버 외피와 커버 내피 사이에는 단열재가 각각 내장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한국등록특허 제10-2254344호 (2021.05.14.)에 개시된 보냉상자의 경우, 바디 외피와 바디 내피에 단열재가 내장되고, 또한 커버 외피와 커버 내피 사이에 단열재가 내장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나, 바디부재가 바디 외피 및 바디 내피를 포함하고, 커버부재가 커버 외피 및 커버 내피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냉상자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또한 보냉상자의 두께가 두꺼워져 상대적으로 얇은 단열재를 내장시켜야 하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경량화 되면서도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측면을 이루는 바디외피와, 상기 바디외피에 내장되어 내측면을 이루는 바디단열재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디단열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에 결합하여 상기 바디외피와 상기 바디단열재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구비되는 단열재프레임을 포함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를 개방하는 바디부재; 및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
또한, 외측면을 이루는 바디외피와, 상기 바디외피에 내장되어 내측면을 이루는 바디단열재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디단열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에 결합하여 상기 바디외피와 상기 바디단열재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구비되는 단열재프레임을 포함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를 개방하는 바디부재; 및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체결핀부재에 의해 상기 바디부재에 일체로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
또한, 외측면을 이루는 바디외피와, 상기 바디외피에 내장되어 내측면을 이루는 바디단열재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디단열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에 결합하여 상기 바디외피와 상기 바디단열재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구비되는 단열재프레임을 포함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를 개방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바디부재에 결합하여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서로 결속시켜 상기 바디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잠그도록 구비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를 장착하면서, 상기 바디부재에 결합하는 잠금장치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프레임은,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단열재의 상단부 둘레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디단열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이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고, 외부 전면이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디외피 및 상기 단열재프레임은, 상기 바디외피 및 상기 단열재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상기 바디외피 및 상기 단열재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삽입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디외피는, 측벽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기 바디외피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바디외피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프레임은, 상기 단열재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구비하는 프레임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외피의 측벽 둘레 및 상기 단열재프레임의 둘레를 서로 맞닿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의 측벽 상단부 둘레 및 상기 단열재프레임의 둘레를 가압하면, 상기 바디외피리브 및 상기 프레임리브가 각각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재는, 상기 바디외피와 상기 단열재프레임 사이에 기밀성 유지를 위한 바디패킹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바디단열재가 직접 바디부재의 내측면을 이루는 형태로 바디단열재를 바디외피에 내장시킴으로써 보냉상자에 별도의 바디내피가 포함되지 않게 되므로 보냉상자가 보다 경량화 될 수 있으며, 또한 바디내피의 두께만큼 바디단열재의 두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커버부재를 단일 단열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층 형태의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보냉상자가 보다 경량화될 수 있으며, 또한 커버부재 전체가 단열 작용을 하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바디단열재를 바디외피에 단열재프레임을 통해 결합시키되, 바디외피와 단열재프레임을 돌기 및 홈으로 이루어진 언더컷 구조로 결합시킴으로써 융착 방식에 의한 결합 방식에 비해 원재료의 제약이 없으며,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불량률이 작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외피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X-X 단면 및 Y-Y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6의 C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외피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단열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X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단열재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X 단면 및 Y-Y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단열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X-X 단면 및 Y-Y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2의 X-X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X-X 단면 및 Y-Y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재에 핸들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재 및 핸들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재가 바디부재 방향으로 회전되어 바디부재의 측벽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에 구비되는 커버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6은 도 33의 B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7은 도 33의 C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부재 및 커버부재가 체결핀부재에 의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에 구비되는 커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가 걸쇠부에 의해 바디부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에 잠금장치를 장착한 잠금장치브라켓이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잠금장치브라켓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브라켓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브라켓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브라켓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장착한 잠금장치브라켓을 보냉상자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보냉상자를 잠그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외피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X-X 단면 및 Y-Y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6의 C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외피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단열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X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단열재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X 단면 및 Y-Y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단열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X-X 단면 및 Y-Y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2의 X-X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X-X 단면 및 Y-Y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재에 핸들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재 및 핸들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재가 바디부재 방향으로 회전되어 바디부재의 측벽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에 구비되는 커버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6은 도 33의 B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7은 도 33의 C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부재 및 커버부재가 체결핀부재에 의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에 구비되는 커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가 걸쇠부에 의해 바디부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에 잠금장치를 장착한 잠금장치브라켓이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잠금장치브라켓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브라켓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브라켓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브라켓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장착한 잠금장치브라켓을 보냉상자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보냉상자를 잠그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는 보냉이 필요한 각종 물품류를 운송 내지 배송하기 위한 박스용기로서, 물품을 수용하는 바디부재(100) 및 바디부재(100)의 개방 부분을 개폐하는 커버부재(200, 400a, 400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물류의 보안 강화를 위한 잠금장치(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는 바디부재(100)와 바디부재(100)의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는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를 개방하는 바스켓(basket)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는 외측면을 이루는 바디외피(110)와, 바디외피(110)에 내장되어 내측면을 이루는 바디단열재(130) 및 적어도 일부분이 바디단열재(130)에 접촉한 상태에서 바디외피(110)에 결합하여 바디외피(110)와 바디단열재(130)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구비되는 및 단열재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외피(110)는 바디부재(100)의 외측면을 이루는 부재로서, 직사각판 형상의 바닥면부, 바닥면부의 가장자리 장측변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기립 형성되는 한 쌍의 장측벽 및 바닥면부의 가장자리 단측변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기립 형성되는 한 쌍의 단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외피(110)의 바닥면부의 상면에는 바닥면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바닥보강리브(1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보강리브(111)는 일예로 서로 격자 형상의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외피(110)의 바닥면부에 바닥보강리브(111)가 형성됨으로써 바디외피(110)의 바닥면부의 강도가 보강되어 바디외피(110)의 바닥면부가 외측 방향으로 부푸는 등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외피(110)의 바닥면부의 장측변 방향 양 단부에는 바디외피(110) 바닥면부의 단측변 방향을 따라 바디외피(110)의 바닥면부의 상부 방향으로 함몰된 한 쌍의 핸들안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외피(110)의 바닥면에 핸들안착부(112)가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바디부재(110)를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핸들부재(300)가 바디부재(100)의 내측으로 회전되어 바디부재(100)의 장측변 상단부에 거치된 상태의 다른 바디부재(100)의 상부에 용이하게 쌓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외피(110)의 측벽부 상단부는, 측벽부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바디외피(11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외측절곡부(113)와, 외측절곡부(113)의 단부에서 바디외피(110)의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바디외피리브(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외피리브(114)에는 바디외피(1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14-1)가 구비될 수 있는데, 결합돌기(114-1)는 바디외피리브(114)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바디외피리브(114)에 형성된 결합돌기(114-1)는 후술하는 단열재프레임(150)의 프레임리브(155)에 구비된 결합홈(155-1)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바디외피(110)의 결합돌기(114-1)를 단열재프레임(150)의 결합홈(155-1)에 삽입시킴으로써 바디외피(110)와 단열재프레임(150)을 언더컷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14-1)의 상단에는 결합돌기(114-1)가 결합홈(155-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경사부(114-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외피(110)의 측벽부 상단부는, 외측절곡부(113)로부터 바디외피(11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바디외피리프(114)와 바디외피(110)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리브지지체(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리브지지체(115)는 바디외피(110)의 측벽부 상단부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리브지지체(115)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114-1)들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외피(110)의 측벽부 상단부 둘레에 프레임리브지지체(115)가 구비됨으로써, 단열재프레임(150)의 프레임리브(155)의 결합홈(155-1)에 결합돌기(114-1)가 삽입되면 프레임리브(155)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외피리브(114) 및 프레임리브지지체(115)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 변형이 방지되고, 이로써 프레임리브(155)의 결합홈(155-1)에 삽입된 결합돌기(114-1)가 프레임리브(155)의 탄성 변형에 의해 결합홈(155-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외피(110)의 측벽부 상단부 외측 둘레에는 네스팅단차부(116)가 형성될 수 있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네스팅단차부(116)는 바디외피(110)의 측벽부 상단부 외측 둘레를 따라 바디외피(1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외피(110)의 측벽부 상단부 외측 둘레에 네스팅단차부(116)가 형성됨으로써, 복수개의 바디부재(100)를 서로 적재하였을 때 상부의 바디부재(100)가 네스팅단차부(116)에 의해 하부의 바디부재(100)의 수용공간의 일정부분 만큼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외피(110)의 장측벽의 상단부 외측에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400a, 400b)를 바디부재(100)에 결합시키는 체결핀부재(500)가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체결핀체결부(117) 및 커버부재(400b)에 형성된 걸쇠부(470)가 걸림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걸쇠체결부(118)이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체결부(117)는 바디외피(110)의 장측벽의 상단부 외측에 형성되면서, 후술하는 체결핀부재(500)의 한 쌍의 후크(530) 각각을 삽입시키는 한 쌍의 핀체결홀(117-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핀체결홀(117-1)은 각각 상부개방부와 측부개방부를 형성하는데, 체결핀부재(500)의 한 쌍의 후크(530)는 각각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한 쌍의 핀체결홀(117-1)의 상부개방부로 삽입된 다음, 하단부의 후크가 측부개방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탄성 변형이 해제되면서 체결핀체결부(117)에 체결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체결부(118)는 바디외피(110)의 장측벽의 상단부 외측에 형성되면서, 후술하는 커버부재(400b)에 구비되는 걸쇠부(470)를 걸림 결합시키는 한 쌍의 걸림돌기(118-1)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돌기(118-1)는 바디외피(110)의 장측벽의 상단부 외측면에서 바디외피(1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부재(400b)의 걸쇠루(470)의 한 쌍의 힌지체(472)가 하면에 걸리도록 구비된다.
이어서,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외피(110)의 장측벽의 상단부 외측에는 후술하는 잠금장치(600)가 장착된 잠금장치브라켓(70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바디잠금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잠금부(119)는 잠금연장체(119-1), 잠금장치지지부(119-2), 하판돌기삽입홈(119-3), 한 쌍의 브라켓가이드홈(119-4)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잠금연장체(119-1)는 바디외피(110)의 장측벽의 상단부 외측에서 바디외피(1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잠금연장체(119-1)에는 한 쌍의 체결돌기삽입홀(119-11), 바디잠금쇠홀(119-12), 바디봉쇄홀(119-13)이 각각 잠금연장체(119-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체결돌기삽입홀(119-11)에는 후술하는 잠금장치브라켓(700)의 한 쌍의 탄성체결부(750)가 각각 체결될 수 있고, 바디잠금쇠홀(119-12)에는 후술하는 잠금장치(600)의 잠금쇠(630)가 관통 삽입될 수 있으며, 바디봉쇄홀(119-3)에는 일예로 케이블 타이와 같은 일회용 봉인 부재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잠금장치지지부(119-2)는 잠금연장체(119-1)의 하부에 형성되되 바디외피(110)의 장측벽의 상단부 외측면에서 일정면적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잠금장치지지부(119-2)는 바디부재(100)에 결합되는 잠금장치(600)의 후면에 접촉하여, 잠금장치(600)를 바디부재(100)의 외측 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어서, 하판돌기삽입홈(119-3)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지지부(119-2)의 하면에서 잠금장치지지부(119-2)의 상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판돌기삽입홈(119-3)에는 바디부재(100)에 결합하는 잠금장치브라켓(700)의 바디삽입돌기(713)가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한 쌍의 브라켓가이드홈(119-4)은 잠금장치지지부(119-2)의 양 측부에 구비되되, 바디외피(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바디외피(110)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브라켓가이드홈(119-4)에는바디부재(100)에 결합하는 잠금장치브라켓(700)의 바디가이드돌기(735-1)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체결핀체결부(117), 걸쇠체결부(118) 및 바디잠금부(119)는 바디외피(110)의 한 쌍의 장측벽 각각에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외피(110)의 단측벽의 상단부 외측에는 손잡이부(121) 및 핸들지지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손잡이부(121)는 바디외피(110)의 단측벽의 상단부 중앙에 구비되되, 바디외피(110)의 단측벽의 상단부 외측에서 바디외피(110)의 내측 방향 및 상측 방향으로 각각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지지부(122)는 바디외피(110)의 단측벽의 상단부 길이 방향 양 측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핸들지지부(122)는 바디외피(110)의 단측벽의 상단부 외측에서 바디외피(1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들지지부(122)가 구비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핸들부재(300)가 바디부재(100)의 측벽부 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일 때, 핸들부재(300)의 내측에서 핸들부재(3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다음으로, 바디단열재(130)는 전술한 바디외피(110)에 내장되어 바디부재(100)의 내측면을 이루는 부재로서, 바디외피(110)와 마찬가지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판 형상의 바닥면부, 바닥면부의 가장자리 장측변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기립 형성되는 한 쌍의 장측벽 및 바닥면부의 가장자리 단측변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기립 형성되는 한 쌍의 단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디단열재(130)는 바디외피(110)에 포개져 결합될 수 있도록 바디외피(1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단열재(130)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디단열재(130)의 내측면은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글레이징 처리는, 발포폴리프로필렌 부재 표면에 열을 가해 발포폴리프로필렌의 표층을 녹인 후 다시 빠르게 냉각시켜, 발포폴리프로필렌 부재 표층에 견고한 보호층이 생성되도록 하는 공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는 별도의 바디내피 부재가 구비되지 않고,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단열재(130)가 바디부재(100)의 내측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므로, 바디단열재(130)의 외측면은 바디외피(110)의 내측면에 맞닿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바디단열재(130)의 내측면은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바디단열재(130)의 내측면에 글레이징 처리를 하여 바디단열재(1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오염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단열재(130) 측벽부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단열재프레임(150)의 단열재지지부(151)가 맞닿는 프레임접촉부(1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프레임접촉부(131)는 바디단열재(130)의 측벽부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바디단열재(130)의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열재프레임(150)은 적어도 일부분이 전술한 바디단열재(130)에 접촉한 상태에서 바디외피(110)에 결합하여 바디외피(110)와 바디단열재(130)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단열재프레임(150)은 도 16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장측변 및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측변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바디단열재(130)의 측벽부 상단부 둘레에 접촉한 상태에서 바디외피(110)의 측벽부 상단부 둘레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는 바디외피(110)에 바디단열재(130)를 내장시킨 상태에서 바디외피(110) 및 바디단열재(130)의 상단부에 고리 형태의 단열재프레임(150)을 결합시켜 바디외피(110)와 바디단열재(130)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구성하고 있어, 보냉상자에 별도의 바디내피 부재가 포함되지 않게 되므로 보냉상자가 보다 경량화 될 수 있으며, 또한 바디내피 부재의 두께만큼 바디단열재의 두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프레임(15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면서 전술한 바디단열재(130)의 프레임접촉부(131)에 맞닿아 바디단열재(13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단열재지지부(151)와, 단열재지지부(151)의 상측 단부에서 단열재프레임(15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1외측절곡부(152)와, 제1외측절곡부(152)의 단부에서 단열재프레임(150)의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상방절곡부(153)와, 상방절곡부(153)의 단부에서 단열재프레임(15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2외측절곡부(154)와, 제2외측절곡부(154)의 단부에서 단열재프레임(150)의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리브(155)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리브(155)에는 단열재프레임(150)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155-1)이 구비될 수 있는데, 결합홈(155-1)은 프레임리브(155)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리브(155)에 구비되는 결합홈(155-1)에는 전술한 바디외피(110)의 바디외피리브(114)에 구비되는 결합돌기(114-1)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바디외피(110)의 결합돌기(114-1)를 단열재프레임(150)의 결합홈(155-1)에 삽입시킴으로써 바디외피(110)와 단열재프레임(150)을 언더컷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디외피(110)의 결합돌기(114-1)를 단열재프레임(150)의 결합홈(155-1)에 삽입시키는 경우 프레임리브(155)는 바디외피리브(114)의 내측에 배치되는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외피(110)에는 바디외피리브(114)와 바디외피(110)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리브지지체(115)가 구비되어 있어, 프레임리브(155)는 바디외피리브(114)와 프레임리브지지체(115)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바디외피(110)의 결합돌기(114-1)를 단열재프레임(150)의 결합홈(155-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는 프레임리브(155)의 탄성 변형이 방지되고, 이로써 결합홈(155-1)에 삽입된 결합돌기(114-1)가 프레임리브(155)의 탄성 변형에 의해 결합홈(15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리브(155)의 하측 단부에는 결합돌기(114-1)가 결합홈(155-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방경사부(155-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디외피(110)와 단열재프레임(150)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외피(110)의 측벽 상단부 둘레 및 단열재프레임(150)의 둘레를 서로 맞닿게 배치한 상태에서, 바디외피(110)의 측벽 상단부 둘레 및 단열재프레임(150)의 둘레를 각각 가압하면, 바디외피리브(114) 및 프레임리브(155)가 각각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돌기(114-1)가 결합홈(155-1)으로 삽입됨으로써 언더컷 구조로 상호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프레임(150)의 단측변의 양 단부에는 후술하는 핸들부재(300)의 양 단부가 각각 회전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핸들장착부(156)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핸들장착부(156) 각각은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회전돌기삽입홀(156-1)이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돌기삽입홀(156-1) 각각에는 핸들부재(310)의 한 쌍의 회전결합돌기(350)가 삽입된다.
이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프레임(150)의 장측변 상부에는 단열재프레임(15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된 핸들부재(300)를 거치하도록 형성되는 핸들거치부(157)가 구비될 수 있다.
핸들거치부(157)는 단열재프레임(150)의 장측변 상부에 단열재프레임(150)의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의 적재를 위해 단열재프레임(15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된 핸들부재(300)는 양 단부가 핸들거치부(157)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어서, 도 5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는 바디외피(110)와 단열재프레임(150) 사이에 기밀성 유지를 위한 바디패킹재(170)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바디패킹재(170)는 일예로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리 형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디패킹재(170)는 바디외피(110)의 측벽부 상단부 둘레의 외측절곡부(113)의 상면 및 단열재프레임(150)의 프레임리브(155)의 하측 단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버부재(200)는 일예로 외측 둘레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장측변 및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측변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판 형상의 부재로 구비되어, 전술한 바디부재(100)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200)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외부 전면이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는 커버부재(200)를 단일 단열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층 형태의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보냉상자가 보다 경량화될 수 있으며, 또한 커버부재 전체가 단열 작용을 하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커버부재(200)가 별도의 커버외피 부재 및 커버내피 부재 없이 단일 단열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커버부재(200)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커버부재(200)가 쉽게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커버부재(200)의 외부 전면에 글레이징 처리를 하여 커버부재(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오염이 방지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도 26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의 외측 둘레 중 한 쌍의 장변측 각각의 상측 부분에는, 커버부재(2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외측연장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는 외측 둘레의 하면부가 단열재프레임(150)의 제1외측절곡부(152)에 맞닿고, 한 쌍의 장변측 하측 부분이 단열재프레임(150)의 상방절곡부(153)에 맞닿으며, 외측연장부(210)의 하면부가 단열재프레임(150)의 제2외측절곡부(154)에 맞닿아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견고하계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의 상면 각 꼭지점 부분에는 ‘ㄱ’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디스택돌기(2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200)의 상면에 바디스택돌기(230)가 구비됨에 따라 커버부재(200)의 상부에 다른 보냉상자를 안전하게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의 하면 각 꼭지점 부분에는 ‘ㄱ’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스택돌기안착홈(2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200)의 하면에 스택돌기안착홈(250)가 구비됨에 따라 복수개의 커버부재(200)들을 안정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는 전술한 바디부재(100)에 회전 결합하는 핸들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재(30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지부(310)와, 파지부(310)의 양 단부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330) 및 한 쌍의 절곡부(350) 각각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고, 각각이 전술한 단열재프레임(150)의 핸들장착부(156)에 회전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결합돌기(35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재(300)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의 상부 개방 부분으로 회전하여 바디부재(100)의 측벽부에 거치되도록 구비되어, 커버부재(200) 없이도 바디부재(200)의 측벽부에 거치된 핸들부재(300)에 다른 바디부재(100)를 적재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다음으로, 도 33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와 비교하여 바디부재(10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바디부재(100)를 개폐하는 커버부재(400a, 400b)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200)와 다른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부재(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400a, 400b) 구성 및 바디부재(100)와 커버부재(400a, 400b)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400a, 400b)는 바디부재(100)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되, 바디부재(100)의 상부 개방 부분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체결핀부재(500)에 의해 상기 바디부재(100)에 일체로 결속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400a, 400b)는 일예로 외측 둘레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장측변 및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측변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판 형상의 부재로 구비되어, 전술한 바디부재(100)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34 내지 도 36,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400a, 400b)의 외측 둘레 중 장측변에는 체결핀장착부(410) 및 커버잠금부(43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체결핀장착부(410)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핀삽입홀(411)을 구비하여 커버부재(400a, 400b)를 바디부재(100)에 결속시키는 체결핀부재(500)가 장착되도록 구비된다.
한 쌍의 핀삽입홀(411)은 커버부재(400a, 400b)의 장측변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체결핀부재(5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체결핀부재(500)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본체(510)와 핀본체(510)로부터 나란히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한 쌍의 후크(530)는 각각이 한 쌍의 핀삽입홀(411)에 관통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커버부재(400a, 400b)는, 커버부재(400a, 400b)의 체결핀장착부(410)에 체결핀부재(5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부재(400a, 400b)로 바디부재(100)의 상단 개방 부분을 덮은 후 체결핀부재(50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부재(500)를 바디부재(100)의 체결핀체결부(117)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바디부재(100)에 일체로 결속된다.
이어서, 커버잠금부(430)는 커버부재(400a, 400b)의 장측변 부분에 커버부재(400a, 400b)의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함몰부(431)와, 함몰부(431) 중 일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커버잠금쇠홀(4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잠금쇠홀(432)에는 후술하는 잠금장치(600)의 잠금쇠(63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커버잠금부(215)는 커버부재(400a, 400b)의 장측변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커버봉쇄홀(43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봉쇄홀(433)에는 케이블 타이와 같은 일회용 봉인부재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커버봉쇄홀(433)은 전술한 바디외피(110)에 형성되는 바디봉쇄홀(199-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케이블 타이와 같은 일회용 봉인부재를 바디봉쇄홀(199-13) 및 커버봉쇄홀(433)을 순차적으로 관통시킴으로써 바디부재(100)와 커버부재(400a, 400b)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4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400a, 400b)의 상면 각 꼭지점 부분에는 ‘ㄱ’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디스택돌기(4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400a, 400b)의 상면에 바디스택돌기(450)가 구비됨에 따라 커버부재(400a, 400b)의 상부에 다른 보냉상자를 안전하게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400a, 400b) 중 제1실시형태에 따른 커버부재(400a)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장측변 각각에 체결핀장착부(410) 및 커버잠금부(430)가 대칭적으로 구비되며, 제2실시형태에 따른 커버부재(400b)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장측변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핀장착부(410) 및 커버잠금부(430)가 구비되고, 한 쌍의 장측변 중 나머지 하나에는 걸쇠부(47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부(470)는 커버부재(400b)의 장측변 부분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걸쇠본체(471)와, 걸쇠본체(471)의 단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체(4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힌지체(472)는 전술한 바디외피(110)의 장측벽 상단부에 구비되는 걸쇠체결부(118)의 한 쌍의 걸림돌기(118-1)의 하측면에 맞닿아 걸쇠체결부(118)에 걸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커버부재(400b)의 경우에는 커버부재(400b)의 체결핀장착부(410)에 체결핀부재(5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먼저 걸쇠부(470)를 바디부재(100)의 걸쇠체결부(188)에 걸림 결합시키고, 커버부재(400b)를 걸쇠부(470)를 힌지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바디부재(100)의 상단 개방 부분을 덮은 후 체결핀부재(50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체결핀부재(500)를 바디부재(100)의 체결핀체결부(117)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바디부재(100)에 일체로 결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에는 커버부재(400a, 400b)가 바디부재(100)에 결합하여 바디부재(100)의 상부 개방 부분을 폐쇄한 상태에서, 바디부재(100)와 커버부재(400a, 400b)를 서로 결속시켜 바디부재(100)와 커버부재(400a, 400b)를 잠그도록 구비되는 잠금장치(600) 및 잠금장치(700)를 장착하면서, 바디부재(100)에 결합하는 잠금장치브라켓(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4 내지 도 46을 참조하여 잠금장치(600) 및 잠금장치브라켓(7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잠금장치(600)는 일예로 블루투스 또는 지문인식으로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한 스마트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관리자 등이 전용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또는 지문인식 등으로 잠금장치(600)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44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600)는 잠금장치브라켓(700)에 장착되는 잠금장치본체(610) 및 잠금장치본체(610)의 상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바디부재(100)와 커버부재(400a, 400b)의 결속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잠금쇠(6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잠금장치본체(610)의 양 측면에는 삽입가이드홈(611) 및 측방고정홈(613)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가이드홈(611)은 잠금장치본체(610)의 양 측면의 하단부에 함몰 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삽입가이드홈(611)은 하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잠금장치(600)를 잠금장치브라켓(700)에 장착시 잠금장치브라켓(700)의 측방고정돌기(731-1)가 삽입가이드홈(611)의 하단 개방 부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이로써 잠금장치(600)를 잠금장치브라켓(700)에 더욱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어서, 잠금장치본체(610)의 양 측면에는 측방고정홈(613)이 형성되는데, 측방고정홈(613)은 잠금장치본체(610)의 양 측면에 함몰 형성되되, 삽입가이드홈(6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잠금장치본체(600)를 잠금장치브라켓(700)에 장착시키면, 잠금장치브라켓(700)의 측방고정돌기(731-1)가 측방고정홈(613)에 삽입되어 잠금장치본체(600)는 잠금장치브라켓(700)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본체(610)의 하면에는 하방고정홈(615)이 형성되는데, 하방고정홈(615)은 잠금장치본체(610)의 하면에서 잠금장치본체(610)의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잠금장치본체(600)를 잠금장치브라켓(700)에 장착시키면 하방고정홈(615)에는 잠금장치브라켓(700)의 하방고정돌기(711)가 삽입되어 잠금장치본체(600)는 잠금장치브라켓(700)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잠금쇠(630)는 잠금장치본체(610)의 상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바디부재(100)와 커버부재(400a, 400b)의 결속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도록 구비된다.
잠금쇠(630)는 잠금장치본체(61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잠금장치(600)가 잠금장치브라켓(700)에 의해 보냉상자에 결합되었을 때 바디외피(110) 바디잠금부(119)의 바디잠금쇠홀(119-12) 및 커버부재(400a, 400b) 커버잠금부(430)의 커버잠금쇠홀(432)을 순차적으로 관통 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잠금쇠(630)의 단부에는 측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한 쌍의 잠금돌기(631)가 형성되는데,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쇠(630)가 커버잠금쇠홀(432)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쇠(630)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커버부재(400a, 400b)의 함몰부(431)가 한 쌍의 잠금돌기(631) 사이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구비된다.
잠금쇠(63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커버부재(400a, 400b)의 함몰부(431)가 한 쌍의 잠금돌기(631)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 잠금쇠(630)가 바디부재(100)와 커버부재(400a, 400b)를 결속하게 되며, 또한 잠금쇠(63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커버부재(400a, 400b)의 함몰부(431)가 한 쌍의 잠금돌기(631) 사이에서 이탈되는 경우, 잠금쇠(630)가 바디부재(100)와 커버부재(400a, 400b)의 결속을 해제하게 된다.
이어서, 도 43 및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브라켓(700)은 잠금장치본체(6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하판(710), 하판(710)의 양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각각 기립 연장 형성되어 잠금장치본체(610)의 양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중공형기립체(730) 및 한 쌍의 중공형기립체(730) 각각에 형성되어, 바디외피(11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탄성체결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44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710)은 판상형으로 형성되어 잠금장치본체(6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이때 하판(710)에는 잠금장치본체(610)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방고정홈(615)에 삽입되는 하방고정돌기(71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하판(710)의 후단측에는 전술한 바디외피(110)의 바디잠금부(119)의 하판돌기삽입홈(119-3)에 삽입되는 바디삽입돌기(713)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삽입돌기(713)는 하판(710)의 후단측에서 하판(71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장금장치브라켓(700)을 바디외피(110)에 결합할 때 잠금장치지지부(119-2)의 하면에서 잠금장치지지부(119-2)의 상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하판돌기삽입홈(119-3)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장금장치브라켓(700) 하판(710)의 바디삽입돌기(713)가 바디외피(110) 바디잠금부(119)의 하판돌기삽입홈(119-3)에 삽입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장금장치브라켓(700)을 바디외피(110)에 결합시켰을 때 장금장치브라켓(700)이 바디외피(110)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한 쌍의 중공형기립체(730)는 하판(710)의 양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각각 기립 연장 형성되어 잠금장치본체(610)의 양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중공형기립체(730)는 내측기립벽(731), 전방기립벽(733), 후방기립벽(735) 및 외측절개기립벽(737)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중공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내측기립벽(731)은 하판(710)의 양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기립 연장 형성되며, 내측기립벽(731)에는 측방고정돌기(731-1)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기립벽(733) 및 후방기립벽(735)은 각각 내측기립벽(731)의 양 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후방기립벽(735)에는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가이드돌기(735-1)가 잠금장치브라켓(700)의 후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디가이드돌기(735-1)는 후방기립벽(7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금장치브라켓(700)의 후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가이드돌기(735-1)는 잠금장치브라켓(700)을 바디외피(110)에 결합시켰을 때, 바디외피(110) 바디잠금부(119)의 브라켓가이드홈(119-4)에 삽입될 수 있다.
잠금장치브라켓(700)을 바디외피(110)에 결합시켰을 때, 잠금장치브라켓(700)의 바디가이드돌기(735-1)가 바디외피(110) 바디잠금부(119)의 브라켓가이드홈(119-4)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금장치브라켓(700)이 바디외피(11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외측절개기립벽(737)은 양 단부가 전방기립벽(733) 및 후방기립벽(735)에 연결되며, 이때 외측절개기립벽(737)은 상부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구비되면서, 외측절개기립벽(737)의 절개된 부분에는 탄성체결부(750)가 구비된다.
탄성체결부(750)는 외측절개기립벽(737)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이때 탄성체결부(750)는 누름체(751)와 체결돌기(753)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누름체(751)는 탄성체결부(750)의 하부에 형성되며, 탄성체결부(750)는 누름체(751)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내측기립벽(731)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탄성체결부(750)의 상부에는 후크 형상의 체결돌기(753)가 형성되며, 잠금장치브라켓(700)을 바디외피(110)에 결합하였을 때, 체결돌기(753)는 바디외피(110) 바디잠금부(119)의 체결돌기삽입홀(119-11)에 걸림 결합하도록 구비되며, 또한 누름체(751)의 가압에 의해 탄성체결부(750)가 내측기립벽(731)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비된다.
이상 설명한 잠금장치(600) 및 잠금장치브라켓(700)를 보냉상자에 장착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잠금장치(600)를 잠금장치브라켓(700)에 장착시키는데 이때, 잠금장치본체(610)에 형성된 측방고정홈(613) 및 하방고정홈(615)에 잠금장치브라켓(700)의 측방고정돌기(731-1) 및 하방고정돌기(711)가 각각 삽입되어 잠금장치(600)가 잠금장치브라켓(70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잠금장치(600)가 장착된 잠금장치브라켓(700)을 보냉상자에 결합시키는데, 이때 잠금장치브라켓(700)을 바디외피(110) 바디잠금부(119)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방으로 밀어올려 잠금장치브라켓(700)을 바디외피(110)에 결합시킨다.
이때, 잠금장치브라켓(700)의 한 쌍의 바디가이드돌기(735-1)가 바디잠금부(119)의 한 쌍의 브라켓가이드홈(119-4)에 각각 삽입되어 잠금장치브라켓(700)은 바디잠금부(119)의 한 쌍의 브라켓가이드홈(119-4)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밀어 올려질 수 있다.
잠금장치브라켓(700)이 다 밀어올려진 상태가 되면, 잠금장치브라켓(700) 하판(710)의 바디삽입돌기(713)가 바디잠금부(119)의 하판돌기삽입홈(119-3)에 삽입되어 잠금장치브라켓(700)은 바디외피(110)로부터 바디외피(11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잠금장치브라켓(700)이 다 밀어올려진 상태가 되면, 잠금장치브라켓(700)의 한 쌍의 탄성체결부(750)의 체결돌기(753)가 각각 바디잠금부(119)의 한 쌍의 체결돌기삽입홀(119-11)에 걸림 결합하여, 잠금장치브라켓(700)은 바디외피(110)에 완전하게 결합하게 된다.
한편, 잠금장치브라켓(700)을 바디외피(1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탄성체결부(750)의 누름체(751)를 동시에 가압하여 체결돌기(753)의 걸림 상태를 해체한 후, 잠금장치브라켓(700)를 하방으로 끌어내려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잠금장치(600)가 잠금장치브라켓(700)에 의해 보냉상자에 결합한 상태에서, 관리자 등은 블루투스 또는 지문인식 등의 방식으로 잠금쇠(630)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보냉상자를 잠그거나, 보냉상자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에 블루투스 또는 지문인식으로 작동하는 스마트형 잠금장치가 구비됨으로써 BtoC 물류에 있어서 보다 강도 높은 보안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바디부재 110 : 바디외피
111 : 바닥보강리브 112 : 핸들안착부
113 : 외측절곡부 114 : 바디외피리브
114-1 : 결합돌기 114-11 : 하방경사부
115 : 프레임리브지지체 116 : 네스팅단차부
117 : 체결핀체결부 117-1 : 핀체결홀
118 : 걸쇠체결부 118-1 : 한 쌍의 걸림돌기
119 : 바디잠금부 119-1 : 잠금연장체
119-11 : 한 쌍의 체결돌기삽입홀 119-12 : 바디잠금쇠홀
119-13 : 바디봉쇄홀 119-2 : 잠금장치지지부
119-3 : 하판돌기삽입홈 119-4 : 한 쌍의 브라켓가이드홈
121 : 손잡이부 122 : 핸들지지부
130 : 바디단열재 131 : 프레임접촉부
150 : 단열재프레임 151 : 단열재지지부
152 : 제1외측절곡부 153 : 상방절곡부
154 : 제2외측절곡부 155 : 프레임리브
155-1 : 결합홈 155-11 상방경사부
156 : 핸들장착부 156-1 : 회전돌기삽입홀
157 : 핸들거치부 170 : 바디패킹재
200 : 커버부재 210 : 외측연장부
230 : 바디스택돌기 250 : 스택돌기안착홈
300 : 핸들부재 310 : 파지부
330 : 한 쌍의 절곡부 350 : 한 쌍의 회전결합돌기
400a, 400b : 커버부재 410 : 체결핀장착부
411 : 한 쌍의 핀삽입홀 430 : 커버잠금부
431 : 함몰부 432 : 커버잠금쇠홀
433 : 커버봉쇄홀 450 : 바디스택돌기
470 : 걸쇠부 471 : 걸쇠본체
472 : 한 쌍의 힌지체
500 : 체결핀부재 510 : 핀본체
530 : 한 쌍의 후크
600 : 잠금장치 610 : 잠금장치본체
611 : 삽입가이드홈 613 : 측방고정홈
615 : 하방고정홈 630 : 잠금쇠
631 : 한 쌍의 잠금돌기
700 : 잠금장치브라켓 710 : 하판
711 : 하방고정돌기 713 : 바디삽입돌기
730 : 한 쌍의 중공형기립체 731 : 내측기립벽
731-1 : 측방고정돌기 733 : 전방기립벽
735 : 후방기립벽 735-1 : 바디가이드돌기
737 : 외측절개기립벽 750 : 탄성체결부
751 : 누름체 753 : 체결돌기
111 : 바닥보강리브 112 : 핸들안착부
113 : 외측절곡부 114 : 바디외피리브
114-1 : 결합돌기 114-11 : 하방경사부
115 : 프레임리브지지체 116 : 네스팅단차부
117 : 체결핀체결부 117-1 : 핀체결홀
118 : 걸쇠체결부 118-1 : 한 쌍의 걸림돌기
119 : 바디잠금부 119-1 : 잠금연장체
119-11 : 한 쌍의 체결돌기삽입홀 119-12 : 바디잠금쇠홀
119-13 : 바디봉쇄홀 119-2 : 잠금장치지지부
119-3 : 하판돌기삽입홈 119-4 : 한 쌍의 브라켓가이드홈
121 : 손잡이부 122 : 핸들지지부
130 : 바디단열재 131 : 프레임접촉부
150 : 단열재프레임 151 : 단열재지지부
152 : 제1외측절곡부 153 : 상방절곡부
154 : 제2외측절곡부 155 : 프레임리브
155-1 : 결합홈 155-11 상방경사부
156 : 핸들장착부 156-1 : 회전돌기삽입홀
157 : 핸들거치부 170 : 바디패킹재
200 : 커버부재 210 : 외측연장부
230 : 바디스택돌기 250 : 스택돌기안착홈
300 : 핸들부재 310 : 파지부
330 : 한 쌍의 절곡부 350 : 한 쌍의 회전결합돌기
400a, 400b : 커버부재 410 : 체결핀장착부
411 : 한 쌍의 핀삽입홀 430 : 커버잠금부
431 : 함몰부 432 : 커버잠금쇠홀
433 : 커버봉쇄홀 450 : 바디스택돌기
470 : 걸쇠부 471 : 걸쇠본체
472 : 한 쌍의 힌지체
500 : 체결핀부재 510 : 핀본체
530 : 한 쌍의 후크
600 : 잠금장치 610 : 잠금장치본체
611 : 삽입가이드홈 613 : 측방고정홈
615 : 하방고정홈 630 : 잠금쇠
631 : 한 쌍의 잠금돌기
700 : 잠금장치브라켓 710 : 하판
711 : 하방고정돌기 713 : 바디삽입돌기
730 : 한 쌍의 중공형기립체 731 : 내측기립벽
731-1 : 측방고정돌기 733 : 전방기립벽
735 : 후방기립벽 735-1 : 바디가이드돌기
737 : 외측절개기립벽 750 : 탄성체결부
751 : 누름체 753 : 체결돌기
Claims (21)
- 외측면을 이루는 바디외피와, 상기 바디외피에 내장되어 내측면을 이루는 바디단열재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디단열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에 결합하여 상기 바디외피와 상기 바디단열재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구비되는 단열재프레임을 포함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를 개방하는 바디부재; 및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외피는,
측벽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기 바디외피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바디외피리브 및 상기 바디외피리브와, 상기 바디외피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리브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프레임은,
상기 단열재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구비하는 프레임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외피 및 상기 단열재프레임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호 결합하되,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면, 상기 프레임리브가 상기 바디외피리브 및 상기 프레임리브지지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리브지지체가 상기 프레임리브를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리브의 탄성 변형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프레임은,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단열재의 상단부 둘레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단열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이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고, 외부 전면이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외피의 측벽 둘레 및 상기 단열재프레임의 둘레를 서로 맞닿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의 측벽 상단부 둘레 및 상기 단열재프레임의 둘레를 가압하면, 상기 바디외피리브 및 상기 프레임리브가 각각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는,
상기 바디외피와 상기 단열재프레임 사이에 기밀성 유지를 위한 바디패킹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외측면을 이루는 바디외피와, 상기 바디외피에 내장되어 내측면을 이루는 바디단열재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디단열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에 결합하여 상기 바디외피와 상기 바디단열재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구비되는 단열재프레임을 포함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를 개방하는 바디부재; 및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체결핀부재에 의해 상기 바디부재에 일체로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외피는,
측벽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기 바디외피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바디외피리브 및 상기 바디외피리브와, 상기 바디외피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리브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프레임은,
상기 단열재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구비하는 프레임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외피 및 상기 단열재프레임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호 결합하되,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면, 상기 프레임리브가 상기 바디외피리브 및 상기 프레임리브지지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리브지지체가 상기 프레임리브를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리브의 탄성 변형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프레임은,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단열재의 상단부 둘레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단열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이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고, 외부 전면이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외피의 측벽 둘레 및 상기 단열재프레임의 둘레를 서로 맞닿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의 측벽 상단부 둘레 및 상기 단열재프레임의 둘레를 가압하면, 상기 바디외피리브 및 상기 프레임리브가 각각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는,
상기 바디외피와 상기 단열재프레임 사이에 기밀성 유지를 위한 바디패킹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외측면을 이루는 바디외피와, 상기 바디외피에 내장되어 내측면을 이루는 바디단열재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디단열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에 결합하여 상기 바디외피와 상기 바디단열재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구비되는 단열재프레임을 포함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를 개방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바디부재에 결합하여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서로 결속시켜 상기 바디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잠그도록 구비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를 장착하면서, 상기 바디부재에 결합하는 잠금장치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외피는,
측벽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기 바디외피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바디외피리브 및 상기 바디외피리브와, 상기 바디외피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리브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프레임은,
상기 단열재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구비하는 프레임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외피 및 상기 단열재프레임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호 결합하되,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면, 상기 프레임리브가 상기 바디외피리브 및 상기 프레임리브지지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리브지지체가 상기 프레임리브를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리브의 탄성 변형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프레임은,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단열재의 상단부 둘레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단열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이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고, 외부 전면이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삭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외피의 측벽 둘레 및 상기 단열재프레임의 둘레를 서로 맞닿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외피의 측벽 상단부 둘레 및 상기 단열재프레임의 둘레를 가압하면, 상기 바디외피리브 및 상기 프레임리브가 각각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는,
상기 바디외피와 상기 단열재프레임 사이에 기밀성 유지를 위한 바디패킹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5720A KR102586872B1 (ko) | 2022-08-23 | 2022-08-23 |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5720A KR102586872B1 (ko) | 2022-08-23 | 2022-08-23 |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6872B1 true KR102586872B1 (ko) | 2023-10-10 |
Family
ID=8829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5720A KR102586872B1 (ko) | 2022-08-23 | 2022-08-23 |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6872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10092A (ja) * | 2002-06-05 | 2004-01-15 | Gifu Plast Ind Co Ltd | 断熱容器 |
JP2007091271A (ja) * | 2005-09-28 | 2007-04-12 | Sekisui Plastics Co Ltd | カバー付き容器 |
JP2021062869A (ja) * | 2019-10-10 | 2021-04-22 | 三甲株式会社 | 容器 |
KR102254344B1 (ko) | 2019-11-19 | 2021-05-21 | 엔피씨(주) | 보냉상자 |
KR102255394B1 (ko) * | 2020-10-19 | 2021-05-24 |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 이너박스와 아웃박스의 결합구조를 갖는 상자 |
KR20220085149A (ko) * | 2020-12-15 | 2022-06-22 | 엔피씨(주) |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 |
-
2022
- 2022-08-23 KR KR1020220105720A patent/KR1025868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10092A (ja) * | 2002-06-05 | 2004-01-15 | Gifu Plast Ind Co Ltd | 断熱容器 |
JP2007091271A (ja) * | 2005-09-28 | 2007-04-12 | Sekisui Plastics Co Ltd | カバー付き容器 |
JP2021062869A (ja) * | 2019-10-10 | 2021-04-22 | 三甲株式会社 | 容器 |
KR102254344B1 (ko) | 2019-11-19 | 2021-05-21 | 엔피씨(주) | 보냉상자 |
KR102255394B1 (ko) * | 2020-10-19 | 2021-05-24 |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 이너박스와 아웃박스의 결합구조를 갖는 상자 |
KR20220085149A (ko) * | 2020-12-15 | 2022-06-22 | 엔피씨(주) | 보냉상자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83724B2 (en) | Storage insert for travel suitcase | |
KR101934608B1 (ko) | 수하물 케이스용 다중 잠금 시스템 | |
US801615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lid to an insulated container | |
US11161678B2 (en) | Portable storage container | |
US4223787A (en) | Cassette carrying case | |
US20120152944A1 (en) | Sealable storage container | |
US9540138B2 (en) | Collapsible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 |
CN111924270A (zh) | 自动互锁结构、储物箱、储物箱组件 | |
US5470115A (en) | Recessed three-point latching mechanism and method for a storage locker | |
US20180354711A1 (en) | Tamper-proof case systems and methods | |
KR102709010B1 (ko) | 저장 용기 | |
KR102586872B1 (ko) |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
KR102261333B1 (ko) | 보냉상자 | |
JP7062619B2 (ja) | 配布ターミナル | |
CN105564514A (zh) | 尾门厢释放机构装置 | |
CN109896150A (zh) | 一种防盗包装箱 | |
JP2020032181A5 (ko) | ||
US4823924A (en) | Apparatus to reinforce the frame of luggage | |
KR101359303B1 (ko) | 박스용 록커 | |
JP2007099369A (ja) | 折り畳み式搬送用コンテナ | |
JP2022511284A (ja) | 物品保管回収装置 | |
US4429929A (en) | Portable tube holder | |
KR102507728B1 (ko) | 보냉상자 | |
CN209939400U (zh) | 容器 | |
JP6081255B2 (ja) | 保管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